KR100400622B1 - 분진이없는모발표백제분말 - Google Patents

분진이없는모발표백제분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0622B1
KR100400622B1 KR1019970702837A KR19970702837A KR100400622B1 KR 100400622 B1 KR100400622 B1 KR 100400622B1 KR 1019970702837 A KR1019970702837 A KR 1019970702837A KR 19970702837 A KR19970702837 A KR 19970702837A KR 100400622 B1 KR100400622 B1 KR 100400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each powder
powder
bleach
dust
reduc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2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6790A (ko
Inventor
토머스 엠. 슐츠
마이클 디조지
데이비드 캐늘
Original Assignee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레알 filed Critical 로레알
Publication of KR970706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6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6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2Peroxides; Oxygen;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23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PVC, PTF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8Preparations for bleach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03Hair blea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성 과산화수소와 혼합된 경우, 개선된 틱소트로피를 나타내는 활성화된 표백제 조성물을 생성시키는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는 표백제 분말에 관한 것이다. 표백제 분말은 1종 이상의 분진 저하제 및 1종 이상의 과산소화염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표백제 분말의 약 10 중량% 미만의 양으로 존재하는 분진 저하제는 알킬화된 에스테르, 환식 에테르 및 환식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 실질적으로 친수성인 불활성 화합물이다. 표백제 분말은 또한, 분말화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을 표백제 분말의 약 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표백제 분말은 또한 암모니아원, 예를 들면 할로겐화암모늄, 인산디암모늄, 황산암모늄 및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임의로는, 하나 이상의 모발 컨디셔닝제, 증점제 및 건조제를 분진이 없는 표백제 분말에 첨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진이 없는 모발 표백제 분말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는 표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1종 이상의 분진 저하제 및 1종 이상의 과산소화염(peroxygenated salt)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는 모발 표백용 분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수성 과산화수소와 혼합된 경우, 모발을 따라 균일하게 유동할 수 있는 활성화된 표백용 조성물을 생성하는 모발 표백용 분말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표백용 분말은 또한, 활성화된 표백용 조성물의 점도 및 슬립(slip) 특성을 개선시키는 분말화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을 함유한다.
<발명의 배경>
종래의 모발 표백제 분말은 모발 색상을 밝게 하기 위하여 사용한 조성물이다. 통상적으로, 이들 제품은 사용하기 전에 과산화수소 수용액과 혼합시켜야 하는 건식 분말로서 소비자에게 판매된다. 혼합시, 표백제 분말 중의 성분 및 과산화수소 용액은 활성화된 표백용 조성물을 형성하고, 이어서 이것을 모발에 도포한다. 활성화된 표백용 조성물은 멜라닌과 같은 천연 모발 색소를 산화시킴으로써 모발을 밝게 한다.
통상의 모발 표백제 분말은 과산화수소와 상호 작용하여 산소를 형성함으로써 모발의 멜라닌을 분해하는 반응 물질을 포함한다. 통상, 그러한 반응 물질은 특히, 과황산염, 과붕산염, 과탄산염 등의 과산소화된 암모늄, 나트륨 또는 칼륨 염을 포함한다.
통상, 과산화수소 용액의 첨가시 활성화된 표백제 조성물이 9.5 내지 11.5의 pH 범위를 갖도록 하는 것이 적합한 산소 형성에 필요하다. 과산화물 및 과황산염 은 둘다, 염기성 pH에서 활성화되는 산이다. 따라서, 아민 알칼리 화합물 또는 메타규산염과 같은 염기를 모발 표백제 분말에 첨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모발 표백제 분말은 또한, 분말 염기의 형성을 도와주는 히드록시알킬화된 셀룰로스와 같은 증점제를 포함하여 기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표백제 분말은 또한, 보관시 대기의 수분으로 인해 분해되기 쉽다. 따라서 또한, 실리카 유도체와 같은 건조제를 첨가하여, 사용 전에 수분에 의해 표백제 분말이 분해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종래의 모발 표백제 분말과 관련된 몇가지 단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표백제 분말은 취급, 운반 및 보관시 분진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분진 형성은 또한, 표백제 분말을 과산화수소 수용액과 혼합시키기 전에 혼합 용기로 옮기는 동안에도 발생한다. 또한, 과황산염 및 알칼리성 규산염 반응 물질은 부식성이고, 취급자에게는 위험할 수 있다. 이들 분진은 눈, 호흡관 및 점막에 자극적이다. 과황산암모늄은 특히 문제성있는 자극물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모발 표백제 분말의 분진 형성 특성을 저하시키기 위한다양한 시도가 있어 왔다. 오일 또는 액체 왁스와 같은 실질적인 수 불용성 화합물을 표백제 분말에 첨가함으로써 부분적 성공이 달성되어왔다. 이들 오일 또는 왁스는 각 분말 입자를 피복시키고 이들을 보다 큰 크기의 입자로 응집시킨다. 따라서, 그러한 표백제 분말은 이들의 소립자를 제거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게 된다.
공개된 유럽 특허 출원공보 제 0,583,767 A2호("EP '767")는 상기 연구의 일례를 제공한다. EP '767은 과황산암모늄염, 과황산나트륨염 및 과황산칼륨염을 포함하는 분말 염기를, 특히 광유, 중성 오일 및 플루오로실리콘 유체를 포함하는 "불활성 흡착물" 또는 불활성 액체로 처리한, 자유롭게 건식 유동하는, 분진이 없는 모발 표백제 분말을 기재한다.
오일인 이들 불활성 액체 첨가제는 (1) 분말 소립자가 40 μ을 초과하는 크기의 입자가 되도록 응집시키기 위한 접착제, 및 (2) 입자가 연마 및 분진을 형성하지 않도록 입자를 피복시키기 위한 윤활제로서의 두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불활성 액체 첨가제는 주로 분진 저하제로서 기능한다.
EP '767에 의해 교시된 조성물의 목적하는 특성을 얻기 위하여, 불활성 액체는 약 10 내지 25 중량%로 바람직한 범위는 약 14 내지 20 중량%의 모발 표백제 분말을 포함하는 것으로 언급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4,170,637호("'673 특허")는 또한, 전체 혼합물 중에서 약 30 내지 7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오일 또는 왁스와 같은 소수성 유기 담체 중에 분산된 입상의 과황산염 및 알칼리성 규산염의 밀접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모발 표백제 조성물을 상술한다. 생성된 조성물은 분말이 아니지만, "페이스트 내지 크림"의 점도를 갖는다.
유럽 특허 공보 제0,560,088 B1호("EP '088")는 또한 오일 및(또는) 액체 왁스로 처리되는 분진이 없는 표백제 분말을 기재한다. 이들 성분은 전체 표백제 분말의 2.5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 중량%를 포함한다. 첨가된 물질은 또한, 실질적인 수 불용성인 것으로 교시된다 [참조: "Industrie et technologie des Corps Gras" (Industry and Technology of Fatty Substances), Alton E. Bayley; "Romps Chemie Lexicon", Oho Albrecht 및 Neumuller; "Introduction to Fats and Oils Technology", Peter J. Wan; Larousse Dictionary]. 구체적으로, EP '088은 소수성, 수 불용성 물질인 파라핀유 및 실리콘유의 사용을 상술한다.
상기 상술된 처리가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는 표백제 분말을 제조하는 반면, 이들 분말은 여전히 심각한 단점을 갖는데, 이들이 수성 과산화수소와의 혼합시에 불안정한 유계 에멀젼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불안정성을 보상하기 위해서는 계면활성제 및 유화제 (예: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 산화물)와 같은 추가 성분을 분말에 첨가해야 한다. 또한, 유계 분진 저하제를 함유하는 표백제 분말을 수성 과산화수소와 혼합시키는 경우, 이들이 유용한 페이스트를 형성하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종래의 표백용 조성물의 바람직하지 않은 또다른 국면은 이들이 만족스러운 틱소트로피(thixotropy) 특성을 나타내지 못한다는 것이다. 틱소트로피가 양호한활성화된 표백용 조성물은 거의 노력하지 않고도 모발을 통해 이동할 뿐만 아니라, 그것이 도포되는 위치에 잔존하기까지 한다. 즉, 양호한 틱소트로피 특성은 모발에 도포하는 동안 표백제 조성물에 발휘된 전단력으로부터의 표백제 조성물의 제거를 돕는다. 상기 언급된 선행 기술의 분진이 없는 모발 표백제 분말에 의해 제조된 활성화된 표백용 조성물은 양호한 틱소트로피를 나타내지 않으나, 그 대신 효과적이고 균일하게 모발을 표백시키기 위해 과도하게 도포하거나 적셔야 할 필요가 있다. 정량의 퍼짐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중저의 점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활성화된 표백제 조성물이 목적하는 틱소트로피를 얻기는 어렵다. 그러나, 점도가 너무 낮은 경우, 제조된 표백제 페이스트 또는 크림은 그의 적용된 위치에 머무르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활성화된 표백용 조성물이 모발에 바람직한 미적 특징을 부여하기에 최적 점도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의 표백제 분말의 또다른 단점은 이들이 습기있는 조건 하에서 분해되고 낮은 점화 온도를 갖는다는 점이다. 또한, 종래의 분진이 없는 표백용 분말은 분진 형성을 억제시키는 동시에, 활성화된 표백용 분말로 제조된 활성화된 표백용 조성물에 개선된 틱소트로피 특성을 부여하는 실질적으로 친수성인 분진 저하제를 혼입시키지 않는다. 종래의 표백제 분말은 또한, 분말을 수성 과산화물과 혼합시 분말 덩어리의 형성(clumping)을 방지하고 표백용 혼합물의 점도 및 슬립(slip) 특성을 개선시키는 분말화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을 혼입시키지 않는다.
<발명의 개요>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는 활성화된 표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는 표백용 분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과산화물 수용액 중의 표백제 분말의 용해도를 향상시키는 실질적으로 친수성인 분진 저하제를 함유하는,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는 표백용 분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수성 과산화수소와 혼합된 경우, 틱소트로피 및 슬립 특성이 개선되는 활성화된 표백용 조성물을 형성하는,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는 표백용 분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에 사용되던 과황산암모늄 대신에 할로겐화암모늄, 황산암모늄 및 비 암모니아 과산소화염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덜 자극적인,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는 표백제 분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분말화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을 혼입시켜 활성화된 표백용 조성물의 점도 및 슬립 특성을 개선하고 분말이 수성 과산화물과 혼합된 경우 분말의 덩어리 형성을 방지하는,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는 표백제 분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모발의 미적 느낌을 개선시키는 컨디셔닝(conditioning)제를 갖는,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는 표백제 분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여전히 또 다른 목적은 대기 습도 하에서 분해 속도가 지연되는,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는 표백제 분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다른 목적은 점화 온도가 높은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는 표백용 분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본 발명의 하기 특징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질적으로 친수성인 화합물인 분진 저하제 및 분말화된 PTFE의 표백제 분말로의 혼입을 통해 수행한다. 분진 저하제를 과산소화염 및 분말화된 PTFE 함유 표백제 분말의 혼합물에 도포하여, 분진 저하제가 표백제 분말 입자를 피복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분진 저하제를 분무에 의해 도포한다. 상기 방법으로, 과산화수소와 같은 과산화물 수용액과 혼합되어 활성화된 표백용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는 표백제 분말이 생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실질적으로 친수성인 분진 저하제는 환식 에테르, 알킬화된 디에스테르 또는 환식 에스테르이다.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환식 에테르는 디메틸 이소소르비드 또는 디이소프로필 이소소르비드와 같은 디알킬 환식 에테르일 수 있다. 알킬화된 디에스테르는 알킬화된 아디페이트, 알킬화된 세베케이트 또는 알킬화된 옥살레이트일 수 있고, 여기에서 알킬기의 탄소수는 3 내지 6이다. 바람직한 알킬화된 디에스테르는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디이소프로필 세베케이트 및 디이쇼프로필 옥살레이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환식 에스테르는 r -부티로락톤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분진 저하제는 표백제 분말의 1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분말화된 PTFE는 표백제 분말의 약 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서, 과산소화염은 1종 이상의 과황산염, 과붕산염, 메타규산염 또는 과탄산염의 염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과황산나트륨염 및 과산화칼륨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컨디셔너, 염기, 증점제 및 건조제와 같은 몇몇 첨가제를 분말에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특징 및 장점은 본 발명의 하기 설명으로부터 및 청구의 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수성 과산화수소와 혼합되어 덩어리 형성없이 틱소트로피가 개선된 활성화된 표백용 조성물을 형성시킬 자유롭게 흐르는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는 표백제 분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는 표백제 분말은 실질적으로 친수성인 분진 저하제로 피복시킨 1종 이상의 과산소화염의 입자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표백제 분말은 또한, 분말화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을 함유한다.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는 표백제 분말은 또한, 특히 컨디셔너, 염기, 증점제 및 건조제를 포함하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을 사용하여 모발을 표백시키기 전에,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는 표백제 분말은 활성화된 표백용 조성물을 형성시키는 과산화물수용액, 특히 과산화수소와 혼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실질적으로 친수성인 환식 에테르 화합물, 특히 디메틸 에테르, 환식 에스테르 화합물 및 알킬 디에스테르가 모발 표백용 분말에 대해 효과적인 분진 저하제라는 발견을 근거로 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표백용 분말로부터 제조된 표백용 조성물에 우수한 틱소트로피 특성을 부여할 수 있고 동시에 분진 형성을 억제시킬 수 있는, 이들 실질적으로 친수성인 분진 저하제를 포함하는 표백용 분말의 놀라운 능력을 근거로 한다. 본 발명은 여전히 추가로, 분말화된 PTFE를 내부에 혼입시킴으로써 제공된 표백용 분말의 점도 및 슬립 특성의 개선을 근거로 한다. PTFE의 첨가는 또한,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는 표백제 분말의 수성 과산화물과의 혼합시 덩어리 형성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의 표백용 분말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과산소화염은 과황산염, 과붕산염, 메타규산염 또는 과탄산염의 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과산소화염은 과황산나트륨 및(또는) 과황산칼륨을 포함한다.
분진이 없는 표백제 분말에 혼입시킬 수 있는 분진 저하제는 과산화수소 수용액과의 분말 혼화성을 향상시키는 실질적으로 친수성인 각종 성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분진 저하제는 환식 에테르, 환식 에스테르 및 알킬화된 디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환식 에테르는 디메틸 이소소르비드 또는 디이소프로필 이소소르비드와 같은 디알킬 환식 에테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환식 에스테르는 r-부티로락톤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알킬화된 디에스테르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3 내지 6인 알킬화된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한 알킬화된 디에스테르는 디알킬 세베케이트, 디알킬 옥살레이트 및 디알킬 아디페이트를 포함한다. 디이소프로필 세베케이트, 디이소프로필 옥살레이트 및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가 가장 바람직하다.
분진 저하제는 전체 표백제 분말의 10 중량% 미만으로 함유된다. 이로써, 분말을 사용하여 제조된 활성화된 표백용 조성몰이 크림 또는 페이스트 상 점도를 갖지 않도록 보장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표백제 분말은 전체 표백제 분말의 약 2 내지 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3 중량%의 분진 저하제를 함유한다.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는 표백제 분말은 또한, 향장품 등급의 분말화된 PTFE를 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중량%로 포함한다. 그러한 분말화된 PTFE는 매우 낮은 용해도를 보유하면서 분자량이 통상의 PTFE 보다 낮은,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미분(또는 왁스)이다[참조: 본원에서 참조로서 인용하는 Concise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John Wiley & Sons, 1990, pp. 1167-1170]. 바람직한 PTFE 분말은 평균 입도가 5 μ인 향장품 등급의 플루오로퓨어(FluoroPURE) 103C PTFE 분말(제조원: 미국 07114 뉴저지주 뉴아크 소재의 Shamrock Technologies, Inc.)이다. 플루오로퓨어 103C는 미적으로 바람직한 백색 분말로서 공급된다. 플루오로퓨어 분말은 윤활 특성을 제공하는 분말 메이크업제에 유용하다.
분말화된 PTFE의 기타 공급원은 특히, 듀퐁(Du Pont)(테플론, TeflonR) 및 ICI(플루론, Fluron)를 포함하고, 그러한 PTFE 분말은 입도 및 특성이 상기 언급한 Shamrock 제품과 유사하다.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는 표백제 분말은 바람직하게는 또한, 특히 트리스히드록시알킬아민, 예를 들면 트리스히드록시에틸아민, 탄산구아니듐 또는 붕산구아니듐과 같은 아민 알칼리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기를 포함한다. 기타 적합한 염기는 규산나트륨과 같은 알칼리성 규산염 또는 메타규산나트륨과 같은 메타규산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황산암모늄, 또는 염화암모늄과 같은 할로겐화암모늄 화합물, 또는 인산디암모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본 표백제 분말 중에서 암모니아원으로서 사용한다. 그러한 화합물은 과황산암모늄보다 냄새가 덜 나기 때문에 종래의 표백제에서 암모니아원으로서 사용한 과황산암모늄보다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암모니아원은 PTFE를 포함하는 분진이 없는 표백제 분말 중의 염화암모늄 및 황산암모늄의 혼합물이다(참조: 표 1 및 표 2).
본 발명의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는 표백제 분말은 또한, 과산화수소와 혼합시킨 후 표백용 조성물로 처리한 모발의 느낌을 실질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1종 이상의 분말화된 모발 컨디셔닝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컨디셔닝제는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비반응성 중합체성 물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컨디셔닝제는 특히, 음이온계, 양이온계, 비이온계 또는 양쪽성 컨디셔너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양이온계 컨디셔너는 특히, 분자량 범위가 50 kDa인 중합체성 4급 아민 중합체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바람직한 4급 아민 중합체는 디메틸 디알킬 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인, 또한 폴리쿼터늄-22(Polyauaternium-22)로 공지된 MERQUAT 280(제조원: Calgon Corporation); 트리메틸 암모늄 치환된에폭시드와 반응된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스의 중합체성 4급 암모늄 염인, 또한 폴리쿼터늄-10으로 공지된 폴리머(Polymer) JR(제조원: Union Carbide Corporation); 아크릴아미드 및 디메틸 디알릴 암모늄 클로라이드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중합체성 4급 암모늄 염인, 또한 폴리쿼터늄-7로 공지된 MERQUAT 2200; 및 히드록시프로필 구아(Guar)(검)의 4급 암모늄 유도체인 구아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음이온계 컨디셔너는 특히, 예를 들면 Ajdew(판매원: Ajinomoto Company, U.S.A., Inc.)로 판매된 피롤리돈 카르복실산(PCA)과 같은 양이온계 중합체의 술폰화된, 카르복실화된 및 니트로-산화물 유도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양쪽성 컨디셔너는 키토산 및 숙신아미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비이온계 컨디셔너는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블럭 중합체인 Poloxamar 407과 같은 단량체성 및 중합체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는 표백제 분말의 컨디셔너 양은 약 1 내지 5 중량 %의 표백제 분말이다.
본 발명의 추가로 바람직한 양태에서, 증점제는 또한, 모발 표백제 분말에 첨가할 수 있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는 바람직한 유형의 히드록시알킬화된 셀룰로스 증점제이다. 바람직한 한 양태에서,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스는 전체 표백제 분말의 약 3 내지 5 중량%인 비율로 사용한다. 바람직한 증점제는 또한, 1,9 데카디엔("PVM/MA 데카디엔 크로스중합체")에 의해 가교 결합된 중합체성 메틸 비닐 에테르/말산 무수물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는 표백제 분말은 또한, 실리카와 같은 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카를 전체 표백제 분말의 약 1 내지 3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표백제 분말에 첨가한다.
계면활성제, 킬레이트화제 및 이들의 염은 또한, 전체 표백제 분말의 0.01 내지 2 중량%의 양으로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는 표백제 분말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는 전형적인 표백제 분말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바람직하게는, 분진 저하제를 분무 방법으로 표백제 분말에 도포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구체적 실시예로 추가 기술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대표할 의도이며 어떠한 방식으로라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실시예 1>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는 표백제 분말은 틱소트로피 특성이 우수한 활성화된 표백용 조성물을 생성시킨다>
몇몇 활성화된 표백용 조성물의 틱소트로피를 비교하였다. 활성화된 표백용 조성물은 표 2에서 A 내지 G로 명명된 표백제 분말을 수성 H2O2와 혼합시킴으로써 제조하였다. 오일, 즉 광유의 첨가시 분말A, B 및 D는 선행 기술의 상업적 제품을 나타낸다. 분말 E 및 F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PTFE를 포함하지 않는 분말이다. 분말 G는 PTFE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분말이다.
Figure pct00002
비교할 목적으로, 각 표백제 분말을 수성 과산화수소와 혼합시켜 활성화된표백제 조성물을 형성시켰다.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활성화된 각 표백제 조성물의 틱소트로피 값은 전단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전단은 헬리오패스 스핀들(heliopath spindle) 점도계(제조원: Brookfield Company)를 사용하여 수득한 별도로 결정된 2가지 점도값의 비로부터 결정한다.
점도계를 사용하는 점도 측정값은 T-A 및 T-D로 명명된 상이한 크기의 2가지 스핀들을 사용하여 30초 동안 2.5 rpm의 속도에서 얻었다. 각 표백제 조성물을 비이커 내에 두었고 점도계 하에 배치시켰다. 이어서, 스핀들을 시료 표면 상에 놓고, 시료를 통한 스핀들의 통과를 30초 동안 평가하였다. T-A 및 T-D 값은 점도계에 의해 센티포이스 또는 cps 단위로 표현하였다. 결정된 틱소트로피 값은 T-A/T-D 비로 표현한다. 보다 낮은 T-A/T-D 값은 우수한 틱스트로피 즉, 제품은 전단 적용 하에서도 제품의 점도를 유지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5를 초과하는 값은 활성화된 표백제 조성물이 전단 하에서 분리되어 하강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한 혼합물은 페이스트 상이고, 따라서 평활하게 및 균일하게 모발에 적용시키기 어렵다.
상이한 활성화된 표백제 조성물에 대해 수득한 틱소트로피 값은 표 3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질적인 분진이 없는 표백제 분말을 사용하여 제조한 활성화된 표백제 조성물은 각각의 T-A/T-D 비가 0.7인 분말 E(알킬 에스테르 화합물, 예를 들면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를 포함함, 표 2 참조) 및 분말 F(환식 에테르 화합물, 예를 들면 디메틸 이소소르비드를 포함함, 표 2 참조)로 나타냈다. 분말화된 PTFE 및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를 포함하는 분말 G(참조 : 표 2)는 T-A/T-D 비가0.6 이었다. 분말 E, F 및 G에 대한 이들 낮은 값은 바람직한 틱소트로피를 나타낸다. 분말 E, F 및 G로 제조된 이들 활성화된 표백제 조성물은 임의로 첨가된 계면활성제를 갖지 않는다. 대조적으로, 분말 A(이것은 임의의 분진 저하제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그대로 분석된 경우 또는 10 %w/w 광유가 첨가된 경우, 각각이 불량한 틱소트로피를 나타내는 5.5 및 5.6의 T-A/T-D 비를 나타내었다. 바람직한 틱소트로피를 달성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를 분말 A 및 10% 광유의 혼합물에 첨가할 필요가 있었다(참조 : 표 3).
따라서, 대조 시험의 결과, 본 발명의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는 표백제 분말로 제조한 표백제 조성물은 종래의 표백제 분말과 비교하여 틱소트로피 특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분말 E 및 F로 제조된 조성물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오일 및 왁스와 같은 분진 저하제로 제조된 조성물보다 우수한 틱소트로피를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3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는 모발 표백제 분말은 내분해성이다>
본 발명의 표백제 분말의 분해에 대한 안정성은 이들이 산소 방출력의 손실을 방지시킬 수 있는 능력에 의해 결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을 수행하여, 95 % 정습도 조건 하에서 3일 이내에 방출되는 산소량을 결정하였다.
과황산염 성분 중의 활성 산소는 표백제 분말 중의 환원성 과황산염 양을 계산함으로써 수득하였다. 이는 표백제 분말을 황산제1철로 환원시킴으로써, 및 과망간칼륨에 의한 적정으로 반응에서 제조된 과량의 황산제1철을 계산함으로써 수득한다. 환원성 과황산염의 양은 과량의 황산제1철에 반비례하고, 적정값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활성값 %은 전체 표백제 분말 중의 환원성 과황산염 분획을 나타낸다. 즉, ~3 %의 초기 활성은 전체 표백제 분말 중에 존재하는 환원성 과황산염의 총량, 즉 ~3 중량%에 대응한다. 활성 손실은 0일 째에 방출된 산소량 % 및 3일 째에 방출된 산소량 % 사이의 차이값이다.
표 4는 95 % 상대 습도에 노출된 0일 째 및 3일 째 후에 분말로부터 방출된 산소 %를 나타낸다.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표 2의 분말 E) 또는 디메틸 이소소르비드(표 2의 분말 F) 중 하나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는 표백제 분말은 대기 수분 흡착으로 인한 ~33 %의 전체 중량 증량에도 불구하고 3일 동안 95 % 정습도에 노출된 후에 실질적으로 낮은, 즉 ~0.2 %의 활성 손실을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4
<실시예 3>
<본 발명의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는 표백제 분말은 점화 온도가 높다>
표백제 분말의 점화 온도에 대한 환식 에테르 또는 알킬화된 에스테르 분진 저하제의 효과를 결정하였다. 점화 온도는 표백제 분말을 열판 상에서 가열하여 탄화(charring)가 발생하는 온도를 주목함으로써 수득하였다. 표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분진 저하제를 함유하지 않는 (표 2의) 분말 A는 점화 온도가 170℃이었다. 분말 E(디메틸 이소소르비드를 함유함) 및 분말 F(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를 함유함)는 각각이 상당히 보다 높은, 예를 들면 190℃ 및 195℃의 점화 온도를 가졌다. 사용 또는 운반하는 동안에 연소 또는 폭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시키기 위하여 표백제 분말의 점화 온도가 높은 것은 유리하다.
Figure pct00005
<실시예 4>
<본 발명의 활성화된 표백제 조성물에 의해 표백된 모발은 빗질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는 분말 표백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활성화된 표백제 조성물에 의해 표백된 모발 시료에 대해 수행한 빗질성 분석 결과, 빗질하는 동안 발휘된 힘에 대한 모발의 내성이 저하되었다.
모발을 통과하는 빗의 운동에 대한 내성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은 인스트론(Instron) 장치를 사용하는 인스트론 인장 시험에서 측정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공기압을 적용시켜 인스트론에 부착된 모발 견본(swatch) 시료를 통해 소정의 속도로 빗을 끌어 당긴다. 빗의 운동에 대한 내성은 (1) 최대 하중에서의 하중으로서 인스트론에 의해 표현된, 빗을 모발을 통해 끌어 당기는데 필요한 힘으로서, 및 (2) 파괴점에서 인스트론에 의해 에너지로 표현된, 빗을 모발을 통해 끌어 당기는 기계에 의해 수행된 작업으로서 평가한다. 보다 낮은 내성은 우수하고 바람직한 빗질성을 나타낸다.
분석할 목적으로, 모발 견본을 실온에서 45분 동안 표백시켰고 완전히 행궜다. 이어서, 이들을 탈이온수 중에 침지시켰고, 과량의 물을 부드럽게 짰다. 이어서, 견본을 미세한 참빗으로 엉킴을 약간 풀어주었고, 인스트론의 정상으로부터 공기 에어 그립(air grip)상에 고정시켰다. 2개의 빗을 서로 마주보고 있는 인스트론에 두어, 시험하려는 모발이 이들 사이에서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하고 상부 빗이 1.5 in이 되도록 하였다. 인스트론을 고정시켜, 빗을 5 in/분의 속도로 견본을 통해 및 견본 단부로 끌어 당겼다. 상기 시간 동안 신장된 힘 및 작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인스트론에 의해 표현되었다. 최종 판독은 10회의 유사하고 독립적인 빗질성분석의 평균치로부터 계산하였다.
상이한 활성화된 표백제 조성물에 의해 표백된 모발에 대해 수득한 내성값은 표 6에 나타낸다. 분말 E 및 분말 F (본 발명의 분진 저하제 및 컨디셔너, 예를 들면 폴리쿼터늄-22를 함유함)를 사용하여 제조한 활성화된 표백제 조성물에 의해 표백된 모발의 내성값은 최대 하중값에서의 하중이 각각 53.73 gm 및 36.44 gm이다. 이들 값은 바람직한 빗질성을 나타낸다. 대조적으로, 임의의 분진 저하 성분 또는 컨디셔너를 함유하지 않는 분말 D(참조: 표 2)를 사용하여 제조한 활성화된 표백제 조성물은 최대 하중값에서의 하중이 336.1 gm이고, 이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빗질성을 나타낸다.
유사하게는, 분말 E 및 분말 F를 사용하는 활성화된 표백제 조성물에 의해 표백된 모발의 파괴점 값에서의 에너지는 낮다. 즉, 각각은 134.7 gm/in 및 87.02 gm/in이다. 대조적으로, 분말 D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파괴점 값에서의 에너지는 1,306 gm/in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분진 저하제 및 컨디셔너를 함유하지 않는 분말 E 및 분말 F를 사용하여 제조한 표백제 조성물에 의해 표백된 모발은 빗질성이 실질적으로 우수하다.
Figure pct00006
<실시예 5>
<PTFE 함유 표백제 분말로 제조한 표백제 조성물은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분말 G(표 2) 및 선행 기술의 표백제인 분말 C (표 2)로 제조한 표백제 조성물의 살롱(salon) 시험은 표백제 조성물의 모발에 대한 효과 및 모발의 평가하는 것을 훈련받은 면허를 얻은 향장품 학자에 의해 레드켄(Redken)의 시험 실험실에서 수행하였다. 특히, 조성물은 분상(frosting) 및 호일 위빙(foil weaving) 적용에 사용하기 위한 오프스캘프(off-scalp) 적용성에 대해 시험하였다.
시험군 표백제 분말(G) 및 대조군 표백제 분말(C)은 각각 에멀젼 과산화물인 Redken의 Pro-Oxide 20 용량 과산화물과 혼합하였다. 특히, 혼합 용이성; 점도; 적용 용이성; 헹굼성; 샴푸 전 습윤 빗질, 모발 상태 및 광택도; 삼푸 후 습식 빗질, 습식 느낌, 모발 상태 및 광택도를 포함하는 각종 파라미터를 비교하였고 시험군 표백제 조성물 및 대조군에 대해 등급을 매겼다. 1 내지 5의 등급 체계를 이용하였고, 이때 1은 가장 불량한 값이었고 5는 최상의 값이었다. 시험 결과를 이하 표 7에 기술한다.
Figure pct00007
표 7로부터 알 수 있듯이, 분말 G로부터 제조된 표백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측정한 모든 파라미터는 분말 C로부터 제조된 조성물과 동등하거나 그보다 양호하였다.
또한, 살롱 시험 결과는 유사한 적용 시간 이후에, 분말 G에 의해 모발이 우수하게 밝아진 것을 나타내었다(나타내지 않은 데이터임).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것이고 어떠한 방식으로라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미는 아니다.

Claims (38)

  1. (a) 과산소화염을 포함하는 다수의 입자,
    (b) 입자를 피복시켜 분진 형성을 방지시키는, 표백제 분말 중의 약 10 중량% 미만인 양의 실질적으로 친수성인 분진 저하제, 및
    (c) 표백제 분말의 약 1 내지 5 중량% 양의 분말화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는 표백제 분말.
  2. 제1항에 있어서, 표백제 분말이 염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표백제 분말.
  3. 제1항에 있어서, 분진 저하제가 알킬화된 디에스테르, 환식 에테르 및 환식 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표백제 분말.
  4. 제3항에 있어서, 분진 저하제가 디알킬 세베케이트, 디알킬 아디페이트 및 디알킬 옥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알킬화된 디에스테르이고, 여기에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3 내지 6인 표백제 분말.
  5. 제4항에 있어서, 분진 저하제가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디이소프로필 세베케이트 및 디이소프로필 옥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알킬화된 디에스테르인 표백제 분말.
  6. 제3항에 있어서, 분진 저하제가 디알킬 환식 에테르인 표백제 분말.
  7. 제6항에 있어서, 분진 저하제가 디메틸 이소소르비드 및 디이소프로필 이소소르비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표백제 분말.
  8. 제3항에 있어서, 분진 저하제가 환식 에스테르 r-부티로락톤인 표백제 분말.
  9. 제1항에 있어서, 분진 저하제가 표백제 분말의 약 2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표백제 분말.
  10. 제1항에 있어서, 분진 저하제가 표백제 분말의 약 2 내지 3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표백제 분말.
  11. 제1항에 있어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 표백제 분말의 약 2 내지 4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표백제 분말.
  12. 제1항에 있어서, 분말화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 표백제 분말의 약 3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표백제 분말.
  13. 제1항에 있어서, 과산소화염이 과황산염, 과탄산염, 과붕산염 및 메타 규산염의 수용성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표백제 분말.
  14. 제13항에 있어서, 과산소화염이 과황산나트륨 및 과황산칼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표백제 분말.
  15. 제2항에 있어서, 염기가 아민 알칼리 화합물, 알칼리성 규산염 및 알칼리성 메타규산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표백제 분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아민 알칼리가 트리스히드록시알킬아민, 구아니디늄 탄산염 및 구아니디늄 붕산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표백제 분말.
  17. 제15항에 있어서, 알칼리성 규산염이 규산나트륨인 표백제 분말.
  18. 제15항에 있어서, 알칼리성 메타규산염이 메타규산나트륨인 표백제 분말.
  19. 제15항에 있어서, 트리스히드록시알킬아민이 트리스히드록시에틸아민인 표백제 분말.
  20. 제1항에 있어서, 표백제 분말이 할로겐화암모늄, 인산디암모늄, 황산암모늄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암모니아원을 추가로 포함하는 표백제 분말.
  21. 제20항에 있어서, 할로겐화암모늄이 염화암모늄인 표백제 분말.
  22. 제20항에 있어서, 암모니아원이 염화암모늄 및 황산암모늄의 혼합물인 표백제 분말.
  23.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모발 컨디셔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표백제 분말.
  24. 제23항에 있어서, 모발 컨디셔닝제가 양이온계, 음이온계, 양쪽성 및 비이온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량체성 또는 중합체성 화합물인 표백제 분말.
  25. 제24항에 있어서, 모발 컨디셔닝제가 폴리쿼터늄-22인 표백제 분말.
  26.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증점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표백제 분말.
  27. 제26항에 있어서, 증점제가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인 표백제 분말.
  28.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건조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표백제 분말.
  29. 제28항에 있어서, 건조제가 실리카인 표백제 분말.
  30. (a) 과산소화염을 포함하는 다수의 입자;
    (b) 입자를 피복시켜 분진 형성을 방지시키는 실질적으로 친수성인 분진 저하제;
    (c) 분말화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d) 염기;
    (e) 암모니아원;
    (f) 모발 컨디셔닝제;
    (g) 증점제; 및
    (h) 건조제
    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실질적으로 분진이 없는 표백제 분말.
  31. 제30항에 있어서, 분진 저하제가 알킬화된 에스테르, 환식 에테르 및 환식 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표백제 분말.
  32. 제30항에 있어서, 분진 저하제가 표백제 분말의 10 중량% 미만의 양으로 존재하는 표백제 분말.
  33. 제30항에 있어서, 분진 저하제가 표백제 분말의 약 2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표백제 분말.
  34. 제30항에 있어서, 분진 저하제가 표백제 분말의 약 2 내지 3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표백제 분말.
  35. 제30항에 있어서, 분말화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 표백제 분말의 약 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표백제 분말.
  36. 제30항에 있어서, 분말화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 표백제 분말의 약 2 내지 4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표백제 분말.
  37. 제30항에 있어서, 분말화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 표백제 분말의 약 3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표백제 분말.
  38. 제30항에 있어서, 암모니아원이 염화암모늄 및 황산암모늄의 혼합물인 표백제 분말.
KR1019970702837A 1995-08-30 1996-08-27 분진이없는모발표백제분말 KR1004006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521,192 1995-08-30
US08/521,192 US5866107A (en) 1995-08-30 1995-08-30 Dust free blea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6790A KR970706790A (ko) 1997-12-01
KR100400622B1 true KR100400622B1 (ko) 2004-02-11

Family

ID=24075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2837A KR100400622B1 (ko) 1995-08-30 1996-08-27 분진이없는모발표백제분말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5866107A (ko)
EP (1) EP0789552B1 (ko)
JP (1) JP3606878B2 (ko)
KR (1) KR100400622B1 (ko)
CN (1) CN1098061C (ko)
AR (1) AR003480A1 (ko)
AT (1) ATE241953T1 (ko)
BR (1) BR9606613A (ko)
CA (1) CA2202535C (ko)
DE (1) DE69628537T2 (ko)
ES (1) ES2196169T3 (ko)
HU (1) HUP9800847A3 (ko)
MX (1) MX9702962A (ko)
PL (1) PL319979A1 (ko)
RU (1) RU2148986C1 (ko)
WO (1) WO19970077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07475A1 (de) * 1992-03-10 1993-09-16 Goldwell Ag Mittel zum blondieren von menschlichen haare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A2103683C (en) * 1992-08-17 1998-06-16 George Weeks Methods of controlling dust and compositions produced thereby
DE19608541A1 (de) * 1996-03-06 1997-09-11 Henkel Kgaa Blondiermittel
DE19853653A1 (de) * 1998-11-20 2000-05-25 Schwarzkopf Gmbh Hans Entstaubung pulverförmiger Mittel
FR2788976B1 (fr) * 1999-01-29 2003-05-30 Oreal Composition anhydre de decoloration de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l'association d'un polymere epaississant hydrosoluble et d'un polymere amphiphile non ionique comportant au moins une chaine grasse
FR2788974B1 (fr) * 1999-01-29 2001-03-30 Oreal Composition anhydre de decoloration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l'association de polymeres amphiphiles anioniques et/ou non ioniques comportant au moins une chaine grasse et de polymeres substantifs cationiques ou amphoteres
FR2788975B1 (fr) * 1999-01-29 2002-08-09 Oreal Composition aqueuse de decoloration de fibres keratiniques prete a l'emploi comprenant l'association d'un solvant hydrosoluble et d'un polymere amphiphile non ionique ou anionique comportant au moins une chaine grasse
DE19962869A1 (de) * 1999-12-24 2001-06-28 Henkel Kgaa Verringerung der Haarschädigung bei oxidativen Prozessen
CN1212828C (zh) 2000-01-19 2005-08-03 阿特克系统集团有限公司 用于毛发的一步漂白和染色的组合物及其使用方法
US6264703B1 (en) 2000-02-10 2001-07-24 Janet Lynn Coope Hair coloring composition using an inorganic peroxymonosulfate salt as an oxidation agent
FR2805990B1 (fr) * 2000-03-07 2003-04-11 Oreal Composition capillaire epaissie comprenant un polymere fixant et un compose pulverulent
GB0012064D0 (en) * 2000-05-18 2000-07-12 Unilever Plc Hair treatment compositions
GB0012061D0 (en) * 2000-05-18 2000-07-12 Unilever Plc Hair treatment compositions
FR2824735A1 (fr) * 2001-05-16 2002-11-22 Oreal Composition pulverulente pour la decoloration des fibres keratiniques humaines
JP2002338443A (ja) * 2001-05-23 2002-11-27 Kanebo Ltd 染毛剤又は脱色剤組成物
US7622104B2 (en) * 2001-08-20 2009-11-24 L'oreal S.A. Methods for relaxing and re-waving hair comprising at least one reducing agent and at least one hydroxide compound
KR20030024352A (ko) * 2001-09-18 2003-03-2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모발 탈색제용 조성물
JP2003113057A (ja) * 2001-10-05 2003-04-18 Shiseido Co Ltd 脱色用固形組成物
CA2593230A1 (en) * 2004-01-29 2005-08-11 Avlon Industries, Inc. Conditioning hair lightener system, compositions, method and kit therefor
DE102004030181A1 (de) * 2004-06-22 2006-02-09 Henkel Kgaa Blondiermittel mit Kohlensäurederivaten
DE102004030178A1 (de) * 2004-06-22 2006-02-09 Henkel Kgaa Blondiermittel mit Carbonsäureestern
EP1669058B1 (en) * 2004-11-03 2010-05-26 Farmen International Cosmetics Distribution S.p.A Bleaching powder for keratinic fibers
EP1669104A3 (en) * 2004-12-02 2006-09-1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Polymer thickened hair colouring and bleaching compositions
MX2007006400A (es) * 2004-12-02 2007-06-22 Procter & Gamble Composiciones blanqueadoras y colorantes para el cabello espedadas con polimeros.
ITMI20081764A1 (it) * 2008-10-03 2010-04-04 Eurosirel Spa Composizione adatta all'applicazione cutanea a struttura gelificata utilizzabile quale veicolo di cessione di principi attivi.
EP2196178A1 (en) * 2008-12-15 2010-06-16 KPSS-Kao Professional Salon Services GmbH Cosmetic composition for hair and scalp
DE102009001636A1 (de) 2009-03-18 2010-09-23 Henkel Ag & Co. Kgaa Bleichmittel mit verzögertem Bleichbeginn
WO2013121592A1 (en) * 2012-02-14 2013-08-22 L'oreal Cosmetic composition and process for coloring and bleaching of human keratin fiber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6967A (en) * 1970-05-14 1973-04-10 Oreal Dry, free-flowing hair bleaching composition
DE2349050C2 (de) * 1973-09-29 1985-06-05 Wella Ag, 6100 Darmstadt Verfahren und Mittel zur Herabsetzung der Wirkstoffkonzentration in kosmetischen Präparaten
US4170637A (en) * 1977-05-16 1979-10-09 Redken Laboratories, Inc. Frosting bleach composition
US4507278A (en) * 1978-10-12 1985-03-26 Clairol Incorporated Low ammonia bleach compositions
US4663158A (en) * 1979-07-02 1987-05-05 Clairol Incorporated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containing cationic polymer and amphoteric surfactant and method for use
US4552679A (en) * 1984-03-16 1985-11-12 Warner-Lambert Company Method for deodorizing hypochlorite denture cleansing solutions and product containing a delayed release hypochlorite deactivator
US4671972A (en) * 1984-03-16 1987-06-09 Warner-Lambert Company Controlled release encapsulated hypochlorite deactivator for use in denture cleansers
USRE33786E (en) * 1986-03-19 1992-01-07 Clairol, Inc. Hair dyeing process and composition
AU7538387A (en) * 1986-07-15 1988-01-21 Warner-Lambert Company Bleach activator compositions
US5235901A (en) * 1989-11-27 1993-08-17 Ian M. MacLenna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fermented beverage
US5293885A (en) * 1991-07-11 1994-03-15 Johnson Products Co., Inc. Hair relaxer and post-relaxer hair brightener system
DE4207475A1 (de) * 1992-03-10 1993-09-16 Goldwell Ag Mittel zum blondieren von menschlichen haare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4217920C2 (de) * 1992-05-30 1996-05-09 Goldwell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ulverförmigen Mitteln zum Blondieren von menschlichen Haaren
CA2103683C (en) * 1992-08-17 1998-06-16 George Weeks Methods of controlling dust and compositions produced thereby
FR2699532B1 (fr) * 1992-12-18 1995-02-24 Oreal Nouveaux composés indolines, compositions tinctoriales à base de ces composés et procédé de teinture des fibres kératiniques.
FR2703589B1 (fr) * 1993-04-05 1995-05-19 Oreal Composition décolorante sous forme granulée utilisable pour la décoloration des cheveux et procédé de préparation de ladite composition.
ATE125692T1 (de) * 1993-06-25 1995-08-15 Goldwell Gmbh Mittel zum färben und blondieren von menschlichen haare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FR2716804B1 (fr) * 1994-03-02 1996-04-05 Oreal Compositions cosmétiques pour la décoloration des cheveux, procédé de préparation et utilisation.
US5458871A (en) * 1994-08-23 1995-10-17 Isp Investments Inc. 0% VOC, single phase hair spray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6134A (zh) 1997-11-26
RU2148986C1 (ru) 2000-05-20
BR9606613A (pt) 1997-10-28
WO1997007776A1 (en) 1997-03-06
HUP9800847A3 (en) 1999-08-30
ES2196169T3 (es) 2003-12-16
CA2202535C (en) 2009-05-19
US5783175A (en) 1998-07-21
JPH10508319A (ja) 1998-08-18
EP0789552B1 (en) 2003-06-04
DE69628537D1 (de) 2003-07-10
AR003480A1 (es) 1998-08-05
CN1098061C (zh) 2003-01-08
US5866107A (en) 1999-02-02
DE69628537T2 (de) 2003-12-18
HUP9800847A2 (hu) 1999-04-28
ATE241953T1 (de) 2003-06-15
CA2202535A1 (en) 1997-03-06
MX9702962A (es) 1998-02-28
JP3606878B2 (ja) 2005-01-05
PL319979A1 (en) 1997-09-01
KR970706790A (ko) 1997-12-01
EP0789552A1 (en) 1997-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0622B1 (ko) 분진이없는모발표백제분말
MXPA97002962A (en) Microgranules to decolor the hair, free of po
JP4587414B2 (ja) 毛髪の脱色あるいはブロンド化用薬剤
US8211841B2 (en) Skin and hand cleansers
US4685931A (en) Acrylate dispersion and its use for thickening hydrogen peroxide preparations
CN102665656B (zh) O/w型乳化化妆品
WO2009134875A2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cream bleach product
JP5528118B2 (ja) (メタ)アクリル酸/(メタ)アクリル酸アルキルエステル共重合体およ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2922176B2 (ja) 少なくとも90%中和した架橋ポリ(2−アクリルアミド−2−メチルプロパンスルホン酸)で安定化したゲル化水中油型超微小エマルション及びその調製方法並びにその応用
JP2607857B2 (ja) 髪の脱色のための美容用組成物とその調製方法および髪の脱色方法
US6489422B2 (en) Thickeners for surfactant-containing compositions
EP0346097A2 (en) Thickening system
JPH07277948A (ja) アミン官能基を有する物質の被覆処理組成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組成物
US4327751A (en) Hair bleaching composition containing solid polyolefin polymer and method for hair bleaching
US5660190A (en) Cosmetic compositions for bleaching the hair, preparation, process and use thereof
JPH0439312A (ja) 架橋型アクリル酸系ポリマー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料
JP3524823B2 (ja) 整髪用組成物
JP3872949B2 (ja) 粉末脱色・脱染剤組成物
JP2006506504A (ja) 皮膚及び髪組成物用ビニルアミドポリマー組成物の製造方法
KR20120096711A (ko)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기반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 역상 에멀젼 및 화장료 조성물
JPH04108714A (ja) 水性ゲル状化粧料
KR100774435B1 (ko) 유화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JP3234402B2 (ja) 毛髪化粧料組成物
JPH10175829A (ja) 乳化型毛髪セット剤組成物
JP2003063937A (ja) 2剤式毛髪脱色剤組成物用第1剤、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2剤式毛髪脱色剤組成物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