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0593B1 - 모터의 위치결정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모터의 위치결정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0593B1
KR100400593B1 KR10-2001-0020815A KR20010020815A KR100400593B1 KR 100400593 B1 KR100400593 B1 KR 100400593B1 KR 20010020815 A KR20010020815 A KR 20010020815A KR 100400593 B1 KR100400593 B1 KR 100400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signal
pulse
output pulse
detector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0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0940A (ko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0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0593B1/ko
Publication of KR20020080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0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5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4Electronic commutators
    • H02P6/16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 H02P6/17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and for generating spe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4Electronic commutators
    • H02P6/16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 H02P6/18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without separate position detec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trol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r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의 위치결정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치결정 제어 장치에서 출력되는 펄스를 제어하여 위치결정 운전시간을 최적화한 모터의 위치결정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위치 속도 프로파일에 따라 출력 펄스를 발생시키는 펄스 발생부와, 상기 출력 펄스의 상승 에지 및 하강 에지를 검출하는 에지 검출부와, 상기 에지 검출부의 상승에지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계수하여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와, 상기 에지 검출부의 상승 에지 및 하강 에지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계수하고 상기 위치 검출부의 위치 검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위치 속도 프로파일로 감속 시점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감속점 결정부와, 상기 에지 검출부의 하강 에지 검출신호와 상기 위치 검출부의 위치 검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출력 펄스의 종료 시점을 결정하는 종료시점 결정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모터의 위치결정 제어 장치 {POSITION DECISION CONTROLLER OF MOTOR}
본 발명은 모터의 위치결정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치결정 제어 장치에서 출력되는 펄스를 제어하여 위치결정 운전시간을 최적화한 모터의 위치결정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텝모터와 서보모터 등 정밀 위치제어를 수행하는 위치결정 제어 장치는 모터의 속도와 위치 제어를 수행하여 도 4와 같이 펄스열을 출력하여 위치, 속도 프로파일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펄스열의 주파수는 속도를 의미하고 펄스열의 수는 위치를 의미하게 된다. 즉, 펄스열의 개수와 주파수를 가변하여 모터의 분당 회전수와 회전량을 제어하게 된다. 정해진 목표 위치에 따라 이동량이 결정되고 가속기울기와 감속기울기가 결정되면 이때 가속구간과 정속구간 및 감속구간이 결정되게 되고 감속을 시작하는 시점을 감속시점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위치결정 제어 장치를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속도 프로파일에 따라 출력 펄스를 발생시키는 펄스 발생부(10)와, 상기 출력 펄스를 입력받아 모터를 구동하는 드라이버(13)와, 상기 출력 펄스의 에지를 계수하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12)와, 상기 위치 검출부(12)의 위치 검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위치 속도 프로파일로 감속 시점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감속위치 결정부(11)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위치결정 제어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펄스 발생부(10)는 위치속도 프로파일의 설정 속도에 따라 모터의 가속, 정속 및 감속운전이 가능하도록 출력 펄스의 주파수를 가변시켜 출력한다. 상기 출력 펄스는 드라이버(13)에 입력되어 모터를 구동시키고, 이 출력 펄스는 위치 검출부(12)에 입력되어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가 계수되고, 상기 위치 검출부(12)는 이 계수 값으로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한다. 이때, 감속위치 결정부(11)는 전체 이동량에 대한 감속량 정보와 상기 위치 검출부(12)에서 검출된 현재 위치를 비교하여 감속을 시작하는 시점을 결정하여 상기 펄스 발생부(10)의 위치속도 프로파일에 알려준다.
상기 위치결정 제어 장치의 출력 펄스 파형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스의 주파수가 증가하는 구간인 모터의 속도가 증가하는 가속 영역과 그 주파수가 변화하지 않는 구간인 상기 모터의 속도가 일정한 정속 영역과 그 주파수가 감소하는 구간인 상기 모터의 속도가 감소하는 감속 영역을 갖고 있다.
상기 위치결정 제어 장치의 운전 상태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력 펄스가 존재하는 구간으로, 다른 기기는 이 운전 상태를 전달받아 목표 위치로의 운전이 종료되었음을 알게 된다.
운전 종료 시점까지의 시간이 전체 운전 시간이 되며 이 구간동안 출력되는 펄스 수는 이동량이 된다.
이때, 전체 운전 시간은 전체 펄스가 출력되는 시간이므로 아래 수학식 1을 사용하여 모든 펄스의 주기를 더하면 계산된다.
여기서
: 전체 운전 시간
: 총 출력 펄스 수
: 출력 펄스의 주기(n=1, 2, 3, ...N)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서 하나의 펄스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 에지, '1'영역, 하강 에지 및 '0'영역으로 구성되므로, 위치결정 제어 장치의 동작이 종료될 때의 출력 펄스 또한 '0'영역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 출력 펄스를 받아 모터를 구동하는 드라이버는 펄스의 상승 에지를 계수하여 위치량을 검출하게 되므로 하강 에지 이후에 발생하는 '0'영역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불필요한 운전영역(ΔT)으로 남게 된다.
이 불필요한 운전영역(ΔT)은 모터의 움직임은 종료되었으나 모터의 운전 상태는 유지하는 구간으로 전체 운전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모터의 움직임을 통하여 다음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이 늦어짐에 따라 운전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위치결정제어 장치에서 출력되는 펄스를 제어하여 위치결정 완료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불필요한 운전영역을 없애 위치결정 운전시간을 최적화하여 이를 통해 단위 시간당 모터의 운전 횟수를 극대화시켜 위치결정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기계류 등에서 생산성의 향상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위치결정 제어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출력 펄스와 운전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3은 도 1의 불필요한 운전 영역을 보인도.
도 4는 도 1의 출력 펄스와 운전 속도의 관계를 보인도.
도 5는 도 2 출력 펄스의 속성을 보인도.
도 6은 본 발명 위치결정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7은 도 6의 펄스 발생부의 출력 펄스 파형과 종료 시점 결정부의 종료 펄스를 보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1 : 펄스 발생부 62 : 감속점 결정부
63 : 종료시점 결정부 64 : 위치 검출부
65 : 에지 검출부 66 : 하강에지 검출부
67 : 상승 에지 검출부 68 : 드라이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위치 속도 프로파일에 따라 출력 펄스를 발생시키는 펄스 발생부와, 상기 출력 펄스의 상승 에지 및 하강 에지를 검출하는 에지 검출부와, 상기 에지 검출부의 상승에지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계수하여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와, 상기 에지 검출부의 상승에지 및 하강 에지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계수하고 상기 위치 검출부의 현재 위치 검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위치 속도 프로파일로 감속 시점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감속점 결정부와, 상기 에지 검출부의 하강 에지 검출신호와 상기 위치 검출부의 위치 검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출력 펄스의 종료 시점을 결정하는 종료시점 결정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모터의 위치결정 제어 장치을 첨부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 모터의 위치결정 제어 장치에 대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속도 프로파일에 따라 출력 펄스를 발생시키는 펄스 발생부(61)와, 상기 출력 펄스의 상승 에지 및 하강 에지를 검출하는 에지 검출부(65)와, 상기 에지 검출부(65)의 상승에지 검출부(67)에서 출력된 상승 에지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64)와, 상기 에지 검출부(65)의 상승 에지 검출신호 및 하강 에지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계수하고 상기 위치 검출부(64)의 위치 검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위치 속도 프로파일로 감속 시점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감속점 결정부(62)와, 상기 에지 검출부(65)의 하강 에지 검출부(66)에서 출력된 하강 에지 검출신호와 상기 위치 검출부(64)의 위치 검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출력 펄스의 종료 시점을 결정하는 종료시점 결정부(63) 로 구성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펄스 발생부(61)는 위치속도 프로파일의 설정 속도에 따라 모터의 가속, 정속 및 감속운전이 가능하도록 출력 펄스의 주파수를 가변시켜 출력한다. 상기 출력 펄스는 모터를 구동하는 드라이버(68)에 입력된다.
이때, 상기 에지 검출부(65)는 이 출력 펄스를 입력받아 상승 에지와 하강 에지를 검출한다.
상기 위치 검출부(64)는 상기 에지 검출부(65)의 상승에지 검출부(67)에서 출력된 상승 에지 검출 신호를 입력받아 그 신호를 계수하여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 현재 위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종료시점 결정부(63)는 상기 현재 위치 신호와 상기 에지 검출부(65)의 하강 에지 검출부(66)의 하강 에지 검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출력 펄스의 종료 시점을 결정하여 상기 펄스 발생부(61)의 위치속도 프로파일에 알려준다.
상기 감속점 결정부(62)는 상기 에지 검출부(65)에서 출력되는 하강 에지 검출 신호와 상승 에지 검출 신호를 입력받아 각각 계수하고 이 두 계수값과 상기 위치 검출부(64)의 현재 위치 신호를 비교하여 감속 시점을 결정하여 상기 펄스 발생부(61)의 위치속도 프로파일에 알려준다.
본 발명 위치결정 제어 장치의 전체 운전 시간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펄스 발생부(61)의 출력펄스 파형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고, 상기 종료시점 결정부(63)의 종료 펄스 파형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출력 펄스의 마지막 펄스가 반만 출력되고 종료되므로 전체 운전시간은 아래 수학식 2를 사용하여 계산된다. 즉 마지막 종료 펄스에 한해서는 반만 유효하므로
여기서
: 전체 운전 시간
: 총 출력 펄스 수
: 출력 펄스의 주기(n=1, 2, 3 ... N)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차이는 수학식 3을 사용하여 전체 운전 시간을 비교하면 명백히 알 수 있다.
여기서
: 종래의 전체 운전 시간
: 본 발명의 전체 운전 시간
: 마지막 출력 펄스의 주기
즉, TN/2만큼의 운전시간에 대한 이득을 얻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위치결정 운전 시간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출력 펄스의 종료 시점을 결정함으로써 불필요한 운전 시간을 줄여주므로 전체 운전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적화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위치 속도 프로파일에 따라 출력 펄스를 발생시키는 펄스 발생부와, 상기 출력 펄스의 상승 에지 및 하강 에지를 검출하는 에지 검출부와, 상기 에지 검출부의 상승 에지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계수하여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와, 상기 에지 검출부의 상승 에지 및 하강 에지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계수하고 상기 위치 검출부의 위치 검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위치 속도 프로파일로 감속 시점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감속점 결정부와, 상기 에지 검출부의 하강 에지 검출신호와 상기 위치 검출부의 위치 검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출력 펄스의 종료 시점을 결정하는 종료시점 결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위치결정 제어 장치.
KR10-2001-0020815A 2001-04-18 2001-04-18 모터의 위치결정 제어 장치 KR100400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815A KR100400593B1 (ko) 2001-04-18 2001-04-18 모터의 위치결정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815A KR100400593B1 (ko) 2001-04-18 2001-04-18 모터의 위치결정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940A KR20020080940A (ko) 2002-10-26
KR100400593B1 true KR100400593B1 (ko) 2003-10-08

Family

ID=27701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0815A KR100400593B1 (ko) 2001-04-18 2001-04-18 모터의 위치결정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05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086Y1 (ko) * 2010-12-31 2011-06-15 송종명 농어촌용 안전 등화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3641B1 (ko) * 1995-06-15 1998-12-15 류종열 전동기 제어용 인크리멘탈엔코더에 의한 위치판별회로
KR20000050928A (ko) * 1999-01-15 2000-08-05 윤종용 고속모터의 센서리스 속도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3641B1 (ko) * 1995-06-15 1998-12-15 류종열 전동기 제어용 인크리멘탈엔코더에 의한 위치판별회로
KR20000050928A (ko) * 1999-01-15 2000-08-05 윤종용 고속모터의 센서리스 속도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940A (ko) 200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1853B1 (ko) 자동문을 위한 문 개폐 모우터의 토오크 제어 방법
KR100400593B1 (ko) 모터의 위치결정 제어 장치
US20040061467A1 (en) Speed-based open-loop start-up method for brushless DC motor
JP2004527056A (ja) エンコーダの作動方法
JP5674844B2 (ja) Pwm信号のデューティ比検出回路及び方法
JP2021013244A (ja) モータ情報取得システム
JP6101931B2 (ja) モータ駆動装置
EP0401757A2 (en) Method of detect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KR100460592B1 (ko) 모터 속도 제어장치
JP2001273005A (ja) サーボ制御システム、電子機器及びゲイン調整方法
JP2560042Y2 (ja) エレベータの速度検出装置
US71839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motor velocity using edge mode hysteresis with a finite impulse response average filter
US6466890B1 (en) Device for detecting rotational position deviation
KR101422919B1 (ko) 모터 구동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S6359796A (ja) パルスモ−タの原点復帰方式
KR100201956B1 (ko) 엘리베이터용 인버터에서의 디지탈 속도센서를 이용한 위치 제어장치
JP3225815B2 (ja) モータの回転速度制御装置
KR19980033797A (ko) 모터에서 엔코더를 이용한 속도검출 장치 및 그 방법
JP2006083526A (ja) 自動ドア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接触検知装置
KR100636156B1 (ko) 회전하는 제어 대상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2247871A (ja) モータ制御装置及びモータ制御方法
JPS62239061A (ja) 回転速度検出法
JP2001287056A (ja) レーザ加工装置
JP2019165526A (ja) 回転機回転数検出
WO2004077651A1 (ja) モータ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