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9106B1 - 전선보호관 - Google Patents

전선보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9106B1
KR100399106B1 KR10-2001-0051522A KR20010051522A KR100399106B1 KR 100399106 B1 KR100399106 B1 KR 100399106B1 KR 20010051522 A KR20010051522 A KR 20010051522A KR 100399106 B1 KR100399106 B1 KR 100399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plastic
adjacent
entire length
plastic in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1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7904A (ko
Inventor
변무원
Original Assignee
변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무원 filed Critical 변무원
Priority to KR10-2001-0051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9106B1/ko
Publication of KR20030017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7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1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68Corru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 각개의 전선들을 내부덕트들의 내부에 독립적으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전선이 내부덕트에 접하는 면적을 최소화 할 뿐 아니라 방열되는 열이 방열구멍을 통하여 내부덕트들의 외측으로 발산되도록 하는 전선보호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선보호관은 인접하고 동일방향으로 평행하게 상호간에 맞닿아 접촉하도록 연장되며, 각자는 최소한 하나의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을 정도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프라스틱 내부덕트(10)들과, 상기 내부덕트들을 그 전체길이에 대하여 인접하는 관계로 감싸서 보유하는 하나의 프라스틱 외부덕트(20)로 구성되며, 상기 프라스틱 외부덕트(20)는 그 전체길이에 대하여 연장되는 인접하는 다수의 산부(21a)와 홈부(21b)들을 포함하는 주름(21)을 가지고, 상기 프라스틱 내부덕트(10)들도 그 전체길이에 대하여 연장되는 인접하는 다수의 산부(11a)와 홈부(11b)들을 포함하는 주름(11)을 가짐과 동시에 소정의 위치마다 방열구멍(12)들이 뚫려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선보호관{Duct assenbly for electric wires}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는 전선을 보호하는 데 적합한 전선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전선은 주름관으로 만들어지는 전선보호관을 지중에 매설한 후에 그 전선보호관의 내부에 전선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지중에 매설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선보호관은 하나의 전선보호관에 각개의 전선들을 삽입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인접하고 동일방향으로 평행하게 상호간에 맞닿아 접촉하도록 연장되며, 각자는 최소한 하나의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을 정도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프라스틱 내부덕트들과, 상기 내부덕트들을 그 전체길이에 대하여 인접하는 관계로 감싸서 보유하는 하나의 프라스틱 외부덕트에 있어서, 상기 외부덕트는 그 전체길이에 대하여 연장되는 인접하는 다수의 산부와 홈부들을 포함하는 주름을 가져서; 그 조립체가 수송가능한 얼레에 코일로 감겨질 정도로 유연할 뿐 아니라 트렌치 안에서 토압을 견딜 정도로 견고한 케이블용 다중채널덕트조립체를 출원한 사실이 있다.
이러한 본인의 선출원 발명은 그 조립체가 수송 가능한 얼레에 코일로 감겨질 정도로 유연할 뿐 아니라 트렌치 안에서 토압을 충분히 견딜 정도로 견고하므로 신속하게 지중에 매설될 수 있으며, 케이블을 그 내관들에 손쉽게 관통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어서, 광케이블 뿐 아니라 전선을 보호하는 데 유용한 것이다.
그런데, 전선은 광케이블과는 달리 열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으므로, 그 내관의 직경이 더욱 크게 요구될 뿐 아니라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기술수단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고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출원 발명의 장점을 그대로 살리면서도 전선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는 전선보호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전선보호관을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전선보호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3는 본 발명의 전선보호관을 나타낸 일부절결 정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전선보호관을 나타낸 일부절결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라스틱 내부덕트 11: 주름 11a: 산부
11b: 홈부 12: 방열구멍 20: 프라스틱 외부덕트
21: 주름 21a: 산부 21b: 홈부
이하,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도 인접하고 동일방향으로 평행하게 상호간에 맞닿아 접촉하도록 연장되며, 각자는 최소한 하나의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을 정도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프라스틱 내부덕트(10)들과, 상기 내부덕트들을 그 전체길이에 대하여 인접하는 관계로 감싸서 보유하는 하나의 프라스틱 외부덕트(20)에 있어서, 상기 프라스틱 외부덕트(20)는 그 전체길이에 대하여 연장되는 인접하는 다수의 산부(21a)와 홈부(21b)들을 포함하는 주름(21)을 가져서; 그 조립체가 수송 가능한 얼레에 코일로 감겨질 정도로 유연할 뿐 아니라 트렌치 안에서 토압을 견딜 정도로 견고한 기술구성을 가지는 점에서는 본 발명의 선출원과 그 기술구성이 동일하다.
단, 본 발명은 상기 프라스틱 내부덕트(10)들도 그 전체길이에 대하여 연장되는 인접하는 다수의 산부(11a)와 홈부(11b)들을 포함하는 주름(11)을 가지도록 함과 동시에 소정의 위치마다 방열구멍(12)들이 뚫려지도록 하는 데 그 기술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각개의 전선(1)들을 프라스틱 내부덕트(10)들의 내부에 독립적으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전선(1)이 프라스틱 내부덕트(10)에 접하는 면적을 최소화 할 뿐 아니라 방열되는 열이 방열구멍(12)들을 통하여 프라스틱 내부덕트(10)들의 외측으로 발산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 본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되는 본 실시예도 인접하고 동일방향으로 평행하게 상호간에 맞닿아 접촉하도록 연장되며, 각자는 최소한 하나의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을 정도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프라스틱 내부덕트(10)들과, 상기 내부덕트들을 그 전체길이에 대하여 인접하는 관계로 감싸서 보유하는 하나의 프라스틱 외부덕트(20)로 구성되며, 상기 프라스틱 외부덕트(20)는 그 전체길이에 대하여 연장되는 인접하는 다수의 산부(21a)와 홈부(21b)들을 포함하는 주름(21)을 가지고, 상기 프라스틱 내부덕트(10)들도 그 전체길이에 대하여 연장되는 인접하는 다수의 산부(11a)와 홈부(11b)들을 포함하는 주름(11)을 가짐과 동시에 소정의 위치마다 방열구멍(12)들이 뚫려지도록 하는 점에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사상을 구현하는 것이다.
단, 본 실시예는 상기 방열구멍(12)들이 프라스틱 내부덕트(10)들의 홈부 (11b)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방열구멍(12)들이 프라스틱 외부덕트(20)의 홈부 (21b)와 맞닿는 것을 방지하는 데 그 부가적인 기술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는 방열구멍(12)들이 항시 프라스틱 외부덕트 (20)와는 일정한 간격틈새를 유지하도록 하여서, 프라스틱 내부덕트(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그 외부로 효율적으로 발산시키는 부가적인 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본 실시예도, 그 프라스틱 내부덕트(10)들과 프라스틱 외부덕트(20)가 만나는 부분은 일체로 용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라스틱 내부덕트(10)는 난연제가 일정비율 이상 혼합되어 성형되도록 하여서, 전선관에 필요한 난연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라스틱 내부덕트(10)들과 프라스틱 외부덕트(20)의 주름(11)(12)을 나선형으로 형성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도4에서와 같이 상기 프라스틱 내부덕트(10)들과 프라스틱 외부덕트(20)의 주름(11)(12)을 링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개의 전선들을 내부덕트들의 내부에 독립적으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전선이 내부덕트에 접하는 면적을 최소화 할 뿐 아니라 방열되는 열이 방열구멍을 통하여 내부덕트들의 외측으로 발산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4)

  1. 인접하고 동일방향으로 평행하게 상호간에 맞닿아 접촉하도록 연장되며, 각자는 최소한 하나의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을 정도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프라스틱 내부덕트(10)들과, 상기 내부덕트들을 그 전체길이에 대하여 인접하는 관계로 감싸서 보유하는 하나의 프라스틱 외부덕트(20)로 구성되며, 상기 프라스틱 외부덕트(20)는 그 전체길이에 대하여 연장되는 인접하는 다수의 산부(21a)와 홈부(21b)들을 포함하는 주름(21)을 가지고, 상기 프라스틱 내부덕트(10)들도 그 전체길이에 대하여 연장되는 인접하는 다수의 산부(11a)와 홈부(11b)들을 포함하는 주름(11)을 가짐과 동시에 소정의 위치마다 방열구멍(12)들이 뚫려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보호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구멍(12)들은 프라스틱 내부덕트(10)들의 홈부 (11b)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방열구멍(12)들이 프라스틱 외부덕트(20)의 홈부 (21b)와 맞닿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보호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스틱 내부덕트(10)들과 프라스틱 외부덕트(20)가 만나는 부분은 일체로 용착되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보호관.
  4. 제1항에 있어서, 프라스틱 내부덕트(10)는 난연제가 일정비율 이상 혼합되어성형되도록 하여서, 전선관에 필요한 난연성을 확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보호관.
KR10-2001-0051522A 2001-08-25 2001-08-25 전선보호관 KR100399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522A KR100399106B1 (ko) 2001-08-25 2001-08-25 전선보호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522A KR100399106B1 (ko) 2001-08-25 2001-08-25 전선보호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904A KR20030017904A (ko) 2003-03-04
KR100399106B1 true KR100399106B1 (ko) 2003-09-26

Family

ID=27720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1522A KR100399106B1 (ko) 2001-08-25 2001-08-25 전선보호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910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384B1 (ko) 2006-10-26 2007-02-02 육혜연 건축용 고신축형 방수 전선관
KR100773696B1 (ko) * 2007-02-02 2007-11-0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초고압케이블용 보호관
KR101097750B1 (ko) * 2009-09-17 2011-12-23 강병린 통신선 보호관
KR101097749B1 (ko) * 2009-09-17 2011-12-23 강병린 통신선 보호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328B1 (ko) * 2014-12-24 2015-05-26 금오테크(주) 지중송전선로의 전선보호관
KR101666912B1 (ko) 2016-05-13 2016-10-17 영진산업 주식회사 통신선용 보호관
KR101696923B1 (ko) 2016-07-14 2017-01-16 이진규 통신선용 보호관의 제조장치 및 그 통신선용 보호관
KR101876564B1 (ko) * 2018-04-11 2018-07-10 태양기술단(주)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보호 케이스 장치
KR102121899B1 (ko) 2020-01-02 2020-06-11 이광희 통신선 보호관의 성형장치 및 그 통신선 보호관
KR102151984B1 (ko) 2020-04-27 2020-09-04 이광희 평활구조의 외주면과 나선구조의 내주면을 갖는 합성수지 파이프의 성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384B1 (ko) 2006-10-26 2007-02-02 육혜연 건축용 고신축형 방수 전선관
KR100773696B1 (ko) * 2007-02-02 2007-11-0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초고압케이블용 보호관
KR101097750B1 (ko) * 2009-09-17 2011-12-23 강병린 통신선 보호관
KR101097749B1 (ko) * 2009-09-17 2011-12-23 강병린 통신선 보호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904A (ko) 2003-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9106B1 (ko) 전선보호관
ES2255720T3 (es) Conector de cables coaxiales.
JP2015090869A (ja) 照明を備える通信ケーブル
CZ20014594A3 (cs) Sestava mnohonásobného trubkového vedení pro kabely
JP2007295792A (ja) 防火ホース
JPH0514497B2 (ko)
AU2012244311B2 (en) Cable for use in concentrated solar power installation
KR101569672B1 (ko) 지중전선로
CN110858507B (zh) 具有嵌入式特征结构的线缆软管
KR101289778B1 (ko) 케이블 보호관 연결구
KR101097749B1 (ko) 통신선 보호관
JP6838576B2 (ja) ワイヤハーネス
US5898350A (en) Radiating coaxial cabl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4579114B2 (ja) 管路構造
JP2009136107A (ja) 保護部材
JP2014147273A (ja) 電線の保護チューブ
KR101937815B1 (ko) 지중케이블 수납관로 연결구조체
KR101097750B1 (ko) 통신선 보호관
JP2008245417A (ja) ケーブル保護管及び分岐管継手
KR200210141Y1 (ko)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
KR200494247Y1 (ko) 전기공사용 입선 전선관
KR100673905B1 (ko) 공동주택용 방수 전선관
KR200203498Y1 (ko)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
JP7255112B2 (ja) 配線材の結束構造
JP2010045926A (ja) 電線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