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8750B1 - 셔틀차량의 위치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셔틀차량의 위치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8750B1
KR100398750B1 KR10-2001-0043746A KR20010043746A KR100398750B1 KR 100398750 B1 KR100398750 B1 KR 100398750B1 KR 20010043746 A KR20010043746 A KR 20010043746A KR 100398750 B1 KR100398750 B1 KR 100398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 vehicle
vehicle
signal
repeater
proxim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8809A (ko
Inventor
이기원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이기원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원, 김영수 filed Critical 이기원
Priority to KR10-2001-0043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8750B1/ko
Publication of KR20030008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8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87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셔틀차량의 위치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셔틀차량이 특정지점을 통과하는 정확한 시간을 고객들이 알수 없기 때문에 여름과같이 날씨가 덥거나 겨울철과같이 추운날씨에도 고객들은 셔틀차량의 이용을 위해 미리미리 정거장으로 나가 기다려야만 하는 문제점 있었으며, 특히 교통정체 또는 사고로 인하여 셔틀차량의 도착시간이 매우 지연될 경우에는 고객들이 정거장에서 하염없이 기다려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지역을 순환하는 셔틀차량에 차량의 운행중에 운행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설치하고, 셔틀차량의 순환지역에 일정간격으로 상기 운행신호를 수신하여 회원에게 근접신호를 전송하는 중계기를 설치하며, 회원에게는 상기 중계기로부터 차량 근접신호가 입력될때 이를 회원에게 알람신호로서 알려주는 수신수단을 제공하므로서, 셔틀차량의 근접위치를 파악하여 적정한 시기에 셔틀차량의 정거장으로 나가서 차량을 이용할 수 있게되므로서 소비자의 만족도를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셔틀차량의 위치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셔틀차량의 위치 표시장치{Position display device of suttle vehicles}
본 발명은 셔틀차량의 위치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셔틀차량의 근접위치를 파악하여 적정한 시기에 셔틀차량의 정거장으로 나가서 차량을 이용할 수 있게되므로서 소비자의 만족도를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셔틀차량의 위치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셔틀차량이라 함은 유치원이나 학원에서 운영하는 차량으로서 미리 정해져있는 노선을 순회하면서 고객을 목적지까지 태워주는 차량을 말한다.
상기와같은 셔틀차량은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는 시간이 미리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는 고객들은 그 셔틀차량이 통과하는 시점의 시간대에 정거장에 미리 나가있다가 셔틀차량이 도달하였을때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셔틀차량이 특정지점을 통과하는 정확한 시간을 고객들이 알수 없기 때문에 여름과같이 날씨가 덥거나 겨울철과같이 추운날씨에도 고객들은 셔틀차량의 이용을 위해 미리미리 정거장으로 나가 기다려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교통정체 또는 사고로 인하여 셔틀차량의 도착시간이 매우 지연될 경우에는 고객들이 정거장에서 하염없이 기다려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지역을 순환하는 셔틀차량에 차량의 운행중에 운행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설치하고, 셔틀차량의 순환지역에 일정간격으로 상기 운행신호를 수신하여 회원에게 근접신호를 전송하는 중계기를 설치하며, 회원에게는 상기 중계기로부터 차량 근접신호가 입력될때 이를 회원에게 알람신호로서 알려주는 수신수단을 제공하므로서, 셔틀차량의 근접위치를 파악하여 적정한 시기에 셔틀차량의 정거장으로 나가서 차량을 이용할 수 있게되므로서 소비자의 만족도를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셔틀차량의 위치 표시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셔틀차량의 위치 표시장치를 보인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송신수단을 보인 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수신수단을 보인 블럭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중계기를 보인 블럭도.
도 5 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송신수단, 2: 중계기,
3: 수신수단, 11,21,31: 통신부,
12,22,32: 제어부, 13,33: 표시부,
14,35: 키이부, 34: 알람부,
도 1 내지 도 5 는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셔틀차량에 탑재되며, 출발시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소정의 운행신호를 각각의 중계기로 무선 전송하고 셔틀차량 운행중에 일정시간 마다 운행신호를 전송하는 송신수단(1)과;
셔틀차량의 운행노선상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송신수단(1)으로부터 운행신호가 입력될때 그 운행신호의 입력에 따라 셔틀차량의 근접을 알리기 위한 근접신호를 미리설정된 회원의 수신수단으로 무선 송신하는 다수의 중계기(2)와;
셔틀차량을 이용하는 회원의 가정에 설치되고, 상기 중계기로부터 근접신호가 입력될때 셔틀차량의 접근을 회원에게 알려주는 수신수단(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송신수단(1)은,
중계기(2)와의 무선 교신을 위한 제 1 통신부(11)와, 출발명령의 입력을 위한 제 1 키이부(14)와, 제 1 키이부(14)의 조작에 의해 출발신호가 입력되면 소정의 운행신호를 일정시간마다 무선송신하는 제 1 제어부(12)와, 상기 제 1 제어부(12)의 동작상태를 표시해주는 제 1 표시부(13)로 구성되고,
상기 중계기(2)는 ,
송신수단(1) 및 수신수단(3)과 교신하기 위한 제 2 통신부(21)와, 차량의접근시 근접신호를 전송해주어야 할 회원리스트를 입력하기위한 제 2 키이부(23)와, 송신수단(1)으로부터 일정치 이상의 전계값을 가지는 운행신호가 입력되면 사전에 입력되어있는 회원에게로 근접신호를 전송하는 제 2 제어부(22)로 구성되며,
상기 수신수단(3)은,
중계기(2)로부터 근접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 3 통신부(31)와, 제어명령의 입력을 위한 제 3 키이부(35)와, 차량의 근접위치를 표시해주는 제 2 표시부(33)와, 차량근접시 부저음과같은 알람소리를 출력하는 알람부(34)와, 제 3 통신부를 통해 해당 중계기로부터 근접신호가 입력되면 근접신호를 수신하였다는 응답신호를 해당 중계기로 송신하면서 셔틀차량의 근접사실이 표시부(33)와 알람부(34)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제 3 제어부(3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중계기(2)의 제 2 제어부(22)는 저장되어있는 회원의 수신수단(3)으로부터 모두 응답신호가 수신될때까지 근접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송신수단(1)을 탑재한 버스(셔틀차량)가 도 5 에 도시된 바와같이 운행노선의 도로를 주행하는 것을 예로하고, 또 상기 도로상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중계기(2)가 설치되어 있으며, 첫번째의 중계기(2)와 세번째의 중계기(2)에 각각 1명의 회원이 사전 입력된 것을 예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운전자가 버스의 운행시 제 1 키이부(14)를 조작하여 출발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출발신호를 입력받은 제 1 제어부(12)는 일정세기의 전계강도를 가지는 운행신호를 제 1 통신부(11)를 통해 전송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같이 셔틀차량이 출발하면서 운행신호를 전송하게되면 셔틀차량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첫번째의 중계기(2)에 가장 강한 전계강도를 가지는 운행신호가 입력되고, 그 이후에 설치된 두번째와 세번째의 중계기(2)에는 아주 미약한 운행신호가 수신된다.
따라서, 일정세기의 전계강도를 가지는 운행신호를 수신한 첫번째 중계기(2)는 관리자가 제 2키이부(23)를 조작하여 사전 입력한 회원의 수신수단(3)으로 소정의 셔틀차량 근접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첫번째 중계기(2)로부터 근접신호를 공급받은 수신수단(3)의 제 3 제어부(32)는 근접신호를 수신하였다는 응답신호를 제 3 통신부(31)를 통해 중계기(2)의 제 2 통신부(21)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중계기(2)의 제 2 제어부(22)는 사전에 설정되어있는 모든 회원의 수신수단(3)으로부터 응답신호가 모두 입력될때까지 근접신호를 무선 전송하게된다.
즉, 도 5 에는 첫번째 중계기(2)에 1명의 회원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원의 수신수단(3)으로부터 응답신호가 입력되면 중계기(2)는 더이상 근접신호를 송신하지 않게되는 것이며, 만약 상기 첫번째 중계기(2)에 5명의 회원이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상기 모든 회원이 소지한 수신수단으로부터 응답신호가 입력될때까지 근접신호를 계속 전송하여 모든 회원이 셔틀차량의 근접을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중계기(2)로부터 근접신호를 수신한 수신수단(3)의 제 3제어부(32)는 제 2 표시부(33)를 통해 셔틀차량의 근접위치를 화상으로 표시함과 동시에 알람부(34)를 동작시켜 부저음이나 그밖의 소리를 출력토록하여 회원이 셔틀차량의 근접사실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회원은 셔틀차량이 정거장에 근접하였을때 이를 확인한 후 정거장으로 나라서 셔틀차량을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셔틀차량은 운행노선을 운행하면서 계속해서 운행신호를 전송하게되고, 상기 운행노선의 중간 중간에 설치되어있는 각각의 중계기(2) 들이 상기 운행신호를 수신하여 사전 연결되어있는 회원의 수신수단(3)으로 셔틀차량 근접신호를 전송해줌에 따라 셔틀차량이 운행하는 노선 내에서 상기 셔틀차량을 이용하는 모든 회원들이 셔틀차량이 자신이 이용하는 정거장에 도달하는 것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셔틀차량을 이용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상기와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을 이용하면, 회원들이 셔틀차량의 정거장 도착시간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게되므로 인해 셔틀차량을 이용하는 회원들이 셔틀차량을 기다리는데 많은 시간을 소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이는 곧바로 회원의 만족도를 향상시켜줌에 따라 이용고객이 증가되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일정지역을 순환하는 셔틀차량에 차량의 운행중에 운행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설치하고, 셔틀차량의 순환지역에 일정간격으로 상기 운행신호를 수신하여 회원에게 근접신호를 전송하는 중계기를 설치하며, 회원에게는 상기 중계기로부터 차량 근접신호가 입력될때 이를 회원에게 알람신호로서 알려주는 수신수단을 제공하므로서, 셔틀차량의 근접위치를 파악하여 적정한 시기에 셔틀차량의 정거장으로 나가서 차량을 이용할 수 있게되므로서 소비자의 만족도를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셔틀차량의 위치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셔틀차량에 탑재되며, 출발시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소정의 운행신호를 각각의 중계기로 무선 전송하고 셔틀차량 운행중에 일정시간 마다 운행신호를 전송하는 송신수단(1)과;
    셔틀차량의 운행노선상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송신수단(1)으로부터 운행신호가 입력될때 그 운행신호의 입력에 따라 셔틀차량의 근접을 알리기 위한 근접신호를 미리설정된 회원의 수신수단으로 무선 송신하는 다수의 중계기(2)와;
    셔틀차량을 이용하는 회원의 가정에 설치되고, 상기 중계기로부터 근접신호가 입력될때 셔틀차량의 접근을 회원에게 알려주는 수신수단(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셔틀차량의 위치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1)은,
    중계기(2)와의 무선 교신을 위한 제 1 통신부(11)와, 출발명령의 입력을 위한 제 1 키이부(14)와, 제 1 키이부(14)의 조작에 의해 출발신호가 입력되면 소정의 운행신호를 일정시간마다 무선송신하는 제 1 제어부(12)와, 상기 제 1 제어부(12)의 동작상태를 표시해주는 제 1 표시부(13)로 구성되고,
    상기 중계기(2)는 ,
    송신수단(1) 및 수신수단(3)과 교신하기 위한 제 2 통신부(21)와, 차량의 접근시 근접신호를 전송해주어야 할 회원리스트를 입력하기위한 제 2 키이부(23)와, 송신수단(1)으로부터 일정치 이상의 전계값을 가지는 운행신호가 입력되면 사전에 입력되어있는 회원에게로 근접신호를 전송하는 제 2 제어부(22)로 구성되며,
    상기 수신수단(3)은,
    중계기(2)로부터 근접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 3 통신부(31)와, 제어명령의 입력을 위한 제 3 키이부(35)와, 차량의 근접위치를 표시해주는 제 2 표시부(33)와, 차량근접시 부저음과같은 알람소리를 출력하는 알람부(34)와, 제 3 통신부를 통해 해당 중계기로부터 근접신호가 입력되면 근접신호를 수신하였다는 응답신호를 해당 중계기로 송신하면서 셔틀차량의 근접사실이 표시부(33)와 알람부(34)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제 3 제어부(3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차량의 위치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2)의 제 2 제어부(22)는 저장되어있는 회원의 수신수단(3)으로부터 모두 응답신호가 수신될때까지 근접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차량의 위치표시장치.
KR10-2001-0043746A 2001-07-20 2001-07-20 셔틀차량의 위치 표시장치 KR100398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746A KR100398750B1 (ko) 2001-07-20 2001-07-20 셔틀차량의 위치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746A KR100398750B1 (ko) 2001-07-20 2001-07-20 셔틀차량의 위치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809A KR20030008809A (ko) 2003-01-29
KR100398750B1 true KR100398750B1 (ko) 2003-09-19

Family

ID=27715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746A KR100398750B1 (ko) 2001-07-20 2001-07-20 셔틀차량의 위치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87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410A (ko) * 2018-12-06 2020-06-17 김용환 어린이 통학 버스 내 사고 안전 지킴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410A (ko) * 2018-12-06 2020-06-17 김용환 어린이 통학 버스 내 사고 안전 지킴이 시스템
KR102178343B1 (ko) * 2018-12-06 2020-11-12 김용환 어린이 통학 버스 내 사고 안전 지킴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809A (ko) 200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01324B1 (en)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JP6003824B2 (ja) 信号機制御システム
JP2008305084A (ja) 交通信号制御システム、交通信号制御装置、車載装置及び交通信号制御方法
KR20060107262A (ko) 긴급차량 교통제어 시스템
JP2012008752A (ja) 信号機システム
CN105185133A (zh) 快速公交信号控制设备、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07452214A (zh) 基于右转和公交共用车道的公交优先信号控制系统及方法
KR100398750B1 (ko) 셔틀차량의 위치 표시장치
JP3853898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20110003888A (ko) 지그비를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JP3746406B2 (ja) 閉そく装置
JP2000259984A (ja) 信号器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101740788B1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셔틀차량 위치 판단 방법
KR20050083463A (ko) 셔틀차량의 도착시기 알림장치
KR20080052316A (ko) Gps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실시간 교통 제어 장치 및 방법
JP4726166B2 (ja) 列車検知管理システム及び列車進入進出検知方法
JP2008217086A (ja) 信号情報提供装置及び信号情報提供システム
JPH0130198B2 (ko)
JPH11355212A (ja) 光ビーコン送受信装置
KR102042347B1 (ko) Led 장치를 통한 가드레일 거치대 시스템
JP3455781B2 (ja) 路車間通信方法
KR101942383B1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위치 판단 방법
JP3078320U (ja) 車輌誘導用手動信号装置
JP4941517B2 (ja) 通信制御装置及び通信制御システム
JP2005035351A (ja) 信号保安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