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8722B1 - 현악기 본체 및 목 조립체 - Google Patents

현악기 본체 및 목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8722B1
KR100398722B1 KR10-2001-0027163A KR20010027163A KR100398722B1 KR 100398722 B1 KR100398722 B1 KR 100398722B1 KR 20010027163 A KR20010027163 A KR 20010027163A KR 100398722 B1 KR100398722 B1 KR 100398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section
sidewall
composite material
moun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5268A (ko
Inventor
제이알. 로버트에이치.사운더스
니콜라스라드웃코
도날드엠.존슨
프랭크아이.운터마이어
윌리암피.바씰로포우로스
클리포드군살루스
윌리암후닥
Original Assignee
카만 뮤직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만 뮤직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카만 뮤직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10105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5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8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87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22Material for manufacturing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Treatment of the materi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6Necks; Fingerboards, e.g. fret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어쿠스틱 현악기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대체로 평탄한 전방부를 지니는 상부부재를 지닌다. 상기 본체는 또한 상부 섹션과 하부 섹션 및 상부부재의 전방부에 대체로 수직한 내측 측벽 표면을 구비한 측벽을 포함하는 후방부재를 지닌다. 악기의 목 부재는 상기 본체 측벽의 상부 섹션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가늘고 긴 상부부분을 지닌다. 또한, 상기 목 부재는 측벽의 상부 섹션과 하부 섹션 사이에서 본체의 내측을 통하여 연장하며 상부부재의 전방부의 후방으로 이격된 가늘고 긴 하부부분을 지닌다. 상기 가늘고 긴 하부 목 부분은 본체 측벽의 상부 섹션에서 내측 측벽 표면에 고정된 상부 장착 수단과, 본체 측벽의 하부 섹션에서 내측 측벽 표면에 고정된 하부 장착 수단을 지닌다.

Description

현악기 본체 및 목 조립체{STRINGED MUSICAL INSTRUMENT BODY AND NECK ASSEMBLY}
본 발명은 기타와 같이 중공 본체와 목 부재를 지니는 종류의 현악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주요한 구성요소, 다시 말하면, 후방부재, 상부부재 및 목 부재가 상호 협력하여, 최소의 구조적 보강을 필요로하는 견고한 악기를 제공하는, 현악기의 본체와 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기타 및 다른 중공 본체 어쿠스틱 악기에 있어서, 현에 의해 발생된 음악적인 음조는 악기의 일부를 형성하는 본체와 상부부재에서 유발된 보충 진동에 의해 강렬하게 되고 또한 풍부하게 된다. 따라서, 효과적인 사운드 생성을 위해서는 본체가 그것의 전체 길이에 걸쳐 비교적 가느다란 구조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느다란 구조는, 기타가 주로 가는 결의 연질목재로 만들어진 고전적인 기타이거나 또는 기타가 주로 복합 재료와 같은 다른 재료로 만들어진 경우에 바람직하다. 용어 "복합 재료"는, 섬유가 임의로, 단일방향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직물내로 짜여지도록 에폭시 수지 매트릭스에 매립된 탄소 섬유와 같은 주로 2가지 또는 그 이상의 내후성 비-목재 재료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이것은 또한 기타 또는 그 기타의 주요 구성요소 중 하나가 상기 재료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경우에도 해당된다. 예를들면, 기타의 상부는, 목재의 코어 층 또는 아라미드(aramid) 재료와 같은 다른 재료가 사이에 접합된 적어도 한 쌍의 복합 재료 층을 포함하는 적층된 구조를 지닌다. (아라미드는 메리암-웹스터 대학생용 사전에서 정의되는 상기의 용도를 위한 것으로, 섬유, 필라멘트, 또는 시트로 형성되어, 특히 직물과 합성수지에 사용되는 경량이지만 매우강한 내열 합성 방향족 폴리아미드 재료의 그룹이다.)
그러나, 기타 구조는 목과 본체의 일반적인 캔틸레버식 구조상에 잘 정비된 현에 의해 가해진 힘을 지지하기에 필요한 강도를 지녀야 한다. 현들은 상부의 전방면에 장착된 브리지를 통하여 상부에 사운드 진동을 전달하며, 상기 상부의 위쪽에 현들이 팽팽하게 쳐져있다. 현에 의해 발생된 인장력을 보상하기 위하여, 종래기술의 기타는 일반적으로 상부의 내측 표면상의 다양한 형태의 브레이스 및/또는 목 부분의 인장 바(tension bar)와 같은 상당한 양의 구조적 보강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보강은 악기의 제작비용과 하중을 현저히 증가시키며, 음조에도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악기의 구조에 있어서는, 상당한 절충이 필요하며, 그러한 악기에서는 악기의 음향 성능에 대한 상당한 희생을 감수하며 구조적 짜임새가 달성된다.
목과 본체 사이의 연결, 즉 목/본체 연결은, 이 부분이 약하면 목에 관한 본체의 만곡을 허여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더우기, 목/본체 연결은, 목을 3개의 모든 축방향으로, 상향/하향, 전방/후방 및 측방으로 완전히 정렬하고, 견고하게 보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우수한 기타라면, 현의 힘, 충격력 또는 가해진 어떤 다른 힘에 의해 본체에 관한 방향으로 목에 이동에 우수한 저항을 제공하는 목과 본체 사이의 매우 강하고 견고한 조인트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목/본체의 연결이 주로 한 곳, 즉 기타의 상부쪽 단부에서 이루어지는 종래기술의 기타에서, 우수한 목/본체 연결이 시종 일관하여 달성되기는 매우 어렵다. 단일 포인트 연결에서는, 모든 방향으로 정렬하는 것이 어렵고 시간이 걸리는 일이다. 또한, 그러한 연결은, 캔틸레버식 목의 페그헤드(peghead)상에서 끌어당기는 정비된 현에 의해 가해진 모멘트 힘 하에서 실질적인 구조적 보강이 견고하고 안정하게 유지될 것을 요한다.
이러한 문제점에 역점을 주어 다루는 시도에 있어서, 종래기술의 기타는 일반적으로, 내측 표면에 접합되거나 또는 측벽 자체의 일체형 부분으로 되는 본체 측벽의 상부 섹션의 내측 측벽 표면상에 배치된 비교적 부피가 큰 목 블럭을 사용한다. 목의 하부 단부 또는 힐(heel) 단부는 일반적으로 연결 패드, 볼트 또는 텅 및 그루브(tongue and groove)와 같은 다양한 장착 수단을 통하여 목 블럭에 연결된다. 그러나, 이것은 악기의 가격과 무게를 현저히 증가시키고, 시종 일관하여 적절하게 정렬하는 것을 매우 어렵게 하며, 악기의 음향 성능에 악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최소의 구조적 보강을 요하는 견고한 악기를 제공하기 위한 어쿠스틱 현악기의 개선된 본체 및 목 조립체에 대한 절실한 필요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기타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기타의 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상부부재의 부분적으로 절취된 평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상부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선 5-5를 따라 취한 상부부재와 본체 측벽의 횡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4 의 선 6-6을 따라 취한 상부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선 7-7을 따라 취한 브레이스의 횡단면도이다.
도 8 은 도 1 의 본체 조립체에 대한 목의 평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선 9-9를 따라 취한 본체 조립체에 대한 목의 횡단면도이다.
도 10 은 도 8 의 선 10-10을 따라 취한 목부재의 상부부분의 횡단면도이다.
도 11 은 도 8 의 선 11-11을 따라 취한 본체 조립체에 대한 목의 횡단면도이다.
도 12 는 도 11 의 하부 장착수단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3개의 모든 축방향으로 목 부재를 실질적으로 용이하게 정렬하고 견고하게 보지하는 목/본체 연결부를 제공하도록 2개의 위치에서 본체(12 ; 도 2 참조)에 장착되는 목 부재를 지니는 기타와 같은 어쿠스틱 현악기를 제공함으로써, 종래기술에 비하여 우수한 이점과 개선된 대체물을 제공한다. 또한, 기타의 조립에 필요한 3개의 주요한 구성요소, 즉 상부부재, 후방부재 및 목부재는 함께 조립될때 서로에 대한 공동 지지부를 제공함으로써, 그렇지 않을 경우 필요하게 되는 부가적인 구조적 보강 요소들을 현저히 감소 또는 배제시킨다.
이러한 이점과, 다른 이점들이, 대체로 평탄한 전방부를 지니는 상부부재를 지니는 본체를 포함하는 어쿠스틱 현악기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달성된다. 상기 본체는 또한 상부 섹션과 하부 섹션 및 상부부재의 전방부에 대체로 수직한 내측 측벽 표면을 갖는 측벽을 포함하는 후방 부재를 포함한다. 악기의 목 부재는 본체 측벽의 상부 섹션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가늘고 긴 상부분을 지닌다. 또한, 목 부재는 측벽의 상부 섹션과 하부 섹션 사이에서 본체의 내부를 통하여 연장하며 상부부재의 전방부의 후방으로 이격된 가늘고 긴 하부 부분을 지닌다. 그 가늘고 긴 하부 목 부분은 본체 측벽의 상부섹션의 내측 측벽 표면에 고정된 상부 장착 수단과, 본체 측벽의 하부 섹션의 내측 측벽 표면에 고정된 하부 장착 수단을 지닌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후방부재의 측벽은 상부부재의 전방부에 대체로 수직한 외측 표면을 지니며, 상부부재의 전방부는 외측 에지와 내측 표면을 지닌다. 상부부재는 또한 전방부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여 그 전방부의 에지를 따라 연장하는 스커트를 지닌다. 그 스커트는, 전방부에 대체로 수직하며 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측방향 내향 표면을 지니며, 본체 측벽의 외측 표면의 일부에 접착된다.
본 발명의 부가의 특징 및 이점들이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의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 첨부도면 및 특허청구의 범위로부터 자명해질 것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기타(10)는 보울-형 후방 부재(14)와 비교적 가느다란 상부부재(16)를 지니는 중공형 본체(12)를 포함한다. 그 상부부재는 사운드 구멍(20)들이 관통 연장하는 대체로 평탄한 전방부(18)를 지닌다. 그 상부부재(16)는 또한 전방부(18)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며 그 전방부(18)에 대체로 수직한 스커트(22)를 지닌다. 상기 후방부재(14)는 상부부재(16)의 전방부(18)에 대체로 수직한 측벽(24)을 지닌다. 그 측벽(24)은 상부 섹션(26), 하부 섹션(28) 및 내측 측벽 표면(30)을 포함한다.
본체(12)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것은, 6개의 현(38)에 대한 머신헤드(36)를 구비한 페그헤드(34)의 상부부분에서 종결하며 그 전방 면상에 배치된 프렛 보드(40)를 지니는 목 부재(32)이다. 그 현(38)들은 상부부재(16)의 전방부(18)에 체결된 브리지(42)와 머신 헤드(36) 사이에서 연장한다. 그 목 부재(32)는 본체 측벽(24)의 상부 섹션(26)으로 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가늘고 긴 상부부분(44)을 지닌다. 그 목 부재(32)는 또한 측벽(24)의 상부 섹션(26)과 하부섹션(28) 사이에서 본체(12)의 중공내부를 통하여 연장하며 상부부재(16)의 전방부(18)의 후방으로 이격된 가늘고 긴 하부부분(46)을 지닌다. 그 가늘고 긴 하부 목 부분(46)은, 본체 측벽(24)의 상부 섹션(26)에서 내측 측벽 표면(30)에 고정된 상부 장착 수단(48)과, 본체 측벽(24)의 하부 섹션(28)에서 내측 측벽 표면(30)에 고정된 하부 장착 수단(50)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와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사용된 상대적인 용어 "상부", "하부", "전방", "후방" 및 그것들의 파생물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시말하면, 그 페그헤드 부분(34)이 가장 위쪽에 배치되고, 그 목 부재(32)가 대체로 수직하며, 그 상부부재(16)가 보는 사람을 향하도록 배향된 것으로 가정되는 악기와 함께 사용된다.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커트(22)는 전방부(18)의 외측 에지(52)를 따라 연장하며 그것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다. 그 전방부(18)는 내측 부분(54), 즉 사운드 보드 부분과, 내측 부분(54)의 외측 주위(58)를 따라 연장하는 가요성 에지 부분(56)을 지닌다. 그 내측 부분(54)은 또한 경계(60)를 지니는 4개의 사운드 구멍(20)을 포함한다.
전방부(18)의 내측 부분(54)은 외측 복합재료 층(62)과 내측 복합 재료층(64)을 포함하며, 내측 복합 재료층(62)과 외측 복합 재료층(64) 사이에는 코어층(66)이 접합된다. 그 복합 재료층(62 및 64)은 각각 수지 재료의 적절한 매트릭스에 매립된 다양한 섬유 보강 재료로 형성될 수 있지만, EPON826과 같은 에폭시 수지에 매립된 탄소 섬유의 직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층(66)은 목재층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또한 아라미드와 같은 다른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복합 재료 층(62 및 64)은 내측 부분(54)의 외측 주위(68)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며, 상호접촉하도록 접합되어 전방부(18)의 코어 프리 가요성 에지 부분(56)을 형성한다. 복수의 곧은 브레이스(92 ; 도 6 에서 최상으로 도시됨)가 내측부분(54)의 내측표면(94)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다. 가요성 에지 부분(56)은 외측 에지(70)와 내측표면(72)을 지닌다. 상부부재(16)의 스커트(22)는 접합된 복합 층(62 및 64)의 부가의 연장부이며, 그것은 내측표면(72)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만곡되며, 또한 가요성 에지 부분(56)의 외측 에지(70)를 따라 연장한다. 스커트(22)는, 전방부(18)에 대체로 수직하며 측방향으로 배치되는 측방향 내향 표면(74)을 지니며, 본체 측벽(24)의 외측 표면(76)상의 일부분에 접합된다.
본체 측벽(24)은 전방에지(78)를 포함한다. 전방에지(78)에 인접하여, 본체 측벽(24)은 측방향 내향으로 단차져서, 내향으로 단차진 벽부분(80)과 전방에지(78)의 후방으로 배치된 전방을 향하는 쇼울더(82)를 제공한다. 스커트(22)는 쇼울더(82)에 대하여 접하는 후방 에지(84)와, 쇼울더(82)의 후방으로 측벽(24)의 외측 표면(88)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는 측방향 외향 측부 표면(86)을 포함한다. 본체(12), 즉 상부부재(16)와 후방부재(14)는 쇼울더(82)에 대하여 접하는 후방에지(84)에 의해 형성된 시임(90)을 덮어가리는 수지(91)의 마무리층으로 덮여, 기타(10)의 전체적인 시각적 외관을 향상시킨다. 본체(12)를 형성하도록 함께 조립될 때, 상부부재(16)와 후방부재(14)는 서로를 공동으로 보강함으로써, 현(38)에 의해 발생된 인장력을 보상하기 위해 필요한 브레이스의 양을 감소킨다.
도 6 을 참조하면, 복수의 곧은 브레이스(92)가 내측부분(54)의 내측 표면(94)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브레이스(92)는 팬(fan)과 같은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예를들면, 수직 형태 또는 조합 형태와 같은 다른 브레이스 형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크로스 브레이스(cross brace)를 포함할수도 있다. 또한, 원형과 같은 다른 브레이스 형상도 사용될 수 있다. 브레이스(92)는 수지 매트릭스의 흑연 섬유직물 및 수지 매트릭스의 단일방향성 흑연 섬유 및/또는 수지 매트릭스의 흑연 섬유와 단일방향성 흑연 섬유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을 참조하면, 브레이스(92)는 각각, 함께 적층되고 내측부분(54)의 내측표면(94)에 브레이스(92)를 접합하도록 상부(16)의 복합재료와 함께 양생된 복수의 복합 층들 또는 가닥(96)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닥(96)들의 수 및 브레이스 스택-업(stack-up)의 형태, 직물 및/또는 단일방향성 섬유, 및 형상은 기타(10)의 소기의 음조 특성에 따라 미리 결정된다.
도 8 및 도 9 를 참조하면, 본체(12)는 중공내부를 지니며, 그 내부에는 목 부재(32)의 하부 부분(46)이 장착된다. 본체(12)의 보울형 후방부재(14)는 EPON826과 같은 에폭시 수지에 매립된 탄소섬유의 직물과 같은 복합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방부재(14)는 그 전체 영역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얇으며, 브레이스 및 목 블럭과 같은 공지의 구조적 보강과 비교적 자유롭다. 그 후방부재(14)는 또한 목 부재(32)의 상부부분(44)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크기로 된 본체 측벽(24)의 상부 섹션(26)에 목 블럭 없는 리세스(97)를 포함한다.
목 부재(32)는, 상이한 부분의 목 부재(32)용으로 가장 적절한 다양한 형태의 복합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면, 얇은 벽으로된 하부부분(44)에 대하여는 에폭시 수지에 매립된 탄소 섬유의 직물이, 그 단단한 페그헤드 부분(34)에 대하여는 직물 가닥에 포함된 에폭시 매트릭스의 유리섬유 절단 섬유가적절하다.
페그헤드 부분(34)은 상부부분(46)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중실의 횡단면(98)을 지닌다. 상부부분(44)은 또한 페그헤드 부분(34)에 일체로 연결되어 페그헤드 부분(34)과 하부부분(46) 사이에서 연장하는 목 부분(100)은 평탄한 보드(40)를 수용하도록 채택된 만곡된 후방 표면(103)과 평탄한 전방 표면(104)을 구비한 중공 내부(102)를 지닌다.
목 부재(32)의 상부 장착 수단(48 ; 도 8 및 도 9 참조)은 하부부분(46)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본체 측벽(24)의 상부 섹션(26)에서 내측 측벽 표면(30)에 접합하기 위한 측방향 연장 접합 패드(106)를 지닌다. 하부부분(46)은 또한 상부 장착수단(48)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하는 제 1 의 대체로 곧은 레그 부분(108)과, 하부부분(46)의 하단부에 있는 하부 장착 수단(50)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제 2 의 대체로 곧은 레그 부분(110)을 포함한다. 제 1 의 및 제 2 의 레그 부분(108 및 110)은 서로 연속적이며, 상부부재(16)의 전방부(18)로부터 후방으로 목 부재(32)의 하부부분(46)을 이격시키는 만곡부(112)를 형성한다.
도 11 및 도 12 를 참조하면, 하부부분(46)은 가늘고 긴 후방 벽(114)과 가늘고 긴 측벽(116)의 쌍을 지니는데, 상기 측벽(116)의 쌍은 후방 벽(114)의 측방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여, 그 전체 길이에 걸쳐 대체로 U-자형의 횡단면(118)을 형성한다. 본체의 후방 부재(14)는 본체 측벽의 하부 섹션(28)에서 내측 측벽 표면(30)에 접합된 장착 고정구(120)를 지니며, 그것은 대체로 U-자형의 오목부(122)를 포함한다. 그 오목부(122)는 전방을 향하는 후방 표면(124)을 지니며, 그 후방 표면(124)으로부터 한 쌍의 위치결정 핀(126)이 전방으로 돌출한다. 목 부재(32)의 하부 장착 수단(50)은 장착 고정구(120)의 U-자형 오목부(122)에 의해 활주가능하게 수용되는 크기로 되는 하부부분(46)의 부가의 연장부이다. 하부 장착 수단(50)은 또한 후방 벽(114)의 하단부를 통하여 돌출하는 한쌍의 위치결정 구멍(128)을 포함하며, 그것들은 위치결정 핀(126)을 활주가능하게 수용하는 크기로 된다
상부 장착 수단(48 ; 도 9)은 측방향 연장하는 접합 패드(106)로서 설명되고, 하부 장착 수단(50)은 U-자형 오목부(122)에 의해 수용되는 크기로 되는 하부부분(46)의 부가의 연장부로서 설명되었지만, 다른 상부 장착 수단과 하부 장착 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이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들면, 하부장착 수단은 접합 패드로 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부 장착 수단은 스크루 또는 다양한 다른 형태의 고정용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본체(12)에 대한 목 부재(32)의 그 위치의 상부 및 하부 장착 수단(48 및 50)은 목 부재(32)를 모든 3가지 축 방향, 즉 상향/하향, 전방/후방 및 측방향으로 상당히 용이하게 정렬하고 견고하게 보지하는 목/본체 연결을 제공한다. 또한, 기타(10)의 3가지의 주요한 구성요소, 즉, 목 부재(32), 후방 부재 및 상부부재(16)는 상호간에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그렇지 않을 경우 부가되어야하는 구조적 보강 요소를 배제하거나 또는 감소시킨다. 예를들면, 목 블럭 및 인장 바는 배제될 수 있으며, 상부부재 브레이스는 감소될 수 있다.
절절한 실시예들이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 및 대체물이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한적인 아니라 예시적으로 설명되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소의 구조적 보강을 요하는 견고한 악기를 제공하기 위한 어쿠스틱 현악기의 개선된 본체 및 목 조립체가 제공된다.

Claims (33)

  1. 중공 내부를 지니는 본체, 대체로 평탄한 전방부를 지니는 상부부재 및 상부 섹션과 하부 섹션 및 상기 상부부재의 전방부에 대체로 수직한 내측 측벽 표면을 구비한 측벽을 지니는 후방부재 ; 및
    상기 본체 측벽의 상부 섹션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가늘고 긴 상부부분 및 상기 측벽의 상부 섹션과 하부 섹션 사이에서 상기 본체의 내부를 통하여 연장하며 상기 상부부재의 전방부의 후방으로 이격된 가늘고 긴 하부부분을 지니는 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늘고 긴 하부 목 부분은 본체 측벽의 상부 섹션의 내측 측벽 표면에 고정된 상부 장착 수단 및 본체 측벽의 하부 섹션의 내측 측벽 표면에 고정된 하부 장착 수단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현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 후방 부재 및 목 부재는 각각 복합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현악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부재의 측벽은 상기 상부부재의 전방부에 대체로 수직한 외측 표면을 지니며;
    상기 상부부재의 전방부는 외측 에지와 내측 표면을 지니며;
    상기 상부부재는 또한 상기 전방부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여상기 전방부의 에지를 따라 연장하는 스커트를 지니며, 상기 스커트는 상기 전방부에 대체로 수직하며 측방향으로 배치되는 측방향 내향 표면을 지니며, 본체 측벽의 외측 표면의 일부분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현악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부재의 측벽은 전방 에지를 지니며, 그 전방 에지에 인접하여 내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내향으로 단차진 벽 부분과 상기 전방 에지의 후방으로 배치된 전방을 향하는 쇼울더를 제공하며;
    상기 스커트는 상기 쇼울더에 대하여 접하는 후방 에지, 및 상기 쇼울더의 후방으로 상기 측벽의 외측 표면과 살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는 측방향 외향 측부 표면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현악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와 후방 부재는 각각 실질적으로 복합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상부부재와 후방부재는 쇼울더에 대하여 접하는 스커트의 후방 에지에 의해 형성된 시임을 덮어가리는 수지의 마무리 층으로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현악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의 전방부는 적어도 한 쌍의 복합 재료층과 복합 재료층의 쌍 사이에 접합된 코어 재료의 층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현악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쌍의 복합 재료 층과 코어 재료의 층을 지니는 상기 전방부는 본체의 측벽으로부터 내향으로 이격된 내측부분이며,
    상기 전방부는 또한 상기 내측 부분의 외측 경계에 접하는 코어 프리 가요성 에지 부분을 지니며, 상기 가요성 에지 부분은 상기 내측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복합 재료 층을 포함하며;
    상기 스커트는 상기 내측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복합 재료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현악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에지 부분과 상기 스커트는 각각 상기 외측 부분의 복합 재료 층의 쌍을 포함하며, 복합 재료 층의 쌍은 상기 가요성 부분과 스커트에 함께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현악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 부재의 상부 부분은,
    중실의 횡단면을 지니고, 악기의 현에 대한 복수의 머신 헤드를 수용하도록 채택되며, 상기 상부 부분의 상단부에 있는 페그헤드 부분 ; 및
    중실의 횡단면과 플렛 보드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평탄한 전방 표면을 지니며, 상기 페그헤드 부분과 상기 하부 부분 사이에서 연장하는 목 부분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현악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목 부재의 상부 장착 수단은 상기 내측 측벽 표면에접합하기 위한 측방향 연장 접합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현악기.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목 부재의 하부부분은 대체로 U-자형의 횡단면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현악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목 부재의 하부부분은,
    상기 상부 장착 수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하는 대체로 U-자형의 횡단면을 지니는 제 1 의 대체로 곧은 레그 부분 ; 및
    상기 하부 장착 수단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대체로 U-자형의 횡단면을 지니는 제 2 의 대체로 곧은 레그 부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의 레그와 제 2 의 레그는 상호 연속적이며, 상기 목 부재의 하부부분에 만곡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현악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 측벽의 하부 섹션에서 상기 내측 측벽 표면에 접합된 장착용 고정구를 지니며, 상기 장착용 고정구는 대체로 U-자형의 오목부를 지니며,
    상기 목 부재의 하부 장착 수단은 상기 오목부에 의해 활주가능하게 수용되는 대체로 U-자형의 횡단면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현악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용 고정구 오목부는 위치결정 핀이 전방으로 돌출하는 전방을 향한 후방 표면을 지니며, 상기 목 부재의 하부부분의 하부 장착 수단은 상기 위치결정 핀을 수용하는 위치결정 구멍을 갖는 후방벽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현악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목 블럭 없는 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현악기.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재료는 수지 매트릭스의 흑연 섬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현악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매트릭스는 에폭시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현악기.
  18. 중공 내부를 지니는 본체를 포함하는 어쿠스틱 현악기로서, 상기 본체는,
    상부 섹션과 외측 표면을 갖는 측벽을 지니는 후방 부재;
    상기 측벽의 외측 표면에 대체로 수직한 내측 표면과 외측 에지를 지니는 대체로 평탄한 전방부, 및
    상기 전방부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여 상기 전방부의 에지를 따라 연장하며, 상기 상부부재의 전방부에 대체로 수직한 측방향 내향 표면을 지니며, 상기 본체 측벽의 외측 표면에 접합되는 스커트를 포함하는 상부부재 ; 및
    상기 본체 측벽의 상부 섹션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가늘고 긴 상부부분을 포함하는 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현악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부재와 후방부재는 각각 수지 매트릭스의 섬유로 구성된 복합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현악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부재의 측벽은 전방 에지를 지니며, 상기 전방 에지에 인접하여 내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됨으로써, 내향으로 단차진 벽 부분과 상기 전방 에지의 후방으로 배치된 전방으로 향하는 쇼울더를 제공하며;
    상기 스커트는 상기 쇼울더에 대하여 접하는 후방 에지와 상기 쇼울더의 후방으로 상기측벽의 외측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는 측방향 외향 측부 표면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현악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쇼울더에 대하여 접하는 스커트의 후방 에지에 의해 형성된 시임을 덮어가리는 수지의 마무리 층으로 덮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현악기.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의 전방부는 코어 재료의 층이 복합 재료 층의 쌍 사이에 접합되는 적어도 한 쌍의 복합 재료 층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현악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쌍의 복합 재료 층과 코어 재료의 층을 지니는 상기 전방부는 상기 본체의 측벽으로부터 내향으로 이격된 내측 부분을 지니며;
    상기 전방부는 또한 상기 내측 부분의 외측 경계와 접하는 코어 프리 가요성 에지 부분을 지니며, 상기 가요성 에지 부분은 상기 내측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복합 재료 층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부재의 스커트는 또한 상기 내측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복합 재료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현악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에지 부분과 상기 스커트는 각각 상기 내측 부분의 복합 재료 층의 쌍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 재료 층의 쌍이 상호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현악기.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목 부재는 수지 매트릭스의 섬유로 이루어진 복합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부분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중실의 횡단면을 지니며, 악기의 현에 대한 복수의 머신 헤드를 수용하도록 채택되는 페그헤드 부분 ; 및
    상기 페그헤드 부분과 상기 본체 측벽의 상부 섹션 사이에서 연장하고, 중공의 횡단면과 프렛 보드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평탄한 전방 표면을 지니는 목 부분을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현악기.
  26. 어쿠스틱 현악기의 본체와 조립하기 위한 목 부재로서, 상기 본체는 중공의 내부, 대체로 평탄한 전방부를 구비한 상부부재, 및 상부 섹션과 하부 섹션 및 상기 상부부재의 전방부에 대체로 수직한 내측 표면을 구비한 측벽을 지니며, 상기 목 부재는,
    상기 본체 측벽의 상부 섹션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가늘고 긴 상부부분 ; 및
    상기 측벽의 상부 섹션과 하부 섹션 사이에서 상기 본체의 내부를 통하여 연장하며, 상기 상부부재의 전방부에 관하여 후방으로 이격된 가늘고 긴 하부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가늘고 긴 하부부분은,
    상기 본체 측벽의 상부 섹션에서 상기 내측 측벽 표면에 고정되기에 적합한 상부 장착 수단, 및
    상기 본체 측벽의 하부 섹션에서 상기 내측 측벽 표면에 고정되기에 적합한 하부 장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부재.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목 부재는 수지 매트릭스의 섬유로 이루어진 복합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부재.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분은,
    상기 상부부분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중실의 횡단면을 지니며, 악기의 현에 대한 복수의 머신 헤드를 수용하도록 채택되는 페그헤드 부분 ; 및
    상기 페그헤드 부분과 상기 하부 섹션 사이에서 연장하고, 중공의 횡단면과 프렛 보드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평탄한 전방 표면을 지니는 목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부재.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장착 수단은 상기 내측 측벽 표면에 접합하기 위한 측방향 연장 접합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부재.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분은 대체로 U-자형의 횡단면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부재.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분은,
    상기 상부 장착 수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하는 대체로 U-자형의 횡단면을 지니는 제 1 의 레그 부분 ; 및
    상기 하부 장착 수단으로 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대체로 U-자형의 횡단면을 지니는 제 2 의 레그 부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의 레그 부분과 제 2 의 레그 부분은 상호 연속적이며, 상기 하부부분에 만곡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부재.
  32.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측벽으 하부 섹션에 접합되며 대체로 U-자형의오목부를 지니는 장착용 고정구를 지니는 본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목 부재로서, 상기 하부 목 부재 부분의 하부 장착 수단은 상기 오목부에 의해 활주가능하게 수용되기에 적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부재.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가 전방을 향한 후방 표면을 지니며, 상기 후방 표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위치결정 핀이 돌출하는 본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목 부재로서, 상기 하부 장착 수단은, 그 하부 장착 수단이 오목부내로 삽입될 때 상기 위치결정 핀을 활주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채택되는 위치결정 구멍을 구비한 후방 벽 부분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부재.
KR10-2001-0027163A 2000-05-19 2001-05-18 현악기 본체 및 목 조립체 KR1003987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575,320 US6372970B1 (en) 2000-05-19 2000-05-19 Stringed musical instrument body and neck assembly
US09/575,320 2000-05-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268A KR20010105268A (ko) 2001-11-28
KR100398722B1 true KR100398722B1 (ko) 2003-09-19

Family

ID=24299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163A KR100398722B1 (ko) 2000-05-19 2001-05-18 현악기 본체 및 목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72970B1 (ko)
EP (1) EP1156473A3 (ko)
JP (1) JP2001356760A (ko)
KR (1) KR100398722B1 (ko)
CN (1) CN1325102A (ko)
HK (1) HK10415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6191B1 (en) * 2002-01-14 2003-11-11 E. Cleason Martin Tension top guitar
JP2003330466A (ja) * 2002-05-16 2003-11-19 Yamaha Corp 電気ギターのボディ構造
US6894209B2 (en) * 2002-08-12 2005-05-17 James M. Holler Guitar having a partially sloped sounding board
US7276868B2 (en) * 2004-03-29 2007-10-02 Allred Iii Jimmie B Carbon-fiber laminate musical instrument sound board
US20060156912A1 (en) * 2005-01-19 2006-07-20 Annis Ross A Electric guitar with cascaded voice and mode controls and laminated through body and method thereof
US20070163420A1 (en) * 2006-01-14 2007-07-19 Stuart Reiss Interchangeable decorative covers for guitar components
US8008558B2 (en) * 2006-11-04 2011-08-30 Daniel Koentopp Focused input stringed instrument
US7795513B2 (en) * 2007-01-03 2010-09-14 Luttwak Joseph E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7763784B2 (en) * 2007-01-03 2010-07-27 Luttwak Joseph E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US7507885B2 (en) 2007-02-23 2009-03-24 Coke David A Structure for musical instrument body
US7893330B1 (en) 2008-09-05 2011-02-22 Andreasen Randy G Stringed instrument construction
US20120285310A1 (en) * 2011-05-15 2012-11-15 Michael Miltimore Acoustic String Guitar
USD731586S1 (en) * 2013-03-08 2015-06-09 Ernie Ball, Inc. Guitar
JP6146258B2 (ja) * 2013-10-22 2017-06-14 ヤマハ株式会社 弦楽器用板材の製造方法
CN104681010A (zh) * 2013-11-29 2015-06-03 北京怡生飞扬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原声吉他
CN104200795A (zh) * 2014-09-11 2014-12-10 荣成炭谷有限公司 一种复合材料乐器及其制造方法
GR1008641B (el) * 2014-11-27 2015-12-15 Αθανασιος Ηλια Παλαβρατζης Ηλεκτροακουστικο μπουζουκι με διατρητο σκαφος
FR3073073B1 (fr) * 2017-10-26 2022-05-27 Joel Georges Delannoy Procede de construction des violons, violons alto et violoncelles liberant la caisse de resonnance des contraintes liees a la tension des cordes et ne lui appliquant que la pression du chevalet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87398A (en) * 1931-09-16 1932-11-08 Emery H Chase Violin
US2741937A (en) * 1952-04-14 1956-04-17 Raymond K Auville Violin construction
US3474697A (en) 1967-01-27 1969-10-28 Kaman Corp Guitar construction
US3424048A (en) 1967-10-12 1969-01-28 Macaldo Guitars Inc Guitar kit
US3699836A (en) 1970-09-09 1972-10-24 Leon Glasse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4056034A (en) 1974-10-16 1977-11-01 Kaman Charles H Guitar construction
US3880040A (en) 1974-10-16 1975-04-29 Charles H Kaman Sound board for stringed instrument
US4090427A (en) 1976-06-23 1978-05-23 Kaman Charles H Stringed musical instrument body
US4172405A (en) 1977-10-25 1979-10-30 Kaman Aerospace Corporation Stringed instrument construction
US4119009A (en) 1977-11-29 1978-10-10 Kaman Aerospace Corporation Stringed instrument neck with peghead
US4145948A (en) 1978-01-12 1979-03-27 Modulus Graphite Products Graphite composite neck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4200023A (en) 1978-05-15 1980-04-29 Kaman Charles H Stringed musical instrument neck and body structure
US4201108A (en) 1978-05-22 1980-05-06 Bunker Instruments, Inc. Electric stringed instrument
US4334452A (en) 1980-07-11 1982-06-15 Norlin Industries, Inc. Plastic musical instrument body having structural insert
US4429608A (en) 1981-07-20 1984-02-07 Kaman Charles H Stringed musical instrument top
US4408516A (en) 1981-08-24 1983-10-11 John Leonard K Graphite fibre violin
US4616548A (en) 1984-03-26 1986-10-14 Anderson Arndt S Guitar composed of high strength-to-weight ratio material
US4539886A (en) 1984-06-29 1985-09-10 Dean Hoffart Guitar
US4890529A (en) 1987-06-15 1990-01-02 Grant Bruce M Luminescently outlined string instrument
US4873907A (en) 1987-07-31 1989-10-17 Kuau Technology, Ltd. Composite-materials acoust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4969381A (en) 1987-07-31 1990-11-13 Kuau Technology, Ltd. Composite-materials acoust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4829870A (en) 1988-03-30 1989-05-16 Ralston Roy A Electric guitar
US4989491A (en) 1989-01-12 1991-02-05 Baggs Lloyd R Stringed instrument with resonator rod assembly
JP2688648B2 (ja) 1989-03-13 1997-12-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弦楽器
US5125312A (en) 1989-05-15 1992-06-30 Korg/Fishpark Associates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5170000A (en) 1989-06-16 1992-12-08 Yamaha Corporation Sound board assembly for musical instruments
FR2649525B1 (fr) 1989-07-05 1991-10-11 Centre Nat Rech Scient Instrument de musique a archet en materiau composite
JPH0448587U (ko) 1990-08-28 1992-04-24
NL9101400A (nl) * 1991-08-19 1993-03-16 Visser Norbert Strijkinstrument.
US5333527A (en) 1991-08-26 1994-08-02 Richard Janes Compression molded composite guitar soundboard
US5406874A (en) 1992-12-31 1995-04-18 Witchel; Jim J. Melamine sheet guitar
JPH0678992U (ja) 1993-04-22 1994-11-04 星野楽器株式会社 ギター胴の構造
US5461958A (en) 1993-12-10 1995-10-31 C. F. Martin & Company, Inc. Acoustic guitar assembly
US5549027A (en) * 1994-01-10 1996-08-27 Steinberger; Richard N. Stringed acoustic musical instrument
NL9400857A (nl) 1994-05-25 1996-01-02 Enserink Innovation Bv Halsverbinding voor een snaarinstrument uit één stuk en werkwijze ter vervaardiging daarvan.
US5537906A (en) 1994-12-08 1996-07-23 Steinberger; Richard 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5682003A (en) 1995-09-27 1997-10-28 Jarowsky; William P. Semi-acoustic electric guitar
US5691491A (en) 1996-02-13 1997-11-25 Degomez; David Vacuum formed guitar backs
US5747711A (en) 1996-03-19 1998-05-05 Cavaness; Jack D. Body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5955688A (en) 1996-05-13 1999-09-21 Cook; Richard L. Composite string instrument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such apparatus
US5895872A (en) 1996-08-22 1999-04-20 Chase; Douglas S. Composite structure for a stringed instrument
JP3320623B2 (ja) 1996-10-24 2002-09-03 星野楽器株式会社 電気ギターのボディ構造
US5898872A (en) * 1997-09-19 1999-04-27 Tominy, Inc. Software reconfiguration engine
US5945614A (en) 1998-08-06 1999-08-31 White; Timothy P. Modular guitar system
US6107552A (en) 1998-12-03 2000-08-22 Kuau Technology, Ltd. Soundboards and stringed instruments
US6034309A (en) 1999-05-28 2000-03-07 C.F. Martin & Company,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stringed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268A (ko) 2001-11-28
EP1156473A3 (en) 2002-10-16
CN1325102A (zh) 2001-12-05
US6372970B1 (en) 2002-04-16
HK1041548A1 (zh) 2002-07-12
JP2001356760A (ja) 2001-12-26
EP1156473A2 (en) 2001-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8722B1 (ko) 현악기 본체 및 목 조립체
KR100841154B1 (ko) 헤드블럭 및 핑거보드 지지체
US7678978B2 (en) Guitar body reinforcement
US4084476A (en) Reinforced stringed musical instrument neck
US4969381A (en) Composite-materials acoust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9171528B2 (en) Carbon fiber guitar
US4873907A (en) Composite-materials acoust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20040231487A1 (en) Acoustic guitar assembly
US8618387B2 (en) Bracing system for stringed instrument
US4846038A (en) Neck structure for stringed instruments
US4056034A (en) Guitar construction
US8294010B2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6333454B1 (en) Acoustic support structur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084475A (en) Guitar construction
US5025695A (en) Stringed instrument with inwardly extending neck
US20210183344A1 (en) Offset Guitar
US5325756A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5900561A (en) Guitar with improved headblock and tailblock
US7411121B2 (en) String energy transferenc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6350939B1 (en) Neck block system for acoustic stringed instruments
US20060070507A1 (en) Structure for stringed instruments
JP2744892B2 (ja) 音楽用ドラム
WO1994016431A1 (en) Coupling structure for fixing the neck of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