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8012B1 - 홈 서버 및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홈 서버 및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8012B1
KR100398012B1 KR10-2001-0053160A KR20010053160A KR100398012B1 KR 100398012 B1 KR100398012 B1 KR 100398012B1 KR 20010053160 A KR20010053160 A KR 20010053160A KR 100398012 B1 KR100398012 B1 KR 100398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server
internet service
telephone
request
telephon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3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6912A (ko
Inventor
스즈끼쇼지
요꼬야마다까노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20046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8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80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6Protocol convers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5Telephone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공중 전화망을 통한 홈 서버로의 호출에 응답하여 홈 서버에 액세스하는 전화 번호의 등록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 수단(101)이 제공되고, 인터넷 접속 서비스 콜 기능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7101)에 더 제공된다. 이들 수단 및 기능을 이용하여, 홈 서버는 등록된 전화 번호만을 수용하고, 상기 검사 수단(101)에 의해 수용된 전화가 요청한 인터넷 서비스를 수행한다.

Description

홈 서버 및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HOME SERVER AND INTERNET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홈 서버(home server) 또는 홈 제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 홈 서버 또는 홈 제어기로의 부정 액세스를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한 장치, 시스템, 및 인터넷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로 홈(home)에서 사용되는 모뎀을 이용하여 전화 회선에 액세스하는 정보통신기기로서,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s), 셋톱박스와 같은 홈 서버(이하, 홈 서버라 함)가 있다. 모뎀을 사용하여 전화 회선에 액세스하는 통신에서,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하여 홈 서버 자신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화를 건다. 일부 홈 서버는 외부 전화로부터의 착신 요구에 응답하는 것이 가능하다.
모뎀을 이용하여 전화 회선을 통해 인터넷에 액세스하는 방법의 일례가 "ALL CONCERNING AN INTERNET CAN BE FIGURED OUT BY DIAGRAMMATIC EXPLANATION" (Osamu Koizumi 저, 일본실업출판사)의 p.41-42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 외부 전화로부터의 착신 요구에 응답가능한 홈 서버는 모든 착신 요구에 응답한다. 홈 서버가 불특정 다수의 외부로부터의 전화의 모든 착신 요구에 응답하는 것은 외부로부터 홈 서버로 부정 액세스할 기회를 많이 줄 수 있어서, 보안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홈 서버는 원격조작에 의해 인터넷에 접속될 수 없으므로, 인터넷을 통해 외부에서 홈 서버에 액세스할 필요가 있으면, 홈 서버를 인터넷에 상시 접속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로 인해 인터넷 접속료(전화요금)가 증가하고, 또한 보안의 측면에서도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홈 서버가 특정의 발신원으로부터의 착신 요구에 응답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또한 원격조작에 의해 홈 서버를 인터넷에 접속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홈 서버로의 부정 액세스를 방지할 수 있는 홈 서버를 포함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 블록도.
도 2는 상기 홈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 블록도.
도 3은 홈 서버에 액세스하는 전화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의 등록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 블록도.
도 4는 홈 서버에 액세스하는 전화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의 등록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의 흐름도.
도 5는 인터넷 접속 콜 서비스 장치를 이용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 블록도.
도 6은 인터넷 접속 콜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 블록도.
도 7은 인터넷 접속 콜 서비스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의 흐름도.
도 8은 인터넷 접속 콜 서비스 장치를 이용한 다른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 블록도.
도 9는 홈 서버에 의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로의 전화 접속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전화 번호-메일 어드레스의 일람표.
도 11은 각각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홈 서버로의 부정 액세스를 방지하는 제어기를 포함한 홈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 블록도.
도 12는 각 제어기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 블록도.
도 13은 각 제어기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 블록도.
도 14는 서비스 태스크-인증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된 표.
도 15는 인터넷 접속 콜 서비스 장치를 이용한 비즈니스 모델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개략 블록도.
도 16은 홈 서버에 대해 수행된, 공중 전화망에 접속된 전화 회선의 접속 제어를 도시한 개략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홈 서버
40, 401, 4001 : 전화 회선
41, 42 : LAN
50 : 사용자
51 : 홈
52 : 사무실
60 : PC
61 : 휴대전화
71 : 서비스 제공자
102, 201 : 모뎀
110 : 제어기
202 : PPP
203 : TCP/IP 스택
311 : FAX 전화
400 : 공중 전화망
401 : 전화회사
410 : 인터넷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신 회선을 통해 발신원(전화를 건 사람 또는 기계)으로부터의 요구를 수신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 홈 내의 홈 서버에 접속된 장치를 제어하는 홈 서버를 제공하고, 상기 홈 서버는, 상기 통신 회선을 통해 전송된 요구의 수행을 수락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전화 번호 일치 검출 수단(홈 서버에 액세스하는 전화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장치); 상기 전화 번호 일치 검출 수단에 의해 수락된 상기 요구에 대한 모뎀수단; 상기 요구를 변환하는 프로토콜 처리 수단; 상기 프로토콜 처리 수단에 의해 변환된 상기 인터넷 서비스 요구에 대응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상기 발신원에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 수단;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인터넷 서비스 요구가 상기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제어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면, 상기 홈 내의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인터넷 서비스를 수신하고, 상기 발신원으로부터 요구된 상기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접속 요구에 대응하는 접속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자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PC(60)는 전화 회선(401)을 통해 공중 전화망에 접속된다. 홈(51) 내의 홈 서버(1)는 홈 서버(1)에 액세스하는 전화기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의 등록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101)를 포함한다(전화 번호 일치 검출 수단). 홈 서버(1)는 전화 회선(40)을 통해 공중 전화망(400)에 접속된다. 또한, FAX 전화(311)는 전화 회선(4001)에 의해 홈 서버(1)를 경유하여 공중 전화망(400)에 접속된다.
이 서버(1)로서는, 홈 내의 게이트웨이 장치, 홈 제어기, 셋톱박스 등을 가정할 수 있다.
장치(60)는 개인 컴퓨터에 한정되지 않고, 모뎀을 내장하거나 모뎀이 사용될 수 있는 기기이면 된다. 또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휴대 전화도이 장치(60)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전화 회선(40, 4001)은 무선통신과 유선통신 중 어느 것에 의해서든지 구현될 수 있다. 장치(311)는 타임 시프트(time-shift) 기능만을 보유하거나, 팩스 기능을 겸비하여도 된다. 또한, 홈(51)은 단독 주택, 집합 주택, 시설, 또는 자동 판매기와 같이 외부에 설치된 장치 중 어느 것이든지 된다.
이하, 주로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이 시스템의 기본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PC(60)는 전화 회선(401), 공중 전화망(400), 및 전화 회선(40)의 경로를 경유하여 홈(51)의 전화 번호로 전화함으로써 홈 서버(1)로의 접속을 시도한다. 전화 번호의 등록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101)는, 현재 홈 서버(1)에 액세스하는 PC(60)의 전화 번호가 등록된 전화 번호 중 하나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고, 임의의 등록된 전화 번호가 PC(60)의 전화 번호와 일치하지 않으면, 전화 번호의 등록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101)는 착신 요구에 응답하지 않는다. 한편, 등록된 전화 번호 중 하나가 PC(60)의 전화 번호와 일치하면, 장치(101)는 FAX 전화(311)가 착신 요구에 응답한 후에 응답한다. 또한, 이 착신 요구가 홈 서버(1) 내의 모뎀으로의 접속을 나타내면, 장치(101)는 모뎀으로의 접속을 개시하고, FAX 전화(311)로의 접속을 단절한다. 역으로, 이 착신 요구가 홈 서버(1) 내의 모뎀으로의 접속을 나타내지 않으면, 장치(101)는 장치(101) 자신으로의 접속을 단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홈 서버(1)는 PC(60)의 전화 번호가 홈 서버(1)에 등록된 전화 번호 중 하나와 일치하고 PC(60)로부터의 착신 요구가 모뎀으로의 접속을 나타내는 경우에만 모뎀에 접속될 수 있다.
도 2는 홈 서버(1)의 구성을 도시한다. 홈 서버(1)는 홈 서버(1)에 액세스하는 전화기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의 등록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101), 모뎀(102), 및 홈 서버(1)의 본체(10)를 포함한다. 한편, 이 도면에서, 모뎀(102)은 종래의 주요 기능을 구비한 전형적인 모뎀으로서 도시되므로, 모뎀(102)은 전화 번호의 등록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101)와 별개로 도시된다. 그러나, 장치(100) 기능을 모뎀(102) 내에 합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전화 번호의 등록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101)의 구성을 도시한다. 홈 서버(1)의 전화 회선으로의 접속을 제어하는 장치(10100)는 전화 회선(40, 4001), 및 모뎀(102) 과의 사이의 접속을 제어한다. 전화 번호를 검색하는 장치(10101)는 전화 번호를 등록하는 데이터베이스(1011)에 등록된 전화 번호의 일람표와 발신원의 전화 번호를 비교하는데, 이는 공중 전화망(400)을 통해 홈 서버(1)에 전화가 걸려왔을 때에, 발신원의 전화 번호가 전화 번호 일람에 등록된 전화 번호 중 하나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신호 판정 장치(10102)는 전화의 내용이 모뎀(102)으로의 접속 요구(PC에 의해 수행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모뎀접속요구)를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한편, 전화 회선(40, 4001)은 각각 공중 전화망(400) 및 FAX 전화(311)에 접속된다. 또한, 전화 회선(40, 4001)은 디폴트 상태에서 접속되도록 홈 서버(1)를 제어하는 장치(10100) 내에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하, 홈 서버(1)에 액세스하는 전화기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의 등록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101)의 동작에 대해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한다. 단계 9015에서, 전화 번호를 검색하는 장치(10101)는, 공중 전화망(400)을 경유하여 전송된 전화 호출에 응답하여, 발신원의 전화 번호가 전화 번호 일람에 기록된 전화 번호 중 하나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전화 번호를 등록하는 데이터베이스(1011)에 등록된 전화 번호 일람과 발신원의 전화 번호를 비교한다. 발신원의 전화 번호가 등록된 전화 번호 중 하나와 일치하는 것이 발견되면, 단계 9010에서, 장치(101)는 FAX 전화 모드가 홈 서버 모드로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FAX 전화 모드가 홈 서버 모드로 설정되면, 단계 9011에서, 장치(101)는 FAX 전화(311)가 전화 호출에 대한 응답을 개시하여 대화 상태로 될 때까지 대기한 후에 전화 호출에 응답하고, 홈 서버(1)도 전화 호출에 응답한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 9012에서, 장치(101)는 소정기간 동안 대기하고, 임의의 다른 전화기로부터 응답이 없으면 이 전화 호출에 응답한다. 다음에, 단계 9013에서, 신호 판정 장치(10102)는 발신원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내용이 홈 서버(1)의 모뎀(102)으로의 접속 요구를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발신원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내용이 홈 서버(1)의 모뎀(102)으로의 접속 요구를 나타낸다고 판정되면, 단계 9016에서, 홈 서버(1)의 모뎀(102)으로의 접속이 개시되고, 이와 동시에 FAX 전화(311)의 전화 회선(40)으로의 접속은 단계 9014에서 전화 회선(40)과 전화 회선(4001) 사이의 접속을 방해함으로써 단절된다. 한편, 발신원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내용이 홈 서버(1)의 모뎀(102)으로의 접속 요구를 나타내지 않는다고 판정되면, 장치(101)는 단계 9017에서 모뎀(102)으로의 접속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한편, 단계 9015에서, 발신원의 전화 번호가 등록된 전화 번호의 어느 것과도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면, 장치(101)는 단계 9018에서 발신원으로부터 전송된 전화호출에 응답하지 않는다.
단계 9017에서의 동작에서, 홈 서버(1)의 전화 응답이 끊어지거나, 또는 FAX 전화(311)로의 통화가 종료된 후에 홈 서버(1)의 전화 응답이 끊어질 것이다.
한편, 장치(101)에 위치한, 홈 서버(1)의 전화 회선으로의 접속을 제어하는 장치(10100)는 전화 회선들 사이에서 접속을 스위칭하는 회로, 및 제어 논리 회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논리 회로의 일부 또는 전체는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수행된 제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화 번호를 검색하는 장치(10101)는, 전화 번호 표시 서비스가 NTT(Nippon Telegraph Telephone Corporation)에 의해 제공되는 전화에 의해 사용되는 전화 번호 표시 기능, 및 전화 번호를 등록하는 데이터베이스(1011)에 등록된 전화 번호일람에 기록된 전화 번호와 발신원의 전화 번호를 비교하는 비교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비교기의 기능은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수행된 제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신호 판정 장치(10102)는 모뎀(102)에 포함된 신호 인식 부분의 회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여, 전화 회선을 접속하는 제어장치(1010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 장치(101000)는 전화 회선(40, 4001), 전화 번호를 검색하는 장치(10101), 신호 판정 장치(10102), 및 모뎀(102)에 접속된다. 또한, 스위치(101001), 스위치(101002), 및 Bell-호출장치(101003)는 전화 회선(40)에 접속된다. 스위치(101001)는 전화 회선(40)을 전화 회선(4001)이나 모뎀(102)에 접속하는 스위치이다. 디폴트 상태에서, 전화 회선(40)은 전화 회선(4001)에 접속된다. 한편, 스위치(101002)는 전화 회선(40)을 전화 번호 수신 모듈(101004)에 접속하는 스위치이고, 디폴트 상태에서, 전화 회선(40)은 전화 번호 수신 모듈(101004)로부터 단절되어 있다.
전화 호출이 발신원으로부터 이 홈 서버로 전송될 때, BELL-호출장치(101003)는 전화 호출을 검출하여, 스위치(101002)를 턴온한다. 전화 번호 수신 모듈(101004)은 발신원의 전화 번호를 수신하여, 전화 번호를 검색하는 장치(10101)로 이 수신 전화 번호를 전송한다. 전화 번호를 검색하는 장치(10101)는 발신원의 전화 번호를 데이터베이스(1011)에 등록된 전화 번호와 비교한다. 비교결과는 일치 검출 장치(101006)에 통지된다. 발신원의 전화 번호가 등록 전화 번호 중 임의의 하나와 일치하면, 일치 검출 장치(101006)는 이 전화 호출을 신호 판정 장치(10102)에 접속하고, 이 전화 호출의 내용이 예컨대 PC에 의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모뎀 접속 요구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역으로, 일치 검출 장치(101006)가 상기 전화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면, 스위치(101002)는 턴오프된다. 신호 판정 장치(10102)의 판정 결과는 프로세서(101008)에서 처리된다. 발신원으로부터 전송된 전화 호출이 데이터 전송을 위한 모뎀 접속 요구이면, 프로세서(101008)는 스위치(101001)의 접속을 전화 회선(40)과 모뎀(102) 사이의 접속으로 스위칭한다.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서(101008)는 전화 번호 수신 모듈(101004)로부터 전화 회선(40)을 단절한다.
본 발명은, 전화 번호가 미리 등록된 전화로만 홈 서버(1)의 접속이 수용되는 홈 서버(1)의 접속-제어 기능에 의해 홈 서버(1)의 외부로부터의 부정 접속을 방지하여, 홈 서버(1)의 보안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다. 또한, 전화 번호가 미리 등록된 전화가 아닌 다른 전화로부터 전송된, 홈 서버(1)의 모뎀(102)으로의 접속 요구는 수용되지 않으므로, FAX 전화와 같은 홈 서버(1)로 접속된 다른 장치의 동작 요구는 방해되지 않는다. 한편, 전화 번호는 전화기에서 설정되지 않고 전화기가 접속된 스위치 보드에서 설정되므로, 전화기의 불법변경이 매우 어렵다. 이에 따라, 인증을 위한 전화기의 사용은 홈 서버(1)의 보안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조치인데, 그 이유는 스위치 보드는 발신원의 전화기가 스위치 보드에 접속된 전화 회선에 접속되는 것을 보증하기 때문이다.
이 실시예에서, FAX 전화(311)가 홈 서버(1)에 접속된 전화 회선(4001)에 접속되더라도, FAX 전화(311)를 전화 회선(40)에 병렬로 위치한 홈(51)에 설치된 전화 회선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FAX 전화(311)가 장치(10102)의 동일한 신호 판정 수단인 FAX 신호 판정 수단(모뎀신호의 판정)을 포함하면, 상기 실시예에 의해 얻어진 것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한편, 이 실시에에서는, 아날로그형 모뎀(102)이 아날로그 전화 회선에 접속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ISDN과 같은 디지털형 전송회선이 사용되는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사무실(52) 내의 PC(62)는 인터넷(410)에 접속된다. 휴대 전화(61)는 휴대전화망(43) 및 휴대 전화(61)의 인터넷 접속 센터(70)를 경유하여 인터넷(410)에 접속된다. 또한, 홈(51) 내의 홈 서버(1)는 전화 회선(40) 및 공중 전화망(400)을 경유하여 인터넷 접속 서비스 제공자(71)에 접속된다. 인터넷(400)에 접속된 이 서비스 제공자는 인터넷 접속 콜(call) 서비스 장치(7101)를 포함한다.
휴대 전화(61)는 인터넷 접속 기능을 갖는 전화, 예컨대 i-모드형 휴대 전화이다.
도 6은 인터넷 접속 콜 서비스 장치(7101)의 구성도이다. DB(데이터베이스)-검색 장치(10101)는 등록된 정보를 인터넷(410)을 통해 발신원으로부터 전송된 접속 요구와 비교한다. 인증 장치(71013)는 접속 요구(71010)를 요청한 발신원(예컨대 도면에서 PC(62) 또는 휴대전화)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인터넷 접속 콜 장치(71014)는 발신원으로부터의 전화 호출을 번호가 등록자-전화 번호 일람을 저장하는 DB(71012)에 등록된 전화에 접속한다.
접속 요구(71010)는 예컨대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즉 http://서비스 제공자의 홈페이지/등록자명/에 상당한다.
인증 장치(71013)는 입력 LOGIN 명칭 및 입력 패스워드, 또는 입력 패스워드만을 사용하여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이하, 도 7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인터넷 접속 콜 서비스(7101)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9020에서, DB 검색장치(10101)는, 발신원의 전화 번호를 DB(701012)에 등록된 전화 번호와 비교함으로써, 접속 요구 사용자(발신원)가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발신원의 전화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는 단계 9024에서 통상의 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발신원의 전화 번호가 등록되어 있으면, 단계 9021에서, 인증 장치(7103)는 발신원에 대한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발신원이 인증을 통과하면, 단계 9022에서, 인터넷 접속 콜 장치(71014)는 접속 요구 사용자를 등록자-전화 번호 일람을 포함하는 DB(701012)에 등록된 전화 번호에 접속한다. 역으로, 발신원이 인증을 통과하지 못하면, 접속 요구(71010)는 거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 접속 서비스 제공자(71)와 홈(51) 내의 홈 서버(1) 사이의 접속이 가능해졌다. 또한, 단말 장치가 인터넷에 접속될 수 있으면, 단말 장치는 어느 장소에서든지 홈 서버(1)에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홈 서버(1)를 인터넷에 항상 접속시킬 필요가 없어, 전화 회선 사용료 또는 인터넷 접속 서비스료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홈 서버(1)의 인터넷으로의 계속적인 접속이 불필요하므로, 외부로부터의 부정 액세스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한, 단계 9022에서, 접속 요구의 액세스 타겟이 홈 서버(1)라면, 번호가 등록된 전화만을 홈 서버(1)에 접속시키고 번호가 등록되지 않은 전화는 홈 서버(1)에 접속시키지 않음으로써, 외부로부터 요구되는 부정 액세스를 방지하여 홈 서버(1)의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인터넷 접속 콜 서비스(7101)가 인증 장치(71013)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인터넷 접속 서비스 제공자(71)로부터 홈(51) 내의 홈 서버(1)로의 서비스는 가능하다. 그러나, 등록 회원을 알고 있는 모든 PC 소스는 홈 서버(1)가 접속된 인터넷을 통해 홈 서버(1)에 액세스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이는 홈 서버(1)의 보안상의문제와, 홈 서버(1)로의 빈번한 접속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도 15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이용한 비즈니스 모델을 도시하고, 여기서 서비스 제공자는 인터넷 접속 콜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비스 제공자(71)는 인터넷 접속 서비스(7101)를 제공하고, 사용자(50)로부터 (서비스료(7102)+사용 전화 요금(7104))을 징수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는 전화 회사(401)로부터 전화 회선 사용 서비스(홈 서버(1)로의 전화 접속 서비스에 사용)(7103)를 제공받고, 전화 요금(7104)에서 서비스료를 전화회사(400)에 지불한다. 서비스료(7102)의 징수 방법은, 예컨대 일정 시간당 접속 서비스료를 미리 판정하고, 한 달동안 제공된 서비스 시간에 기초하여 총 서비스료를 자동 산출함으로써 수행된다. 또는, 일개월 서비스료를 일정액으로 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기본 서비스료가 소정 서비스 시간내에서는 일정하고, 서비스 시간이 소정 서비스 시간을 초과하면, 소정 서비스 시간으로부터 초과 서비스 시간에 비례한 사용료가 기본 서비스료에 부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는 매달 각 사용자에 대한 과금을 생성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각 사용자의 서비스료를 징수한다. 또한, 매달의 사용료가 기록된다.
한편, 전화 요금의 지불 흐름에서, 사용자(50)가 서비스 제공자(71)를 통하지 않고 전화 회사에 직접 요금을 지불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화 회사(400)는 통신 접속 서비스의 사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50)는 개인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50)는 법인일 수 있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응용예를 도시한다.
PC(60)는 전화 회선(401), 공중 전화망(400), 및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경로에서 액세스 포인트 1(711)을 경유하여 인터넷(410)에 접속된다. 홈(51) 내의 홈 서버(1)는 전화 회선(40), 및 공중 전화망(400)을 경유하여 액세스 포인트 2(710)에 접속된다. 이 액세스 포인트(710)는 인터넷(410)에 접속되고, 인터넷 접속 콜 서비스 장치(7101)를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구성에서, 인터넷(410)을 통한 인터넷 접속 콜 서비스(710)로의 접속 요구(71010)(도 6 참조)는 이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관리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된 접속 요구에 한정된다. 이 한정은 발신원의 IP(Internet Protocol address)를 확인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 한정 기능에 의해, 이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관리된 제어 영역 밖으로부터 홈 서버(1)로의 부정 액세스를 방지하는 것이 용이해지므로, 홈 서버(1)의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도 9는, 홈 서버(1)가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된, 인터넷 접속 콜 서비스 장치(7101)를 갖지 않는 종래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에 접속되는 경우의 인터넷접속 절차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성된 시스템에서, 처음에, 단계 9031에서, PC(60)는 전화 회선(401), 공중 전화망(400), 및 전화 회선(40)을 경유하여 홈(51)의 전화 번호를 호출함으로써 홈 서버(1)로의 액세스를 시도한다. 또한, PC(60)의 전화 번호가 홈 서버(1)에 액세스하는 전화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의 등록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101)에 의해 등록된 임의의 전화 번호와 일치하는지의 여부가 검사된다. 이 일치가 확인되면, 단계 9032에서, 홈 서버(1)는 일치 테스트를 통과하였음을 발신원에 통지하고, 발신원으로의 접속을 일단 단절한다. 결과적으로, 단계 9034에서, 홈 서버(1)는 다이얼업 인터넷 프로토콜(IP) 접속에 의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에 접속한다. 인터넷 프로토콜(IP) 접속이 실행될 때, 단계 9035에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할당된 IP 어드레스는, 홈 서버(1)에 등록된, 발신원의 이메일 어드레스에 이메일로 전송된다. 한편, 단계 9031에서, 발신원의 전화 번호가 일치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면, 홈 서버(1)는 PC(60)로부터 전송된 호출에 응답하지 않는다.
단계 9035에서의 이메일 어드레스의 선택은 홈 서버(1)에서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발신원의 전화 번호-이메일 어드레스 일람을 제공함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단계 9031에서, 홈 서버(1)는 홈 서버(1)에 액세스하는 전화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의 등록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101)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고, 대안으로, PC로부터 전송된 패스워드를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4:
도 11은 홈 서버(1)의 응용예 및 그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다. 제어기(110)는 홈 서버(1)의 응용예이고, 전화 회선(40)을 통해 공중 전화망에 접속된다. 또한, 제어기(110)는 전화 회선(4001)을 통해 FAX 전화(311)에 접속된다. 다양한 종류의 I/O 장치(301-30M)(M은 양의 정수)가 제어기(110)에 접속된다. 제어기(110)는 또 네트워크(41)에 접속되고, 이 네트워크는 다른 제어기(1101-110P)(P는 양의 정수)에 접속된다. 또한, 제어기 그룹(1101-110P)은 제어기(110)와 데이터 교환이가능하다. 또한, 제어기(110, 1101-110P)는 무선망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네트 장치에 접속된다.
이 실시예에서, 적외선 송/수신 장치(301, 3011)와 같은 I/O 장치가 제어기(110, 110P)에 접속된다. 또한, 적외선 장치-탑재 기기(321-32Q)(Q는 양의 정수)가 적외선 신호(43) 네트워크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또한, 적외선 장치-탑재 기기(3211-321R)(R은 양의 정수)가 적외선 신호(44) 네트워크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또한, 적외선 송/수신 기기의 각 그룹의 동작은 대응하는 제어기(110 또는 110P)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제어기(1102)는 가전기기(1112)에 합체되어 있다.
적외선 발신기, 적외선 수신기, 온도계, 습도계, 스피커, 마이크, 인버터, 가전 기기 등과 같은 I/O 장치(301-30M)(M은 양의 정수)는 제어되거나 감시되어야 한다.
네트워크 장치(1111-111S)(S는 양의 정수)는 예컨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s), 휴대 전화, 네트워크 가전 기기 등이다.
네트워크(41)는, 이더넷 또는 HomePNA로 대표되는, 전화선을 이용한 네트워크, 또는 HomePlug로 대표되는, 전등선을 이용한 네트워크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42)는 Bluetooth, Home RF, IEEE802.11 등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1에 도시된 시스템 구성에서, 홈(51) 내의 각종 기기는 전화 회선(40)을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홈(51) 내의 각종 기기의 동작에 대한 정보는 전화 회선(40)을 통해 외부의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2는 제어기(110)의 구성을 도시한다. 제어기(110)는 홈 서버(1)에 액세스하는 전화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의 등록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101), 모뎀(102), 및 제어기의 본체(10)를 포함한다.
전화 회선(40, 401)은 홈 서버(1)에 액세스하는 전화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의 등록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101)에 접속되고, LAN(41, 42)은 LAN 제어기(1021, 1022)에 접속된다. 또한, I/O 장치(301, 30M)(M은 양의 정수)는 I/O 리소스(105)에 접속된다. 제어기 본체(10)는 CPU 코어(103), OS 커널(104), 디지털 입/출력장치, 아날로그 입/출력장치, RS232C로 대표되는 시리얼 포트 등과 같은 I/O 리소스(105), LAN 제어기(1021, 1022), 및 CPU 코어(103)에 의해 실행되는 각종 프로그램 그룹을 포함한다.
각종 프로그램 그룹은 모뎀 드라이버(201), PPP(Point-to-Point Protocol)(202), PPP 인증 프로그램(2021), TCP(Transmission control program)/IP(Internet Protocol), 응용 프로그램-인증 프로그램(205), 응용 프로그램(2041-204L)(L은 양의 정수), 서비스 태스크(task)-인증 프로그램(206), 각종 서비스 태스크(2071-207N, 2081-208K)(N 및 K는 양의 정수), 프로토콜 스택(2031, 2032), 및 LAN 드라이버(2011, 2012)를 포함한다.
이 도면에 도시된 이 예에서는, WEB 서버(2041), 메일 전송 프로그램(2042), 제어 응용 프로그램(2043), 응용 프로그램을 감시하는 프로그램(204L)이 탑재되어있다. 서비스 태스크(2071-207n)는 I/O 리소스(5)에 접속된 각종 기기로부터의 출력 정보와 입력 정보의 처리를 수행한다. 서비스 태스크(2081-208K)는 LAN(41, 42)에 접속된 장치를 감시하고 제어한다. 또한, 서비스 태스크(2081)는 프로토콜 스택(2031) 및 LAN 드라이버(2011)를 통해 LAN(41)에 접속된 장치를 감시하고 제어한다. 또한, 서비스 태스크(208K)는 프로토콜 스택(2032) 및 LAN 드라이버(2012)를 통해 LAN(42)에 접속된 장치를 감시하고 제어한다(예컨대, ON/OFF 제어, 또는 도 1에 도시된 LAN(42)에 접속된 가전 기기의 동작상태). 한편, 프로토콜 스택(2031)은 TCP/IP 스택이다.
PPP 인증 장치(2021)는 LOGIN 명칭과 패스워드를 이용한 인증 서비스 구현 프로그램이고, 전화 회선(40)을 통해 제어기(110)에 액세스하려 하는 원격 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발신원(사용자)이 인증 프로그램에 의해 수용되지 않으면 제어기(110)에 액세스할 수 없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인증 프로그램(205)은 각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한 인증을 실행하고, 응용 프로그램-인증 프로그램(205)에 의해 수용된 응용 프로그램만이 수행될 수 있다. 서비스 태스크-인증 프로그램(206)은 서비스 태스크(2071-207N, 2081-208K)의 각각을 사용하기 위한 인증을 실행하고, 서비스 태스크-인증 프로그램(206)에 의해 수용된 서비스 태스크만이 실행될 수 있다.
도 14는 서비스 태스크-인증 프로그램(206)에 의해 사용되는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 테이블에서는, 각 서비스 태스크에 대해, 액세스 수용 그룹, 및 각각의 수용된 태스크의 우선 순위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각 서비스 태스크 그룹의 클래스 레벨과 그 우선 순위가 각 사용자 ID에 할당된다.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서비스 태스크가 서비스 태스크 그룹의 상기 할당 클래스에 존재하면, 이 사용자는 상기 서비스 태스크를 이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원하는 서비스 태스크의 우선 순위가 현재 수용된 우선 순위보다 더 낮으면, 상기 원하는 서비스 태스크가 이용될 수 있다(이 실시예에서, 낮은 레벨 번호는 높은 우선순위를 나타낸다). 상기 수용된 사용자가 아닌 발신원은 홈(51)에서 제공된 어떤 서비스도 제공받을 수 없다. 또한, 서비스 태스크-인증 프로그램(206)은 각 서비스 태스크 그룹의 클래스 레벨만을 사용하여, 또는 각 서비스 태스크의 우선 순위만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인증(205)의 방법은 서비스 태스크-인증(206)의 방법과 유사하다. 즉, 응용 프로그램-인증(205)은 각 응용 그룹의 클래스 레벨 및 각 응용 프로그램의 그 우선 순위를 이용하여 인증 기능을 실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기(110)에서는 발신원의 전화 번호의 등록의 검사, PPP 인증, 응용 프로그램-인증, 및 서비스 태스크-인증의 4단계의 인증 단계가 제공되므로, 외부로부터 홈 서버(1)로의 부정 액세스가 방지될 수 있어, 홈에서 보안이 현저히 향상된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4단계의 기능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증 기능을 생략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2에서, 두 종류의 LAN(41, 42)이 제어기(110)에 접속되어 있지만, 하나 또는 두개의 LAN이 제거될 수 있다. 당연히, 상기 제어기에 접속된 LAN은 두종류의 LAN(41, 42)에 한정되지 않고, 세 종류 이상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은 제어기(1101)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 구성은 제어기(1101, 1102,...110P)의 전형적인 예이다. 제어기(1101)는, 홈 서버에 액세스하는 전화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의 등록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101), 모뎀(102), PPP(202), PPP-인증 프로그램(2021)을 제어기(110)의 구성으로부터 제거하고, LAN 제어기(1020) 및 LAN 드라이버(2010)를 삽입하여 구성된다. 제어기(1101)는 응용 프로그램-인증 프로그램 및 서비스 태스크-인증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된 두 단계 인증 서비스를 사용함으로써 제어기 내부의 리소스로의 부정 액세스를 방지할 수 있고, 이는 보안이 현저하게 향상된 홈 내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홈 서버(1)에 액세스하는 전화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의 등록 여부를 검사하는 홈 서버(1) 내의 장치(101)는 등록된 전화 번호만의 전화를 접속하여 외부로부터 홈 서버(1)로의 부정 접속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홈 서버(1)의 보안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시간에만, 인터넷 접속 서비스 제공자(71)로부터 홈 서버(1)로 다이얼업 IP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따라서, 홈 서버(1)를 인터넷 접속 서비스 제공자에 항상 접속할 필요가 없어, 전화 회선 사용료 및 인터넷 접속 서비스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는 인터넷 접속 제공자로의 계속적인 접속에 기인한 외부로부터 홈 서버(1)로의 부정 액세스의 높은 가능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7)

  1. 통신 회선을 통해 발신원(전화를 건 사람 또는 기기)으로부터 전송된 요구를 접수하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며, 그 자신의 홈에서 홈 서버에 접속된 기기를 제어하는 홈 서버에 있어서,
    상기 발신원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요구를 수행하는 것이 수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전화 번호 일치 검출 수단(상기 홈 서버에 액세스하는 전화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장치);
    상기 전화 번호 일치 검출 수단에 의해 수용(accept)된 상기 요구를 수신하는 모뎀 수단;
    상기 요구 신호를 인터넷 서비스 요구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처리 수단;
    상기 프로토콜 처리 수단에 의해 변환된 상기 인터넷 서비스 요구에 대응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상기 발신원에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 수단; 및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인터넷 서비스가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제어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면, 상기 홈 내의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서버.
  2. 통신 회선을 통해 발신원(전화를 건 사람 또는 기기)으로부터 전송된 요구를 수신하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 자신의 홈에서 홈 서버에 접속된 기기를제어하는 홈 서버에 있어서,
    상기 발신원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요구를 수행하는 것이 수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전화 번호 일치 검출 수단(상기 홈 서버에 액세스하는 전화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장치);
    상기 전화 번호 일치 검출 수단에 의해 수용된 상기 요구를 수신하는 모뎀수단;
    상기 요구 신호를 인터넷 서비스 요구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처리 수단; 및
    상기 프로토콜 처리 수단에 의해 변환된 상기 인터넷 서비스 요구에 대응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상기 발신원에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서버.
  3. 통신 회선을 통해 발신원(전화를 건 사람 또는 기기)으로부터 전송된 요구를 수신하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 자신의 홈에서 홈 서버에 접속된 기기를 제어하는 홈 서버에 있어서,
    상기 발신원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요구를 수행하는 것이 수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전화 번호 일치 검출 수단(상기 홈 서버에 액세스하는 전화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장치);
    상기 전화 번호 일치 검출 수단에 의해 수용된 상기 요구를 수신하는 모뎀 수단; 및
    상기 요구 신호를 인터넷 서비스 요구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처리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서버.
  4. 통신 회선을 통해 발신원(전화를 건 사람 또는 기기)으로부터 전송된 요구를 수신하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 자신의 홈에서 홈 서버에 접속된 기기를 제어하는 홈 서버에 있어서,
    상기 발신원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요구를 수행하는 것이 수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전화 번호 일치 검출 수단(상기 홈 서버에 액세스하는 전화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장치); 및
    상기 전화 번호 일치 검출 수단에 의해 수용된 상기 요구를 수신하는 모뎀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서버.
  5. 통신 회선을 통해 발신원(전화를 건 사람 또는 기기)으로부터 전송된 요구를 수신하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 자신의 홈에서 홈 서버에 접속된 기기를 제어하는 홈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전화 번호 일치 검출 수단에 의해 수용된 상기 요구를 수신하는 모뎀 수단;
    상기 요구 신호를 인터넷 서비스 요구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처리 수단; 및
    상기 프로토콜 처리 수단에 의해 변환된 상기 인터넷 서비스 요구에 대응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상기 발신원에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서버.
  6.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 서비스를 요구하는 정보 단말;
    상기 인터넷 서비스를 중계하는 통신 회선; 및
    상기 전송된 인터넷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제1항에 따른 홈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넷 서비스는 상기 정보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7.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원으로부터 요구된 인터넷 서비스를 전송하는 인터넷;
    상기 인터넷으로부터 상기 인터넷 서비스를 수신하고, 상기 발신원과, 상기 발신원이 접속하고자 하는 수신 목적지 사이의 상기 접속을 구현하는 서비스 제공자;
    상기 인터넷 서비스를 전송하는 통신 회선; 및
    상기 전송된 인터넷 서비스를 수신하는 제1항에 따른 홈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넷 서비스는 상기 인터넷으로부터 구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KR10-2001-0053160A 2000-12-15 2001-08-31 홈 서버 및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KR100398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86771 2000-12-15
JP2000386771A JP2002185635A (ja) 2000-12-15 2000-12-15 ホームサーバ及びインターネットサービス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912A KR20020046912A (ko) 2002-06-21
KR100398012B1 true KR100398012B1 (ko) 2003-09-19

Family

ID=18853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160A KR100398012B1 (ko) 2000-12-15 2001-08-31 홈 서버 및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020078385A1 (ko)
EP (1) EP1217801A2 (ko)
JP (1) JP2002185635A (ko)
KR (1) KR1003980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08263B2 (en) 2001-02-26 2007-12-11 Kineto Wireless, Inc. Apparatus for supporting the handover of a tele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a licensed wireless system and an unlicensed wireless system
US20050054327A1 (en) * 2003-09-04 2005-03-10 David Johnst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to determine authentication priority between devices
US20050071494A1 (en) * 2003-09-30 2005-03-31 Rundquist William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ixed bandwidth communications over a local area network
WO2005041475A1 (en) * 2003-10-24 2005-05-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rrangements and methods relating to security in networks supporting communication of packet data
US20080025723A1 (en) * 2006-04-21 2008-01-31 Yaron Mayer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cheap efficient high-speed home networks.
JP5192077B2 (ja) * 2010-03-11 2013-05-08 朗 西畑 Vpnによる秘匿通信方法、そのシステム、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
US9686393B1 (en) * 2016-09-21 2017-06-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ervice call identif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86227A5 (fr) * 1992-10-15 1996-02-15 Busch & Cie Composites Crosse de hockey.
US5754306A (en) * 1993-06-15 1998-05-19 Hewlett-Packard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a communication system
US5867562A (en) * 1996-04-17 1999-02-02 Scherer; Gordon F. Call processing system with call screening
US5809118A (en) * 1996-05-30 1998-09-15 Softell System and method for triggering actions at a host computer by telephone
US5862339A (en) * 1996-07-09 1999-01-19 Webtv Networks, Inc. Client connects to an internet access provider using algorithm downloaded from a central server based upon client's desired criteria after disconnected from the server
JP3895804B2 (ja) * 1996-07-26 2007-03-22 株式会社日立コミュニケ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双方向通信システム
US6167120A (en) * 1996-11-06 2000-12-26 Lextron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home networking
SE520137C2 (sv) * 1997-03-11 2003-06-03 Ericsson Telefon Ab L M Metod och anordning för att från en Internetansluten dator sända sitt telefonnummer till en uppringd telefon med hjälp av en tjänst i en nod
US6151628A (en) * 1997-07-03 2000-11-21 3Com Corporation Network access methods, including direct wireless to internet access
US6273835B1 (en) * 1997-10-14 2001-08-14 Steven M. Battis Hockey stick blade sleeve
US6529501B1 (en) * 1998-05-29 2003-03-04 3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net telephony
US6430276B1 (en) * 1998-11-18 2002-08-06 Hewlett-Packard Company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providing generic network access service
GB2344670B (en) * 1998-12-12 2003-09-03 Ibm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US6711610B1 (en) * 1999-09-10 2004-03-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secure internet communication between a remote computer and a host computer via an intermediate internet computer
US20030104883A1 (en) * 2001-12-03 2003-06-05 Daniel Caron Blade portion for a hockey sti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43694A1 (en) 2006-06-29
JP2002185635A (ja) 2002-06-28
EP1217801A2 (en) 2002-06-26
US20020078385A1 (en) 2002-06-20
KR20020046912A (ko) 200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1593B1 (ko) 통신망을 통한 원격제어서비스 제공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7412727B2 (en) Media streaming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040243710A1 (en) Method of user data exchange in the data network and a data network
US20060143694A1 (en) Home server and internet service system
US6144657A (en) Remote device connection to a network
JP2003110596A (ja) データ通信サービス提供方法
US632125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imultaneous network management of voice and data signals
KR20020076891A (ko) 무선인터넷 접속시스템
CN100563162C (zh) 一种实现网络访问控制的方法
JPH10294755A (ja) 情報端末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0909115B1 (ko) 네트워크 자동 로그인 시스템
US7181520B2 (en) Method for filtering internet protocol packet in customer premise equipment for digital subscriber lines
JP2003298659A (ja) ホームサーバシステムへのアクセス先通知方式
US11985106B2 (en) Method for managing a request to access an internet site from an access device
KR100376566B1 (ko) 아이피 키폰 시스템의 원격 업그레이드 장치 및 방법
JP2001352411A (ja) ダイヤルアップ接続システム
KR20020022903A (ko) 유동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화상통화서비스제공시스템 및 방법
JP2001268261A (ja) 移動網を用いたデータ通信サービスの提供方法、移動網を用いたデータ通信サービスの提供を受ける移動機、および外部装置
KR100925117B1 (ko) 동적 ip주소 기반의 시스템 사이의 상호 연결을 위한주소 등록 및 그 접속 유지 방법 및 회로부
JP2004140657A (ja) 電子メールの到着を通知する方式
JPH11308365A (ja) ネットワーク接続装置
KR20010108760A (ko) 이메일 수신 확인 서비스 장치
JP2001230831A (ja) 移動機、外部装置、および移動機と外部装置を接続する接続装置
JP2004032130A (ja) インターネットアドレス通知及び認証システム
KR20020061258A (ko) 주거용 통신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