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806B1 - 전동식 유량제어 밸브 - Google Patents

전동식 유량제어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806B1
KR100396806B1 KR10-1999-7009385A KR19997009385A KR100396806B1 KR 100396806 B1 KR100396806 B1 KR 100396806B1 KR 19997009385 A KR19997009385 A KR 19997009385A KR 100396806 B1 KR100396806 B1 KR 100396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ball
valve
motor
actuato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9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6301A (ko
Inventor
요코야마히사시
미야케도시히코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06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6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8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Abstract

모터의 일단과 이단의 대향면에, 양자간에 보존해야 할 볼의 센터링 기능을 갖는 보존부를 설치하고, 슬리브베어링을 불필요로 하고 모터 하우징에서 모터 홀더측에 돌출해서 베어링을 위치결정 보존하는 보스를 상기 모터 하우징과 일체로 설치하고, 로터와 스테이터의 축맞춤 정밀도를 높이고, 모터의 베어링 구조를 간략화해 축맞춤 정밀도를 높인 것이다.

Description

전동식 유량제어 밸브{MOTORIZED FLOW RATE CONTROL VALVE}
도 1은 배기가스 재순환 제어장치를 표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 에서, 1 은 내연기관인 엔진, 2는 엔진(1)에 흡입되는 공기를 유통시키는 흡기관, 3 은 흡기관(2)으로부터 분기해서 각 기통에 공기를 유통시키는 인테이크 매니폴드, 4 는 흡기관(2)의 상류측에 설치된 에어클리너, 5 는 흡기관(2)내에 설치되어 연료를 분사하는 인젝터이고, 상기 에어클리너(4)를 통해서 흡기관(2)내에 유입된 공기는 인젝터(5)에 의해 공급되는 연료와 함께 엔진(1)내에 흡입된다.
6 은 엔진(1)에 흡입되는 흡기량을 변화시키는 스로틀 밸브, 7 은 스로틀 밸브(6)를 바이패스하는 유로인 바이패스통로에 설치된 아이들 회전속도 제어밸브이다.
엔진(1)에 흡입된 혼합가스는 도시하지 않은 점화플러그에 의해 연소되고, 연소후의 배기가스는 배기관(8)을 통해서 3원 촉매로 되는 정화장치(9)에서 정화되어 대기중에 방출된다.
10 은 유로인 배기가스 환류로에 배치되어 유로중의 배기가스의 유량을 제어하는 스텝퍼 모터형의 전동식 유량제어밸브이다.
11 은 전자식 제어유닛으로, 스로틀 밸브(6)의 개도를 검출하는 스로틀 개도센서(12), 흡기관(2)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13), 엔진(1)의 냉각수온을 검출하는 수온센서(14), 및 점화코일(15)와 이그나이터(16)로 되는 점화장치등의 운전상태 검출수단에서 얻어진 정보에 따라, 전동식 유량제어밸브(10)에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도 2 는 상기한 전동식 유량제어밸브(10)를 표시하는 구성도이다.
21 은 엔진(1)의 배기관(8)에 연통하는 입력포트(21a)와 엔진(1)의 흡기관(2)에 연통하는 출력포트(21b)와, 입력포트(21a)와 출력포트(21b)사이의 유로인 환류유로(21c)를 갖는 밸브하우징, 22 는 밸브하우징(21)의 환류유로(21c)내에 설치된 밸브시트, 23 은 밸브시트(22)의 개구를 개폐하는 밸브체, 24 는 일단에 밸브체(23)가 부착되고, 왕복동해서 밸브체(23)를 개, 폐의 위치에 이동시키는 밸브봉으로서의 밸브샤프트, 25 는 밸브하우징(21)에 부착된 밸브샤프트(24)의 베어링이 되는 부시, 27 은 밸브하우징(21)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밸브샤프트(24)의 타단에 부착된 스프링홀더이다.
28 은 밸브하우징(21)으로부터 밸브샤후트(24)가 돌출하는 쪽에, 예를들어 주철에 의해 하우징(21)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브래킷이다.
이 브래킷(28)은 스테핑모터(29)측이 절두원추형의 요(凹)상태로 패인(이하 요(凹)상부(28a)라고 한다), 일정높이의 컵형상을 한 것이다.
그리고, 브래킷(28)의 스테핑 모터(29)측에는, 이 스테핑모터(29)가 모터홀더(30)를 통해서, 간격유지부재(31)와 부착나사(32)로 부착되는 플렌지부(28b)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렌지부(28b)는 그 단면 사이즈가 스테핑모터(29)를 지지할 수 있는 강도상 필요최소한의 사이즈, 또는 이보다 약간 큰 사이즈(예를들면, 면적이 강도상 필요한 면적의 2배정도가 되는 사이즈)이다.
또, 이 플렌지부(28b)의 주위에는, 요(凹)상부(28a)에 연통하는 개구공(28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28)의 밸브하우징(21)측에는 밸브샤프트(24)로 부시(25)내를 상하작동하는 범위내에 디포짓의 부착을 방지하는 홀더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모터홀더(30)는 열전도율이 좋은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중공하부 중심부에 하베어링(33)이 부착되며, 밸브하우징측에 이 밸브하우징 사이에 극간(34)를 형성하는 길이의 방열핀(35)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고, 이 구성에 의해, 배기가스에 고열이 스테핑모터(29)측에 전달되는 것을 저감한다.
다음, 스테핑모터(29)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36 은 중공의 모터하우징, 37 은 로터이고 그 상부는, 볼(49)과 슬리브 베어링(38)이며, 하부는 하 베어링(33)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외주부에 마그넷(39)이 부착되어 있다.
이 로터(37)의 중심부는 상하방향으로 향하여 중공이 되어 있고, 내면에 나사부(37a)가 형성되어 있다.
40a, 40b는 모터하우징(36)의 내부에, 로터(37)의 마그넷(39)에 대향하도록 부착되고, 내부에 보빈(41a),(41b)이 수납되어 있는 상,하 요크, 42a,42b는 보빈(41a)에 감겨진 코일, 42b1,42b2 는 보빈(41b)에 감겨진 코일, 43 은 상하의 요크(40a),(40b)를 자기적으로 분리하는 플레이트, 44 는 모터하우징(36)의 성형시에 수지재가 로터 삽입부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 모터하우징(36)내의 상부에 설치된 침입방지판, 45 는 로터(37)의 내부의 나사부(37a)에 맞추어진 상태로 지지되고, 모터홀더(30)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며 선단부가 상,하로 이동해서 밸브샤프트(24)에 압압하는 액추에티어 로드이다.
이 액추에이터 로드(45)는 이 액추에이터 로드의 베어링과 함께 회전방지작용을 갖는 모터부시(54)에 의해 회전이 저지되어 있으므로, 로터(37)의 회전에 의해 상하동한다.
또 이 액추에이터 로드(45)에는 로터(37)의 스토퍼부(37b)에 걸리거나 이탈하는 스토퍼부(45b)가 설치되어 있고, 소정량 이상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46 은 로터(37)의 상단에 설치된 요(凹)부(37c)내에 조립된 플레이트, 47 은 로터(37)의 축선상에서 침입방지판(44)에 형성된 요(凹)부이고, 플레이트(46)에 올려놓은 볼(49)의 센터링을 한다.
50 은 하 베어링(33)에 예압을 주기 위한 SPL와셔, 51은 각 코일에 펄스전류를 공급하는 커넥터이다.
이 커넥터(51)은 도 4 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42a1),(42a2),(42b1),(42b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터미널 ①~⑥과 커넥터하우징(51a)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 ①,③,④,⑥과 접지간에는, 스위칭트랜지스터 Tr1 ~ Tr4가 접속되고, 코일(422a1),(42a2)의 일단이 접속된 터미널 ②, 코일(42b1),(42b2)의 일단이 접속된 터미널 ⑤는 스위치 SW를 통해서 전원공급단자 +B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커넥터하우징(51a)과 모터하우징(36)과는 수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52 는 스프링홀더(27)와 브래킷(28)사이에 개재시킨 코일스프링이고, 스프링홀더(27)를 통해서 밸브샤프트(24)를 도면중 위쪽으로 작동하고 밸브체(23)를 폐쇄상태로 보존한다.
이 폐쇄상태시, 밸브샤프트(24)와 액추에이터로드(45)사이에는 극간(53)이 형성되고 밸브체(23)은 확실하게 폐쇄상태로 보존된다.
다음, 이 전동식 유량 제어밸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구동원으로서의 스테핑모터(29)는 로터(37)가 연속적으로 회전하지 않고, 1 회전정도만 돌아간다.
그래서 우선 상측코일(42a1),(42a2)에 위에서 보아 반시계방향 회전에 통전하면, 코일상면이 N극, 코일 하면이 S극이 되고, 스테이터는 N극이 된다.
마찬가지로 하측코일(42b1),(42b2)에도 통전하고 스테이터에 자극을 발생시킨다.
로터(37)에는 S극, N극으로 세분한 마그넷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테이터중에서 안정되는 위치까지 회전한다.
실제로는, 도 4 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위상(PHASE)을 순차 변화시킴으로써, 1스텝씩 회전한다.
예를들면 밸브체(23)를 열때는, 위상을 0→1→2→3→0→1 이고, 밸브체(23)를 닫을때는 위상을 0→3→2→1→0→3과 같이 변화시킨다.
그리고 로터(37)의 나사부(37a)에 맞죄어지는 액추에이터 로드(45)는 로터(37)의 회전에 따라, 예를들면 도면중 아래쪽으로 이동해서 브래킷(28)과 스프링홀더(27)사이에 압축된 코일스프링(52)의 탄성력에 반해서 밸브샤프트(24)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고, 밸브체(23)를 열도록 한다.
이로써 밸브하우징(21)의 입력포트(21a)측의 고온의 엔진 배기가스는 그 유량을 밸브체(23)에서 제어되면서, 환류유로(21c)를 통해서 출력포트(21b)측으로 이동한다.
또, 상기 코일(42a1),(42a2),(42b1),(42b2)에 대한 통전위상순서를 변경하면, 스테이터의 발생자극이 반전하기 때문에 로터(37)은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로터(37)의 회전방향에 따라, 액추에이터 로드(45)는 도면중 상향으로 이동한다.
이때문에 밸브샤프트(24)는 코일스프링(52)에 의해 도면중 상향으로 이동하고, 밸브체(23)를 폐쇄시킨다.
그리고 스토퍼부(45b)가 로터(37)의 스토퍼부(37b)에 닿으면 액추에이터로드(45)의 이동은 정지된다.
종래의 전동식 유량제어밸브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로터(37)의 센터링은 로터(37)의 단면에 설치된 플레이트(46)와 모터하우징(36)사이에 설치한 볼(49)를 받는 침입방지관(44)의 요(凹)부와 슬리브베어링(38)으로 실시하고 있으므로, 부품수가 많고, 조립이 복잡한 동시에 슬리브베어링(38)은 고가이므로 코스트업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모터축의 타단측을 받는 베어링의 위치결정을 모터홀더의 보스부에서 실시하고 있으므로, 모터홀더의 보스부와 모터하우징의 위치결정(동축도)의 정밀도를 올릴 필요가 있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된것으로 슬리브베어링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부품수의 삭감과 코스트 저감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베어링의 위치결정 정밀도를 쉽게 올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로터와 걸어맞추는 엑추에이터 로드를 로터의 회전에 따라 왕복동시키고, 상시 폐쇄방향으로 작동된 밸브샤프트를 액추에이터 로드로 밀어 움직여서 밸브체를 여는 전동식 유량제어밸브에 있어서, 로터의 일단과 이 단의 대향면과의 사이에 보존되는 볼을 센터링하는 보존부를 구비하고, 보존부는 로터에 고정되며, 볼이 면하는 평면을 구비한 관상(管狀)오목부를 갖는 제1의 플레이트와, 볼의 상부에 면하는 표면을 갖는 동시에 이 볼이 곡면과 상보적인 만곡을 갖는 제2의 플레이트를 구비한 것으로 슬리브베어링을 폐지할 수가 있다.
이 결과 프릭션의 저감 및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로터와 걸어맞추는 엑추에이터 로드를, 로터의 회전에 따라 황복동시키고, 상시 폐쇄방향으로 작동된 밸브샤프트를 액추에이터로드로 밀어 움직여서 밸브체를 여는 전동식 유량제어밸브에 있어서, 로터의 일단과 이 단의 대향면에 양자간에 보존하여야 할 볼의 센터링기능을 갖는 보존부로서, 볼의 하부에 맞닿고, 이 볼이 면하는 평면을 구비한 제1의 플레이트와, 볼의 상부에 면하는 표면을 갖는 동시에 이 볼의 곡면과 상보적인 만곡을 갖는 제2의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보존부와, 모터하우징으로부터 모터홀더측으로 돌출하는 보스로서, 모터하우징과 일체로 되고, 베어링을 고정위치에 보존하는 보스를 구비한 것으로 모터하주이과의 축맞춤정밀도를 용이하게 올릴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모터하우징으로부터 모터홀더측으로 돌출하는 보스로서, 모터하우징과 일체로 되고, 베어링을 고정위치에 보존하는 보스를 더 구비하고, 이 모터하우징은 로터, 엑추에이터로드, 제1 및 제2의 플레이트, 볼 및 보존부를 수납하는 것으로 슬리브베어링을 폐지하고, 로터와 스테이터의 축맞춤정밀도를 용이하게 올릴수가 있다.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배기가스의 NOx 등의 저감을 목적으로 한 배기가스 재순환 제어장치등에 사용되는 전동식유량 제어밸브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배기가스 재순환 제어장치를 표시하는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전동식 유량제어밸브의 종단면도.
도 3 은 모터코일의 접속도.
도 4 는 코일에 대한 통전위상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 에 의한 전동식 유량제어밸브의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 에 의한 전동식 유량제어밸브의 배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 에 의한 전동식 유량제어밸브의 우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 에 의한 전동식 유량제어밸브의 평면도.
도 9 는 도 8 Ⅶ-Ⅶ 선에 따른 종단면도.
도 10 은 로터의 확대종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 에 의한 전동식 유량제어밸브이 종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 에 의한 전동식 유량제어밸브의 종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에 따라 이를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5 에서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 에 의한 전동식 유량제어밸브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101은 엔진(1)의 배기관(8)에 연통하는 입력 포트(101a)와, 엔진(1)의 흡기관(2)에 연통하는 출력포트(101b)와, 입력포트(101a)와 출력포트(101b)사이의 유로인 환류유로(101c)를 갖는 밸브하우징(102)의 개구를 개폐하는 밸브체, 104 는 일단에 밸브체(103)가 부착되고, 왕복동해서 밸브체(103)를 개, 폐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밸브봉으로서의 밸브샤프트, 105 는 밸브하우징(101)에 부착된 밸브샤프트(104)의 베어링이 되는 부시, 107 은 밸브하우징(101)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밸브샤프트(104)의 타단에 부착된 스프링홀더이다.
108 은 밸브하우징(101)에서 밸브샤프트(104)가 돌출하는 쪽에 예를들어 주철에 의해, 하우징(101)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브래킷이다.
이 브래킷(108)은 스테핑 모터(109)측이 절두원추형의 요(凹)상으로 패인(이하 요(凹)상부(108a)라고 함), 일정높이의 컵 형상을 한 것이다.
그리고, 브래킷(108)의 스테핑모터(109)측에는 이 스테핑 모터(109)가 모터홀더(110)을 통해서 간격보존부재(111)와 부착나사(112)로 부착되는 플랜지부(108b)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108b)는 그 단면 사이즈가 스테핑모터(109)를 지지할 수 있는 강도상 필요최소한의 사이즈, 또는 이보다 약간 큰 사이즈(예를들면 면적이 강도상 필요로 하는 면적의 2배정도가 되는 사이즈)이다.
또 이 플랜지부(108b)주위에는, 요(凹)상부(108a)에 연통하는 개구구멍(108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108)의 밸브하우징(101)측에는, 밸브샤프트(104)로 부시(113)내를 상하돌하는 범위내에 디포짓의 부착을 방지하는 홀더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 모터홀더(110)는 열전도율이 좋은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중공하부 중심부에 하베어링(113)이 부착되고 밸브하우징측에 이 밸브하우징과의 사이에 극간(114)을 형성하는 길이의 방열핀(115)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며 이 구성에 의해, 배기가스의 고열이 스테핑모터(109)측에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킨다.
다음, 스테핑모터(109)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116 은 중공의 모터하우징, 117 은 로터이고, 그 상부는, 볼(129)이고, 하부는 하베어링(113)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외주부에 마그넷(119)가 부착되어 있다.
이 로터(117)의 중심부는 상하방향을 향해 중공이 되어 있고, 내면에 나사부(117a)가 형성되어 있다.
120a , 120b 는 모터하우징(116)의 내부에, 로터(117)의 마그넷(119)에 대향하도록 부착되고, 내부에, 보빈(121e),(121b)가 수납되어 있는 상하요크, 122a1, 122a2 는 보빈(121a)에 감겨진 코일, 122b1, 122b2 는 보빈(121b)에 감긴 코일 123 은 상,하의 요크(120a),(120b)을 자기적으로 분리하는 플레이트, 124 는 모터하우징(116)의 성형시에 수지체가 로터 십압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 모터 하우징(116)내의 상부에 설치된 침입장지판, 125 는 로터(117)의 내부에 나사부(117a)에 맞추어진 상태로 지지되고 모터홀더(110)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며 선단부가 상,하로 이동해서 밸브샤프트(104)에 압압하는 액추에이터 로드이다.
이 액추에이터로드(125)는 이 액추에이터 로드이 베어링과 함께 회전방지작용을 갖는 모터부시(134)에 의해 회전이 저지되기 때문에, 로터(117)의 회전에 의해 상하동한다.
또, 이 액추에이터 로드(125)에는, 로터(117)의 스토퍼부(117b)에 걸리거나 이탈하는 스토퍼부(125b)가 설치되어 있고, 소정량이상의 위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126 은 로터(117)의 상단에 설치된 플레이트이고, 상기 플레이트(126)와 침입방지판(124)에는 볼(129)의 센터링 기능을 갖는 보존부(126a)와(124a)가 대향해서 형성되어 있다.
130 은 베어링(113)에 예압을 주기 위한 SPL와셔, 131 은 각 코일에 펄스전류를 공급하는 커넥터이다.
이 커넥터(131)는 상기 도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122a1),(122a2),(122b1),(122b2)및 전원공급단자 +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터미널 ①~⑥과, 커넥터 하우징(131a)로 구성된다.
132 는 스프링 홀더(107)와 브래킷(18)사이에 개재시킨 코일 스프링이고, 스프링홀더(107)를 통해서 밸브샤프트(104)를 도면중 위쪽으로 작동시키며, 밸브체(103)를 폐쇄상태로 보존한다.
이 폐쇄상태시, 밸브샤프트(104)와 액추에이터 로드(125)사이에는 극간(133)이 형성되고 밸브체(103)는 확실하게 폐쇄상태로 보존된다.
다음 이 전동식 유량제어 밸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코일(122a1),(122a2),(122b1),(122b2)에 대한 통전위상을 상기 도 3 에 표시한 바와 같이, 순차 변화시킴으로써, 로터(117)은 1스텝씩 회전한다.
이 경우, 로터(117)의 하부는 베어링(113)으로 지지되고, 상부는 센터링 기능을 갖는 보존부(126a)과(124a)에 보존된 볼(129)로 지지되므로, 로터상부에 슬리브베어링을 설치하지 않아도 로터(117)는 원활하게 회전할 수가 있다.
상기 로터(117)의 회전에 의해, 이 로터 중심부의 나사부(117a)에 맞취지는 액추에이터 로드(125)는 예를들면 도면중 아래쪽으로 이동해서 브래킷(108)과 스프링홀더(107)사이에 압축된 코일스프링(132)의 탄성력에 반해서 밸브샤프트(104)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고, 밸브체(103)를 개방시킨다.
이로써 밸브하우징(101)의 입력포트(101a)측의 고온의 엔진배기가스는, 그 유량을 밸브체(103)에서 제어되면서 환류유로(101c)를 통해서 출력포트(101b)측으로 이동한다.
또, 상기 코일(122a1),(122a2),(122b1),(122b2)에 대한 통전위상순서를 상기와 반대로 변경하면, 스테이터의 발생자극이 반전하므로, 로터(117)는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로터(117)의 회전방향에 따라, 액추에이터 로드(125)는 도면중 상향으로 이동한다.
이때문에 밸브샤프트(104)는 코일스프링(132)에 의해 도면중 상향으로 이동하고, 밸브체(103)를 폐쇄시킨다.
그리고 스토퍼부(125b)가 로터(117)의 스토퍼부(117)에 닿으면, 액추에이터 로드(125)의 이동은 정지된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의 형태 1 에 의하면, 로터(117)의 일단에 설치한 플레이트(126)와 이 플레이트에 대향해서 모터하우징(116)의 내면에 설치한 침입방지판(124)에 양자간에 보존하는 볼(129)의 센터링 기능을 갖는 보존부(126a)와 (124a)를 형성한 것에 의해, 슬리브 베어링을 폐지시킬수가 있다.
이 결과, 프릭션의 저감 및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의 형태 2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전동식 유량제어밸브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모터하우징(116)에서 모터홀더(110)측에 베어링(113)을 위치결정 보존하는 보스(116a)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다른 구성은 상기 도 9 와 같으므로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 에 의하면, 모터하우징(116)과 일체로 동일금형으로 형성한 보스(116a)로 베어링(113)를 위치결정 보존함으로써, 로터와 스테이터의 축맞춤 정밀도를 쉽게 상슬시킬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3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 에 의한 전동식 유량제어밸브이 종단면도이다,
이 실시의 형태 3 은 슬리브 베어렁을 폐지한 실시의 형태 1 의 구성과, 모터하우징(116)과 일체로 형성된 보스(116a)에 의해 베어링(113)의 위치결정 보존을 하는 실시의 형태 2 의 구성을 조합시킨 것으로, 도 9, 도 11 에 표시하는 각 실시의 형태와 같은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하면, 실시의 형태 1,2를 조합하였음르ㅗ, 양 실시의 형태가 갖는 효과를 구비하고, 전동식 유량제어밸브로서 극히 유효하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밸브축에 하나의 밸브가 부착되어 있는 유량제어밸브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밸브축에 2개의 밸브를 부착하는 소위 더블 밸브방식의 유량제어밸브에 사용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전동식 유랭 제어밸브는 배기가스 환류로에 배치되고 유로중에 배기가스의 유량을 제어하는 것으로, 모터의 베어링구조를 간략화하고 베어링 정밀도를 높인 것이다.

Claims (3)

  1. 로터(117)와 걸어맞추는 엑추에이터로드(125)를, 로터(117)의 회전에 따라 왕복동시키고, 상시 폐쇄방향으로 작동된 밸브샤프트(104)를 상기 액추에이터로드(125)로 밀어 움직여서 밸브체를 여는 전동식 유량제어밸브에 있어서, 로터(117)의 일단과 이단의 대향면과의 사이에 보존되는 볼(129)을 센터링하는 보존부(124a)(126a)를 구비하고, 상기 보존부(124a)(126a)는 상기 로터(117)에 고정되며, 상기 볼(129)이 면하는 평면을 구비한 관상(管狀)오목부를 갖는 제1의 플레이트(126)와, 볼(129)의 상부에 면하는 표면을 갖는 동시에 이 볼(129)의 곡면과 상보적인 만곡을 갖는 제2의 플레이트(12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유량제어 밸브.
  2. 로터(117)와 걸어맞추는 액추에이터로드(125)를, 로터(117)의 회전에 따라 왕복동시키고, 상시 폐쇄방향으로 작동된 밸브샤프트(104)를 상기 액추에이터로드(125)로 밀어 움직여서 밸브체를 여는 전동식 유량 제어밸브에 있어서, 로터(117)의 일단과 이 단의 대향면에 양자간에 보존하여야 할 볼(129)의 센터링 기능을 갖는 보존부(124a)(126a)로서, 상기 볼(129)의 하부에 맞닿고, 이 볼(129)의 면하는 평면을 구비한 제1의 플레이트(126)와, 볼(129)의 상부에 면하는 표면을 갖는 동시에 이 볼(129)의 곡면과 상보적인 만곡을 갖는 제2의 플레이트(124)를 구비하는 보존부(124a)(126a)와, 모터하우징(116)으로부터 모터홀더측으로 돌출하는 보스(116a)로서, 상기 모터하우징(116)과 일체로 되고, 베어링(113)을 고정위치에 보존하는 보스(116a)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유량제어 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모터하우징(116)으로부터 모터홀더측으로 돌출하는 보스(116a)로서, 상기 모터하우징(116)과 일체로 되고, 베어링(113)을 고정위치에 보존하는 보스(116a)를 더 구비하고, 이 모터하우징(116)은 로터(117), 액추에이터로드(125) 제1 및 제2의 플레이트(124)(126), 볼(129) 및 보존부(124a)(126a)를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유량제어 밸브.
KR10-1999-7009385A 1998-02-24 1998-02-24 전동식 유량제어 밸브 KR100396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8/000735 WO1999044275A1 (fr) 1998-02-24 1998-02-24 Vanne de regulation de debit motorise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6301A KR20010006301A (ko) 2001-01-26
KR100396806B1 true KR100396806B1 (ko) 2003-09-02

Family

ID=14207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9385A KR100396806B1 (ko) 1998-02-24 1998-02-24 전동식 유량제어 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81903B2 (ko)
EP (1) EP0982838B1 (ko)
KR (1) KR100396806B1 (ko)
DE (1) DE69837538T2 (ko)
WO (1) WO19990442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96198B (en) * 2002-05-22 2005-06-22 Alex Colas Linear proportional valve
DE10325211B4 (de) * 2003-05-28 2006-10-05 Saia-Burgess Dresden Gmbh Gasdichter Ventilantrieb mit Motor und Sicherheitsschließfunktion
JP4531359B2 (ja) * 2003-07-18 2010-08-25 三菱電機株式会社 モータ
WO2006086236A1 (en) * 2005-02-08 2006-08-17 Parker-Hannifin Corporation Electric motor driven valve assembly having stator sealing
US20060214127A1 (en) * 2005-03-25 2006-09-28 Ali Shajii Parallel plate valve assembly
EP2021892B1 (en) 2006-04-27 2013-02-20 Sko Flo Industries, Inc. Flow control valve
US7395708B2 (en) * 2006-04-28 2008-07-08 Skoflo Industries, Inc. Flow measuring apparatus including a piston movable in the flow barrel
GB0905710D0 (en) * 2009-04-02 2009-05-20 Rolls Royce Goodrich Engine Co Staging valve
JP5965712B2 (ja) * 2012-04-25 2016-08-10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用駆動モータのステータ
GB2508868A (en) * 2012-12-13 2014-06-18 Johnson Electric Sa Suspension system for the rotor of a linear actuator
DE102014109247B4 (de) * 2014-07-02 2019-06-19 Pierburg Gmbh Modular aufgebautes Regelventil
TWM604078U (zh) * 2020-07-30 2020-11-11 第一傳動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線材保護機制的電動推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6520A (ja) * 1991-12-25 1993-07-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テッピングモータの軸受構造
JPH08163856A (ja) * 1994-12-07 1996-06-21 Asmo Co Ltd ステッピングモータを用いた駆動装置
JPH08266034A (ja) * 1995-03-23 1996-10-11 Tec Corp 直動形ステッピングモーター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29969A (en) * 1938-09-30 1941-01-28 Gen Electric Enclosed ball bearing
DE2716573A1 (de) * 1977-04-14 1978-10-19 Fritz Stahlecker Lagerung fuer den spinnrotor eines offenend-spinnaggregates
JPS62117373U (ko) * 1986-01-20 1987-07-25
JPS62136680U (ko) * 1986-02-21 1987-08-28
JPS6454773U (ko) * 1987-09-30 1989-04-04
DE4128110A1 (de) * 1991-08-24 1993-02-25 Swf Auto Electric Gmbh Elektromotor mit an der ankerwelle angebrachter schnecke
JPH0556622A (ja) * 1991-08-28 1993-03-05 Seiko Epson Corp リードスクリユウ型ステツピングモータ
JPH06303757A (ja) * 1993-04-13 1994-10-28 Seiko Epson Corp Pm型ステッピングモータ
JP2978677B2 (ja) 1993-07-07 1999-11-15 三菱電機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電動制御弁装置
JP3546469B2 (ja) 1994-06-03 2004-07-28 三菱電機株式会社 流量弁制御装置
DE4427312A1 (de) * 1994-08-02 1996-02-08 Bosch Robert Gmbh & Co Kg Antriebsaggregat mit einem elektrischen Antriebsmotor und einem diesem nachgeordneten Schneckengetriebe
US5811903A (en) * 1995-09-26 1998-09-22 Sankyo Seiki Mfg. Co., Ltd. Motor
KR100247356B1 (ko) * 1996-11-09 2000-03-15 윤종용 모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6520A (ja) * 1991-12-25 1993-07-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テッピングモータの軸受構造
JPH08163856A (ja) * 1994-12-07 1996-06-21 Asmo Co Ltd ステッピングモータを用いた駆動装置
JPH08266034A (ja) * 1995-03-23 1996-10-11 Tec Corp 直動形ステッピングモー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37538T2 (de) 2007-12-20
EP0982838A4 (en) 2001-06-27
DE69837538D1 (de) 2007-05-24
US6581903B2 (en) 2003-06-24
US20020008219A1 (en) 2002-01-24
EP0982838B1 (en) 2007-04-11
EP0982838A1 (en) 2000-03-01
WO1999044275A1 (fr) 1999-09-02
KR20010006301A (ko) 200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6806B1 (ko) 전동식 유량제어 밸브
JP3068746B2 (ja) 電動式流量制御弁
US8191520B2 (en) Variable valve operating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262498B1 (en) Electromagnetic drive mechanism
JP3876589B2 (ja) 気筒制御式エンジンの弁休止機構
US6708675B2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KR100390763B1 (ko) 유량제어밸브
KR20150032473A (ko) 액추에이터 및 밸브 장치
JP4200098B2 (ja) 燃料噴射弁
US20040099245A1 (en) Mouting device for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JP2013024137A (ja) エンジン及びエンジン作業機
EP1092082A2 (en) Injector egr valve and system
JPH0844432A (ja) 流量制御弁
CN210660377U (zh) 柴油机进气歧管
JP2000018399A (ja) 流量制御弁
JPH08266035A (ja) 直動形ステッピングモーター
US20030140907A1 (en) Flexible circuit connection for moving coil of an automotive emission control valve
JP2000136760A (ja) 排気ガス還流装置
JP4741778B2 (ja) ソレノイド及びソレノイドバルブ
CN112065621A (zh) 柴油机进气歧管
KR0166520B1 (ko) 엔진의 밸브 개폐장치
JP2000304150A (ja) 電動式流量制御弁
JP4186387B2 (ja) 内燃機関の電磁駆動式動弁機構
CN117888976A (zh) 一种精准控制开度的电磁气门及其控制方法
JPH04209964A (ja) 燃料噴射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