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5854B1 - 흙구조물의외장재 - Google Patents

흙구조물의외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5854B1
KR100395854B1 KR1019970701316A KR19970701316A KR100395854B1 KR 100395854 B1 KR100395854 B1 KR 100395854B1 KR 1019970701316 A KR1019970701316 A KR 1019970701316A KR 19970701316 A KR19970701316 A KR 19970701316A KR 100395854 B1 KR100395854 B1 KR 100395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exterior
facer
panels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1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첼 잭 페르난드 바스틱
알랑 죠세
장-마르크 제이록스
피에르 세그레스틴
폴 쇼츠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시벌 데 브레벳 앙리 비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시벌 데 브레벳 앙리 비달 filed Critical 소시에떼 시벌 데 브레벳 앙리 비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 Floor Finish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안정화된 흙 구조물의 외장재를 형성하기 위해 조립되는 외장재 패널(1)이 제공된다. 그 외장재 패널은 옆으로 인접한 외장재 패널들의 측부 가장자리들에 맞대어 결합하는 2개의 측부 가장자리(2)를 가지고 있고, 각각의 측부 가장자리는 외장재 패널의 전체 높이에 걸쳐 똑바로 연장하는 전면부(5)와 그 전면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면부를 가지고 있고, 그 후면부는 그 후면부의 길이의 일부에 걸쳐 위치하는 측방 돌출부(8)와 그 후면부의 길이의 다른 일부에 걸쳐 위치하는 접합면(6, 7)을 가지며, 상기 측방 돌출부는 옆으로 인접한 외장재 패널들의 측부 가장자리들에 있는 각각의 접합면의 뒷면에 결합하여 상기 외장재 패널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접합면은 옆으로 인접한 외장재 패널들의 각각의 측방 돌출부의 앞면에 결합하여 상기 외장재 패널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제공되어 있다.

Description

흙 구조물의 외장재
공지의 안정화된 흙 구조물의 한가지 타입에 있어서는, 흙 구조물의 외장재로부터 흙더미 내로 후방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기다란 안정화 부재에 의해 흙을 안정화시킨다. 그러한 구조에서는, 스트립(strip) 또는 그리드(grid) 형태일 수 있는 안정화 부재와의 마찰 결합에 의해 흙더미 전체에 걸쳐 흙이 안정화된다. 통상, 흙 구조물의 외장재는 스트립 또는 그리드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는 콘크리트 패널로 구성되어 있다.
GB-A-1,324,686호에, 대체로 십자형으로 되어 있는 콘크리트 패널들을 서로 연결하여 외장재를 형성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그 공보의 도 2 내지 도 7 참조). 이것은 기술적으로 매우 우수한 것이고 성공적이었지만, 성형하는 것이 복잡하기 때문에 값이 비싸다는 문제가 있고, 구조에 따라서는 저렴한 외장재가 요망될 수도 있다. 또한, 정면에서 본 때, 그 외장재는 십자형들이 조합된 배열로 보이며, 이것은 외장재에 매력적인 외관을 부여하지만, 몇몇 경우에는, 더욱 단순한 외관을 나타내는 외장재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 요망될 수 있다.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외장재 패널도 상기한 GB-A-1,324,686호에 개시되어 있다(그 공보의 도 8 내지 도 11 및 도 29 내지 도 31 참조). 이들 외장재 패널의 측부 가장자리들 사이의 결합은 외장재 패널의 전체 높이에 걸쳐 반겹침(반턱) 이음(half-lap joint)으로 되어 있다. 그러한 이음은, 어떤 패널의 측부 가장 자리가 옆으로 인접한 패널의 측부 가장자리에 대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도록 작용하지만, 전후방 이동 모두를 구속하지는 못한다. 옆으로 인접한 패널들 사이의 전후방 이동 모두를 구속하는 측부 가장자리 이음의 한가지 타입은 은촉 이음(tongue and groove joint)이다. 그러나, 돌출부와 홈을 가지는 패널을 성형하는 것이 어렵고, 또한, 돌출부와 홈을 가지는 패널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그 돌출부와 홈을 형성하는데 충분한 두께를 확보하기 위해, 패널을, 예를들어, 반겹침 이음이 사용되는 경우보다 더 두껍게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안정화된 흙 구조물의 외장재(facing)를 형성하기 위해 조립되는 외장재 패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외장재 패널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IV로 나타낸 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옆으로 인접한 외장재 패널들의 측부 가장자리의 단면도.
도 5는 도 2에 V로 나타낸 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하로 인접한 외장재 패널들의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의 단면도.
도 6은 외장재 패널의 사시도.
도 7은 시공(施工) 시의 인접한 외장재 패널들의 정면 사시도.
도 8은 시공 시의 인접한 외장재 패널들의 후면 사시도.
도 9는 외장재 패널들의 시공 순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 패널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단면도로서, 외장재 패널의 측부 가장자리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10과 유사한 단면도로서, 측부 가장자리들에 은촉 이음(tongue and groove joint) 시스템을 가진 종래의 외장재 패널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0과 유사한 단면도로서, 공지의 십자형 외장재 패널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예의 외장재 패널로 조립되는 외장재의 일부를 나타내는 배면도.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화된 흙 구조물의 외장재를 형성하기 위해 조립되는 외장재 패널로서, 그 외장재 패널은 옆으로 인접한 외장재 패널들의 측부 가장자리들에 맞대어 결합하는 2개의 측부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고, 각각의 측부 가장자리는 외장재 패널의 전체 높이에 걸쳐 똑바로 연장하는 전면부와 그 전면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면부를 가지고 있고, 그 후면부는 그 후면부의 길이의 일부에 걸쳐 위치하는 측방 돌출부와 그 후면부의 길이의 다른 일부에 걸쳐 위치하는 접합면(abutment)을 가지며, 상기 측방 돌출부는 옆으로 인접한 외장재 패널들의 측부 가장자리에 있는 각각의 접합면의 뒷면에 결합하여 상기 외장재 패널의 전방이동을 구속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접합면은 옆으로 인접한 외장재 패널들의 각각의 측방 돌출부의 앞면에 결합하여 상기 외장재 패널의 후방 이동을 구속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다수의 외장재 패널를 조립하여 구성되는 안정화된 흙 구조물의 외장재, 및 그러한 외장재를 가진 안정화된 흙 구조물에까지도 미친다.
각각의 측부 가장자리에 실질적으로 똑바른 전면부를 제공함으로써, 외장재는 정면에서 볼 때 비교적 단순한 외관을 나타내어, 건축 마무리의 자유로운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외장재 패널이 실질적으로 똑바른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를 가지는 경우, 그 외장재 패널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 된다. 그러나, 건축적인 이유 때문에 다른 형상의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가 요구되는 경우, 이것도 가능하다.
각각의 측부 가장자리의 형상은 단순한 외관을 부여하면서, 그 측부 가장자리에서 옆으로 인접한 외장재 패널들에 대하여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외장재 패널을 구속하는 이점을 가진다. 이것은 측부 가장자리에, 그의 길이의 일부에 걸쳐 있는 측방 돌출부와 그의 길이의 다른 일부에 걸쳐 있는 접합면을 포함하는 후면부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그 측방 돌출부와 접합면은 측부 가장자리의 길이의 서로 다른 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외장재 패널은, 예를들어, 한쪽 측부 가장자리에 돌출부를 가지고 다른 쪽 측부 가장자리에 홈을 가지는 종래의 외장재 패널에 비해 비교적 얇게 될 수 있다. 측부 가장자리 가까이에서,예를 들어, 9 cm의 두께를 가지는 종래의 외장재 패널은 한쪽 측부 가장자리에 돌출부를 가지고, 다른 쪽 측부 가장자리에는 2개의 플랜지(각각의 두께가 대략 3 cm인)를 가진다. 그 돌출부와 플랜지는 금형으로 성형하는 것이 어렵고, 쉽게 부서지며, 또한 옆으로 인접한 패널들에 대한 상대적인 전후 이동에 대한 충분한 저항을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그 패널은 두껍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장재 패널은 그의 측부 가장자리 가까이에서 9 cm의 두께를 가진다.
본 발명의 외장재 패널을 조립하여 구성되는 외장재는 바람직하게는, 다수열의 외장재 패널들로 이루어지고, 각 열의 외장재 패널들이 하나의 외장재 패널의 폭만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고, 다음 열의 외장재 패널의 하부 부분이 상기 간격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시공(施工) 시에 각각의 외장재 패널이 아래열에 이미 설치된 2개의 외장재 패널들 사이로 하강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그리하여, 상하로 인접한 외장재 패널들 사이의 횡방향 연장 이음부가 이웃하는 횡 방향 연장 이음부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어긋나 있게 된다. 따라서, 횡방향 연장 이음부들이 서로 엇갈려 있게 된다.
그러나, 또 다르게는, 횡방향 연장 이음부들이 서로 정렬되어, 외장재를 가로질러 연속적인 횡방향 이음부를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것은 통상, 외장재 패널이 외장재 뒤에서 흙 안정화 수단에 부착되기 전에 각각의 외장재 패널을 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클램프를 사용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외장재 패널은 각각의 측부 가장자리의 상반부에 위치하는 측방돌출부와, 각각의 측부 가장자리의 하반부에 위치하는 접합면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외장재 패널은 후방에서 본 형상이 대체로 T자형이다. 그 외장재 패널들은, 각각의 외장재 패널을 옆으로 인접한 외장재 패널들에 대하여 거꾸로 하여 조립되어, 정렬된 횡방향 이음부들을 가지는 외장재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외장재 패널들의 바람직한 조립 형태에서는, 모든 외장재 패널들은 상단이 위에 있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상단이 아래에 있도록 배치되며, 그들 2가지 배치 모두에서 횡방향 이음부가 상하방향으로 어긋나 있다. 따라서, 첫 번째 외장재 패널의 측부 가장자리의 측방 돌출부가 첫 번째 외장재 패널에 옆으로 인접한 두 번째 외장재 패널의 측부 가장자리의 접합면 뒤에 결합하고, 첫 번째 외장재 패널의 동일 측부 가장자리의 접합면이 첫 번째 외장재 패널에 옆으로 인접한 세 번째 외장재 패널(이 패널은 두 번째 외장재 패널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한다)의 측부 가장자리의 측방 돌출부 앞에 결합한다. 그러한 측부 가장자리 결합은 전후방 이동을 구속할 뿐이기 때문에, 일단 두 번째 외장재 패널과 세 번째 외장재 패널 모두가 설치되면, 시공 시에 새로이 하강된 외장재 패널과 그 패널 양측의 외장재 패널들의 측부 가장자리들 사이에 임시 클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형태의 외장재 패널은 한쪽 측부 가장자리에는 그의 하반부에 측방 돌출부를 가지고 그의 상반부에 접합면을 가지며, 다른 쪽 측부 가장자리에는 그의 상반부에 측방 돌출부를 가지고 그의 하반부에 접합면을 가진다. 그러한 외장재 패널은 후방에서 본 형상이 대체로 Z자형이다. 그 외장재 패널들은 횡방향 연장 이음부이 정렬되어 있는 외장재를 형성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장재 패널에서는, 각각의 측부 가장자리의 후면부는 그의 길이의 상하 부분 각각에 상부 및 하부 접합면을 가지고, 그의 길이의 중간 부분에 측방 돌출부를 가진다. 그러한 외장재 패널은 후방에서 본 형상이 대체로 십자형이다. 이러한 형상의 외장재 패널을 조립하여 시공할 때, 이미 설치된 2개의 외장재 패널들 사이에 하나의 외장재 패널이 하강될 때, 새로이 하강된 외장재 패널의 측부 가장자리는 이미 설치된 2개 외장재 패널의 상부 접합면과 측방 돌출부의 상단에 결합한다. 이것은 외장재 패널의 하강 중에 가이드 역할을 하며, 새로이 하강된 외장재 패널의 측부 가장자리들에서 그 패널의 전후 이동을 구속한다.
중간부에 위치한 측방 돌출부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외장재 패널의 높이의 절반과 동일하여, 외장재에서 외장재 패널의 측방 돌출부가 아래 열의 옆으로 인접한 외장재 패널들의 측방 돌출부 상에 얹히도록 한다. 그러나, 그 높이를 그보다 작게 하여, 외장재에서 측방 돌출부들 사이에 수직 간극이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측방 돌출부는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부 및 하부 접합면의 높이는 외장재 패널의 높이의 1/4일 수 있고, 측방 돌출부의 높이는 외장재 패널의 높이의 절반일 수 있다. 측방 돌출부가 중앙에 위치하지 않는 다른 구조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부 접합면의 높이는 외장재 패널의 높이의 1/6일 수 있고, 측방 돌출부의 높이는 외장재 패널의 높이의 절반일 수 있, 하부 접합면의 높이는 외장재 패널의 높이의 1/3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장재 패널로부터 조립된 외장재에 있어서, 상하로 인접한 외장재 패널들 사이의 횡방향 연장 이음부는 옆으로 인접한 외장재 패널들의 중간 높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배열에서, 이미 설치된 2개의 외장재 패널들 사이로 하강된 외장재 패널에 주어지는 지지량은 항상 동일하다. 그러나, 횡방향 이음부가 옆으로 인접한 외장재 패널에 대하여 다른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열에 대해서는 그 외장재 패널의 높이의 1/3, 다음 열에 대해서는 그 외장재 패널의 높이의 2/3 등으로 할 수 있다. 이것은, 어떤 외장재 패널이 이미 설치된 외장재 패널의 높이의 1/3에 걸쳐서만 그 패널을 지나도록 하강되고, 다음 열, 즉, 상기 높이의 2/3에 걸쳐 하강되는 외장재 패널보다도 적은 지지량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그러한 배열은 특별한 건축적 효과를 달성하는데 필요할 수 있다.
외장재 패널의 상부, 하부 및 측부 가장자리들은 외장재 패널이 외장재에서 2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장재 패널의 정면에 비대칭적인 건축 마무리가 사용되는 경우, 외장재에 원하는 외관을 부여하기 위해 외장재 패널이 상단을 위로 하거나 또는 거꾸로 하여 사용될 수 있다. 중앙에 측방 돌출부를 가진 십자형 외장재 패널, 또는 Z자형의 외장재 패널에서는, 원하는 건축적 효과를 얻기 위해 외장재에서의 패널 위치에 관계없이 각 외장재 패널의 방향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는, 외장재 패널이 2개의 이미 설치된 외장재 패널들 사이의 위치로 하강된 때, 예를 들어, 그 외장재 패널의 측방 돌출부가 이미 설치된 외장재 패널의 측방 돌출부 상에 얹히는 곳에 위치된 수평축을 중심으로 피봇 운동이 일어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후방에서 본 때 십자형으로 된 외장재 패널의 경우에는, 외장재 패널의 하부 부분이 전방으로 피봇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외장재 패널은 외장재 패널의 하부 가장자리에 제공되어 그 외장재 패널이 아래에 위치하는 외장재 패널에 대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수단은 피봇 운동을 저지시키고, 흙 안정화 부재에 연결되기 전에 외장재 패널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작용할 수 있다. 그 수단은 외장재 패널에 일체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장재 패널의 하부 가장자리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그 오목부에 결합할 수 있는 수직 돌출부를 아래에 위치하는 외장재 패널의 상부 가장자리에 제공한다. 그러나, 제작을 쉽게 하기 위해(외장재 패널을 콘크리트와 같은 경화성 재료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함), 상기 수단은, 외장재 패널의 본체와 별개로 되어 있고, 사용 시에 외장재 패널의 하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부분적으로 끼워지고, 또한 아래에 위치하는 외장재 패널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부분적으로 끼워지는 전단(剪斷) 저항 지지 패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단지 하부 및 상부 가장자리들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만이 필요하고, 그 오목부 외에서는 이들 가장자리가 대체로 편평한 것과 같은 단순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때로는, 평면으로 본 때 곡선을 이루는 외장재를 축조하는 것이 요구되기도 한다. 따라서, 외장재 패널의 측부 가장자리는 인접한 외장재 패널들이 평면으로 본 때 곡선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 이것은 시공 시에 측방 돌출부와 접합면의 원하는 결합을 달성하면서 인접한 외장재 패널들이 서로에 대해 피봇하여 조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측부 가장자리 결합 구조는 외장재 패널을 비교적 얇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외장재 패널이 흙 안정화 부재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추가 두께가 요구될 수도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장재 패널은 외장재 뒤에서 그 외장재 패널을 흙 안정화 부재에 연결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그 연결수단이 제공되지 않은 부분에서보다 그 연결수단이 제공된 부분에서 더 두껍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외장재 패널은 적어도 2개의 두껍게 된 리브(rib)를 가질 수 있고, 그 리브를 따라 다수의 연결수단이 배치되어 있다. 그러한 리브는 최대 굽힘 모멘트를 받는 위치에서 외장재 패널을 보강하도록 외장재 패널에 배치되어, 외장재 패널의 평균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장재 패널의 추가 두께는 2가지 기능, 즉, 외장재 패널에의 연결수단의 정착을 향상시키고 최대 굽힘 모멘트 지역에서의 굽힘 저항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측방 돌출부는, 인접한 외장재 패널의 측방 돌출부로부터 돌출하는 핀을 수용하여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내부에 플라스틱 또는 금속 슬리브가 배치된 수직의 원통형 구멍을 가지는 것이 요구될 수도 있다. 그러나, 그 슬리브와 핀을 제공하는 것은 외장재 패널의 성형을 복잡하게 한다. 따라서, 외장재 패널이 금형에 의해 성형되고, 외장재 뒤에서 외장재 패널을 흙 안정화 부재에 연결하는 수단 이외에는, 함께 성형되는 삽입물을 가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것은 성형 과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외장재 패널(1)은 2개의 측부 가장자리(2)와, 상부 가장자리(3) 및 하부 가장자리(4)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측부 가장자리(2)는 외장재 패널의 전체 길이에 걸쳐 똑바로 연장하는 챔퍼(chamfer) 형상의 전면부(5)와, 그 전면부 뒤에 위치하는 후면부를 가지고 있다. 그 후면부는 그 후면부의 길이의 상부 부분에 있는 상부 접합면(6)과, 그 후면부의 길이의 하부 부분에 있는 하부 접합면(7), 및 그 후면부의 길이의 중간 부분에 있는 측방 돌출부(8)를 가지고 있다. 그 측방 돌출부(8)는 후면부의 길이를 따라 중앙에 제공되어 있고, 도 7및 도 8을 참조하여 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시공(施工) 시에 상하로 인접하는 외장재 패널들 사이의 수직방향 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부 접합면(6)의 길이와 하부 접합면(7)의 길이의 합보다 약간 짧은 길이를 가진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그 측방 돌출부(8)가 반드시 중앙에 위치될 필요는 없고, 그 경우, 그 측방 돌출부는 외장재 패널의 길이의 절반보다 작은 길이를 가진다.
외장재 패널은 그의 정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하고 두껍게 된 2개의 리브(rib)(9)를 가지고 있고, 그 리브의 주된 목적은, 외장재 패널에 매립되고 후방으로 돌출하는 다수의 수직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연결 러그(lug)(9)가 배치되는 패널 부분에 충분한 두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리브(9)의 길이를 따라 간격을 두고 3개의 연결 러그(10)가 제공되어 있으나, 물론, 리브와 러그의 수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그 연결 러그(10)들은 공지의 방식으로 흙 안정화 스트립 또는 다른 형태의 흙 안정화 수단에 외장재 패널을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제공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외장재 패널의 상부 가장자리(3)에는 측방으로 떨어져 있는 한 쌍의 오목부(11)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오목부(11)내에 전단(剪斷) 저항 지지 패드(12)가 끼워지고, 그들 지지 패드(12)는 상부 가장자리(3)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위쪽의 외장재 패널의 하부 가장자리(4)에 형성된 대응하는 오목부(도시되지 않음)에 결합한다. 바람직하게는, 그 지지 패드(12)와 오목부(11)에 의해 상부의 외장재 패널의 높이 조정을 행하도록 하여, 시공 시에 상부의 외장재 패널의 정확한 위치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오목부(11)의 바닥면과 지지 패드(12)의 바닥면 각각에 나선형의 경사면을 제공하고, 그 경사면들을 서로 맞물리게 하여, 지지 패드를 회전시킴으로써 지지 패드의 상면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측방으로 떨어져 있는 한 쌍의 지지 패드의 위치에서 외장재 패널의 수직방향 위치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형태를 갖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장재 패널은 전체적인 두께가 9 cm이고, 리브(9)가 제공된 곳에서는 두께가 17 cm까지 증가한다. 이 패널의 높이는 210 cm이고, 폭은 170 cm이다.
외장재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외장재 패널의 시공 순서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첫 번째 열의 절반 높이 외장재 패널(1a)들을 적절히 준비된 장소에 일렬로 설치한다. 이들 외장재 패널(1a)은 하나의 외장재 패널 폭과 동일한 거리만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두 번째 열에 속하는 외장재 패널(1b)들을 상기 절반 높이 외장재 패널(1a)들 사이에 위로부터 끼운다. 그들 외장재 패널(1a, 1b)뒤에 맨아래 쌍의 연결 러그(10x)들의 위치까지 흙을 메운 다음, 바람직하게는 스트립 형태인 흙 안정화 부재들을 그 연결 러그들에 부착한다. 그 다음, 그 흙 안정화 부재들 위에 흙을 메워, 외장재 패널(1b)들을 제 위치에 확고하게 보유시킨다. 세 번째 열에 속하는 외장재 패널(1c)들을 상기 절반 높이 외장재 패널(1a)들 위에 놓이도록 두 번째 열의 외장재 패널(1b)들 사이에 위로부터 끼운다. 그 다음, 그 패널들 뒤에 외장재 패널(1b)의 연결 러그(10y)들의 위치까지 흙을 채우고, 그 연결 러그들에 흙 안정화 부재를 연결한다. 그리고, 세 번째 열의 외장재 패널(1c)의 맨 아래 연결 러그(10x)들의 위치까지 뒤채움(backfilling)을 행하고, 이들 연결 러그(10x)에 흙 안정화 부재들을 연결하고, 두 번째 열의 외장재 패널(1b)의 맨 위 연결 러그(10z)들의 위치까지 뒤채움을 행하고, 이들 연결 러그(10z)에 흙 안정화 부재들을 연결한다. 이들 단계를 반복하여, 추가 열들의 외장재 패널들을 설치한다. 필요한 경우, 완벽한 정렬을 얻도록 각 패널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클램프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9의 외장재 패널(1c)을 고려하면, 그 외장재 패널(1c)의 양쪽 측부 가장 자리의 후면부에 있는 하부 접합면(7)이, 옆으로 인접한 외장재 패널(1b)들의 측부 가장자리의 후면부에 있는 측방 돌출부(8)의 앞면에 결합하고, 또한 그 외장재 패널(1c)의 양쪽 측부 가장자리의 후면부에 있는 측방 돌출부(8)가, 옆으로 인접한 외장재 패널(1b)들의 측부 가장자리의 상부 접합면(6) 뒤에 결합한다. 그래서, 외장재 패널(1c)의 양쪽 측부 가장자리에서, 그의 측방 돌출부(8)가 옆으로 인접한 외장재 패널(1b)에 대한 외장재 패널(1c)의 전방 이동을 구속하고, 그의 하부 접합면(7)이 옆으로 인접한 외장재 패널(1b)에 대한 외장재 패널(1c)의 후방 이동을 구속한다. 이것은 외장재 패널(1c)이 그의 흙 안정화 부재에 연결되기 전에 실현된다. 이 연결이 일어나기 전에, 외장재 패널(1c)의 측방 돌출부(8)가 인접한 외장재 패널(1b)들의 측방 돌출부(8)상에 얹힐 때 외장재 패널(1c)이 그의 바닥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외장재 패널(1c)을 하강시키기 전에, 한 쌍의 전단 저항 지지 패드(12)를 절반 높이 외장재 패널(1a)의 상부 가장자리(3)의 오목부(11)내에 끼운다. 그리고, 외장재 패널(1c)을 하강시키면 그 지지 패드(12)가 외장재 패널(1c)의 하부 가장자리(4)에 있는 대응하는 오목부에 결합된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그 지지 패드(12)를 회전시킴으로써 외장재 패널(1c)의 위치가 조정된다. 일단 외장재 패널(1c)이 하강되면, 지지 패드(12)가 그 외장재 패널(1c)과 절반 높이 외장재 패널(1a)을 전단(剪斷) 연결한다.
그래서, 외장재 패널은 흙 안정화 부재에 연결되기 전에 안정된 상태로 위치 결정된다. 또한, 외장재 패널들의 측부 가장자리는 각각의 외장재 패널이 하강될 때 적절한 가이드의 역할을 하고, 외장재 패널들이 엇갈리게 조립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후방에서 볼 때 대체로 T자형으로 되어 있으나, 전방에서 볼 때는 상기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실질적으로 사각형으로 된 변형예의 외장재 패널을 나타낸다. 이 외장재 패널(1)의 각 측부 가장자리(2)는 그의 후면부에, 그의 길이의 상반부에 있는 측방 돌출부(8)와 그의 길이의 하반부에 있는 하부 접합면(7)을 가지고 있다. 그 측방 돌출부(8)와 하부 접합면(7), 및 그 외장재 패널의 전방에 있는전면부(5)의 수평 단면 형상은,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외장재 패널의 대응하는 부분들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낸 외장재 패널의 시공 순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대체로 유사하다. 그러나, 외장재 패널(1c)은 그의 하부 접합면(7)이 옆으로 인접한 외장재 패널(1b)들의 측방 돌출부(8) 앞에 결합함으로써, 옆으로 인접한 외장재 패널(1b)들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구속된다. 그러나, 도 13에 도시된 시공 순서의 단계에서는(점선으로 나타낸 외장재 패널(1d)은 아직 설치되지 않음), 측부 가장자리들이 결합하여 있어도 외장재 패널(1c)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지 못하기 때문에, 외장재 패널(1b, 1c)들 사이에 간단한 클램프(15)들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단 흙 안정화 부재가 외장재 패널(1c)에 부착되면 그 외장재 패널이 제 자리에 확고하게 보유되기 때문에, 이들 클램프는 임시적일 수 있다. 완성된 외장재에서는, 외장재 패널(1c)의 측방 돌출부(8)가 다음 열에 속하는 외장재 패널(1d)의 대응하는 하부 접합면(7) 뒤에 결합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바람직하게는 콘크리트와 같은 경화성 재료를 사용하여 성형되는 외장재 패널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에 관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장재 패널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20)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10의 왼쪽은 측방 돌출부(8)를 성형하는 금형 부분의 단면이고, 도 10의 오른쪽은 접합면(6 또는 7)을 성형하는 금형 부분의 단면이다. 이 금형(20)은 단일체로 되어 있고, 단순한 별도의 성형 블록(21)을 사용한다. 이 성형 블록(21)은, 예를 들어, PVC로 되어 있고, 각각의 접합면(6 또는 7)을 형성하기 위해 금형의 일부를 차지한다. 도 1 내지 도 8의 외장재 패널에 대해서는 4개의 그러한 성형 블록이 필요하고, 도 13의 외장재 패널에 대해서는 2개가 필요하다. 성형재료가 경화되면, 성형 블록이 성형된 외장재 패널과 함께 금형으로부터 간단히 제거되고, 다음에, 그 성형 블록이 성형된 외장재 패널로부터 분리된 다음, 재사용될 수 있다. 외장재 패널의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들의 형상이 간단하기 때문에, 용이한 제거가 가능하다. 금형의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에 있는 오목부들은 강(鋼) 금형 내의 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는 자기(磁氣) 성형 블록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또는 그 오목부들이 원추 형태의 제거가능한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1은, 측부 가장자리들에 은촉 이음형 연결부를 가진 공지의 외장재 패널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22)을 나타낸다. 이 금형(22)은 제거가능한 벽(23)을 가지고 있고, 그 벽은 제거, 분해 및 세정되고, 새로운 외장재 패널의 성형을 위해 재조립되는 구조로 되어야 한다.
도 12는 공지의 십자형 외장재 패널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24)을 나타낸다. 도 12의 오른쪽은 십자형 외장재 패널의 측부 분지(分枝)들 중 하나를 성형하는 금형 부분의 단면이고, 도 12의 왼쪽은 십자형 외장재 패널의 오목하게 된 모서리 부분들 중 하나를 성형하는 금형 부분의 단면이다. 상기한 금형(22)과 같이, 이 금형(24)도, 성형된 외장재 패널을 금형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분해되어야 하는 제거가능한 부분들을 가지고 있고, 이들 부분 중 하나가 부호 25로 나타내어져 있다.
따라서, 도 10에 나타낸 금형은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된 공지의금형보다 사용하기가 더 쉽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분해-재조립 순서가 제거됨으로써,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외에,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지점(30, 31, 32)들에서의 물과 성형재료의 누출이 없기 때문에 양질의 제품이 얻어질 수 있다.

Claims (11)

  1. 다수 열의 외장재 패널들로 이루어진 안정화된 흙 구조물의 외장재로서, 그 외장재의 각 열의 외장재 패널들이 하나의 외장재 패널의 폭만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고, 상기 외장재의 다음 열에 위치하는 외장재 패널의 하부 부분이 상기 외장재의 앞 열의 2개의 인접하는 외장재 패널들 사이에 형성된 간격 내에 수용되는 상기 흙 구조물의 외장재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외장재 패널이, 옆으로 인접한 외장재 패널들의 측부 가장자리와 맞대어 결합하기 위한 2개의 측부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고, 각각의 상기 측부 가장자리는 상기 외장재 패널의 전체 높이에 걸쳐 똑바로 연장하는 전면부와 그 전면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면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측부 가장자리의 상기 후면부는 그 후면부의 길이의 일부에 걸쳐 위치하는 측방 돌출부와 그 후면부의 길이의 다른 일부에 걸쳐 위치하는 접합면을 가지며, 상기 측방 돌출부는 옆으로 인접한 외장재 패널들의 측부 가장자리들에 있는 각각의 접합면의 뒷면에 결합하여 상기 외장재 패널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접합면은 옆으로 인접한 외장재 패널들의 각각의 측방 돌출부의 앞면에 결합하여 상기 외장재 패널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구조물의 외장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 패널의 측부 가장자리의 상기 후면부는 그 후면부의 길이의 상하 부분에 각각 위치하는 상부 접합면 및 하부 접합면과, 그 후면부의 길이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측방 돌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구조물의 외장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 패널의 상부 가장자리, 하부 가장자리 및 측부 가장자리는 상기 외장재 패널이 상기 외장재에서 2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구조물의 외장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 패널의 하부 가장자리에 제공되어, 그 외장재 패널이 아래에 위치하는 외장재 패널에 대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구조물의 외장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외장재 패널의 본체와 별개로 되어 있고, 사용 시에 상기 외장재 패널의 하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부분적으로 끼워지고, 또한 상기 아래에 위치하는 외장재 패널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부분적으로 끼워지는 전단(剪斷) 저항 지지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구조물의 외장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 패널의 상기 측부 가장자리는 인접한 외장재 패널들이 평면으로 본 때 곡선으로 배열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구조물의 외장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 패널의 정면 형상이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구조물의 외장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 패널이 상기 외장재 뒤에서 상기 외장재 패널을 흙 안정화 수단에 연결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외장재 패널의 두께는 상기 연결수단이 제공되지 않은 부분에서보다 상기 연결수단이 제공된 부분에서 더 두껍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구조물의 외장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 패널이 금형에 의해 성형되고, 상기 외장재 뒤에서 상기 외장재 패널을 흙 안정화 수단에 연결하는 수단 이외에는, 함께 성형되는 삽입물을 가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구조물의 외장재.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 패널의 하부 가장자리에 제공되어, 그 외장재 패널이 아래에 위치하는 외장재 패널에 대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구조물의 외장재.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 패널의 하부 가장자리에 제공되어, 그 외장재 패널이 아래에 위치하는 외장재 패널에 대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구조물의 외장재.
KR1019970701316A 1994-09-01 1995-09-01 흙구조물의외장재 KR1003958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417573A GB9417573D0 (en) 1994-09-01 1994-09-01 Facing panel for earth structures
GB9417573.4 1994-09-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5854B1 true KR100395854B1 (ko) 2003-11-17

Family

ID=10760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1316A KR100395854B1 (ko) 1994-09-01 1995-09-01 흙구조물의외장재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5823717A (ko)
EP (1) EP0781364B1 (ko)
JP (1) JP3322883B2 (ko)
KR (1) KR100395854B1 (ko)
CN (1) CN1157019A (ko)
AT (1) ATE163209T1 (ko)
AU (1) AU687625B2 (ko)
CA (1) CA2198082A1 (ko)
DE (1) DE69501621D1 (ko)
ES (1) ES2104524T3 (ko)
FI (1) FI970883A (ko)
GB (1) GB9417573D0 (ko)
HK (1) HK1003901A1 (ko)
MY (1) MY116832A (ko)
NO (1) NO970928L (ko)
TR (1) TR199501086A2 (ko)
TW (1) TW297072B (ko)
WO (1) WO1996006983A1 (ko)
ZA (1) ZA95723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772B1 (ko) 2011-03-25 2011-07-05 종합건축사사무소명승건축(주) 친환경적인 건축용 옹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45180A1 (en) * 2004-04-29 2007-01-24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Inc. Veneers for walls, retaining walls and the like
GB2445182B (en) * 2006-12-23 2011-03-23 James Alan Thompson Assembly for dissipating wave energy through diffraction
AU2008265549A1 (en) * 2007-06-21 2008-12-24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Inc. Veneers for walls, retaining walls, retaining wall blocks, and the like
US20090151281A1 (en) * 2007-11-20 2009-06-18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Inc. Method of constructing a wall or fence with panels
US20100139183A1 (en) * 2008-12-08 2010-06-10 Klaus Eigl Concrete panel
US20100215442A1 (en) * 2009-02-26 2010-08-26 Ackerstein Industries Retaining wall stabilization system
CA3106531A1 (en) * 2009-09-29 2011-04-07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Inc. Wall blocks, veneer panels for wall blocks and method of constructing walls
CA3030708A1 (en) 2016-07-21 2018-01-25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Llc Veneer connectors, wall blocks, veneer panels for wall blocks, and walls
CA3000082C (en) * 2017-10-03 2019-04-09 Risi Stone Inc. Reversible segmental retaining wall block, mold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and methods of forming retaining walls with same
JP6328359B1 (ja) * 2018-01-10 2018-05-23 株式会社トラバース 擁壁の施工方法
CN110512631B (zh) * 2019-09-06 2021-05-25 长沙凯泽工程设计有限公司 一种钢筋桁架混凝土预制件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55983A5 (ko) * 1969-08-14 1971-05-14 Vidal Henri
EP0130949A3 (en) * 1983-06-28 1985-11-27 Luciano Sangiorgio Concrete panels and relative means for their anchoring to earth, for forming a facing wall of variable planimetric course and allowing settlement of the panels in the facing wall surface, and the facing wall thus obtained
FR2566814B1 (fr) * 1984-06-29 1986-10-17 Louis Claude Elements prefabriques de soutenement pour la protection, le renforcement et/ou le revetement d'excavations, dispositifs d'ancrage et d'assemblage et procede de mise en oeuvre de ces elements et dispositifs
US4968186A (en) * 1990-02-22 1990-11-06 Tricon Precast, Inc.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system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259704A (en) * 1990-11-08 1993-11-09 Tricon Precast, Inc.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system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131791A (en) * 1990-11-16 1992-07-21 Beazer West, Inc. Retaining wall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772B1 (ko) 2011-03-25 2011-07-05 종합건축사사무소명승건축(주) 친환경적인 건축용 옹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81364A1 (en) 1997-07-02
NO970928L (no) 1997-04-18
EP0781364B1 (en) 1998-02-11
DE69501621D1 (de) 1998-03-19
WO1996006983A1 (en) 1996-03-07
MY116832A (en) 2004-04-30
CN1157019A (zh) 1997-08-13
TW297072B (ko) 1997-02-01
ES2104524T1 (es) 1997-10-16
TR199501086A2 (tr) 1996-06-21
AU687625B2 (en) 1998-02-26
CA2198082A1 (en) 1996-03-07
FI970883A (fi) 1997-04-28
ES2104524T3 (es) 1998-04-01
FI970883A0 (fi) 1997-02-28
US5823717A (en) 1998-10-20
AU3392895A (en) 1996-03-22
JP3322883B2 (ja) 2002-09-09
ZA957235B (en) 1996-07-16
GB9417573D0 (en) 1994-10-19
JPH10505393A (ja) 1998-05-26
NO970928D0 (no) 1997-02-28
HK1003901A1 (en) 1998-11-13
ATE163209T1 (de) 1998-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5854B1 (ko) 흙구조물의외장재
US4896999A (en) Set of concrete building blocks for constructing a dry wall
USRE37278E1 (en) Retaining wall block
US4426820A (en) Panel for a composite surface and a method of assembling same
EP0830484B1 (en) Interconnectable formwork elements
US5907937A (en) Block wall construction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US20090116911A1 (en) Interlocking and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KR101864354B1 (ko) 조립식 옹벽 구조체
EP0122210B1 (fr) Elément de verre en particulier brique ou pavé de verre
AU2003210567A1 (en) Interlocking and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KR102041892B1 (ko) 조적 안정성과 상호 결합성이 증대된 보강토 옹벽블럭 및 그 옹벽블럭의 제조방법
KR100401173B1 (ko) 옹벽용 블록
KR20130122181A (ko) 식생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US4596103A (en) Stone set for vertical wall assemblies
KR100574830B1 (ko) 용벽용 블록 및 그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JP6860311B2 (ja) 軽量盛土用側壁の施工方法
KR200352266Y1 (ko) 용벽용 블록 및 그 조립체
JP3840263B2 (ja) 補強土構造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GB2149828A (en) Wall block
JPS61186697A (ja) 既設トンネルの補修工法
JP2844070B2 (ja) 構築用ブロック体及びその連結部材
JP3109724B2 (ja) 護岸用空積みブロックとその施工方法
JP2771581B2 (ja) 嵌合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構築方法
JP2596733B2 (ja) 壁体構築用ブロツ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