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5359B1 - 자동차의 부품측정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부품측정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5359B1
KR100395359B1 KR10-2001-0037310A KR20010037310A KR100395359B1 KR 100395359 B1 KR100395359 B1 KR 100395359B1 KR 20010037310 A KR20010037310 A KR 20010037310A KR 100395359 B1 KR100395359 B1 KR 100395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hole
measuring
clamp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7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1012A (ko
Inventor
현호찬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7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5359B1/ko
Publication of KR20030001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1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3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부품 측정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측정블럭은 다양한 형상에 대해 제한적으로 사용할수 밖에 없어 제품 측정에 한계성을 가지며 3차원 형상의 부품인 경우 비용이 많이 소모되고 조립된 후에는 측정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표면에 체결공(610)이 형성된 바닥판(600)과, 다양한 길이로 구성되어 있는 주블럭(100)과, 나사공(210)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블럭(200)과, 상부에 연결부(312)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나선부(311)가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 고정용 연결구(310)와, 상부에는 끼움공(323)과 고정공(325)이 형성된 끼움부(322)가 구비되며 하부에는 나선부(321)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핀 고정용 연결구(320)와, 상부에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결합부(420)가 구비되며 하부의 삽입부(430)에는 홈 (410)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핀(400)과, 몸체(510)의 하부에는 고정부(514)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고정구(512) 및 손잡이(511)가 구비되어 있는 클램프(500)를 구성하므로서, 조립되기 전후의 부품 상태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이며, 비용을 절감하고 측정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부품 측정용 고정구{Fixing device for parts measurement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부품을 측정하기 위한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자동차 차체의 부품을 측정하기 위한 고정구의 기준점 설정을 간단하고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며, 조립 전/후의 2차원 또는 3차제품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부품 측정에 따른 투자비를 최소화하고 부품 측정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부품 측정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금형으로 성형 제작된 자동차의 각종 부품들은 차체조립에 앞서 측정장치로 해당부품 사양에 맞는 정확한 품질상태를 측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부품에는 2차원 형상의 부품과 3차원 형상의 부품이 있으므로 각각의 형상에 따라 측정용 고정구를 달리 적용하게 된다.
즉, 도 1 및 도 2 에 예시한 바와 같이 2차원 형상의 부품인 경우에는 "V" 자 형태의 홈이 구비된 측정블럭(10)을 사용하였으며, 3차원 형상의 부품인 경우에는 측정블럭(10)으로는 측정할 수 없으므로 측정하고자 하는 부품의 형상으로 제작되는 측정구(Checking Fixture)(20)를 사용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부품 측정용 고정구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2차원 형상의 부품을 측정하는 측정블럭(10)은 규격화 되어 있어 부품의 다양한 형상에 대해 제한적으로 사용할수 밖에 없어 제품 측정에 한계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3차원 형상의 부품을 측정하는 측정구(20)의 경우 측정하고자 하는 다수의 부품에 따라 개별적으로 제작 및 관리를 해야하므로 측정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모되며 부품의 품질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적절한 대응이 신속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고 각 부품이 조립된 후에는 조립된 제품을 상기 측정구로 측정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2차원 형상 및 3차원 형상을 가지는 자동차 부품을 측정함에 있어 조립 전후의 부품측정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며, 부품의 측정에 따른 비용의 절감효과로서 부품의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부품 측정용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의 다수의 체결공이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있는 바닥판과, 규격에 의한 다양한 길이로 구성되며 상기 바닥판의 체결공과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주블럭과, 상기 주블럭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면에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블럭과, 상부에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나선부가 형성되어 상기 보조블럭의 나사공과 결합되는 클램프 고정용 연결구와, 상부 내면으로는 끼움공이 형성된 끼움부가 구비되며 끼움부 일측으로는 고정수단이 끼워지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보조블럭의 나사공과 결합되는 고정핀 고정용 연결구와, 상부에는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결합부가 구비되고 하부의 삽입부에는 외측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핀과, 몸체의 하부에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 고정용 연결구의 연결부와 회전방지수단에 의해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며, 몸체의 상부 일측과 타측에는 서로 대향된 상태로 고정구가 구비되고 몸체의 상단에는 손잡이가 구비된 클램프를 구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주블럭을 기준점 설정을 위한 바닥판에 고정시키되 부품의 형상 및 높이에 따라 적절하게 위치시켜 고정하고 상기 주블럭의 상면에는 보조블럭을 설치한 후 보조블럭의 상단에 부품에 따라 다양한 직경의 고정핀을 설치하거나 클램프를 설치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부품을 정확하고 효율적이며 저렴한 비용으로 측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부품 측정용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다른 부품 측정용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측정용 고정구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측정용 고정구를 이용하여 부품을 측정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주블럭 110 : 체결수단
200 : 보조블럭 210 : 나사공
310 : 클램프 고정용 연결구 311,321 : 나선부
312 : 연결부 320 : 고정핀 고정용 연결구
322 : 끼움부 323 : 끼움공
324 : 고정수단 325 : 고정공
400 : 고정핀 410 : 홈
420 : 결합부 430 : 삽입부
500 : 클램프 510 : 몸체
511 : 손잡이 512 : 고정구
513 : 회전방지수단 514 : 고정부
600 : 바닥판 610 : 체결공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측정용 고정구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측정용 고정구로서 부품을 고정시킨 후 측정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용 부품의 품질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용 고정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표면의 다수의 체결공(610)이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는 바닥판(600)과, 상기 체결공(610)에 체결수단(110)에 의해 고정되며 규격화된 다양한 길이로 구성되어 있는 주블럭(100)과, 상기 주블럭(100)의 상부에 체결되며 상면에는 내부로 소정 깊이를 가지는 나사공(210)이 형성된 보조블럭 (200)과, 상단에는 연결부(312)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나선부(311)가 형성되어 상기 보조블럭(200)의 나사공(210)과 나사결합되는 클램프 고정용 연결구(310)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부에는 끼움부(322)가 구비되며 그 상면에는 일정 깊이의 끼움공 (323)이 형성되고 끼움부(322)의 측면으로는 고정수단(324)이 끼워질 수 있는 고정공(325)이 상기 끼움공(323)과 관통된 상태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나선부(321)가 형성되어 상기 보조블럭(200)의 나사공(210)과 나사결합되는 고정핀 고정용 연결구 (320)와, 상부에는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결합부(420)가 구비되며 하부의 삽입부 (430)에는 외측둘레를 따라 일정한 깊이의 홈(410)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핀(400)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몸체(510)의 하부에는 고정부(514)가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 고정용 연결구(310)의 연결부(312)와 회전방지수단(513)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몸체(510)의 상부 일측과 타측에는 길이의 연장이 가능한 고정구(512)가 형성되며 상단에는 손잡이(511)가 구비된 클램프(500)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700)는 측정장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각종 부품의 품질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용 고정구에 있어, 결합 전/후의 2차원 부품이나 3차원 부품의 측정을 정확하고 신속하며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측정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여 제품의 제작에 따른 비용의 절감효과와 제품의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측정용 고정구의 상세한 구성과 실시 예를 예시된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측정용 고정구를 예시한 것으로서, 고정핀(400)을 사용할 경우에는 주블럭(100)의 상부에는 보조블럭(200)이 결합되고 상기 보조블럭(200)의 상부로는 고정핀 고정용 연결구(320)가 나사결합되어 끼워지며 상기 고정핀 고정용 연결구 (320)의 상부로 고정핀(400)이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핀 고정용 연결구(320)와 고정핀(400)의 결합상태를 살펴보면 고정핀(400)의 삽입부(430)가 고정핀 고정용 연결구(320)의 끼움부(322) 상면에 구비된 끼움공(323)에 끼워진 후 끼움부(322) 일측에 형성된 고정공(325)을 통해 고정수단(324)을 끼워넣게 되면 고정수단(324)이 끼움공(323)에 끼워져 있는 삽입부(430)의 홈(410)에 끼워지게 되면서 고정핀(400)이 고정핀 고정용 연결구(3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주블럭(100)은 다양한 길이로 규격화 되어 있어 부품의 높이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길이의 주블럭(100)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미세한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핀(400)이 고정되어 있는 고정핀 고정용 연결구(320)를 보조블럭(200)으로부터 회전 또는 역회전을 시키면서 길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클램프(500)를 사용할 경우에는 블럭(100)의 상부에는 보조블럭(200)이 체결되고 상기 보조블럭(200)의 상부 나사공(210)으로는 클램프 고정용 연결구 (310)가 나사결합되며 클램프 고정용 연결구(310)의 상부에 구비된 연결부(312)에는 몸체(510) 하부의 고정부(514)가 회전방지수단(513)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몸체(510)의 상부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서로 대향된 상태의 고정구 (512)가 설치되며 몸체(510)의 상단에는 손잡이(511)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구(512)는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며, 클램프 고정용 연결구 (310)의 연결부(312)와 몸체(510)의 고정부를 고정하고 있는 회전방지수단(513)을 느슨하게 풀어주게 되면 클램프(500)가 일정한 각도로 전후 회전될 수 있는 것이며, 일정한 각도로 기울인 후에는 상기 회전방지수단(513)을 조여주어 몸체(510)가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몸체(510)를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고정핀(400)과 같이 몸체 (510)와 보조블럭(200)을 연결해주고 있는 고정핀 고정용 연결구(320)를 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서 클램프(500)의 미세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4 에 예시한 바와 같이 부품을 측정하고자 할 경우 부품의 상태에 따라 다수 부위에 고정핀(400)와 클램프(500)를 개별적 또는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것인데, 여기서는 고정핀(400)과 클램프(500)를 함께 사용한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즉, 부품에 형성된 구멍(도면중 미도시)의 직경에 상응한 고정핀(400)을 선택하여 보조블럭(200)에 나사결합하고 상기 보조블럭(200)은 부품의 높이를 고려한 주블럭(100)에 체결하며 상기 주블럭(100)은 다수의 체결공(610)이 형성된 바닥판(600)에 적절한 위치를 선택하여 체결수단(110)으로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부품의 높이 조절에서 미세한 높이의 조절은 고정핀 고정용 연결구(320)의 회전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부품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고정핀(400)으로 고정하기 힘든 곳은 클램프(500)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즉 클램프(500)의 몸체(510) 또한 상기 고정핀(400)과 같이 보조블럭(200)에 나사결합되고 보조블럭(200)은 주블럭(100)과 결합되며 주블럭(100)은 바닥판(600)의 체결공(610)에 체결수단(110)으로 체결되면서 기준점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고 그 후 클램프(500)의 손잡이(511)를 이용하여 클램프(500)를 절절한 각도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회전방지수단(513)으로 고정시켜 두고 그후 측정장비(700)를 이용하여 제품의 상태를 간단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립되기 전 또는 후의 2차원 부품 및 3차원 부품의 품질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부품 측정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부품의 측정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부품 측정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여 부품제작에 따른 전체적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며, 측정작업성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용 부품의 품질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용 고정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표면의 다수의 체결공(610)이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있는 바닥판(600);
    상기 바닥판(600)의 체결공(610)에 체결수단(110)으로 고정되며 규격화된 다양한 길이로 구비되는 주블럭(100);
    상기 주블럭(100)의 상면에 체결되며 상면에는 내부로 소정 깊이의 나사공(210)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블럭(200);
    상부에는 연결부(312)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나선부(311)가 형성되어 상기 보조블럭(200)의 나사공(210)과 나사결합되는 클램프 고정용 연결구(310);
    상부에는 끼움부(322)가 구비되며 그 끼움부(322)의 상면에는 내부로 끼움공 (323)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공(323)의 측면으로는 고정공(325)이 관통된 상태로 형성되어 고정수단(324)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며 하부에는 나선부(321)가 형성되어 상기 보조블럭(200)의 나사공(210)과 나사결합되는 고정핀 고정용 연결구(320);
    상부에는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결합부(420)가 구비되며 하부의 삽입부(430)에는 외측둘레를 따라 일정한 깊이의 홈(410)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핀(400);
    몸체(510)의 하부에는 고정부(514)가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 고정용 연결구 (310)의 연결부(312)와 회전방지수단(513)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몸체(510)의 상부 일측과 타측에는 길이의 연장이 가능한 고정구(512)가 형성되며 상단에는 손잡이(511)가 구비된 클램프(50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부품 측정용 고정구.
KR10-2001-0037310A 2001-06-28 2001-06-28 자동차의 부품측정용 고정구 KR100395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7310A KR100395359B1 (ko) 2001-06-28 2001-06-28 자동차의 부품측정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7310A KR100395359B1 (ko) 2001-06-28 2001-06-28 자동차의 부품측정용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012A KR20030001012A (ko) 2003-01-06
KR100395359B1 true KR100395359B1 (ko) 2003-08-21

Family

ID=27711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7310A KR100395359B1 (ko) 2001-06-28 2001-06-28 자동차의 부품측정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53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63336A (zh) * 2013-03-25 2013-06-19 国家电网公司 一种用于开关特性测试仪的固定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81487B2 (ja) * 2020-02-25 2021-12-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プレス成形方法及びプレス成形品の形状評価方法
JP7255632B2 (ja) * 2021-05-06 2023-04-1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プレス成形方法及びプレス成形品の形状評価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842U (ko) * 1979-07-11 1981-02-03
JPS5784457U (ko) * 1980-11-12 1982-05-25
KR19990055919A (ko) * 1997-12-29 1999-07-15 정몽규 완성차 내구 시험장비
KR19990055935A (ko) * 1997-12-29 1999-07-15 정몽규 실차 상태에서의 덴트 시험 장치
KR20000073469A (ko) * 1999-05-11 2000-12-05 정몽규 자동차 교정 및 검사용 세팅 지그
KR20010059296A (ko) * 1999-12-30 2001-07-06 이계안 차체 비틀림 시험용 지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842U (ko) * 1979-07-11 1981-02-03
JPS5784457U (ko) * 1980-11-12 1982-05-25
KR19990055919A (ko) * 1997-12-29 1999-07-15 정몽규 완성차 내구 시험장비
KR19990055935A (ko) * 1997-12-29 1999-07-15 정몽규 실차 상태에서의 덴트 시험 장치
KR20000073469A (ko) * 1999-05-11 2000-12-05 정몽규 자동차 교정 및 검사용 세팅 지그
KR20010059296A (ko) * 1999-12-30 2001-07-06 이계안 차체 비틀림 시험용 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63336A (zh) * 2013-03-25 2013-06-19 国家电网公司 一种用于开关特性测试仪的固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012A (ko) 200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5990B2 (en) Pipe holding fastener
US4159859A (en) Cradle type ground lug for conduit
JPH05211072A (ja) 接地スタッド
JP4348041B2 (ja) 測定ケーブル移動センサ
US6361238B1 (en) Attachment element for securing a rail foot
US20050276677A1 (en) Load carrier support
US10465727B2 (en) Fastener device
KR100395359B1 (ko) 자동차의 부품측정용 고정구
US3407382A (en) Battery clamp bolt means
KR200392312Y1 (ko) 체결구
EP1390653A1 (en) Pipe holding fastener
US4482122A (en) Auto antenna mounting
CA1325445C (en) Ball hitch assembly
KR100264443B1 (ko) 무지향성 안테나 고정장치
US8490929B2 (en) Beam clamp connector
JP3030451B2 (ja) クランプ
KR100506650B1 (ko) 인장시편 시험용 장치
KR200173849Y1 (ko) 차량용 클램프
JP3399293B2 (ja) 微調整装置を備えた電動工具
JP4366780B2 (ja) 照明器具
KR100418775B1 (ko) 서스펜션 특성 측정기 고정장치
JPH0751254Y2 (ja) 締付体回動用補助具
KR20000002211U (ko) 접철식천막지주연결소켓의너트체결장치
KR0129060Y1 (ko) 익스텐션로드
JPH0223700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