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650B1 - 인장시편 시험용 장치 - Google Patents

인장시편 시험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650B1
KR100506650B1 KR10-2002-0080334A KR20020080334A KR100506650B1 KR 100506650 B1 KR100506650 B1 KR 100506650B1 KR 20020080334 A KR20020080334 A KR 20020080334A KR 100506650 B1 KR100506650 B1 KR 100506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grip
ball
tensi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0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3875A (ko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0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650B1/ko
Publication of KR20040053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3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6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7Tensi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 G01N2203/0447Holders for quick insertion/removal of test pie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장시편 시험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장시험기의 일측에 형성되는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에 삽입되는 지그로 이루어지되, 상기 그립부는,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와 연결되어 상기 그립부 내부에 형성된 볼수용부와, 상기 볼수용부와 연결되고,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어 상기 그립부 측단으로 형성된 회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그는, 상기 그립부에 형성된 볼수용부에 삽입되는 볼과; 상기 볼과 연결되어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끝단 내부에 나사산을 형성하므로 써, 회동가능한 지그와 끝단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으로 인해, 다양한 크기의 시편을 체결할 수 있고, 정확한 값을 측정할 수 있으며, 지그의 중단부에 평면을 갖는 면취부를 형성하여 시험 후, 절단된 시편을 스패너로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나사산이 형성된 인장시편 시험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장시편 시험용 장치{Equipment for Tensile Test}
본 발명은 인장시편 시험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에 장착되는 각종 스크류(Screw) 및 산업기계에 결합되는 각종 부재 등의 성능을 실험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인장시편 시험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떠한 재료 또는 부품의 내력, 인장강도, 항복점 등을 알기 위하여 인장시험기(引張試驗機)가 사용된다. 대상 시험편의 종류 또는 재료의 성질에 따라 인장시험기에 사용되는 지그(Jig) 역시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일반적인 종래의 인장시험 측정 방법으로는, 인장시험기의 양측에 형성된 그립부에 지그가 결합되고, 상기 지그의 끝단 내부에 시편을 삽입하였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에 삽입된 지그의 외주면에 형성된 볼트를 조여주므로 써, 상기 볼트의 끝단부가 상기 인장시편의 외주면을 조여주게 되어 상기 지그에서 상기 인장시편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 후, 양측의 그립부를 천천히 잡아 당김으로 써, 상기 시편의 인장강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인장시험기는, 인장시편의 끝단부가 나사선으로 되어 있을 경우, 인장시편을 인장시험기에서 아무리 세게 당겨도 미끄러지거나 슬립 현상이 발생하여 정확한 값을 측정할 수 없었다.
또한, 지그가 그립부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지그가 회동성을 갖지 못하므로 써, 시편을 양측의 지그에 삽입한 후 동시에 체결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발명인 인장시편 시험용 장치는, 일측에 구의 형상을 갖도록 하고, 타측 내부에 나사산을 형성하며, 지그의 일단 외주면에 평면을 갖는 면취부를 형성하므로 써, 인장시편에 대한 정확한 값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인장시편 시험용 장치는, 인장시험기의 일측에 형성되는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에 삽입되는 지그로 이루어지되, 상기 그립부는,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와 연결되어 상기 그립부 내부에 형성된 볼수용부와, 상기 볼수용부와 연결되고,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어 상기 그립부 측단으로 형성된 회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그는, 상기 그립부에 형성된 볼수용부에 삽입되는 볼과, 상기 볼과 연결되어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끝단 내부에 나사산을 형성하므로 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인장시편 시험용 장치가 그립부에 결합된 상태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부와 지그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지그의 측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그립부(10)는 인장시험기(도시하지 않음)의 일측에 형성되며, 양측이 서로 마주보며 대응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그립부(10)의 상단에 개구부(11)를 형성한다.
상기 개구부(11)와 연결되어 상기 그립부(10)의 내부에 볼수용부(12)가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개구부(11)와 연통되어 그립부(10)의 측단으로 회동부(13)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그립부(10)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11)와 회동부(13)가 형성되는 측단과의 중심부에 볼수용부(12)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그(20)는, 일측 끝단에 볼(21)이 형성된다.
상기 볼(21)과 연결된 연결부(22)는, 단면이 원형의 형상을 갖도록 하여, 볼수용부(12)에 삽입된 볼(21)이 볼수용부(12)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연결부(22)는 상기 회동부(13)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22)의 끝단 내부에 나사산(23)을 가공하여, 나사산(23)을 갖는 스크류(31) 등의 시편(30)을 시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연결부(22)의 일단 외주면에 평면을 갖는 면취부(24)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면취부(24)는, 대칭을 갖도록 형성하거나, 단면 형상이 사각 및 육각형상을 갖도록 한다.
상기 볼(21)과 연결부(22) 및 면취부(24)는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나사산이 형성된 인장시편 시험용 장치의 사용상태를 첨부된 도1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부(22)와 일체로 성형된 볼(21)을 그립부(10)의 개구부(11)에 삽입한 후 회동부(13)를 통해 회전시킨 후, 양측이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그(20)의 나사산(23)에 인장시편(30)의 끝단을 체결한 후, 타측에 형성된 또 다른 지그(20')의 나사산(23')에 인장시편(30)의 타단을 체결한다.
지름이 다양한 인장시편(30)을 측정하고자 할 경우, 다양한 나사산(23, 23)의 지름을 갖는 지그(20, 20')를 교체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체결 후, 인장시험기를 통해 양측의 그립부(10)에 힘을 가하여 인장시편(30)의 정확한 인장강도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인장시편(3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연결부(22)의 외주면에 형성된 면취부(24)에 스패너를 삽입하여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장시편(30)의 일측을 공구로 잡은 후, 스패너를 면취부(24)에 삽입하여 회전하면, 인장시편(30)은 상기 공구로 인해 회전이 불가하며, 연결부(22)의 끝단에 형성된 볼(21)이 그립부(10)에 형성된 볼수용부(12)에서 회전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쉽게 분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인장시편 시험용 장치로 인해,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의 정확한 인장강도 값을 측정할 수 있고, 연결부의 끝단부를 구 모양으로 형성하여 그립부에 장착되었을 때, 회동성을 갖도록 하고,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에 평면을 갖는 면취부를 형성하므로 써, 측정 후 절단된 인장시편을 스패너로 쉽게 이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인 인장시편 시험용 장치로 인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 번째, 그립부에 삽입되는 지그의 끝단이 구의 형상을 갖도록 하여, 그립부에 장착되었을 때 방향성을 갖도록 하였다.
두 번째, 지그에 형성된 볼의 타단 내부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선으로 구성된 인장시편을 체결함으로 써, 정확한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세 번째, 지그의 중단부에 평면을 갖는 면취부를 형성하여 시험 후, 절단된 시편을 시패너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네 번째, 지그의 끝단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을 다양한 크기로 구성하여, 지름이 다른 시편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인장시편 시험용 장치가 그립부에 결합된 상태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부와 지그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지그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그립부 11 - 개구부
12 - 볼수용부 13 - 회동부
20, 20' - 지그 21 - 볼
22 - 연결부 23, 23' - 나사산
24 - 면취부 30 - 인장시편
31 - 스크류

Claims (4)

  1. 삭제
  2. 인장시험기의 일측에 형성되는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에 삽입되는 지그로 이루어지되;
    상기 그립부는;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와 연결되어 상기 그립부 내부에 형성된 볼수용부와;
    상기 볼수용부와 연결되고,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어 상기 그립부 측단으로 형성된 회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그는;
    상기 그립부에 형성된 볼수용부에 삽입되는 볼과;
    상기 볼과 연결되어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끝단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지그는;
    상기 연결부의 중심부 외주면에 평면을 갖는 면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인장시편 시험용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지그가 배치되는 회동부의 하단부가 상기 연결부보다 큰 지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시편 시험용 장치.
  4. 그립부에 삽입되는 지그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그립부에 형성된 볼수용부에 삽입되는 볼과;
    상기 볼과 연결되어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끝단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중심부 외주면에 평면을 갖는 면취부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볼과 상기 연결부 및 상기 면취부는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시편 시험용 지그.
KR10-2002-0080334A 2002-12-16 2002-12-16 인장시편 시험용 장치 KR100506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334A KR100506650B1 (ko) 2002-12-16 2002-12-16 인장시편 시험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334A KR100506650B1 (ko) 2002-12-16 2002-12-16 인장시편 시험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875A KR20040053875A (ko) 2004-06-25
KR100506650B1 true KR100506650B1 (ko) 2005-08-05

Family

ID=37347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0334A KR100506650B1 (ko) 2002-12-16 2002-12-16 인장시편 시험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6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809A (ko) 2018-12-03 2020-06-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강도 써맷 시편의 인장 및 피로시험용 지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396B1 (ko) * 2014-03-05 2016-03-08 정재성 범용재료시험기 치구
CN107192610B (zh) * 2017-06-30 2023-08-25 西南交通大学 拉伸试验机的夹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809A (ko) 2018-12-03 2020-06-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강도 써맷 시편의 인장 및 피로시험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875A (ko) 200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0197A (en) Centering Clamp
TWI443334B (zh) 用於拉伸測試及類似測試的轉動鉗口面
US20120306138A1 (en) Clamping device
KR101501272B1 (ko) 척추 수술용 뼈 고정 장치용 툴
US20060008332A1 (en) Collet collar stop for a drill bit
BR102017005589B1 (pt) Item de aperto para o torque correto
JPH10512348A (ja) 固定装置
KR100506650B1 (ko) 인장시편 시험용 장치
US7484427B2 (en) Adjustable torque thread gauge assembly and method of calibration thereof
CA2414240A1 (en) Multi-function clamp
US6427356B1 (en) Mountable centering element and arrangement for measuring, 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hole or a bolt
JP5241034B2 (ja) クランプ工具の締付および解除用装置
US5257556A (en) Torque application technique and apparatus
CN217006923U (zh) 一种粘接强度试验用夹具
TW201408450A (zh) Bnc連接器螺母抓持器及起子
JPH1162935A (ja) トルク制御ボルト
US10044159B1 (en) Cable connector clocking device and related components
US4244111A (en) Dial indicator holders
JPS6221419Y2 (ko)
US4037495A (en) Flexible strap wrench
KR200402455Y1 (ko) 마모시험용 지그
KR20060007548A (ko) 인장시험시편 고정용 지그유니트
KR100395359B1 (ko) 자동차의 부품측정용 고정구
US7210379B1 (en) Rigging tool
CN216484301U (zh) 一种万能试验机用夹持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