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5044B1 - 신축형 분진 흡입관 - Google Patents

신축형 분진 흡입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5044B1
KR100395044B1 KR10-2000-0008109A KR20000008109A KR100395044B1 KR 100395044 B1 KR100395044 B1 KR 100395044B1 KR 20000008109 A KR20000008109 A KR 20000008109A KR 100395044 B1 KR100395044 B1 KR 100395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sleeve
guide sleeve
groove
dust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8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6662A (ko
Inventor
키텔만고타드
귄터올라프
Original Assignee
프로흐 하우스 테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004443A external-priority patent/DE10004443A1/de
Application filed by 프로흐 하우스 테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프로흐 하우스 테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10006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6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0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4Hose or pipe couplings for telescopic or extensible hoses 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신축형 분진 흡인관(10)은 외관(11)을 구비하고, 외관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표면선을 따른 맞물림 홈(13)을 가진 내관(12)을 갖고, 이 내관은 외관(11)에 고정된 안내 슬리브(15)에 의해 둘러싸여 맞물려 있고, 이 안내 슬리브는 맞물림 홈(13)과 협동하는 폐쇄부재(23)를 수용하기 위해 폐쇄부재 홈(18)을 형성한다. 안내 슬리브(15)는 그 축방향 길이의 적어도 일부가 외관(11)의 내부공간(16) 내에 수용되고, 안내 슬리브(15)의 벽을 관통하는 폐쇄부재 홈(18)은 설상부(19; tongue)를 수용하고, 그 설상부의 내부 설상부 단부(21)는 안내 슬리브(15)에서 폐쇄부재 홈(18)의 일 단부에 지지되고, 설상부 자유단(20)은 그 내관(12) 쪽 측면에 폐쇄부재(23)를 형성하고 있으며, 작동부재인 작동 슬리브(28)의 폐쇄면(32) 및 편향 공간(31)은 설상부 자유단(20)이 내관(12)에 대해 반대쪽인 측면과 선택적으로 정렬될 수 있게 하여 간단하게 제조 및 장착된다.

Description

신축형 분진 흡입관{Telescopic dust suction pipe}
본 발명은 제 1 청구항의 전제부에 해당하는 신축 가능한 분진 흡입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신축형 분진 흡입관은 US 33 51 363호에 해당한다. US 33 51 363호는 신축형 분진 흡입관의 세 가지 상이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US 33 51 363호의 제 1 실시예(도 1 내지 도 8)에 따라, 플라스틱 안내 슬리브는 외측에서 외관(outer pipe)에 고정되어 있고 원통형 부재로 내관을 둘러싸 고정된다. 이 부재는 구 형의 폐쇄부재(spherical block body)를 위한 폐쇄부재용 홈을 형성한다. 안내 슬리브 위에서는 작동 슬리브가 안내되고, 그 케이싱은 두 상반적으로 작용하는 압축 스프링에 맞서 양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 중립 평형 탄성 위치에서는 작동 슬리브의 폐쇄면이 폐쇄부재를 그 폐쇄 위치로 밀리게 한다. 폐쇄면의 축방향 양측에서 작동 슬리브는 각각 한 편향 공간을 형성하고 그러므로 폐쇄부재는 작동 슬리브의 양 축방향 이동 방향에서 중립 탄성 위치로부터 그 해제 위치로 변위될 수 있다.
US 33 51 363호에 의한 처음에 언급된 실시예(도 1 내지 도 8) 외에 제 2 실시예도 본 발명에 의한 추가 개발을 위한 기초가 된다. 도 9 내지 도 12에 의한 제 2 실시예도 또한 안내 슬리브를 갖고 있고, 그 슬리브는 외관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폐쇄부재(볼)를 위한 폐쇄부재 홈을 형성하는 원통형 부재에 의해 내관을 둘러싸서 맞문다.
도 9 내지 도 12에 의한 US 33 51 363 호의 제 2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8에 의한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대체로, 작동 슬리브가 단지 스프링 복원력에 대항하는 축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고 그 외에 구형 폐쇄부재를 위한 단 하나의 폐쇄면과 단 하나의 편향 공간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US 33 51 363호에 의한 제 3 실시예는 도 13 내지 도 15에 표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안내 슬리브는 외관 내의 확장부 내에 고정되어 있다. 외관을 둘러싸는 작동 슬리브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주위 방향으로 직접 폐쇄면에 연결된 편향 공간(작동 슬리브에 의해 형성됨)으로 인해 회전에 의해 해제 행정이 일어날 수 있다. 구형 폐쇄부재를 위한 탄성 억제 부재로서는, 작동 슬리브에 한 내측 측면에 리벳 고정된 강철 판 스프링이 그 해제 위치에 사용된다.
US 33 51 363호의 도 13 내지 도 15에 의한 제 3 실시예는 전혀 본 발명을 위한 유개념에 맞는 기초가 되지 못하며, 동시에 회전 가능한 작동 슬리브를 가진 공지된 실시예에서는 작동 슬리브를 그의 폐쇄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어떠한 스프링 복원력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 외에도 하기에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작동 슬리브에 아주 양호하게 적용될 수 있고, 특히 제 1 청구항의 유개념에 따라 작동 부재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편향 공간이 연결되는 폐쇄면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폐쇄면의 양측에 배치된 예컨대 두 개의 편향 공간도 또한 포함한다.
US 33 51 363호에 의한 신축형 분진 흡입관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서는 비교적 적은 제조 및 장착 비용으로 신축형 분진 흡입관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제 1 청구항의 전제부의 특징과 더불어 상기 목적은 제 1 청구항의 특징에 따라, 안내 슬리브는 그 축방향 길이의 적어도 일부가 외관의 내부 공간 내에 수용되고, 안내 슬리브의 벽을 관통하는 폐쇄부재 홈이 설상부(tongue)를 수용하고, 이 설상부의 내부 설상부 단부는 안내 슬리브에서 폐쇄부재 홈의 일단부에 지지되고, 설상부 자유단은 그의 내관 쪽 측면에 폐쇄부재를 형성하며, 작동 부재의 폐쇄면 및 편향 공간은 선택적으로 설상부 자유단의 내관 반대 쪽 측면과 정렬될 수 있게 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는, 설상부가 그의 내부 설상부 단부를 통하여 안내 슬리브와 결합되기 적합한 재료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개선점은, 안내 슬리브와 설상부가 단일체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다.
US 33 51 363호에 따르면, 맞물림 볼은 장착 중 쉽게 잃어버릴 수 있고 따라서 합목적적으로 먼저 예비 장착 상태로 해야 고정될 수 있는 한편, 본 발명은 이 결점을, 설상부의 내부 설상부 단부가 폐쇄부재 홈의 일단에 지지 또는 고정, 특히 고정적으로 지지되어 해결하고 있다.
여기서 설상부 자유단에는 동시에 이 단부의 내관측 측면에 폐쇄부재가 형성된다. 합목적적으로 이 폐쇄부재는 설상부 자유단에 형상 결합식으로 형성된다.
설상부 자유단의 안내 슬리브는 예컨대 이미 언급한 것처럼 형상 결합식으로, 예컨대 분절식(articulate)으로(예컨대 필름 힌지에 의해) 또는 한 쪽에 고정된 나선형 스프링 식으로 이루어진다.
안내 슬리브의 장착은 삽입 장착에 의해 간단한 방식으로 행해지는 것으로, 안내 슬리브의 적어도 한 축방향 영역을 합목적적으로 확대부가 없는 외관 내로 삽입하여(예컨대 맞물림에 의해) 고정시킨다. 그런 뒤 맞물림 홈이 있는 내관을 안내 슬리브 내로 삽입하고 끝으로 합목적적으로 축방향으로 내관을 넘어서 작동 부재를 안내 슬리브 또는 외관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폐쇄 장치는 단지 세 부재, 즉 안내 슬리브, 작동 슬리브 및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그러므로 장착이 매우 쉬워진다.
US 33 51 363호(도 5의 위치 34를 참조)에서와 같은 축방향 돌출부는 필요없고 따라서 특히 휴대용 분진 흡입기에 적합한 짧은 축방향 구조를 허용하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라, 안내 슬리브는 사실상 완전히 외관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외관은 그 벽을 관통하는 맞물림 홈을 갖고 있고, 그 홈은 한편으로는 안내 슬리브의 폐쇄부재 홈과 다른 한편으로는 작동 부재의 폐쇄면과 편향 공간과 정렬되는 것이 그 특징이다.
서로 반대되는 두 작동 방향으로 작동 부재 또는 작동 슬리브의 해제 동작을 허용하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는, 작동 부재는 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 복원력에 맞서 두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특히 밀릴 수 있고, 이때 작동 부재의 폐쇄면은 중립 탄성 위치에서 설상부 자유단의 내관 반대쪽 측면과 정렬되고, 또한 작동 부재의 편향 공간은 폐쇄면의 양측에서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반하는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 복원력은 두 축방향에 대해 횡으로 연장하여 안내 슬리브에 지지된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발생되며, 그 비틀림 스프링의 굴곡 부위는 작동 부재와 작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중립 탄성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서로 반대되는 두 작동 방향으로 해제 동작이 행해지는 것은, 원호형 비틀림 스프링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EP 0 552 481 B1 호에 공지되어 있다.
부가적인 양호한 본 발명의 특징은 청구 범위의 종속항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신축형 분진 흡입관의 부분도.
도 2는 옆으로(180 도) 회전시켜 도시된 도 1에 따른 분진 흡입관의 폐쇄 장치를 통한 확대 축방향 측면도.
도 3은 안내 슬리브의 축방향 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Ⅳ로 표시된 화살표에 따른 안내 슬리브의 평면도.
도 5는 안내 슬리브의 사시도.
도 6은 작동 슬리브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6에 Ⅶ로 표시된 화살표에 의한 작동 장치의 평면도.
도 8은 작동 슬리브의 사시도.
도 9는 도 2에 Ⅸ로 표시된 화살표에 대응하는, 맞물림 홈이 있는 외관의 단부의 분리도.
도 10은 도 2와 유사한 변형 실시예의 단면도.
하기에 서로 상이한 실시예들이 기재되어 있지만 특징들이 서로 유사하면 구조적으로 상이하더라도 같은 도면 번호가 부여된다.
도 1에는 그 종방향 중심축이 M으로 지시된 신축형 분진 흡입관의 축방향 일부 영역이 도면번호 10으로 도시되어 있다. 신축형 분진 흡입관(10)은 외관(11) 및, 축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외관(11)에 의해 수납되어 있고 맞물림 홈(13)이 있는 내관(12)을 갖는다. 도 1에는 그 외에 플라스틱제 작동 슬리브(28)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의한 신축형 분진 흡입관의 폐쇄 장치의 상세한 구조는 도 2로부터 특히 상세히 알 수 있다. 플라스틱 안내 슬리브(15)는 외관(11)의 외부 정면(14)으로부터 외관(11)의 원통형 내부공간(16) 내로 축방향(a)으로 종방향 중심 축(M)을 따라 삽입된다.
외관(11)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프로파일의 관통 맞물림 홈(17)을 갖고 있고, 그 홈의 대부분의 길이는 종방향 중심 축(M)에 평행하게 뻗어 있다. 안내 슬리브(15; 도 3 내지 도 5 참조)도 또한 대체로 직사각형 윤곽의 홈인 폐쇄부재 홈(18)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 폐쇄부재 홈은 관통 맞물림 홈(17)과 실질적으로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폐쇄부재 홈(18)에는 설상부(19)가 배치되어 있고, 이 설상부는 설상부 자유단(20)과 내부 설상부 단부(21)를 갖고 있는데, 이 내부 설상부 단부는 재료 결합식(stuff-engagement)으로 안내 슬리브(15)에 형성되어 있다. 이 형성은, 설상부(19)가 기계적 관점에서 일측 고정 벤딩 스프링(one-side fixed bending spring)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설상부 자유단(20)은 그 외면에 접촉면(22)을 형성하고 있다. 접촉면(22)에 대해 직경방향으로 설상부 자유단(20)의 내측에는 대략 롤러 반쪽(half-roller) 형상의 융기된 폐쇄부재(23)가 형성되어 있고, 그 폐쇄부재는 도 2에 표시된 것처럼 내관(12)의 맞물림 홈(13) 내에 형상결합식으로 맞물려 있다.
안내 슬리브(15)는 또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둘러싸는 외부 플랜지(24)를 갖고, 이 플랜지는 그 반경방향 내면(25)에서 외관(11)의 정면(14)에 접하고 있다.
외관(11)의 맞물림 홈(17)의 영역에는 비스듬히 외측으로 배향된 폐쇄 설상부(26)가 두 개의 짧은 축방향 슬릿(27) 사이에서 자유 절개되어 있다. 폐쇄 설상부(26)는 작동 슬리브(28)를 그 한정된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면서 외관(11) 위에 축방향에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작동 슬리브(28)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작동 슬리브(28)의 내주면(30)에서 내측으로 돌출하는 대략 웨지 모양의 맞물림 부(34)가 상대 맞물림 부를 형성하는 외관(11)의 폐쇄 설상부(26)의 후방에 실제로 분리 불가능하게 스냅 결합할 때까지, 작동 슬리브(28)를 그 후방 단부(29)로 먼저 외관(11)을 상에서 a 방향으로 밀어 넣는다.
작동 슬리브(28)는 그 내주면(30)에 길다란 편향 공간(31; deviate room) 및 폐쇄면(32)을 형성하고 있다.
안내 슬리브(15)도 또한 외관(11)의 내부공간(16) 내에 스냅 결합적으로 지지된다. 이를 위해 안내 슬리브(15)는 내부 설상부 단부(21)에 있는 그 외주면(33)에, 외관(11)의 맞물림 홈(17)의 폐쇄면에 의해 구성된 상대 맞물림 부(35)와 스냅 결합적으로 협동 작용하는 두 개의 맞물림 부(47)를 갖고 있다.
설상부 종축(Z)은 신축형 분진 흡입관(10)의 종방향 중심 축(M)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내부 설상부 단부(21; 설상부 루트) 근방에서 설상부(19)는, 이 설상부(19)가 안내 슬리브(15)의 몸체에서 형상 결합식으로 접하는 영역에 있어 약한 탄성력이 발생하도록 하기 위해, 창(36)을 갖고 있다.
외관(11)의 외주면(44)은 작동 슬리브(28)의 축방향 안내를 위한 홈을 형성하는 축방향 홈(38)을 갖고 있다. 이 홈에는 작동 슬리브(28)의 축방향 스프링(41; axial spring)이 맞물린다. 이 축방향 홈(38)은 외관(11)의 내주면(37)에서 축방향 스프링(39)을 형성하고 그 스프링은 안내 슬리브(15)의 외주면(33)에 있는 축방향 홈(40) 내에 맞물린다.
내관(12)의 외주면(45)도 또한 도 10(도면부호 55를 참조)에서 내관(12)의 외주선을 따라 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축 방향 안내 홈을 갖고 있고, 그 안내 홈 내로는 안내 슬리브(15)의 축방향 안내 스프링(42)이 맞물린다. 안내 슬리브(15)의내주면(43)에 있는 안내 스프링(42)은 직경방향으로 안내 슬리브(15)의 외주면(33)에 배치된 축방향 홈(40)에 대향 위치해 있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되지 않은 내관(12)의 축방향 안내 홈 및 안내 슬리브(15)의 축방향 안내 스프링(42), 또한 안내 슬리브(15)의 축방향 홈(40), 외관(11)의 축방향 홈(38) 및 작동 슬리브(28)의 축방향 스프링(41)은 서로 일치하여 각각 같은 반경 위에 배치되어 있다.
작동 슬리브(28)의 내부 플랜지(48)의 반경방향 내면(49)과 안내 슬리브(15)의 외부 플랜지(24)의 반경방향 플랜지 내면(50) 사이에는 코일 압축 스프링(46)을 위한 수납 공간(R)이 형성되어 있고, 그 코일 스프링은 다수의 와인딩으로 내관(12)을 둘러싼다. 보다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해 코일 압축 스프링(46)의 모든 와인딩이 표시되지는 않았다.
도 2에 따라서는 폐쇄 상태에 있는 장치가 표시되어 있다. 폐쇄부재(23)를 그 폐쇄 위치로부터 해제하기 위해서는, 설상부(19)의 접촉면(22)이 작동 슬리브(28)의 폐쇄면(32)과의 결합에서 벗어날 때까지, 작동 슬리브(28)을 코일 압축 스프링(46)의 복원력에 맞서 a 방향으로 밀어야 한다. 그런 후에는, 폐쇄부재(23)가 맞물림 홈(13)으로부터 빠진 채 내관(12)을 축방향에서 a 방향 또는 b 방향으로 미는 것이 가능하다.
맞물림 홈(13) 내에 폐쇄부재(23)가 접근하는 즉시, 설상부(19)는 그의 폐쇄부재(23)에 의해 해당하는 맞물림 홈(13) 내에 탄성적으로 진입한다. 그와 동시에 작동 슬리브(28)는 해제될 수 있고 코일 압축 스프링(46)의 복원력에 의해 도 2에따라 표시된 폐쇄 위치로 b 방향으로 복귀한다.
도 10에는 작동 슬리브(28)로 형성된 작동 부재가 폐쇄부재(23)를 로킹시키기 위해 a 방향뿐 아니라 b 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는 배치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작동 슬리브(28)는 둘(a, b) 중의 한 방향에 대해 작용하는 탄성 복원력에 맞서 두 상이한 방향(a, b)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 때 작동 슬리브(28)의 폐쇄면(32)은 도 10에 표시된 것과 같이 중립 탄성 위치에서 설상부 자유단(20)의 내관(12) 반대쪽과 정합되고, 따라서 폐쇄된다. 이 때 작동 슬리브(28)의 편향 공간(31)은 상이한 방향(a, b)에 따라 폐쇄면(32)의 양측에 뻗어 있다. 따라서 작동력이 중립 탄성 위치(폐쇄면(32)이 설상부 자유단(20)과 중첩되어 있음)로부터 작동 슬리브(28)를 방향(a, b)으로 이동시키고자하는 즉시, 비틀림 스프링(51; torsion spring)은 반발력(스프링 복원력)을 형성한다.
두 스프링 복원력은 서로 반대 축방향(a, b)으로 작용하고, 이 방향은 신축형 분진 흡입관의 종방향 중심 축(M)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한다.
반대 축방향(a, b)으로 작용하는 스프링 복원력은 두 축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고 안내 슬리브(15)에 고정된 비틀림 스프링(51)에 의해 발생된다. 비틀림 스프링(51)의 굽힘 영역(54; bending region)는 작동 슬리브(28)과 구동 결합되어 있다. 이것은, 작동 슬리브(28)의 내주면(30)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캐리어 돌출부(58)가 그 캐리어 슬릿(57; carrier slit)에 의해 비틀림 스프링(51)의 굽힙 영역(54)과 맞물리도록 진행된다.
비틀림 스프링(51)은, 안내 슬리브(15)와 동축이고 그 슬리브를 부분적으로 휘감는 원호형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스프링의 두 자유 단부(52; 도 10에는 그 중 하나만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음)는 안내 슬리브(15)의 외주면(33)에서 접합부(53) 내에 고정되어 있다. 접합부(53)도 도 10에는 역시 단지 하나만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10으로부터,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축방향 스프링(42)이 내관(12)의 축방향 안내 홈(55) 내에 맞물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10에 따라서는 안내 슬리브(15)의 대부분의 영역이 외관(11)의 확대부(56) 내에 수용되어 있으나 확대부(56)는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외관(11)은 안내 슬리브(15)를 수용하기 위해 확대부 없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폐쇄 장치는 단지 세 부재, 즉 안내 슬리브, 작동 슬리브 및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그러므로 장착이 매우 쉬워진다.

Claims (24)

  1. 외관(11)을 구비하고, 외관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표면선을 따른 맞물림 홈(13)을 가진 내관(12)을 갖고, 이 내관은 외관(11)에 고정된 안내 슬리브(15)에 의해 둘러싸여 맞물려 있고, 이 안내 슬리브는 맞물림 홈(13)과 협동하는 폐쇄부재(23)를 수납하기 위해 폐쇄부재 홈(18)을 형성하고, 이 폐쇄부재는 적어도 간접적으로 안내 슬리브(15) 또는 외관(11)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작동 부재인 작동 슬리브(28)에 중첩되고, 이 작동 부재는 폐쇄부재(23)와 맞닿고 그것을 맞물림 홈(13) 내에 지지하는 폐쇄면(32)을 갖고 있고, 그 폐쇄면에는 작동 부재인 작동 슬리브(28)에 의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편향 공간(31)이 연속되어 있고, 이 편향 공간은 폐쇄면(32)과 교대적으로 작동 부재인 작동 슬리브(28)의 이동에 의해 스프링 복원력(46에서)에 맞서 폐쇄부재가 해제되는 행정을 허용하면서 그 폐쇄부재(23)와 정합될 수 있는, 신축형 분진 흡입관에 있어서,
    안내 슬리브(15)는 그 축방향 길이의 적어도 일부가 외관(11)의 내부공간(16) 내에 수용되어 있고, 안내 슬리브(15)의 벽을 관통하는 폐쇄부재 홈(18)이 설상부(19; tongue)를 수용하고, 그 설상부의 내부 설상부 단부(21)는 폐쇄부재 홈(18)의 일단부에서 안내 슬리브(15)에 지지되어 있고, 설상부 자유단(20)은 그 내관(12) 쪽 측면에 폐쇄부재(23)를 형성하고 있으며, 작동 부재인 작동 슬리브(28)의 폐쇄면(32) 및 편향 공간(31)은 선택적으로 설상부 자유단(20)의 내관(12) 반대 쪽 측면과 정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분진 흡입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설상부(19)는 그 내부 설상부 단부(21)를 통하여 형상 결합식으로 안내 슬리브(15)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분진 흡입관.
  3. 제 2 항에 있어서, 안내 슬리브(15)와 설상부(19)는 단일체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분진 흡입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내 슬리브(15)는 사실상 완전히 외관(11)의 내부공간(16)에 수용되며, 외관(11)은 그 벽을 관통하는 맞물림 홈(17)을 갖고 있고, 그 홈은 한편으로는 안내 슬리브(15)의 폐쇄부재 홈(18)과 다른 한편으로는 작동 부재인 작동 슬리브(28)의 폐쇄면(32)과 편향 공간(31)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분진 흡입관.
  5. 제 1 항에 있어서, 내관(12)의 외주면(45)은 외주선을 따라 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축방향 안내 홈을 갖고 있고, 그 홈 내로는 안내 슬리브(15)의 축방향 안내 스프링(42)이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분진 흡입관.
  6. 제 1 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는 작동 슬리브(2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분진 흡입관.
  7. 제 6 항에 있어서, 설상부(19)는 설상부 종축(Z)으로 신축관(11, 12)에 대해 축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작동 슬리브(28)는 설상부(19)에 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분진 흡입관.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외관(11)의 외주면(44)은 작동 슬리브(28)를 안내하기 위해 축방향 홈을 형성하는 축방향 홈(38)을 갖고 있고, 그 홈 내로는 작동 슬리브(28)의 축방향 스프링(41)이 끼워지며, 그 축방향 홈(38)은 외관(11)의 내주면(37)에서, 안내 슬리브(15)의 외주면(33)에 있는 축방향 홈(40)에 끼워지는 축방향 스프링(39)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분진 흡입관.
  9. 제 5 항에 있어서, 한편으로는 내관(12)의 축방향 안내 홈 및 안내 슬리브(15)의 축방향 안내 스프링(42)이, 또한 다른 한편으로는 안내 슬리브(15)의 외주면(33)에 있는 축방향 홈(40), 외관(11)의 축방향 홈(38) 및 작동 슬리브(28)의 축방향 스프링(41)이 서로 일치적으로 같은 반경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분진 흡입관.
  10. 제 4 항에 있어서, 외관(11)의 내부공간(16)에 수납된 안내 슬리브(15)는 그 삽입 제한 설상부를 위해 외관(11)의 정면(14)과 접촉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향하고 있는 플랜지(24)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분진 흡입관.
  11. 제 10 항에 있어서, 플랜지(24)는 외관(11)으로부터 먼쪽에 위치해 있는 안내 슬리브(15)의 정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분진 흡입관.
  12. 제 6 항에 있어서, 외관(11)을 둘러싸며 맞물려 있는 작동 슬리브(28)는 그의 내주면(30)에 맞물림 부(34)를 형성하고 있고, 그 맞물림 부는 외관(11)의 외주면(44)에 배치된 상대 맞물림 부인 폐쇄 설상부(26)와 작동 슬리브(28)의 제한된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가운데 외관(11)에 대해 스냅 결합적으로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분진 흡입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외관(11)의 인접 정면(14)을 바라보는 외관(11)의 맞물림 홈(17)의 단부에는, 상대 맞물림 부로서, 그의 설상부 자유 단부는 외관(11)의 인접 정면(14)으로부터 먼쪽으로 반경방향으로 만곡된 폐쇄 설상부(26)가 배치되어 있고, 그 폐쇄 설상부는 작동 슬리브(28)의 내주면(30)에서 돌출하고 맞물림 부를 형성하는 폐쇄 캠 돌기인 맞물림 부(34)와 스냅 결합적으로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분진 흡입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안내 슬리브(15)는 그 외주면(33)에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부(47)를 형성하고, 그 맞물림 부는 외관(11)에 의해 형성된 상대 맞물림 부(35)와 스냅 결합적으로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분진 흡입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외관(11)의 인접 정면(14)을 향하고 있는 외관(11)의 맞물림 홈(17)의 단부에는, 상대 맞물림 부로서, 적어도 하나의 폐쇄 스토퍼인 상대 맞물림부(35)가 있고, 그 스토퍼는, 내부 설상부 단부(21) 위 외부에 있고, 맞물림 부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캠 돌기(47)와 스냅 결합적으로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분진 흡입관.
  16. 제 6 항에 있어서, 작동 슬리브(28)는, 외관(11)의 인접 정면(14)에서 먼 쪽 슬리브 정면에 반경방향 내향 플랜지(48)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분진 흡입관.
  17. 제 16 항에 있어서, 작동 슬리브(28)의 내주면(48)의 반경방향 내면(49)과 안내 슬리브(15)의 외부 플랜지(24)의 반경방향 외주면(5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 스프링 소자(46)를 위한 수납 공간(R)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분진 흡입관.
  18. 제 17 항에 있어서, 압축 스프링 소자는, 스프링의 외주가 대략 안내 슬리브(15)의 외부 플랜지(24)의 외경에 상당하는 코일 압축 스프링(46)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분진 흡입관.
  19.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 설상부 단부(21)는 안내 슬리브(15)에 있는 폐쇄부재 홈(18)의 일단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분진 흡입관.
  20.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 설상부 단부(21)는 안내 슬리브(15)에 있어 일측 고정된 굴곡 스프링의 모양으로 지지체 홈(18)의 일단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분진 흡입관.
  21. 제 1 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인 작동 슬리브(28)는 한 방향(a, b)으로 작용하는 스프링 복원력에 맞서 두 상이한 방향(a, b)으로 이동될 수 있고, 특히 밀릴 수 있고, 그때 작동 부재인 작동 슬리브(28)의 폐쇄면(32)은 중립 탄성 위치에서 설상부 자유단(20)의 내관(12) 반대쪽 측면과 정렬되고, 또한 작동 부재인 작동 슬리브(28)의 편향 공간(31)은 폐쇄면(32)의 양측에서 상이한 방향(a, b)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분진 흡입관.
  22. 제 21 항에 있어서, 두 스프링 복원력은 신축형 분진 흡입관(10)의 종방향 중심 축(M)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는 상반하는 축방향(a, b)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분진 흡입관.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반하는 축방향(a, b)으로 작용하는 스프링 복원력은 두 축방향(a, b)에 대해 횡으로 뻗고, 안내 슬리브(15)에 지지된 비틀림 스프링(51)에 의해 발생되며, 그 비틀림 스프링의 굽힘 영역(54)은 작동 부재인 작동 슬리브(28)와 동작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분진 흡입관.
  24. 제 23 항에 있어서, 비틀림 스프링(51)은, 안내 슬리브(15)와 동축이고 그 슬리브를 부분적으로 휘감는 원호형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스프링의 두 자유 단부는 안내 슬리브(15)의 외주면에서 접합부(53) 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분진 흡입관.
KR10-2000-0008109A 1999-02-22 2000-02-21 신축형 분진 흡입관 KR1003950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07308.2 1999-02-22
DE19907308 1999-02-22
DE10004443.3 2000-02-03
DE10004443A DE10004443A1 (de) 1999-02-22 2000-02-03 Teleskopierbares Staubsauger-Saugroh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6662A KR20010006662A (ko) 2001-01-26
KR100395044B1 true KR100395044B1 (ko) 2003-08-19

Family

ID=26004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109A KR100395044B1 (ko) 1999-02-22 2000-02-21 신축형 분진 흡입관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1033103B1 (ko)
JP (1) JP4178274B2 (ko)
KR (1) KR100395044B1 (ko)
CN (1) CN1161069C (ko)
AT (1) ATE249163T1 (ko)
CZ (1) CZ296297B6 (ko)
DK (1) DK1033103T3 (ko)
EE (1) EE03947B1 (ko)
ES (1) ES2204370T3 (ko)
HU (1) HU222924B1 (ko)
NO (1) NO20000821L (ko)
PL (1) PL193770B1 (ko)
RU (1) RU2193858C2 (ko)
SK (1) SK2072000A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326B1 (ko) 2010-06-25 2017-09-25 록산 게엠베하 진공 청소기 흡입관, 가이드 인서트, 작동 레버 및 튜브 섹션의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49874Y1 (it) * 2000-11-07 2003-06-05 Omec Spa Prolunga telescopica per un elettrodomestico
CN1299630C (zh) * 2002-12-18 2007-02-14 张毓麒 吸尘器的吸尘管
GB0512161D0 (en) * 2005-06-14 2005-07-20 Hoover Ltd Vacuum cleaner
CN100367902C (zh) * 2005-10-24 2008-02-13 徐为尔 吸尘器上的伸缩式吸管
DE102005059107B3 (de) 2005-12-08 2007-03-01 Fon Telescopic Systems Gmbh Teleskopierbares Staubsauger-Saugrohr
ITMI20060616A1 (it) * 2006-03-31 2007-10-01 Omec Spa Prolunga telescopica per un elettrodomestico
JP5052249B2 (ja) 2007-08-01 2012-10-17 花王株式会社 清掃具
DE202010009569U1 (de) 2010-06-25 2011-10-24 Roxxan Gmbh Anordnung eines Staubsaugersaugrohres, eines Führungseinsatzes, einer Betätigungshandhabe und eines Rohrabschnitts
CN102727139B (zh) * 2011-04-14 2014-12-17 科沃斯机器人有限公司 用于吸尘器的伸缩管
DE102013213212A1 (de) * 2013-07-05 2015-01-08 Fischer Rohrtechnik Gmbh Staubsauger-Saugrohr
GB2544105B (en) * 2015-11-06 2018-05-02 Dyson Technology Ltd Telescopic wand for a vacuum cleaner
IT201700108591A1 (it) * 2017-09-28 2019-03-28 Omec Spa Manicotto per una prolunga telescopica per un elettrodomestic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20534B1 (en) * 1991-06-28 1994-05-18 OMEC S.p.A. Telescopic extension for a vacuum cleaner
DE4200526C1 (ko) * 1992-01-11 1993-02-18 Carl Froh Roehrenwerk Gmbh & Co, 5768 Sundern, De
IT1292121B1 (it) * 1997-06-10 1999-01-25 Omec Spa Prolunga telescopica per un elettrodomestrico e procedimento di fabbricazione di detta prolunga telescopic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326B1 (ko) 2010-06-25 2017-09-25 록산 게엠베하 진공 청소기 흡입관, 가이드 인서트, 작동 레버 및 튜브 섹션의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33103A3 (de) 2002-09-25
JP2000308610A (ja) 2000-11-07
RU2193858C2 (ru) 2002-12-10
HUP0000746A2 (hu) 2001-04-28
JP4178274B2 (ja) 2008-11-12
NO20000821D0 (no) 2000-02-18
HU0000746D0 (en) 2000-04-28
EP1033103A2 (de) 2000-09-06
PL338498A1 (en) 2000-08-28
CZ296297B6 (cs) 2006-02-15
ES2204370T3 (es) 2004-05-01
CZ2000494A3 (cs) 2001-02-14
CN1264568A (zh) 2000-08-30
SK2072000A3 (en) 2000-09-12
EE03947B1 (et) 2003-02-17
ATE249163T1 (de) 2003-09-15
HUP0000746A3 (en) 2003-03-28
HU222924B1 (hu) 2003-12-29
DK1033103T3 (da) 2003-10-13
KR20010006662A (ko) 2001-01-26
PL193770B1 (pl) 2007-03-30
NO20000821L (no) 2000-08-23
EP1033103B1 (de) 2003-09-10
EE200000027A (et) 2000-10-16
CN1161069C (zh) 2004-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5044B1 (ko) 신축형 분진 흡입관
CN109642442B (zh) 旋转式伸缩装置
US9074389B2 (en) Lock apparatus for opening/closing member
US6085387A (en) Hinge device
US20040237259A1 (en) Hinge assembly
US5297405A (en) Door handle assembly with snap-in key cylinder
JP3668968B2 (ja) 伸縮可能な真空掃除機―吸込み管
GB2558858A (en) Lock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body
US7100244B2 (en) Hinge assembl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US20030019873A1 (en) Hinge device for storage container
JPH08182635A (ja) 回転ダンパにおける自立機構
JP2003014977A (ja) 光プラグ接続器用のプラグ部
DE69924802D1 (de) Schloss für eine Kraftfahrzeugtür
US20040261223A1 (en) Hinge assembly
JP4166986B2 (ja) 回転ダンパ及びアシストグリップ装置
US4062636A (en) Elongate cylindrical members securement
KR102584586B1 (ko) 차량용 키 장치
UA68357C2 (en) Telescopic vacuum cleaner suction hose
KR100551210B1 (ko)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KR970062241A (ko) 축래치장치
US11760265B2 (en) Assembly for attach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an exterior rearview mirror for vehicles and rearview mirror including it
CN214197477U (zh) 电子膨胀阀及制冷设备
JPH0794238A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KR100396398B1 (ko) 포토 인터럽터
JP4051869B2 (ja) 車両用ミラー駆動装置の回転抵抗軽減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