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4785B1 - 각막치료제 - Google Patents

각막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4785B1
KR100394785B1 KR1019970700715A KR19970700715A KR100394785B1 KR 100394785 B1 KR100394785 B1 KR 100394785B1 KR 1019970700715 A KR1019970700715 A KR 1019970700715A KR 19970700715 A KR19970700715 A KR 19970700715A KR 100394785 B1 KR100394785 B1 KR 100394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nt
corneal
cornea
arg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0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4462A (ko
Inventor
신세이로 오카모토
사카에 아마가야
켄지 사까모토
마사나오 카니타니
Original Assignee
신세이로 오카모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세이로 오카모토 filed Critical 신세이로 오카모토
Publication of KR970704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4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7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7Tetrapep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39Connective tissue peptides, e.g. collagen, elastin, laminin, fibronectin, vitronectin, cold insoluble globulin [CI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10Tetrapeptides
    • C07K5/1019Tetra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basic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2Linear peptides containing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각막치료제는 하기식(Ⅰ)으로 나타나는 헥사펩티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중 적어도 1종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함유한다:
Figure pct00016
〔상기 식중, A는 N말단 아미노기가 탈아미노화, 알킬화 또는 아실화되어있는 아르기닌 또는 라이신을 나타내고, B는 아르기닌, 라이신 또는 히스티딘을 나타내고, Pro는 프로린을 나타내고, C는 티로신, 트립토판 또는 페닐알라닌이며, D는 발린, 이소류신 또는 류신을 나타내고, E는 C말단 카르복실기가, -COOR, -CH2OR 또는 -CONHR(R은 C1∼C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은 수소원자 또는 C1∼C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로 치환되어 있는 발린, 이소류신 또는 류신을 나타낸다〕.

Description

각막치료제
최근, 안과영역에서는 눈의 기하학적 절제에 의한 시력장해의 치료가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각막을 절개함으로써 근시, 원시, 난시 등의 굴절이상을 치료하거나 각막혼탁 등의 각막병변의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같은 외과적인 치료방법은 종래의 시력교정법, 즉, 안경 또는 콘택트렌즈와 같은 보정렌즈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영구적인 교정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매우 유리하다.
이와같은 시력장해에 대한 대표적인 외과치료로서는 각막절제에 의한 근시치료를 들 수 있다. 이 가운데 방사상 각막 절개법은 각막굴절 외과적방법의 하나로 각막 과잉 완곡에 의해 생기는 근시를 교정하는데 사용된다. 이 방법은 각막의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방사상으로 펼쳐지는 선을 따라 절개를 행한다. 이 절개는 통상 메스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또, 절개의 깊이는 일반적으로 각막 두께의 약 90∼95%에 달한다. 절개의 수는 4∼16의 범위내가 가능한데 일반적으로는 8∼12이다. 이와 같은 각막의 절개에 의해 각막을 이완시키고 각막을 약간 평평하게하여근시를 경감 또는 해소할 수 있다.
또, 엑시머레이저를 사용한 광학적 각막절제(PRK)법이 있다. PRK법에서는 각막 전면의 중앙부를 요(凹)면 모양으로 깍는다. 각막은 메니스커스(meniscus)모양으로 깍여진다. 탄소가스레이저 또는 YAG레이저와 같은 적외레이저는 레이저가 나오는 복사선(輻射線)을 피가공물을 구성하는 분자가 흡수하고, 그 분자진폭에 의해 발생한 열에 의해 용단하는 것인데, 엑시머레이저는 피가공물을 구성하는 분자의 결합을 광학 에너지로 절단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각막이 열변성을 받기 어렵다. 또, 레이저는 피가공물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으므로 각막을 정확히 필요한 깊이 및 영역만 깍을 수 있다.
그러나 어떠한 방법을 사용해도 수술후의 각막의 치유가 불완전하면 각막이 뿌옇게 흐려지는 현상, 즉 각막혼탁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각막혼탁은 엑시머 레이저 수술 등의 각막에 대한 자극에 의해 창상치유과정에서 각막표층에 콜라겐이 무질서하게 분비됨으로 인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막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눈의 수술, 보다 구체적으로 자외광 레이저, 특히 엑시머레이저를 사용한 광학적 각막절제수술후의 각막의 치료를 촉진하고, 동시에 각막의 혼탁을 방지하는 각막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각막 굴절 수술후 각막의 치유를 촉진하고, 각막혼탁을 방지할 수 있는 각막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식(Ⅰ)으로 나타나는 헥사펩티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이하 HP라 한다)중 적어도 하나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치료제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중,
A는 N말단 아미노기가 탈아미노화, 알킬화 또는 아실화되어 있는 L형 또는 D형의 아르기닌 또는 라이신(Lysine)을 나타내고, B는 L형 또는 D형의 아르기닌, 라이신 또는 히스티딘(Histidine)을 나타내고,
Pro는 L형 또는 D형의 프롤린(Proline)을 나타내고,
C는 L형 또는 D형의 티로신, 트립토판(Tryptophan) 또는 페닐알라닌이고,
D는 아미노기의 수소원자중 하나가 C1∼C4의 알킬기로 치환될 수 있는 L형 또는 D형의 발린, 이소류신(Isoleucine) 또는 류신(Leucine)을 나타내고,
E는 미치환 또는 C말단 카르복실기가, -COOR, -CH2OR 또는 -CONHR(R은 수소 원자 또는 C1∼C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로 치환되어 있는 L형 또는 D형의 발린, 이소류신 또는 류신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각막치료제는 각막의 창상치료 및 각막의 혼탁(백탁)방지를 목적으로 하며, 이러한 용도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각막치료제는 활성성분으로서, 상피세포 증식인자(이하, EGF라 한다) 및 피브로넥틴(이하, FN이하 한다)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해도 좋으며, 이 경우에는 더한층 우수한 효과가 기대된다.
또, 본 발명은 HP를 함유하는 A제 및 EGF 또는 FN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B제를 포함하고, 상기 A제 및 상기 B제가 각각 또는 동시에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치료용 키트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HP를 함유하는 A제, EGF를 함유하는 B제 및 FN을 함유하는 C제를 포함하고, 상기 A제, 상기 B제, 상기 C제가 각각 또는 동시에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치료용 키트를 제공한다.
발명의 실시양태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아미노산은 IUPAC-IUB 생화학명명법위원회(CBN)에서 채용된 방법에 따라 약기하여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HP를 구성하는 여섯 개의 아미노산은 D형 또는 L형중 어느것이라도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각막치료제의 활성성분인 HP는 이미 신규의 헥사펩티드로서 본 출원인이 제안하였다(일본 특허공개공보;특개평 5-194590호 공보).
식(Ⅰ)에 있어서 헥사펩티드의 N말단으로부터 첫번째의 아미노산(A)은 N말단 아미노기가 탈아미노화, 알킬화 또는 아실화된 아르기닌(Arginine) 또는 라이신(Lysine)이다.
N말단 아미노기의 탈아미노화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탈아미노화된 아르기닌은 5-아미노 길초산을 2N수산화 나트륨수용액에 용해하고, 나아가서는 S-메틸티오 카르바미드를 첨가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아미노산(A)의 N말단 아미노기에 도입된 알킬기는 예를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및 부틸이다. N말단 아미노기의 알킬화는 예를 들면 아미노산(A)을 브롬화메틸, 브롬에틸과 같은 대응하는 브롬화알킬과, 염화메틸렌 또는 피리딘과 같은 유기용매중에서 반응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아미노산(A)의 N말단 아미노기에 도입된 아실기는 예를 들면 포르밀, 아세틸, 프로피오닐, 벤조일 또는 p-톨루엔설포닐이다.
N말단 아미노기의 아실화는 예를 들면 아미노산(A)을 무수초산과 같은 산무수물 또는 아세틸클로라이드와 같은 산염화물과 동시에 염화메틸 또는 피리딘과 같은 유기용매중에서 반응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식(Ⅰ)에 있어서, 헥사펩티드의 N말단으로부터 4번째의 아미노산(C) 및 5번째의 아미노산(D)간의 펩티드결합은 하기식(Ⅱ)으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pct00003
(상기 식중 X는 수소원자 또는 C1∼C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식(Ⅱ)중, C1∼C4의 알킬기는 예를 들면 메틸, 에틸, n-프로필, t-프로필, n-부틸, i-부틸 또는 t-부틸이다.
식(Ⅰ)에 있어서, 헥사 펩티드의 N말단으로부터 6번째의 아미노산(E)은 발린, 류신 또는 이소류신이다. 6번째 아미노산(E)의 C말단 카르복실기는 -COOR, -CH2OR또는 -CONHR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치환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여기서 R은 수소원자 또는 C1∼C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또한 알킬기는 예를 들면 메틸, 에틸, n-프로필, t-프로필, n-부틸, i-부틸 또는 t-부틸이다.
상술한 HP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이하의 펩티드 번호 1∼12로 나타내는 헥사펩티드이다.
Figure pct00004
상술한 HP는 일반적으로 펩티드의 합성에 이용되는 공지된 액상법 또는 고상법중 어느것을 사용해도 합성할 수 있다. 고상법을 사용한 HP의 상세한 합성방법에 대해서는 상기 특개평 5-19459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각막치료제의 활성성분에는 상술한 HP의 염도 포함된다. HP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무독의 염의 예는 나트륨 내지는 칼륨과 같은 알칼리 금속, 칼슘 내지는 마그네슘과 같은 알칼리 토류금속과 이들의 염 및 염산, 황산, 인산내지는 탄산과 같은 무기산, 또는 초산, 프로피온산, 주석산, 호박산, 말산, 아스파라긴산 또는 글루타민산과 같은 유기산의 산부가염이다.
본 발명의 각막치료제는 예를 들면 안과용 국소제제로서 이용된다. 안과용 국소제제는 예를 들면 안관류액제, 점안제 또는 안연고제등이다. 안관류액제를 위한 본 발명의 각막치료제는 멸균정제수 등에 HP를 용해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방수조성에 접근하기 위한 등장화제, 완충제 등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물을 필요에 따라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는 구체적으로는 포도당,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황산마그네슘, 탄산수소나트륨, 글루타티온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점안제를 위한 본 발명의 각막치료제는 수성점안제, 비수성점안제, 현탁성점안제 또는 난탁성 점안제이다. 이러한 점안제는 수성용제로서 멸균정제수, 생리식염수등, 비수성용제로서 면실유, 대두유, 참기름, 낙화생유 등의 식물유에 HP를 용해 또는 현탁시켜 제조 할 수 있다. 이때, 등장화제, pH조절제, 점조제, 현탁화제, 유화제 및 보존제 등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물을 필요에 따라 첨가할 수 있다. 구체적인 등장화제로는 염화나트륨, 붕산, 질산나트륨, 질산칼륨, D-만니톨, 포도당 등을 들 수 있다. pH조절제로는 붕산, 무수아황산 나트륨, 염산,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초산, 초산칼륨, 탄산나트륨, 붕사 등을 들 수 있다. 점도조절제로는 메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즈, 폴리비닐 알롤, 콘드로이친 황산나트륨, 폴리비닐 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현탁화재로는 폴리솔베이드 80, 폴리옥시 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60, 폴리옥시경화 피마자유 등을 들 수 있다. 유화제로는난황레시틴, 폴리솔베이드 80 등을 들 수 있다. 보존제로는 염화 벤잘코니움, 염화벤제토니움, 클로로부탄올, 페닐에틸알콜, 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점안제를 위한 본 발명의 각막치료제는 HP를 10ng/ml∼100㎍/ml범위에서 함유한다. 당해 점안제는 예를 들면 1일1∼6회, 1회당 1∼3방울 점안된다.
또, 본 발명의 각막치료제는 안연고제도 포함한다. 안연고제를 위한 본 발명의 각막치료제는 일반적으로 안연고제로 사용되는 기초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안연고제를 위한 본 발명의 각막치료제는 10ng/ml∼100㎍/ml범위의 HP를 함유한다. 당해 안연고제는 예를 들면 1일 1∼6회, 1회당 100㎍을 점안봉을 사용하여 눈꺼풀 안쪽에 도포한다.
또, 본 발명의 각막치료제는 콘택트렌즈에 부착시켜 적용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지속시간이 길어짐과, 동시에 약효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각막치료제는 HP의 각막창상 치유촉진 효과를 통하여 예를 들면, 각막 굴절수술에 의한 각막 창상의 치유를 촉진하고, 수술후 각막의 회복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각막치료제는 각막혼탁 방지효과를 가지며, 각막혼탁(백탁)을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다.
상술한 방사상각막 절개법에서는 메스에 의한 절개에 의하여 각막의 표면측에서 보아 상피, 보우만막 및 실질에 이르는 V자형 횡단면을 갖는 절개부가 형성된다. 이와같은 절개부에서는 수술후 며칠에 걸쳐 치유가 진행된다. 우선, 상피세포가 절개벽의 표면을 따라 표피로부터 아래로 증식하여 절개부벽의 전면을 덮는다.이어서, 절개부의 하부에서 실질조직이 재차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절개부의 하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실질조직이 고쳐져감에 따라 최초 절개부의 벽을 형성하고 있던 상피세포는 상방으로 밀려나간다.
그러나 수술전에 실질조직으로 형성되어 있던 부분은 완전히 실질조직으로 재형성되지 않고, 당해 부분의 일부는 치유의 초기과정에서 형성된 표피세포로 보완된다. 이 때문에 수술후의 각막이 정상 상태로 완전히 회복될 수는 없다. 이와 같이 각막이 완전히 치유되치 않기때문에 각막이 역학적으로 약해지고, 각막백탁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 엑시머레어저를 사용한 PRK법은 각막상피를 메스로 깍은 후에 각막실질층을 엑시머레이저로 깍는다. 따라서 실질의 표층부분만을 깍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수술에 의한 창상은 초기 상피세포의 형성에 의해서만 치유된다. 그 결과, 수술후 엑시머레이저에 의하여 깍여진 부분은 상피세포로 덮여짐으로써 거의 건강한 상태로 회복된다. 그러나 치유후의 각막에서는 표피세포가 불균일하게 형성되고, 각막상피의 표면이 거칠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 표피세포의 치유가 늦어지면 각막실질의 표층에 콜라겐이 분비되므로 PRK법의 수술로도 방사상 각막절개법과 마찬가지로 각막백탁이 생길 우려가 있다.
이상에서, 엑시머레이저를 이용한 PRK법에 대해 설명했는데 PRK법은 엑시머레이저를 포함하는 자외광레이저를 이용할 수 있다. 자외광 레이저란 파장 약1∼400nm의 자외영역의 레이저를 말한다.
방사상 각막 절개법 또는 PRK법에 의한 각막수술후에 본 발명의 각막치료제를 적용하면 수술에 의한 절개부 및 절제부의 염증이 억제되고 창상치유가 촉진되어 콜라겐의 분비가 억제되므로 각막백탁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각막치료제의 활성성분은 HP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으나 다른 공지된 각막치유활성을 갖는 화합물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각막치료제는 특개소 63-5745호 공보, 특개소53-6502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표피성장인자(이하, EGF라고 표기한다)와 특개소 63-574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피브로넥틴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한층 더 우수한 각막치유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HP를 함유하는 A제 및 EGF 또는 FN중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B제를 준비하고, A제 및 B제를 각각 또는 동시에 투여할 수도 있다. A제 및 B제는 각각의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안과용 국소제제 예를 들면 점안제, 안연고제이다. A제 및 B제는 따로 또는 동시에 투여할 수도 있다. 점안제로서 사용한 경우, EGF의 유효량은 0.01∼50㎍/ml의 범위내이다. 점안제로서 사용한 경우, FN의 유효량은 10ng/ml ∼ 1mg/ml 범위내이다.
마찬가지로 HP를 함유하는 A제, EGF를 함유하는 B제 및 FN을 함유하는 C제를 준비하고, A제, B제 및 C제를 각각 또는 동시에 투여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HP와 EGF 및 FN을 병용하는 경우에는 EGF가 상피재생 증식작용을 가지므로 각막치유의 초기단계를 촉진한다. 또한, FN은 세포간 접착작용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ECF 및 FN에 의하여 HP의 각막치유 촉진작용이 증강되므로 각막혼탁이 방지되고 각막의 조기치료가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엑시머 레이저에 의한 각막치료후의 각막의 창상치유에 대한 촉진작용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을 행하였다.
1. 샘플의 조제
본 시험에는 다음과 같은 물질이 사용되었다.
Figure pct00005
HP1 및 HP2는 상기 특개평 5-194590호 공보에 기재된 실시예 31 및 32에 따라 합성되었다.
HP1 및 HP2는 각각 1.2ml의 옥시글루타치온 안관류·세정액(상품명 BSS플러스, 參天製藥製)으로 희석하여, 최종농도 0.1mg/ml로 만들었다. 또한 100㎍/ml의 EGF를 1ml의 옥시글루타치온 안관류·세정액으로 희석하여 최종농도를 0.1mg/ml로 만들었다.
2. 사용동물의 각막 절제
사용동물로서 유색의 토끼를 준비하여 다음과 같은 수술을 실시하였다.
1펄스 180mj/10nsec(10Hz)의 조건의 엑시머레이져를 토끼의 양눈 각막에 조사하여 각막 중앙부분의 각막실질의 표면을 직경 4.5mm(9.9디옵터), 중앙부 최대심도 70㎛의 메니스커스 렌즈상을 마모시켜 절제하였다. 한편, 엑시머레이저 조사에는 미국 사미트사의 옴니멧(상품명)을 사용했다.
3. 샘플의 투여
상기 샘플을 1일 2회(오전, 오후 1회씩), 토기의 양눈에 한방울(약50μl)씩 점안했다. 점안은 5∼7일간 행했다.
[표 1]
Figure pct00006
또한 비교예로서 상기 샘플을 표2에 기재된 농도로 옥시글루타치온 안관류·세정액에 용해시켜 상기와 같이 토끼의 양눈에 점안했다.
한편, 대조부에는 엑시머레이저를 조사한 후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다.
[표 2]
Figure pct00007
점안 종료후 토끼로부터 좌우 안구를 적출하고, 안구를 글루타르알데히드·포르말린 고정액으로 고정했다. 고정후, 각막을 레이저 조사부(照射部) 및 비조사부(非照射部)가 포함되도록 잘라내고, 일반적으로 파라핀블록을 만들고 미크로톰을 사용하여 5㎛ 두께의 박막절편을 만들었다. 얻어진 각막절편을 H.E.(헤마톡시린·에오진) 염색하고, PAS, 토리크롬으로 특수염색한 후 절편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했다.
관찰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조부에서는 엑시머레이저의 조사부의 중앙에서 각막상피의 재생은 보여지지 않았다.
비교예1의 FN군에서는 조사부 전체로 상피의 재생이 인정되었지만 재생상피의 두께는 불균일하고 염증성 세포침윤을 주체로 하는 염증상이 인정되었다. 나아가서는 상피직하의 공포(空胞)형성 및 선유아세포의 증식도 비교적 현저하였다.
비교예2의 ECF군에서는 조사부 전체로 상피의 재생이 보여졌다. 재생상피의 두께도 거의 균일했다. 그러나 상피하의 고유층에서는 공포형성 및 선유아세포의 증식이 보여졌다. 또한 염증도 인정되었다.
비교예3의 FN+EGF군에서는 조사부 전체에서 상피의 재생이 인정되었다. 그러나 재생상피의 두께는 불균일하고, 상피하의 고유층에서는 공포형성 및 선유아세포의 증식이 인정되었다. 또한 염증상도 인정되었다.
실시예1의 HP1군 및 실시예2의 HP2군은 모두 조사부 전체에서 상피의 재생이 인정되었지만 재생상피의 두께는 불균일하였다. 더욱이 고유층에 있어서 공포형성 및 선유아세포의 증식도 인정되었다. 그러나 염증상은 인정되지 않았다.
실시예3의 FN+HP1군, 실시예4의 FN+HP2군, 및 실시예5의 EGF+HP1군은 조사부 전체에서 상피의 재생이 인정되었지만 재생상피의 두께는 불균일했다. 또 고유층의 공포형성 및 선유아세포의 증식은 적었다. 그러나 염증상은 인정되지 않았다.
실시예6의 EGF+FN+HP1군에서는 조사부 전체에서 상피의 재생이 인정되고, 더욱이 재생상피의 두께는 거의 균일하였다. 상피하에 공포형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며 염증상도 인정되지 않았다.
실시예7의 HP1+HP2+FN+EGF군에서는 조사부 전체에서 상피의 재생이 인정되어 재생상피의 두께는 정상이었다. 또 상피하의 공포의 형성 및 선유아세포의 증식도 거의 인정되지 않았다. 더욱이 염증상도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실시예1의 HP1군 및 실시예2의 HP2군은 각막의 재생이 인정되고, 종래의 각막치료제로 알려져있는 비교예1의 FN 및 비교예2의 EGF와 마찬가지로 각막의 창상치유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나아가서 비교예1의 FN군 및 비교예2의 EGF군에서는 염증상이 인정되었지만, 실시예1의 HP1군 및 실시예2의 HP2군의 경우에는 염증상이 인정되지 않았으며 염증의 재생도 방지할 수 있음을 알았다. 그 결과 HP1 및 HP2는 재생상피의 두께가 불균일하게 되는 것의 각막치료제로서 사용가능함이 증명되었다.
한편, 실시예3의 FN+HP1군, 실시예4의 FN+HP2군, 및 실시예5의 EGF+HP1군과 같이 HP1또는 HP2에 FN또는 EGF를 병용한 경우, 각막의 재생이 인정될 뿐아니라 공포형성 및 선유아세포의 증식이 억제됨을 알았다. 게다가 염증의 발생도 방지되었다.
또한, 실시예6의 EGF+FN+HP1군 또는 실시예7의 HP1+HP2+FN+EGF군과 같이 HP, FN 및 EGF를 병용한 경우에는 각막의 재생이 인정되고, 게다가 재생상피의 두께가 거의 균일해졌다. 또한,포의 형성 및 선유아세포의 증식도 현저하게 억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더욱이 염증의 발생도 방기할 수 있음을 알았다. 특히, 실시예7의 HP1+HP2+FN+EGF군의 경우에는 재생상피의 두께는 정상이고, 공포의 형성 및 선유아세포의 증식도 거의 인정되지 않았으며, 극히 우수한 각막치료효과가 발휘되는 것이 증명되었다. 이와 같이 HP, FN 및 EGF의 병용에 의해 각막의 치유가 한층 강화되므로 각막 절제수술전 보다 건강한 상태로 돌아갈 수 있었다.
〔배열표〕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Claims (10)

  1. N-acetyl-Arg-Arg-Pro-Tyr-Ile-Leucinol 및 N-acetyl-Arg-Arg-Pro-Tyr-Ile-Leu-OH로 표시되는 헥사펩티드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 치료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피세포증식인자를 추가로 함유하는 각막치료제.
  3. 제1항에 있어서,
    피브로넥틴을 추가로 함유하는 각막치료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외광 레이저에 의한 광학적 각막절제수술에 의해 형성된 창상(創傷)의 치료를 위한 각막치료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엑시머레이저에 의한 광학적 각막절제수술에 의해 형성된 항상 치료를 위한 각막치료제.
  6. N-acetyl-Arg-Arg-Pro-Tyr-Ile-Leucinol 및 N-acetyl-Arg-Arg-Pro-Tyr-Ile-Leu-OH로 표시되는 헥사펩티드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A제; 및
    상피세포증식인자 또는 피브로넥틴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B제를 포함하고,
    상기 A제, 상기 B제가 각각 또는 동시에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치료용 키트.
  7. N-acetyl-Arg-Arg-Pro-Tyr-Ile-Leucinol 및 N-acetyl-Arg-Arg-Pro-Tyr-Ile-Leu-OH로 표시되는 헥사펩티드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A제;
    상피세포증식인자를 함유하는 B제; 및
    피브로넥틴을 함유하는 C제를 포함하고,
    상기 A제, 상기 B제 및 상기 C제가 각각 또는 동시에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치료용 키트.
  8. 제7항에 있어서,
    자외광 레이저에 의한 광학적 각막절제수술에 의해 형성된 창상의 치료 및 각막의 혼탁방지를 위한 각막치료용 키트.
  9. 제7항에 있어서,
    엑시머레이저에 의한 광학적 각막절제수술에 의해 형성된 창상의 치료 및 각막의 혼탁방지를 위한 각막치료용 키트.
  10. 제2항에 있어서,
    피브로넥틴을 추가로 함유하는 각막치료제.
KR1019970700715A 1994-08-05 1995-08-04 각막치료제 KR100394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84844 1994-08-05
JP6184844A JPH0848634A (ja) 1994-08-05 1994-08-05 角膜治療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4462A KR970704462A (ko) 1997-09-06
KR100394785B1 true KR100394785B1 (ko) 2004-02-14

Family

ID=16160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0715A KR100394785B1 (ko) 1994-08-05 1995-08-04 각막치료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46940A (ko)
EP (1) EP0774260A4 (ko)
JP (1) JPH0848634A (ko)
KR (1) KR100394785B1 (ko)
AU (1) AU704713B2 (ko)
CA (1) CA2196687A1 (ko)
WO (1) WO19960040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76454A2 (fr) * 1999-06-14 2000-12-21 Advanced Medicine Research Institute Compositions therapeutiques a usage ophtalmique et compositions therapeutiques destinees au traitement des lesions cerebrales centrales
US6607522B1 (en) * 2000-03-16 2003-08-19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Methods for tissue welding using laser-activated protein solders
US11259554B2 (en) 2015-12-16 2022-03-01 Diet4Life Aps Dietary peptide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5020A (ja) * 1982-10-04 1984-04-13 J- C R Kk 点眼剤
DE3380839D1 (en) * 1983-11-02 1989-12-21 J C R Kabushiki Kaisha Also Kn Ophthalmic preparations
JP2661909B2 (ja) * 1986-04-04 1997-10-08 アラ−ガン・インコ−ポレイテツド 角膜創傷治癒用組成物
FI890918A (fi) * 1988-03-11 1989-09-12 Eisai Co Ltd Polypeptider.
JP2714425B2 (ja) * 1988-03-11 1998-02-16 エーザイ株式会社 ポリペプチド
EP0339905A3 (en) * 1988-04-25 1991-05-08 Ethicon, Inc. Wound healing compositions containing growth factors and retinoids
US5360611A (en) * 1988-10-03 1994-11-01 Alcon Laboratorie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ment of the cornea following ultraviolet laser irradiation
JPH0651638B2 (ja) * 1989-02-13 1994-07-06 新技術事業団 角膜上皮創傷治療用点眼剤
JPH03291238A (ja) * 1989-12-27 1991-12-20 Takara Shuzo Co Ltd 角膜障害治療剤
EP0558751B1 (en) * 1990-11-20 2000-02-02 Kowa Co. Ltd. Therapeutic agent for the treatment of wounds
JPH04272616A (ja) * 1991-02-27 1992-09-29 Aisin Seiki Co Ltd 超電導線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5393740A (en) * 1991-07-30 1995-02-28 Tsumura & Co. Neurotensin Hexapeptides
US5374621A (en) * 1991-09-13 1994-12-20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Neurotensin method for inhibiting vascular leakage
JP2948708B2 (ja) * 1991-11-27 1999-09-13 ニューヨーク・ブラッド・センタ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フィブロネクチン含有点眼液
JPH06172212A (ja) * 1992-12-10 1994-06-21 Tsumura & Co 医薬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48634A (ja) 1996-02-20
AU704713B2 (en) 1999-04-29
EP0774260A4 (en) 2001-11-21
WO1996004002A1 (fr) 1996-02-15
US5846940A (en) 1998-12-08
EP0774260A1 (en) 1997-05-21
KR970704462A (ko) 1997-09-06
CA2196687A1 (en) 1996-02-15
AU3190595A (en) 1996-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9184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ment of the cornea following laser treatment
US5624893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ment of the cornea following laser irradiation
US5124392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ment to prevent and treat corneal scar formation produced by laser irradiation
HUT65755A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preparations containing plasminogen-activators for treatment of inflammation and wound
Pfister Clinical measures to promote corneal epithelial healing
JP5167499B2 (ja) 光角膜切除における角膜組織の保護のためのピレノキシンの使用
EP1915998A1 (en) Prophylactic or therapeutic agent for corneal/conjunctival disease
US5271939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ment to prevent and treat corneal scar formation produced by laser irradiation
Lemp General measures in management of the dry eye
KR20010100588A (ko) 엑시머레이저 각막절제술 후 항염증, 항섬유화, 조직유착및 반흔형성억제 작용을 가지는 양막의 약학적 조성물
KR20010040457A (ko) 안약 조성물
US5411940A (en) Use of TGF-β3 to reduce the formation of scar tissue in response to corneal trauma
KR100394785B1 (ko) 각막치료제
KR20010041337A (ko) 각막 상피 장애증 치료제
Paley et al. Corneal wound healing, recurrent corneal erosions, and persistent epithelial defects
EP0950409B1 (en) Subepithelial turbidity inhibitor
US5449671A (en) Use of TGF-β3, to prevent or retard fistula closure following glaucoma filtration surgery
RU2434633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препаративные формы латрункулина
JPH09176003A (ja) 角膜治療剤
RU2112473C1 (ru) Глазные капли
RU2272621C2 (ru) Способ профилактики субэпителиальной фиброплазии после фоторефракционной кератэктомии
Srinivasan et al. Pterygium: current concepts and treatment modalities
RU2002111272A (ru) Способ модифицированной субэпителиальной фоторефрактивной кератэктомии (Epi CAP-эпителиальный роговичный аутопротектор)
Lapid-Gortzak et al. Surgery for Band Keratopathy
WO2001091779A1 (fr) Remedes contre les lesions corneen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