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4617B1 - 차량의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4617B1
KR100394617B1 KR10-2000-0054136A KR20000054136A KR100394617B1 KR 100394617 B1 KR100394617 B1 KR 100394617B1 KR 20000054136 A KR20000054136 A KR 20000054136A KR 100394617 B1 KR100394617 B1 KR 100394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exhaust gas
gas recirculation
ro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4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1434A (ko
Inventor
최민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4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4617B1/ko
Priority to JP2001226593A priority patent/JP4638625B2/ja
Priority to US09/919,624 priority patent/US6394077B1/en
Priority to DE10137365A priority patent/DE10137365A1/de
Publication of KR20020021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6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015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 F01L13/0021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by modification of rocker arm rati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01Internal exhaust gas recirculation, i.e. wherein the residual exhaust gases are trapped in the cylinder or pushed back from the intake or the exhaust manifol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305/00Valve arrangements comprising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800/00Methods of operation using a variable valve timing mechanism
    • F01L2800/10Provid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026/001Arrangements; Control features; Details
    • F02M2026/004EGR valve controlled by a temperature signal or an air/fuel ratio (lambda) sig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52Systems for actuating EGR valves
    • F02M26/55Systems for actuating EGR valves using vacuum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다양한 운전 조건에서 외기의 온도 차이에 따라 실린더 내부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차량의 배기 가스 재순환(EGR) 장치에 관한 것으로, 흡기 밸브와 배기 밸브가 정렬된 실린더 헤드를 갖는 엔진과; 상기 실린더 헤드에 피벗 지지되는 제1 힌지부를 통해 외력에 연동되어 상기 흡기 밸브를 개폐시키는 제1 링크와; 상기 실린더 헤드에 피벗 지지되는 제2 힌지부를 통해 상기 제1 링크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상기 배기 밸브를 개폐시키는 제2 링크와; 상기 제1 링크의 끝단에 인접되어 연결되고, 상기 제2 링크의 하면에 접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 링크의 움직임을 상기 제2 링크로 전달하여 배기 밸브의 개도상태를 조절하는 배기가스 재순환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EXHAUST GAS RECIRCULATION DEVIC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다양한 운전영역에서 외기의 온도 차이에 따라 실린더 내부로 재순환되는 배기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차량의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엔진의 배기가스 제어장치로 사용되는 차량의 배기가스 재순환(EGR : Exhaust Gas Recirculation)장치는 질소산화물(NOX)의 배출을 저감하기 위해, 배기가스의 일부를 흡기측으로 재순환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배기 가스 재순환(EGR) 장치는 기본 구성은 일반적으로 흡기와 배기 다기관을 연결하는 배기 가스 재순환(EGR) 밸브이다. 상기 배기 가스 재순환(EGR) 밸브는 흡기 다기관의 진공 신호에 따라 연소실내로 재순환되는 배기가스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배기 가스 재순환(EGR) 밸브가 열려 있으면 배기가스의 일부는 보다 압력이 낮은 흡기 다기관 내에 흘러 들어간다. 상기 배기 가스 재순환(EGR) 밸브는 흡기 다기관의 부압과 배기 다기관의 압력을 이용하여 배기 가스 재순환(EGR)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뉴매틱 방식과 전자제어방식이 있다. 상기 뉴매틱 방식은 5∼10%정도의 소량 배기 가스 재순환(EGR)을 하는 엔진에 사용되고 상기 전자제어방식은 제어의 자유도가 크기 때문에 15∼20%정도의 대량 배기 가스 재순환(EGR)을 하는 엔진에 사용된다.
상기 배기 가스 재순환(EGR) 밸브의 구조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인 것을 예로 들어 기본적인 동작을 설명해 본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크리너(12)와 스로틀 바디(14)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흡기 다기관(18)을 거쳐 엔진(20)으로 흡입된다. 상기 엔진(20)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양은 스로틀 밸브(16)와 스로틀 바디(14)사이의 면적에 의해 변화되며, 상기 엔진(20)에서 연소된 혼합기는 배기 다기관(22)을 통해 배출된다. 이러한 엔진(20)의 연소 과정에서 종래의 배기 가스 재순환(EGR) 밸브(26)는 일종의 다이어프램 밸브로서, 평상시 스프링 힘에 의해 닫혀져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스로틀 바디(16)의 진공은 연결 파이프(30)를 통해 배기 가스 재순환(EGR) 밸브(26)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배기 가스 재순환(EGR) 밸브(26)는 열리게 되며 배기 가스 재순환(EGR) 파이프(24)를 통해 배기가스가 흡기 다기관(18)으로 유입된다. 참조번호(28)는 EGR-BPT(EGR-Back Pressure Transducer)밸브이다. 상기 EGR-BPT 밸브(28)는 배기가스의 압력과 흡기 다기관(18)의 진공상태에 의해 다이어프램이 작동하여 배기 가스 재순환(EGR) 밸브(26)에 작용하는 진공 변화량을 조절한다.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때 종래의 EGR-BPT형식은 부품수가 많고 구성이 복잡하며, 전자식 배기 가스 재순환(EGR) 밸브의 경우 제어기에 많은 부하를 주고 별도의 배기 가스 재순환(EGR) 로직을 구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다양한 운전 조건에서 외기의 온도 차이에 따라 실린더 내부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차량의 배기 가스 재순환(EGR)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기 가스 재순환(EGR) 장치에 소요되는 부품을 간결하게 구성하여 질소산화물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차량의 배기 가스 재순환(EGR)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에 있어서, 흡기 밸브와 배기 밸브가 정렬된 실린더 헤드를 갖는 엔진과; 상기 실린더 헤드에 피벗 지지되는 제1 힌지부를 통해 외력에 연동되어 상기 흡기 밸브를 개폐시키는 제1 링크와; 상기 실린더 헤드에 피벗 지지되는 제2 힌지부를 통해 상기 제1 링크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상기 배기 밸브를 개폐시키는 제2 링크와; 상기 제1 링크의 끝단에 인접되어 연결되고, 상기 제2 링크의 하면에 접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 링크의 움직임을 상기 제2 링크로 전달하여 배기 밸브의 개도상태를 조절하는 배기가스 재순환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배기 가스 재순환(EGR)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배기 가스 재순환(EGR) 장치의 구성에서 배기 가스 재순환(EGR)량이 적은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기 가스 재순환(EGR) 조절부의 작동에서 배기 가스 재순환(EGR)량이 많은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배기 가스 재순환(EGR) 장치의 구성에서 배기 가스 재순환(EGR)량이 적은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기가스 재순환 조절부(EGR 조절부)(150)의 작동에서 배기 가스 재순환(EGR)량이 많은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배기 가스 재순환(EGR)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종래의 배기 가스 재순환(EGR) 장치의 구성을 배제하고,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배기 가스 재순환(EGR) 장치를 구성하여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배기 가스 재순환(EGR) 장치에 있어서, 흡기 밸브(110), 배기 밸브(120), 제1 링크(130), 제2 링크(140), 배기 가스 재순환(EGR) 조절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흡기 밸브(110)는 상기 차량의 연소실에 인접되도록 설치되어 개폐 동작에 따라 외기를 실린더 내부로 흡입시키는 기능을 한다. 배기 밸브(120)는 상기 흡기 밸브(11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개폐 동작에 따라 상기 실린더 내부의 혼합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흡기 밸브(110)와 배기 밸브(120)는 종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제1 링크(130)는 상기 흡기 밸브(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외력에 연동되어 상기 흡기 밸브(110)를 개폐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1 링크(130)는 상기 흡기 밸브(110)의 밸브 스템(112)과 접하는 일단과, 상기 배기 가스 재순환(EGR) 조절부(150)가 결합되는 타단과, 상기 제1 링크(130)의 일단과 상기 배기 가스 재순환(EGR) 조절부(150)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힌지부(132)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흡기 밸브(110)의 개폐시기에 따라 상기 제1 힌지부(132)를 중심으로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흡기 밸브(110)를 개폐한다. 상기 제1 링크(130)는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흡기 밸브(110)를 개폐하는 로커암 구성과 별개로 구성하여 로커암 동작에 연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로커암의 일부를 변형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2 링크(140)는 상기 배기 밸브(1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링크(13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상기 배기 밸브(120)를 개폐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2 링크(140)는 상기 배기 밸브(120)의 밸브 스템(122)과 접하는 일단과, 상기 배기 가스 재순환(EGR) 조절부(150)의 로드(154)와 접하는 타단과, 상기 제2 링크(140)의 일단과 상기 제2 링크(140)의 타단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힌지부(142)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로드(154)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2 힌지부(142)를 중심으로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배기 밸브(120)를 개폐한다. 상기 제2 링크(140)는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배기 밸브(120)를 개폐하는 로커암 구성과 별개로 구성하여 로커암 동작에 연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전술한 제1 링크(130)의 구성 설명에서와 같이 배기 밸브(120)를 개폐하는 로커암의 일부를 변형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배기 가스 재순환(EGR) 조절부(150)는 상기 제1 링크(130)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 링크(130)의 움직임을 상기 제2 링크(140)로 전달하며, 상기 배기 가스 재순환(EGR) 조절부(150)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 차이에 상기 배기 가스 재순환(EGR) 조절부(150)의 전체 길이가 가변된다. 상기 배기 가스 재순환(EGR) 조절부(150)는 상기 제1 링크(130)의 타단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원통형의 하우징(152)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152)내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하우징(152)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로드(154)와, 상기 로드(154)의 일단과 상기 하우징(152)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154)의 길이방향 움직임을 지지하는 스프링(158)과, 상기 로드(154)의 움직임 공간에 내장되어 온도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는 팽창 물질과, 상기 하우징(152)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52) 외부의 공기가 상기 하우징(152) 내부로 유입되는 에어 포트(Air Port)(160)와, 상기 에어 포트(160)와 결합되어 외기의 흡입 통로 기능을 하는 호스(16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로드(154)는 팽창 물질의 팽창력 또는 수축력에 따라 하우징(152)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가 가변된다. 상기 팽창 물질의 팽창력이 상기 스프링(158)의 탄성력보다 큰 경우 상기 로드(154)가 상기 하우징(152)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로드(154)의 돌출 길이가 짧아진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팽창 물질의 팽창력이 상기 스프링(158)의 탄성력보다 작은 경우 로드(154)가 상기 하우징(152) 내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로드(154)의 돌출 길이가 길어진다. 상기 로드(154)의 삽입부에는 피스톤(156)이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156)과 스프링(158)이 접하게된다. 상기 피스톤(156)은 상기 하우징(152) 내부의 로드(154) 이동 공간에 내장되는 팽창 물질이 스프링(158) 장착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팽창 물질은 펠릿형 서모스탯에 사용되는 왁스와 같이 온도 차이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팽창 물질의 작동은 하우징(152) 내부의 공기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약 30℃)까지 높아지면 하우징(152) 내부에서 팽창하여 로드(154)의 피스톤(156)부분을 밀어 로드(154)가 하우징(152)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는 반대로 하우징(152) 내부의 공기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낮아지면 팽창했던 부분이 수축된다. 이때 피스톤(156)에 압축되어 있는 스프링(158)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팽창 물질의 수축에 따라 로드(154)가 하우징(152) 내부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배기 가스 재순환(EGR)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엔진의 구동에 따라 흡기 밸브(110)가 개폐되는 상태임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흡기 밸브(110)의 열림 동작시 제1 링크(130)는 외력에 의해 움직이게된다. 제1 링크(130)의 일단은 제1 힌지부(132)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흡기 밸브(110)의 밸브 스템(112)을 누르게된다. 이때 제1 링크(130)의 타단에 결합된 배기 가스 재순환(EGR) 조절부(150)의 로드(154)는 제1 링크(130)의 일단부 움직임과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게된다. 즉, 흡기 밸브(110)의 열림 동작시 제1 링크(130)의 일단은 하향으로 움직이며, 상기 로드(154)는 상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상기 로드(154)와 접하고 있는 제2 링크(140)의 타단은 상기 로드(154)와 같은 방향으로 연동된다. 상기 제2 링크(140)의 타단이 상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제2 힌지부(142)를 중심으로 상기 제2 링크(140)의 일단이 연동된다. 제2 링크(140)의 일단은 제2 링크(140)의 타단 움직임과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게된다. 즉, 흡기 밸브(110)의 열림 동작시 제2 링크(140)의 일단은 상향으로 움직이며, 제2 링크(140)의 타단은 하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결국, 흡기 밸브(110)의 열림 동작시 제1 링크(130)의 움직임에 연동되는 제2 링크(140)의 타단 움직임에 따라 배기 밸브(120)가 열리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기 밸브(120)는 흡기 밸브(110)의 열림 동작시 각각의 링크 구동에 연동되어 열리게된다. 배기 밸브(120)의 열림에 따라 배기 밸브(120)를 통해 배기 다기관에 잔류하는 배기가스가 실린더 내부로 흡입된다. 결국, 흡기 밸브(110)가 열리게되면, 자동으로 배기 밸브(120)가 열리게되어 배기가스의 재순환을 구현할 수 있게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차량의 외기 온도 차이에 따라 흡기 밸브(110)와 배기 밸브(120)의 열리는 비율이 조절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배기 가스 재순환(EGR) 조절부(150)의 하우징(152)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높게되면, 팽창 물질이 팽창하게된다. 팽창 물질의 팽창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154)가 상기 하우징(152)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로드(154)의 돌출 길이가 짧아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링크(130)와 제1 힌지부(132)간의 길이(C)와 상기 제1 힌지부(132)와 로드(154)의 타단간의 길이(B) 비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8:1로 조절된다. 상기 제1 힌지부(132)와 로드(154)의 타단간의 길이(B)와 상기 로드(154)의 타단과 제2 힌지부(142)간의 길이(A) 비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이다. 따라서 흡기 밸브(110)와 배기 밸브(120)의 열리는 비율은 8:1로 조절된다.
한편, 상기 배기 가스 재순환(EGR) 조절부(150)의 하우징(152)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낮게되면, 팽창 물질이 수축하게된다. 그러면 팽창 물질의 팽창력보다 스프링(158)의 탄성력이 더 크게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154)의 돌출 길이는 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로드(154)가 상기 하우징(152) 내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로드(154)의 돌출 길이가 길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링크(130)와 제1 힌지부(132)간의 길이(C')와 상기 제1 힌지부(132)와 로드(154)의 타단간의 길이(B') 비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8:1.5로 조절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 힌지부(132)와 로드(154)의 타단간의 길이(B')와 상기 로드(154)의 타단과 제2 힌지부(142)간의 길이(A') 비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5:0.5이다.이때, 흡기 밸브의 열림과 배기 밸브의 열림 비율은 8:3로 조절된다.즉, 흡기 밸브(110)와 배기 밸브(120)의 열리는 비율은 로드(154)의 돌출 길이가 짧아진 상태보다 더 크게 조절되며, (B'):(A')이 1.5:0.5로 조절됨에 따라 흡기 밸브(110)와 배기 밸브(120)의 열리는 비율은 (B):(A)이 1:1로 조절된 상태보다 3배로 조절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배기 가스 재순환(EGR) 장치는 배기 가스 재순환(EGR) 조절부(150)의 하우징(152)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 차이에 따라 배기 가스 재순환(EGR)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름 및 겨울과 같이 외기의 온도 차이가 있는 경우 배기 가스 재순환(EGR)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겨울철에 차량의 주행시 배기 가스 재순환(EGR) 조절부(150)의 하우징(152) 내부로 찬공기가 유입되면 흡기 밸브(110)와 배기 밸브(120)의 열리는 비율을 3배로 조절하여 배기 밸브(120)가 더 많이 열리게 한다. 이를 통해 외기의 온도 차이에 따라 배기 가스 재순환(EGR)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질소산화물과 같은 배기가스를 적절히 저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배기 가스 재순환(EGR) 장치는 종래의 배기 가스 재순환(EGR) 장치에 구비되는 배기 가스 재순환(EGR) 파이프, 배기 가스 재순환(EGR) 밸브 등의 구성부품을 제거하여 부품 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간단한 기구 구조물을 구비하여 외기의 온도 차이에 따라 배기 가스 재순환(EGR)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질소산화물과 같은 배기가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에 있어서,
    흡기 밸브와 배기 밸브가 정렬된 실린더 헤드를 갖는 엔진과;
    상기 실린더 헤드에 피벗 지지되는 제1 힌지부를 통해 외력에 연동되어 상기 흡기 밸브를 개폐시키는 제1 링크와;
    상기 실린더 헤드에 피벗 지지되는 제2 힌지부를 통해 상기 제1 링크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상기 배기 밸브를 개폐시키는 제2 링크와;
    상기 제1 링크의 끝단에 인접되어 연결되고, 상기 제2 링크의 하면에 접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 링크의 움직임을 상기 제2 링크로 전달하여 상기 배기 밸브의 개도상태를 조절하는 배기가스 재순환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는
    일단이 상기 흡기 밸브의 밸브 스템과 접하고, 타단이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조절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링크의 일단과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조절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흡기 밸브의 개폐시기에 따라 상기 제1 힌지부를 중심으로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흡기 밸브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조절부는
    상기 제1 링크의 타단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원통형의 하우징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 내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일단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의 길이방향 움직임을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로드의 움직임 공간에 내장되어 온도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는 팽창 물질과;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에어 포트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팽창 물질의 팽창력 또는 수축력에 따라 상기 하우징 내의 로드 움직임 공간에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하여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는
    일단이 상기 배기 밸브의 밸브 스템과 접하고 타단이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조절부의 로드와 접하며, 상기 제2 링크의 일단과 상기 제2 링크의 타단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로드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2 힌지부를 중심으로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배기 밸브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로드의 돌출 길이가 최단 길이인 상태에서 상기 제1 링크의 흡기 밸브 상단과 접하는 부분과 제1 힌지부 사이의 길이(C)와, 상기 제1 힌지부와 로드의 제2 링크 접점 사이의 길이(B)의 비율은 8:1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로드의 돌출 길이가 최장 길이인 상태에서 상기 제1 링크의 흡기 밸브 상단과 접하는 부분과 제1 힌지부 사이의 길이(C')와, 상기 제1 힌지부와 로드의 제2 링크 접점 사이의 길이(B')의 비율은 8:1.5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밸브의 열림과 상기 배기 밸브의 열림 비율은 8:1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밸브의 열림과 상기 배기 밸브의 열림 비율은 8:3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KR10-2000-0054136A 2000-09-15 2000-09-15 차량의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KR100394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136A KR100394617B1 (ko) 2000-09-15 2000-09-15 차량의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JP2001226593A JP4638625B2 (ja) 2000-09-15 2001-07-26 車両の排気ガス再循環システム
US09/919,624 US6394077B1 (en) 2000-09-15 2001-07-30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DE10137365A DE10137365A1 (de) 2000-09-15 2001-07-31 Abgasrezirkulations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136A KR100394617B1 (ko) 2000-09-15 2000-09-15 차량의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434A KR20020021434A (ko) 2002-03-21
KR100394617B1 true KR100394617B1 (ko) 2003-08-14

Family

ID=19688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4136A KR100394617B1 (ko) 2000-09-15 2000-09-15 차량의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394077B1 (ko)
JP (1) JP4638625B2 (ko)
KR (1) KR100394617B1 (ko)
DE (1) DE101373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5022771D1 (de) * 2004-11-22 2010-09-16 Jacobs Vehicle Systems Inc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von abgasdruc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3160A (ja) * 1996-09-25 1998-04-21 Isuzu Ceramics Kenkyusho:Kk 多気筒エンジンのegr装置
KR20010046762A (ko) * 1999-11-15 2001-06-15 이계안 자동차용 내장형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7810A (en) * 1978-02-17 1980-02-12 Buehner Joseph F Poppet valve stroke adjusting device for, and combination with, an internal combustion valve in head engine
JPS6015940A (ja) * 1983-07-08 1985-01-26 Hitachi Ltd 採取装置
JPS6015940U (ja) * 1983-07-13 1985-02-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排気ブレ−キシステム
US4723516A (en) * 1985-11-25 1988-02-09 Slagley Michael W Valve open duration and timing controller
JPH06185560A (ja) * 1992-12-18 1994-07-05 Giichi Kuze 温度補償ガス封入ステーダンパ
SE501437C2 (sv) * 1993-06-22 1995-02-13 Volvo Ab Ventilmekanism i en förbränningsmotor
WO1998032961A1 (fr) * 1997-01-29 1998-07-30 Hino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e respiration de gaz d'echappe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3160A (ja) * 1996-09-25 1998-04-21 Isuzu Ceramics Kenkyusho:Kk 多気筒エンジンのegr装置
KR20010046762A (ko) * 1999-11-15 2001-06-15 이계안 자동차용 내장형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94077B1 (en) 2002-05-28
JP4638625B2 (ja) 2011-02-23
KR20020021434A (ko) 2002-03-21
DE10137365A1 (de) 2002-03-28
US20020033170A1 (en) 2002-03-21
JP2002155811A (ja) 200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405731T1 (de) Elektrisch gesteuertes, in einem schalldämpfer integriertes ventil verwendet bei einer zylinderdeaktivierung
KR970070553A (ko) 가변 용량 압축기의 제어 밸브
KR100394617B1 (ko) 차량의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JP4199086B2 (ja) 内燃機関の排気還流装置
JP2006118855A5 (ko)
US7124723B2 (en) Valve mechanis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011335B2 (en) Continuous variable valve lift apparatus
CN110469696A (zh) 一种轨道交通用电控先导气动阀
US6240898B1 (en) Slave piston assembly with valve motion modifier
CN110566713B (zh) 一种排气阀驱动机构及排气阀
US5546898A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intake and exhaust gases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380074B1 (ko) 차량의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SE9803714L (sv) Automatisk dekompressionsventil för förbränningsmotor
JPH04259613A (ja) バルブ装置
KR100371205B1 (ko) 배기 파이프 구조
KR0164300B1 (ko) 자동차 엔진의 밸브구조
JPS6343366Y2 (ko)
JP3257365B2 (ja) 排気還流装置付副室式エンジン
KR100507514B1 (ko) 형상 기억 합금 적용 밸브
JPS5930233Y2 (ja) 自動アンロ−ダ式空気圧縮機
KR970001017Y1 (ko) 자동차의 흡기장치
JPH0545809Y2 (ko)
KR200158175Y1 (ko) 자동차용 엔진의 흡 배기 밸브
JPS6062615A (ja) 可変弁機構
KR100350114B1 (ko)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