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4394B1 - 프린터 - Google Patents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4394B1
KR100394394B1 KR1019970008248A KR19970008248A KR100394394B1 KR 100394394 B1 KR100394394 B1 KR 100394394B1 KR 1019970008248 A KR1019970008248 A KR 1019970008248A KR 19970008248 A KR19970008248 A KR 19970008248A KR 100394394 B1 KR100394394 B1 KR 100394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worm
gear
pap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8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4948A (ko
Inventor
히로시 나리타
노보루 오오츠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64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4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3/00Power drives for actions or mechanisms
    • B41J23/02Mechanical power drives
    • B41J23/025Mechanical power drives using a single or common power source for two or more functions

Landscapes

  • Character Spaces And Line Spaces In Printers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Common Mechanisms (AREA)

Abstract

평치차를 짜 맞춘 동력전달기구에서는 충분한 감속비를 얻기위해서는 큰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여, 제품으로서의 사이즈가 커지고, 또한 개개의 백러쉬에 의한 소음의 발생도 피할 수 없었다.
그 해결수단으로는 웜을 주체로 하여 동력전달기구를 구성하고, 여러개의 웜을 하나의 감속축상에 구성하여 개개의 웜이 개개의 부하에 의해 감속축을 동일방향으로 부세하기 위해 웜의 비트는 방향을 설정했다.

Description

프린터
본 발명은 예를들면 POS(Point-Of-Sales) 시스템에 이용되는 전자 캐쉬 레지스터등의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대표예를 제 14도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모터(61)의 회전 구동력은 제 1감속치차(62), 전달치차(63)를 통하여 웜과 산치차(傘齒車)를 갖춘 치차(64)에서 인자헤드를 왕복이동하는 벨트를 구동하는 구동플리 치차(65) 및 리본구동기구를 구동치차(66)로 전달하고 있다. 또한 모터(61)의 회전구동력은 제 1감속치차(62), 제 2감속치차(71), 제 3감속치차(72)를 통하여 종이를 보내는 기구를 구동하는 종이를 보내는 치차(73)로 전달하고 있다.
이와같이 종래의 프린터에서는 큰 토오크를 필요로 하는 인자기구나 종이를 보내는 기구를 구동하기 위해 모터의 회전구동력을 평치차의 짜 맞춤에 의한 동력전달기구를 사용하여 감속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의 프린터에는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고, 그 요구를 달성하기 위해 모터자체를 소형화하여 종이를 보내는 기구, 인자기구에 필요한 토오크를 치차에 의한 감속비를 크게하여 확보하고 있었다.
상술의 종래기술에서는 충분한 감속비를 얻기위해서는 소치차와 대치차의 비의 큰 부품을 사용하거나 또는 많은 감속치차를 다단으로 짜 맞추는 기구가 채용되고 있었지만 전자는 개개의 부품이 크고, 후자는 그 구성부품의 많음은 어느쪽도 감속에 필요한 스페이스는 큰 것으로, 프린터의 사이즈를 소형화하기 어렵다는 문제를 안고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결점에 비추어 행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작은 스페이스로 대감속이 가능한 동력전달기구를 갖춘 프린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범위 제 1항의 발명은 인자수단을 탑재한 캐리지를 인자의 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캐리지 구동수단과, 기록지의 종이를 보내는 수단을 갖춘 프린터에 있어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과 구동축에 부착되어 종이를 보내는 수단으로 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1의 웜과, 구동축에 부착되어 캐리지 구동수단 혹은 기록지에 전사되는 잉크리본을 이동하는 잉크리본 구동수단의 최소한 한쪽으로 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의 웜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범위 제 2항의 발명과 같이 청구 범위 제 1항의 발명에 있어서, 제 1의 웜과 제 2의 웜은 진행 각이 같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 범위 제 3항의 발명과 같이 청구 범위 제 1, 2항의 발명에 있어서, 모터는 모터축상에 웜의 모터웜을 갖추고, 구동축에는 모터웜과 맞물리는 웜치차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 범위 제 4항의 발명과 같이 청구 범위 제 1항 내지 3항의 발명에 있어서, 구동축은 최소한 제 1 혹은 제 2의 웜의 근방에 있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 범위 제 5항의 발명과 같이 청구 범위 제 1항 내지 4항의 발명에 있어서, 구동축은 단측에 제 1 혹은 제 2의 웜이 배치되도록 최소한 2개이상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청구 범위 제 1항의 발명의 경우, 웜을 하나의 구동축상에 여러개 배치한 것에 의해 큰 감속비를 얻을 수 있고, 또한 프린터의 각 기구로의 동력전달도 스페이스를 잡지않고 구성할 수 있다. 덧붙여서 구성부품이 매우 적어지므로 치차가 맞물리는 개소를 적게할 수 있고, 치차의 백러쉬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상당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청구 범위 제 2항의 발명의 경우, 개개의 웜이 개개의 부하에 의해 반력이 구동축을 동일방향으로 부세하므로, 구동축의 축방향의 변동이 없이 안정되고, 그 결과, 캐리지는 안정되게 반송되므로 인자품질은 향상함과 동시에 치차의 느슨함에 의한 진동이 작아지고, 치차의 백러쉬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또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청구 범위 제 3항의 발명과 같이 청구 범위 제 1, 2항의 발명에 있어서, 모터에서의 전달도 웜에 의한 맞물림으로 하면, 감속되어 효과적이다.
또한 청구 범위 제 4항의 발명의 경우, 구동축을 휘게하는 웜의 근방을 지지하면 그 휘어짐은 적어지므로 축의 진동이 없어져 부드러운 회전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웜의 결합량은 확보되므로 치차의 내구성도 향상된다.
또한 청구 범위 제 5항의 발명과 같이 구성하면 축의 중앙부근까지 웜을 이동시키는 일없이 조립성이 향상된다.
다음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도는 프린터전체의 기구설명 사시도이며, 프린터에서 외장부품(프레임, 커버등)을 뗀 설명도이다. 제 2도는 인자기구부 설명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는 주로 동력전달기구부, 인자기구부, 종이를 보내는 기구부 및 리본을 보내는 기구부의 4기구부로 구성되어 있다.
동력전달기구부는 제 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웜의 모터치차(2)를 갖춘 모터(1)가 프린터에 대해 옆방향으로 놓여지고, 감속치차(4)와 플리 구동치차(24) 및 종이를 보내는 클러치 유니트(6)를 축위에 고정하여 프레임(7)의 오른쪽 구석에 설치된 구동축인 감속축(3)으로 구성된다.
감속치차(4)는 모터치차와 맞물리는 웜 휠부(4-1)와 웜부(4-2)가 일체로 형성되고, 감속치차(4)의 웜부(4-2)는 리본 구동기구를 구동하는 리본 감는 축 셋트(5)의 아래쪽에 형성된 웜 휠부와 맞물려있다.
플리 구동치차(24)는 웜 치차이고, 프레임(7)의 바닥부에 회전자재하게 배치된 플리전달 치차(22)의 웜치차(22-1)와 맞물려 있다.
인자기구부는 프레임(7)의 양측에 배치된 중동 플리(21-1)와 구동 플리(20-1)에 현가된 캐리지벨트(19)에 의해 이동되는 인자헤드(15)를 탑재한 캐리지(16)등으로 구성된다. 인자방식으로서 인자헤드(15)가 화살표시(a),(b) 어느 방향으로 이동할 때도 인자가 가능한 양방향 인자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제 3도는 종이를 보내는 부 사시도이며,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종이를 보내는 기구부는 프린터 뒤쪽에 배치된 종이 안내 프레임(44) 및 종이 안내 프레임(44)과는 소정의 틈을 두고 대향하여 배치된 종이 안내(안)(43)와,
기록지의 양측에 형성된 구멍과 결합하는 핀을 외주에 형성한 스프로켓 휠(35)을 좌우양측에 갖추고, 종이를 보내는 클러치 유니트(6)를 거쳐 회전 구동하는 종이를 보내는 축(33)등을 갖추고 있다. 이 종이를 보내는 기구부에는 클러치 유니트(6)의 동력전달의 ON/OFF를 제어하는 종이를 보내는 트리거 전자석 유니트 및 종이를 보내는 축(33)위에 배치된 제 2의 클러치인 릴리즈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종이를 보내는 클러치 유니트(6)에 대해 제 4도, 제 5도, 제 7도, 제 8도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4도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서 감속축 축지지부 측면도이고, 제 5도는 종이를 보내는 클러치 유니트부의 단면 사시도이며, 제 7도는 감속축상의 각 치차의 고착예의 사시도와 단면도, 제 8도는 종이를 보내는 트리거 전자석 배면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의 종이를 보내는 클러치 유니트(6)는 용수철 클러치이며, 감속축(3)에 고정된 종이를 보내는 축(25)과, 종이를 보내는 축(25)에 압입되어 일체회전하는 종이를 보내는 슬리브(26)에 감아 양단에 필부를 형성한 종이를 보내는 클러치 용수철(27)과 종이를 보내는 축(25)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외주에는 트리거 흡인판(38)과 결합하는 걸쇠(28-1)를 외주에 갖추고 클러치 용수철(27)의 한쪽의 팔부와 결합하는 종이를 보내는 걸림봉(28)과, 종이를 보내는 축(25)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외주에는 종이를 보내는 기구부로 동력전달하는 웜치차(29-1)를 갖추어 클러치 용수철(27)의 다른쪽의 팔부와 결합하는 종이를 보내는 구동치차(29)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종이를 보내는 축(25)의 걸쇠(25-1)를 휘게하면서 짜 넣어 종이 보내는 구동치차(29)가 걸쇠(25-1)에 의해 그 이동이 규제되므로 이 종이를 보내는 클러치 유니트(6)는 감속축(3)에 고착되기 전에 조립되어 유니트가 되는 것이다. 그후 감속축(3)으로 짜 맞춰지면 걸쇠(25-1)가 중심방향으로 휘지 않고 각 부분이 분해되는 일은 없다.
제 9도는 릴리즈 기구 배면도이고, 제 10도는 릴리즈 기구확대 단면도이다.
릴리즈 기구는 종이를 보내는 축(33)에 회전자재하게 배치되어 종이를 보내는 구동치차(29)에 회전되는 종이를 보내는 전달치차(30)와, 종이를 보내는 축(33)에 회전불가능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전달치차(30)와는 맞물리는 것이 가능한 종이를 보내는 클러치판(32)과, 클러치판(32)을 전달치차(30)와 맞물리게하는 위치와 맞물리는 것이 불가한 위치의 어느쪽 위치에 위치시키는 릴리즈 레버(40)를 갖고 있다.
또한 리본을 보내는 기구부는 엔드레스 리본으로 메피우스 방식을 채용한 리본카셋트(도시하지 않음)와, 리본카셋트의 리본 구동부와 결합하여 리본을 이동시키는 리본감는 축 셋트(5)로 구성된다. 이 리본을 리본 감는 축 셋트(5)는 감속치차(4)의 웜부(4-2)와 맞물려 회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프린터의 동작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모터(1)를 회전하면 그 회전 구동력은 웜 기어인 모터치차(2) 및 감속치차(4)에 의해 크게 감속되어 감속축(3)에 전달된다. 감속치차(4)의 웜부(4-2)와 맞물려 있는 리본 감는 축 셋트(5)는 또한 크게 감속되고 회전되어 리본 카 셋트의 리본을 이동시킨다.
또한 감속축(3)의 축상에 고착된 플리 구동치차(24)는 플리 전달치차(22)를 통하여 구동플리(20-1)를 회전시킨다. 구동 플리(20-1)에는 타이밍 벨트의 캐리지 벨트(19)와 맞물리는 톱니부가 형성되어 있고, 종동플리(21-1)에 현가된 캐리지 벨트(19)를 화살표시(c)방향으로 이동한다.
인자헤드(15)를 탑재한 캐리지(16)는 캐리지 벨트(19)에 고정된 캐리지 구동축(19-1)과 결합하여 화살표시 (a) 혹은 (b)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모터(1)의 축에 고정된 T 검출판(10)에 의해 검출된 타이밍신호와 캐리지 셋트(16)에 고정된 투과형의 R 검출기 셋트(11)가 프레임(7)위의 돌기(7-2)를 인식하는 것에 의해 검출되는 위치검출신호를 사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인자한다.
또한 감속축(3)에 장착한 종이를 보내는 클러치 유니트(6)는 종이를 보내는 갈고리 차(28)가 트리거 흡인판(38)에 의해 회전을 멈추고 있으므로 종이를 보내는 클러치 용수철(27)의 내경이 커져, 종이를 보내는 슬리브(26)는 회전하지만 클러치 용수철(27)이 회전하지 않고, 감속축(3)의 회전은 종이를 보내는 기구로는 전달되지 않는다. 원하는 타이밍으로 트리거 전자석(36)을 구동하면 트리거 흡인판(38)이 회동하여 걸쇠(28-1)와의 결합이 풀려 종이를 보내는 걸림봉(28)이 회전한다. 클러치 용수철(27)은 종이를 보내는 슬리브(26)와 일체로 회전하여 그 팔부에 의해 종이를 보내는 구동치차(29)는 회전된다.
종이를 보내는 트리거 전자석(36)으로의 통전이 끝나면 트리거 흡인판(38)은 종이를 보내는 트리거 톱니용수철(39)의 힘에 의해 종이를 보내는 걸림봉(28)과 다시 맞물려 정지하므로, 종이를 보내는 클러치 용수철(27)의 역할에 의해 종이를 보내는 걸림봉(28) 및 종이를 보내는 구동 치차(29)의 회전은 대기시의 상태로 정지한다.
종이를 보내는 구동치차(29)가 회전하면 종이를 보내는 전달치차(30)가 회전하고, 전달치차(30)의 톱니부(30-1)와 클러치 판(32)의 톱니 부(32-1)가 맞물려 있는 경우, 종이를 보내는 축(33)으로 전달되어 스프로켓 휠(35)에 의해 기록지는 종이를 보내게 된다.
그러나 스프로켓트 휠(35)에 결합하고 있는 기록지를 교환등을 위해 스프로켓트 휠(35)에서 푸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릴리즈 레버(40)의 선단부를 화살표시(1)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릴리즈 레버(40)의 캠면(40-1)이 종이를 보내는 클러치 판(32)의 걸림면(m)을 화살표시(n)방향으로 밀기 때문에, 전달치차(30)의 톱니부(30-1)와 클러치판(32)의 톱니부(32-1)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종이를 보내는 축(33)은 회전자재하게 되고, 기록지를 어느쪽 방향으로도 끌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제 10도 파선상태). 또한 릴리즈 레버(40)를 원래대로 되돌리면 릴리즈레버 용수철(41)에 의해 종이를 보내는 전달치차(30)와 종이를 보내는 클러치판(32)은 맞물려 종이를 보내는 축(33)과 전달치차(30)는 일체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감속축(3)에는 항상 프린터의 뒤쪽인 화살표시(d)방향으로 작용하도록 각 치차가 부착되어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모터(1)의 회전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감속치차(4)를 회전하므로 감속축(3)은 모터(1)의 회전에 의해 프린터 뒤쪽으로 부세된다. 감속치차(4)의 웜부(4-2)는 리본구동기구를 구동하는 리본 감는 축 셋트(5)의 아래쪽에 형성된 웜 휠부를 회전시키면 그 반력에 의해 감속축(3)을 화살표시(d)방향으로 부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플리 구동치차(24)에 의해 플리 전달치차(22)를 통하여 인자기구를 구동하지만 이 경우도, 웜 치차인 플리 구동치차(24)는 감속축(3)을 화살표시(d)방향으로 부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종이를 보내는 클러치 유니트(6)가 전달치차(30)를 회전하는 경우도 감속축(3)을 프린터의 뒤쪽인 화살표시(d)방향으로 부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감속축(3)에 배치된 모든 웜은 진행 각이 같은 방향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감속축(3)은 상시 뒤쪽으로 부세되는 것에 의해 감속축(3)의 거동이 안정되고, 축방향의 틈이 있어도, 프린터의 품질에 영향을 주지않고 양호한 인자품질를 얻을 수 있다.
효과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예를들면 모터치차와 감속치차는 감속축(3)을 화살표시(d)방향으로 부세하고, 플리 구동치차(24)와 플리 전달치차(22)의 맞물림을웜 기어의 비틀어진 방향을 반대(진행 각을 반대)로 하여, 감속축(3)을 화살표시(d)방향과는 반대방향의 프린터 앞쪽으로 이동시키면 인자헤드(15)를 움직이기 위한 부하에 의해 감속축(3)은 화살표시(d)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인자헤드(15)가 구동플리(20-1)와 종동플리(21-1)부에서 반전할 때에, 인자헤드(15)의 이너샤(inertia)의 영향에 의해 플리 구동치차(24)로의 부하가 급격히 줄고, 감속축(3)은 모터치차(2)에 의해 화살표시(d)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감속축(3)은 폭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것에 의해 모터(1)에서 검출된 타이밍 신호와 인자헤드(15)의 위치가 서로달라 인자품질이 크게 저하하게 된다. 또한 감속축(3)의 이동에 의한 소음등에도 악영향이 나타난다.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이 감속축(3)에 배치되는 웜, 혹은 웜 치차가 회전함에 따라 감속축(3)을 상시 어느 한 쪽에 부세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과제는 발생하지 않고, 그 효과는 큰 것이다.
상술의 실시의 형태와 같이 본 발명의 동력전달기구는 구성부품이 모터치차(1), 감속치차(4), 감속축(3), 플리 구동치차(24), 종이를 보내는 클러치 유니트(6)(종이를 보내는 구동치차(29)), 및 리본 감는 축 셋트(5), 플리 전달 치차(22), 캐리지 구동플리 셋트(20), 종이를 보내는 전달치차(30)의 8부품까지 삭감할 수 있고, 치차가 맞물리는 개소는 5개소로 매우 적어지고 있다. 또한 리본 구동, 인자헤드구동, 종이를 보내는 것과 각각의 부하에 의해, 웜의 반력을 감속축(3)이 프린터 뒤쪽(화살표시(d))으로 부세되도록 웜의 비트는 방향을 설정하고 있으므로 치차의 덜컹거림이 작아지고, 치차의 백러쉬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상당히 억제할 수 있다.
다음은 감속축(3)과 각 치차의 고착에 대하여 제 6도, 제 7도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6도는 감속축상의 각 치차의 고착예 1의 부품도이고, 제 7도는 감속측상의 각 치차의 고착예 2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의 감속축(3)과 각 치차의 고착은 감속축(3)의 단면도는 제 6도와 같이 대칭이 되는 2개의 위치에 요입부(3-1)를 갖추고, 또한 그 요입부(3-1)는 전 길이에 형성된 이형축(異形軸)이다. 그리고 감속치차(4)는 요입부(3-1)의 결합하는 돌기부(4-3)가 형성되고, 요입부(3-1)에 돌기부(4-3)를 결합시켜 감속축(3)에 상대회전불가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부착된다. 그리고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E형 멈춤바퀴(3-2)에서 규제된다. 그러나 이 경우, 전 길이에 요입부를 마련하고 있어 강도가 약하고, 휨이 발생하기 쉬운 등의 결점이 있다.
이 대책으로서는 제 7도와 같이 감속축(3)의 양단부에는 돌기를 마련하고 감속치차(4) 및 종이를 보내는 축(25)의 내부에 이 돌기를 받는 감합 홈(4-1), (25-2)을 형성하여 그들을 결합시켜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렇게 함에 따라 감속축(3)의 강성은 커져 강도가 강해진다. 이 돌기, 감합 홈의 관계는 감속축(3)측에 감합홈을 형성하고, 감속치차(4)측에 돌기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플리 구동치차(24)를 감속축(3)과 일체로 회전시키는 방법으로서 감속축(3) 및 부착되는 측에 키 홈부를 형성하고, 그 홈에 감합하는 키(4-2)를 이용해도 좋다.
다음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형태를 제 11도 및 제 12도에 도시한다.
제 11도는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감속축 축지지부 측면도이고, 제 12도는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감속축 축지지부 측면도이다.
제 1의 실시형태에서는 감속치차(4)와 플리 구동치차(24), 및 종이를 보내는 클러치 유니트(6)를 하나의 감속축(3)에 고정한 것이고, 그 양단의 2점으로 지지하는 것이었다(제 4도). 상기의 예에서는 감속축(3)과 같은 긴 길이의 축은 그 제조과정에서 휨이 발생하기 쉽고, 그 때문에 특히 감속축(3)의 중간부에 마련된 플리 구동치차(24)부에서 흔들림(제 4도중 -> 방향)은 커진다. 이 현상에 의해 플리 구동치차(24)에 결합하는 윤열의 회전변동은 커진다.
이 대책으로서 제 11도 및 제 12도에 있어서 감속축(45),(45-1)은 플리 구동치차(46),(46-1)를 넘는곳까지의 길이로 되어 있고, 플리 구동치차(46),(46-1)의 일부를 베어링으로서 프레임(47),(47-1)의 바닥부를 구부려세운 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플리 구동치차(46),(46-1)부의 치차의 흔들림은 적어지고, 회전변동이 적은 동력전달의 정밀도가 또한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웜의 결합량은 확보되므로 치차의 내구성도 향상한다.
제 11도와 제 12도의 실시형태의 차이는 감속축의 구성에 있다. 제 11도의 실시형태는 제 1의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이고, 제 12도의 실시형태는 감속축을 2분할하여 플리 구동치차(46-1)를 이음부로 한 점이 다르다. 제 12도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종이를 보내는 유니트가 받는 하중을 강성이 높은 금속제의 축에서 또한 베어링의 근방에서 지지할 수 있고, 제 11도의 실시형태와 비교해서 강도적으로 유리하다.
또한 축의 중앙부근까지 웜을 이동시키지 않아 조립성이 향상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형태를 제 13도에 도시한다.
제 13도는 프린터 전체의 사시도이다. 제 2도의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감속축(48)과 구동플리(49)의 회전수가 거의 동일하게 되는 경우이고, 플리구동 치차(50)와 구동플리(49)를 타이밍벨트(51)에 의해 직결한 데에 있다.
이 경우 타이밍 벨트(51)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제 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플리 전달치차(22)의 웜 휠과 평치차와의 동 심도(心度)등의 부품정밀도에 의한 캐리지 구동 플리셋트(20)의 회전불균형을 없앨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감속축 상에 웜이외의 전달요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로 변경하여 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기록지를 양측에 구멍이 있는 전표용지로 하고, 종이를 보내는 수단에는 스프로켓트 휠을 예로 했지만 롤모양의 기록지 및 그것을 롤러등에 마찰을 보내는 것이라도 좋고, 인자수단이나 인자방법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청구범위 제 1항의 발명에 의하면 웜을 하나의 구동측상에 여러개 구성한 것에 의해 큰 감속비를 얻을 수 있고, 또한 프린터의 각 기구로의 동력전달도 스페이스를 차지하지 않고 구성할 수 있다. 덧붙여서 구성부품이 매우 적어지므로 치차가 맞물리는 개소를 적게할 수 있고, 치차의 백러쉬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상당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 제 2항의 발명의 경우 개개의 웜이 개개의 부하에 의해 구동축을 동일방향으로 부세하므로 구동축의 축방향의 변동이 없이 안정되고, 그 결과 캐리지는 안정되게 반송되므로 인자품질은 향상함과 동시에 치차의 덜컹거림이 작아지고, 치차의 백러쉬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또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 제 3항 내지 5항의 발명의 경우 또한 효과적이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소형프린터의 투시 사시도.
제 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소형프린터의 인자기구부 설명도.
제 3도는 종이를 보내는 기구부 사시도.
제 4도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서 감속축 축지지부 측면도.
제 5도는 종이를 보내는 클러치 유니트부의 단면 사시도.
제 6도는 감속축상의 각 치차의 고착예 1의 부품도.
제 7도는 감속축상의 각 치차의 고착예 2의 사시도와 단면도.
제 8도는 종이를 보내는 트리거 전자석 배면도.
제 9도는 릴리즈 기구 배면도.
제10도는 릴리즈 기구 확대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감속축 축지지부 측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감속축 축지지부 측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4도는 종래기술의 예를 도시하는 프린터의 동력 전달기구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모터 2. 모터치차
3. 감속축 4. 감속치차
6. 종이를 보내는 클러치 유니트 7. 프레임
15. 인자헤드 22. 플리 전달치차
23. 플라텐 24. 플리 구동치차

Claims (5)

  1. 인자수단을 탑재한 캐리지(16)를 인자의 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캐리지 구동수단과, 기록지의 종이를 보내는 수단을 갖춘 프린터에 있어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부착되어 상기 종이를 보내는 수단으로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1의 웜과,
    상기 구동축에 부착되어 상기 캐리지 구동수단 혹은 상기 기록지에 전사되는 잉크리본을 이동하는 잉크리본 구동수단의 최소한 한쪽으로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의 웜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웜과 상기 제 2의 웜은 진행 각이 같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3. 제 1항, 제 2향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모터축상에 웜의 모터 웜을 갖추고, 상기 구동축에는 상기 모터 웜과 맞물리는 웜 치차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4. 제 1항 내지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최소한 상기 제 1 혹은 제 2의 웜의 근방에 있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5. 제 1항 내지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단측에 상기 제 1 혹은 제 2의 웜이 배치되도록 최소한 2개이상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KR1019970008248A 1996-03-12 1997-03-12 프린터 KR1003943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55212 1996-03-12
JP5521296 1996-03-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948A KR970064948A (ko) 1997-10-13
KR100394394B1 true KR100394394B1 (ko) 2003-10-11

Family

ID=12992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8248A KR100394394B1 (ko) 1996-03-12 1997-03-12 프린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42795A (ko)
EP (1) EP0795412B1 (ko)
KR (1) KR100394394B1 (ko)
CN (1) CN1079331C (ko)
DE (1) DE6970096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3095A (en) * 1998-01-09 1999-1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chanical transmission
EP1220754A4 (en) * 1999-09-20 2007-07-25 Peter Hasiuk SYNCHRONIZED MOTION PRINTER WITH CONTINUOUS PAPER DISPLACEMENT
EP1780029A1 (en) * 2005-10-27 2007-05-02 Océ-Technologies B.V. Printer with advance mechanism for a print substrate
WO2015093008A1 (ja) 2013-12-18 2015-06-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ユニット
US20150183248A1 (en) 2013-12-27 2015-07-02 Seiko Epson Corporation Recording apparatus
CN105172391B (zh) 2014-06-12 2017-08-25 精工爱普生株式会社 记录装置
JP7131246B2 (ja) * 2018-09-25 2022-09-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モーター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000641B (it) * 1973-12-28 1976-04-10 Olivetti & Co Spa Unita di stampa elettrotermica di tipo perfezionato
DE3014822C2 (de) * 1980-04-15 1985-08-14 Mannesmann AG, 4000 Düsseldorf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n Drucker, insbesondere einen Matrixdrucker
GB2169875B (en) * 1985-01-19 1988-09-14 Francotyp Postalia Gmbh Improvements in ribbon cassettes
JP2519886B2 (ja) * 1985-05-13 1996-07-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小型プリンタ
JPS62145262A (ja) * 1985-12-20 1987-06-29 Fuji Xerox Co Ltd プリンタ−装置
JPS63201750U (ko) * 1987-06-16 1988-12-26
US4869607A (en) * 1987-07-21 1989-09-26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Line printer ribbon reverse mechanism
JPH0241282A (ja) * 1988-07-31 1990-02-09 Nec Home Electron Ltd プリンタの印字装置
JPH04358173A (ja) * 1991-06-05 1992-12-11 Tokyo Electric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6110290A (ja) * 1992-09-24 1994-04-22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H07309050A (ja) * 1994-05-17 1995-11-28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
JPH0834145A (ja) * 1994-07-22 1996-0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リンタ
JP3740741B2 (ja) * 1996-06-26 2006-02-0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直接筒内噴射式火花点火機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00969D1 (de) 2000-01-27
EP0795412A1 (en) 1997-09-17
DE69700969T2 (de) 2000-07-27
EP0795412B1 (en) 1999-12-22
KR970064948A (ko) 1997-10-13
US5842795A (en) 1998-12-01
CN1079331C (zh) 2002-02-20
CN1167683A (zh) 1997-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51997B2 (ko)
US6447189B1 (en) Detection mechanism, carriage monitoring device and printer incorporating the same
KR100394394B1 (ko) 프린터
US4571103A (en) Printer
US4395152A (en) Drive for friction rolls in printers
US5672017A (en) Thermal printer
US5801744A (en) Thermal printer
KR100589226B1 (ko) 기어 장치
JP3582282B2 (ja) プリンタ
EP0065836B1 (en) Printing device, e.g. for use with a pocket computer
JPH0225346B2 (ko)
KR900002486B1 (ko) 동력전달장치
JP3429991B2 (ja) シリアルプリンタ
JPH0515640Y2 (ko)
EP3623162A1 (en) Driving mechanism for photo printer
JP2643203B2 (ja) プリンター
JPH03377Y2 (ko)
JPH07309050A (ja) プリンタ
US20070182092A1 (en) Dual-speed drive mechanism
JPS61112675A (ja) キヤリツジの支持構造
JP2635868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用紙搬送機構
JPH08127158A (ja) プリンタのキャリッジ駆動機構
JP3804380B2 (ja) 記録装置のトラクタユニット取付構造
JPH0529768U (ja) プリンタ
WO1998049011A1 (fr) Chariot d'imprima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