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4265B1 -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4265B1
KR100394265B1 KR10-2000-7006781A KR20007006781A KR100394265B1 KR 100394265 B1 KR100394265 B1 KR 100394265B1 KR 20007006781 A KR20007006781 A KR 20007006781A KR 100394265 B1 KR100394265 B1 KR 100394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pressing
creping
fabric
press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6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4774A (ko
Inventor
맥라우글린캐롤앤
트로칸폴데니스
리챠드스마크리얀
스텔제스마이클고머이세
휴스톤래리레로이
Original Assignee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10024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4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2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1/00Processes for making continuous lengths of paper, or of cardboard, or of wet web for fibre board production, on paper-making machines
    • D21F11/14Making cellulose wadding, filter or blotting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1/00Processes for making continuous lengths of paper, or of cardboard, or of wet web for fibre board production, on paper-making machines
    • D21F11/006Making patterned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5/00Dryer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5/004Drying webs by contact with heated surfaces or materials

Landscapes

  • Pape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소화 종이 웨브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유체 투과성 제지 직물(20)상에 배치된 습윤 웨브(60)는 두 개의 평행하고 상호 대향된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 사이에서 가압되며, 상기 제 1 가압면(11)은 웨브(60)와 접촉하며, 상기 제 2 가압면(12)은 직물과 접촉한다. 연속 공정에 있어서, 가압면, 웨브 및 직물(20)은 기계가공 방향으로 이동한다. 압력하에서, 웨브의 적어도 선택된 부분이 조밀화되고 크레이핑 접착제(91)로 처리될 수 있는 제 1 가압면(11)에 접착된다. 제 1 가압면(11)은 두 개의 가압면 사이에 온도차를 발생하도록 가열된다. 온도차는 웨브(60)내에 함유된 물이 웨브로부터 직물(20)로 이동하여 웨브를 건조시키게 한다. 웨브가 압력으로부터 해제된 후, 웨브는 크레이핑함으로써 또는 웨브를 보다 저속으로 이동하는 이송 직물로 이송함으로써 축소화된다. 웨브가 부착된 크레이핑면과 나란히 배치된 크레이핑 닥터 블레이드(73)로 크레이핑이 수행된다. 크레이핑 접착제는 사전결정된 패턴에 따라 크레이핑면상에 부착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웨브는 축소화된 후 칼렌더처리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장치 및 방법{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FORESHORTENED CELLULOSIC STRUCTURE}
종이 제품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종이 타월, 고급 화장지, 두루마리 화장지 등은 현대 산업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종이 제품에 대한 수요의 급증에 의해 제품의 개량품에 대한 요구가 창출되었다. 종이 타월, 고급 화장지, 두루마리 화장지 등과 같은 종이 제품이 의도된 작업을 수행하고 광범위하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특정한 물리적 특성을 가져야 한다. 이들 특성중 보다 중요한 것으로는 흡수성, 유연성 및 강성을 들 수 있다.
흡수성은 종이가 유체, 특히 물, 수용액 및 현탁액을 흡수하여 보유하도록 하는 종이의 특성이다. 소정량의 종이가 보유할 수 있는 절대 유체량 뿐만 아니라 종이가 유체를 흡수하는 속도가 중요하다. 유연성은 소비자가 종이를 그 의도된 목적으로 사용할 때 느끼는 부드러운 촉감이다. 강성은 사용중 그 물리적 형태를 유지하는 종이 웨브의 능력이다.
웨브의 강성과 밀도간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고밀도의 종이 웨브를 제조하려는 노력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방법중 하나는 모두 레티넨(Lehtinen)에게 1978년 9월 12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112,586 호와, 1985년 3월 26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506,456 호 및 미국 특허 제 4,506,457 호와, 1990년 2월 13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899,461 호와, 1990년 6월 12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932,139 호와, 1997년 1월 21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5,594,997 호와; 레티넨 등에게 1986년 11월 18일자로 미국 특허 제 4,622,758 호와; 로우타코피(Rautakorpi) 등에게 1990년 9월 25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958,444 호에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특허는 모두 핀란드 소재의 발메트 코포레이션(Valmet Corporation)에 양도되었고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된다.
기본적으로, 전술한 특허에 개시된 기술은, 대표적인 실시예중에서, 가압되어 밴드 사이로 또한 그들과 평행하게 반송되는 웨브를 건조시키기 위해서 한쌍의 가동형 무한 밴드(endless band)를 사용한다. 이러한 밴드는 상이한 온도를 가진다. 열 구배에 의해서 웨브와 접촉하는 비교적 고온의 밴드로부터 직물과 접촉하는 비교적 저온의 밴드를 향해 물을 이동시켜 응축시킨다. 이것은 종이가 고밀도이면서 단단하고 강성이 되게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고급 화장지, 종이 타월, 냅킨, 두루마리 화장지 등과 같은 일회용 제품에 적절한 강성이면서 동시에 유연한 종이를 제조하기에 적합하지 못하다.
종이 밀도의 증가는 일반적으로 전술한 일회용 제품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특성인 종이의 흡수성 및 유연성을 감소시킨다고 제지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종이의 축소화(foreshortening)는 종이의 캘리퍼, 흡수성 및 유연성의 증가를 가져올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축소화는 웨브에 에너지를 가함으로써 야기되는 건조 종이 웨브 길이의 감소를 칭한다. 전형적으로, 웨브를 축소화하는 동안, 웨브내 섬유의 재배열이 일어나며, 섬유간 결합의 적어도 부분적인 파괴가 수반된다. 축소화는 여러가지 방법중 어느 방법으로도 달성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크레이핑(creping)으로, 이 방법에서는 건조된 웨브가 평활한 표면, 전형적으로 양키 드라이어 드럼의 표면에 부착된 후에, 닥터 블레이드에 의해 표면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크레이핑은 사우다이(Sawdai)에게 1992년 4월 24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919,756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 특허의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축소화는 웰스(Wells) 등에게 1984년 4월 3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440,597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습윤 미소 수축(wet-microcontraction)을 통해 달성될 수 있으며, 그 개시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된다.
주목적이 균일하게 조밀화된 강성 종이(예컨대, 판지 등)를 형성하는 것인 모든 공정에 있어서, 축소화의 사용은 매우 불리하다. 균일하게 조밀화된 종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는 대조적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서 현재 제조되는 셀룰로오스 구조체는 가장 전형적으로 밀도차에 의해서 형성된 다중 미소영역을 가진다. 밀도차를 갖는 셀룰로오스 구조체는, 첫째, 제지 직물에 결합된 습윤 웨브에 진공압을 가함으로써 제지 섬유의 일부분을 편향시켜서 저밀도의 미소영역을 형성하고, 둘째,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양키 드라이어 드럼의 표면과 같은 단단한 표면에 대해서 비편향 제지 섬유로 구성된 웨브 부분을 가압하여 고밀도의 미소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생성된 셀룰로오스 구조체의 고밀도의 미소영역은 강성을 제공하는 반면, 저밀도의 미소영역은 유연성, 부피성(bulk) 및 흡수성에 기여한다.
이러한 밀도차를 갖는 셀룰로오스 구조체는 보강 구조체 및 수지상 골격(framework)을 갖는 관통 공기 건조 제지 벨트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 제지 벨트는 1985년 4월 30일자로 존슨(Johnson) 등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514,345 호와, 1985년 7월 9일자로 트로칸(Trokhan)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528,239 호와, 1985년 7월 16일자로 트로칸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529,480 호와, 1987년 1월 20일자로 트로칸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637,859 호와, 1994년 8월 2일자로 트로칸 등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5,334,289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특허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
유연한 동시에 강성인 밀도차를 갖는 종이 웨브는, 우선, 두개의 가압면 사이에서 웨브의 적어도 소정의 부분을 매우 조밀화하고 그 후에 가압동안 웨브가 부착되는 가압면중 하나로부터 분리하여 웨브를 크레이핑함으로써 성공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트로칸 등의 명의로 1997년 6월 6일자로 출원 계류중인 발명의 명칭이 "밀도차를 갖는 셀룰로오스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인 미국 특허 출원과, 트로칸 등의 명의로 1997년 8월 15일자로 출원 계류중인 발명의 명칭이 "섬유상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인 미국 특허 출원은 모두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된다. 종이 웨브의 축소화는 크레이핑면으로서의 양키 드라이어 드럼에 대한 필요성을 완전히 제거하는 이들 방법에 의해 바람직하게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키 드라이어에 대한 필요성없이 강성인 동시에 유연한 축소화 종이 웨브를 제조하는 장치 및 개선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습윤 웨브가 웨브에 접촉하는 웨브측과 이에 대향하는 배면측을 갖는 유체 투과성 제지 직물상에 배치되어 있다. 웨브 및 직물은 두 개의 평행하고 상호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가압면 사이에서 가압된다. 제 1 가압면은 웨브와 접촉하며, 제 2 가압면은 제지 직물의 배면측과 접촉한다. 가압면은 평면이거나 또는 곡면일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 부가의 직물이 제지 직물과 제 2 가압면 사이에 제공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연속 공정에 있어서, 각각의 가압면은 바람직하게는 무한 밴드로 구성되며, 제지 직물은 무한 벨트로 구성된다. 웨브 및 벨트는 제 1 및 제 2 밴드 사이에 개재되어 밴드에 의해서 형성된 가압 닙내에서 그에 의해 가압된다. 웨브가 받는 압력은, 밴드와 나란히 배치되고 서로를 향해 밴드를 가압하는 장치(이에 제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는 가압 수단에 의해서 제어된다. 또한, 압력은 밴드의 종방향 장력과, 그들 사이에 가압 닙을 포함하는 밴드의 섹션 사이의 간극에 의해서 제어될 수도 있다.
웨브 및 직물은 기계가공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 1 가압면은 평활하거나 또는 패턴화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벨트의 웨브측은 패턴화될 수도 있다. 패턴화된 웨브측을 갖는 벨트에 대해, 벨트는 보강 구조체에 결합된 수지상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가압면은 가열되어 제 1 및 제 2 가압면간의 온도차가 발생된다. 제 2 가압면은 제 1 가압면의 온도에 비해 보다 저온으로 가열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제 2 가압면은 주위 온도로 유지될 수도 있으며 또한 냉각될 수도 있다. 온도차에 의해 웨브내에 함유된 물이 응축에 수반되는 적어도 부분적인 증발로 인하여 비교적 고온 영역으로부터 비교적 저온 영역으로 예컨대, 웨브로부터 직물로 이동함으로써 웨브가 탈수된다.
제 1 가압면이 웨브를 벨트내로 누르는 제 1 및 제 2 가압면에 의해서 야기되는 압력하에서, 웨브의 적어도 선택된 부분은 조밀화되고 크레이핑 접착제로 처리될 수 있는 제 1 가압면에 부착된다. 크레이핑 접착제는 제 1 가압면에 균일하게 또는 소정의 패턴에 따라 도포될 수 있다. 접착제 도포기는 인쇄 롤, 분무 노즐, 압출성형 장치 및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른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웨브가 압력으로부터 해제된 후, 웨브는 축소화 수단에 의해서 축소된다. 축소화는 크레이핑하거나, 웨브를 제 1 가압면으로부터 보다 느리게 이동하는 이송 직물로 이송함으로써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크레이핑은 웨브가 부착된 크레이핑면과 나란히 배치된 크레이핑 닥터 블레이드로 수행된다. 크레이핑면은 제 1 가압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크레이핑면은 제 1 가압면으로부터 분리된 표면을 포함한다. 크레이핑에는 평활한 크레이핑면과 패턴화된 크레이핑면이 모두 사용될 수 있지만, 크레이핑 블레이드에 대한 크레이핑면의 기계방향으로의 운동이 방해되지 않도록 크레이핑면이 기계가공 방향으로 평활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가압면으로부터 보다 느리게 이동하는 이송 직물로 웨브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한 축소화는 제 1 가압면의 평활하고 패턴화된 유형이 모두 사용될 수도 있다. 보다 느리게 이동하는 이송 직물은 제 1 가압면의 속도의 약 75% 내지 약 95% 범위의 속도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이송 직물은 무한 벨트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이송 직물의 웨브 접촉면과 그 위에서 이송되는 웨브 사이에 필요한 마찰을 제공하는 텍스처 가공된 웨브 접촉면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웨브가 이송 직물로 이송되기 바로 전에 웨브는 적어도 약 30%의 농도를 가진다. 임의로 웨브는 축소화된 후 칼렌더 가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가 밀도차를 갖는 웨브를 제조하는 것에 관해 주로 설명되었지만, 이들 방법 및 장치는 모두 실질적으로 균일한 밀도 분포를 갖는 종이 웨브를 제조하는데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강하고 유연한 흡수성 셀룰로오스 웨브의 제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축소화 종이 웨브의 제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방법 및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크레이핑 닥터 블레이드로 크레이핑함으로써 축소화되는 웨브를 도시하는 도면,
도 1a는 도 1에서 화살표(1A)를 따라 취한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도로서, 접착제를 크레이핑면에 분무하는 복수개의 노즐을 갖는 접착제 도포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 방법 및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제지 직물로부터 이송 직물까지 웨브를 이송시킴으로써 축소화 웨브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방법 및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제 1 가압면으로부터 이송 직물까지 웨브를 이송함으로써 축소화되는 웨브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 방법 및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진공 픽업 슈를 사용하여, 제지 직물로부터 이송직물까지 웨브를 이송시킴으로써 축소화되는 웨브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 방법 및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제 1 가압면으로부터 이송 직물까지 웨브를 이송한 후 보조 가압면을 사용하여 웨브를 가압하여 웨브를 볼록 크레이핑면으로부터 분리하여 크레이핑함으로써 축소화되는 웨브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방법 및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제 1 가압면으로부터 이송 직물까지 웨브를 이송한 후 보조 가압면을 사용하여 웨브를 가압하여 웨브를 오목 크레이핑면으로부터 분리하여 크레이핑함으로써 축소화되는 웨브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방법 및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제 1 가압면으로부터 이송 직물까지 웨브를 이송한 후 웨브를 평탄 크레이핑면으로부터 분리하여 크레이핑함으로써 축소화되는 웨브를 도시하는 도면,
도 7a는 도 7의 화살표(7A)를 따라 취한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도로서, 크레이핑면과 접촉하는 프린팅 롤을 포함하는 접착제 도포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제 1 가압면과 제 2 가압면 사이에서 가압되는 웨브 및 제지 벨트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로서, 제 1 가압면이 그내에 연장된 3차원 패턴을 갖는 도면,
도 9는 도 8의 9-9선을 따라 취한 것으로, 도 8에 도시된 제 1 가압면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9a는 기계가공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스트립을 포함하는 제 1 가압면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10은 보강 구조체에 결합된 본질적으로 연속적인 골격을 포함하고 이산형 편향 도관을 갖는,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는 제지 벨트(웨브와 결합한 상태로 도시됨)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11-11선을 따라 취한 것으로, 도 10에 도시된 제지 벨트의 개략적인 평면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시간 시퀀스로 일어나는 많은 단계 또는 조작을 포함한다. 그러나, 후술하는 단계들은 본 발명의 방법을 이해하는 것을 돕도록 의도된 것이며 단지 단계의 특정한 수 또는 배열만을 갖는 공정에 본 발명을 국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단계의 적어도 일부를 조합하여 이들이 동시에 수행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일부 경우에는 바람직하기조차 하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없이 다음 단계중 적어도 일부를 둘 또는 그 이상의 단계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우선,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는 제 1 가압면(11)과 이에 대향하고 평행한 제 2 가압면(12)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은 웨브(60)를 지지하는 제지 직물(20)과 결합하여 습윤 셀룰로오스 섬유의 웨브(60)를 그들 사이에 수용할 수 있다. 장치(10)는 또한 가압면(11, 12)을 서로를 향해 이동시켜 웨브(60)와 제지 직물(20)을 가압면(11, 12) 사이에서 가압함으로써 제 1 가압면(11)이 웨브(60)와 접촉하고 제 2 가압면(12)이 직물(20)과 접촉하도록 하는 가압 수단(30)을 더 포함한다.
제 1 가압면(11)과 제 2 가압면(12)간에 온도차를 발생시키는 수단(40)이 제공된다. 온도차 발생 수단(40)이 제 1 가압면(11)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장치(41)로서, 그리고 제 2 가압면(12)을 냉각하기 위한 선택적인 냉각 장치(42)로서 몇개의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온도차 발생 수단(40)은 제 1 가압면(11)의 증기 가열수단 및/또는 제 2 가압면(12)의 수냉각 수단을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간의 온도차를 발생시키기 위한 다른 종래의 수단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에 이용될 수도 있다. 물론, 제 2 가압면(12)은 적극적으로 냉각될 필요는 없다. 즉, 주위 온도로 유지될 수 있거나 또는 심지어 제 1 가압면(11)의 온도 이하의 온도로 가열될 수도 있다. 중요한 인자는 응축에 수반되는 적어도 부분적인 증발로 인해서 제 1 가압면(11)으로부터 제 2 가압면(12)을 향하는 방향으로 웨브(60)내에 함유된 물을 구동시키기에 충분한 온도차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송 수단(50)이 가압면(11, 12)과, 결합된 웨브(60)를 갖는 직물(20)을 기계가공방향(MD)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제공된다. 당해 기술분야에 주지된 다양한 이송 수단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에 사용될 수도 있다.
장치(10)는 또한 웨브(60)가 가압면(11, 12)간의 압력으로부터 해제된 후 웨브(60)를 축소화하기 위한 축소화 수단(70)을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제지 직물(papermaking fabric)"이란 고정 제지판 및 무한 제지 벨트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각 부분들이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람직한 연속 공정과 관련하여, 제지 직물(20)은 본 발명을 도시하는 몇개의 도면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지시된 기계가공 방향(MD)으로 이동하는 무한 벨트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직물" 및 " 벨트"라는 용어는 동의어이며 상호호환가능하다.
다양한 제지 벨트가 본 발명의 직물(20)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985년 4월 30일자로 존슨 등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514,345 호와, 1985년 7월 9일자로 트로칸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528,239 호와, 1985년 7월 16일자로 트로칸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529,480 호와, 1987년 1월 20일자로 트로칸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637,859 호와, 1994년 8월 2일자로 트로칸 등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5,334,289 호와, 1997년 5월 13일자로 에이어스(Ayers) 등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5,628,876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특허는 모두 본 출원인에게 양도되었고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된다.
또한, 본 출원인에게 양도되었고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되고 트로칸의 명의로 1980년 12월 16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239,065 호는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는 유형의 벨트(20)를 개시한다. 미국 특허 제 4,239,065 호에 개시된 벨트는 수지상 골격을 갖지 않는다. 이 벨트의 웨브측은 벨트 전체에 걸쳐 소정의 패턴으로 분포된 상호 직조된 필라멘트의 동일 평면상의 크로스오버(crossover)에 의해서 규정된다.
본 발명의 공정에 있어서 벨트(20)로서 이용될 수 있는 또 다른 유형의 벨트는 1995년 4월 12일자로 출원된 유럽 특허 공개 공보 제 0 677 612 A2 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직조 요소를 보강 구조체(25)로 갖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벨트(20)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벨트(20)는 트로칸 등에게 1996년 9월 17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5,556,509 호와, 1995년 2월 15일자로 트로칸 등의 명의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제지용 기판에 경화성 수지를 도포하는 방법"인 미국 특허 출원 제 08/391,372 호와, 1995년 6월 5일자로 트로칸 등의 명의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펠트층과 광감성 수지층을 포함하는 웨브 패턴화 장치"인 미국 특허 출원 제 08/461,832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보강 구조체로서 펠트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들 특허 및 특허 출원은 본 출원인에게 양도되었으며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된다.
도 1 내지 도 7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람직한 연속 공정에 있어서, 제 1 가압면(11)은 제 1 무한 밴드(31)의 표면이며, 제 2 가압면(12)은 제 2 무한 밴드(32)의 표면이다. 이송 수단(50)은 무한 밴드(31, 32)가 그 주위에서 기계가공 방향(MD)으로 이동하는 회전 복귀 롤을 포함하는 것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 1 무한 밴드(31)는 복귀 롤(51, 52) 주위를 이동하며, 제 2 무한 벨트(32)는 복귀 롤(55, 56) 주위를 이동한다. 제 1 및 제 2 밴드(31, 32)는 모두 도 1 내지 도 7에서 방향 지시 화살표 (V1)에 의해서 개략적으로 표시된 제 1 속도(V1)를 갖는다.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의 다른 실시예가 본 발명의 장치에 사용될 수도 있다. "배경 기술"란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하의 미국 특허(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됨)는 가압면 또는 이와 균등한 여러가지 구성을 나타낸다; 1978년 9월 12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112,586 호와, 1985년 3월 26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506,456 호 및 제 4,506,457 호와, 1990년 12월 13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899,461 호와, 1990년 6월 12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932,139 호와, 1997년 1월 21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5,594,997 호와, 1986년 11월 18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622,758 호와, 1990년 9월 25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958,444 호. 예를 들어, 제 1 가압면(11)과 제 2 가압면(12)중 하나는 회전 실린더의 표면(도시안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은 X-Y 평면을 규정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X-Y 평면은 벨트(20)의 일반 평면에 평행한 기준 평면이다. X-Y 평면에 수직한 방향은 Z-방향이다. 벨트(20)의 두께와 웨브(60)의 캘리퍼는 Z-방향으로 측정된다. 웨브(60)와, 이와 결합된 벨트(20)는 밴드(31, 32)에 의해서 그리고 밴드 사이에서 Z-방향으로 가압된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은 가압면(11, 12)이 평면일 필요는 없으며 곡면(도시안함)을 이룰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 Z-방향은 만곡된 가압면의 임의의 점의 접선에 수직한 방향이다.
제지 방법에 있어서, 기계가공 방향(MD)은 제지 장치를 통과하는 웨브(60)의 유동 방향[및 그에 따른 벨트(20)의 유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며 이에 평행한 방향을 나타낸다. 횡단 기계가공방향(CD)은 기계가공방향(MD)에 수직하며 웨브(60)와 벨트(20)의 일반 평면에 평행하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은 가압면(11, 12)이 곡면이면, 기계가공 방향(MD)이 가압면(11, 12)의 곡률 형상을 따른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은 그들 사이에 가압 닙을 형성하며, 가압 닙은 벨트(20)가 그 상부에 섬유상 웨브(60)를 수납하도록 설계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섬유상 웨브"란 셀룰로오스 섬유, 합성 섬유 또는 그들의 조합물로 구성된 임의의 웨브를 들 수 있다. 섬유상 웨브(60)는 종래의 방법 또는 관통 공기 건조 방법을 포함하지만 그에 국한되지 않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제지 공정에 의해서 제조될 수도 있다. 적절한 섬유는 1차 제지 섬유 뿐만 아니라 재생 또는 2차 제지 섬유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섬유는 활엽수(hardwood) 섬유, 침엽수(softwood) 섬유 및 비목제(nonwood) 섬유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 최종 종이 웨브는 3000 ft2당 약 6 파운드 내지 약 40 파운드의 기본 중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이 쉽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섬유상 웨브(60)의 형성 단계가 이러한 섬유상 웨브의 제공 단계에 선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지 섬유의 수성 현탁액을 준비하는 장치가 1976년 11월 30일자로 모건(Morgan) 및 리치(Rich)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3,994,771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 특허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된다. 제지 섬유의 수성 현탁액의 준비 및 이러한 수성 현탁액의 특성은 1985년 7월 16일자로 트로칸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529,480 호에 보다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으며, 이 특허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된다.
섬유상 웨브(60)는 잠액성 자생 중합체(fluid-latent indigenous polymer)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수적이지는 않다. 바람직한 잠액성 자생 중합체는 리그닌(lignin), 반셀룰로오스(hemicelluloses), 추출물 및 그들의 임의의 조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 다른 종류의 잠액성 자생 중합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유럽 특허 출원 제 EP 0 616 074 A1 호는 습윤 가압 공정 에 의해 그리고 습윤 강화 수지를 제지 섬유에 부가함으로써 형성된 종이 시트를 개시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잠액성 자생 중합체는 제지 섬유와 개별적으로 공급될 수도 있고 웨브(60)가 형성되기 전에 웨브(60)(또는 섬유)에 첨가될 수도 있다. 웨브(60) 또는 섬유에 잠액성 자생 중합체를 독립적으로 부착하는 것은, 섬유가 충분한 양의 잠액성 자생 중합체를 본질적으로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잠액성 자생 중합체를 본질적으로 전혀 함유하지 않는 경우(예컨대, 합성 섬유 등)에 요구될 수도 있다. 잠액성 자생 중합체는 거의 순수 화합물 형태로 웨브(60)(또는 섬유)내에/상에 부착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잠액성 자생 중합체는, 잠액성 자생 중합체를 함유한 셀룰로오스 섬유의 형태로 부착될 수도 있다. 잠액성 자생 중합체는 균일하게 또는 대안적으로 이산 스폿형태로 첨가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산 스폿은 소정의 패턴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종이 웨브의 매우 조밀화된 미소영역과 일치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웨브(60)가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 사이의 가압 닙으로 들어갈 때, 웨브(60)는 약 5% 내지 약 60%의 섬유 농도(fiber-consistency)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압면(11, 12) 사이에서 가압되기 직전(도 2의 B 점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의 웨브(60)의 섬유 농도는 약 15% 내지 약 50%이다.
제 1 가압면(11)이 웨브(60)와 접촉하고 제 2 가압면(12)이 벨트(20)의 배면측과 접촉하도록, 웨브(60)와 벨트(20)는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 사이에 개재된다. 가압 수단(30)은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을 서로를 향해 가압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가압 수단(30)은 밴드(31, 32)의 (Z-방향으로) 대응하는 섹션을 서로를 향해 가압하는 부재를 포함하며, 이들 대응 섹션은 그들 사이에 가압 닙을 형성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그들 사이에 가압 닙을 형성하는 밴드의 대응 섹션은 밴드(31, 32)의 "닙 형성부"로서 규정된다. 도 1 내지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가압 수단(30)은 롤(51, 52, 55, 56)과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웨브(60)의 소망 정도의 조밀화에 따라, 특정 두께의 임의의 소정 벨트(20)에 대해서, 밴드(31, 32)에 의해 또한 그들 사이에서 웨브(60)와 벨트(20)가 밴드(31, 32) 사이의 정확히 선택된 간극과 그들의 종방향(즉, 기계가공 방향) 장력에 의해서만 가압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 가압 수단(30)은 밴드(31, 32) 사이의 간극과 밴드의 장력을 제어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은 가열 장치(41)와 냉각 장치(42)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간의 온도차 발생 수단(4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가열 장치(41)는 제 1 밴드(32)가 웨브(60)와 접촉하기 전에 제 1 밴드(32)의 일 섹션을 가열하고, 냉각 장치(42)는 제 2 밴드(32)가 웨브(60)와 접촉하기 전에 제 2 밴드(32)의 일 섹션을 냉각한다. 따라서, 제 1 밴드(31)가 웨브(60)를 벨트(20)로 가압할 때, 제 1 밴드(31)는 또한 웨브(60)의 일측면을 가열하며, 동시에 제 2 밴드(32)는 웨브(60)의 타측면과 접촉하는 벨트(20)를 냉각한다. 이러한 온도차는, 응축에 수반되는 물의 적어도 부분적인 증발로 인해, 비교적 고온측으로부터 비교적 저온측으로 웨브(20)내에 함유된 물을 이동시킨다. 당해 기술분야에 잘 공지된 가열 및 냉각 장치(41, 42)의 다른 구성 뿐만 아니라 온도차 발생 수단(40)의 다른 실시예가 이용가능하다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밴드(31)의 닙 형성부는 단면은 웨브(60)와 접촉될 때 가열 될 수 있으며(도 2b),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웨브(60)와 접촉하기 전에 가열 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밴드(32)의 닙 형성부는 동시에 냉각될 수도 있다(도시안함).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밴드(31, 32) 사이에 발생하는 온도차는 웨브(60)내에 함유된 물이 비교적 고온 영역으로부터 비교적 저온 영역으로, 즉 벨트(20)를 향해 또한 벨트내로 이동하게 한다. 따라서, 벨트(20)는 웨브(60)로부터 벨트(20)로 이동된 물을 축적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보이드(void) 용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하다면, 벨트(20)와 나란히 배치된 부가의 직물이 웨브(60)로부터 이동되는 물을 수납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는 패턴화된 제 1 가압면(11)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 및 도 9에 있어서, 제 1 가압면(11)은 본질적으로 연속적이며 거시적으로 단일 평면인 패턴화된 망상 영역(11a)과, 이 영역(11a)으로 둘러싸여 있고 영역 전체에 걸쳐 분산된 복수개의 이산 함몰부(11b)를 포함한다. 도 8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망상 영역(11a)은 함몰부(11b)의 높이로부터 Z-방향으로 돌출한다. 이하에서 충분히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연속적인 망상 영역(11a)은 크레이핑이 이 망상 영역을 분리하여 크레이핑 블레이드로 수행되게 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브(60)의 선택부(61)는 제 1 가압면(11)의 망상 영역(11a)에 (Z-방향으로) 대응하고, 웨브(60)의 부분(62)은 제 1 가압면(11)의 함몰부(11b)에 (Z-방향으로) 대응한다. 따라서, 제 1 가압면(11)이 웨브(60)를 벨트(20)에 대해 가압할 때, 제 1 가압면(11)의 망상 영역(11a)은 주로 선택부(61)를 조밀화하며, 부분(62)을 포함한 웨브(60)의 나머지 부분이 조밀화되지 않은 상태(또는, 필요하다면 훨씬 덜한 정도로 조밀화된 상태)로 남는다. 제 1 가압면(11)은 망상 영역(11a)의 특정 패턴으로 웨브(60)를 엠보싱처리한다. 최종 종이 제품에 있어서, 웨브(60)의 고밀부(61)는 평면도에서 제 1 가압면(11)의 망상 영역(11a)의 패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패턴을 갖는 연속망(61)을 형성한다. 최종 종이 제품의 조밀화된 연속망(61)은 강성을 제공하는 반면, 저밀부(62)는 유연성 및 흡수성을 제공하는 부피를 생성한다.
바람직하다면, 웨브(60)의 부분(62)은 제 1 가압면(11)의 함몰부(11b)에 의해 눌려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웨브(60)의 양부분(61, 62)은 상이한 정도로 조밀화될 수도 있다. 고밀부(61)에 인가된 압력과 저밀부(62)에 인가된 압력 사이의 압력차는 패턴화된 제 1 가압면(11)의 함몰부(11b)에 의해서 규정된 표면과 망상 영역(11a)의 표면 사이의 거리에 의해서 제어될 수도 있다.
또한 패턴화된 제 1 가압면(11)은 대안적으로 또는 망상 영역(11a)에 부가하여 이산형 돌출부[함몰부(11b)에 반대됨]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실시예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쉽게 가시화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에 있어서, 예컨대 참조 번호(11a, 11b)를 교환함으로써 함몰부를 포함하는 망상 영역과, 망상 영역으로부터 Z-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이산형 돌출부를 쉽게 가시화할 수 있다. 도 9a는 제 1 가압면(1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a에 있어서, 제 1 가압면(11)은 본질적으로 연속적인 기계방향 종방향 스트립(12a)을 포함하며, 이것은 기계가공방향의 종방향 함몰부(12b)에 의해서 분리된다.
도 10 및 도 11은 본질적으로 패턴화되지 않은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을 도시한다.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 벨트(20)는 보강 구조체(25)에 결합된 골격(21)을 포함한다. 골격(21)은 웨브측 표면(21a)과 배면측 표면(21b)을 가진다. 골격(21)의 웨브측 표면(21a)은 벨트(20)의 웨브측(20a)을 규정하며, 배면측 표면(21b)은 벨트(20)의 배면측(20b)을 규정한다. 복수개의 편향 도관(22)은 골격(21)의 웨브측 표면(21a)과 배면측 표면(21b) 사이에서 연장된다. 보강 구조체(25)는 골격(21)의 웨브측 표면(21a)과 배면측 표면(21b)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벨트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된 상술한 몇몇 미국 특허에 개시되어 있다. 바람직하다면, 벨트(20)의 배면측(20b)은 트로칸에게 1994년 1월 4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5,275,700 호와, 트로칸 등에게 1994년 8월 2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5,334,289 호와, 스머코스키 등에게 1994년 11월 15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5,364,504 호에 따라 텍스처될 수 있으며, 이들 특허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된다.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 웨브측 표면(21a)에 (Z-방향으로) 대응하는 웨브(60)의 선택부(61)는 제 1 가압면(11)에 대해 가압되어 조밀화되는 반면, 편향 도관(22)에 Z-방향으로 대응하는 웨브(60)의 부분(62)은 조밀화되지 않는다(또는, 바람직하다면 매우 덜한 정도로 조밀화됨).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골격(21)은 본질적으로 연속적인 패턴을 포함하며, 복수개의 편향 도관(22)은 골격(21)의 웨브측 표면(21a)으로부터 배면측 표면(21b)까지 연장되는 복수개의 이산형 오리피스 또는 구멍을 포함한다. 이산형 도관(22)은 골격(21)에 사전결정된 패턴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관(22)의 배열 패턴은 예컨대 연속적인 직사각형 패턴과 같이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연속적인 골격(21)과 이산형 편향 도관(30)을 갖는 제지 벨트(20)는 트로칸에게 1985년 7월 9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528,239 호와, 트로칸에게 1985년 7월 16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529,480 호와, 트로칸에게 1987년 1월 20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637,859 호와, 트로칸 등에게 1992년 3월 24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5,098,522 호와, 트로칸에게 1994년 1월 4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5,275,700 호와, 트로칸에게 1994년 8월 2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5,334,289 호와, 스머코스키(Smurkoski) 등에게 1985년 11월 15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5,364,504 호에 주로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특허는 모두 본 출원인에게 양도되었으며,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된다.
또한 벨트(20)는 본질적으로 연속적인 편향 도관의 영역에 의해서 서로 분리되어 있고 보강 구조체(25)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이산형 돌출부로 구성된 골격(21)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 의해서 쉽게 가시화될 수 있다. 각각의 돌출부는 골격(21)의 웨브측 표면(21a)으로부터 배면측 표면(21a)까지 연장되고 그 내부에 배치된 이산형 편향 도관을 갖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이산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골격(21)을 갖는 제지 벨트(20)는 트로칸 등에게 1993년 9월 14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245,025 호와, 트로칸 등에게 1996년 6월 18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5,527,428 호에 주로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특허는 본 출원인에게 양도되었으며,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된다. 또한, 직물의 평면위로 융기된 이산형 돌출부를 갖는 제지 벨트(20)는 1995년 4월 12일자로 출원된 유럽 특허 출원 번호 제 95105513.6 호[발명자; 웬트(Wendt) 등], 공개 공보 번호 제 0 677 612 A2 호에 따라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본질적으로 연속적인"이란 완전한 기하학적인 연속성의 단절이 벨트(20)의 성능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한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허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또한, 골격(21)의 완전 연속성의 단절이나 또는 연속성 도관(22)의 완전 연속성의 단절이 벨트(20)의 전체 디자인의 일부로서 의도되는 실시예(도시안함)가 가능하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특정 실시예와 무관하게, 벨트(20)는 적어도 일방향으로, 특히 웨브측(20a)으로부터 배면측(20b)으로의 방향으로 유체 투과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유체 투과성"이란 섬유상 슬러리의 유체 담체, 또는 공기나 증기와 같은 기체가 큰 방해없이 벨트(2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는 조건을 칭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웨브(60)와 이에 결합된 벨트(20)가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 사이에서 가압된 후에, 웨브(60)는 축소화 수단(70)에 의해서 축소화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웨브(60)를 축소화하는 몇몇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실시예들은 제한적이거나 또는 배타적인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웨브(60)는 축소화 단계의 시작과 거의 동시에(도 2 및 도 4) 또는 그 전에(도 1, 도 3, 도 5, 도 6 및 도 7) 벨트(20)로부터 분리된다.
도 1은 제 1 가압면(11)과 나란히 배치된 크레이핑 닥터 블레이드(73)로 구성된 축소화 수단(70)을 갖는 장치(10)를 도시한다. 크레이핑은 소우다이(Sawdai)에게 1992년 4월 24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919,756 호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그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된다. 종래의 크레이핑 블레이드(73)는 블레이드와 크레이핑면간에 소정의 임팩트 각도(impact angle)를 형성하도록 크레이핑면에 대해 위치설정되며, 임팩트 각도는 약 70° 내지 약 90°이다. 클리닝 블레이드(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는 크레이핑면으로부터의 오염물질 축적 및 과다한 피막을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웨브(60)는 가압 단계중에 제 1 가압면(11)에 대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크레이핑 접착제는 크레이핑면에 직접 도포될 수도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폴리비닐 알콜, 동물성 단백질 아교, 또는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크레이핑 접착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된 1975년 12월 16일자로 베츠(Bates)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926,716 호에 폴리비닐 알콜 크레이핑 접착제가 개시되어 있다. 1985년 2월 26일자로 소렌스(Soerens)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501,640 호와, 1993년 2월 16일자로 퍼맨 2세(Furman, Jr.)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187,219 호와, 1996년 2월 27일자로 에드워즈(Edwards)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494,554 호는 다양한 유형의 크레이핑 접착제를 개시한다. 선택적으로, 다양한 가소제가 크레이핑 접착제와 관련하여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CREPETROL R 6390으로서 시장에서 판매되는 가소제는 독일 윌밍톤 소재의 헤르큘레스 인코포레이티드(Hercules Incorporated)로부터 입수가능하다.
크레이핑 접착제는 제 1 가압면(11)에 균일하게 도포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크레이핑 접착제가 이산형 스폿, 연속적인 영역 또는 그들의 조합물로 부착될 수도 있다. 크레이핑 접착제가 불균일하게 부착된 경우에, 패턴은 불규칙할 수 있거나 또한 대안적으로 균일하게 반복될 수도 있다. 균일한 패턴이 바람직하다. 이산형 스폿 또는 영역은 사전선택된 패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사전선택된 패턴은 웨브(60)의 부분(61)과 정합될 수도 있으며, 부분(61)은 부분(62)을 포함하는 웨브(60)의 나머지에 대해 매우 조밀화된다.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인쇄 롤(92)(도 1, 도 6, 도 7 및 도 7a), 분무 노즐(91)(도 1a 및 도 5) 및 압출성형 장치(도시안함)와 같은 장치들이 본 발명에 있어서 접착제 도포기(90)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a는 복수개의 분무 노즐(91)로 구성된 접착제 도포기(9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노즐(91)은, 복수의 분리된 대체로 기계가공방향의 스트립(91a)의 형태로 크레이핑 접착제를 연속적으로 부착하도록 횡단 기계가공 방향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물론, 스트립(91a)은 도 1a에 도시된 직선일 필요는 없다. 당해 기술분야에 숙련자들은 복수개의 노즐의 상호 폭방향 운동이 사인파형 패턴의 스트립(91a)(도시안함)을 생성할 것이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사인파형 스트립들은 동위상이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서로 평행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스트립이 상호 교차하는 패턴이 가능하다. 일부의 노즐이 횡단 기계가공방향으로 상호 이동하는 반면에 다른 노즐은 이동하지 않는 배열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도 있다. 이러한 배열은 실질적인 직선 스트립과 사인파형 스트립의 조합을 생성할 것이다(도시안함). 마찬가지로, 스트립(91a)은 연속적일 필요는 없으며, 접착제 스트립(91a)의 단절이 가능하여 심지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도 7a는 접착제 도포기(9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a에서, 인쇄 롤(92)은 크레이핑면(75)과 접촉시켜, 접착제를 사전결정된 특정 패턴(92a)에 따라 크레이핑면(75)상에 부착한다. 도 7a는 패턴화된 면을 갖는 인쇄 롤을 도시하지만, 평활면을 갖는 인쇄 롤이 예컨대 도 9 및 도 9a에 도시된 제 1 가압면(11)과 같은 제 1 가압면(11)에 접착제를 도포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도 9 및 도 9a에 도시된 제 1 가압면(11)이 Z-방향으로 연장된 요소를 포함하기 때문에, 평활면을 갖는 인쇄 롤은 단지(또는 주로) 이러한 연장 요소의 표면상에 접착제를 부착시킬 것이다.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접착제를 크레이핑면에 도포하는 다른 방법이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스프라그 2세(Sprague, Jr.)에게 1975년 10월 7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3,911,173 호와, 스프라그 2세에게 1977년 6월 28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031,854 호와, 스프라그 2세에게 1978년 7월 4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098,632 호는 나선형 접착제 부착 노즐을 개시한다. 이들 노즐은 원주방향으로 배향된 복수개의 공기 제트를 이용하여 공기 제트가 노즐로부터 방출되어 접착제로 결합된 박막(lamina)의 면에 압출성형될 때 나선 패턴을 접착제의 필라멘트에 발생시킨다.
하인델(Heindel) 등에게 1990년 8월 21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949,668 호는 기재상에 고온 용융 접착제를 반원형 패턴으로 부착하는 장치를 개시한다.
맥인트레(McIntyre)에게 1990년 1월 2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891,249 호와 맥인트레에게 1991년 2월 26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996,091 호에는 유체 섬유 접착제 방울 및 섬유와 방울의 조합물을 형성하는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섬유, 방울 및 그들의 조합물이 접착성 필라멘트에 대해 대칭적으로 압축 공기를 원추형으로 집중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것은 박막의 면상에 불규칙하게 배치된 십자형 섬유의 부착 패턴으로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되고 기븐스(Givens)에게 1992년 9월 1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5,143,776 호는 종방향으로 배향된 스트립으로 도포된 접착제를 개시한다. 스트라이프는 나선형 패턴으로, 또는 바람직하게는 멜트 블로운 패턴으로 부착된다.
크레이핑면에 접착제를 패턴화 도포하는 것은 웨브(60)의 크레이핑면에 대한 접착 정도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할 수도 있다. 크레이핑 블레이드로 크레이핑하기 전에 크레이핑면에 웨브가 접착되는 정도는 크레이핑 후 종이 웨브의 유연성, 부피성, 흡수성 및 신장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중 하나라고 알려져 있다. 접착제를 크레이핑면에 패턴화 도포하는 것은 크레이핑면에 종이 웨브를 차등 접착하기 위한 조건을 형성하여 차등 영역을 갖는 종이 웨브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크레이핑면은 상이한 형상 즉, 볼록 형상(도 1 및 도 6), 평면 형상(도 7) 및 오목 형상(도 5)을 가질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오목한 크레이핑면(75)은 크레이핑 블레이드(73)에 의해 유발된 압력에 의해서 형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오목한 크레이핑면은 크레이핑 블레이드에 의해 압력으로부터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평면 크레이핑면을 형성하기 위해서, 크레이핑 블레이드가 크레이핑면과 접촉하는 영역에 크레이핑면에 대한 지지부를 형성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도 7a는 크레이핑 블레이드(73)가 크레이핑면(75)에 나란히 배치된 영역에서 롤(77)에 의해서 지지된 크레이핑면(75)을 도시한다.
크레이핑 블레이드(73)는 톱니형 패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마리낵(Marinack) 등에게 1997년 8월 12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5,656,134 호와, 마리낵 등에게 1997년 11월 11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5,685,954 호와, 마리낵 등에게 1997년 11월 25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 5,690,788 호는 관통형 작은 톱니를 갖는 물결 모양의 돌출면을 갖는 크레이핑 블레이드를 개시한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을 도시하는데, 축소화 단계는 제지 벨트(20) 및/또는 제 1 가압면(11)으로부터 이송 직물(111)까지 웨브(60)를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송 직물(111)은 웨브(60)가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 사이의 가압 닙내에서 가압된 후의 웨브(10)를 수납한다. 도 2 내지 도 7은 제 2 속도(V2)로 이동하는 이송 직물(111)로 구성된 축소화 수단의 몇가지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제 2 속도(V2)는 제 1 속도(V1)보다 저속이다.
본 출원인에게 양도되고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 4,440,597 호는 "습윤 미소 수축"에 관해 상세히 개시한다. 간략하게, 습윤 미소 수축이란 제 1 부재(다공성 부재와 같음)로부터 이보다 저속으로 이동하는 제 2 부재(개방형 직조 직물의 루프와 같음)까지 섬유 농도가 낮은 웨브를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미국 특허 제 4,440,597 호에 따르면, 이송 전에 웨브의 바람직한 농도는 약 10 중량당 섬유% 내지 약 30 중량당 섬유%이며, 가장 바람직한 농도는 약 10% 내지 약 15%이다.
이제, 전술한 특허에 개시된 습윤 미소 수축 방법에 사용된 웨브의 섬유 농도보다 상당히 큰 섬유 농도를 갖는 웨브를 축소화하는데, 속도차를 성공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믿어진다. 또한, 웨브(60)의 Z-방향 패턴이 조밀화되지 않거나 또는 영역(61)에 비해 상당히 낮은 정도로 조밀화된 웨브의 영역(62)내의 또한 그 주위의 비교적 건조한 웨브조차 "미소 수축"시키는 조건을 형성한다고 믿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웨브가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 사이에서 가압된 후에 이송 직물(111)로 이송되기 전의 웨브(60)의 바람직한 섬유 농도는 적어도 30%이다. 바람직한 속도비(V2/V1)는 약 0.95 대 약 0.75이다[제 2 속도(V2)가 제 1 속도(V1)보다 약 5% 내지 약 25%만큼 작음을 의미함]. 바람직한 이송 직물(111)은 텍스처 처리된 웨브 수납면을 갖는 무한 벨트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된 몇 개의 특허에 따라 본 출원인에 의해서 제조된 제지 벨트는 이송 직물(111)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벨트(20)는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 사이에 형성된 가압 닙으로부터 이송 직물(111)까지 웨브(60)를 이송시킨다. 연관 제 2 밴드(32)를 갖는 롤(55)과, 연관 이송 직물(111)을 갖는 롤(72)은 웨브(60)가 연속적으로 지향되는 이송 닙을 그들 사이에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의 영역(TN)의 제지 벨트(20)와 이송 직물(111) 사이에 이송 닙이 형성된다. 이송 닙은 웨브(60)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이송 직물(111)은 접착제로 처리되어 이송 직물(111)로의 웨브(60)의 부착을 촉진함으로써 벨트(20)로부터의 웨브(60) 분리를 도울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웨브(60)는 그 상부에 연관 제 1 밴드(31)를 갖는 롤(51)과, 그 상부에 연관 이송 직물(111)을 갖는 롤(72) 사이의 영역(TN)에 형성된 이송 닙으로 연속으로 지향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에서, 제 1 밴드(31)와 이송 직물(111) 사이에 이송 닙이 형성되어 웨브(60)를 수용한다.
웨브(60)가 이송 직물(111)로 이송된 후, 부가의 압력이 사용되어 이송 직물(111)로의 웨브(60) 부착을 촉진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3에서 롤(72)과 나란히 배치되고 압력 롤(78)과 이송 직물(111) 사이에 개재된 웨브(60)를 결합시키는 임의의 회전 압력 롤(78)에 의해서 부가의 압력이 유발된다.
도 4는 장치(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벨트(20)로부터 이송 직물(111)까지의 웨브(60)의 이송이 예컨대 진공 픽업 슈(77)와 같은 진공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진공 픽업 슈(77) 뿐만 아니라,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예컨대 진공 박스(도시 안함)와 같은 다른 적절한 진공 장치가 웨브(60)를 벨트(20)로부터 이송 직물(111)까지 이송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진공 이송은 제지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간의 압력으로부터 해제된 후, 웨브(60)는 이송 직물(111)로 이송된다[롤(71)과 롤(72) 둘레에 루프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됨]. 보조 가압면(112)은 이송 직물(111)과 함께 개재되어 이송 직물(111)과 보조 가압면(112) 사이에 제 2 가압 닙을 형성한다.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과 관련하여 적용된 것과 유사한 가압 수단이 이송 직물(111)과 보조 가압면(112)을 서로를 향해 가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 직물(111)과 보조 가압면(112)의 속도(V2)는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의 속도(V1)보다 저속이다. 도 5 및 도 6 모두에서, 보조 가압면(112)은 크레이핑면(75)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이핑면(75)은 제 1 가압면(11)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크레이핑면(75)은 이송 직물(111)(도 7)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웨브(60)는 제 1 가압면(11)과의 결합부로부터 크레이핑면(75)까지 이송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이핑면(75)으로의 웨브(60)의 이송은 웨브(60)의 미소 수축에 의한 축소화를 야기할 수도 있으며, 제 1 가압면(11)과 이송 직물(111) 사이에 속도차가 존재한다.
제지 벨트(20)와 이송 직물(111)로부터 분리된 중간 벨트가 본 발명에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패링톤에게 1997년 3월 4일자로 특허되고 킴벌리 클락 코포레이션에 양도된 미국 특허 제 5,607,551 호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된다. 또한, 벨트(20)로부터 이송 직물(111)로의 웨브(60)의 이송이 벨트(20)와 직물(111) 사이의 이송 간극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1996년 5월 9일자로 공개된 PCT 공개 공보 제 WO 96/13635 호에 이러한 이송 간극을 사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이 밀도차가 없는 영역을 갖는 종이 웨브를 제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 1 가압면(11)과 벨트(20)의 웨브측(20a)이 평활한 것이 바람직하며 이것을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제안된 장치 및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종이 웨브의 유형에 상관없이 웨브(60)는 축소화된 후 선택적으로 캘린더 처리될 수도 있다.

Claims (4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지 직물(20)과 협력하여, 축소화 종이 웨브(60)를 제조하는 장치(10)에 있어서,
    제 1 가압면(11) 및 상기 제 1 가압면(11)에 평행한 제 2 가압면(12)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은 이들 사이에 개재된 상기 제지 직물(20)과 결합된 습윤 셀룰로오스 섬유의 웨브(60)를 수납하여 상기 제 1 가압면(11)이 상기 웨브(60)와 접촉하고 상기 제 2 가압면(12)이 상기 제지 직물(20)과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과,
    상기 웨브(60)의 적어도 선택된 부분(61)을 조밀화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을 서로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 수단(30)과,
    물이 상기 웨브(10)로부터 상기 제지 직물(20)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 1 가압면(11)과 상기 제 2 가압면(12) 사이에 온도차를 발생시키는 수단(40)과,
    상기 웨브(60)를 제 1 속도로 기계가공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수단(50)과,
    상기 웨브(60)가 상기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 사이의 압력으로부터 해제된 후 상기 웨브(60)를 축소화하는 축소화 수단(70)을 포함하는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지 직물(20)은 무한 벨트를 포함하는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중 적어도 하나는 무한 밴드(31)를 포함하는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화 수단(70)은 크레이핑면(75)과 나란히 배치된 크레이핑 블레이드(73)를 포함하는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핑면(75)은 상기 제 1 가압면(11)을 포함하는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핑면(75)상에 크레이핑 접착제를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 도포기(90)를 더 포함하는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핑 접착제는 사전결정된 패턴으로 상기 크레이핑면(75)상에 부착되는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핑면(75)은 평면인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핑면(75)은 오목한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장치.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화 수단(70)은 상기 웨브(60)가 상기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 사이에서 가압된 후의 웨브를 수납하도록 설계된 이송 직물(111)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 직물(111)은 상기 제 1 속도보다 느린 제 2 속도로 상기 기계가공방향으로 이동하는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직물(111)이 텍스처가공된 웨브 수납면을 갖는 무한 벨트를 포함하는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화 수단(70)은 이송 닙을 더 포함하는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닙은 상기 이송 직물(111)과 상기 제지 직물(20) 사이에 형성되는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닙은 상기 이송 직물(111)과 상기 제 1 가압면(11) 사이에 형성되는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장치.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화 수단(70)은 상기 웨브(60)를 상기 제지 직물(20)로부터 상기 이송 직물(111)까지 이송하기 위한 진공 장치를 더 포함하는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장치.
  2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60)는 상기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에 의해 발생된 압력으로부터 해제된 후에 또한 상기 이송 직물(111)이 상기 웨브(60)를 수납하기 전에 적어도 약 30%의 섬유 농도를 갖는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장치.
  2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면(11)은 상기 웨브(60)가 상기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 사이에서 가압될 때 상기 웨브(60)를 엠보싱처리하도록 패턴화되는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장치.
  2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지 직물(20)은 거시적으로 단일 평면이고 유체 투과성인 제지 벨트(20)를 포함하며, 제지 벨트(20)는 웨브측(20a)과 이에 대향하는 배면측(20b)을 가지는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20)는 웨브측 표면(21a)과, 상기 웨브측 표면(21a)에 대향하는 배면측 표면(21b)과, 상기 웨브측 표면(21a)과 배면측 표면(21b)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개의 편향 도관(22)을 갖는 골격(21)을 포함하며, 상기 골격의 웨브측 표면(21a)은 상기 벨트의 웨브측(20a)을 규정하는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20)는, 골격에 결합되고 상기 골격의 웨브측 표면과 배면측 표면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 구조체(25)를 더 포함하는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의 웨브측 표면은 연속망을 포함하는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장치.
  32. 제지 직물(20)과 협력하여, 밀도차가 있는 미소영역을 갖는 축소화 종이 웨브를 제조하는 장치(10)에 있어서,
    제 1 가압면(11) 및 상기 제 1 가압면(11)에 평행하게 대향하는 제 2 가압면(12)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은 이들 사이에 개재된 상기 제지 직물(20)과 결합된 습윤 셀룰로오스 섬유의 웨브(60)를 수납하여 상기 제 1 가압면(11)이 상기 웨브(60)와 접촉하고 상기 제 2 가압면(12)이 상기 제지 직물(20)과 접촉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제지 직물(20)은, 웨브측 표면(21a), 상기 웨브측 표면(21a)에 대향하는 배면측 표면(21b) 및 이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개의 편향 도관(22)을 갖는 골격(21)을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과,
    상기 제지 직물(20)의 웨브측(20a)을 상기 웨브(60)내로 가압하여 상기 웨브(60)의 선택된 영역을 조밀화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을 서로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 수단(30)과,
    물이 상기 웨브(60)로부터 상기 제지 직물(20)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 1 가압면(11)과 상기 제 2 가압면(12) 사이에 온도차를 발생시키는 수단(40)과,
    상기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과, 그 위에 웨브(60)를 갖는 제지 직물(20)을 제 1 속도로 기계가공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수단(50)과,
    상기 웨브(60)가 상기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 사이의 압력으로부터 해제된 후 상기 웨브(60)를 축소화하는 축소화 수단(70)을 포함하는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장치.
  33. 축소화 종이 웨브(60)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 1 가압면(11)과 이에 평행하게 대향하는 제 2 가압면(12)을 제공하는 단계와,
    (b) 웨브측(20a)과 상기 웨브측(20a)에 대향하는 배면측(20b)을 갖는 유체 투과성 제지 직물(20)을 제공하는 단계와,
    (c) 습윤 셀룰로오스 섬유의 웨브(60)를 제공하는 단계와,
    (d) 상기 제지 직물(20)의 웨브측(20a)상에 상기 웨브(60)를 배치하는 단계와,
    (e) 상기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 사이에 상기 웨브(60)와 상기 제지 직물(20)을 개재하는 단계와,
    (f) 상기 제지 직물(20)을 상기 웨브(60)내로 가압하여 상기 웨브의 적어도 선택된 부분(61)을 조밀화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을 서로를 향해 가압하고, 상기 제 1 가압면(11)이 상기 웨브(60)와 접촉하고 상기 제 2 가압면(12)이 상기 제지 직물(20)과 접촉하는 단계와,
    (g) 상기 1 및 제 2 가압면(11, 12) 사이에 온도차를 발생시켜 물이 상기 웨브(60)로부터 상기 제지 직물(20)로 이동하게 하는 단계와,
    (h) 상기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 사이의 압력으로부터 상기 웨브(60)를 해제하는 단계와,
    (i) 상기 축소화 종이 웨브를 형성하도록 상기 웨브(60)를 축소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가압면(11, 12)을 제 1 속도로 기계가공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화 단계는 상기 웨브(60)를 닥터 블레이드(73)로 크레이핑면(75)으로부터 분리하여 크레이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60)를 상기 제 1 가압면(11)에 크레이핑 접착제로 접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방법.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핑 접착제는 상기 크레이핑면(75)상에 균일한 패턴으로 부착되는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방법.
  38.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핑 접착제는 상기 크레이핑면(75)상에 불균일한 패턴으로 부착되는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방법.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핑 접착제는 상기 크레이핑면(75)상에 이산형 스폿으로 부착되는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방법.
  40.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핑 접착제는 상기 크레이핑면(75)상에 연속 영역으로 부착되는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방법.
  41. 제 39 항 또는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핑 접착제는 상기 크레이핑면(75)상에 규칙적인 반복 패턴으로 부착되는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방법.
  42.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핑면(75)은 상기 제 1 가압면(11)을 포함하는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방법.
  43. 제 33 항 또는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화 단계는 상기 웨브(60)를 상기 제지 직물(20)로부터 상기 제 1 속도보다 느린 제 2 속도로 이동하는 이송 직물(111)까지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방법.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화 단계는 이송 닙을 통해 상기 웨브(60)를 연속적으로 지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방법.
  45.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핑면(75)은 상기 이송 직물(111)을 포함하는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방법.
KR10-2000-7006781A 1997-12-19 1998-12-14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3942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994,927 1997-12-19
US08/994,927 US6139686A (en) 1997-06-06 1997-12-19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foreshortened cellulsic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4774A KR20010024774A (ko) 2001-03-26
KR100394265B1 true KR100394265B1 (ko) 2003-08-09

Family

ID=25541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6781A KR100394265B1 (ko) 1997-12-19 1998-12-14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6139686A (ko)
EP (1) EP1040224B1 (ko)
JP (1) JP2001527171A (ko)
KR (1) KR100394265B1 (ko)
CN (1) CN1109159C (ko)
AR (1) AR012761A1 (ko)
AT (1) ATE232927T1 (ko)
AU (1) AU1821499A (ko)
BR (1) BR9813829A (ko)
CA (1) CA2315864C (ko)
DE (1) DE69811537T2 (ko)
ES (1) ES2190617T3 (ko)
HU (1) HUP0100457A3 (ko)
ID (1) ID26581A (ko)
IL (1) IL136863A0 (ko)
NO (1) NO20003183L (ko)
PE (1) PE20000140A1 (ko)
TR (1) TR200002399T2 (ko)
TW (1) TW538176B (ko)
WO (1) WO1999032716A1 (ko)
ZA (1) ZA98115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1637B2 (en) * 2001-04-20 2004-03-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ystems for tissue dried with metal bands
US7494563B2 (en) 2002-10-07 2009-02-24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Fabric creped absorbent sheet with variable local basis weight
US7588660B2 (en) * 2002-10-07 2009-09-15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Wet-pressed tissue and towel products with elevated CD stretch and low tensile ratios made with a high solids fabric crepe process
US7662257B2 (en) 2005-04-21 2010-02-16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lc Multi-ply paper towel with absorbent core
US7789995B2 (en) 2002-10-07 2010-09-07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Fabric crepe/draw process for producing absorbent sheet
US7585389B2 (en) 2005-06-24 2009-09-08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Method of making fabric-creped sheet for dispensers
EP1556548B1 (en) * 2002-10-07 2008-11-19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Process for making a creped cellulosic sheet
US8398820B2 (en) 2002-10-07 2013-03-19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Method of making a belt-creped absorbent cellulosic sheet
US7442278B2 (en) 2002-10-07 2008-10-28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Fabric crepe and in fabric drying process for producing absorbent sheet
US7067038B2 (en) * 2003-02-06 2006-06-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making unitary fibrous structure comprising randomly distributed cellulosic fibers and non-randomly distributed synthetic fibers
US7052580B2 (en) * 2003-02-06 2006-05-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Unitary fibrous structure comprising cellulosic and synthetic fibers
US7252870B2 (en) * 2003-12-31 2007-08-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wovens having reduced Poisson ratio
US7294239B2 (en) * 2004-01-30 2007-11-13 Voith Paper Patent Gmbh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d drying a fiber web provided with a three-dimensional surface structure
US8293072B2 (en) 2009-01-28 2012-10-23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Belt-creped, variable local basis weight absorbent sheet prepared with perforated polymeric belt
EP1841819A1 (en) * 2004-12-07 2007-10-10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Spherical composites entrapping nanoparticles, processes of preparing same and uses thereof
US7478463B2 (en) * 2005-09-26 2009-01-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anufacturing process for combining a layer of pulp fibers with another substrate
US20070098984A1 (en) * 2005-11-01 2007-05-03 Peterson James F Ii Fiber with release-material sheath for papermaking belts
US8540846B2 (en) 2009-01-28 2013-09-24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Belt-creped, variable local basis weight multi-ply sheet with cellulose microfiber prepared with perforated polymeric belt
US20080099170A1 (en) * 2006-10-31 2008-05-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of making wet-microcontracted paper
US20090136722A1 (en) * 2007-11-26 2009-05-28 Dinah Achola Nyangiro Wet formed fibrous structure product
US20090280297A1 (en) * 2008-05-07 2009-11-12 Rebecca Howland Spitzer Paper product with visual signaling upon use
US20100119779A1 (en) * 2008-05-07 2010-05-13 Ward William Ostendorf Paper product with visual signaling upon use
US20100112320A1 (en) * 2008-05-07 2010-05-06 Ward William Ostendorf Paper product with visual signaling upon use
US8361278B2 (en) 2008-09-16 2013-01-29 Dixie Consumer Products Llc Food wrap base sheet with regenerated cellulose microfiber
DE102011076622A1 (de) * 2011-05-27 2012-11-29 Metso Paper, Inc. Behandlungsvorrichtung für eine faserstoffbahn, insbesondere papier- oder kartonbahn, sowie ein verfahren zum behandeln einer faserstoffbahn
US9404895B2 (en) * 2011-10-20 2016-08-02 Nalco Company Method for early warning chatter detection and asset protection management
US10132042B2 (en) 2015-03-10 2018-11-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ibrous structures
EP3023084B1 (en) 2014-11-18 2020-06-1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and distribution material
US10517775B2 (en) 2014-11-18 2019-12-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distribution materials
US10765570B2 (en) 2014-11-18 2020-09-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distribution materials
USD763583S1 (en) 2015-02-05 2016-08-16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Paper product
CN105369507B (zh) * 2015-10-30 2018-01-02 芜湖华烨工业用布有限公司 工业用布液压柔化装置
US11000428B2 (en) 2016-03-11 2021-05-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ree-dimensional substrate comprising a tissue layer
CA3079845A1 (en) 2017-10-24 2019-05-02 Ecolab Usa Inc. Deposit detection in a paper making system via vibration analysis
CA3064406C (en) 2018-12-10 2023-03-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ibrous structures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181A (en) * 1932-07-29 1935-07-16 Paper Service Co Art of producing multilateral stretchability in paper webs or the like
US3476644A (en) * 1966-01-21 1969-11-04 Cincinnati Ind Inc Method and machine for producing double creped paper
US3812000A (en) * 1971-06-24 1974-05-21 Scott Paper Co Soft,absorbent,fibrous,sheet material formed by avoiding mechanical compression of the elastomer containing fiber furnished until the sheet is at least 80%dry
US3821068A (en) * 1972-10-17 1974-06-28 Scott Paper Co Soft,absorbent,fibrous,sheet material formed by avoiding mechanical compression of the fiber furnish until the sheet is at least 80% dry
CH581748A5 (en) * 1974-08-07 1976-11-15 Escher Wyss Gmbh Paper creping and polishing system - uses heated endless belt in place of heated calenders
GB1502040A (en) * 1975-12-30 1978-02-22 Tampella Oy Ab Method of drying a cardboard or a paper web and drying device for applying this method
US4507173A (en) * 1980-08-29 1985-03-26 James River-Norwalk, Inc. Pattern bonding and creping of fibrous products
US4347100A (en) * 1981-05-21 1982-08-31 The Chemithon Corporation Strength of paper from mechanical or thermomechanical pulp
FR2520770A1 (fr) * 1982-02-03 1983-08-05 Renard Henri Procede et dispositif pour secher en continu les feuilles de papier et de carton
US4440597A (en) * 1982-03-15 1984-04-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t-microcontracted paper and concomitant process
FI63078C (fi) * 1982-04-06 1983-04-11 Tampella Oy Ab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torkning av en pappersbana eller liknande
FI66041C (fi) * 1982-04-06 1984-08-10 Tampella Oy Ab Foerfarande foer torkning av en poroes bana i en laongzonspress
US4529480A (en) * 1983-08-23 1985-07-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issue paper
US4637859A (en) * 1983-08-23 1987-01-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issue paper
US4528239A (en) * 1983-08-23 1985-07-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flection member
US4514345A (en) * 1983-08-23 1985-04-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 foraminous member
FI69141C (fi) * 1984-10-09 1985-12-10 Tampella Oy Ab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torkning av en pappersbana eller liknande
US4849054A (en) * 1985-12-04 1989-07-18 James River-Norwalk, Inc. High bulk, embossed fiber sheet material and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E3705241A1 (de) * 1986-12-24 1988-07-07 Escher Wyss Gmbh Verfahren zur mechanisch-thermischen entwaesserung einer faserstoffbahn
US5277761A (en) * 1991-06-28 1994-01-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ellulosic fibrous structures having at least three regions distinguished by intensive properties
FI78755C (fi) * 1988-01-29 1989-09-11 Tampella Oy Ab Foerfarande foer torkning av en kartong- eller pappersbana.
FI80101C (fi) * 1988-05-18 1990-04-10 Tampella Oy Ab Anordning och foerfarande foer torkning av en fiberbana.
FI80102C (fi) * 1988-07-01 1990-04-10 Tampella Oy Ab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torkning av en fiberbana.
US4919756A (en) * 1988-08-26 1990-04-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ly adjusting doctor blade
CA2083600C (en) * 1990-06-29 1996-11-12 Paul Dennis Trokhan Papermaking bel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ing differential light transmission techniques
US5126015A (en) * 1990-12-12 1992-06-30 James River Corporation Of Virginia Method for simultaneously drying and imprinting moist fibrous webs
DE4216264C2 (de) * 1992-05-16 2000-05-25 Voith Sulzer Papiermasch Gmbh Verfahren zum Trocknen und Auflockern einer Papierbahn
US5336373A (en) * 1992-12-29 1994-08-09 Scott Paper Company Method for making a strong, bulky, absorbent paper sheet using restrained can drying
CA2098326A1 (en) * 1993-03-24 1994-09-25 Steven A. Engel Method for making smooth uncreped throughdried sheets
US5667636A (en) * 1993-03-24 1997-09-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for making smooth uncreped throughdried sheets
US5607551A (en) * 1993-06-24 1997-03-04 Kimberly-Clark Corporation Soft tissue
US5637194A (en) * 1993-12-20 1997-06-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t pressed paper web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795440A (en) * 1993-12-20 1998-08-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wet pressed tissue paper
KR100357846B1 (ko) * 1994-03-24 2003-02-14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열처리된리그닌고함량셀룰로오즈성섬유
US5549790A (en) * 1994-06-29 1996-08-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region paper structures having a transition region interconnecting relatively thinner regions disposed at different elevations, and apparatu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US5814190A (en) * 1994-06-29 1998-09-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making paper web having both bulk and smoothness
FI97485C (fi) * 1995-02-14 1996-12-27 Valmet Corp Kuivauslaite kuiturainan kuivaamiseksi ja paperikoneen kuivausosa
US5858512A (en) * 1995-06-01 1999-01-12 Fort James France Air-laid web formed from a finishing process and web obtained thereby
EP0745717A1 (fr) * 1995-06-01 1996-12-04 Kaysersberg Procédé d'ennoblissement d'une nappe formée par voie sèche et nappe ainsi ennoblie
US6350349B1 (en) * 1996-05-10 2002-02-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for making high bulk wet-pressed tissue
US5938893A (en) * 1997-08-15 1999-08-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ibrous structure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5935381A (en) * 1997-06-06 1999-08-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fferential density cellulosic structure and process for mak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813829A (pt) 2000-10-17
KR20010024774A (ko) 2001-03-26
NO20003183L (no) 2000-08-14
ATE232927T1 (de) 2003-03-15
AR012761A1 (es) 2000-11-08
EP1040224A1 (en) 2000-10-04
CN1285016A (zh) 2001-02-21
TR200002399T2 (tr) 2001-04-20
US6139686A (en) 2000-10-31
ES2190617T3 (es) 2003-08-01
DE69811537D1 (de) 2003-03-27
ID26581A (id) 2001-01-18
PE20000140A1 (es) 2000-04-27
HUP0100457A3 (en) 2001-07-30
CN1109159C (zh) 2003-05-21
CA2315864A1 (en) 1999-07-01
NO20003183D0 (no) 2000-06-19
HUP0100457A2 (hu) 2001-06-28
EP1040224B1 (en) 2003-02-19
IL136863A0 (en) 2001-06-14
AU1821499A (en) 1999-07-12
ZA9811526B (en) 1999-06-21
CA2315864C (en) 2007-09-18
DE69811537T2 (de) 2003-07-24
TW538176B (en) 2003-06-21
JP2001527171A (ja) 2001-12-25
WO1999032716A1 (en) 199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4265B1 (ko) 축소화 종이 웨브 제조 장치 및 방법
US5776307A (en) Method of making wet pressed tissue paper with felts having selected permeabilities
US6051105A (en) Method of wet pressing tissue paper with three felt layers
EP0912801B1 (en) Method of making wet pressed tissue paper
JP2001527171A5 (ko)
EP1017902B1 (en) Differential density cellulosic structure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6701637B2 (en) Systems for tissue dried with metal bands
EP1017904B1 (en) Method of wet pressing tissue paper
JP2001515152A (ja) 繊維状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54340B1 (ko) 연질종이의 제지기 및 제조방법
KR100391795B1 (ko) 텍스쳐링된 연질 종이를 제조하는 제지기계 및 방법
MXPA00006042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foreshortened cellulosic structure
CZ20002477A3 (cs) Způsob a zařízení pro výrobu zhutněné celulózové struktury
MXPA99010533A (en) Method of wet pressing tissue paper with three felt layers
MXPA00010279A (en) Ultrasonically-assisted process for making differential density cellulosic structure containing fluid-latent indigenous polymers
MXPA99011255A (en) Differential density cellulosic structure and process for making same
CZ425998A3 (cs) Způsob výroby hedvábného papíru lisováním za vlhk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