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4059B1 -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4059B1
KR100394059B1 KR10-1998-0053799A KR19980053799A KR100394059B1 KR 100394059 B1 KR100394059 B1 KR 100394059B1 KR 19980053799 A KR19980053799 A KR 19980053799A KR 100394059 B1 KR100394059 B1 KR 100394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tyrene
rubber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8718A (ko
Inventor
성 묵 최
준 수 김
영 고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53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4059B1/ko
Publication of KR20000038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0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변성된 스티렌계 수지 100중량부에 음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물 1.0 내지 3.0중량부,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0.05 내지 1.0중량부, 이산화티탄 0.3 내지 0.7중량부 및 징크-스테아레이트 0.01 내지 0.1중량부를 포함하는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대전방지성이 우수하여 정전기방지가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반도체부품 트레이용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무변성된 스티렌 수지에 음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물, 글리세릴모노 스테아레이트, 이산화티탄 및 징크-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반도체 부품 트레이용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렌 중합체는 경질 투명수지로 무색투명하고 착색이 용이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인 반면에 내충격성이 낮은 결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무상 물질의 존재하에서 스티렌을 중합하여 충격강도를 높인 내충격성 폴리스티렌(HIPS)을 제조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렇게 제조된 고무변성된 스티렌계 수지는 식품용기 및 전기, 전자제품의 부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통상적인 고충격 폴리스티렌 수지의 경우는 대전방지성이 없어 반도체 부품 트레이(Tray)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정전기가 발생하여 먼지가 달라붙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전방지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고무변성된 스티렌 수지에 음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물,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이산화티탄 및 징크-스테아레이트를 첨가함으로써 정전기로 인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고무변성된 스티렌계 수지 100중량부에 음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물 1.0 내지 3.0중량부,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0.05 내지 1.0중량부, 이산화티탄 0.3 내지 0.7중량부 및 징크-스테아레이트 0.01 내지 0.1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무변성된 스티렌계 수지는 모노비닐 방향족 화합물 90 내지 92중량부와 폴리부타디엔계 고무 8 내지 10중량부를 첨가하고 여기에 상온에서 54 내지 76 센티스토크의 점도를 갖는 유동파라핀계 미네랄오일 1.0 내지 2.5중량부 및 산화방지제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triethyleneglycol-bis-3-(3-t-butyl-4-hydroxy-5-methylphenyl)propionate] 0.05 내지 0.1중량부를 투입하여 열에 의한 괴상연속중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중량평균분자량 19 내지 22만의 범위의 것이다
바람직한 모노비닐 방향족 화합물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α-에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부타디엔계 고무는 1,4-cis 함량이 95중량% 이하이며 전제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95중량%의 스티렌 모노머 용액에서 용액점도가 25℃에서 20 내지 80센티포아즈 수준으로 폴리스티렌 상에 분산된 고무상 물질의 평균입경은 1.0 내지 3.0미크론의 분포를 갖는 것이 사용된다.
폴리부타디엔계 고무는 전체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8 내지 10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8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내충격성과 신율이 저하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열성과 강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고무상 물질의 평균입경이 1.0미크론 미만인 경우에는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3.0 미크론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표면광택도가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미네랄오일은 1.0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유동성이 저하되고, 2.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열성이 떨어진다.
최종 중합물의 중량평균분자량은 중합온도, 반응기중량을 조절하여 19만 내지 22만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중량평균분자량이 19만 미만인 경우에는 강성이 떨어지고 22만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동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고무변성된 스티렌계 수지의 중합법으로는 괴상연속중합법으로 중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괴상연속중합법에 의할 경우 대량생산으로 제조원가가 저렴해지고 균일한 물성을 갖는 제품을 생산하기 쉽기 때문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제조된 고무변성된 스티렌계 수지에 첨가되는 음이온계면활성제 혼합물은 황염소화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비누화된 파라핀오릴과 마그네슘염성분으로 되어 있고, 사용량은 1.0 내지 3.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음이온계면활성제 혼합물의 사용량이 1.0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대전방지성(대전압반감기, 표면저항)이 불량해지고, 3.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성형품에 박리현상이 발생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는 55 내지 70℃의 융점 범위 를 갖고 80℃에서 벌크덴시티(bulk density)가 0.890 내지 0.896범위를 갖는 것으로 0.05 내지 1.0중량부가 사용된다.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의 사용량이 0.05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대전방지성이 나빠지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성형물표면에 가스자국이 생겨 바람직하지 못하다.
징크-스테아레이트는 고급지방산의 금속염으로 0.01 내지 0.1중량부가 사용되고, 이산화티탄은 비중이 4.2인 백색분말의 형상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 징크스테아레이트 및 이산화티탄의 함량이 각각 0.01중량부 및 0.3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면 대전방지성이 급격히 저하되고, 0.1중량부 및 0.7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여도 대전방지성은 더 이상 향상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내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를 들어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실시예 : 고무변성된 스티렌계 수지
스티렌 90.5중량부에 폴리부타디엔계 고무 9.5중량부, 상온에서 54 내지 76센티스토크의 점도를 갖는 유동파라핀계 미네랄오일 2.0중량부, 산화방지제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0.05중량부를 투입하여 열에 의한 괴상연속중합법에 의해 중량평균분자량이 21만인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사용된 폴리부타디엔 고무는 1,4-cis 함량이 95중량% 이하이며 전체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95중량%의 스티렌 모노머 용액에서 용액점도가 25℃에서 55센티포아즈 수준인 폴리부타디엔계 고무이고, 폴리스티렌상에 분산된 각 고무상 물질의 평균입경은 2.0미크론의 분포를 가진 것이다.
실시예 1
제조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고무변성된 스티렌계 수지 100중량부,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0중량부, 이산화티탄 0.7중량부, 징크-스테아레이트 0.05중량부를 첨가하여 헨셀믹서에서 10분간 블랜드한 후 온도 190 내지 230℃, 스크류 210rpm 조건하에서 이축혼련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렛화하여 사출성형기로 테스트 시편을 제작한 후 다음의 조건으로 대전방지성을 측정하였다.
대전방지성 평가
(1)대전압반감기 : 온도 23℃, 상대습도 50%, 인가전압 8kv, 인가시간 60초
(2)표면저항 : 온도 23℃, 상대습도 50%, 인가전압 500V, 측정시간 30sec
실시예 2
고무변성된 스티렌 수지 100중량부, 음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물 3.0중량부,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0.05중량부, 이산화티탄 0.3중량부, 징크-스테아레이트 0.01중량부를 첨가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고무변성된 스티렌계 수지 100중량부, 음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물 2.0중량부,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0.5중량부, 이산화티탄 0.5중량부, 징크-스테아레이트 0.1중량부를 첨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고무변성된 스티렌계 수지 100중량부, 음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물 2.0중량부,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0.2중량부, 이산화티탄 0.5중량부를 첨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고무변성된 스티렌계수지 100중량부, 음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물 0.8중량부, 징크-스테아레이트 0.2중량부, 이산화티탄 1.0중량부를 첨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3
고무변성된 스티렌계 수지 100중량부에 음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물 0.5중량부,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1.0중량부, 징크-스테아레이트 0.02중량부를 첨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의 성분 및 물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항 목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고무변성된스티렌계수지 100 100 100 100 100 100
음이온계면활성제혼합물 1.0 3.0 2.0 2.0 0.8 0.5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0 0.05 0.5 0.2 - 1.0
이산화티탄 0.7 0.3 0.5 0.5 1.0 -
징크스테아레이트 0.05 0.01 0.1 - 0.2 0.02
대전방지성(성형3일후) 대전압반감기(초) 2.5초 0.5초 0.5초
표면저항(Ω) 1.7×1011 1.3×1010 1.5×1010 8.5×1014 6.9×1015 7.5×1014
(단위 : 중량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무변성된 스티렌계 수지에 음이온계면활성제,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징크스테아레이트 및 이산화티탄을 첨가한 스티렌계 수지는 대전방지성이 우수하여 정전기방지가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반도체부품 트레이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

  1. 고무변성된 스티렌계 수지 100중량부에 음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물 1.0 내지 3.0중량부,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0.05 내지 1.0중량부, 이산화티탄 0.3 내지 0.7중량부 및 징크-스테아레이트 0.01 내지 0.1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변성된 스티렌계수지는 모노비닐 방향족 화합물 90 내지 92중량부와 폴리부타디엔계 고무 8 내지 10중량부를 첨가하고 여기에 상온에서 54 내지 76 센티스토크의 점도를 갖는 유동파라핀계 미네랄오일 1.0 내지 2.5중량부 및 산화방지제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0.05 내지l 0.1중량부를 투입하여 열에 의한 괴상연속중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중량평균분자량이 19 내지 22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물은 황염소화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비누화된 파라핀오일과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염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1998-0053799A 1998-12-08 1998-12-08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394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799A KR100394059B1 (ko) 1998-12-08 1998-12-08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799A KR100394059B1 (ko) 1998-12-08 1998-12-08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718A KR20000038718A (ko) 2000-07-05
KR100394059B1 true KR100394059B1 (ko) 2003-09-19

Family

ID=19561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799A KR100394059B1 (ko) 1998-12-08 1998-12-08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40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355B1 (ko) * 1998-07-21 2004-03-30 제일모직주식회사 대전방지성과표면광택성이우수한스티렌계열가소성수지조성물
KR100714905B1 (ko) * 2005-12-29 2007-05-04 제일모직주식회사 투명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1592A (en) * 1976-10-29 1978-12-26 The R.C.A. Rubber Company Flame retardant rubber flooring composition
KR970074856A (ko) * 1996-05-22 1997-12-10 유현식 우수한 내충격성과 신율이 조화된 종이질감 특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H1036464A (ja) * 1996-05-24 1998-02-10 Denki Kagaku Kogyo Kk ゴム変性スチレン系樹脂及びその組成物
KR19990005239A (ko) * 1997-06-30 1999-01-25 박홍기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1592A (en) * 1976-10-29 1978-12-26 The R.C.A. Rubber Company Flame retardant rubber flooring composition
KR970074856A (ko) * 1996-05-22 1997-12-10 유현식 우수한 내충격성과 신율이 조화된 종이질감 특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H1036464A (ja) * 1996-05-24 1998-02-10 Denki Kagaku Kogyo Kk ゴム変性スチレン系樹脂及びその組成物
KR19990005239A (ko) * 1997-06-30 1999-01-25 박홍기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718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3493B1 (ko) 침착물형성이감소되는그라프트중합체성형조성물
WO2018099218A1 (zh) 一种聚碳酸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394059B1 (ko)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H1053679A (ja) スチレン重合体組成物
CN109983065B (zh) 含苯乙烯聚合物和润滑剂的热塑性模塑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198732B1 (ko)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413355B1 (ko) 대전방지성과표면광택성이우수한스티렌계열가소성수지조성물
KR100226458B1 (ko)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00011561A (ko) 내스크래치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0524321B1 (ko)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186725B1 (ko) 우수한 내충격성과 신율이 조화된 종이질감 특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2532245A (en) Thermoplastic compositions with reduced flow viscosity
KR20020044387A (ko) 열안정성 및 광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3932362A (en) Amorphous polyamide of C-alkyl substituted diamine and terephthalic acid dialkyl ester having improved electrical creep resistance
US2980640A (en) Polymeric compositions
KR100556619B1 (ko) 가스사출 성형재료로 적합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20020003458A (ko) 내충격성 및 유동성이 개선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H1053680A (ja) スチレン重合体組成物
KR20220045767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0193370B1 (ko) 저광택 고무변성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040058835A (ko)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411088B1 (ko) 내열성과 표면광택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수지조성물
KR20230062042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H11181198A (ja) ポリカーボネート用流動性改質剤および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3390246B2 (ja) 離型性の改善されたゴム変性ポリスチレン樹脂組成物及び該組成物からなる射出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