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4905B1 - 투명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투명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4905B1
KR100714905B1 KR1020050133133A KR20050133133A KR100714905B1 KR 100714905 B1 KR100714905 B1 KR 100714905B1 KR 1020050133133 A KR1020050133133 A KR 1020050133133A KR 20050133133 A KR20050133133 A KR 20050133133A KR 100714905 B1 KR100714905 B1 KR 100714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composition
rubber
saturated fatty
transpar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3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봉재
하두한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3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49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9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투명 ABS 수지 100 중량부; (B) 글리세릴계 포화지방산 0.1∼10 중량부; 및 (C) 미네랄 오일 0.05∼0.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투명 ABS 수지, 글리세릴계 포화지방산, 미네랄 오일, 투명성, 내습성

Description

투명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Good wetproof Property and Transparency}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투명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이하, 투명 ABS 수지)에, 글리세릴계 포화지방산과 미네랄 오일을 혼합함으로써 투명 ABS 수지의 투명성과 내충격성을 유지하면서 내습성과 외관특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ABS 수지는 스티렌의 가공성, 아크릴로니트릴의 강성 및 내약품성, 부타디엔의 내충격성 등 물성강도와 미려한 외관특성으로 인하여 자동차, 전기전자, 사무기기, 가전제품, 완구류 등 다양한 용도에 널리 사용되는 장점이 있으나 불투명한 이유로 용도에 제한을 받고 있는 단점이 있다.
ABS 수지가 불투명한 이유는 연속상인 매트릭스 수지와 분산상인 고무와의 굴절율 차이로 인하여 그 계면에서 빛이 굴절 및 산란하고 고무입자 크기에 따라 가시광선의 파장이 산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ABS 수지에 투명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고무상의 굴절율과 연속상인 매트릭스 수지와의 굴절율을 일치시키고, 사용된 고무입자의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가시광선의 영역에서 빛의 산란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이러한 투명 ABS는 주로 가전제품의 부품 등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그 용도가 기능성 소재로 확장되고 있다. 투명 ABS의 용도가 확장됨에 따라 세탁기 투명창 등 그 성형품의 크기가 커지고 있으며, 투명하다는 특성으로 인하여 사출작업시 미세한 외관의 품질 저하에 대해서도 투명도 저하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이러한 특성의 개선이 요구되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이하, AS 수지)은 내화학성과 성형성이 우수한 반면 충격강도가 낮아 그 용도의 제한이 있고,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충격보강제인 부타디엔 고무를 첨가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부타디엔 충격보강제가 사용되면서 고온, 고속 사출시 고무와 금형간의 마찰에 의한 외관의 흐름자국이 발생하여 육안의 투명도를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고온ㆍ고속 사출시 첨가된 고무의 몰림현상으로 인하여, 외관의 핀홀(pinhole) 현상이 발생되기도 한다. 이러한 작업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금형의 구조변경 등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이 연구중이며, 일부는 상업화 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투명 ABS는 투명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주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첨가하게 되고, 첨가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는 수분과 친화성이 있어, 수분흡수율이 높고, 흡수된 수분으로 인하여 투명도가 떨어지고 기계적 강도가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투명 ABS는 투명하다는 특별한 성질 때문에 가습기 물통이나 세탁기 투명창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수분 흡수성 때문에 투명도가 떨어져 그 확대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투명 ABS 수지에 글리세릴계 포화지방산과 미네랄 오일을 첨가하여, 투명 ABS 수지가 가지고 있는 투명성을 유지하면서도 내습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명성과 내충격성을 유지하면서도 내습성과 외관특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투명 ABS 수지 100 중량부; (B) 글리세릴계 포화지방산 0.1∼10 중량부, (C) 미네랄 오일 0.05∼ 0.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루는 각 성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발명의 구체적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A) 투명 ABS 수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제조에 사용되는 투명 ABS 수지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1 가지 이상의 아크릴계 모노머와 스티렌계 또는 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등과 공중합된 물질로 고무가 첨가된 조성물이다.
상기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는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과 1∼8 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모노히드릴 알코올로부터 얻어진 에스테르류이다.
상기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의 구체 예로는, 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아크릴산 에틸 에스테르, 아크릴산 프로필 에스테르, 아크릴산 부틸 에스테르, 아크릴산 헥실 에스테르, 아크릴산 2-에틸헥실 에스테르 또는 이에 상응하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고, 이들 중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ABS 수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고무로는 폴리부타디엔, 부타디엔-스 티렌 공중합체, 폴리이소프렌,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이소부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아크릴 고무, 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이 있다.
상기 고무성분은 아크릴계 수지에 공중합될 수도 있지만, 스티렌계 또는 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등과 공중합된 후 아크릴계 수지와 블렌딩될 수도 있다. 상기 고무성분은 투명 ABS 수지 중 1∼70 중량%가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와 스티렌계 또는 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는 사용 용도에 따라 2 가지의 모노머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투명 ABS 수지가 투명성을 나타내는 이유는 분산상인 고무의 굴절율에 연속상인 메트릭스 수지의 굴절율을 일치시켜 연속상과 분상상 사이의 계면에서 빛의 산란과 굴절을 최소화시키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ABS 수지에 투명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고무상의 굴절율과 연속상인 메트릭스 수지와의 굴절율을 일치시키고, 사용된 고무입자의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가시광선의 영역에서 빛의 산란을 최소화 하여야 한다. 따라서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와 스티렌계 또는 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는 첨가된 고무의 종류에 따라 그 비율을 적절히 조절하여 고무의 굴절율과 일치시켜야만 우수한 투명도와 충격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투명 ABS 수지(A)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모노머 10∼70 중량%와 스티렌계 모노머 10∼30 중량% 그리고 아크릴로니트릴계 모노머 1∼10 중량%에 고무 10∼50 중량%가 첨가되어 이루어진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모노머는 30∼70 중량%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B) 글리세릴계 포화지방산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제조에 사용되는 글리세릴계 포화지방산은 글리세릴기에 포화지방산이 첨가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글리세릴계에 포화지방산 대신 불포화지방산을 사용할 경우 수지의 자연색상에 변형이 생기고 고온에서 황변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글리세릴계에 포화지방산은 1∼3 개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개이다. 포화지방산이 2 개 이상 사용될 경우 표면의 마찰력 감소는 우수하나, 인체에 해롭다고 알려져 있어 사용하기가 어렵다.
상기 포화지방산의 탄소수는 14∼20 개가 적당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16∼18 개가 적당하다. 탄소수가 14 개 미만일 경우 분자량이 낮아 차가운 금형에서 용출되어 사출시 금형 표면에 자국을 남기는 불량품이 발생할 수 있으며, 20 개를 초과할 경우 수지의 표면으로 용출되는 지방산이 적어 수분흡수성을 개선하기가 어렵다.
상기 글리세릴계 포화지방산은 0.1∼1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글리세릴계 포화지방산을 0.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수지의 외관특성이 좋지 않다. 또한,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표면의 투명도 및 내습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C) 미네랄 오일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제조에 사용되는 미네랄 오일은 사출작업시 수지와 글리세릴계 포화지방산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글리세릴계 포화지방산이 금형과 수지의 활성특성에 도움을 주게 된다.
상기 미네랄 오일은 0.05∼0.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네랄 오일을 0.0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수지의 외관특성이 좋지 않고 0.5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투명 ABS 수지와의 굴절율 차이로 투명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투명 ABS 수지(A) 외에 다른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폴리아세탈,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 에테르케톤), 폴리카보네이트,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는 상기 구성성분 이외에도 상용화제, 염료, 안료, 난연제, 충진제, 안정제, 활제, 항균제 또는 이형제 등의 일반적인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압출기, 반죽기(kneader), 혼합기(mixer) 등을 이용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혼합한 후 여러 가지 성형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사용된 (A) 투명 ABS 수지, (B) 글리세릴계 포화지방산, (C) 미네랄 오일 및 비교실시예에서 사용된 (C′) 실리콘 오일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투명 ABS 수지
실시예에서 사용한 투명 ABS는 제일모직에서 생산한 STAREX 제품 CT-0510T를 사용하였으며, 사용한 투명 ABS의 고무함량은 16%인 것을 사용하였다
(B) 글리세릴계 포화지방산
포화지방산을 1개 포함하는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로 HULS사의 SOFTNEOL 3995를 사용하였다.
(C) 미네랄 오일
극동유화에서 제공하는 미네랄 오일 LP-260F를 사용하였다.
(C′) 실리콘 오일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리콘계 오일은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으로 Shinitsu에서 제공하는 KF-96을 사용하였다.
그 외에 산화방지제로는 Irganox 1076(Ciba), 추가 활제로는 에틸렌 비스-스테아라미드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3
하기 표 1에 나타난 조성의 각 구성 성분의 조성에 따라 혼합하여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을 믹서로 균일하게 혼합시킨 후, 이축 압출기로 압출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하고, 제조된 펠렛으로부터 사출성형에 의해 시험시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실시예 1
(B) 글리세릴계 포화지방산를 투입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실시예 2
(C) 미네랄 오일을 투입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실시예 3
(C) 미네랄 오일 대신 (C') 실리콘 오일을 0.5 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실시예 4
(B) 글리세릴계 포화지방산을 20 중량부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실시예 5
(C) 미네랄 오일의 투입량을 5 중량부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Figure 112005077692662-pat00001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1) 투명성 : 일본 SUGAINSTRUMENT사의 칼라 컴퓨터 측정기기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전광선 투과율과 HAZE로 나타내었다. 시편의 두께는 3.0 mm이다
전광선 투과율 (%) = (시편 투과광)/(시편 조사광) × 100
HAZE (%) = (분산 투과광)/(전광선 투과율) × 100
(2) 수분흡수성 : 제일모직 간이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투명성을 측정하는 시편을 60 ℃, 수분 100%인 항온항습조에서 120 시간 방치 후 시편 표면의 수분을 제거하고 20 ℃, 수분 60%인 항온항습조에서 1 시간 방치하여 상온으로 시편의 온도를 낮춘 후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투명도 (HAZE %)를 측정하였다.
Figure 112005077692662-pat00002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3은 (B) 글리세릴계 포화지방산 또는 (C) 미네랄 오일을 포함하지 않거나, 이들 대신 다른 물질을 포함한 비교실시예 1∼4와 비교하였을 때, 투명성 및 내습성이 뛰어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투명성과 내충격성을 유지하면서도 외관특성과 내습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4)

  1. (A) 투명 ABS 수지 100 중량부;
    (B) 글리세릴계 포화지방산 0.1∼10 중량부; 및
    (C) 미네랄 오일 0.05∼0.5 중량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ABS 수지(A)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모노머 10∼70 중량%와 스티렌계 모노머 10∼30 중량% 그리고 아크릴로니트릴계 모노머 1∼10 중량%에 고무 10∼50 중량%가 첨가되어 이루어진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ABS 수지(A)는 폴리부타디엔,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이소프렌,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이소부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아크릴 고무, 우레탄 고무 또는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고무성분이 투명 ABS 수지 중 1∼70 중량%가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릴계 포화지방산(B)에 포함되는 포화지방산은 1∼3 개이고, 상기 포화지방산의 탄소수가 14∼20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0050133133A 2005-12-29 2005-12-29 투명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714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133A KR100714905B1 (ko) 2005-12-29 2005-12-29 투명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133A KR100714905B1 (ko) 2005-12-29 2005-12-29 투명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4905B1 true KR100714905B1 (ko) 2007-05-04

Family

ID=38269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3133A KR100714905B1 (ko) 2005-12-29 2005-12-29 투명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49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3891A (en) 1981-05-14 1982-12-14 Glyco Inc. Glyceryl monostearate plastic lubricants
KR20000038718A (ko) * 1998-12-08 2000-07-05 유현식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030033236A (ko) * 2001-10-19 2003-05-01 제일모직주식회사 투명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577577B1 (ko) 2004-12-30 2006-05-08 제일모직주식회사 내구성,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3891A (en) 1981-05-14 1982-12-14 Glyco Inc. Glyceryl monostearate plastic lubricants
KR20000038718A (ko) * 1998-12-08 2000-07-05 유현식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030033236A (ko) * 2001-10-19 2003-05-01 제일모직주식회사 투명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577577B1 (ko) 2004-12-30 2006-05-08 제일모직주식회사 내구성,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4971B1 (ko) 내충격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투명 abs 수지 조성물
EP3279257B1 (en) Low gloss asa-based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weatherability and heat resistance
KR10190593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064925A (ko) 고경도 열가소성 투명 abs 수지 조성물
EP3848414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EP3658622B1 (en) Scratch-resistant styrene co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modified organopolysiloxane compounds
KR102007976B1 (ko)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열가소성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090073702A (ko) 내스크래치성과 착색성이 우수한 고내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CN108530822A (zh) 一种高透明abs树脂及其制备方法
CN103740081A (zh) 一种低气味、高抗冲pc/asa共混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983872B1 (ko) 고광택, 고경도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714887B1 (ko) 투명성 및 작업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09679314B (zh) 汽车内饰件用pc/asa塑料及其生产工艺
CN111138823A (zh) 一种降噪永久抗静电聚碳酸酯苯乙烯类树脂合金及其制备方法
KR100714905B1 (ko) 투명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50028216A (ko)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KR20160044876A (ko) 고분자 수지 조성물
CN106009060A (zh) 树脂组合物和树脂成型体
KR100577577B1 (ko) 내구성,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98990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KR101747647B1 (ko) 탈크-프리 지속 내스크래치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그리고 이의 제조방법
CN112251009A (zh) 一种低光泽、永久抗静电聚碳酸酯/苯乙烯类树脂合金及其制备方法
KR100769249B1 (ko) 투명성, 내충격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450110B1 (ko) 진공성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70108516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