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396B1 - 트랙의오버헤드라인을설치하는기계 - Google Patents

트랙의오버헤드라인을설치하는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396B1
KR100392396B1 KR1019960057338A KR19960057338A KR100392396B1 KR 100392396 B1 KR100392396 B1 KR 100392396B1 KR 1019960057338 A KR1019960057338 A KR 1019960057338A KR 19960057338 A KR19960057338 A KR 19960057338A KR 100392396 B1 KR100392396 B1 KR 100392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support
track
overhead lin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7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6362A (ko
Inventor
토이어 조셉
루돌프 그루버 레오폴드
Original Assignee
프란츠 플라세 바흔바우마쉬넨-인두스트리게젤샤프트 엠. 베. 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란츠 플라세 바흔바우마쉬넨-인두스트리게젤샤프트 엠. 베. 하 filed Critical 프란츠 플라세 바흔바우마쉬넨-인두스트리게젤샤프트 엠. 베. 하
Publication of KR970036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6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3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8Manufacturing or repairing trolley lines

Abstract

트랙(4)의 오버헤드 라인(3)의 콘택트 와이어(2) 및 지지 케이블을 설치하는 기계는 온-트랙 차대(車臺)(6)(on-track undercarriage) 위에 지지된 기계프레임(5)으로 장착되고, 콘택트 와이어 혹은 지지 케이블로 구성된다. 수직 조절 드라이브(35) 뿐만 아니라 와이어 드럼으로부터도 풀린 콘택트 와이어(2) 혹은 지지 케이블을 유도하는 가이드 롤러(34)로 구성되는 유도(guiding) 장치(30)는 기계 프레임(5) 위에 배치된다. 유도 장치(30)는 기계의 종, 횡 방향으로 뻗어 있는 선회축(31)에 대해 선회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탑재되고, 상기 선회축(31)에 대해 수직 조절 드라이브와 함께 유도 장치(30)를 선회시키는 선회용 드라이브(27)에 연결된다.

Description

트랙의 오버헤드 라인을 설치하는 기계{A MACHINE FOR INSTALLING AN OVERHEAD LINE OF A TRACK}
본 발명은 온-트랙 차대 위에서 지지된 기계 프레임을 포함하고, 롤업(rolled-up) 콘택트 와이어나 혹은 지지 케이블(supporting cable)을 포함하는 와이어 드럼(wire drum)과, 콘택트 와이어, 혹은 수직 조절 드라이브 뿐만 아니라 와이어 드럼으로 부터도 풀린 지지 케이블을 유도하는 가이드 롤러(guide roller)로 구성되는 유도 장치로 구성되는, 트랙의 오버헤드 라인의 콘택트 와이어 및 지지 케이블의 설치를 위한 기계와 관련된다.
EP-B1-0 416 136과 EP-B1-0 459 537 에 의하면, 이같은 종류의 기계는 트랙의 오버헤드 라인의 콘택트 와이어 및 지지 케이블이 함께 그리고 궁극적인 신장내력(伸長 內力)을 갖고 설치되어질 수 있다는 것에 의하여 공지되어져 있다.
콘택트 와이어 및 지지 케이블은 기계 프레임에 설치된 각각의 와이어 드럼에서 계속적으로 떼어내어지고, 유도 장치에 의하여 최종 설치를 위한 정확한 종, 횡의 지점에 위치되어지기 전에 신장 내력 장치를 통과한다. 유도 장치는 수직 축에 대하여 회전을 위한 기계 프레임에 장치된 수직으로 조절 가능한 지브 기중기(jib crane)으로 구성되고, 그 나머지 끝 부분에서 콘택트 와이어 혹은 지지 케이블을 유도하는 2개의 가이드 롤러가 배열된다. 각각의 가이드 롤러의 포크 모양의 탑재는 오버헤드 라인의 지그재그 모양의 경로에 요구되는 크래인의 횡 선회축의 경과중에 트랙의 종방향에서 뻗어있는 축에 대하여 가이드 롤러의 개별적인 비틀림을 허락하도록 지브 암(jib arm)에 유동적으로 연결된다.
DE-C3-22 11 247에 공개되어 있는, 오버헤드 라인 설치를 위한 또 하나의 기계는 유도 장치 뿐만 아니라 신장 내력 장치가 위치해 있는 레일웨이 트랙(railway track)위의 기계 프레임 모빌위에 탑재된 리프팅 플랫포옴으로 구성된다. 후자는 수직 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조절가능하고 측면으로 선회가능한 리프팅 암으로 구성되며, 기계 프레임에서 수행되는 와이어 드럼으로부터 풀린 콘택트 와이어와 지지 케이블을 위한 가이드 롤러가 그것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다.
AT-B-398 737에 의하여 공지된 다른 기계는 지지 케이블과 콘택트 와이어를 위한 2개의 와이어 드럼을 장착하고 있으며, 분리, 독립된 유도 장치는 각각의 와이어 드럼과 연계되어 있다. 유도 장치는 기계 프레임에 횡으로 선회가능하게 탑재되는 수직으로 조절가능한 지브 암의 모양을 하고, 나머지 끝부분은 각기 와이어를유도하고 고정시키는 장치로 구성된다.
DE-A-20 12 248 은 콘택트 와이어 및 지지 케이블을 위한 각각의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유도 장치를 가지는, 오버헤드 라인의 설치를 위한 기계를 설명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는 기계 프레임에 배열된 망원경 같은 장치에 의해 종, 횡으로 배치되도록 설계된다.
US 4,213,596 혹은 DE-B-526 889 에서는, 기차 모양(train formation)을 형성하도록 작동중인 분리된 트랙 차량 위에 있는 종, 횡으로 조절가능한 유도 장치와 지지 케이블 및 콘택트 와이어를 위해 와이어 드럼을 공급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적인 비용의 감소와 간편한 조작과 함께 오버헤드 라인 설치에 대한 제약없이 설치될 수 있는, 서문에서 기술된 타입의 기계를 만드는 것으로 구성된다.
제1도 :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기계의 측면도.
제2도 :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기계의 평면도.
제3도 : 본 기계의 유도 장치(guiding device)의 확대도
제4도 : 제3도의 화살표 IV에 따른 본 기계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계 2 : 콘택트 와이어
3 : 오버헤드 라인 4 : 트랙
5 : 기계 프레임 6 : 온-트랙 차대
7 : 캡 8 : 접속장치
9 : 모터 10 : 유압장치
11 : 동력 드라이버 12 : 조절장치
13 : 와이어 드럼 14 : 회전축
15 : 캐리지(carriage) 16 : 베어링 블록
17 : 지지 프레임 18 : 글라이드 폴(glide pole)
19 : 조절 드라이브 20 : 지지대
21 : 신장 내력 장치 22 : 편향 롤러(deflection roller)
23 : 축 24 : 브레이크 디스크(brake disk)
25 : 브레이킹 기어 26 : 수평 축
27 : 선회용 드라이브 28 : 브래킷(bracket)
29 : 샤프트 30 : 유도 장치
31 : 선회축 32 : 망원 튜브(telescoping tube)
33 : 탑재 지지대(mounting support) 34 : 가이드 롤러
35 : 수직 조절 드라이브 36 : 크레인(crane)
37 : 포크(fork) 39 : 유압 모터
이러한 목적은, 유도 장치가 기계의 종, 횡 방향으로 뻗어있는 선회축에 대하여 선회할 수 있도록 탑재되고, 상기 선회축에 대하여 수직 조절 드라이브와 함께 유도 장치를 선회시키는 선회축 드라이브에 연결된다는 것을 내용으로 서문에서 특정화되었던 기계에 의해 달성된다.
유도 장치의 그와 같은 설계는 단순화된 구조장치의 도움으로 콘택트 와이어가 종, 횡으로 가장 정확한 위치에 설치될 가능성을 제공한다. 수평 선회축에 대한회전은 트랙에 관하여 가이드 롤러의 측면 배치를 초래하고, 이로 인해 가이드 롤러의 수직 배치와 연계된 어떠한 문제도 없이 설치된 콘택트 와이어의 지그재그 패턴이 얻어질 수 있다. 긴 수명, 낮은 마모와 더불어 구조상으로 단순한 구성으로 인해 또한 드라이버가 복잡하지 않고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된다. 청구항 제2항 및 제3항에 의한 특성들과 함께, 가이드 롤러에 관해 콘택트 와이어의 정확하고 통일된 정렬이 보증되고, 그리하여 와이어가 가이드 롤러로부터 측면으로 벗겨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추가적인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여러 장점들은 명세서와 종속항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또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제1도와 제2도에 있어서, 트랙(4)의 오버헤드 라인(3)의 콘택트 와이어(2)(혹은 요구될 경우, 지지 케이블)를 설치하는 기계(1)가 나타나 있다. 기계(1)는 2개의 온-트랙 차대(6)를 경유하여 트랙(4)에 지지되고 각각의 수직 끝 부분에 구동 혹은 작업 캡(7) 및 기차 모양으로 통합하기 위한 접속장치(8)를 가지는 기계프레임(5)으로 구성된다. 모터(9) 및 유압장치(10)는 에너지를 기계(1)의 동력드라이버(11)와, 조절장치(12)에 의해 원격 조절되는 모든 드라이버들에 공급하기 위해 제공되어진다. 기계는 또한 종, 횡으로 선회 가능한 크레인(36)을 갖추고 있다.
설치되어질 콘택트 와이어(2)는 수평 선회축(14)에 대한 회전을 위해 탑재되고 베어링 블록(16)에 의해 캐리지(carriage)(15) 위에서 기계의 횡방향으로 뻗어있는 와이어 드럼(13)위에 감겨진다. 캐리지(15)는 지지 프레임(17)위에 탑재되고, 조절 드라이브(19)에 의해 글라이드 폴(18) 위에서 기계의 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 드럼(13)과 함께 지지 프레임(17)은 기계의 종방향에서 와이어 드럼(13)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2개의 편향 롤러(22)에 의해 형성되는 신장 내력 장치(21)이다. 베어링 블록(16)에 의해 지지 프레임(17)에 단단히 고정되는 상기 편향 롤러(22)는 회전축(14)에 평행하게 뻗어있는 축(23)에 대해 회전가능하고, 상기 롤러중 하나는 브레이크 디스크(24)가 장착되고 브레이킹 기어(25)가 그 위에서 작동한다. 일정한 신장 내력을 항상 유지하기 위하여 편향 롤러(22)가 유압 모터(39)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제3도, 제4도에서 보다 명확해지듯이, 지지 프레임(17)은 2개의 지지대(20)에 의해 2개의 캡(cab)(7) 사이의 구역에 있는 기계 프레임(5)에 연결되고, 기계의 종방향으로 뻗어있는 수평 축(26)에 대해 선회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대위에 탑재된다. 와이어 드럼(13)에 인접한 지지 프레임(17)의 끝에서 상기 수평축(26)은 지지대(20)와 기계의 종방향으로 지지대(20)로부터 떨어져 있는 브래킷(28)위에 탑재된 샤프트(29)에 의해 형성되어지고, 또한 기계 프레임(5)위에 탑재되며, 지지 프레임(17)은 요람과 같은 방식으로 흔들기 위해 샤프트(29)위에 단단히 고정된다.
지지 프레임(17) 반대편의 지지대(20)의 한쪽면에서 기계의 종방향으로 뻗어 있는 샤프트(29)는 상기 지지대(20) 너머로 사출하고 샤프트(29)와 견고하게 연결된 유도 장치(30)를 탑재하도록 도와준다. 그리하여 지지대(20)에 의해 경계가 지어진 기계 프레임(5)의 종방향 부분의 외곽에 배열되는 유도 장치(30)는 기계의종, 횡방향으로 뻗어있는 선회축(31)에 대하여 선회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지지 프레임(17)의 수평 축(26)과 동축으로 되게 배열된다. 샤프트(29)에 의해 지지 프레임(17)과 함께 유도 장치(30)를 선회시키기 위하여 한쪽은 지지 프레임(17)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브래킷(28)에 연결되는 2개의 선회용 드라이브(27)가 제공된다.
유도 장치(30)는 서로의 내부에 동축으로 배치된 다수의 망원 튜브(32)로부터 형성되고 수직으로 배열된다. 최외각의 망원 튜브(32)는 선회축(31)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고 더 높이 배치된 구역(38)에 있는 탑재 지지대(33)에 단단히 고정되고, 탑재 지지대(33)는 샤프트(29)와 지지 프레임(17)에 연결된다. 와이어 드럼(13)으로부터 풀린 콘택트 와이어(2)를 유도하고 신장 내력 장치(21)에 의해 예비-선택 가능한 신장 내력하에 설정되는 가이드 롤러(34)는 포크(37)위의 가장 안쪽의 망원 튜브(32)의 상부 끝부분에 배열된다. 망원 튜브(32)는 수직으로 배열 가능하고, 가이드 롤러(34)는 먼곳가지 보이게 신장(伸長) 가능하고 또한 포크(37)에 연결되는 수직 조절 드라이브(35)에 의해 수직으로 조절되도록 설계된다.
유도 장치(30)의 가이드 롤러(34)는 롤러의 홈속에 삽입된 콘택트 와이어(2)가 최종 탑재(제1도의 모스 부호선 참조)를 위한 정확한 높이에 배치될 때까지 수직 조절 드라이브(35)에 의해 수직으로 배치된다. 기계(1)가 계속 전방으로 진행하는 동안에 콘택트 와이어(2)가 설치되고, 와이어는 신장 내력 장치(21)에 의해 예비-선택된 궁극적인 설치 장력하에 영구히 보존된다. 콘택트 와이어(2)가 반드시 설치되어져야 하는 바람직한 지그재그형 길을 만들기 위하여 수직 조절드라이브(35)와 함께 그위에 탑재된 지지 프레임(17) 및 유도 장치(30)는 선회용 드라이브(27)(제4도 맨 윗부분의 모스 부호선 참조)에 의해 선회축(31)에 대해 회전되어진다. 그로부터 동시에, 그리고 각기 와이어 드럼(13)을 갖춘 캐리지(15)가 신장 내력 장치(21)와 나란히 와이어 드럼(13)으로부터 풀린 콘택트 와이어(2)를 정렬하기 위하여 조절 드라이브(19)에 의해 기계의 횡방향으로 지지 프레임(17)위에 배치된다. 텅빈 와이어 드럼(13)을 가득한 와이어 드럼으로 교환하는 것은 크레인(36)의 도움을 받아 이루어진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콘택트 와이어(2)의 유도 가능성과는 별개로, 콘택트 와이어를 아래로부터 가이드 롤러(34) 위로 인도하는 것과, 콘택트 와이어를 정반대 이동방향에 설치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며, 기계(1)를 회전시킬 필요가 없고, 동력 드라이브(11)를 단지 반대 방향으로 가동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에 소개되지는 않았지만, 본 기계의 다른 구체화는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당연히 실행 가능하다. 예를 들면, 유도 장치(30)는 2개의 지지대(20) 사이의 구역에서 지지 프레임(17)에 직접 단단히 고정되거나, 혹은 기계 프레임(5)에 단단히 고정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콘택트 와이어(2) 및 지지 케이블이 동시에 설치되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수직방향에 대하여 서로의 위에 배열된 2개의 가이드 롤러(34)를 유도장치(30)에 장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Claims (8)

  1. 온-트랙 차대(6) 위에 지지된 기계 프레임(5)을 포함하고 롤-업 콘택트 와이어(2) 혹은 지지 케이블을 함유하고, 수직 조절 드라이브(35) 뿐만 아니라 와이어 드럼(13)으로부터도 풀린 콘택트 와이어(2) 혹은 지지 케이블을 유도하는 가이드 롤러 (34)로 구성되며,
    유도 장치(30)는 기계의 종, 횡 방향으로 뻗어있는 선회축(31)에 대하여 선회될 수 있도록 탑재되고, 상기 선회축(31)에 대하여 수직 조절 드라이버(35)와 함께 유도 장치(30)를 선회시키는 선회용 드라이버(27)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4)의 오버헤드 라인(3)의 콘택트 와이어(2) 및 지지 케이블을 설치하는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와이어 드럼(13)은 기계의 종, 횡 방향으로 뻗어있는 수평 축(26)에 대하여 선회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기계 프레임(5)위에 탑재되는 지지 프레임(17)위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4)의 오버헤드 라인(3)의 콘택트 와이어(2) 및 지지 케이블을 설치하는 기계.
  3. 제1항에 있어서,
    유도 장치(30)는 지지 프레임(17)위에 탑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4)의오버헤드 라인(3)의 콘택트 와이어(2) 및 지지 케이블을 설치하는 기계.
  4. 제1항에 있어서,
    유도 장치(30)의 선회축(31)과 지지 프레임(17)의 수평 축(26)은 동축으로 설계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4)의 오버헤드 라인(3)의 콘택트 와이어(2) 및 지지케이블을 설치하는 기계.
  5. 제1항에 있어서,
    콘택트 와이어(2) 혹은 지지 케이블을 유도 장치(30)의 가이드 롤러(34) 위로 풀기 위하여 2개의 편향 롤러(22)에 의해 형성된 신장 내력 장치(21)는 예비-선택가능한 신장 압력을 콘택트 와이어(2) 혹은 지지 케이블에 전하기 위해 배열되고, 지지 프레임(17)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4)의 오버헤드 라인(3)의 콘택트 와이어(2) 및 지지 케이블을 설치하는 기계.
  6. 제1항에 있어서,
    유도 장치(30)는 서로의 내부에 동축으로 배치되고 수직 조절 드라이브(35)에 의해 수직으로 배치 가능한 다수의 망원 튜브(32)로부터 형성되고, 가이드 롤러(34)는 가장 안쪽의 망원 튜브(32)의 상부 끝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4)의 오버헤드 라인(3)의 콘택트 와이어(2) 및 지지 케이블을 설치하는 기계.
  7. 제6항에 있어서,
    유도 장치(30)의 최외각의 망원 튜브(32)는 선회축(31)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고 더 높은 곳에 있는 구역에서 지지 프레임(17)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4)의 오버헤드 라인(3)의 콘택트 와이어(2) 및 지지 케이블을 설치하는 기계.
  8. 제1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도 장치(30)는 기계 프레임(5)과 지지 프레임(17)에 연결된 지지대(20)에 의해 경계지워진 수직 부분의 외부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4)의 오버헤드 라인(3)의 콘택트 와이어(2) 및 지지 케이블을 설치하는 기계.
KR1019960057338A 1995-12-01 1996-11-26 트랙의오버헤드라인을설치하는기계 KR1003923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1968/95 1995-12-01
AT196895 1995-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362A KR970036362A (ko) 1997-07-22
KR100392396B1 true KR100392396B1 (ko) 2003-10-10

Family

ID=3524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7338A KR100392396B1 (ko) 1995-12-01 1996-11-26 트랙의오버헤드라인을설치하는기계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5826860A (ko)
EP (1) EP0776780B1 (ko)
JP (1) JP3761265B2 (ko)
KR (1) KR100392396B1 (ko)
CN (1) CN1046668C (ko)
AT (1) ATE178843T1 (ko)
AU (1) AU704968B2 (ko)
CA (1) CA2191681C (ko)
CZ (1) CZ333696A3 (ko)
DE (1) DE59601653D1 (ko)
DK (1) DK0776780T3 (ko)
ES (1) ES2132868T3 (ko)
PL (1) PL181360B1 (ko)
RU (1) RU2114747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A140697A (de) * 1997-08-21 1999-01-15 Plasser Bahnbaumasch Franz Maschine zum verlegen eines fahrdrahtes
FR2773345B1 (fr) * 1998-01-05 2000-03-03 Geismar Ancien Ets L Systeme de deroulage et de pose de fils tels que notamment de cables d'alimentation catenaires
AT4675U3 (de) * 2001-05-11 2002-07-25 Plasser Bahnbaumasch Franz Verfahren zur verlegung einer elektrischen fahrleitung sowie maschine
DE10138294C5 (de) * 2001-08-10 2006-09-28 Db Netz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wechseln eines Fahrdrahtes an einer Oberleitung
AT6149U1 (de) * 2002-04-24 2003-05-26 Plasser Bahnbaumasch Franz Maschine zum verlegen einer fahrleitung
AT6083U3 (de) * 2002-10-17 2004-07-26 Plasser Bahnbaumasch Franz Verfahren zum verlegen eines fahrleitungsseiles und maschine
AT413204B (de) * 2004-05-27 2005-12-15 Plasser Bahnbaumasch Franz Maschine zum verlegen eines fahrdrahtes und/oder eines tragseiles einer oberleitung
US8608133B2 (en) * 2010-03-25 2013-12-17 United States Holdings, Llc Communication installation support tool for tunnels and subways
JP5536946B1 (ja) * 2013-10-31 2014-07-02 株式会社フジクラ ケーブルドラム用積載具、ケーブルドラム積載体、およびケーブルドラムの積載方法
US10173875B2 (en) * 2015-10-13 2019-01-08 Mass Electric Construction Co. Platform truck for catenary wire installation and method of use
IT201600082789A1 (it) * 2016-08-05 2018-02-05 Tesmec Spa Sistema di posizionamento automatico di una catenaria ferroviaria
CN110165604B (zh) * 2019-06-06 2023-11-24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高低压电线辅助铺架装置及其使用方法
CN112158669B (zh) * 2020-09-28 2022-11-25 大唐巩义发电有限责任公司 一种电力电缆施工导向架
CN112722991B (zh) * 2021-02-01 2022-12-09 国网甘肃省电力公司白银供电公司 一种电力施工使用的线缆输送保护装置
CN112707231A (zh) * 2021-03-26 2021-04-27 国网山东省电力公司潍坊市寒亭区供电公司 一种电缆安装用提升装置及使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3596A (en) * 1978-10-30 1980-07-22 Fuji Jokogyo Kabushiki Kaisha Wheeled, overhead wire installing apparatus
EP0416136A1 (de) * 1988-10-14 1991-03-13 Franz Plasser Bahnbaumaschinen-Industriegesellschaft m.b.H. Gleisverfahrbare Maschine zum Verlegen des Fahrdrahtes und/oder des Tragseiles einer Gleis-Oberleitung
JPH071998A (ja) * 1992-04-01 1995-01-06 East Japan Railway Co 電車線ハンガイヤの自動着脱装置
WO1995019895A1 (de) * 1994-01-21 1995-07-27 Elin Energieversorgung Gmbh Einrichtung zum verlegen eines drahtes, seiles oder dgl.
JPH07266935A (ja) * 1994-03-31 1995-10-17 East Japan Railway Co トロリ線摩耗切削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26889C (de) * 1928-12-31 1931-06-11 Anonima Elettrificazione Soc Einrichtung zur Verlegung elektrischer Leitungen
US3319935A (en) * 1965-08-12 1967-05-16 Telsta Corp Apparatus for lashing and placing aerial cable and strand
US3458152A (en) * 1966-12-23 1969-07-29 Byron F Barkley Cable-dispensing support for conductor-cable reels
DE2012248A1 (de) * 1970-03-14 1971-10-07 Licentia Gmbh Montage von Fahrdrahten
GB1379791A (en) * 1971-03-11 1975-01-08 Japan National Railway Isntallation of overhead conductor wires of railways
AT398737B (de) * 1991-03-05 1995-01-25 Elin Energieversorgung Einrichtung zum verlegen eines drahtes, seiles oder dg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3596A (en) * 1978-10-30 1980-07-22 Fuji Jokogyo Kabushiki Kaisha Wheeled, overhead wire installing apparatus
EP0416136A1 (de) * 1988-10-14 1991-03-13 Franz Plasser Bahnbaumaschinen-Industriegesellschaft m.b.H. Gleisverfahrbare Maschine zum Verlegen des Fahrdrahtes und/oder des Tragseiles einer Gleis-Oberleitung
EP0459537A2 (de) * 1988-10-14 1991-12-04 Franz Plasser Bahnbaumaschinen-Industriegesellschaft m.b.H. Gleisverfahrbare Maschine zum Verlegen des Fahrdrahtes und/oder des Tragseiles einer Gleis-Oberleitung
JPH071998A (ja) * 1992-04-01 1995-01-06 East Japan Railway Co 電車線ハンガイヤの自動着脱装置
WO1995019895A1 (de) * 1994-01-21 1995-07-27 Elin Energieversorgung Gmbh Einrichtung zum verlegen eines drahtes, seiles oder dgl.
JPH07266935A (ja) * 1994-03-31 1995-10-17 East Japan Railway Co トロリ線摩耗切削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362A (ko) 1997-07-22
PL181360B1 (pl) 2001-07-31
JP3761265B2 (ja) 2006-03-29
PL317220A1 (en) 1997-06-09
DE59601653D1 (de) 1999-05-20
DK0776780T3 (da) 1999-10-25
EP0776780A1 (de) 1997-06-04
CZ283218B6 (cs) 1998-02-18
US5826860A (en) 1998-10-27
EP0776780B1 (de) 1999-04-14
CA2191681A1 (en) 1997-06-02
ES2132868T3 (es) 1999-08-16
CZ333696A3 (cs) 1998-02-18
CN1046668C (zh) 1999-11-24
JPH09175235A (ja) 1997-07-08
ATE178843T1 (de) 1999-04-15
CN1154925A (zh) 1997-07-23
CA2191681C (en) 2004-01-06
RU2114747C1 (ru) 1998-07-10
AU7406096A (en) 1997-06-05
AU704968B2 (en) 199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2396B1 (ko) 트랙의오버헤드라인을설치하는기계
US5048797A (en) Self-propelled machine and method for laying a catenary and/or a contact wire of an overhead line
AU738510B2 (en) A machine for installing a contact wire
KR100485254B1 (ko) 가공선의접선을설치하기위한기계
AU751724B2 (en) A machine for installing a contact wire of an overhead line
CN1042713C (zh) 连续架设接触网导线用的机械
PL191769B1 (pl) Maszyna przejezdna po torze do rozmieszczania, określanego ogólnie jako lina, przewodu jezdnego względnie liny nośnej elektrycznego przewodu napowietrznego toru
CZ292514B6 (cs) Stroj pro montáž trolejového vedení
HUT76630A (en) Wire lay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