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332B1 - 진공청소기용집진백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집진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332B1
KR100392332B1 KR1019960702916A KR19960702916A KR100392332B1 KR 100392332 B1 KR100392332 B1 KR 100392332B1 KR 1019960702916 A KR1019960702916 A KR 1019960702916A KR 19960702916 A KR19960702916 A KR 19960702916A KR 100392332 B1 KR100392332 B1 KR 100392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ealing member
dust
bag
moun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2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6311A (ko
Inventor
게르만 붐
스테판 페터 디에돈네
루드거 헬메스
스테판 크라우트라인코버
바스티안 슐틴크
랄프 사우어
Original Assignee
포베르크 운트 컴파니 인터홀딩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9934341248 external-priority patent/DE4341248C2/de
Priority claimed from DE4434935A external-priority patent/DE4434935B4/de
Application filed by 포베르크 운트 컴파니 인터홀딩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포베르크 운트 컴파니 인터홀딩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60706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6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3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 A47L9/1436Connecting plates, e.g. collars, end closures
    • A47L9/1445Connecting plates, e.g. collars, end closures with closur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먼지주머니(37)에 접착될 수 있고 또한 진공청소기(1)의 흡입튜브(진공접속기(18)를 위한 밀봉 가능한 개구(19)를 가지는 판지로 만들어진 착설판(16)을 가지는 진공청소기(1)용 집진백(8)에 관한 것으로, 개구(19)는 개방위치에서 밀폐위치로 두 층(38, 40)사이를 활주 할 수 있는 독립된 밀폐부재(V)로 밀폐될 수 있다. 취급을 보다 간단히 하기 위하여 밀폐부재(V)가 개방위치와 밀폐위치에서 착설판(16)의 외측 형상내에 완전히 수용되고 또한 밀폐부재(V)가 개구(19)로 부터 분리된 최상부층(38)의 요(57)내에 노출되게 놓이고, 요구(57)의 길이방향 범위가 밀폐부재(V)와 같게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집진백
본 발명은 판지(板紙)(card-paper)로 구성된 착설판을 가진 진공청소기용 집진백(dust filter bag)에 관한 것으로, 먼지주머니는 아교 같은 것으로 착설판에 고정되고, 착설판은 진공청소기 흡입튜브를 위해 개폐식으로 밀폐될 수 있는 개구를 가지고 있으며, 개구는 개방위치에서 밀폐위치로 이동가능한 별도의 밀폐부재로 밀폐될 수 있고, 밀폐부재는 두 층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집진백은 독일특허출원 제 2407478호에 의해서 공지되어 있다. 집진백이 도시된 상기문헌에서, 진공청소기 흡인튜브를 위한 개구는 절첩식 종이스트립으로 밀폐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절첩식 종이스트립은 판지로 구성된 두 층 사이에 위치되는데, 스트립의 일측단부는 절첩부의 하부 고정층에 아교 같은 것으로 고정되고 타측의 단부는 파지부를 형성하도록 상기층들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두 층은 진공청소기 흡입튜브를 위한 원형 개구를 갖고 있다. 종이스트립 역시 원형 개구를 갖고 있는데, 이 개구는 집진백의 개방위치에서 하부 고정층 개구와 축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정렬되어 있다. 집진백 개구를 밀폐하려면, 종이스트립의 단부가 외방으로 인출되는 한편 절첩된 스트립이 부분적으로 이격되어야 한다. 이처럼 종이스트립의 개구는 두 고정층의 개구로부터 멀어지고, 이에 의해 집진백 개구가 밀폐된다. 이때 이미 밀폐된 집진백이 종이스트립의 역이동으로 재개방될 가능성은 그 구성상 있을 수 없다. 개구의 의도하지 않았던 밀폐후 집진백의 재사용은 두 고정층 개구영역의 종이스트립을 파손시킬 염려가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 2864462호에서는 집진백이 개폐식으로 밀폐될 수 있는 개구를 갖는 착설판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역시 밀폐스트립은 두 고정층사이에 위치하되 집진백은 하부고정층에 고정된다. 밀폐스트립은 두층의 전 길이를 지나 종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진공청소기 흡입튜브용 개구의 개방위치에서 밀폐스트립의 또 다른 개구가 두 고정층 개구와 측방향으로 연통되어 있다. 흡입튜브 개구의 밀폐를 위해서, 원주둘레로 개방된 요구(recess)가 상부층에 형성되어 있고 이를 통해 밀폐스트립이 파지된다. 흡입튜브를 위한 집진백 개구의 밀폐를 위해서는, 먼저 최상부층 요구내로 돌출하는 밀폐스트립 영역이 파지되고, 밀폐스트립 개구가 두 고정층 영역을 벗어나기어 충분할 정도로 두 고정층영역 밖으로 인출된다.
상기의 두 공지된 방식에서, 밀폐스트립은 집진백의 밀폐위치에서 각 착설판 형상에 상응하게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취급이 편리한 진공청소기용 집진액을 제공하는 것이다.
진공청소기용 집진백이 제공되되, 진공청소기 흡입튜브를 위한 착설판 영역의 집진백 개구는 밀폐부재에 의해 밀폐 및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밀폐부재는 두 양단위치의 어디에서도 또한 임의 중간위치에서도 착설판 외측변부 밖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이것은 밀폐부재가 개방 및 밀폐위치에서 착설판 외측 형상내에 완전히 수용되며 최상부층 요구내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달성되며, 상기 요구는 개구로부터 이격되있고 밀폐부재 이동경로에 상응하는 종방향 칫수를 갖는다.이때 착설판에 적어도 3개의 판지층이 고정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일층은 개방위치에서 밀폐부재를 위한 지지부를 제공한다. 밀폐부재는 밀폐 및 개방위치에서 착설판 외측형상내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는 칫수를 갖는다. 이것은, 예를 들면, 밀폐부재가 손잡이 달린 착설판의 개구에 맞는 밀폐면을 갖도록 함으로써 달성되며, 상기 밀폐면은 착설판 개구로 이동하여 개구를 밀폐한다. 이때 최단 이동경로는 착설판 개구직경에 해당한다.
실수로 밀폐된 집진백의 재개방을 위해서는, 밀폐부재를 적어도 진공청소기 흡입튜브가 인입되기에 충분할 정도로 밀폐면이 착설판 개구영역을 벗어나게 이동시킨다. 이를 위한 밀폐부재 크기는 상기 이동이 착설판 외측형상내에서 달성되도록 선택된다. 밀폐부재의 신뢰성 있는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 적어도 세개의 판지가 착설판에 고정배열되되 하나는 밀폐부재를 위한 전표면적 지지부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밀폐부재를 위한 전표면적 지지부는 밀폐 및 개방위치 모두에서 제공되도록 배열된다. 전표면적 지지부로부터의 변형으로, 마찰이 감소되는 관점에서 추천될 수 있는 형상지지부(contoured support)가 제공될 수 있다. 밀폐부재의 취급편리성을 개선하기 위해 밀폐부재는 최상부층 요구내에 노출되며, 이 요구는 개구로부터 이격되 있고 종방향 칫수는 밀폐부재 이동경로에 상응한다. 최상부층 요구의 밀폐부재의 노출영역은 이 때문에 손잡이 역할을 한다. 이 영역은 진공청소기의 개방 또는 밀폐작동시 기계적으로 파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으로 파지될 수 있다.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착설판 구성은 상기판이 세고정층으로 구성되되 중앙층이 밀폐부재 수용을 위한 요구를 갖도록 선책되는 것이 바람직한다. 따라서 요구폭은 밀폐부재 폭에 상응한다. 한편 요구길이는 밀폐부재 길이와 적어도 밀폐될 개구직경에 상응하는 밀폐부재 이동경로의 함으로부터 얻어진다. 밀폐부재를 수용하는 중앙층은 네개의 측부 모두를 밀폐한 프레임 형상일 수 있다. 최하부층은 이런 열결로 밀폐부재를 위한 전표면적 지지부를 형성한다.
흡입튜브의 입구에 착설판 개구를 밀봉식으로 밀폐하기 위해 최하부층 아래에 또다른 층이 제공되되, 두 층사이로 밀봉부가 개구영역으로 삽입된다. 이렇게 제공되는 진공청소기용 밀폐가능 집진백은 취급면에서 최적화된다. 밀폐부재는 밀폐 및 개방위치에서 착설판 외측형상 내에 완전히 수용된다. 두 양단부위치 또는 임의 중간위치에서도, 밀폐부재의 어느부분도 착설판 외측형상 외방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착설판 외측형상 밖으로 돌출하는 밀폐부재를 위한 자유공간이 집진백 착설판의 수용영역에 제공되지 않는 신규 진공청소기가 제공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집진백은 상기 종류의 어떤 진공청소기에도 삽입될 수 있으며 진공청소기의 밀폐 또는 개방과정에서 기계적으로 개방 또는 밀폐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밀폐부재 이동경로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밀폐부재 변부가 착설판 변부영역까지 또는 그 너머로 연장된다. 이 구성은 진공청소기로부터 집진백 인출을 위한 착설판 파지를 위해 착설판 요구변부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요구의 변부영역에서, 밀폐부재 변부는 요구 변부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동경로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밀폐부재가 파지부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밀폐부재 변부가 요구변부 영역에서 외측형상너머로 연장될 가능성이 있게 된다. 첫번째로, 밀폐부재 변부가 십분의 수 밀리미터 정도의 작은 범위까지만 요구변부를지나 연장된다. 두번째로, 그 범위가 수 밀리미터 또는 센티미터 범위가 될 수 있다. 이때 특히 별도의 이동돌출부가 밀폐부재 측방에 제공되는 것도 가능한 방법이 될 수 있다. 기계적 결점이 존재한다면, 밀폐부재 이동을 위한 다른 가능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밀폐부재는 두 고정된 층사이에 설치되되, 측방안내는 두 고정된 층사이에 배치된 플랜지에 의해 달성된다. 플랜지에 밀폐부재의 개방 및 폐쇄위치를 지시하는 다른 접촉부가 제공될 수 있다. 밀폐부재는 평면이 말벌허리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스페이드 손잡이(spade handle)는 밀폐부재 작동부를 형성한다. 밀폐부재의 측방지지는 두 고정된 층 사이의 또 다른 층에 의해 얻어지는데, 이 층은 일측변부에만 제공되며 스페이드형상 밀폐부재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스페이드 손잡이에서 밀폐부재 밀폐면까지의 영역에, 개방위치에서, 측방지지를 제공하는 프레임형상층의 정지변부에 결합하는 접촉변부가 단면이 스페이드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밀폐 위치에서, 스페이드 손잡이에 대향하는 밀폐부재 주연부는 상기 변부를 제공하는 층의 해당영역과 결합한다.
최적의 취급을 보장하기 위해, 스페이드 손잡이는 요구와 연관된다. 언급한 바와 같이, 요구의 종방향 길이는 밀폐부재 이동경로에 상응한다. 요구의 폭은 적어도 밀폐부재 스페이드 손잡이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스페이드 손잡이가 요구보다 더 큰 폭을 가질 수도 있다. 스페이드 손잡이 일측 또는 양측이 요구변부와 접촉하도록 이동한다. 요구영역에서, 작동부를 제공하는 스페이드 손잡이는 손으로 파지되거나 기계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스페이드 손잡이에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돌출부는 스페이드 손잡이 단부에 제공된 비후부(thickenedportion)이거나 요구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돌출부는 스페이드 손잡이가 절첩될 수 있는 부분을 갖도록 선택된다. 이 부분은 간단하게 손으로 파지될 수 있다. 절첩부 영역에 기계작동부를 가질 수 있다. 두 절첩부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집진백을 갖되, 집진백이 흡입튜브용 개구가 있는 착설판을 가지며, 착설판은 진공청소기 개방중 밀폐위치로 자동이동가능한 밀폐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구성은 상기한 미국특허 제 2864462호에 의해서 공지되있다. 여기에서 집진백은 진공청소기의 작동돌출부가 밀폐부재 단부의 요구와 결합하도록 삽입된다. 작동돌출부에 의해 착설판의 밀폐부재는 진공청소기 개방중 밀폐위치로 자동 이동된다. 밀폐부재는 진공청소기 밀폐중 집진백용 착설판 개구가 노출될 수 있도록 작동돌출부에 의해 작동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작동돌출부는 연장부방향으로 스프링 탄지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작동돌출부는 집진백을 적재한 진공청소기 부분의 회전축과 다른 진공 청소기의 밀폐부재사이에 좁은 반경을 갖는 그런 진공청소기에도 사용가능한다. 이런 좁은 반경의 경우, 작동돌출부가 밀폐부재 또는 접촉부와 결합후 회전운동에 따라 변형될 필요가 있다. 특히 돌출부자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해 작동돌출부 적재부를 계속 회전시키는 것은 압입(특히 드래그덮개, 후술됨)에 의해 달성되며, 작동돌출부와 집진백사이의 결합각이 이렇게 변화될 수 있어서 돌출부자체의 끼임은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는다.
작동돌출부의 탄성은 집진백을 진공청소기 위치내로 선회시키는 도중 길이방향으로 작동돌출부가 단축될 수 있도록 한다. 작동돌출부의 스프링탄지 구성은 흡입튜브의 개구를 밀폐하는 장치없이 집진백이 사용될 때 특히 유리하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작동돌출부는 드레그덮개(drag cover)에 형성된다. 이러한 드래그덮개는 특히 집진백이 뒤집혀 위치되는 진공청소기에서 유리하다. 이때 집진백 인출을 위해 집진백 챔버는 드래그덮개와 함께 회전된다. 뒤이어 챔버가 개방되는데, 이를 위해 드래그덮개는 집진백이 노출되도록 회전된다. 드래그덮개에 제공된 작동돌출부는 흡입튜브를 위한 착설판 개구가 폐쇄되도록 밀폐부재를 이동시킨다. 한편 집진백의 계속적인 사용이 필요할 때는, 드래그덮개가 집진백 설치 방향으로 다시 회전되어 착설판 개구가 노출되도록 작동돌출부가 밀폐부재를 이동시킨다.
한편 작동돌출부가 직접 제공되는 것, 즉 드래그덮개 없이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면에서의 최적조건은 작동돌출부가 스프링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달성된다. 제 2 스프링(작동돌출부 길이가 감소되는 제 1 스프링에 대해)은 밀폐위치로 밀폐부재를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한다. 진공청소기의 개방작동을 위해서 개방이동중 제 2 스프링은 작동돌출부를 계속 전방으로 밀어서 밀폐부재의 밀폐이동의 마지막 부분을 담당한다. 연장부 방향으로의 작동돌출부의 스프링탄지 구성외에, 스프링에 대해 축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작동돌출부와 연결되는 정합돌출부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돌출부는 작동돌출부의 회전 종료시 다른 진공청소기 부분의 정합개구로 들어가서 밀폐부재의 밀폐가 정합돌출부의 삽입시만 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해 진공청소기 밀폐는 집진백이 삽입됐을 때만 가능하게 된다. 집진백이 삽입되지 않은 경우, 작동돌출부는 진공청소기 밀폐시 지지부가 없음으로 해서 제위치로부터 이동할 수 없으며 그와 연결된 정합돌출부가 고정위치에 그대로 있게된다. 진공청소기 밀폐시는 정합돌출부가 다른 진공청소기 부분의 고정위치에 결합한다. 집진백이 삽입된 경우, 작동돌출부는 진공청소기 밀폐시 회전하고, 정합돌출부는 다른 진공청소기 부분의 정합개구로 삽입되도록 이동하여 진공청소기를 밀폐시킨다. 정합돌출부는 작동돌출부에 고정연결된 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방식으로의 집진백 사용시, 진공청소기의 작동돌출부는 작동부로 형성된 스페이드 손잡이 영역에서 밀폐부재와 결합한다. 밀폐부재의 스페이드 손잡이에 절첩부가 제공되는 경우, 작동돌출부는 진공청소기 개방시의 절첩부 후방과 결합해서 밀폐부재를 집진백 착설판의 개구를 향해 밀폐위치로 이동시킨다. 밀폐된 이런 종류의 집진백의 재사용이 필요시, 작동돌출부는 진공청소기 밀폐중 밀폐부재가 개방위치로 이동하도록 절첩부에 결합한다.
공지된 방식으로 개방된 집진백 사용시 작동돌출부 기능과의 간섭은 없게 됨이 명백하다. 집진백이 진공청소기로 삽입되는 것이 개방상태이든 밀폐상태이든 중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밀폐부재를 개방위치로 이동시, 작동돌출부가 밀폐부재의 손잡이돌출부, 바람직하게는 스페이드 손잡이 위로 위치하게 된다. 이 밀폐돌출부 위로 위치된 후 부분압축된 작동돌출부의 종방향 잔여부는 돌출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작동돌출부는 손잡이 돌출부 위로 위치된 후, 특정의 단축길이(압축)에서 하우징에 고정된 정지부에 접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방작동중, 작동돌출부가 계속적인 개방 또는 회전중 함께 회전되기전, 진공청소기 흡입튜브가 집진백 개구 밖으로 초기 이동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종방향 잔여부가 망원경식으로 절첩되어 있기 때문이다. 흡입튜브가 개구 밖으로 이동했을때 개구가 노출되므로, 이때만 집진백 개구가 밀려서 밀폐된다.
또한 진공청소기 밀폐시, 작동돌출부에 의한 조절돌출부의 이동 및 하우징에 고정된 돌출부와의 접합에 의해서 생기는 딸각거리는 소리는 진공청소기가 이제 완전히 사용준비가 됐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신호이다.
본 발명은 개구 변부를 지나 내향돌출된 고무 밀봉부가 제공되는 상기 종류의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집진백은 독일특허 제 13919256 호에 의해서 공지되 있으며, 최신기술은 독일특허 제 12407478 호를 참조하면 된다. 독일특허 제 13919256 호에 의해서 공지된 집진백의 경우, 이동가능한 일폐부재에 개구가 제공되며, 집진백의 사용을 위해 착설판 개구와 이동 가능한 밀폐부재의 개구는 상호 겹치게 위치된다. 밀폐부재 개구는 환상 밀봉부를 갖는다. 사용중 상기 밀봉부는 어느정도 상승되며 요구된 방식으로의 집진백 밀폐는 더 이상 불가능하다. 이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즉 완전한 밀폐를 보장하는 상기 종류의 집진백은 청구항의 발명에 의해 해결되는바, 고무 밀봉부를 오버랩시키기 위해 개구 주연부에서 내향으로 돌출하는 고정부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고무 빌봉부는 그 재료는 문제가 되지 않으며 어떤 종류의 일라스토머로도 구성될 수 있고, 흡입튜브의 인입으로 인해 집진백 사용중 일정한 압입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특히 탄성력의 손실은 관찰되지 않는다. 통상적인 것처럼, 집진백에 삽입된 흡입튜브가 수주 또는 수개월 이 위치로 그대로 있을 때도 마찬가지이다. 흡입 튜브의 인출시, 집진백 내부로 돌출하는 고무 밀봉부의 반전이 문제로 될 수 있다. 이것은 밀폐부재의 이동을 방해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고정부가 이러한 반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고무 밀봉부는 집진백 내부방향(하방)으로 사전 압입되게 된다.
고정부는 앞에서 언급한 판지로 구성될 수 있다. 흡입튜브 삽입시 고정부의 절첩이 초래된다. 고정부는 흡입튜브가 개구로부터 인출될때 표면 안정성으로 인해 다시 펴질 수 없으므로, 고무 밀봉부는 개구로부터 흡입튜브의 완전 제거 후에도 집진백 내부로 향한 채 그대로 있게된다. 고정부는 밀폐 작동중 밀폐부재에 의해 폐쇄된 마지막 위치인 개구상의 위치에 적절히 착설된다. 더욱이 몇 개의 고정부 또는 고정 환상변부가 제공될 수 있으며, 그 전부가 흡입튜브 삽입시 절첩된다. 개구의 주연변부에 대한 내부를 향하고 있는 고정부의 칫수는 동일방향, 즉 내부로 향하는 고무 밀봉부 칫수의 약 반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고무 밀봉부는 이전에 생각됐던 것보다 훨씬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고정부는 내향방향의 고무 밀봉부의 통상의 폭 또는 칫수에 상응하는 칫수를 갖는게 적당하다. 종래의 집진백 착설판 개구직경에 대한 내향방향 고무 밀봉부 칫수는 예를 들면 1/10이다. 공지의 환상형 고무 밀봉부는 개구직경의 2/10 정도로 내향 연장된다.
설명된 것처럼, 집진백 착설판은 복수층 구조를 가져서 수개의 판지층으로 조립된다. 고정부는 고무 밀봉부와 직접 접하는 착설판 층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부는 집진백으로부터 이격된 방향의 고무 밀봉부에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고정부는 텅(tongue)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내용은 집진백 수용부를 가지며, 작동돌출부를 갖는 드래그덮개 또는 밀폐플랩이 수용부에 제공되며, 집진백에 대한 밀폐부재로서의 밀대(pusher)의 작동을 위해 작동돌출부가 스프링에 대해 전체가 피보트작동될 수 있으며 길이 방향으로 탄지되도록 형성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회전은 밀폐판에 상대적이다. 수용부에 이동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집진백 및 착설판 수용부가 있는 진공청소기 구성이 문제로 되는한, 특히 유럽특허 제 12532057 호가 참조될 수 있다.
작동돌출부는 수용부 하측에 제공되어 집진백에 제공된 밀대 또는 밀폐밀대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장 신뢰성 있고 확실하게, 또한 동시에 집진백, 특히 착설판에 최소의 밀폐력으로 집진백에 작용하는 밀대를 작동시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은 작동돌출부가 밀폐판에 연결되되 작동돌출부 압축과 동시에 회전이 일어나도록 함을 제안한다. 밀폐판에의 작동돌출부 연결은 압축시 작동밀대의 선형이동이 발생하고 연결지점사이의 간격이 증대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스트립(strap)이 연결에 사용되는 경우, 스트립이 인장되서 더 이상 길이가 증가 할 수 없는 상태에 도달한다. 밀폐판에 계속적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 작동돌출부는 밀폐판에 대해 밀려져서 밀폐판에 대한 작동돌출부의 회전이 일어나게 된다. 선형 방향으로의 작동돌출부 압축의 증가에 따라 집진백 착설판에 대한 작동돌출부 선단부에 의한 작용력 역시 증가하므로 상기 회전에 의해 동시에 힘의 한계에 도달한다. 길이가 제한된 연결 수단에 의해, 착설판에 대한 증가된 힘의 작용에 의해서 연결수단이 없는 이동의 경우보다 압축이동이 더 빨리 정지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은 가요성 연결수단으로 구성된다. 연결수단은 스트랩 또는 코드일 수 있다.
제시된 문제점의 또 다른 해결방법으로, 작동돌출부가 수용부 프레임에 대한 지지를 위해 측방지지부재를 갖는것이 제안된다. 측방지지부재는, 성형 플라스틱 부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작동돌출부에 직접 제공될 수 있다. 수용부 역시 측방지지부재를 위한 활주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방향으로의 작동돌출부의 초기압축완료 후 밀폐판의 이동중 작동돌출부가 밀폐판으로 회전이동되고, 측방지지부재는 상기 활주로를 할주한다. 이런 지지부에 의해 집진백 착설판에서 밀폐위치로의 수용부 밀폐판의 이동을 초래하는 하중은 특정값으로 한정된다. 더욱이 지지부에 전환된 하중은 집진백 수용부로전해진다.
본 발명의 내용이 첨부도면에 예시된 실시예들을 참조로 이하 상세히 설명되어질 것이다.
도 1 은 점선으로 도시된 집진백을 가진 챔버가 개방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단면도,
도 2 는 진공청소기 흡입튜브의 입구에 놓이는 집진백 착설판의 개구가 밀폐된 상태에 있는 챔버의 사시도,
도 3 은 집진백을 넣기 위해 개방한 챔버의 부분 단면도,
도 4 는 도 3 에 대한 정버의 평면도,
도 5 는 작동돌출부에 판이 제공된 진공청소기 작동돌출부 배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6 은 도 5 에 대한 작동돌출부의 평면도,
도 7 은 도 5 에 대한 작동돌출부의 배면도,
도 8 은 도 7 의 선 VII-VII 에 따른 단면도,
도 9 는 개방위치에서 착설판을 가진 집진백 상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 은 최상부 층은 생략된 채로 착설판을 가진 집진백의 평면도,
도 11 은 착설판 개구가 밀폐되어 있고 진공청소기가 개방위치에 있는 도 3 의 대응 단면도,
도 12 는 착설판 개구가 밀폐되어 있고 진공청소기가 개방위치에 있는 도 3 의 또 다른 대응 단면도,
도 13 은 착설판 개구가 개방되어 있고 진공청소기가 밀폐위치에 있는 도 3 의 또 다른 대응 단면도,
도 14 는 개방된 밀대 밀폐부재를 갖는 집진백 착설판의 평면도,
도 15 는 도 14 의 선 XV-XV 에 따른 단면도,
도 16 은 덮개층 제거에 따른 도 14 의 대응 평면도,
도 17 은 도 14 - 16 에 따른 착설판을 가진 집진백이 진공청소기에 삽입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8 은 도 17 의 진공청소기 흡입튜브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19 는 밀폐판과 스프링탄지된 작동돌출부가 연결되어 작동돌출부가 연장된 상태에 있음을 보여주는 집진백 수용부의 단면도,
도 20 은 작동돌출부가 약간 후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19 에 대한 상응 단면도,
도 21 은 판이 제공된 작동돌출부의 제 2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2 는 도 21 에 상응하는 배치의 평면도,
도 23 은 도 21 에 상응하는 배치의 배면도,
도 24 는 도 23 의 선 XXIV-XXIV 에 따른 단면도,
도 25 는 작동돌출부가 압입된 상태의 도21에 대한 상응 측면도,
도 26 은 도 25 에 상응하는 배치의 평면도,
도 27 은 밀폐판과 도 21 에 따른 작동돌출부를 가지고 있고 작동돌출부가 연장된 상태를 나타낸 집진백 수용부의 단면도,
도 28 은 밀폐판과 도 21 에 따른 작동돌출부를 가지고 있고 밀폐판이 집진백 프레임에 설치된 집진백 수용부의 단면도,
도 29 는 도 28 에 상응하는 평면도이다.
도시된 진공청소기(1)는 하우징(2)을 가지며, 그 상단부에 손잡이(3)가 연결되어 있고 손잡이(3)는 단부에 파지부(4)를 가지고 있다. 파지부(4)와 손잡이(3) 사이의 영역에 온 · 오프스위치(5)가 있다. 전선접속부(9)가 또한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2)은 모터하우징(6)과 집진백(8)를 수용하기 위해 모터하우징 상부로 연장된 챔버(7)로 분할된다. 모터면은 도면에 표시하지 않았다.
모터하우징(6)을 향하는 집진백(8) 측부는 도 1 에 따른 진공청소기 작동위치에서 모터팬의 송풍기 공기관과 노즐연결된다. 하우징은 모터하우징(6) 하측에 흡입노즐(11)과의 공기흐름 연결부를 제공하는 관상커플링(10)으로의 연결부를 갖는다. 흡입노즐(11)은 소위 흡입/브러쉬노즐일 수 있으며, 이 노즐은 노즐구부에 브러쉬 롤러를 갖되 브러쉬롤러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된다.
따라서 팬모터는 하부로부터 상부로 작용하여 모터하우징(6)위에 반전되어 위치된 집진백(8)으로 먼지공기를 보낸다.
하우징(2) 단면은 종방향으로 직사각형이되 각 면의 모서리는 부드럽게 만곡되어 있다. 도 1의 진공청소기는 넓은 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집진백(8) 수용 챔버(7)는 철망에 의해 유지되는 섬유백(12)으로 형성되며, 이 백의 하단부, 즉 모터하우징의 말단부는 필터프레임(13) 형상으로 단단히 유지된 변부로의 연결부를 갖는다. 섬유백(12)은 분리식 클립의 삽입연결에 의해 필터프레임(13)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연결부가 돌출되어 있다.
집진백을 인출하기 위해 하우징(2)은 그 단면이 완전 노출되도록 개방된다. 펼쳐진 위치는 도 1(점선으로 도시), 3,4, 11-13 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축(14)은 하우징(2)의 짧은 변의 한쪽에 위치된다. 회전축을 위한 필터프레임의 베어링아이(bearing eyes)(15)가 도시되어 있다. 베어링아이(15)는 챔버(7)의 긴변과 짧은 변사이에 위치된다. 두개의 베어링아이(15)사이로 모터하우징(6)의 연속베어링아이가 뻗어있다.
모터하우징(6)과 챔버(7)사이의 조인트영역에는 집진백(8)이 위치되는 중간지지체 형태의 드래그덮개(T)가 있다. 이러한 중간지지체 또는 드레그덮개(T)는 독일특허출원 제 3911580 호에 의해서 공지되있으며 그 전 내용이 본 출원서에 참조된다.
드래그덮개(T)는 단면이 하우징 단면에 맞는 형상을 하며 하우징(2) 슬리브 벽으로부터 위로 위치되어, 도 1 에 도시된 모터하우징(6)과 챔버(7)의 동축위치에서 드래그덮개(T)는 완전히 보이지 않게된다. 또한 드레그덮개(T)는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필터프레임(13)과 마찬가지로 힌지축에 두개의 베어링아이를 갖는다. 이렇게하여 드레그덮개(T)는 챔버(7)처럼 동일 회전축(14)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드레그덮개(T)에 직접연결된 집진백(8)은 착설판(16)처럼 형성된 저부를 갖는다. 이 착설판의 단면 역시 필터프레임(13) 단면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착설판(16)의 지지접촉부를 위해 내측벽에 스텝(step) (17)을 갖는다. 이렇게하여 착설판(16)은 청소기의 회전된 위치에서 챔버(7) 내로 떨어지지 않는다. 필터프레임(13)과 드래그덮개(T)의 공통 회전축(14)은 착설판(16)의 스텝(17) 높이너머까지 연장된다.
하우징(2)이 밀폐될 때, 즉 진공청소기(1)의 작동위치에서, 모터팬의 송풍기 공기관은 돌출된 원통형 입구단부에 의해 흡입튜브(18)의 하측영역(18')내로 들어간다. 이 흡입튜브(18)는 드래그덮개(T) 상측위로 돌출되어 있고, 드레그덮개(T)와 유사하게 형성되고 집진백(8) 내부로 돌출하여 착설판(16) 개구(19)를 관통하고 있고, 이 개구(19)는 흡입튜브(18) 단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흡입튜브(18)는 그의 단부쪽으로 테이퍼(raper)되어 있어 개구(19)내로 흡입튜브(18)를 삽입시키는 것은 사실상 센터링 동작을 가진다.
집진백(8)을 제거하기 위하여, 하우징 위의 폐쇄고리를 해제한 후의 드레그덮개(T)를 가진 챔버(7)가 도 3 에 도시된 개방 위치로 회전된다. 집진백(8)을 풀기 위하여 드레그덮개(T)가 챔버(7)로부터 회전되는데, 손잡이(20)가 드레그덮개(T)의 상측부에 제공되어 흡입튜브(18)에 반대방향으로 향한다. 이 손잡이(20)는 드레그덮개(T)의 상단면에 필름힌지로 피보트작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 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작동위치에서, 집진백(8)의 반전된 위치 때문에 먼지와 티끌이 모터하우징 영역(6)내로 거꾸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랩밸브(flap valve)가 흡입튜브(18)의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드레그덮개(T)의 하측부, 즉 흡입튜브를 향하는 덮개(T)면에 작동돌출부(B)를 지지하기 위한 피보트작동하는 판(21)이 이 드레그덮개(T)와 연결되어 있다. 이 판(21)은 드레그덮개(T)의 단부에 힌지(22)로 피보트작동되게 배설된다. 이 판(21)은 힌지(22)에서 드레그덮개(T)의 중간까지 전방으로 연장하여 흡입튜브(18)를 감싼다. 흡입튜브를 위해 판(21)은 타원형의 개구(23)를 가진다. 힌지 (22)로부터 멀어지면서 판(21)은 차츰 가늘어지게 만들어진다. 이 영역에서, 단면이 직사각형인 챔버(24)는 챔버가 판(21)의 단부 영역을 지나 돌출되도록 만들어진다. 이 챔버(24)에 작동돌출부(B)가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게 착설되는데, 작동돌출부(B)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작동암(25) 및 이 작동암(25)의 단부, 즉 챔버(24)로부터 떨어진 암의 단부에 형성된 작동노오즈(26)로 구성된다. 도 3 에 도시된 작동노오즈는 집진백(8)을 향해 뻗어 있다.
작동돌출부(B)는 그의 길이 방향으로 스프링탄지되도록 배설된다. 이를 위해 챔버(24)내에 압축 스프링이 수용되고, 스프링은 챔버(24)내로 돌출하는 작동암(25)의 단부에 제공된 핀(28)을 감싼다. 다른 단부에서 압축스프링(27)은 챔버(24)의 단부벽(29)과 접촉한다. 이 수용챔버(24)는 챔버(24)의 단부벽(29)과 측벽둘레와 맞물리는 덮개(30)로 밀폐된다. 개방단부영역, 즉 작동암(25)이 챔버(24) 내로 돌출하는 영역에서 덮개(30)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지지 칼라(collar)(31)를 가진다. 이는 외측방향으로 압축스프링(27)에 의해 탄지되는 작동암(25)을 위한 접촉부 고정장치(abutment stop)로써 역할한다. 작동암은 부합하는 대응 접촉변부(32)를 가진다.
이에 의해 지탱되는 판(21)과 작동돌출부(B)는 힌지(22)를 중심으로 스프링(33)에 대해 피보트작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 스프링(33)은 드레그덮개(T)의 하측과 이 하측을 향한 판(21)의 면 사이에 뻗어있다. 이를 이루기 위해서 스프링(33)의 단부중 한 단부의 수용을 위한 대응요구(34)가 드레그덮개(T)의 하측에 제공되어 있다. 스프링(33)의 다른 단부는 판(21)에서 챔버(24)로의 변환영역에서 판(21)의 원형 돌출부(35) 둘레와 맞물린다. 스프링(33)은 판(21)을 탄지시키고 그리고 이 판에 연결된 작동돌출부(B)는 항상 집진백(8)을 향한다. 판(21)의 회전 경로는 집진백(8)과 착설판(16)으로부터 떨어지게 드레그덮개(T)를 회전시킬때 개구영역(23)내로 연장되는 판(21)의 돌출부(35)의 변부가 흡입튜브(18)의 외측 원주둘레의 칼라(36)와 접촉하는 방식으로 제한된다(도 12 참조). 앞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스프링(33)이 특히 중요한데, 이는 진공청소기를 개발할 때 완벽한 밀폐 또는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때문이다. 집진백(8)은 앞서 언급된 착설판(16)과 먼지주머니(37)로 이루어지고, 이 먼지주머니는 착설판(16)의 하부에 부착되고 종이로 만들어진다.
착설판(16)은 필터프레임(13)의 내측부에 밀접하게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겹쳐있는 네층의 판지로 이루어진다. 이들 층(38 - 41)들은 접착제로 서로 접착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착설판(16)은 집진백(8)이 삽입된 상태에서 필터프레임(13)의 스텝(17)에 지지된다. 도 1에 따른 진공청소기(1)의 작동상태에서 집진백(8)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테이너(42)가 제공되는데, 이는 필터프레임(13)의 내측부상에 제공되고 또한 착설판(16)의 상측부에서 작동한다. 따라서 집진백(8)은 그의 착설판 영역(16)내에 지지된다.
집진백(8)을 정확한 안정된 위치에 놓기 위하여, 착설판(16)의 두 단부 영역어 지향부(orientation feature)(43)가 형성되어 있고, 이는 필터프레임(13)의 내측벽의 대응부(44)와 맞물린다. 지향부에 관해서 살펴보면, 착설판(16)을 형성하는 판형 몸체의 짧은 또는 협소한 부분에 사다리꼴 형태의 돌출부가 있다. 따라서 개구(19)와 흡입튜브(18)사이의 정렬에 관한 올바른 위치가 이루어진다.
착설판(16)은 긴 측면부의 엣지들레에 파지개구(45)를 가진다. 두개의 파지개구(45)는 사각으로 잘려져 필터프레임(13)의 대응 내측벽을 향해 개방된다. 하우징(2)이 개방되고 드레그덮개(T)가 거꾸로 회전된후, 집진백(8)은 가늘고 잘록한 허리형태인 착설판(16)의 중앙 단부를 가로질러 파지함으로서 편리하게 파지될 수 있고 또한 집진백은 챔버(7)에서 제거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착설판(16)은 겹쳐 놓여져 있는 네개의 층(38 - 41)으로 구성되고, 집진백(37)이 하측부의 최하층(41)에 접착제로 연결된다. 이 최하층(41)은 원형 개구(46)를 가진다. 이 최하층(41) 위에 위치된 층(40)은 최하층(41)과 동일한 형태와 표면적을 가지도록 만들어지고 또한 개구(46)와 동축으로 위치된 개구(47)를 가진다. 개구(47)는 개구(46)와 동일한 반경을 가진다.
층(40) 위에 위치된 층(39)은 최상부가 되는 최상층(38)을 위한 공간층으로 만들어지고 또한 공간(48)을 규정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10은 층(39)위에 놓이고 또한 최상층(38)이 제거된 층(39)의 평면을 보여준다. 층(39)은 보통 변부 스트립이 다른 세개의 층과 동일한 외측형상을 가지게 만들어진다. 실제로 세개의 층(49 - 51)이 층(40)의 개구(47) 영역내 외측변부에 제공되어 동일한 형상을 가지게 되는데, 층 부분은 각 외측변부에서 개구(47)의 근처로 연장되어 개구(47)와 각 층스트립의 내측 변부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착설판(16)의 장측에 제공된 층스트립(49 및 51)은 개구(47)를 향한 단변부의 층스트립(50)에 연결되고 또한 이 층스트립(50)에서 파지개구 영역(45)내로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층스트립(49, 51)의 두 내측변부사이의 간격은 서로를 향한 파지개구(45)의 주변 변부사이의 간격보다 크도록 선택된다.
층스트립(49 및 51)에 반대인 파지개구(45)의 측에는 층스트립이 동일폭을 유지하면서 층스트립(49 ' 및 51')으로서 지속된다. 파지개구(45)로부터 간격을 유지하면서 층스트립(49 ' 및 51')은 착설판(16)의 외측 주변부로부터 시작되는 방식으로 확장되어 이들은 착설판(16)의 중앙영역내로 연장되어 슬릿(52)을 만든다. 결과적으로 개구(47)에 대향인 착설판(16)의 단부 영역내에 위치되는 확장된 이 층(39)의 영역은 참조번호 53 과 54 로 표시된다. 층스트립(49', 51')과 영역(53 및 54)사이의 변환영역에는 착설판(16)의 종축방향으로 접촉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를 규정하는 최상층(38)은 층(40 및 41)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또한 거의 동일한 면적을 가진다. 이 경우 개구(46 및 47)와 동축으로 개구(56)가 제공된다. 이들 개구(46, 47 및 56)에 의해서 앞서 언급된 개구(19)가 착설판(16)에 형성된다. 최상층(38)에는 층(39)의 슬릿(52) 위에 위치하도록 요구(57)가 제공된다. 요구(57)는 변부가 개방되어 있고 슬릿(52)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진다. 이 요구(57)는 개구(19)에 대향인 착설판(16)의 단부에서 시작해 착설판(16)의 세로 길이의 방향으로 착설판의 거의 중앙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두 층(40과 41)사이에 고무 밀봉부(58)가 삽입되어 접착제로 접착된다. 이 고무 밀봉부(58)는 개구(46 및 47)의 영역내에 제공되고 또한 개구(46 및 49)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이루도록 만들어진 원형 개구(59)를 가진다. 고무 밀봉부(58)의 개구(59)는 개구(46 및 47)와 동축으로 정렬된다. 고무 밀봉부(58)는 흡입튜브(18)가 개구(59)를 통해 들어와 집진백(8)의 내측으로 돌출되면, 집진백(8)과 흡입튜브(18)사이의 밀봉접속을 원할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층(39)의 층스트립으로 경계가 정해진, 층(38 및 40)사이에 형성된 공간(48)에 밀폐부재(V)가 이동가능하게 착설된다(도 10 참조). 이를 위해 밀폐부재(V)는 평면이 스페이드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스페이드 손잡이(60)는 도 10 에 도시된 배열로 층(39)의 슬릿(52)에 위치되어 있다. 스페이드 손잡이(60)에 연결된 밀폐판(61)은 층스트립(49 및 51)의 주변 내측부와 층스트립(49')사이의 공간에 거의 대응하는 폭을 가지고 또한 도 10 에 따른 배치로 층(39)의 접촉부(55)에서 층(40)의 개구(47) 변부와 개구(19)의 변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밀폐부재(V)의 스페이드 손잡이(60)는 최상층(38) 내에 제공된 요구(57) 내에 놓이고 또한 작동부로서 역할한다. 이를 위해 스페이드 손잡이(60)는 절첩부(62)에 조정돌출부(M)를 가진다. 이에 의해 스페이드 손잡이(60)의 단부에 스페이드 손잡이로부터 절첩되어 나올수 있는 부분(63)이 형성된다.
스페이드 손잡이(60)의 단부 영역에 비후영역(thickened region)이 제공되는 방식으로 조정돌출부(M)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이 영역에 세로 방향으로 슬릿 형태인 요구가 제공될 수 있다.
착설판(16)의 이러한 형성에 의해서 밀폐부재(V)로 개구(19)를 선택적으로 밀폐,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밀폐부재(V)는 층(30)의 공간영역(48)어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데, 밀폐부재(V)는 모든 중간위치 뿐만 아니라 밀폐위치와 개방위치에서 착설판(16)의 외측 형상내에 완전히 수용된다. 이는 착설판(16) 부분이 개방위치 또는 밀폐 위치에서 착설판(16)의 외측형태 또는 형상 밖으로 돌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진공청소기(1)의 필터프레임(13) 형상과 크기가 착설판(16)의 외측형태 또는 형상의 어떠한 확대를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는 도시된 실시에의 경우에 있어서 불가능하다.
밀폐부재(V)의 이동은 최상층(38)의 요구(57)내 결합을 위해 노출된 조정돌출부(M)를 파지함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요구(57)는 그의 세로방향 길이가 밀폐부재(V)의 이동경로와 대응한다. 도 10 에 따른 개방위치에서 밀폐위치로 화살표(y)방향으로 밀폐부재(V)를 이동시킴으로서 착설판(16)의 개구(19)는 밀폐판(61)에 의해 밀폐된다. 이를 위해 밀폐부재(V)는 그의 측부가 층스트립(49 및 51)에 의해 유도된다. 밀페판(61)의 단변부가 층스트립(50)의 단변부의 내측 주변 변부와 접촉할 때 밀폐위치의 마지막 상태가 이루어진다.
개방위치는 앞서 설명된 층(39)의 접촉부(55)에 밀폐판(61)을 접속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류의 착설판(16)이 제공된 집진백(8)을 챔버(7)로부터 인출하기 위하여 드레그덮개(T)와 함께 집진백을 우선 첫째로 도 1 의 작동위치에서 도 3에 따른 인출위치로 회전시킨다. 도면에서 잘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작동돌출부(B)에 제공된 회전형 판(21)를 드레그덮개와 착설판(16)사이에서 드레그덮개(T)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작동돌출부(B)의 작동노오즈(26)는 밀폐부재(V)의 스페이드 손잡이(60)의 절첩부(63) 뒤와 접촉하는데, 절첩부(63)는 스페이드 손잡이의 평면으로부터 절첩되어 나올 수 있다. 드레그덮개(T)가 손잡이(20)에 의해 챔버(7)로부터 떨어지게 회전되며 절첩가능한 절첩부(63)와 맞물리는 작동 노오즈(26)는 개구(19)를 밀폐시키는 방향으로 밀폐부재(V)를 이동시킨다. 드레그덮개(T)를 회전시키는 동안 작동돌출부(B)를 가진 판(21)이 스프링(33)에 의해서 동시에 힌지(22)에 대해 회전하여 밀폐부재(V)의 절첩부(63)가 드레그덮개(T)의 회전 경로의 대부분에 걸쳐 작동노오즈(26)에 의해 항상 맞물린다. 이에 드레그덮개(T)와 작동돌출부(B)에 제공된 판(21)사이에 가위식 개방작동이 일어난다. 수용 챔버(24) 내에 스프링탄지되게 착설된 작동암(25)에 의해서 이는 수용 챔버(24)를 향해 이동하는 진로가 제공된다. 작동돌출부(B)의 스프링탄지 지지와 판(21)과 이 판에 연결된 작동돌출부(B)의 스프링탄지 회전에 의해서 작동노오즈(26)가 밀폐부재(V)의 총 이동 경로에 걸쳐 절첩되는 절첩부(63) 뒤와 항상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밀폐부재(V)가 개구(19)의 밀폐위치어 도달하자마자 밀폐부재(V)의 단변부 또는 밀폐판(61)의 단변부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층(39)의 층스트립(50)의 내측주변 변부와 접촉하게 된다. 이 위치에서 스페이드 손잡이(60)의 절첩부(60) 또한 최상층(38)의 요구(57)의 단변부(64)에 도달한다. 이 위치에서 작동돌출부(B)는 화살표(y)방향으로 밀폐부재(V)를 더 이동시키기 위한 시도를 계속한다. 따라서 작동노오즈(26)는 스페이드 손잡이(60)의 절첩되는 절첩부(63) 뒤와 계속 맞물리게 된다. 챔버(7)로부터 드레그덮개(T)를 떨어지게 좀더 회전시키는 중에 절첩되는 절첩부(63) 하부와 작동노오즈(26)는 스페이드 손잡이(60)의 절첩부(63) 뒤와 맞물리게 되는데, 이 때문에 그리고 화살표(y)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계속 유도되는 부분이 최상층(38)의 요구(57)를 통하여 불쑥 일어나게 작동됨으로써 상부 방향으로 절첩되어 돌출된다. 이에 의해 제 2 절첩부(65)가 도입된다(도 11 참조). 여기서 스페이드 손잡이(60)는 요구(57)와 동일한 폭으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선택적으로 이 요구보다 협소하게 될 수 있는데, 이는 그렇게되지 않으면 도 11 에 도시된 배치에서 작동노오즈(26)와 충돌하게 되고 아래쪽이 파지되는 영역이 외방으로 진로를 제공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는 작동노오즈(26)의 접촉표면 영역에서 밀폐부재(V)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밀폐부재의 이동과 스페이드 손잡이(60)와의 작용이 절첩된 부분을 통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스페이드 손잡이 상에 착설된 조정돌출부(M)에 의해 이루어지는 한 요구의 변부가 아래에 스페이드 손잡이를 맞물리도록 스페이드 손잡이(60)가 요구(57)보다 더 크게 만들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바람직하다.
집진백(8)이 제거될 수 있는 도 12 에 따른 위치로 드레그덮개(T)를 좀더 회전시키는 중에 작동돌출부(B)의 작동노오즈(26)가 절첩부(63) 위를 통과하여, 이에 의해 상부위치로 이동하여 최상층(38)의 요구(57)를 지나 통과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동돌출부(B)가 이미 정해진 단부위치에 도달되는 반면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판(21)의 개구(23)내로 연장된 돌출부(35)가 흡입튜브(18)의 외측주변에 제공된 칼라(36)와 접촉한다. 드레그덮개(T)는 또한 도 12에 도시된 90° 보다 더 회전될 수 있어서, 집진백(8)이 아무런 문제없이 챔버(7)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집진백(8)을 제거하기 위하여 집진백이 착설판(16)의 파지개구영역(45)이 파지되고 그리고 필터 프레임(13)의 리테이닝 형상(42)의 지지에 대향해 챔버로부터 인출된다.
그러나 만일 이러한 종류의 밀폐된 집진백(8)이 다시 사용되어야 한다면 개구(19)의 개방은 간단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드레그덮개(T)는 챔버(7)의 방향으로 거꾸로 회전되어 작동돌출부(B)의 작동암(25)의 단부 영역이 착설판(16) 요구(57)의 단부(64)에 위치된 절첩부(62)와 접촉된다. 밀폐위치로 드레그덮개(T)를 좀더 회전시키는 중에 작동돌출부(B)는 밀폐부재(V)를 개구(19)가개방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데, 작동암(25)은 밀폐부재(V)를 손잡이(60) 영역의 전방으로 밀어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앞축스프링(27)에 대항해 작동돌출부(B)를 세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능력은 이와 관련해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부적절한 각도위치는 잠재적인 블록킹 효과가 스페이드 손잡이(60)와 만나는 작동돌출부(B)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대신에 작동압(25)의 길이가 먼저 줄어들어 이에 의해 스페이드 손잡이(60)상의 작동 각이 변경되어, 발생될 수 있는 블록킹효과 또는 자기정지가 극복될 수 있다. 드레그덮개(T)를 좀 더 회전 이동시키는 중에 판(21)과 그리고 판(21)위에 착설된 작동돌출부(B)에 대한 드레그덮개(T)의 가위형태 작동을 종결시킨다. 착설판(16)의 개구(19)를 완전히 개방한 후, 이에 의해 밀폐판(61)의 대응변부가 층(39)의 정지부(55)와 접촉하고, 작동돌출부(B)가 작동암(25)의 단부영역에서 절첩부(63)를 지나 통과하여 작동암(25)의 작동노오즈(26)가 이 절첩부(63) 위에 다시한번 위치하게 된다. 이와 관련해 작동돌출부(B)가 하우징에 고정된 정지부(26' )까지 이동하는 것이 중요하다(도 3 참조). 이는 일정한 음의 발생과 더불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소리는 사용자에게 집진백의 정확한 개방상태와 작동을 위한 진공청소기의 기능적인 문제가 없는 준비상태를 알려준다.
작설판(16)을 가진 상기한 집진백(8)은 진공청소기에 삽입될 수 있는 바, 진공청소기의 개폐하는 중에 자동으로 이를 개폐하기 위한 어떠한 부속장치도 필요하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위치로 손으로 밀폐부재(V)를 이동시킬 가능성이 있어서, 절첩부(63)를 손으로 파지하여 밀폐부재(V)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파지개구(45)의 영역에서 밀폐부재(V)를 속박시킬 가능성이 있어서, 밀폐부재(V)가최상층(38)과 층(40)사이의 노출된 영역에서 클램핑 크립에 의해 속박되고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개구(45)의 영역내에서 밀폐부재가 착설판(16)의 형상의 변부에만 도달하고 이 형상을 지나 돌출하지 않게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한 작동돌출부(B)가 제공된 진공청소기(1)의 사용에서 통상적인 집진백, 즉 밀폐부재(V)가 없는 집진백의 사용을 예상할 수 있다. 이 경우 작동돌출부(B)는 드레그덮개(T)를 개방 또는 밀폐위치로 회전시키는 동안 어떠한 종류의 기능도 수행되지 않으면서 착설판(16) 위를 지나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드레그덮개(T)의 판(21)에 정합돌출부가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작동돌출부(B)의 회전이 완료된 후 이들 정합돌출부들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착설판(16)의 파지개구(45)일 수 있는 대응 정합개구내로 이동한다. 이를 위한 구성은 정합돌출부가 정합개구 또는 파지 개구(45)내로 삽입되었을때만 진공청소기(1)의 밀폐가 가능하도록 된다. 이러한 구성은 집진백(8)이 삽입되었을 때만 진공청소기(1)의 밀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만일 집진백(8)이 챔버(7)내로 삽입된다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밀폐작동중에 작동돌출부(B)가 드레그덮개(T)에 대한 챔버(7)의 밀폐배열로 대응정합개구 또는 파지개구(45)내로 들어갈 수 있는 길이까지 이동되게 된다. 그러나 만일 집진백(8)이 삽입되지 않았다면 작동돌출부(B)는 회전에 대한 위치를 찾지 못해 정합돌출부는 그들의 블록킹위치에 있게 된다. 이 블록킹위치에서, 이들 돌출부들은 드레그덮개(T)의 밀폐작동중에 필터프레임(13)의 외측변부에 접촉하여 진공청소기(1) 밀폐에 대한 이동이 있게 된다.
만일 다양한 크기의 정합돌출부가 다양한 크기의 정합개구와 결합하게 된다면 챔버(7) 내로 집진백(8)의 정확한 삽입이 보장되어야 한다.
도 14 에 집진백용 착설판(101)이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착설판(101)은 모두 네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도 15 은 크게 확대된 것이다). 최상층(102)은 원주둘레로 변부(104)를 가지는 원형 개구(103)을 가진다. 이외에도, 비교적 넓은 슬릿(105)이 최상층(102)에 제공되어 있다. 최상층(102)의 아래에는 이동가능한 밀폐부재(V)가 제공되어 있다. 밀폐부재(V)는 그의 협소한 단부에 판지층을 포함하는 부착물(106)이 제공된다. 이 부착물(106)은 슬릿(105)내로 돌출되어 있다. 이 부착물(106)에 의해 밀폐부재(V)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밀폐부재(V)는 파선으로 그의 외형크기가 도 14 에 나타나 있다. 중간층(108), 즉 착설판(101)의 상부로부터 세번째 층의 개구(107)는 상층 개구(103)와 하층 개구(109)보다 크게 만들어진다(도 15 참조). 고무 밀봉부(111)가 착설판(101)의 중간층(108)과 최하층(110)사이에 착설된다. 고무 밀봉부(111)는 예컨대 중간층(108)과 최하층(110)사이에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다. 고무 밀봉부(111)는 원주둘레 변부(104)로부터 원형으로 내측으로 뻗어 있고 변부(112)를 형성하고 있다.
텅(tongue)형태인 고정부(113)가 중간층(108), 즉 착설판(101)의 최상부로부터 세번째 층에 제공된다. 고정부(113)는 밀폐부재(V)의 단변부(114)로부터 가장 멀리있는 위치의 개구(103)에 제공된다(도 14 참조).
착설판(101)의 중간층(108)에 고정부(113)가 제공되고 본 실시예에서 착설판의 다른 층에 적용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 층 역시 판지로 이루어진다.
고정부(113)는 원주둘레 변부(104)에서 개구(103)의 내측으로 연장된 크기를 가지는데 그 크기는 원주둘레 변부(104)에서 개구(103)의 내측으로 고무 밀봉부(111)의 크기(E)의 반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에서 원형 개구(103)의 직경(d) 크기는 약 5 cm 이다. 크기(E)는 개구 직경의 약 1/10 에 해당되는 약 5 mm이고 고무 밀봉부(111)는 개구(103)의 내측으로 약 1 cm 가량 뻗어 있다(크기 E).
도 16의 단면도는 층(115), 즉 상부로부터 두번째 층과 중간층(108)사이의 단면을 보여준다. 이들 층들이 서로 접착되어 서로 연결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교차 평행선으로 표시하였다.
고정부(113)가 층(115)어 바로 제공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고무 밀봉부(111)는 층(115)과 중간층(108)사이에 착설되는데, 고무 밀봉부의 외측 주변부는 부분적인 원형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있다.
도 17 및 18 로부터 진공청소기의 작동상태에서의 고정부(113)의 작용을 명확히 알 수 있다.
흡입튜브(117)가 제공된 진공청소기가 드레그덮개(116)를 가진 경우가문제가 될 수 있는 데, 이러한 진공청소기의 특징에 관해 EP-A-25 32 057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고, 그 내용은 청구범위에서 그러한 특징을 포함시키기 위해 본 출원의 명세서에 완전히 인용된다.
흡입튜브(117)는 개구(103 및 109) 뿐만 아니라 이들 개구사이에 배설된 착설판(101)의 층에 형성된 개구를 관통한다. 개구의 크기 및 고정부(113)의 크기는 집진백의 내측으로 고정부(113)의 절첩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흡입튜브(117)의 직경과 관련하여 결정된다. 그러나 고정부(113)는 밀봉부(111) 위에 완전히 놓여서, 내측의 방사상으로 좀더 연장하여 흡입튜브(117)와 완전히 묻히는 방식으로 접촉한다. 집진백의 착설판(101)으로부터 흡입튜브(117)를 인출할 때 고정부(113)의 절첩때문에 내측방향으로 한정된 사전응력(pre-stress)과 고무 밀봉부(111)에 고정부(113)의 대응작용이 있게된다. 이는 고무 밀봉부(111)가 개구(103)를 향해 상방으로 더 이상 연장되지 않게 하여 밀폐부재(V)가 더 이상의 작동없이 밀폐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밀폐상태에 서 밀폐부재(V)는 고정부(113)의 상측 위로 뻗어있다(도 15 참조).
도 19 및 20 에는 집진백용 수용부(118)의 부분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집진백에 관한 착설판(101)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진공청소기 또는 수용부(118)는 앞서 기술된 흡입튜브(117)를 가지는 밀폐판(119)을 포함한다. 노오즈(121)에 의해 작동돌출부는 집진백의 밀폐부재(V)에 대하여 작동한다. 작동돌출부(120)는 스프링(123)탄지력에 대항해 수용부(122)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외에도, 작동돌출부(120)는 끈(124)으로 밀폐판(119)에 직접 연결된다. 특히 끈(124)의 연결점(125)은 회전 조인트(126) 가까이 밀폐판(119)의 하측에 제공된다.
작동돌출부(120)가 집진백의 착설판(101)에 놓여있는 도 19 에 나타낸 위치의 끈은 힘을 받지않는 상태이다. 이는 사용될 수 있는 어느 정도의 여유분 길이를가진다.
도 20 에 나타낸 위치에서 밀폐판(119)이 피보트작동되어서 집진백용 착설판(101)을 향해 조인트(126)의 축에 대해 회전된다. 이러한 운동하는 동안 착설판(101)에 대한 작동돌출부(120)의 상대위치는 초기상태에서는 변하지 않는다. 작동돌출부(120)는 스프링(123)의 탄지력에 대항해 작동돌출부 수용부(122)내로 조금 이동된다. 이 이동은 끈이 늘어날때 까지 계속될 수 있다. 이 늘어남은 수용부(122) 내로 작동돌출부(120)의 최대 내측이동이 이루어지기 전에 발생한다. 끈(124)이 늘어나자마자 작동돌출부(120)의 끌어당김이 조인트(126)의 축에 대한 밀폐판(119)의 더 많은 회전에 의해 도입되어 이 작동돌출부(120)는 수용부(122)에 의해 밀폐판(119)에 대한 밀폐판(119)의 하측에 위치된 조인트장치(127)를 중심으로 밀폐위치로 회전한다.
이 방법에 있어서, 집진백용 착설판(101)에 대해 작동돌출부(120)에 의한 힘의 상승을 방지한다.
이외에도, 수용부, 밀폐판 및 작동돌출부의 일반적인 구성에 대한 독일특허출원 제 4341248호의 공개되지 않은 내용이 참조되었다.
선택적으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은 지지부가 작동돌출부(120)상에서 측면, 즉 도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지지부들은 예컨대 집진백을 수용부(118)의 내측주변(128)과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작동돌출부(120)의 총 길이와 지지부의 배열사이의 적절한 관계에 의해 작동돌출부(120)의 노오즈(121)가 밀폐판(119)의 착설판(101)에 접촉할 뿐만 아니라 기술된 밀폐판(119)의 회전시에 작동돌출부(120)의 선형 탄성 압축으로 증가된 힘이 접촉변부(128)에 의해 흡수된다. 접촉변부(128) 또는 작동돌출부(120)의 측면에 형성된 지지부는 그들이 가능한 최소마찰력으로 서로 활주할 수 있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흡입튜브(217)를 가지는 밀폐판(219)이 하우징(202)에 대해 피보트조인트(226)에 의해 회전될 수 있게 착설된다. 판(221) 위의 작동돌출부(220)는 밀폐판(219)의 단부에서 힌지(222)에 의해 회전될 수 있게 착설된다. 팽창스프링(233)이 힌지(222)의 축(227)에 위치되는데, 스프링은 루프(234)에 의해 밀폐판(219)의 하부(237)와 접촉하고, 루프는 흡입튜브(217)의 원형과 동일하고 연결부를 에워싼다. 팽창스프링(233)의 탄지력에 의해서 밀폐판(219)이 개방되면 판(219)과 판(221)은 협소한 V형을 이룬다. 이 V형 개구의 각도는 이 흡입튜브(217)에 접촉하는 L 형의 노오즈(224)에 의해 제한되고, 노오즈는 흡입튜브(227)의 타원개구(223)에 인접한다.
흡입튜브(217)의 단부다는 플랩밸브(205)가 제공되는데, 이는 작동시 집진백(208)의 역배열에서 생기는 먼지 및 티끌의 역류를 방지한다. 이에 대해서 리브로 보강된 막이 제공될 수 있고, 이는 핀(218)에 단순히 리벳팅될 수 있다.
밀폐판(219)의 하측(237)에 회전 가능하게 착설된 판(221)은 두 스프링(228, 229)의 탄지력에 대항되는 이동을 위해 착설된 작동돌출부(220)를 가지고 있다. 연장된 위치에서 연장된 작동돌출부(220)를 가진 판(221)의 외형선은 밀폐판(219)의 외형선 또는 밀폐판(219)과 판(221)을 수용하는 필터프레임(213)의 내측의 외형과 거의 대응한다. 이는 작동암(225)이 판(221)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작동암(225)은 그의 단부에 약간 편심된 작동노오즈(216)를 가지는데, 이 작동 노오즈는 집진백(208)과 노오즈를 위한 착설판(201)의 밀폐부재(V)를 상기 기술된 방법으로 이동시킨다.
판(221) 위에 작동돌출부(220)를 착설시키는 것은 도 21 내지 26을 참조해 보다 상세히 실명된다. 판(221)은 작동돌출부(220)가 측면에 착설되는 수직으로 연장된 생크(shank)(230, 231)를 가지는데, 생크는 그의 단부가 봉(232)에 의해 축(227)으로부터의 대향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작동돌출부(220)의 암(225)은 판(221)의 하측판(235)과 봉(232)사이에 안내된다. 리테이닝 노오즈(236)는 스프링(228, 229)의 팽창시에 봉(232)에 접촉하고 그리고 암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스프링 (228, 229)은 작동돌출부의 채널(238, 239)내에 착설되는데, 채널은 단면이 U-형태로 만들어진다. 채널(238, 239)의 생크단부는 하측면(235)에 기대어 놓인다. 작동돌출부의 더 나은 유도를 위해 돌출부(240, 241)가 판(221)의 생크(230, 231)로부터 연장하여 이들 돌출부와 하부(235)사이에 채널(238, 239)이 제공된다. 길이방향으로 각 채널(238, 239)은 스프링(228, 229)이 접촉하는 벽에 의해 한 단부가 밀폐된다. 대향단부는 개방되어 그곳에서 스프링(228, 229)이 판에 고정된 대향지주(242, 243)에 접촉한다. 집진백(8)이 밀폐되면, 작동돌출부(220)가 스프링(228, 229)의 탄지력에 대항해 개구(223)의 방향으로 밀린다. 따라서 개구(223)가 채널(238, 239)사이에 위치되고 채널(238, 239)을 연결시키는 작동암(225)은 만곡부(224)를 가진다. 개구(223)쪽으로 작동돌출부(220)가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접촉부(246)가 노오즈(224)의 벽(245)위에 제공되는데,작동돌출부(220)의 만출부(244) 단부면과 결합된다.
밀폐부재(V)를 가진 착설판(201)이 선행 실시예에 따라 만들어 지고, 부착물(261) 형태로 스페이드 손잡이(260)를 위한 조정돌출부를 가진다. 조정돌출부는 상부층을 형성하는 착설판(201)의 최상층에 연결된다(도 28 참조). 부착물(261)의 폭은 착설판(201)의 최상층 내에 형성된 슬릿의 폭보다 약간 작은데(도 9 참조), 이는 밀폐부재(V)의 작동을 위해 필요하다. 이동방향으로 놓인 작동돌출부(220)의 작동노오즈(216)는 스페이드 손잡이(260)의 상측과 부착물(261)의 길이축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향해 있어서, 카운터베어링(counter bearing)이 형성된다. 부착물 대신에 요구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7 에 나타낸 위치에서 도 28 에 따른 위치로 내측으로 밀폐판(219)을 회전시키면 판(221)과 작동돌출부(220)가 밀폐판(219)의 하부(237)와 접촉한다. 만일 착설판(201)이 잘못되어 밀폐판(219) 및 판(221)과 작동돌출부(220)사이에 V위치가 유지된다면, 밀폐판(219)을 폐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판(221)의 단부와 작동돌출부(220) 반대편의 확장부에 형성된 판(221) 위의 정합돌출부(203, 204)가 필터프레임(206)상의 내측으로 도출된 수용부(207)의 정합수용부(206) 안으로 회전 이동된다. 진공청소기의 밀폐는 집진백(208)이 도입될 때만 가능하다.
밀폐된 상태에서(도 28, 29 참조), 밀페판(219)은 밀폐판(219)내 개구(210)를 관통하는 리테이닝 노오즈(209)에 의해 걸린다. 리테이닝 노오즈(209)는 밀봉변부(21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는 필터프레임(213)의 길이에 걸쳐 필터프레임(213)의 앵글(211)에 정합돌출식으로 제공된다. 밀폐상태에서,밀폐판(219)의 외측부상의 주변 밀봉립(214)은 밀봉변부(212)의 평탄한 내측면과 접촉해 밀봉을 형성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 밀폐판(219)에 대한 작동돌출부(220)의 연결은 탄력있고 연장가능한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서 작동돌출부(220)의 압입중에 작동돌출부(220)가 동시에 회전이 시작된다.

Claims (16)

  1. 먼지주머니(37)가 부착된 판지로 이루어진 착설판(16)을 가지고 있으며, 이 착설판(16)은 진공청소기(1)의 흡입튜브(18)를 밀폐되게 하는 개폐형 개구(19)를 가지고 있고, 개구(19)는 개방위치에서 밀폐위치로 이동되는 별개의 밀폐부재(V)에 의해서 밀폐되고, 밀폐부재(V)는 착설판(16)의 두 층(38, 40)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밀폐부재(V)가 최상층(38)의 요구(57)에 노출되게 놓여 있으며, 요구(57)는 개구(19)와 분리되어 있고, 요구(57)의 길이방향 크기는 밀폐부재(V)의 이동경로의 크기와 동일하고, 밀폐부재(V)는 밀폐위치와 개방위치에서 이동방향과 횡으로 밀폐부재(V)에 제공된 조정돌출부를 제외하고 착설판(16)의 외형내에 완전히 수용되며, 조정돌출부가 개구(19)의 반대편 밀폐부재 단부에 제공된 진공청소기(1)용 집진백(8)에 있어서, 조정돌출부가 요구(recess) 또는 부착물(106)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 부착물(106)은 요구(57) 안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착설판(16)의 최상층(38)에 의해서 밀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집진백.
  2. 제 1 항에 있어서, 부착물(106)은 페이퍼(paper)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백.
  3. 제 1 항에 있어서, 요구(57)는 착설판(16)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백.
  4. 제 1 항에 있어서, 요구(57)는 개구(19)의 반대편에 위치한 착설판(16)의 협소부로부터 시작해서 착설판(16)의 중앙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백.
  5. 제 1 항에 있어서, 최상층(38)의 요구(57)에 노출되어 있는 밀폐부재(V)의 노출부가 손잡이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백.
  6. 제 1 항에 있어서, 착설판(16)에 판지로 이루어진 세개 이상의 층(38-40)이 고정되어 있고, 하나의 층(40)은 개방위치에서 밀폐부재(V)의 전체면을 지지하는 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백.
  7. 제 1 항에 있어서, 밀폐부재(V)는 스페이드(spade) 모양의 평면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백.
  8. 제 7 항에 있어서, 밀폐부재의 스페이드 손잡이(60)가 요구(57)와 상호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백.
  9. 제 6 항 내지 8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절첩부(63)에 두개의 절첩부(62, 6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백.
  10. 고무 밀봉부(111)가 개구(103)의 원주둘레 변부(104)를 넘어 안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 1 항에 따른 집진백에 있어서, 안으로 돌출된 고정부(113)가 고무 밀봉부(111)와 중첩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백.
  11. 제 10 항에 있어서, 고정부(113)가 판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백.
  12. 제 10 항에 있어서, 고정부(113)가 텅(tongue)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백.
  13. 제 10 항 내지 12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개구의 원주둘레 변부(104)에 대해서 안으로 돌출되어 있는 고정부(113)의 돌출된 길이(e)는 개구 내부로 향하는 고무 밀봉부(111)의 돌출된 길이의 약 절반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백.
  14. 제 10 항에 있어서, 개구의 원주둘레 변부(104)로부터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있는 고무 밀봉부(111)의 길이(E)는 개구 직경(d)의 약 3/10 내지 5/10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백.
  15. 제 10 항에 있어서, 착설판(101)의 다층구조에 대해 고정부(113)가 고무 밀봉부(111)와 직접 접촉하는 층(108)과 일체형을 이루는 부분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백.
  16. 제 10 항에 있어서, 고정부(113)가 먼지주머니로부터 시작해서 고무 밀봉부(111)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백.
KR1019960702916A 1993-12-03 1994-12-01 진공청소기용집진백 KR1003923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34341248 DE4341248C2 (de) 1993-12-03 1993-12-03 Staubfilterbeutel für einen Staubsauger
DEP4341248.3 1993-12-03
DE4434622 1994-09-28
DEP4434622.0 1994-09-28
DEP4434935.1 1994-09-30
DE4434935A DE4434935B4 (de) 1994-09-28 1994-09-30 Staubfilterbeutel für einen Staubsau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6311A KR960706311A (ko) 1996-12-09
KR100392332B1 true KR100392332B1 (ko) 2003-11-28

Family

ID=46305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2916A KR100392332B1 (ko) 1993-12-03 1994-12-01 진공청소기용집진백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068828B1 (ko)
KR (1) KR100392332B1 (ko)
DE (2) DE59410413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6316799B2 (en) 2005-11-22 2011-10-13 Eurofilters Holding N.V. Vacuum cleaner filter bag and use of said bag
WO2007059937A1 (de) * 2005-11-22 2007-05-31 Eurofilters Holding N.V. Stutzen mit ablenkvorrichtung für einen staubsauger
DE502005004300D1 (de) * 2005-11-22 2008-07-10 Eurofilters Holding Nv Staubsaugerfilterbeutel mit Ablenkvorrichtung
CN101404919B (zh) * 2006-03-22 2012-10-10 肖普瓦克公司 带有管的可弃真空吸尘器袋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4462A (en) * 1954-01-07 1958-12-16 Hoover Co Disposable filter bag for suction cleaners
EP0289709B1 (de) * 1987-05-04 1991-07-17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Elektro-Staubsauger
EP0532057B1 (de) * 1988-04-29 1997-09-17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Filterbeutel
DE3919256A1 (de) * 1989-06-13 1990-12-20 Miele & Cie Staubfilterbeutel insbesondere fuer staubsauger
DE9302002U1 (de) * 1993-02-12 1993-04-01 Wolfgang B. Schroeter GmbH, 4973 Vlotho Filtereinrichtung für einen Staubsauger
DE4341248C2 (de) * 1993-12-03 2003-04-30 Vorwerk Co Interholding Staubfilterbeutel für einen Staubsau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410413D1 (de) 2005-09-22
EP1068828A1 (de) 2001-01-17
DE59409814D1 (de) 2001-09-06
KR960706311A (ko) 1996-12-09
EP1068828B1 (de) 2005-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6283A (en) Dust filter bag for a vacuum cleaner
US11357371B2 (en) Mobile cleaning robot with a bin
US4738697A (en) Vacuum cleaner bag mount and method for mounting a dust bag thereon
US5092915A (en) Disposable dust bag for vacuum cleaners and the like
EP1728460A1 (en) Dust receptacle fixing/separating apparatus and a cyclone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the same
US4364757A (en) Vacuum cleaner filter bag collar arrangement
US4274847A (en) Vacuum cleaner dust bag
US4748713A (en) Vacuum cleaner assembly
AU610580B2 (en) Filter bag
KR20050046777A (ko) 신축자재식 원드 어셈블리 지지 수단을 포함하는 청소 기구
EP1983875B1 (en) Vacuum bag attachment device and method
KR100392332B1 (ko) 진공청소기용집진백
MXPA02007374A (es) Estructura de montaje y cierre para una bolsa, tal como una bolsa de aspiradora.
KR101315660B1 (ko) 전기 청소기
EP1318746B1 (en) Dust container for a vacuum cleaner
SK62896A3 (en) Electrical vacuum cleaner with a chamber for a dust bag
US2710072A (en) Suction cleaners
JP2594238Y2 (ja) ハンディークリーナ
NZ533715A (en) Moun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accessory with mounting to tube of cleaner
EP4199795B1 (en) Compact dust bag for a vacuum cleaner
US2017771A (en) Dust collector for air-method cleaners
JPS6349491B2 (ko)
JPH0335253Y2 (ko)
JP2001078934A (ja) 電気掃除機
JP2001070209A (ja) 電気掃除機における空気吸引調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