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1831B1 - 전화 유무선 원거리 자동도어록장치 - Google Patents

전화 유무선 원거리 자동도어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1831B1
KR100391831B1 KR10-2000-0043899A KR20000043899A KR100391831B1 KR 100391831 B1 KR100391831 B1 KR 100391831B1 KR 20000043899 A KR20000043899 A KR 20000043899A KR 100391831 B1 KR100391831 B1 KR 100391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telephone
power supply
open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9263A (ko
Inventor
김미경
Original Assignee
김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경 filed Critical 김미경
Priority to KR10-2000-0043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1831B1/ko
Priority to KR2020000021739U priority patent/KR200207556Y1/ko
Publication of KR20000059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9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8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 유,무선 원거리 자동도어록 (잠금. 열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소와 위치를 불문하고 일반전화나 공중전화등 무선 전화기를 사용하여 가정이나 사무실, 오피스텔 등에 설치된 일반전화기 및 무선전화기에 전화번호를 누른 다음 지정된 고유 비밀번호를 셋팅하면 전화기 외의 부속적으로 설치된 단말기를 통하여 주파수 발생부를 거쳐 발진된 주파수로 각종 출입문 (아파트, 주택, 상가, 오피스텔)등의 출입문 내부 중앙부에 설치 구성된 도어록수신단말기를 통하여 개폐제어신호를 받아 모터를 제어한다.
이 과정에서 모터를 사용하여 구성된 기어에 동력이 전달되어 전기적 신호를 받아 모터가 구동하며, 기어박스와 결합하여 이루어진 동력전달부분의 기어와 체결된 레일을 통하여 기어가 동작함에 따라 동력이 전달되어 도어형틀 중앙부에 고정시키는 도어록 브라켓 홀에 랙기어 끝단에 장착된 키가 들어가며 도어가 잠긴다.
또 비상용 배터리를 장착하여 전원공급이 차단될 시 자동으로 비상용 배터리로 전원이 전환되어 동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비상용 배터리는 방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일정기준의 전압 이하의 전원으로 낮아질 때 자동으로 충전시키는 기능을 하도록 구성하였다. 잠금장치는 도어의 내쪽으로 부착되어 외부의 충격이나 인위적인 도어 잠금장치를 해제시킬 수 있는 요인을 방지시켰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또 이 비밀번호를 수시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는 버튼을 도어록수신단말기의 외부에 부착하여 사용하도록 하였다.
이 마이크로프로세서에는 모든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어 외부의 신호가 체크되면 프로그램 동작순서에 따라 동작되어지도록 설계가 되어있다.
또한 도어 잠김 또는 열림의 동작이 완료된 후 전화기의 수화기로 확인 할 수 있는 신호음을 발생시켜 상태확인을 할 수 있도록 연구 개발한 전화 유,무선 원거리 자동도어록 (잠금, 열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화 유무선 원거리 자동도어록장치{Remote automatical door locker of cable relaying and wireless transmission by telephone}
본 발명은 도어록(잠금, 열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든 기능을 유무선 전화기로서 전화를 하여 도어록송신단말기에서 시건기의 개폐를 위한 제어신호 발생을 송신하면, 도어록수신단말기에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이를 수신한다음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이를 통해 시건기의 모터에 결합된 기어를 구동함으로써 도어(출입문)의 잠금, 열림을 수행하도록 연구 개발하여 제작된, 전화 유무선 원거리 자동도어록(잠금, 열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반 열쇠, 특수 열쇠, 카드 체크 열쇠, 지문 인식과 같은 열쇠를 사용하여 왔으나, 이는 열쇠 분실 및 도난 등의 위험 부담이 빈번하여 보안성이 없으며 무단 조작의 우려가 있고 또한 친척이 방문하거나 집안 식구들 중 열쇠를 분실하여 주택에 출입을 못하는 불편함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종래의 열쇠 분실 및 도난 등의 위험부담과 주택 출입의 불편함 등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본 전화 유무선 자동도어록(잠금, 열림)장치를 연구 개발하게 되었다.또한 본 발명은 장소와 위치의 구애를 받지 않고 어느 장소에서 든지 외출중일 때 도어 전면에 부착된 연락처를 통해 전화로서 연락을 받아 신분 확인 후 집으로 전화를 함으로써, 도어(출입문)의 열림, 잠김을 수행하고 도어(출입문)의 외부에서는 인위적으로 도어를 열 수 없도록 하였으며, 도난 방지의 보안성을 높여 아주 편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장치를 산업 발전에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도 1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화 유무선 원거리 자동도어록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flow chart).
도 4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화 유무선 원거리 자동도어록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6 : 도 4 전화 유무선 원거리 자동도어록장치 시건기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화 유무선 원거리 자동도어록장치110 : 도어록송신단말기111 : 마이크로프로세서 112 : 일반전원공급부113 : 비상배터리전원공급부 114 : 전원감지부115 : 비밀번호입출력부 116 : 리셋부117 : 주파수발생부 118 : 신호송신부140 : 도어록수신단말기141 : 마이크로프로세서 142 : 일반전원공급부143 : 비상배터리전원공급부 144 : 전원감지부145 : 검파부 146 : 리셋부147 : 벨출력부 148 : 제어신호출력부149 : 모터구동부
170 : 시건기171 : 기어 구동 모터172 : 피니언 기어
173 : 랙 기어
174 : 도어록 키
175 : 랙기어 상단부 레일홈
176 : 랙기어 하단부 레일
177 : 도어록 브라켓 키홀
178 : 도어록 키 브라켓
179 : 자동 도어록 기어박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화 유무선 원거리 자동도어록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화 유무선 원거리 자동도어록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flow chart)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화 유무선 원거리 자동도어록장치의 블록구성도이며, 도 6은 도 4 전화 유무선 원거리 자동도어록장치 시건기의 구성도이다.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화 유무선 원거리 자동도어록장치(10)는 도어록송신단말기(110), 도어록수신단말기(140), 시건기(170)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그리고, 도어록송신단말기(1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111), 일반전원공급부(112), 비상배터리전원공급부(113), 전원감지부(114), 비밀번호입출력부(115), 리셋부(116), 주파수발생부(117), 신호송신부(118)를 포함하고 있다.또한 도어록수신단말기(1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141), 일반전원공급부(142), 비상배터리전원공급부(143), 전원감지부(144), 검파부(145), 리셋부(146), 벨출력부(147), 제어신호출력부(148), 모터구동부(149)를 포함하고 있다.마이크로프로세서(111, 141)에는 모든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어 외부의 신호가 체크되면 프로그램 동작순서에 따라 동작되어지도록 설계가 되어있다.이러한 본 발명의 전화 유무선 원거리 자동도어록장치의 동작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휴대전화나 공중전화 또는 일반전화를 통해 외부에서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오피스텔 등의 내부 실내에 설치된 일반전화기나 일반전화무선전화단말기에 전화를 하게 되며(P002), 통화가 이루어지면 다시 비밀번호를 입력(셋팅)하게 된다.이러한 외부전화에 대해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내부 전화기(T)가 통화를 수신하게 되고(P004), 입력된 비밀번호를 확인하여 본 전화 유무선 원거리 자동도어록장치(10)의 비밀번호입출력부(115)는 입력된 비밀번호를 전달받아 마이크로프로세서(111)로 재전달한다(P006).마이크로프로세서(111)는 전달받은 입력번호가 본 전화 유무선 원거리 자동도어록장치(10)의 사용승인을 받을 수 있는 비밀번호가 맞는 지를 체크하게 된다(P008). 여기서 일치되지 않으면 정해진 횟수만큼의 입력과 확인을 반복하고,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도어록송신단말기(110)의 마이크로프로세서(111)는 각 구성부를 작동시키게 되며, 먼저 주파수발생부(117)를 작동시켜 시건기(170)의 제어를 위한 신호주파수를 발생시키게 된다(P010).주파수발생부(117)에서 출력된 신호주파수는 후단의 신호송신부(118)로 전달되고, 신호송신부(118)에서는 입력된 신호주파수를 증폭하여 출력한다(P012).도어록수신단말기(140)의 검파부(145)에서는 이러한 신호주파수를 수신하고(P014), 이로부터 제어예비신호를 검출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41)로 전달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141)는 검출된 제어예비신호를 비교연산하여(P016). 제어신호 발생을 지시 출력한다.제어신호출력부(148)는 상기 지시출력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P018), 모터구동부(149)는 입력된 제어신호로부터 모터(171)를 구동할 수 있도록 증폭하여 출력함으로써(P020), 시건기(170)의 모터(171)를 구동시키게 된다(P022).따라서 도 6와 같이, 이 과정에서 모터(171)를 사용하여 구성된 기어(172)에 동력이 전달되어 전기적 신호를 받아 모터가 구동하며, 기어박스(179)와 결합하여 이루어진 동력전달부분의 기어(172)와 체결된 레일을 통하여 기어(173)가 동작함에 따라 동력이 전달되어 도어형틀 중앙부에 고정시키는 도어록 브라켓 홀(177)에 랙기어(173) 끝단에 장착된 키(174)가 들어가며 도어가 잠긴다.이렇게 되면 시건기(170)의 도어록키(174)를 작동시켜(P024), 결국 도어(출입문)를 잠그거나 열게 된다(P026).이 후 센서를 작동시켜(P028) 도어(출입문)의 잠금과 열림을 확인하게 된다.잠금 또는 열림 등 원하는 작동이 수행된 경우 벨출력부(147)에서는 경보(확인음)를 출력하게 되며(P030), 이러한 경보(확인음)를 확인하게 되면(P032) 시건기(170)를 정상작동시켜 원하는 과정을 완료하게 된다.
도어록송신단말기(110) 및 도어록수신단말기(140)의 각 일반전원공급부(112, 142)에서 필요한 전원공급이 차단될 시, 전원감지부(114, 144)는 이를 감지하여 비상배터리전원공급부(113, 143)의 비상배터리(113b, 143b)에 자동으로 충전되어 있던 전원이 각 구성부에 공급되므로, 일반전원의 공급이 끊긴 경우에도 본 실시예의 자동도어록장치는 정상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또한 도어록송신단말기(110)의 마이크로프로세서(111)에는 비밀번호입출력부(115)를 통하여 입력된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있게 되며, 이러한 비밀번호는 리셋부(116) 등을 통해 비밀번호를 수시로 변경할 수 있으며, 도어록송신단말기(110) 외부에 버튼을 부착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열쇠 분실 및 도난 등의 위험부담을 덜어주며 국내외를 막론하고 어느 장소에 있든지 장소와 위치의 구애를 받지 않고 출입문의 시건기를 조종할 수 있다.일례로 외출중인 경우 도어(출입문) 전면에 부착된 연락처를 통해 전화연락을 받아 전화를 한 사람의 신분이 확인하고, 외부에서 집으로 전화를 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전화기에 연결된 도어록송신단말기의 주파수발생부 등을 통해 제어신호를 발신하며, 도어(출입문)에 부착된 도어록수신단말기에서 이 제어신호를 분석 수신하여 시건기를 제어함으로써 도어(출입문)를 동작(잠금, 열림)시킬수 있게 된다.따라서 본 발명은 현재 유통되고 있는 모든 열쇠가 필요없이 전화 한통화로서 비밀번호만 입력하면 도어(출입문)의 잠김 및 열림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등, 사용이 편리하고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도어(출입문)의 개폐(잠금,열림)를 제어하는 도어록장치(잠금장치)에 있어서,
    가정이나 사무실의 실내에 있는 전화기에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걸려오는 전화번호 및 비밀번호를 확인하여 상기 도어록장치의 사용을 위한 확인을 수행하고, 정상확인시 상기 도어록장치의 개폐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여 전송하는 도어록송신단말기와,
    상기 도어록송신단말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검파함에 따라 자체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작동을 통해 상기 도어록장치를 개폐하기 위한 모터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도어록수신단말기와,
    상기 도어록수신단말기로부터의 모터제어신호에 따라 모터구동에 의해 도어록키를 작동시켜 상기 도어(출입문)를 개폐하는 시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유무선 원거리 자동도어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송신단말기는,
    상기 전화기에 연결되어 상기 전화기로부터 입력된 비밀번호를 전달받기 위한 비밀번호입출력부와,
    상기 비밀번호입출력부로부터의 비밀번호를 확인하여 상기 도어록장치의 작동가능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시건기의 개폐작동절차가 진행되도록 신호발생을 지시하며, 상기 도어록송신단말기의 각 구성부들의 작동을 유기적으로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리셋부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지시에 따라 개폐작동절차 진행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주파수발생부와,
    상기 주파수발생부로부터의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신호송신부와,
    일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일반전원공급부와,
    상기 일반전원공급부의 전원이 없거나 비상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평소 전원을 충전하는 비상배터리를 구비하고 있는 비상배터리전원공급부와,
    상기 각 구성부에서 이용되는 전원을 감지하여 상기 일반전원공급부에서의 전원공급 불가시 상기 비상배터리전원공급부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각 구성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록수신단말기는,
    상기 신호송신부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검파하는 검파부와,
    상기 검파부로부터의 신호 검파를 확인하여 상기 시건기의 개폐작동절차가 진행되도록 개폐제어신호 발생을 지시하며, 상기 도어록수신단말기의 각 구성부들의 작동을 유기적으로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리셋부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지시에 따라 개폐작동 진행을 위한 개폐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출력부와,
    상기 제어신호출력부의 개폐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시건기의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시건기의 의 개폐작동을 확인하여 지시된 작동수행을 알리는 벨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유무선 원거리 자동도어록장치.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송신단말기 및 도어록수신단말기는,
    상기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일반전원공급부와,
    평소 비상배터리를 자동으로 충전하여 상기 일반전원공급부의 전원공급 불가시나 비상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배터리전원공급부와,
    상기 일반전원공급부의 전원공급 불가시나 비상시에 상기 비상배터리전원공급부의 충전전원을 받아 공급하도록 전원을 감지하는 전원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유무선 원거리 자동도어록장치.
KR10-2000-0043899A 2000-07-28 2000-07-28 전화 유무선 원거리 자동도어록장치 KR100391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899A KR100391831B1 (ko) 2000-07-28 2000-07-28 전화 유무선 원거리 자동도어록장치
KR2020000021739U KR200207556Y1 (ko) 2000-07-28 2000-07-29 전화 유,무선 원거리 자동 도어록 (잠금, 열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899A KR100391831B1 (ko) 2000-07-28 2000-07-28 전화 유무선 원거리 자동도어록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739U Division KR200207556Y1 (ko) 2000-07-28 2000-07-29 전화 유,무선 원거리 자동 도어록 (잠금, 열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263A KR20000059263A (ko) 2000-10-05
KR100391831B1 true KR100391831B1 (ko) 2003-07-22

Family

ID=1968069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899A KR100391831B1 (ko) 2000-07-28 2000-07-28 전화 유무선 원거리 자동도어록장치
KR2020000021739U KR200207556Y1 (ko) 2000-07-28 2000-07-29 전화 유,무선 원거리 자동 도어록 (잠금, 열림)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739U KR200207556Y1 (ko) 2000-07-28 2000-07-29 전화 유,무선 원거리 자동 도어록 (잠금, 열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918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568B1 (ko) * 2000-11-23 2003-12-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0435202B1 (ko) * 2001-12-24 2004-06-22 주식회사 케이.티.씨.텔레콤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다기능 도어키
KR20030086173A (ko) * 2002-05-03 2003-11-07 조헌률 전화 발신자 표시를 이용하여 휴대전화를 열쇠로 사용하는자물쇠장치
KR20030095914A (ko) * 2002-06-15 2003-12-24 민예식 보조 도어 록 장치
KR20040001042A (ko) * 2002-06-26 2004-01-07 민예식 도어 로킹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9851U (ko) * 1995-02-15 1996-09-17 장재수 원격교환국 출입문 자동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9851U (ko) * 1995-02-15 1996-09-17 장재수 원격교환국 출입문 자동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263A (ko) 2000-10-05
KR200207556Y1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1005A (en) Door locking/unlocking system utilizing direct and network communications
US200200149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to a secure region
EP1335328A2 (en) Electronic key system
US20020025803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oor using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0576797B1 (ko) 홈오토메이션용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100711214B1 (ko) 도어폰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KR100391831B1 (ko) 전화 유무선 원거리 자동도어록장치
CN109219682B (zh) 电子锁系统和电子锁装置
CN101383082B (zh) 一种远程家庭电子防盗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JP2011094292A (ja) 電気錠システム
KR20140077428A (ko) 무선충전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01140515A (ja) 無線電話機を用いた錠制御方法及び錠制御システム
WO2001008115A1 (en) Keyless entry cellular phone
KR100728656B1 (ko) 조작부와 잠금 장치가 분리된 디지털 도어락 및 그 방법
JP2002070377A (ja) 電子錠制御システム
KR100836366B1 (ko)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JP4369625B2 (ja) 施錠/解錠システム及び施錠/解錠方法
JP6796804B2 (ja) 電気錠システム及び電気錠装置
KR100855125B1 (ko) 도주 방지용 방범 기능이 내장된 디지털 도어락을 이용한보안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04133797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における警戒モードの切替方法
JP2000226956A (ja) 電気錠暗証解錠装置
KR100470752B1 (ko) 리모콘을 이용한 방범 도어 시스템
KR100556040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잠금장치 및 자물쇠 개폐 방법
KR100547293B1 (ko) 외출시 창문의 열림 상태를 알려 주는 디지털 도어락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0165407Y1 (ko) 원격제어 및 원격감시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키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