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407Y1 - 원격제어 및 원격감시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키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원격제어 및 원격감시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키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407Y1
KR200165407Y1 KR2019990014039U KR19990014039U KR200165407Y1 KR 200165407 Y1 KR200165407 Y1 KR 200165407Y1 KR 2019990014039 U KR2019990014039 U KR 2019990014039U KR 19990014039 U KR19990014039 U KR 19990014039U KR 200165407 Y1 KR200165407 Y1 KR 2001654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omputer
electronic key
output
user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40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영
Original Assignee
정석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영 filed Critical 정석영
Priority to KR20199900140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4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4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4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난방지용 전자키 장치에 있어서 물리적인 키가 없어도 복수의 사용자가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비밀번호키를 구현하며, 특히 전화기로 원격제어 및 실내 침입자의 원격감시가 가능한 전자키 제어장치이다.

Description

원격제어 및 원격감시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키 제어장치{Electronic key controller for Remote Control and watching}
본 고안은 전자키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화기로 원격제어가 가능하고 실내 침입자를 원격감시 가능한 기술이다.
주택에 설치되는 키는 물리적으로 키를 삽입하여 사용하는 삽입키 방식과 외부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조작하는 비밀번호키 그리고 집안에서 전기스위치로 조작하는 전자키 방식 등 다양하게 실용화되어 있으며, 특정한 사용자만이 이를 열 수 있도록 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주택의 경우 장기간 외출하거나 먼거리로 출타하였을 때 가끔 옆집에 부탁하여 도어를 열고 들어가 보기를 원하는 경우도 있는데 물리적인 키(키를 삽입하여 조작하는 종래의 키 또는 카드형 키)를 설치한 경우에는 그 키가 없는 옆집에서는 이를 열고 들어갈 수 없으며, 만약 비밀번호키를 설치하였다 하더라도 비밀번호를 바꿀 때 가족이 모두 알아야하는 속성과 보안 누설의 이유로 다른 사람에게 비밀번호를 알리기 어려운 실정이므로 어느 방식이라도 원하는 사용환경을 충족시키기는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다.
또한 종래 주택이나 사무실에 설치되는 도난방지기와 전자키는 별도로 구성되므로 설치비나 원가구성이 높은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새로운 키 제어방식을 연구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고안의 제1목적은 물리적인 키가 없어도 키를 열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나아가 임의의 장소에서 원격제어 방식으로 키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코자 함에 있다.
본 고안의 제2목적은 비밀번호키 기능을 이용하여 실내 침입자를 감시하는 수단을 제공코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고안은 통신망과 키 제어장치를 연결하여 일반전화기로 비밀번호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며, 구체적으로는 마이컴을 이용하는 키 제어기능에 전화국의 교환망(PSTN)을 연결하여 비밀번호키를 구현함은 물론 실내 침입자를 감시하여 경보 발생·경보신호 원격전송·원격제어 기능을 수행토록 하는 구성수단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키 제어장치 실시 일례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 일례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으로서,
마이컴(7)의 제1입력단에 연결되며, 통신선로(L1, L2)에 공급되는 링신호를 감지하여 마이컴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의 링검출부(1);
마이컴(7)의 링출력단에 연결되어 마이컴에서 출력되는 링출력에 의하여 통신선로(L1, L2)를 연결 및 해지하는 수단의 루프제어부(2);
마이컴(7)의 제2입력단에 연결되어 통신선로(L1, L2)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마이컴에 제공하기 위한 수단의 데코더(3);
마이컴(7)의 응답출력단에 연결되어 마이컴에서 출력되는 응답신호를 통신선로(L1, L2)로 공급하기 위한 응답부(4);
마이컴(7)의 제3입력단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키패드(5);
마이컴(7)의 표시출력단에 연결되어 마이컴에 기억된 사용자 정보 및 프로그램 정보를 화면에 표시토록 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표시부(6)
마이컴(7)의 제4입력단에 연결되며, 도어가 잠긴 상태에서 불의의 침입자를 감시하는 센서(8);
마이컴(7)의 경보출력단에 연결되어 마이컴에서 출력되는 경보음을 음향으로 나타내도록 하는 경보부(9);
상기 센서(8)에 연결되어 내부에 침입자가 발생되는 이상상태를 감지하고 사용자 비밀번호가 검증되지 않은 상황에서 센서(8)가 출력을 발생하면 경보출력단에 경보음을 발생 및 원격지 전화번호로 알람신호를 자동 송출하는 수단, 상기 링검출부(1)에 연결되어 통신선로에서 공급되는 링신호를 계수하여 루프제어부(2)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망 연결 및 해지 수단, 상기 데코더(3)에 연결되어 통신선로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응답부(4)를 경유하여 그에 상응한 응답신호를 통신선로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 상기데코더(3)에서 공급되는 제어신호와 키패드에 의한 조작신호와 예약된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전자키출력단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 키패드(5)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이를 저장하고 자체 예약프로그램을 구성하며 사용자 조작정보를 입력하는 수단 및 표시출력단에 마이컴에서 수행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컴(7);
마이컴(7)의 출력으로 전원을 공급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되는 전자키(12);를 상기 마이컴(7)의 전자키출력단에 연결하여서 키패드 또는 전화기로 전자키를 조작 및 원격 감시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다만 제1도의 구성에서 센서(8)와 경보부(9)는 생략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센서(8)는 주로 실내에 설치되는 적외선 센서이다. 미 설명부호(11)은 제어장치에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이며, 정전을 감안하여 축전지 구성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도 실시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키패드(5)로 비밀번호를 기억시키면 마이컴은 이를 저장하고 이후부터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일치여부로 검증하는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전자키(12)는 일반 주택의 대문에서 사용되는 전기제어 방식의 키(Door Lock)로 동작되며, 사용자가 키패드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도어가 개방되는 기능으로 사용된다.
표시부(6)는 마이컴을 조작할 때 그 운용정보 및 프로그램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기능으로 구성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를 삭제할 수도 있다.
마이컴(7)은 자체 예약 프로그램을 수행토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상점 등에 이 키를 설치하였을 때 사람이 없는 야간의 특정한 시각 예를 들면 저녁 8시 ∼ 아침 8시까지만 비밀번호키로 한정하여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전화기로 비밀번호키를 조작하는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화기로 해당되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하면 선로(L1, L2)에는 DC48V+AC27V의 상당히 높은 고전압이 일정한 간격의 주기적으로 공급되며, 이 전압 중 교류성분(AC27V)만을 검출하여 링검출부(1)는 마이컴에 링신호로 전달하게 된다.
이 주기적으로 공급되는 링신호가 미리 설정한 횟수(예를 들면 10회)에 도달하면 마이컴(7)은 루프제어부(2)를 기동시켜 선로를 연결하게 된다. 이 선로를 연결하는 구체적인 회로는 주로 릴레이로 구성되지만 그 작용이 전화기에서 사용자가 수화기를 든 것과 같은 작용으로 간주된다.
이어서 마이컴은 응답부(4)를 경유하여 전화기로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하며, 이어서 '사용자 비밀번호(예를 들면 1234) 입력 → 확인신호(접근 허락을 확인시키는 '삐-'소리 등) 응답 → 제어코드(예를 들면 잠금코드 # # # 000 또는 열림코드 * * * 111 또는 상태확인 코드 # * # * 222) 입력 → 전자키 동작 → 확인신호 응답(전자키 동작확인 또는 상태확인 코드에 응답하는 잠김상태 확인신호 '삐-삐' 및 열림상태 확인신호 '삐-삐-삐-삐' 등) → 전화연결 해지'의 순서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비밀번호키와 사용자는 상호 통신을 수행하게 되지만 응답 신호는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용자와 기계가 응답하는 DTMF 신호로 구성할 수도 있고, 마이컴에 저장되는 음성신호를 이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통신기능에 의하여 비밀번호를 변경, 예약기능 운용, 링신호 검출횟수 변경, 자동송출 전화번호 지정·변경 등의 조작은 물론이며, 원격지에서 전화기로 전자키의 잠김 또는 열림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원격감시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 비밀번호키는 설정된 기간 중에는 사용자가 문을 잠그지 않고 일정기간을 방치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잠그는 작동을 추가시킬 수 있으며, 종래 키삽입 방식에서는 물리적인 키를 준비하지 않고 외출하였을 경우 열 수 없었으나 비밀번호키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밖에서 어느 때라도 문을 열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실내에 전화기를 이용하여 보일러 등을 제어하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구비하고자 하면 홈오토메이션과 같이 기능선택 과정의 한 단계 프로세스가 더 진행될 것이지만 그렇다고 하여서 본 고안이 홈오토메이션과 같은 기능으로 취급되어서는 아니되는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여 비밀번호키는 물론이며 아래와 같은 도난방지기의 기능을 통합 또는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제반 기능을 구비하므로 독특한 전문성이 있기 때문이다.
본 고안의 전자키는 별도의 도난방지 기능을 아울러 구현할 수 있는데 실내에 설치되는 센서(8)와 결합하여 다음과 같은 도난방지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Door Lock 상태에서 전자키 제어장치에 사용자 비밀번호가 입력되지 않고 센서(8)로부터 출력이 발생되었을 때는 실내에 다른 경로로 침입자가 발생되었다고 마이컴이 인식함으로써 제어장치는 경보부(9)를 구동하여 알람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이 알람신호는 주로 이웃간에 상호 연결되는 기능이라 보면 무방하다.
이 경보음은 두 가지 구성으로 발생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마이컴의 디지털 제어신호로 경보부(9)가 직접 경보신호를 발생토록 하거나 마이컴(7)에서 음향출력을 발생하고 그 신호를 증폭하는 기능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마이컴(7)은 내부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이때 자동적으로 자동송출용 전화번호를 Upload 하고 루프제어부(2)와 응답부(4)를 제어하여 미리 기억시킨 원격지 전화번호로 알람신호를 전송하게 되며, 이 기능은 휴대폰 등 사용자가 외출중인 장소로 전달하는 목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마이컴에 구성되는 프로그램은 비밀번호설정함수, 센서검출함수, 리모콘함수, 타이머예약함수, Alarm함수, 비밀번호검증함수, 전자키제어함수, 표시함수 및 통신망제어함수 등이 포함되는데 이들 역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밀번호설정함수는 초기값이나 비밀번호를 변경하였을 때 키패드로 이를 입력하고 저장하는 함수이다.
센서검출함수는 실내에 침입한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디지털 방식의 On-Off 출력을 발생하는 함수이며, 이 센서검출함수는 전자키가 잠겨졌을 때만 감지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항상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도 있으나 도난방지용 센서출력으로 활용하는 것은 전자키가 잠겨진 상황에서만 가능토록 구성된다.
Remocon함수는 차량과 같은 도난방지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리모콘 스위치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나 이 Remocon함수는 제1도의 (12)와 같이 지문인식이나 카드 인식등 첨단기능을 포함한다.
타이머예약함수는 사용자가 예약하는 기간에는 전자키를 자동적으로 폐쇄시키고, 이 기간 이외에는 자동적으로 전자키를 개방시키는 기능으로 구성된다.
Alarm함수는 센서검출함수에 의하여 출력이 발생되었을 때 종래의 도난방지기 기능으로 경보음을 발생하는 함수를 주로 지칭하는 것이나 이 경보음은 모르스부호 등 소리의 종류로 인식하는 별도의 발명을 추가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비밀번호검증함수는 사용자 비밀번호를 조작하는 것을 비밀번호설정함수로 저장된 것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검증하는 함수이며, 만약 일치하지 않을 때 몇 번의 조작 이후는 또 다른 수단 예를 들면 비밀번호를 다단계로 자동 확장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키제어함수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였을 때 전기적인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여 전자키를 잠그거나 여는 기능이며, 표시함수는 표시부에 마이컴의 정보 또는 사용자 조작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함수이다.
통신망제어함수는 전화기를 이용하여 대화형식으로 원격제어가 가능토록 전화선을 연결·해지하거나 통신망으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며, 이 통신망제어함수에는 사용자가 미리 기억시키는 전화번호로 알람신호를 자동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일례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의 구성소자를 취사선택적으로 배제하거나 혼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특히 전자키는 도어를 개방하는 기능에만 한정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설명에는 세부적인 구성소자를 배제하고 기능 위주로 설명하였는데 이것은 이와 같은 기능적인 설명만으로도 이 분야 당업자라면 구체적인 구성을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불의의 침입자로부터 안전성을 향상시켜 특히 주택이나 사무실에 있어서 도난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내 침입자의 원격감시가 가능하고 원격지에서 Software적 전자키 조작으로 임의로 도어(Door)를 개폐시킬 수 있게 되어 도난 예방효과는 물론, 사용자의 편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비밀번호키와 도난방지기가 통합되므로 원가를 절감하고 마이컴을 이용하여 장치가 콤팩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전원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전자키 제어장치에 있어서,
    마이컴(7)의 제1입력단에 연결되며, 통신선로(L1, L2)에 공급되는 링신호를 감지하여 마이컴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의 링검출부(1);
    마이컴(7)의 링출력단에 연결되어 마이컴에서 출력되는 링출력에 의하여 통신선로(L1, L2)를 연결 및 해지하는 수단의 루프제어부(2);
    마이컴(7)의 제2입력단에 연결되어 통신선로(L1, L2)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마이컴에 제공하기 위한 수단의 데코더(3);
    마이컴(7)의 응답출력단에 연결되어 마이컴에서 출력되는 응답신호를 통신선로(L1, L2)로 공급하기 위한 응답부(4);
    마이컴(7)의 제3입력단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비밀번호키를 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키패드(5);
    마이컴(7)의 제4입력단에 연결되며, 도어가 잠긴 상태에서 불의의 침입자를 감시하는 센서(8);
    마이컴(7)의 경보출력단에 연결되어 마이컴에서 출력되는 경보음을 음향으로 나타내도록 하는 경보부(9);
    상기 센서(8)에 연결되어 내부에 침입자가 발생되는 이상상태를 감지하고 사용자 비밀번호가 검증되지 않은 상황에서 센서(8)가 출력을 발생하면 경보출력단에 경보음을 발생 및 원격지 전화번호로 알람신호를 자동 송출하는 수단, 상기 링검출부(1)에 연결되어 통신선로에서 공급되는 링신호를 계수하여 루프제어부(2)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망 연결 및 해지 수단, 상기 데코더(3)에 연결되어 통신선로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응답부(4)를 경유하여 그에 상응한 응답신호를 통신선로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 상기 데코더(3)에서 공급되는 제어신호와 키패드에 의한 조작신호와 예약된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전자키출력단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 키패드(5)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이를 저장하고 사용자 조작정보를 입력하는 수단으로 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컴(7);
    마이컴(7)의 출력으로 전원을 공급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되는 전자키(12);를 상기 마이컴(7)의 전자키출력단에 연결하여서 키패드 및 전화기로 전자키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키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마이컴에는 자체 예약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수단을 포함하여서 사용자가 지정하는 기간에 전자키가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키 제어장치.
KR2019990014039U 1999-07-15 1999-07-15 원격제어 및 원격감시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키 제어장치 KR2001654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039U KR200165407Y1 (ko) 1999-07-15 1999-07-15 원격제어 및 원격감시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키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039U KR200165407Y1 (ko) 1999-07-15 1999-07-15 원격제어 및 원격감시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키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5407Y1 true KR200165407Y1 (ko) 2000-02-15

Family

ID=19581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4039U KR200165407Y1 (ko) 1999-07-15 1999-07-15 원격제어 및 원격감시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키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4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08268B1 (en) Remote activation system
US20070293208A1 (en) Wireles switching control system for building automation, lighting, security and appliances
WO2006038760A1 (en) Videophone having multi-function
JP2006031712A (ja) インターネットを通じた共同住宅のセキュリティーシステム及び方法
CN101383082B (zh) 一种远程家庭电子防盗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100415018B1 (ko) 단일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인터넷, 전자무인경비 및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KR200165407Y1 (ko) 원격제어 및 원격감시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키 제어장치
KR100718196B1 (ko) 다단계 보안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237830B1 (ko) 홈 네트워크에서 제어모드가 자동 변환되는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JP2005278068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0585377B1 (ko)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락 제어장치 및 그 방법
EP1732050A1 (en) Apparatus control system
KR100391831B1 (ko) 전화 유무선 원거리 자동도어록장치
KR20030042479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도어개폐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0700975B1 (ko) 휴대폰이 내장된 비상문 개폐장치
KR101049929B1 (ko) 전자제품 제어장치
KR200407889Y1 (ko) 홈오토메이션의 모드선택기능이 구비된 전자식 도어록 장치
JPH0586756A (ja) 電気錠操作制御ユニツ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気錠制御機能を有した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0195140B1 (ko) 집단 주택 시스템의 세대 호출방법
KR20070118844A (ko) 도어 제어 장치
KR100470752B1 (ko) 리모콘을 이용한 방범 도어 시스템
KR200214739Y1 (ko) 통신기기를 이용한 원격 건물 관리 시스템
JP3079280B2 (ja) 集合住宅用監視通話システム
KR100685813B1 (ko) 서버 피씨와 카메라 및 인터폰을 이용한 출입통제 장치 및그 제어 방법
JP3621436B2 (ja) 集合住宅の電気錠解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