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1783B1 - 현미 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현미 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1783B1
KR100391783B1 KR10-2000-0058358A KR20000058358A KR100391783B1 KR 100391783 B1 KR100391783 B1 KR 100391783B1 KR 20000058358 A KR20000058358 A KR 20000058358A KR 100391783 B1 KR100391783 B1 KR 100391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brown rice
temperature
drying
produc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8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7745A (ko
Inventor
정기봉
Original Assignee
정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봉 filed Critical 정기봉
Priority to KR10-2000-0058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1783B1/ko
Publication of KR20020027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7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7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5/00Grain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2B5/02Combined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1/00Preparing grain for milling or like processes
    • B02B1/02Dry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1/00Preparing grain for milling or like processes
    • B02B1/04Wet treatment, e.g. washing, wetting, soft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Abstract

본 고안은 양질의 현미를 대량 생산하여 오랜 기간 보관하면서 식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현미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벼가 80 ∼ 100% 익은 상태에서 수확하는 벼수확단계와, 상기 벼를 세척기에 넣고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벼세척단계와, 상기 세척된 벼를 오븐기에 넣어 져내는 벼찜단계와, 상기 찐 벼를 건조기에 넣어 건조시키는 찐벼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된 찐 벼를 현미기에 넣어 찐 벼의 외피를 벗겨내는 찐벼외피제거단계를 거쳐 현미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 생산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현미 생산 방법{UNCLEANED RICE PRODUCE SYSTEM}
본 발명은 현미 생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양질의 현미를 오랜기간 저장하여 식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현미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벼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녹말의 배젖(11)과 쌀눈인 배아(12)를 호분(13)과 종피(14)와 과피(15)가 순차적으로 둘러 ??여져 이루어진 쌀이 외피(16)에 감싸여 구성되며, 현미는 상기 벼(10)를 이루는 구성 중 외피(16)만을 볏겨 낸 것이고, 상기 현미에서 과피(15)와 중피와 호분(13)과 배아(12)를 깍아내고 남은 배젖(11)만으로 이루어진 것이 흔히 밥을 지어 먹게되는 백미이다.
그러나, 이러한 백미는 현미와 비교하여 볼 때 도 1b에 제시한 바와 같이 당질을 제외한 단백질, 지방질, 식이섬유, 인, 철분, 칼륨, 비타민B1, 비타민B2, 나이어신 등이 현미에 비해 현격히 떨어지게 것임으로 쌀의 영양분을 골고루 섭취할 수 없어 점차적으로 현미를 섭취하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와 같이 영양분이 풍부한 현미를 생산하는 종래의 과정은 통상적으로 논에서 벼(10)가 100%로 완전히 익은 경우 상기 벼(10)를 수확한 후 들판이나 마당에서 상온으로 말려 건조시킨 다음 건조된 벼(10)를 현미기로 찌어 외피(16)를 벗겨 냄으로써 현미를 만들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현미 생산 과정은 벼(10)를 수확하여 상온에서 말려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됨으로 전체적으로 현미의 생산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됨은 물론 벼(10)를 말려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돌과 같은 이물질이 섞이기 되고, 또 상기 벼(10)과 과잉 건조되면 벼(10)의 외피(16) 내부에 있는 쌀의 과피(15)와 종피(14)와 호분(13)이 갈라지게 됨으로 현미기로 벼(10)를 찌어 외피(16)를 벗겨내는 과정에서 외피(16) 속의 쌀이 깨지게 되어 벼가 현미로 만들어지는 수확량이 적어지게 되며, 특히 벼(10)는 과일과 같아서 벼(10)의 외피(16)를 벗어내 현미로 만드는 순간부터 약 7일 정도 지나게되면 공기와 접촉되는 쌀의 과피(15)와 종피(14)와 호분(13)이 순차적으로 산화가 시작되고 약 15일 정도 지나면 쌀의 맛과 영양이 급격히 사라지기 시작함으로 연양분이 풍부한 현미를 오랜 기간 신선하여 보존하여 식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양질의 현미를 대량 생산하여 오랜 기간 보관하면서 식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현미 생산 방법을 제공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벼가 80 ∼ 100% 익은 상태에서 수확하는 벼수확단계와, 상기 벼를 세척기에 넣고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벼세척단계와, 상기 세척된 벼를 오븐기에 넣어 져내는 벼찜단계와, 상기 찐 벼를 건조기에 넣어 건조시키는 찐벼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된 찐 벼를 현미기에 넣어 찐 벼의 외피를 벗겨내는 찐벼외피제거단계를 거쳐 현미가 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 생산 방법이 제공된다.
도 1a는 벼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b는 현미와 백미의 영양성분을 나타낸 비교표.
도 2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현미 생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b는 본 고안인 현미 생산 방법에 의해 벼가 현미로 만들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인 현미 생산 방법의 주요부인 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현미 생산 방법의 주요부인 오븐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현미 생산 방법의 주요부인 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현미 생산 방법의 주요부인 수증기발생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인 현미 생산 방법의 주요부인 열풍발생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벼수확단계 2 : 벼세척단계
3 : 벼찜단계 4 : 찐벼건조단계
5 : 찐벼외피제거단계 6 : 현미포장단계
10 : 벼 11 : 배젖
12 : 배아 13 : 호분
14 : 종피 15 : 과피
16 : 외피 100 : 세척기
110 : 저류통체 111 : 쳄버
120 : 안내통체 121 : 통공
130 : 배출덕트 140 : 교반스크류
141 : 모터 200 : 오븐기
210 : 오븐기본체 211 : 찜실
212 : 입구 213 : 출구
220 : 레일 230 : 대차
240 : 찜트레이 250 : 수증기발생수단
251 : 수조 252 : 열샤프트
253 : 스위치 254 : 온도감지센서
255 : 온도조절스위치 256 : 타이머
257 : 컨트롤러 257a : 정류부
258 : 릴레이 259 : 디스플레이부
280 : 자동이송수단 281 : 구동모터
282 : 체인 283 : 주동스플라켓
284 : 종동스플라켓 285 : 걸림편
286 : 걸편 300 : 건조기
310 : 건조기본체 311 : 건조실
312 : 입구 313 : 출구
320 : 레일 330 : 대차
340 : 건조트레이 350 : 열풍발생수단
351 : 히터봉 352 : 송풍기
353a : 스위치 353b : 스위치
354 : 온도감지센서 355 : 온도조절스위치
356 : 타이머 357 : 컨트롤러
357a : 정류부 358a : 제1릴레이
358b : 제2릴레이 359 : 디스플레이부
400 : 현미기
이하 본 발명인 현미 생산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현미 생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인 현미 생산 방법에 의해 벼가 현미로 만들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현미 생산 방법은 벼(10)가 논에서 약 80 ∼ 100% 익은 상태에서 수확하는 벼수확단계(1)와, 상기 벼(10)를 세척기(100)에 넣고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벼세척단계(2)와, 상기 세척된 벼(10)를 오븐기(200)에 넣어 100℃이상으로 약20분간 져내는 벼찜단계(3)와, 상기 찐 벼(10)를 건조기(300)에 넣어 함수량이 15%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시키는 찐벼건조단계(4)와, 상기 건조된 찐 벼(10)를 현미기(400)에 넣어 찐 벼(10)의 외피(16)를 벗겨내는 찐벼외피제거단계(5)를 거쳐 현미가 생산되도록 구성되며, 이후 현미를 일정량씩 용기에 담아 포장하는 현미포장단계(6)가 포함된다.
상기 세척기(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개구된 저류통체(110)의 쳄버(111) 내부에 물과 벼(10)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상하 개구된 통공(121)을 갖는 안내통체(120)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저류통체(110)의 상단부 외부연에는 배출덕트(130)가 둘레를 따라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안내통체(120)의 내부에는 모터(141)에 의해 회전되는 교반스크류(140)가 배치되어 구성된 것으로, 상기 안내통체로 물과 벼를 함께 넣으면 상기 교반스크류가 회전되면서 물이 교반되면서 와류되어 벼를 세척하게되고, 세척된 벼는 물과 함께 안내통체의 하부 통공을 지나 저류통체의 쳄버 상부로 부상되면서 배출덕트로 배출되며, 상기 배출덕트로 벼와 함께 배출된 물은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어 배출덕트에는 세척된 벼만 잔류하게된다.
상기 오븐기(2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212)와 출구(213)를 갖는 오븐기본체(210)의 찜실(211) 바닥에 레일(220)이 배치되고, 상기 레일(220)에는 대차(230)가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대차(230)의 상단에는 세척된 벼(10)를 담는 다수의 찜트레이(240)가 적층되고, 상기 오븐기본체(210)의 하부에는 찜트레이(240)에 담긴 벼(10)를 익히기 위한 고온의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수증기발생수단(250)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수증기발생수단(250)은 상기 레일(220)의 하부에 위치한 찜실(211)의 바닥에 배치되어 물이 담기도록 하는 수조(251)와,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켜 발생된 열로 물을 가열시켜 수증기를 만들도록 상기 수조(251)의 내부에는 배치되는 열샤프트(252)와, 상기 열샤프트(252)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폐하는 스위치(253)와, 상기 수증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254)와, 상기 열샤프트(252)의 가열온도를 입력하는 온도조절스위치(255)와, 상기 열샤프트(252)로 인가되는 전원 공급 시간을 감지하는 타이머(256)와, 상기 온도감지센서(254) 타이머(256) 온도조절스위치(255)의 신호에 따라 열샤프트(252)의 구동을 제어하는컨트롤러(257)와, 상기 컨트롤러(257)로 공급되는 교류가 직류로 변환되도록 하는 정류부(257a)와, 상기 컨트롤러(257)의 신호에 따라 열샤프트(252)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폐하는 릴레이(258)와, 상기 열샤프트(252)의 작동여부 및 가열된 열샤프트(252)의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59)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열샤프트(252)에 의해 물이 가열되어 발생되는 수증기의 온도가 온도조절스위치(255)에서 지정한 온도가 되면, 이를 온도감지센서(254)가 감지하여 컨트롤러(257)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254)의 신호를 받은 콘트롤러(257)는 릴레이(258)를 제어하여 열샤프트(252)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오븐기본체(210)의 찜실(211)이 일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때에 상기 콘트롤러(257)와 연결된 디스플레이부(259)에는 열샤프트(252)의 작동여부 및 수증기의 온도 등이 표시된다.
상기 건조기(30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312)와 출구(313)를 갖는 건조기본체(310)의 건조실(311) 바닥에 레일(320)이 배치되고, 상기 레일(320)에는 대차(330)가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대차(330)의 상단에는 익혀진 벼(10)를 담는 다수의 건조트레이(340)가 적층되고, 상기 건조기본체(310)의 하부에는 건조트레이(340)에 담긴 벼(10)를 건조시키기 위한 열풍을 발생시키는 열풍발생수단(350)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열풍발생수단(350)은 상기 레일(320)의 하부에 위치한 건조실(311)의 바닥에 배치되며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봉(351)과, 상기 히터봉(351)에서 발생되는 열이 건조실(311) 내부에 골고루 분포되어 휘산되도록 하는 송풍기(352)와, 상기 히터봉(351) 및 송풍기(352)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폐하는 스위치(353a)(353b)와, 상기 건조실(311)의 공기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354)와, 상기 히터봉(351)의 가열온도를 입력하는 온도조절스위치(355)와, 상기 히터봉(351) 및 송풍기(352)로 인가되는 전원 공급 시간을 감지하는 타이머(356)와, 상기 온도감지센서(354) 타이머(356) 온도조절스위치(355)의 신호에 따라 히터봉(351)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357)와, 상기 컨트롤러(357)로 공급되는 교류가 직류로 변환되도록 하는 정류부(357a)와, 상기 컨트롤러(357)의 신호에 따라 히터봉(351) 및 송풍기(352)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폐하는 제1릴레이(358a) 및 제2릴레이(358b)와, 상기 히터봉(351)과 송풍기(352)의 작동여부 및 가열된 히터봉(351)의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59)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건조기본체(310)의 건조실(311) 온도가 온도조절스위치(355)에서 지정한 온도 이상이 되면, 이를 온도감지센서(354)가 감지하여 컨트롤러(357)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354)의 신호를 받은 콘트롤러(357)는 제1릴레이(358a) 및 제2릴레이(358b)를 제어하여 히터봉(351)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건조기본체(310)의 건조실(311)이 일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때에 상기 콘트롤러(357)와 연결된 디스플레이부(359)에는 히터봉(351) 및 송풍기(352)의 작동여부 그리고 건조실(311)의 온도 등이 표시된다.
한편, 오븐기(200)의 찜실(211)과 건조기(300)의 건조실(311) 바닥에는 경우에 따라 레일(220)(320)의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구동모터(281)에 의하여 구동되는 체인(282)이 주동스플라켓(283)과 종동스플라켓(284)에 의해 권취되어 배치되고,상기 대차(330)(230)의 저면에는 걸림편(285)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체인(282)에는 일정간격으로 걸편(286)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편(285)과 걸편(286)의 걸림 및 해지 작용에 의해 상기 대차(330)(230)가 레일(220)(320)을 따라 입구(212)(312)쪽에서 출구(213)(313)쪽으로 자동 이송되도록 하는 자동이송수단(28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현미 생산 방법은 논에서 수확한 벼(10)를 일차적으로 깨끗이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기 때문에 현미기(400)로 벼(10)의 외피(16)를 벗겨낼 경우 불순물로 인하여 벼(10)의 외피(16) 내부에 있는 쌀의 파손을 억제하여 벼(10)를 현미로 만드는 생산량이 증가됨은 물론 비교적 청결한 고품질의 현미를 얻을 수 있게된다.
또한, 세척된 벼(10)를 져서 익힌 후 건조시키기 때문에 벼(10)의 내부에 있는 쌀의 호분(13)과 종피(14)와 과피(15)가 상호 단단하게 응결되면서 배젖(11)과 배아(12)를 감싼 상태가 되므로 벼(10)를 현미기(400)에 넣어 외피(16)를 벗겨내는 경우 쌀이 깨지지 않아 벼(10)를 현미화 하는 수확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쌀이 익혀져 건조된 상태가 됨으로 공기와 접촉되어도 쉽게 산화되지 않기 때문에 현미를 오랜 기간 신선하게 보존하여 식용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벼가 논에서 약 80 ∼ 100% 익은 상태에서 수확된 벼를 세척하고, 이후 세척된 벼를 쪄서 익힌 후 건조시킨 다음 현미기에 넣어 외피를 벗겨내어 현미를 생산하는 본 발명인 현미 생산 방법은 벼가 논에서 약 80 ∼ 100% 정도 익었을 경우 미리 수확하여 현미로 제조하기 때문에 벼를 수확하기 직전에 자연재해인 태풍이나 홍수 등으로 인하여 쓰러져 벼려지게 되는 벼를 모두 재생하여 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현미로 만들 수 있음으로 재해로 인한 벼의 낭비 및 쌀의 증산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확된 벼를 깨끗이 세척하기 때문에 현미의 신선도 및 청결성을 높을 수 있으며, 특히 세척된 벼를 져서 익힌 후 건조시켰기 때문에 벼의 내부에 있는 쌀이 단단해 짐으로 벼를 현미기에 넣어 외피를 벗겨내는 경우 쌀이 깨지지 않게 됨으로 통상적으로 벼를 현미로 만드는 수확량이 증가됨은 물론 벼가 익혀져 건조된 상태임으로 벼의 외피가 벗기고 남은 현미가 공기와 접촉되더라도 산화되거나 변질되지 않음으로 현미를 오랜 기간 신선하게 보존하여 식용할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벼(10)가 80 ∼ 100% 익은 상태에서 수확하는 벼수확단계와, 상기 벼(10)를 세척기(100)에 넣고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벼세척단계(2)와, 상기 세척된 벼(10)를 오븐기(200)에 넣어 져내는 벼찜단계(3)와, 상기 찐 벼(10)를 건조기(300)에 넣어 건조시키는 찐벼건조단계(4)와, 상기 건조된 찐 벼(10)를 현미기(400)에 넣어 찐 벼(10)의 외피(16)를 벗겨내는 찐벼외피제거단계(5)를 거쳐 현미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 생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기(100)는 상측 개구된 저류통체(110)의 쳄버(111) 내부에 물과 벼(10)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상하 개구된 통공(121)을 갖는 안내통체(120)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저류통체(110)의 상단부 외부연에는 배출덕트(130)가 둘레를 따라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안내통체(120)의 내부에는 모터(141)에 의해 회전되는 교반스크류(140)가 배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 생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븐기(200)는 입구(212)와 출구(213)를 갖는 오븐기본체(210)의 찜실(211) 바닥에 레일(220)이 배치되고, 상기 레일(220)에는대차(230)가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대차(230)의 상단에는 세척된 벼(10)를 담는 다수의 찜트레이(240)가 적층되고, 상기 오븐기본체(210)의 하부에는 찜트레이(240)에 담긴 벼(10)를 익히기 위한 고온의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수증기발생수단(250)이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 생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300)는 입구(312)와 출구(313)를 갖는 건조기본체(310)의 건조실(311) 바닥에 레일(320)이 배치되고, 상기 레일(320)에는 대차(330)가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대차(330)의 상단에는 익혀진 벼(10)를 담는 다수의 건조트레이(340)가 적층되고, 상기 건조기본체(310)의 하부에는 건조트레이(340)에 담긴 벼(10)를 건조시키기 위한 열풍을 발생시키는 열풍발생수단(350)이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 생산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발생수단(250)은 상기 레일(220)의 하부에 위치한 찜실(211)의 바닥에 배치되어 물이 담기도록 하는 수조(251)와,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켜 발생된 열로 물을 가열시켜 수증기를 만들도록 상기 수조(251)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샤프트(252)와, 상기 열샤프트(252)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폐하는 스위치(253)와, 상기 수증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254)와, 상기 열샤프트(252)의 가열온도를 입력하는 온도조절스위치(255)와, 상기 열샤프트(252)로 인가되는 전원 공급 시간을 감지하는 타이머(256)와, 상기 온도감지센서(254) 타이머(256) 온도조절스위치(255)의 신호에 따라 열샤프트(252)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57)와, 상기 컨트롤러(257)로 공급되는 교류가 직류로 변환되도록 하는 정류부(257a)와, 상기 컨트롤러(257)의 신호에 따라 열샤프트(252)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폐하는 릴레이(258)와, 상기 열샤프트(252)의 작동여부 및 가열된 열샤프트(252)의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59)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 생산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발생수단(350)은 상기 레일(320)의 하부에 위치한 건조실(311)의 바닥에 배치되며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봉(351)과, 상기 히터봉(351)에서 발생되는 열이 건조실(311) 내부에 골고루 분포되어 휘산되도록 하는 송풍기(352)와, 상기 히터봉(351) 및 송풍기(352)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폐하는 스위치(353a)(353b)와, 상기 건조실(311)의 공기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354)와, 상기 히터봉(351)의 가열온도를 입력하는 온도조절스위치(355)와, 상기 히터봉(351) 및 송풍기(352)로 인가되는 전원 공급 시간을 감지하는 타이머(356)와, 상기 온도감지센서(354) 타이머(356), 온도조절스위치(355)의 신호에 따라 히터봉(351)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357)와, 상기 컨트롤러(357)로 공급되는 교류가 직류로 변환되도록 하는 정류부(357a)와, 상기 컨트롤러(357)의 신호에 따라 히터봉(351) 및 송풍기(352)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폐하는 제1릴레이(358a) 및 제2릴레이(358b)와, 상기 히터봉(351)과 송풍기(352)의 작동여부 및 가열된 히터봉(351)의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59)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 생산 방법.
  7.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220)(320)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구동모터(281)에 의하여 구동되는 체인(282)이 주동스플라켓(283)과 종동스플라켓(284)에 의해 권취되어 설치되고, 상기 대차(330)(230)의 저면에는 걸림편(285)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체인(282)에는 일정간격으로 걸편(286)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편(285)과 걸편(286)의 걸림 및 해지 작용에 의해 상기 대차(330)(230)가 레일(220)을 따라 입구(212)(312)쪽에서 출구(213)(313)쪽으로 자동 이송되도록 하는 자동이송수단(280)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 생산 방법.
KR10-2000-0058358A 2000-10-05 2000-10-05 현미 생산 방법 KR100391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358A KR100391783B1 (ko) 2000-10-05 2000-10-05 현미 생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358A KR100391783B1 (ko) 2000-10-05 2000-10-05 현미 생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745A KR20020027745A (ko) 2002-04-15
KR100391783B1 true KR100391783B1 (ko) 2003-07-16

Family

ID=19691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358A KR100391783B1 (ko) 2000-10-05 2000-10-05 현미 생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17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873B1 (ko) * 2009-08-18 2011-08-09 대한민국 쌀벌레 발생 억제를 위한 도정장치
CN104689866B (zh) * 2015-02-15 2017-06-06 德清龙溪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稻谷预处理装置
CN107583711A (zh) * 2017-07-31 2018-01-16 安徽省明光市中富粮油食品贸易有限公司 一种保质期长碎米率低的大米的加工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745A (ko) 200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65282B2 (en) Heating, cooking and disinfecting apparatus
DK153990B (da) Dampopvarmet kogeapparat til kogning af ikke-emballerede levnedsmidler
CN109619481A (zh) 一种防氧化的果干制作方法
WO20100749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eam-cooking
CN101632465A (zh) 高水分烤虾加工方法
JP2007129994A (ja) 青梅又は完熟梅の加工処理装置並びに梅製品製造方法
KR100391783B1 (ko) 현미 생산 방법
JP3139990B2 (ja) 加熱調理殺菌装置
CN107361088A (zh) 一种隧道式连续化过热蒸汽烤制装置
CN109619605B (zh) 一种红枣真空脉动红外去皮装置及方法
CN110679863A (zh) 一种卤制风味淡水鱼制品制备方法与智能化生产线
CN1081898C (zh) 热风与冷风结合干燥果蔬的方法
KR101030181B1 (ko) 유과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698037B1 (ko) 건나물 제조시스템
JP3139987B2 (ja) 加熱調理殺菌装置
KR100205961B1 (ko) 은행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CN110973535A (zh) 一种番薯干的加工设备及加工方法
CN214156005U (zh) 连续隧道式真空低温油炸机
CN109770269A (zh) 一种鱼豆腐工业化生产线
US2026022A (en) Canning apparatus
CN219438174U (zh) 蛋类产品加工生产线
CN218831813U (zh) 果蔬浸泡保鲜沥干装置
CN209527783U (zh) 一种热漂机
JPS621706B2 (ko)
CN109662330A (zh) 一种制作效率高的果干制作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