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0991B1 - 반도체소자의 감광막패턴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소자의 감광막패턴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0991B1
KR100390991B1 KR10-2001-0029666A KR20010029666A KR100390991B1 KR 100390991 B1 KR100390991 B1 KR 100390991B1 KR 20010029666 A KR20010029666 A KR 20010029666A KR 100390991 B1 KR100390991 B1 KR 100390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resist
semiconductor device
pattern
forming
photosensit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9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0689A (ko
Inventor
최재성
정영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1-0029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0991B1/ko
Publication of KR20020090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0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9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01L21/0274Photolithographic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44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using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9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using ma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Photosensitive Polymer And Photoresist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의 감광막패턴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화학증폭형 감광막(chemically amplified resist)을 사용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피식각층 상에 감광막을 도포하고 상기 감광막의 표면을 붕소화합물으로 표면 처리하여 별도의 화학 필터에 의한 독립 공조없이 감광막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암모니아 또는 NMP(N-Methyl-2-pyrrolidone)가 감광막 내의 H+와 반응하는 것을 억제하여 감광막패턴에 티-탑(T-top)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패턴의 재현성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미세화 및 공정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Description

반도체소자의 감광막패턴 형성방법{Forming method for photoresist pattern of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감광막패턴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붕소화합물을 이용하여 암모니아 오염(contamination)에 의해 발생하는 감광막패턴의 티-탑(T-top)현상을 방지하는 반도체소자의 감광막패턴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소자의 제조공정에서 초 미세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KrF(248㎚), ArF(193㎚) 또는 EUV와 같은 화학증폭성인 원자외선(DUV : deep ultra violet)영역의 광원을 사용하는 리소그래피공정에 적합한 화학증폭형 감광막이 각광을 받고 있다.
상기와 같은 감광막은 주로 광산발생제(photo acid generator, PAG)와 산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구조의 감광막용 중합체를 배합하여 제조된다.
그러나, 상기 화학증폭형 감광막은 광산발생제에 의해 생성된 H+가 감광막 표면에 흡착된 암모니아나 NMP(N-methylpyrrolidon) 등과 산, 염기 반응을 일으켜 약산을 변해 티-탑(T-top) 형태의 프로파일(profile)을 형성하거나, 기판으로 사용되는 SiN, TiN, SiON 등의 표면에 존재하는 -NH2기와 반응하여 약산으로 변해서 패턴의 풋팅(footing)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패턴의 티-탑현상은 식각프로파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 중 임계치수(critical dimension) 측정에 난점으로 작용하여 공정의 신뢰성(reliability) 측면에서 큰 문제가 되었다. 심각한 경우에는 티-탑현상으로 인해 탑-다운(top-down) SEM을 이용하여 패턴을 관찰할 경우 전혀 패터닝이 안된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
도 1a 및 도 1b 는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감광막패턴 형성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피식각층(13)이 적층되어 있는 반도체기판(11) 상부에 도포된 감광막(15)의 표면에 흡착된 암모니아(NH3)나 NMP에 의해 광산발생제로부터 생성된 산(H+)이 약산(NH4 +)으로 변환됨으로인해 티-탑현상을 야기하는 것을 도시한다.
그리고, 도 2 는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감광막패턴 형성방법에 의해 티-탑(T-top)이 형성된 감광막패턴의 SEM사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감광막패턴 형성방법은 감광막패턴 형성 시 발생하는 티-탑현상을 제거하기 위해서 감광막의 특성을 변화시키거나, 베이크(bake)공정을 변화시키는 등의 노력을 기하였으나 궁극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하였다. 또한, 화학증폭형 감광막을 사용하는 공정의 경우 트랙(track)과 노광 시스템을 특별히 제작된 화학 필터(chemical filter)를 통해 독립 공조하고 있는 실정이나, 비용이 상당히 많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항시 시스템을 모니터링(monitoring)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루이스 산(Lewis acid)으로 작용할 수 있는 붕소화합물을 이용하여 감광막의 표면을 처리함으로써 공기 중에 존재하는 암모니아나 NMP가 감광막의 표면을 오염시키는 경우 붕소-질소 결합을 통해 암모니아나 NMP에 의해 발생하는 티-탑 현상을 방지하여 패턴의 재현성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고집적화 및 미세화를 가능하게 하는 반도체소자의 감광막패턴 형성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및 도 1b 는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감광막패턴 형성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감광막패턴 형성방법에 의해 티-탑(T-top)이 형성된 감광막패턴의 SEM사진.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감광막패턴 형성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감광막패턴 형성방법에서 붕소화합물을 첨가하여 붕소-질소 결합을 통해 티-탑이 방지된 감광막패턴의 SEM 사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31 : 반도체기판 13, 33 : 피식각층
15, 35 : 감광막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감광막패턴 형성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부에 피식각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피식각층 상부에 감광막을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을 붕소화합물로 표면 처리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을 노광 및 현상공정으로 패터닝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감광막패턴 형성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반도체기판(31) 상부에 피식각층(33)을 형성한다. 상기 피식각층(33)은 절연막 또는 도전층 등의 박막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 상기 피식각층(33) 상부에 감광막(35)을 도포한다. 상기 감광막(35)의 표면은 공기 중에 포함된 암모니아 또는 NMP 등이 흡착되어 있다.
그 다음, 상기 감광막(35)의 표면을 암모니아와 루이스 산/베이스(Lewis acid/베이스)결합이 용이하고, 광산발생제에 의해 생성된 H+산성에서도 결합이 깨지지 않는 루이스 산중에서 융점이 낮은 붕소화합물을 이용하여 표면 처리한다. 이때, 상기 붕소화합물은 기체상태 또는 액체상태로서, 트리에틸보란 (triethylboran), 트리-n-프로필보란(tri-n-propylboran), 트리-i-프로필보란(tri-i-propylboran), 트리-n-부틸보란(tri-n-butylboran), 트리페닐보란 (triphenylboran), 트리프루오로보란(trifluoroboran), 트리클로로보란 (trichloroboran), 트리브로모보란(tribromoboran) 또는 분자량 300이하의 트리알킬보란(trialkylboran)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붕소화합물을 이용한 표면 처리공정에 의해 붕소-질소 결합(NH3:BR3, R은 알킬기)이 생성되어 광산발생제에 의해 생성된 H+를 공기중의 암모니아 또는 NMP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 참조)
그 후, 노광 및 현상공정을 실시하여 티-탑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감광막패턴을 형성한다.
도 4 는 감광막의 표면을 붕소화합물을 이용하여 표면 처리한 후 형성된 감광막패턴의 SEM 사진으로서, 티-탑 현상이 없는 프로파일을 얻은 것을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학증폭형 감광막(chemically amplified resist)을 사용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피식각층 상에 감광막을 도포하고 상기 감광막의 표면을 붕소화합물으로 표면 처리하여 별도의 화학 필터에 의한 독립 공조없이 감광막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암모니아 또는 NMP가 감광막 내의H+와 반응하는 것을 억제하여 감광막패턴에 티-탑(T-top)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패턴의 재현성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미세화 및 공정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반도체 기판 상부에 피식각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피식각층 상부에 감광막을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을 트리에틸보란(triethylboran), 트리-n-프로필보란(tri-n-propylboran), 트리-i-프로필보란(tri-i-propylboran), 트리-n-부틸보란(tri-n-butylboran), 트리페닐보란(triphenylboran), 트리프루오로보란(trifluoroboran), 트리클로로보란(trichloroboran), 트리브로모보란(tribromoboran) 및 분자량 300이하의 트리알킬보란(trialkylboran)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임의로 선택된 하나의 붕소화합물로 표면 처리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을 노광 및 현상공정으로 패터닝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감광막패턴 형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붕소화합물은 기체상태 또는 액체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감광막패턴 형성방법.
  3. 삭제
KR10-2001-0029666A 2001-05-29 2001-05-29 반도체소자의 감광막패턴 형성방법 KR100390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666A KR100390991B1 (ko) 2001-05-29 2001-05-29 반도체소자의 감광막패턴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666A KR100390991B1 (ko) 2001-05-29 2001-05-29 반도체소자의 감광막패턴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689A KR20020090689A (ko) 2002-12-05
KR100390991B1 true KR100390991B1 (ko) 2003-07-12

Family

ID=27706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666A KR100390991B1 (ko) 2001-05-29 2001-05-29 반도체소자의 감광막패턴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09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5693A1 (en) * 2003-05-21 2005-10-28 Asml Netherlands Bv Method for coating a substrate for euv lithography and substrate with photoresist lay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871A (ko) * 1997-06-30 1999-01-25 김영환 반도체 장치 사진 식각공정 방법
KR20000043251A (ko) * 1998-12-28 2000-07-15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KR20010001380A (ko) * 1999-06-03 2001-01-05 김영환 아민오염방지 물질 및 이를 이용한 미세패턴 형성방법
KR20010019928A (ko) * 1999-08-31 2001-03-15 박종섭 알칼리 처리 과정을 포함하는 포토레지스트 패턴 형성방법
JP2001142221A (ja) * 1999-11-10 2001-05-25 Clariant (Japan) Kk 反射防止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871A (ko) * 1997-06-30 1999-01-25 김영환 반도체 장치 사진 식각공정 방법
KR20000043251A (ko) * 1998-12-28 2000-07-15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KR20010001380A (ko) * 1999-06-03 2001-01-05 김영환 아민오염방지 물질 및 이를 이용한 미세패턴 형성방법
KR20010019928A (ko) * 1999-08-31 2001-03-15 박종섭 알칼리 처리 과정을 포함하는 포토레지스트 패턴 형성방법
JP2001142221A (ja) * 1999-11-10 2001-05-25 Clariant (Japan) Kk 反射防止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689A (ko) 200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58102B1 (en) Terpolymers containing organosilicon side chains and their use for the production of relief structures
CN106715398B (zh) 于抗蚀剂应用中作为光酸生成剂的磺酸衍生化合物
US6451512B1 (en) UV-enhanced silylation process to increase etch resistance of ultra thin resists
US5234794A (en) Photostructuring method
US5486424A (en) Silylated photoresist layer and planarizing method
KR101858276B1 (ko) 포토레지스트 패턴 상에 코팅하기 위한 조성물
US6165682A (en) Radiation sensitive copolymers, photoresist compositions thereof and deep UV bilayer systems thereof
JP2003195521A (ja) フォトレジストパターンの形成方法及び半導体素子
US5384220A (en) Production of photolithographic structures
JP4786513B2 (ja) リソグラフィ工程のハードマスク用組成物
US6258732B1 (en) Method of forming a patterned organic dielectric layer on a substrate
US20080187867A1 (en) Photosensitive polyimide composition, polyimide film and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JPH11186243A (ja) 酸化シリコン層のエッチング方法
EP0586860A2 (en) Photoresist composition and process for forming a pattern using the same
KR100390991B1 (ko) 반도체소자의 감광막패턴 형성방법
US7070910B2 (en) Silazane compound amd methods for using the same
EP0889367A1 (en) Method for forming a photoresist pattern
KR100843043B1 (ko) 반도체 소자의 레지스트 패턴 형성 방법
JP2674589B2 (ja) レジストパターンの形成方法
US7259461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improved contact hole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910005031B1 (ko) 감광성 조성물
JP3529671B2 (ja) パターン形成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US20240004302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JPH07152156A (ja) 樹脂組成物
Kawai et al. New Resist Technologies for 0.25-µ m Wiring Pattern Fabrication with KrF Lithograph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