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0788B1 -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 및 그 금형구조 - Google Patents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 및 그 금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0788B1
KR100390788B1 KR10-2001-0022397A KR20010022397A KR100390788B1 KR 100390788 B1 KR100390788 B1 KR 100390788B1 KR 20010022397 A KR20010022397 A KR 20010022397A KR 100390788 B1 KR100390788 B1 KR 100390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valve
mold
molding
reciprocating compresso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2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2674A (ko
Inventor
구본철
도진영
윤형표
전시항
김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22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0788B1/ko
Publication of KR20020082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2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7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4Provisions for readi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3/00Motor parameters
    • F04B2203/04Motor parameters of linear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 및 그 금형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왕복동식 모터의 가동자에 결합하여 함께 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미끄러지게 삽입되어 함께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선단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밸브스프링으로 탄력 지지하여 압축가스의 토출을 제한하는 토출밸브를 포함한 왕복동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밸브는 실린더의 압축공간에 대면하는 압력면은 평평하게 형성하는 반면 압력배면은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면서 돌출하도록 형성하고, 밸브스프링은 원추형 코일 스프링으로 토출밸브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토출밸브의 개폐동작을 안정하게 유지하여 압축가스의 누설이나 충돌소음 또는 마모를 미연에 방지하고, 토출밸브의 압력면과 압력배면 사이를 둔각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파팅라인을 밸브의 중간부위에 형성하여 밸브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또, 토출밸브를 성형으로 제작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제작시 성형물이 취출수단을 구비한 쪽의 주형에 남아 있도록 하여 취출작업이 일관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 및 그 금형구조{DISCHARGE VALVE ASSEMBLY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AND MOLD STRUCTURE THEREOF}
본 발명은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 및 그 금형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횡방향 진동을 줄여 구동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 및 그 금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왕복동식 압축기는 왕복동식 모터의 가동자에 결합한 피스톤이 실린더의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하면서 가스를 흡입 압축하여 토출시키는 것으로, 도 1은 종래 왕복동식 압축기의 일례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왕복동식 압축기는, 밀폐용기(10)의 내부에 지지되는 왕복동식 모터(20)의 가동자(22)에 결합되어 함께 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31)과, 피스톤(31)이 미끄러지게 삽입되어 함께 압축공간(S1)을 형성하는 실린더(32)와, 피스톤(31)의 선단에 장착되어 후술할 피스톤(31)의 가스통구(31b)를 개폐하면서 가스의 흡입을 제한하는 흡입밸브(33)와, 실린더(32)의 선단면에 장착되어 압축공간(32a)을 복개함과 아울러 압축된 가스의 토출을 제한하는 토출밸브 조립체(34)로 구성되어 있다.
토출밸브 조립체(34)는 소정의 토출공간(S2)이 구비되어 실린더(32)의 선단면에 고정 설치하는 토출커버(34A)와, 환형으로 형성하여 토출커버(11)의 내주면에 장착하는 밸브가이드(34B)와, 흡입밸브(33)와 압축공간(S1)을 두고 밸브가이드(34B)에 미끄러지게 삽입하여 압축공간(S1)과 토출공간(S2)을 구획하도록 원판형으로 형성하는 토출밸브(34C)와, 토출밸브(34C)의 전방에 배치하여 피스톤(31)과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역시 원판형으로 형성하는 밸브시트(34D)와, 토출밸브(34C)를 토출커버(34A)의 내부에서 탄력 지지하는 밸브스프링(34E)으로 이루어져 있다.
토출밸브(34C)와 밸브시트(34D)는 그 외주면에 토출홈(34a)(34a)들을 각각 원호형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져 있다.
밸브스프링(34E)은 초단에서 종단까지 동일한 스프링상수를 갖고 동일한 회전반경을 갖도록 감긴 원통형의 압축 코일스프링으로서, 그 일단은 토출커버(34A)의 내측 바닥면에 밀착하는 반면 그 타단은 토출밸브(34D)의 후면에 밀착하여 지지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21A 및 21B는 이너 스테이터 및 아우터 스테이터, 40은 프레임 유니트, 41 및 42 및 43은 전방 및 중간 및 후방 유니트, 50은 스프링 유니트, 51 및 52는 전방 및 후방 스프링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토출밸브가 구비된 왕복동식 압축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즉, 왕복동식 모터(20)에 전원이 인가되어 가동자(22)가 왕복운동을 하면, 피스톤(31)이 가동자(22)와 함께 움직이면서 실린더(32)의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하고, 피스톤(31)이 흡입행정을 할 때 가스가 피스톤(31)의 가스유로(31a)와 가스통구(31b)를 통해 압축공간(S1)으로 유입되었다가 피스톤(31)이 압축행정을 할 때 압축되어 토출밸브(34B)를 밀면서 토출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피스톤(31)의 후진시 그 피스톤(31)의 가스유로(31a) 및 가스통구(31b)를 통해 냉매가스가 흡입밸브(33)를 밀면서 압축공간(S1)에 유입하고, 이 과정에서 토출밸브(34C)와 밸브시트(34D)는 밸브스프링(34E)에 밀려 실린더(32)의 선단면에 겹쳐지면서 밀착하여 압축공간(S1)과 토출공간(S2)을 차단한다.
이후, 피스톤(31)의 전진시 압축공간(S1)에 채워져 있던 냉매가스가 일정 압력까지 압축하다가 밸브스프링(34E)의 탄성력을 이기고 토출밸브(34C)와 밸브시트(34D)를 밀어내 압축공간(S1)의 압축가스를 토출공간(S2)으로 토출하는 것을 반복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는, 밸브스프링(34E)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특성상 종방향으로의 수축 및 신장시 횡방향 진동이 크게 발생하고, 이로 인해 토출밸브(34D)와 밸브시트(34C)의 구동 안정성이 낮아지면서 압축가스의 누설이나 토출밸브(34D)와 밸브시트(34C)가 토출커버(34A)에 부딪혀 충돌소음이나 마모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또, 밸브스프링(34E)가 피스톤(31)의 압축행정시 수축하면서 밸브시트(34C) 및 토출밸브(34D)와 함께 토출커버(3)측으로 밀리면서 감긴 이웃면과 전부위가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압축되나, 이 과정에서 밸브스프링(5)의 어느 한 부위가 이웃하여 연속되는 다른 부위와 충돌하면서 충돌소음을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가 가지는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개폐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압축가스의 누설이나 토출커버와의 충돌소음 및 마모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토출밸브를 지지하는 밸브스프링의 수축 인장시 자체적인 충돌소음을 줄일 수 있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를 제공하려는데도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왕복동식 압축기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종래 토출밸브 조립체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토출밸브 조립체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토출밸브 조립체의 토출밸브를 보인 사시도 및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 토출밸브 조립체의 제작을 위한 금형구조를 보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 토출밸브에 대한 제작과정을 보인 개략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 토출밸브 조립체의 제작을 위한 금형구조의 다른 실시예들을 보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토출밸브 조립체 110 : 토출커버
120 : 토출밸브 121 : 압력면
122 : 압력배면 122a : 스프링 끼움부
123 : 커팅면 210,310,410,510 : 고정측 주형
220,320,420,520 : 가동측 주형 211,311,411,511 : 가동측 성형공간
421,521 : 고정측 성형공간 211a,421a : 성형물 걸림부
511a : 안내부 211b,311b,421b,521b : 요홈부
221,321,422,522 : 주입구 P : 취출장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왕복동식 모터의 가동자에 결합하여 함께 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미끄러지게 삽입되어 함께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선단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여 압축가스의 토출을 제한하는 토출밸브를 포함한 왕복동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밸브는 실린더의 압축공간에 대면하는 압력면은 평평하게 형성하는 반면 압력배면은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면서 돌출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 고정측 주형과 가동측 주형 중에서 어느 한 쪽 주형에만 성형공간(cavity)을 형성하되, 그 성형공간은 접합면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금형구조를 제공한다.
또, 고정측 주형과 가동측 주형 중에서 어느 한 쪽 주형에만 성형공간(cavity)을 형성하되, 그 성형공간은 접합면에서 안쪽으로 일정 구간까지는 동일한 직경으로 유지하거나 또는 미세하게 확대한 직경으로 형성하다가 다시 점차 작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금형구조를 제공한다.
또, 고정측 주형과 가동측 주형의 접합면이 성형물의 양쪽 측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양쪽 주형에 결합후 성형물의 형상을 이루도록 성형공간(cavity)을 형성하되, 어느 한 쪽 주형의 성형공간은 접합면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직경을 점차 작게 형성하는 반면, 다른 한 쪽 주형의 성형공간은 접합면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직경을 점차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금형구조를 제공한다.
또, 고정측 주형과 가동측 주형의 접합면이 성형물의 양쪽 측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양쪽 주형에 결합후 성형물의 형상을 이루도록 성형공간(cavity)을 형성하되, 어느 한 쪽 주형의 성형공간은 접합면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직경을 점차 작게 형성하는 반면, 다른 한 쪽 주형의 성형공간은 접합면에서 안쪽으로 동일 직경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미세하게 작아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금형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 및 그 금형구조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토출밸브 조립체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토출밸브 조립체의 토출밸브를 보인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토출밸브 조립체의 제작을 위한 금형구조를 보인 개략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100)는, 왕복동식 모터(미도시)의 가동자(미도시)에 결합한 피스톤(31)이 삽입되어 직선으로 왕복운동을 하면서 실린더(32)의 선단면을 복개하는 토출커버(110)와, 실린더(32)의 선단면에 착탈하도록 토출커버(110)의 내부에서 탄력 지지되는 토출밸브(120)와, 토출밸브(12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밸브스프링(130)으로 구성한다.
토출밸브(120)는 도 5에서와 같이 실린더(32)의 압축공간(S1)과 토출커버(110)의 토출공간(S2)을 구분하도록 실린더(32)의 선단면에 접촉하는 압력면(121)과, 이에 반하는 압력배면(122)과, 압력면(121)의 모서리와 압력배면(122)의 모서리 사이에 위치하는 커팅(cutting)면(123)으로 이루어진다.
압력면(121)은 평평하게 형성하고, 압력배면(122)은 압력면(121) 쪽에서 점점 직경이 작아지는 반구형 또는 테이퍼형으로 형성하며, 커팅면(123)은 압력면(121)에 접하는 외경이 압력배면(122)에 접하는 외경 보다 약 1°정도 작게 도면에서와 같이 테이퍼 모양으로 형성되거나 곡면지게 언더컷(under cut)과 같이 형성할 수 있다.
압력배면(122)은 압축코일스프링인 밸브스프링(130)과 억지끼움 할 수 있도록 그 중앙에 도 6에서와 같은 수직부와 수평부로 돌출 형성하는 스프링 끼움부(122a)를 더 포함한다.
또, 토출밸브(122)는 수지(樹脂)에 탄소섬유(carbon fiber) 또는유리섬유(glass fiber) 등으로 된 보강제를 혼합하여 100℃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ngineering plastic)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스프링(130)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수축시 외주면이 이웃하는 외주면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회전반경이 점차 작아지거나 커지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하여 토출밸브(120)의 압력배면(122)을 지지하도록 원추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밸브스프링(130)은 그 일단이 토출커버(110)의 주면과 바닥면이 접하는 모서리에 꼭 맞게 끼우거나 바닥면에 돌출 형성한 별도의 고정돌기(미도시)에 끼워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토출밸브(120)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측 주형(210)에만 접합면에서 안쪽으로 일정 구간까지는 동일한 직경으로 유지하거나 또는 미세하게 확대한 직경으로 형성하다가 다시 점차 작아지게 성형공간(cavity)(211)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즉, 가동측 주형(210)에는 "D"자 모양으로 성형공간(211)을 형성하되, 토출밸브(120)의 커팅면(123)에 해당하는 접합면과 인접한 부위에 금형의 분리시 성형물이 성형공간(211)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접합면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성형물 걸림부(211a)를 형성한다.
또, 가동측 주형(210)의 성형공간(211)에는 토출밸브(120)의 스프링 끼움부(122a)를 구비하기 위하여 수직부와 수평부로 된 요홈부(211b)를 형성한다.
또, 가동측 주형(210)에는 금형 분리후 성형물을 용이하게 취출하도록 밀핀과 같은 취출장치(P)를 장착한다.
반면, 고정측 주형(220)의 중심에는 성형액을 성형공간(211)에 주입하도록 주입구(221)를 토출밸브(120)의 압력면(121)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111은 토출구멍이다.
상기와 같은 금형을 이용하여 토출밸브를 제작하는 과정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다.
먼저, 고정측 주형(220)의 접합면에 가동측 주형(210)의 성형공간(211)이 대응하도록 양쪽 주형(210)(220)을 밀착하고, 주입구(221)를 통해 수지를 탄소섬유 등의 첨가제와 함께 주입한 다음 단단하게 굳히고 나서 가동측 주형(210)을 고정측 주형(220)에서 분리한다.
이때, 성형물은 가동측 주형(210)의 성형공간(211)에 형성한 성형물 걸림부(211a)에 걸려 가동측 주형(210)에 남고, 그 가동측 주형(210)에 구비한 취출장치(230)를 이용하여 성형물을 토출밸브(120)의 압력면(121)쪽에서 밀어내 주형(210)과 성형물을 분리한다.
다음, 선반(미도시)의 회전척을 이용하여 각 성형물(토출밸브(120))의 압력배면(122)쪽을 잡은 상태에서 압력면(121)을 정밀하게 연삭하는 후가공을 실시한다. 이 과정에서 압력면(121)에 남는 주입구 잔형과 파팅라인(131)에 남는 버(bur)도 압력면(121)의 연삭가공시 함께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토출밸브 조립체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밸브스프링(130)이 원추형으로 된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그 특성상수축 인장시 횡방향으로의 진동이 줄어들게 됨에 따라 토출밸브(120)의 개폐동작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이에 따라 피스톤(31)의 압축행정시 압축가스의 누설을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토출밸브(120)와 토출커버(110)가 충돌하여 발생하는 소음이나 마모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설사 토출밸브(120)가 토출커버(110)에 충돌하더라도 본 실시예와 같이 토출밸브(120)의 압력면(121)과 압력배면(122) 사이에 커팅면(123)을 두는 경우 모서리 각도가 도 4와 같이 넓어져 그만큼 강도가 보강됨에 따라 충돌시 마모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다.
또, 토출밸브(120)의 제작시 토출밸브(120)를 단품으로 성형 제작함에 따라 적은 시간에 다량의 토출밸브(120)를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비용도 줄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할 수 있다.
또, 토출밸브(120)의 성형시 성형물이 가동측 주형(210)의 성형공간(211)에 성형물 걸림부(211a)를 두어 성형물이 가동측 주형(210)에 남도록 함으로써 성형물의 관리가 용이하게 되고, 성형물의 가공면에 주입구 잔형이 남도록 하여 연삭가공시 가공면과 함께 제거하므로 후가공이 간결해진다.
본 발명 토출밸브 조립체의 금형 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일실시예에서는 가동측 주형(210)에만 성형공간(211)을 형성하되 그 성형공간(211)은 접합면에서 안쪽으로 일정 구간까지는 동일한 직경으로 유지하거나 또는 미세하게 확대한 직경으로 형성하다가 다시 점차 작게 형성하는 것이었으나, 본 실시예는 도 9에서와 같이 가동측 주형(310)에만 성형공간(311)을 형성하되, 그 성형공간(311)은 접합면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311b는 밸브스프링 끼움부를 위한 요홈부이다.
또다른 실시예들은 도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측 주형(410)(510)과 고정측 주형(420)(520)의 접합면이 성형물의 양쪽 측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양쪽 주형((410)(420)),((510)(520))에 결합후 성형물의 형상을 이루도록 각각 성형공간((411)(421)),((511)(521))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 중에서 도 10은 주입구(422)를 구비한 고정측 주형(420)의 성형공간(421)은 접합면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직경을 점차 작게 형성하는 반면, 취출장치(P)를 구비한 가동측 주형(410)의 성형공간(411)은 접합면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직경을 점차 크게 형성한 것이다. 421b는 밸브스프링 끼움부를 위한 요홈부이다.
이 경우 가동측 주형(410)의 성형공간(411)이 접합면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 넓어져 성형물 걸림부(411a)를 형성하므로 가동측 주형(410)의 성형공간(411)에 별도의 성형물 걸림부를 형성하지 않고도 금형 분리시 성형물이 항상 가동측 주형(410)에 남아 성형물을 일관되게 취출할 수 있고, 성형물의 입장에서도 성형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한 주형간 접합면부(parting line)가 압력면(121)에서 일정 거리를 두고 압력배면(122)쪽에 형성됨에 따라 지속적인 개폐동작에도 압력면(121)이 원형을 유지하여 밸브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 도 11은 주입구(522)를 구비한 고정측 주형(520)의 성형공간(521)은 접합면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직경을 점차 작게 형성하는 반면, 취출장치(P)를 구비한가동측 주형(510)의 성형공간(511)은 접합면에서 안쪽으로 동일 직경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1°정도로 미세하게 작아지는 안내부(511a)를 형성할 수도 있다. 521b는 밸브스프링 끼움부를 위한 요홈부이다.
본 발명에 의한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 및 그 금형구조는, 원추형 코일 스프링으로 된 밸브스프링으로 토출밸브를 지지하므로 토출밸브의 개폐동작을 안정하게 유지하여 압축가스의 누설이나 충돌소음 또는 마모를 미연에 방지하고, 토출밸브의 압력면과 압력배면 사이를 둔각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파팅라인을 밸브의 중간부위에 형성하여 밸브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또, 토출밸브를 성형으로 제작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제작시 성형물이 취출수단을 구비한 쪽의 주형에 남아 있도록 하여 취출작업이 일관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5)

  1. 왕복동식 모터의 가동자에 결합하여 함께 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미끄러지게 삽입되어 함께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선단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밸브스프링으로 탄력 지지하여 압축가스의 토출을 제한하는 토출밸브를 포함한 왕복동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밸브는 실린더의 압축공간에 대면하는 압력면은 평평하게 형성하는 반면 압력배면은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면서 돌출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면과 압력배면 사이에 적어도 압력면과 동일한 직경이거나 압력면에서 압력배면으로 갈수록 미세하게 확대하여 커팅(cutting)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배면의 중간에 외주면을 따라 파팅라인(parting line)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배면은 스프링과 억지끼움 할 수 있도록 스프링 끼움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끼움부는 수직부와 수평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밸브는 내열온도 100℃ 이상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밸브는 섬유(fiber)로 된 보강제를 수지(樹脂)에 혼합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스프링은 그 회전반경이 점차 작아지거나 커지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하여 토출밸브의 압력배면을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
  9. 고정측 주형과 가동측 주형 중에서 어느 한 쪽 주형에만 성형공간(cavity)을 형성하되,
    그 성형공간은 접합면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금형구조.
  10. 고정측 주형과 가동측 주형 중에서 어느 한 쪽 주형에만 성형공간(cavity)을형성하되,
    그 성형공간은 접합면에서 안쪽으로 일정 구간까지는 동일한 직경으로 유지하거나 또는 미세하게 확대한 직경으로 형성하다가 다시 점차 작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금형구조.
  11. 고정측 주형과 가동측 주형의 접합면이 성형물의 양쪽 측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양쪽 주형에 결합후 성형물의 형상을 이루도록 성형공간(cavity)을 형성하되,
    어느 한 쪽 주형의 성형공간은 접합면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직경을 점차 작게 형성하는 반면, 다른 한 쪽 주형의 성형공간은 접합면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직경을 점차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금형구조.
  12. 고정측 주형과 가동측 주형의 접합면이 성형물의 양쪽 측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양쪽 주형에 결합후 성형물의 형상을 이루도록 성형공간(cavity)을 형성하되,
    어느 한 쪽 주형의 성형공간은 접합면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직경을 점차 작게 형성하는 반면, 다른 한 쪽 주형의 성형공간은 접합면에서 안쪽으로 동일 직경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미세하게 작아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금형구조.
  13.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주형과 가동측 주형 중에서 성형물의 압력면을 형성하는 주형측 중심에 그 압력면에 수직하도록 주입구를 형성하는 반면, 다른 쪽 주형에 성형물을 이격하는 취출수단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금형구조.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주형과 가동측 주형 중에서 성형물의 압력면을 형성하는 주형측에 성형물을 이격하는 취출수단을 장착하는 반면, 다른 쪽 주형에 주입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금형구조.
  15. 제9항 내지 제1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주형과 가동측 주형 중에서 압력배면을 형성하는 주형측 성형공간에 수직부와 수평부로 된 요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금형구조.
KR10-2001-0022397A 2001-04-25 2001-04-25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 및 그 금형구조 KR100390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397A KR100390788B1 (ko) 2001-04-25 2001-04-25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 및 그 금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397A KR100390788B1 (ko) 2001-04-25 2001-04-25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 및 그 금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674A KR20020082674A (ko) 2002-10-31
KR100390788B1 true KR100390788B1 (ko) 2003-07-10

Family

ID=27702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2397A KR100390788B1 (ko) 2001-04-25 2001-04-25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 및 그 금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07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615B1 (ko) * 2004-11-12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674A (ko) 200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42434A (zh) 用于模制车灯用透镜的设备及用其制造车灯用透镜的方法
EP0780215B1 (en) Annular gated mold for the injection molding of contact lenses
US7056106B2 (en) Discharge valve apparatus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0390788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 및 그 금형구조
KR20160041824A (ko) 공기압축기의 개선된 결합 구조
US11213984B2 (en) Undercut processing mechanism and molding die assembly
US20060057000A1 (en) Reciprocating compressor
KR20160133289A (ko) 차량 램프용 렌즈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램프용 렌즈의 제조방법
JP2001099207A (ja) 合成樹脂製コイルばね、その製造方法、これに用いる金型およびこれを用いたポンプ
CN210308838U (zh) 一种侧向抽芯机构及注塑模具
WO2007052869A1 (en) Extension nozzle for molding plastics buffing thermal expansion
CN209176094U (zh) 油缸的防退机构
JP2002347085A (ja) 射出成形金型
KR200489537Y1 (ko) 에어실린더와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 및 이를 갖는 금형장치
JP2001341177A (ja) 導光板の射出成形方法および射出成形用金型
US11549498B2 (en) Linear compressor
KR101693645B1 (ko) 인서터형 다이케스팅용 슬리브
CN211251173U (zh) 塑胶面壳注塑模具
CN220075390U (zh) 电池盒内流道两段式注塑模具
CN220008639U (zh) 一种仿形顶结构及注塑模具
JPH07241890A (ja) 射出圧縮成形方法及び装置
KR101908426B1 (ko) 합성수지 발포체용 금형장치
KR200441439Y1 (ko) 금형조립체
KR0111725Y1 (ko) 사출물 성형장치
CN1458420A (zh) 往复运动式压缩机排气阀门组装体及其排气阀门成型模具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