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9470B1 - 큰 두 행정 크로스헤드 기관 및 이로부터 부서진 스테이볼트를제거하는방법 - Google Patents

큰 두 행정 크로스헤드 기관 및 이로부터 부서진 스테이볼트를제거하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470B1
KR100389470B1 KR1019960020631A KR19960020631A KR100389470B1 KR 100389470 B1 KR100389470 B1 KR 100389470B1 KR 1019960020631 A KR1019960020631 A KR 1019960020631A KR 19960020631 A KR19960020631 A KR 19960020631A KR 100389470 B1 KR100389470 B1 KR 100389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y bolt
hole
piece
broken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0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2076A (ko
Inventor
이자즈 와히드
토마스 신네스트베드트 크누드센
Original Assignee
엠에이엔 비앤드떠블유 디젤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에이엔 비앤드떠블유 디젤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엠에이엔 비앤드떠블유 디젤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970002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4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7/00Casings, e.g. crankcase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1/00Screwed connections specially modified in view of tensile load; Break-bolts
    • F16B31/02Screwed connections specially modified in view of tensile load; Break-bolts for indicating the attainment of a particular tensile load or limiting tensile 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1/00Measures against loss of bolts, nuts, or pins; Measures against unauthorised operation of bolts, nuts or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00Frames or casing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Frames serving as machinery beds
    • F16M1/08Frames or casing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Frames serving as machinery beds characterised by being built-up of sheet material or 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큰 두 행정 크로스헤드 기관에서. 기관 대 판 (1), 기관 프레임 박스 (2), 및 기관 실린더 부분 (3) 또는 부분들이 스테이 볼트 (13) 에 의해 서로 고정되고, 스테이 볼트 각각은 기관 프레임 박스 내의 스테이 볼트 관 (14) 을 통해 연결된 실린더 부분으로 부터 밑으로 통과하고 주 베어링 하우징의 하부 부분 (12) 보다 높은 수준에서 대 판의 상부 부분에 고정된다. 이러한 기관내의 스테이 볼트가 부서진다면, 실린더 부분 (3) 으로 부터 부서진 스테이 볼트의 상부 피스 (13a) 를 들어울림으로써, 그리고 스테이 볼트의 하부의 부서진 피스 (13b) 를 처리하기 위해 접근할 수 있는 구멍을 제공함으로써, 그리고 필요하다면 더 작은 피스로 나눈 후에 부서진 피스를 제거함으로써, 대 판으로 부터 기관 프레임 박스를 분리하지 않고 부서진 스테이 볼트가 제거될 수 있다. 부서진 피스 (13b) 는, 구멍을 통해 공구를 통과시키고 부서진 피스 내의 나사난 구멍안으로 나사죔으로써 대 판 (1) 의 상부에서 나사로부터 부정합될 수 있어 부서진 피스가 대 판내의 나사로부터 풀려질 때까지 공구는 회전한다. 대체 방안으로, 부서진 피스는 나사난 나사와 함께 제거될 수 있다.

Description

큰 두 행정 크로스헤드 기관 및 이로부터 부서진 스테이 볼트를 제거하는 방법
본 발명은, 주 베어링의 하부 부분이 일체로 되는 가로벽을 갖는 대 판, 및 1.5에서 5 m 의 길이를 갖는 스테이 볼트 관을 갖는 기관 프레임 박스를 갖는 큰 두 행정 크로스헤드 기관으로 부터 부서진 스테이 볼트를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대 판, 기판 프레임 박스 및 원통 부분 또는 부분들은 주 베어링 하우징의 하부 부분보다 높은 수준에서 대 판의 상부 부분에 고정되고 기관 프레임 박스내의 스테이 볼트 관을 통해 연결된 원통 부분으로 부터 밑으로 통과하는 스테이 볼트에 의해 서로 고정되며. 주베어링 둘레 지역내의 대 판은 스테이 볼트에 의한 고정력 ( clamping force ) 에 대체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기 타입의 이러한 크로스헤드 기관은 대 판의 상부 부분에 스테이 볼트를 고정하는 장점을 기술하고 있는 WO 94/12784 로부터 공지되있는데, 이는 주 베어링 둘레 지역내의 대 판이 스테이 볼트에 의한 고정력에 대체로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은 스테이 볼트가 대 판을 통해 쭉 뻗어있고 하부 표면으로 위로 당기게 되는 통상적 설계로 된 크로스헤드 기관의 경우는 아니다.
WO 94/12784에 기술된 기관 설계는 통상적 설계로 된 기관으로 부터 알려지지 않은 특정한 단점을 갖는다. 스테이 볼트가 부서지는 경우에, 스테이 볼트 하부의 부서진 피스는 기관 프레임 박스내의 긴 스테이 볼트 관의 바닥에서 대 판의 상부 부분에 고정된다. 부서진 피스를 제거하기 위해, 기판 프레임 박스는 대 판으로 부터 느슨해져야 하며 위로 멀리 들어올려져 부서진 피스가 부정합되고 제거되므로 새 스테이 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기관이 재조립되어야 한다. 이것은 극히 많은 노동을 필요로 하며, 스테이 볼트의 부서짐이 거의 일어나지 않도록 부서짐에 대한 안전 마진 ( margin )을 갖도록 스테이 볼트가 치수잡히지만, 일어날 수 있는 단순한 위험은 대부분의 기관 구입자로 하여금 관통하는 스테이 볼트를 갖는 재래식 기관 설계를 선호하도록 하기에 충분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 판의 상부 부분에 스테이 볼트를 고정하는 상기의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발명에 따른 장치는, 원통 부분 밖으로 부서진 스테이 볼트의 상부 피스를 들어을림으로써 대 판으로 부터 기관 프레임 박스를 분리시키지 않고 부서진 스테이 볼트가 제거되고, 스테이 볼트 하부의 부서진 피스를 처리하도록 접근하는 것이 구멍을 통하여 스테이 볼트 관의 하부 단부로 가게되어 이루어지면, 필요하다면 더 작은 피스로 나눈 후에 접근 구멍을 통해 부서진 피스가 제거되거나 접근 구멍을 통해 삽입된 공구에 의해 부서진 피스와 부정합된 후 스테이 볼트 관을 통해 들어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테이 볼트는 요구되는 탄성 성질을 갖도록 직경에 비례하여 매우 길어야한다. 볼트가 대부분 자주 나사만 지역에서 부숴지기 때문에, 큰 길이/직경 비율은, 부서진 피스가 상대적으로 짧고 종종 극히 길고 좁은 스테이 볼트 관의 바닥에 놓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발명의 기본적 사상은, 대 판으로 부터 기관 프레임 박스를 분리하지 않고 스테이 볼트 관의 바닥으로 부터 스테이 볼트의 하부의 부서진 피스가 제거된다는 것이다. 스테이 볼트 관의 하부 단부에 이르는 개구부를 통해, 예를들어, 스테이 볼트가 나사만 구멍 개구부 안으로 위로 나사죄어짐으로써 스테이 볼트가 고정된다면 피스가 없도록 나사 죄어지도록 또는 직각 연마기 같은 알맞은 공구에 의해 더 작은 피스로 잘려지도록 부서진 피스가 처리될 수 있다. 피스 또는 나뉘어진 피스는 구멍을 통해 제거되거나 스테이 볼트 관을 통해 들어올려질 수 있다. 관련된 기관 설계에 따라 선택된 제거 방법에 관계없이, 구멍은, 대 판으로 부터 프레임 박스를 느슨하게 할 필요없이 부서진 피스를 제거할 수 있게한다.
구멍은 단지 구멍이거나 보충 구멍이다. 기관이 제조될 때 대 판이 적절한 구멍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 하부 단부에서 스테이 볼트 관내에 구멍을 만듦으로써 구멍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것은 기관 프레임 박스내의 실질적 성분에 대한 파괴적 간섭이지만 스테이 볼트가 교체될 때 재료 피스를 용접하는 것 같은 잘 공지되고 통상적 공정에 의해 힘에 대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스테이 볼트 관을 다시 만들 수 있다. 부서진 피스에 들어올리는 공구를 고정하는 공구로 접근시킬 수 있다면 부서진 피스에 구멍이 만들어질 수 있거나 공구가 위로부터 삽입되도록 부서진 피스 위로 얼만큼 떨어져 만들어질 수도 있다.
스테이 볼트 관내의 구멍을 통하여, 예를들어, 부서진 피스내 세로 구멍내의내부 나사를 절단하도록 절단 탭 ( tap )이 삽입된다. 그후, 상응하는 외부 나사를 갖는 공구가 부서진 피스내의 구멍안으로 나사죄어질 수 있어 부서진 피스가 공구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알맞은 공구의 예제로서, 9 m 까지의 길이를 갖고 위로부터 스테이 볼트 관을 통해 낮춰지며 들어올려지게 되는 부서진 피스안으로 나사죄어지는 들어올리는 공구가 언급될 수 있다.
스테이 볼트가 대 판의 상부에서 나사난 구멍 안으로 나사되어지면, 부서진 피스 내의 나사난 구멍안으로 공구를 나사죔으로써 부서진 피스가 부정합되여 피스가 대 판내의 나사로 부터 풀릴 때 까지 공구는 한바퀴 회전한다. 공구와 피스 사이의 나사난 조인트는 큰 토오크를 피스에 전달할 수 있다. 위에 표시된 것처럼, 공구는 부서진 피스안으로 위로부터 나사죄어질 수 있으나, 관통 구멍을 통해 대 판의 하부 측부로 부터 위로 공구를 통과시키고 부서진 피스의 바닥내의 나사산 구멍안으로 나사죌 수 있다.
밑의 논의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기관의 설계는 볼트의 부서진 피스를 제거할 수 있도록 특별히 고려되어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발명은 또한, 주 베어링의 하부 부분이 일체되는 가로벽을 가진 대 판, 및 1.5에서 5 m 의 길이를 갖는 스테이 볼트 관을 갖는 기관 프레임 박스를 가지며, 대 판, 기관 프레임 박스, 및 원통 부분 또는 부분들이 주 베어링 하우징의 하부 부분보다 높은 수준에서 대 판의 상부 부분에 고정되고 기관 프레임 박스내의 스테이 볼트 관을 통해 관련된 원통 부분으로 부터 밑으로 통과하는 스테이 볼트에 의해 서로 고정되며, 주 베어링 둘레의 지역에 있는 대 판은 스테이 볼트로부터의고정력에 의해 대체로 영향을 받지 않고, 스테이 볼트의 하부 단부는 대 판내의 위로 열린 나사난 구멍안으로 나사죄어지는 외부 나사를 구비하는 큰 두 행정 크로스헤드 기관에 관한 것이다.
부서진 피스 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 기관이 하부 단부에서 각각의 스테이 볼트가 외부 나사의 길이보다 긴 중앙 세로 구멍을 갖는 특징이 있다. 그리하여 어떤 부서진 피스도, 상대적으로 복잡하지 않은 방법으로 스테이 볼트 관내의 구멍을 통해 삽입된 절단 탭에 의해 나사를 구비할 수 있는 중앙 관통 구멍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테이 볼트 내의 중앙 세로 구멍은 내부 나사를 구비하며, 스테이 볼트의 부서진 하부 피스를 없애도록 나사죄어지게 스테이 볼트의 세로 구멍에 공구를 삽입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대 판내의 나사난 구멍과 동축상으로 뻗어있는 관통 구멍을 대 판이 갖는다.
다른 실시예는, 위로 열린 나사난 구멍이 대 판의 상부 부분내의 구멍안으로 줄어드는 샤프트 피스에 형성되며, 힘에 관해 스테이 볼트의 가장 약한 지역이 샤프트 피스 내에 위치한 스테이 볼트 부분내에 있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테이 볼트가 부서진다면, 이것은 가장 약한 지역에서 발생되어 부서진 피스는 샤프트 피스내에 둘러싸여지고 이것과 함게 대 판 밖으로 당겨질 수 있다. 이것은 대판과 기관 프레임 박스내에 파괴적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행해질 수 있다. 이 실시예는, 대 판이 스테이 볼트 고정부용 구멍에 의해 약해지지 않는 다른 장점을 갖는다. 나사죄어진 하부 스테이 볼트 단부를 갖는 줄어든 샤프트 피스는 스테이 볼트 고정부둘레의 지역에서 대 판의 강성을 유지시키는 단단한 성분을 구성한다.
대 판내의 위로 열린 나사만 구멍안으로 스테이 볼트를 나사죄는 대체 방안으로서, 스테이 볼트의 나사는 대 판의 상부 부분내의 밑으로 향한 접촉 표면과 인접하는 너트안으로 나사죄어진다. 발명에 따라, 이 실시예는, 스테이 볼트의 하부의 부서진 피스가 하나의 스테이 볼트 반경보다 더 밑으로 떨어질 수 있는 스테이 볼트의 세로 방향으로의 범위를 갖는 틈새가 너트 밑의 대 판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테이 볼트가 너트내의 나사에서 부서진다면, 너트가 떨어져나간 볼트의 피스는 대 판내의 측부 구멍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스테이 볼트가 너트보다 높은 곳에서 부서진다면, 부서진 피스는 틈새안으로 훨씬 밑으로 떨어져 너트 위의 볼트의 피스는 너트보다 높이있는 스테이 볼트를 절단하기 위해 접근하도록 충분히 열려져서 나뉘어진 부분이 제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너트 밑의 틈새는, 스테이 볼트 관과 동축상에 있고, 대판의 하부 측부로 부터 밑으로 향한 접촉 표면까지 뻗어있으며, 너트가 구멍을 관통할 만큼 큰 횡단면을 갖는 구멍이며, 제거될 수 있는 장벽 수단은 부서진 스테이 볼트 피스로 하여금 크랭크 하우징 바닥으로 우연히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구멍은 제거될 수 있는 장벽 수단을 제거함으로써 나타나게 된다.
발명은 개략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밑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제 1 도는, 예를들어 2,000 에서 75,000 kw의 출력을 갖는 선박의 추진 기관 또는 정지된 동력 발생 기관과 같은 큰 두행정 크로스헤드 기관용의 원통 부분(3) 뿐아니라 상부 표면에 장착된 기관 프레임 박스 (2) 를 갖는 대 판 (1) 의 반쪽을도시한다. 세 주 성분(1,2, 및 3 )은 기관의 대칭 세로 평면 (4)에 대해 대칭적이다. 도시되지 않은 원통형 라이너는 통상적 방법으로 원통 부분에 장착되어, 연결 막대, 크로스헤드, 피스톤 막대 및 피스톤은 장착될 수 있고 원통 덮개는 원통 부분 상부로 나사죄어지는 덮게 스터드 ( stud ) 에 의해 고정된다. 이 성분들은 아주 잘 알려져 있고 본질적으로 발명에 관한 것이 아니므로, 명확히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다.
기관 프레임 박스는, 단층 판 벽 또는 이중 벽 프레임일 수 있는 가로 스티프너 (5) 에 의해 원통 사이에서 강화된다. 가로 스티프너는 크로스해드용 안내부 (6) 를 지지한다. 외부를 향한 배면상에 안내부는 가로 힘을 크로스헤드로부터 가로 스티프너 (5) 까지 전달하는 스티프너를 구비한다. 크로스헤드 안내부 (6) 는 기관 프레임 박스의 바닥 플랜지 (7) 보다 높은 곳에서 끝나므로 주 베어링 (8) 위에, 들어올려질 수 있고 베어링 스터드 (10) 가 없는 베어링 하우징의 상부 부분 (9) 을 처리하는 좋은 공간을 갖는 틈새가 있다.
대 판 (1) 에서 가로 스티프너 (5) 밑에 가로 벽 (1) 을 갖는다. 주 베어링 하우징의 하부 부분 (12) 은 벽 (11) 과 일체로 되어있다. 벽 (11) 에 주 베어링이 일체되는 부분은 상부 하우징 부분이 하부 하우징 부분 (12)과 접촉하는 수준 위에서 끝난다. 대 판이 제조될때, 주 베어링은 공통의 구멍 뚫기 작업으로 치수에 맞게 구멍이 뚫린다. 그러므로 기관에서 최대로 가능한 정렬을 이루기 위해 기관이 조립될때 하부 부분 (12) 둘레의 지역에서 대 판이 최대로 적게 변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 판, 기관 프레임 박스 및 원통 부분과 함께 고정함으로써 발생되는변형이 대 판에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대 판의 상부에 고정되는 스테이 볼트 (13) 에 의해 고정된다. 스테이 볼트의 경로가 스테이 볼트의 세로 축을 따라 부분적 단면을 삽입함으로써 도면에 명확히 도시되어 있다.
스테이 볼트 (13) 는 원통 부분 (3) 내의 구멍을 관통한 후 기관 프레임 박스 내의 스테이 볼트 관 (14) 을 통해 더 내려간다. 스테이 볼트의 하부 단부 (15) 는 대 판 내의 나사난 위로 열린 나사난 구멍 안으로 나사죄어 진다. 스테이 볼트의 상부 단부는 나사가 나있고 너트 (17) 는 나사에 나사죄어지고, 스테이볼트가 동시적으로 탄성적으로 연장되면서 원통 부분의 상부 표면에 대해 죄어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테이 볼트는 두 부분으로 되어 있고 내부 나사와 부싱 (16) 에서 결합된다. 부싱은 원통 부분 내의 구멍의 내부 측부와 접촉되며 가로 방향으로 스테이 볼트를 지지한다. 이러한 설계는, 스테이 볼트가 9 m 까지 길어지는 큰 기관에서 특히 유리하다. 또한 스테이 볼트를 한 피스로 제조할 수 있다.
기관 크기에 따라, 스테이 볼트의 길이는 3 에서 9 m 또는 그 이상이고, 상부 플랜지에서 기관 프레임 박스 상의 바닥 플랜지까지 뻗어있는 스테이 볼트 관 (14) 은 길이가 1.5 에서 5 m 또는 그 이상이다.
스테이 볼트가 부서지면, 하부의 부서진 피스 (13b) 는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대 판 (1) 내의 나사난 구멍에 끼워져 막히는 반면, 스테이 볼트의 상부 피스 (13a) 는 느슨해져 원통 부분 밖으로 들어올려진다. 피스 (13b) 를 부정합시키기 위해, 크로스헤드 안내부가 멀리 밑으로 뻗어있어 주 테어링 위의 공간이 충분하지 않다면, 기관의 세로 방향으로 향하거나 주 베어링 위의 틈새를 도시된것 처럼 향하는 구멍 (18) 을 만들도록 구멍이 스테이 볼트 관 (14) 내에 절단된다.
하부 단부에서, 외부 나사의 상부 단부 (20) 보다 더 위로 스테이 볼트 안으로 뻗어있는 중앙 세로 구멍 (19) 을 스테이 볼트가 갖는다. 부서진 피스 (13b) 에서, 구멍은 관통된다. 절단 탭 (21) 은 구멍 (18) 안으로 삽입되며 구멍 (19) 내의 내부 나사를 절단하도록 사용된다. 나사는 스테이 볼트의 외부 나사 피치에 반대되는 피치를 갖도록 적절히 절단되며 나사는 피스 (13b) 의 상부 부분에서 절단만 된다. 그 후 절단 탭이 제거되고, 공구가 나사 절단부의 바닥에 나사 죄어져, 나사죄어지는 방향으로 연속하여 회전할 때, 대 판내의 나사난 구멍 밖으로 피스를 회전시키는 피스 (13b) 에 공구가 토오크를 전달한다. 공구는, 하부 단부에서 외부 나사를 그리고 상부 단부에서 돌출되있는 손잡이를 갖는 막대이다. 공구는 또한, 피스의 내부 나사안으로 계속하여 죄어지는 것을 막고 피스 (13b) 의 상부와 접촉할 수 있는 밑으로 향한 접촉 표면을 갖는 콜라 ( collar ) 를 갖는다. 이 경우, 구멍 (19) 내의 나사는 콜라 밑의 공구의 나사난 부분보다 큰 길이로 절단된다.
구멍 (18) 이 충분히 크다면, 부정합된 피스(13b)는 구멍을 통해 제거된다. 다른 방법으로, 들어올리는 장치는 원통 부분과 스테이 볼트를 통해 낮춰지고, 제 3 도와 관련하여 기술된 것처럼, 피스 (13b) 를 들어올리는데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의 다음의 기술에서, 쉽게 하기 위해, 같은 참조 번호가 같은 타입의 성분을 표시하기 위해 위와 같이 사용된다.
제 3 도는, 대 판내의 가로벽 (11)이, 스테이 볼트 관과 동축상으로 뻗어있는 관통 구멍 (22)과 대 판의 상부 부분의 나사난 구멍과 함께 형성되는 기관의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구멍 (22) 은 주조되거나 주조된 가로벽에 구멍이 뚫려지어 형성된다. 최하부 부분에서, 구멍 (22) 은 공구 삽입을 위한 접근을 용이케하도록 큰 직경을 갖는다. 대 판 밑에, 구멍 (22) 밑의 틈새를 제한하는 오일팬 ( oilpan ) (23) 이 있다. 하부 스테이 볼트 피스 (13b) 를 느슨하게 하는 공구는, 피스 (13b) 내의 밑으로 열린 구멍 (19) 의 미리 절단된 내부 나사로 나사죄어질 수 있는 외부 나사를 상부 단부에서 갖는 제 1 단부 (24) 를 갖는다. 이 내부 나사는 피스 (13b) 상의 외부 나사에 반대되는 피치를 갖는다. 제 1 피스의 바닥에, 하부 단부에서 상용하는 나사난 구멍을 갖는 연장 피스 (25) 상의 상부의 나사난 핀과 짝이 맞는 나사난 구멍이 있다. 제 1 피스가 구멍 (22) 을 통해 통과하므로, 연장 피스(25) 의 필수적인 수는, 제 1 피스가 구멍 (19) 안으로 나사죄어질 때까지, 첨가된다. 그후 촤하부 연장 피스는 공구와 부서진 피스 (13b) 에 토오크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돌출 아암을 구비하여 피스 (13b) 는 대 판내의 나사난 구멍으로부터 나사가 풀리고 자유로이 드나들게 된다.
부정합된 후, 피스 (13b) 는 스테이 볼트 관의 바닥으로 부터 제거되야 한다. 이것은 스테이 볼트 관내의 적절히 큰 구멍을 절단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스테이 볼트 관과 원통 부분을 통해 위로부터 밑으로 통과하는 들어올리는 장치 (26) 에 의해 피스가 들어올려 진다. 들어올리는 장치는 부서진 피스 (13b)에 고정된다. 이것은 여러 방법으로 행해질 수 있다. 하나의 가능성은, 피스 (13b) 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갖는 밑으로 열린 컵 (27) 을 들어올리는 장치가 하부 단부에서 가져 컵은 피스 (13b) 둘레에서 밑으로 낮춰질 수 있다는 것이다. 컵은 피스 (13b) 에 접착되는 강한 접착제를 담고 있을 수 있다. 상대적으로 작은 구멍 (28) 이 또한, 피스 (13b) 위에 컵의 엣지를 용접할 수 있는 용접 전극에 접근할수 있도록 스테이 볼트 관의 하부 단부에 뚫려질 수 있다. 제 3 의 가능성은, 들어올리는 장치가 하부 단부에서 빨리 굳는 접착제가 담긴 용기를 지지하는 막대라는 것이다. 제 4 의 가능성은, 들어올리는 장치가, 스테이 볼트 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관의 피스와, 관을 통해 낮춰지고 부서진 피스의 상부에 놓인 후, 전류를 가함으로써 여기되어 부서진 피스가 전자석에 자기적으로 고정되며 관의 피스 내부에 위치되는 전자석을 하부 단부에서 갖는 들어올리는 와이어를 구성한다는 것이다. 파이프의 피스는 전자석을 스테이 볼트관 중앙에 있게하여 전류가 가해질 때 이것 위에 고정시키지 않는다. 피스 (13b) 가 들어올리는 장치에 고정될 때, 피스와 함께 들어올려지고 새 스테이 볼트가 삽입될 수 있다.
제 4 도는, 스테이 볼트 관 밑의 상부 부분과 대 판에서, 샤프트 피스 (29) 가 줄어들며 들어가는 구멍 뚫린 원통형 구멍을 가로벽 (11) 이 갖는 기관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다. 구멍은 기관의 가로 방향으로 세로축에 대하여 배향되나, 바람직하기로는 세로축이 기관의 세로 방향으로 배향되고 수평으로 뻗어 있는데, 이것은 구멍으로 부터 샤프트 피스를 당겨내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이다.
샤프트 피스 (29)는 스테이 볼트의 하부 단부 (15) 에서 외부 나사와 짝이 맞는 내부에 나사가 난 구멍을 갖는다. 샤프트 피스는 구멍에 장착되어 나사난 구멍이 스테이 볼트 관과 대체로 동축상으로 뻗어있게 되어 스테이 볼트는 문제없이샤프트 피스 안으로 나사죄어질 수 있다. 샤프트 피스 (29) 안으로 밑으로 나사 죄어지는 나사난 지역에서 힘에 관해 가장 약한 지역과 함께 스테이 볼트가 형성된다. 스테이 볼트가 부서진다면, 이것은 가장 약한 지역에서 일어나는데, 이것은 부서진 하부 피스가 샤프트 피스 (29) 내에 완전히 둘러싸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부 스테이 볼트 피스가 멀리 들어올려질 때, 예를들어 샤프트 피스의 한 단부안으로 나사죄어짐으로 해서 추출기가 샤프트 피스에 장착되며, 샤프트피스는 벽 (11) 내의 원통형 접근 구멍 밖으로 당겨진다. 그 후, 샤프트 피스를 냉각함으로써 그리고 원통형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새 샤프트 피스가 수축되고 새로운 스테이 볼트가 장착될 수 있다.
제 5 도는, 대 판의 상부 부분에서 옆으로 대향되는 접근 구멍을 통해 요홈 (31) 을 통과하는 너트 (30) 안으로 스테이 볼트의 하부 단부가 나사죄어지는 기관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다. 너트의 상부 표면은, 밑으로 향하며, 요홈의 상한을 이루며, 구멍으로 부터 요홈까지 스테이 볼트 관과 동축상으로 통과하는 관통 구멍에 대해 환형으로 뻗어있는 접촉표면과 인접한다. 대 판에서 너트 (30) 밑에 하나의 스테이 볼트 직경보다 스테이 볼트의 세로 방향으로 높이 있는 틈새가 있도록 하는 높이를 요홈이 갖는다. 스테이 볼트가 부서진다면, 부서진 피스는 요홈의 바닥으로 떨어지고 동시에 너트위의 스테이 볼트 부분이 열려서, 필요하다면 요홈으로의 측부 구멍을 통해 제거되기 전에 절단된다.
제 6 도는, 너트 (30) 밑의 틈새가 덮개 (33) 형태의 제거될 수 있는 장벽 수단이 오일 팬 (23)으로의 접근을 막아 스테이 볼트의 부서진 피스가 우연히 오일팬 안으로 떨어지지 않게되는, 대 판의 상부 부분에서 밑으로 향한 접촉 표면으로 부터 대 판의 하부 측부까지 스테이 볼트 관과 동축상으로 뻗어있는 구멍 (32) 인 기관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한다. 대신에 장벽 수단은, 구멍 (32) 을 가로지르고 벽 (11) 을 통해, 수평으로 뻗어있는 구멍 내에 삽입되는 핀이다. 구멍 (32) 은 알맞게 큰 횡단면을 가져 너트 (30) 는 구멍을 통해 상하로 통과할 수 있다. 구멍은 대 판을 주조할 때 형성되거나 주조후 가로벽안으로 뚫리게 된다. 스테이 볼트가 부서지면, 부서진 피스 (13b) 는, 장벽 수단위로 떨어진다. 그후 피스 (13b) 는, 장벽 수단을 떼내어 구멍 (32) 내의 바닥 구멍을 통해 피스 (13b) 를 제거하기 위해 접근되게 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제 3, 4 및 5 실시예는, 부서진 스테이 볼트의 교체 또한 하부 스테이 볼트 단부가 나사죄어지는 나사의 교체를 수반하는 특별한 장점을 제공하는 반면, 제 2, 3, 5 도 및 특히 제 4 도의 실시예는 대 판내의 벽 (11) 이 유리하게도 높은 강성을 지니게 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큰 크로스헤드 기관이 주 베어링의 양 측부 상에 단일의 또는 이중 스테이 볼트와 함께 형성되든 아니든간에 그리고 스테이 볼트 관이 원형 또는 다변형 횡단면을 갖는 독립적인 관이거나 크로스헤드 평면을 위해 스티프너에 내장된 관이든 아니든간에 발명은 큰 크로스헤드 기관에 적절하다.
제 1 도는 큰 크로스헤드 기관내의 스테이 볼트 둘레에 있는 정지된 주 성분의 반쪽의 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기관내의 부서진 스테이 볼트 피스내의 나사의 절단부의 확대된 도면.
제 3 도는 기관의 제 2 실시예의 부서진 스테이 볼트의 부정합 및 승강을 예시하는 도면.
제 4 도에서 6도까지는 기관의 제 3, 4 및 5 실시예의 스테이 볼트의 고정부를 예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대판 11 : 가로벽 22 : 구멍
2 : 프레임 박스 12 : 하부 부분 23 : 오일팬
3 : 원통 부분 13 : 스테이 볼트 24 : 제 1 부분
4 : 대칭 세로 평면 14 : 스테이 볼트 관 25 : 연장 피스
5 : 스티프너 15 : 하부 단부 26 : 들어올리는 장치
6 : 안내부 16 : 부싱 27 : 컵
7 : 플랜지 17 : 너트 29 : 샤프트 피스
8 : 베어링 18, 19 : 구멍 30 : 너트
9 : 상부 부분 20 : 상부 단부 31 : 요홈
10 : 스터드 21 : 탭 32 : 구멍

Claims (9)

  1. 주 베어링의 하부 부분과 일체로 되는 가로벽 (11) 을 갖는 대 판과, 1.5에서 5 m 까지의 길이를 갖는 스테이 볼트 관을 갖는 기관 프레임 박스를 가지며, 대 판(1), 기관 프레임 박스(2), 및 원통 부분 (3) 또는 부분들이 주 베어링 하우징의 하부 부분 (12) 보다 높은 수준에서 대 판의 상부 부분에 고정되고 기관 프레임 박스내의 스테이 볼트 관 (14)을 통해 연결된 실린더 부분으로 부터 밑으로 통과하는 스테이 볼트 (13) 에 의해 서로 고정되고, 주 베어링 둘레 지역내의 대 판이 스테이 볼트로 인한 고정력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큰 두 행정 크로스헤드 기관으로 부터 부서진 스테이 볼트를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부서진 스테이 볼트가, 실린더 부분 (3) 밖으로 부서진 스테이 볼트의 상부 피스 (13a) 를 들어올림으로써 대 판으로 부터 기관 프레임 박스를 분리하지 않고 제거되고, 스테이 볼트의 하부의 부서진 피스 (13b) 를 처리하기 위한 접근이 스테이 볼트 관의 하부 단부로의 구멍을 통해 이루어지며, 필요하다면 더 작은 피스로 나뉘어진 후 부서진 피스가 접근 구멍을 통해 제거되거나, 접근 구멍을 통해 삽입된 공구에 의해 부서진 피스를 부정합시킨 후 스테이 볼트 관을 통해 들어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부서진 피스 (13b) 가, 부서진 피스내의 나사난 구멍안으로 공구를 나사죔으로써 대 판 (1) 의 상부에서 나사로 부터 부정합되어 부서진 피스가 대 판내의 나사로부터 나사죔이 풀어질 때까지 공구가 한바퀴 회전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공구 (24, 25) 가 관통 구멍 (22) 을 통해 대 판 (1) 의 하부 측부로 부터 위로 통과하고, 부서진 피스내의 미리 절단된 나사난 구멍안으로 나사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서 3 항 까지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들어올리는 장치 (26)가 스테이 볼트 관 (14) 을 통해 위로 부터 밑으로 통과하고 들어올리는 장치가 들어올려지게 되는 부서진 피스 (13b) 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주 베어링의 하부 부분과 일체로 되는 가로벽 (11) 을 갖는 대 판, 및 1.5에서 5 m 까지의 길이를 갖는 스테이 볼트 관을 갖는 기관 프레임 박스를 가지며, 대 판 (1), 기관 프레임 박스 (2), 및 원통 부분 또는 부분들이 주 베어링 하우징의 하부 부분 (12) 보다 높은 수준에서 대 판의 상부 부분에 고정되고 기관 프레임 박스 내의 스테이 볼트 관 (14) 을 통해 연결된 원통 부분으로 부터 밑으로 통과하는 스테이 볼트 (13) 에 의해 서로 고정되며, 주 베어링 둘레 지역내의 대 판이 스테이 볼트로 인한 고정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스테이 볼트의 하부 단부 (15) 가 대 판내의 위로 열린 나사난 구멍안으로 나사죄어지는 외부 나사를 구비하는, 큰 두 행정 크로스헤드 기관에 있어서 각각의 스테이 볼트가 하부 단부 (15) 에서 외부 나사 길이보다 긴 중앙 세로 구멍 (19)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 두 행정 크로스헤드 기관.
  6. 제 5 항에 있어서, 스테이 볼트 (13) 내의 중앙 세로 구멍 (19) 이 내부 나사를 구비하며, 스테이 볼트의 부서진 하부 피스 (13b) 를 없애도록 나사죄어지는 스테이 볼트의 세로 구멍에 공구(24, 25)를 삽입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대 판 (1) 내의 나사난 구멍과 동축상으로 뻗어있는 관통 구멍을 대 판이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 두 행정 크로스헤드 기관.
  7. 주 베어링의 하부 부분과 일체로 되는 가로벽 (11) 을 갖는 대 판, 및 1.5에서 5 m 까지의 길이를 갖는 스테이 볼트 관을 갖는 기관 프레임 박스를 가지며, 대 판 (1), 기관 프레임 박스 (2), 및 원통 부분 및 부분들이 주 베어링 하우징의 하부 부분 (12) 보다 높은 수준에서 대 판의 상부 부분에 고정되고 기관 프레임 박스내의 스테이 볼트 관 (14) 을 통해 연결된 원통 부분으로 부터 밑으로 통과하는 스테이 볼트 (13) 에 의해 서로 고정되며, 주 베어링 둘레 지역내의 대 판이 스테이 볼트로 인한 고정력에 영향을 받지않고, 스테이 볼트의 하부 단부가 대 판내의 위로 열린 나사만 구멍안으로 나사죄어지는 외부 나사를 구비하는, 큰 두행정 크로스헤드 기관에 있어서, 위로 열린 나사난 구멍이 대 판의 상부 부분내의 구멍안으로 줄어든 샤프트 피스 (29) 에 형성되고, 힘에 관해 스테이 볼트 (13) 의 가장 약한 지역이 샤프트 피스에 위치한 스테이 볼트 부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 두 행정 크로스헤드 기관.
  8. 주 베어링의 하부 부분과 일체로 되는 가로벽 (11) 을 갖는 대 판, 및 1.5에서 5 m 까지의 길이를 갖는 스테이 볼트 관을 갖는 기관 프레임 박스를 가지며, 대 판 (1), 기관 프레임 박스(2) 및 원통 부분 (3) 또는 부분들이 주 베어링의 하부 부분 (12) 보다 높은 수준에서 대 판의 상부 부분에 고정되고 기관 프레임 박스내의 스테이 볼트 관 (14) 을 통해 연결된 원통 부분으로 부터 밑으로 통과하는 스테이 볼트 (13) 에 의해 서로 고정되며, 주 베어링 둘레 지역내의 대 판이 스테이 볼트로 인한 고정력에 영향을 받지않고, 스테이 볼트의 하부 단부 (15) 가 대 판의 상부 부분내의 밑으로 향한 접촉 표면과 접촉하는 너트 (30) 안으로 나사죄어지는 외부 나사를 구비하는 큰 두 행정 크로스헤드 기관에 있어서, 너트 (30) 밑의 대 판 (1) 에, 하나의 스테이 볼트 반경보다 더 밑으로 스테이 볼트의 하부의 부서진 피스 (13b) 가 떨어질 수 있도록 스테이 볼트의 세로 방향으로의 범위를 갖는 틈새가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 두 행정 크로스헤드 기관.
  9. 제 8 항에 있어서, 너트 밑의 틈새가, 대 판의 하부 부분으로 부터 밑으로 향하는 접근 표면까지 스테이 볼트 관 (14) 과 동축상으로 뻗어있는 구멍 (32) 이며, 너트 (30) 가 구멍을 관통하도록 큰 횡단면을 가지며, 제거될 수 있는 장벽 수단 (33) 이 하부의 부서진 스테이 볼트 피스 (13b) 로 하여금 우연히 크랭크 하우징의 바닥안으로 떨어지지 않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 두 행정 크로스헤드 기관.
KR1019960020631A 1995-06-09 1996-06-10 큰 두 행정 크로스헤드 기관 및 이로부터 부서진 스테이볼트를제거하는방법 KR1003894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0656/95 1995-06-09
DK199500656A DK174079B1 (da) 1995-06-09 1995-06-09 Fremgangsmåde til udtagning af en knækket stagbolt fra en stor totakts krydshovedmotor og en sådan mo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076A KR970002076A (ko) 1997-01-24
KR100389470B1 true KR100389470B1 (ko) 2003-11-28

Family

ID=8096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0631A KR100389470B1 (ko) 1995-06-09 1996-06-10 큰 두 행정 크로스헤드 기관 및 이로부터 부서진 스테이볼트를제거하는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226458B2 (ko)
KR (1) KR100389470B1 (ko)
DK (1) DK1740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6801A (ko) * 1999-11-15 2001-06-15 이건훈 밤 박피 장치
AT501339B1 (de) * 2005-01-17 2006-11-15 Avl List Gmbh Brennkraftmaschine
EP1826387A2 (de) * 2006-02-24 2007-08-29 Wärtsilä Schweiz AG Kreuzkopf-Grossdieselmotor
DE102006045800B4 (de) * 2006-09-26 2013-10-17 Man Diesel & Turbo Se Schiffsdieselbrennkraftmaschine mit einer Zugankerverspannung
KR20100127694A (ko) * 2009-05-26 2010-12-06 베르트질레 슈바이츠 악티엔게젤샤프트 대형 크로스헤드 디젤 엔진
JP6675956B2 (ja) * 2016-08-29 2020-04-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架構及びクロスヘッド式内燃機関
KR102290868B1 (ko) * 2020-03-03 2021-08-20 피에이치에이 주식회사 Mr댐퍼를 이용한 오토 도어클로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174079B1 (da) 2002-05-21
KR970002076A (ko) 1997-01-24
DK65695A (da) 1996-12-10
JP3226458B2 (ja) 2001-11-05
JPH08338306A (ja) 1996-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9470B1 (ko) 큰 두 행정 크로스헤드 기관 및 이로부터 부서진 스테이볼트를제거하는방법
JP2014515082A (ja) 盲リベットボルト
US3864806A (en) Method of repairing stripped spark plug threads in engine heads
US4611093A (en) Electrical bushing having a replaceable stud
KR20020033609A (ko) 트랜스포머
KR950034282A (ko) 연료 조립체의 센터링 핀 교체 방법 및 센터링 핀
CN211761190U (zh) 一种拔阀器
JPH09318787A (ja) トグルボルト・アセンブリイ
US4748733A (en) Removal of old split-pin assemblies from guide tubes and replacement by new split-pin assemblies
DE3939230A1 (de) Brennkraftmaschine
RU2792074C1 (ru) Крюковая подвеска
US6666637B1 (en) Segmented ring-nut for gasketed pressure vessel opening
KR0119548Y1 (ko) 잔반처리기용 파쇄기 회전판 분리구조
RU2157935C2 (ru) Резьбовое з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винчивания крышек к напорным резервуарам, в частности напорным резервуарам реакторов
KR100569626B1 (ko) 구멍 가공용 드릴 지그
SU1211200A1 (ru) Грузоподъемный штырь
KR102428760B1 (ko) 액츄에이터의 패킹 박스용 풀러
US20080171605A1 (en) Master Spindle for Tapping Machine
KR20040002395A (ko) 중성자 반사체 볼트 체결 구조체 및 그 체결 방법
CN215541837U (zh) 一种适配多种电机轴的离心机转子
CN110440650A (zh) 一种组合式的抗爆容器盖体结构
CN1859993B (zh) 攻丝机主轴
KR102204014B1 (ko) 컴바인 트랙 롤러 분리기 구조
KR960005554Y1 (ko) 금형의 냉각수 라인홀 밀폐장치
KR200338347Y1 (ko) 급속체결용 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