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9209B1 - 마모감지부를 갖는 액제미분용기 - Google Patents

마모감지부를 갖는 액제미분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209B1
KR100389209B1 KR10-2000-0015552A KR20000015552A KR100389209B1 KR 100389209 B1 KR100389209 B1 KR 100389209B1 KR 20000015552 A KR20000015552 A KR 20000015552A KR 100389209 B1 KR100389209 B1 KR 100389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ine powder
liquid
wear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5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2890A (ko
Inventor
박헌양
Original Assignee
박헌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헌양 filed Critical 박헌양
Priority to KR10-2000-0015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9209B1/ko
Publication of KR20010092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2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2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05B9/084Fastening of lock cylinders, plugs or cores
    • E05B9/086Fastening of rotors, plugs or cores to an outer stat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9/00Cylinder locks and other locks with plate tumblers which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 입자를 조밀하게 하기 위해 미분이 요구되는 다양한 종류의 액제에 대해 미분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액제미분용기의 외면에 마모감지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액제미분용기 내벽의 마모정도가 일정범위의 마모한계에 도달되게 되면 이를 외부에서 감지하여 미분용기를 교체하는 등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분용기의 급작스런 손상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내부에는 다수의 교반날개(11)를 갖는 교반기(1)가 별도의 구동수단(2)에 의해 구동 가능하게 직립 설치되는 액제미분용기(A)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미분용기(A)를 이루는 용기본체(3)의 외면일측에는 그 축심방향으로 전길이에 걸쳐 마모감지홈(31)을 일정한 깊이로 요입 형성하고, 상기 마모감지홈(31)을 제외한 상기 용기본체(3)의 외면에는, 내부에 다수의 냉각수순환 안내편(41)을 형성한 냉각자켓(4)을 부착설치 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감지부를 갖는 액제미분용기이다.

Description

마모감지부를 갖는 액제미분용기{Wet grinding vessel}
본 발명은 마모감지부를 갖는 액제미분용기(液劑微分容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 입자를 조밀하게 하기 위해 미분이 요구되는 다양한 종류의 액제에 대해 미분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액제미분용기의 외면에 마모감지홈을 형성하여 액제미분용기의 내벽이 미모되어 마모한계에 도달하여 마모감지홈과 연통되어 누액이 발생하게 되면 이를 외부에서 감지하여 미분용기를 교체하는 등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분용기의 급작스런 손상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페인트나 잉크 또는 오디오나 비디오 테이프용 자성체 등의 액제에 대해서는 그 분말입자를 보다 조밀하게 하기 위해 별도의 미분(wet grinding)공정이 요구되는 것인바, 이때 상기 액제에 대한 미분을 위해서는, 내부에 다수의 교반날개를 갖는 교반기(agitator)가 설치되는 일정크기의 미분용기가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미분용기에는 투입되는 액제와 함께 액제에 대해 실질적인 미분작용을 하는 높은 경도를 갖는 작은 직경의 메디아(media)가 다량 투입되어 교반기날개의 교반가용과 메디아에 의한 반복적인 마찰에 따른 연마작용에 의해 액제에 대한 미분 작용이 이루어지게 하여 목적한 미분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액제에 대한 미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기한 미분용기는, 미분용기 내부에서 액제가 메디아와 교반기의 반복적인 마찰에 의해 미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미분용기의 내부온도가 상승되게 되는데, 이와같은 미분용기의 온도상승을 막기 위해 미분 용기 외면에 대해 지속적인 냉각수 순환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냉각자켓이 용기본체 외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지금까지의 미분용기는, 액제에 대해 미분효과를 좋게 하기 위해 액제와 함께 투입되는 작은 알갱이 형태의 유리, 세라믹, 지르코늄 및 티타늄등으로 되는 고경도의 메디아가 교반기의 회전작동에 따라 액제와 함께 뒤섞인 상태로 용기내부에서 교반되면서 서로 마찰되는 것에 의해 액제에 대한 미분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이 경우 용기내벽면의 상기 교반날개위치 부위는 액제에 대한 미분효과를 좋게 하기 위해 액제와 함께 투입되는 고경도의 메디아가 교반날개의 회전에 의해 액제와 섞인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용기 내벽면과 부딪히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마찰을 일으키게 됨에 따라 용기본체 내벽의 다른 부위, 즉 교반날개가 위치하지 않은 부위의 내벽보다 더욱 많은 손상을 입게 되므로, 이와같이 액제와 메디아가 섞인 상태에서 메디아의 마찰에 의해 미분이 이루어지는 식으로 미분용기를 장기간 사용하다보면 용기 내벽의 교반날개 위치부위는 심한 손상을 입게 되고, 또한 용기내벽이 손상되는 것을 용기 외부에서 감지할 수 없는 특성상 이를 방지한 채 미분용기를 계속 사용할 경우에는 용기의 특정부위가 외부와 연통상태로 될 정도로 마모되는 일이 발생되게 되어 용기외면을 에워싸도록 설치되는 냉각자켓의 냉각수와 용기내부의 액제 및 메디아가 뒤섞이면서 냉각수와 함께 순환되게 되어 결과적으로 미분장치는 물론 냉각수 공급 및 순환장치전체에 막대한 영향을 주게 되는등 장치의 손상은 물론이고 냉각수와 액제 및 메디아가 뒤섞이면서 환경을 오염 시킬 우려도 있는 것이었다.
근래들어 상기와 같이 미분 용기내벽의 마모정도를 외부에서 알수 없는데 따라 급작스럽게 미분 용기가 손상되게 되어 발생되는 문제들을 최소화 하기 위한 방편으로, 용기의 특정부위에 대해 그 내벽의 두께를 다른부위보다 얇게 하고 이곳에 니플 등을 설치하여 이 니플을 통해 니플 설치부의 내벽에 대한 마모한계 도달여부를 알수 있게 함으로써 용기외부에서 이를 감지하여 미분용기의 작동을 멈춤과 동시에 미분용기에 대한 교체작업을 실시하여 더 이상의 사태진행을 막을 수 있도록하여 그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용기외부에서 용기내벽의 특정부위에 대한 마모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종래의 수단은, 말 그대로 용기내벽의 전부분이 아닌 니플설치부 특정부위에 한해 그 마모한계에 도달되는 것을 외부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므로, 미분용기 사용시 특정되지 않은 다른 부위가 먼저 마모될 수도 있는 상황이어서 이 경우에는 마모 감지수단의 유무와 상관없이 용기 내벽의 과다한 마모진행을 사전에 용기외부에서 전혀 감지 할 수 없게 되므로 어쩔 수 없이 용기의 손상이 발생되게 되어 그에 따른 상술한 바와같은 여러 문제점들이 야기되게 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사전에 미분용기의 용기본체 내벽의 마모정도가 마모한계에 도달했음을 용기 외부에서 알 수 없어 용기의 손상을 미연에 막을 수 없는데 따라 발생되는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용기본체 외벽일측에 그 축선방향으로 일정한 깊이로 감지요홈을 요입 형성하여 용기본체의 내벽이 마모되어 감지요홈과 연통되어 누액이 발생되었을 때에 이를 용기외부에서 감지하여 용기본체 내벽의 마모상태가 마모한계에 도달되었음을 쉽게 알 수 있게 함으로써 급작스럽게 발생되는 미분용기의 손상에 따른 제반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액제에 대한 미분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마모감지부를 갖는 액제 미분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미분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미분용기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미분용기의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의 대한 부호의 설명
1: 교반기 2: 구동수단
3: 용기본체 4: 냉각자켓
11: 교반날개 31: 마모감지홈
41: 순환 안내편 42: 맺힘수처리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마모감지부를 갖는 액제미분용기는, 내부에는 다수의 교반날개(11)를 갖는 교반기(1)가 별도의 구동수단(2)에 의해 구동가능하게 직립설치되는 액제미분용기(A)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미분용기(A)를 이루는 용기 본체(3)의 외면일측에는 그 축심방향으로 전 길이에 걸쳐 마모감지홈(31)을 일정깊이 요입형성하고, 상기 마모감지홈(31)을 제외한 상기 용기본체(3)의 외면에는, 내부에 다수의 냉각수 순환 안내편(41)을 형성한 냉각자켓(4)을 부착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자켓(4)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맺힘수처리구(42)를 설치하여 냉각자켓(4)외면에 이슬맺힘에 의해 형성되는 물을 모아 처리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마모감지부를 갖는 액제미분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마모감지부를 갖는 액제미분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마모감지부를 갖는 액제미분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단면도로서 그 구성은, 용기본체(3)와 냉각자켓(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용기본체(3)는 일정두께의 관체로 되어 그 내부에는 다수의 교반날개(11)를 갖는 공지의 교반기(1)가 직립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미분처리를 위한 각종액제와 함께 실질적으로 미분작용을 하는 고경도의 다양한 소재로 되는 작은 입자의 메디아가 함께 투입되어 교반기(1) 교반날개(11)의 지속적인 회전운동에 의해 액제와 메디아가 함께 뒤섞이면서 메디아간의 마찰에 의해 액제에 대한 미분작용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용기본체(3)의 외면 일측에는 그 축선방향으로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깊이의 마모감지홈(31)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냉각 자켓(4)은 상기 용기본체(3)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마모감지홈(31)을 제외한 전 외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냉각수의 순환을 원할하게 하기 위한 다수의 냉각수 순환 안내편(41)이 지그재그의 형태로 설치되어있다.
또한 상기 냉각자켓(4)하단에는, 냉각자켓(4)외면에 이슬맺힘에 의해 형성되는 맺힘수를 그대로 모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맺힘수처리구(42)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의한 마모감지부를 갖는 액제미분용기(A)의 실시 사용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액제미분용기(A)를 이루는 용기본체(3)내부에 미분처리를 위한 액제와 이 액제에 대해 실질적으로 미분작용을 하는 메디아를 함께 투입한 상태에서 용기본체(3)내부에 직립 설치되는 교반기(1)를 작동시키게 되면, 교반기(1)를 이루는 다수의 회전날개(11)가 회전되면서 액제와 메디아를 지속적으로 교반시키게 되게 됨에 따라 액제는 메디아와의 반복적인 마찰 접촉에 의해 아주 미세한 입자로 미분되게 되어 액제에 대해 목적한 미분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이때 액제에 대한 미분이 이루어지는 상기 용기본체(3)내부는 교반기(1)의 회전동작에 의한 메디아와 액제간의 지속적인 마찰에 따라 고온으로 유지되게 됨에 따라 용기본체(1)의 내부온도를 최대한 낮게 유지하기 위해 용기본체(1)외면에 냉각자켓(4)을 설치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액제에 대한 미분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상기 냉각자켓(4)에 대한 지속적인 냉각수공급 및 순환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용기본체(1)의 내부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같이 용기본체(3) 내부에 담긴 액제에 대한 미분동작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용기본체(3)의 내벽, 특히 교반기(1)의 교반날개(11)가 위치하는 측의 내벽에는 액제에 대해 실질적인 미분작용을 하는 메디아가 교반날개(11)의 회전에 의해 집중적으로 충돌되게 되면서 심한 손상을 입히게 됨에 따라 장기간 액제미분용기(A)를 사용하게 되면 용기본체(3)의 교반날개(11)위치측 내벽은 점차 마모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액제미분용기(A)는, 용기본체(3)의 축선방향으로 그 외면 일측에 일정한 깊이의 마모감지홈(3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기내벽이 일정수준 마모되어 마모한계에 도달되게 되면 마모감지홈(31)과 연통되면서 액상이 외부로 누출되는 누액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이 외부로 누출되는 우액을 통해 용기외부에서 용기내벽이 마모한계에 도달했음을 감지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자는 본 발명의 액제미분용기(A)가 설치된 장치의 구동을 정지한 후 마모된 용기본체(3)를 새로운 용기본체(3)로 교체 설치한 후 다시 장치를 재구동하여 액제에 대한 미분처리작업 계속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용기본체(3)의 내벽에 대한 마모 한계 도달상태를 알 수 없는데 따라 야기되었던 안전사고 및 환경오염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액제에 대한 미분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용기본체(3)외면에 형성되는 마모감지홈(31)의 깊이는 용기본체(3)의 내벽두께를 14mm 내외로 하였을 때 대략 2mm 내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마모감지부를 갖는 액제미분용기에 의하면, 내부에 담긴 액제가 메디아와 함께 섞여 교반기에 의해 교반되면서 미분되도록 한 미분용기의 용기 본체 외면 일측에 그 축선방향으로 전 길이에 걸쳐 일정한 깊이의 마모감지홈이 요입 형성되어 있으므로 메디아의 지속적인 마찰로 인해 용기내벽이 일정수준 마모 손상되어 마모한계에 도달되어 마모감지홈과 연통되면서 누액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이를 용기본체 외부에서 감지하여 마모된 미분용기를 신속하게 새로운 미분 용기로서 교체설치하는 것에 의해 미분용기의 급작스런 손상에 따른 각종폐해를 미연에 막을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각종 액제에 대해 보다 효율적인 미분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내부에는 다수의 교반날개(11)를 갖는 교반기(1)가 별도의 구동수단(2)에 의해 구동 가능하게 직립 설치되는 액제미분용기(A)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미분용기(A)를 이루는 용기본체(3)의 외면일측에는 그 축심방향으로 전길이에 걸쳐 마모감지홈(31)을 일정깊이 요입형성하고, 상기 마모감지홈(31)을 제외한 상기 용기본체(3)의 외면에는 다수의 냉각수순환 안내편(41)이 내부에 형성된 냉각자켓(4)을 부착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감지부를 갖는 액제미분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자켓(4)의 하단에는 맺힘수처리구(42)를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감지부를 갖는 액제미분용기.
KR10-2000-0015552A 2000-03-27 2000-03-27 마모감지부를 갖는 액제미분용기 KR100389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552A KR100389209B1 (ko) 2000-03-27 2000-03-27 마모감지부를 갖는 액제미분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552A KR100389209B1 (ko) 2000-03-27 2000-03-27 마모감지부를 갖는 액제미분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890A KR20010092890A (ko) 2001-10-27
KR100389209B1 true KR100389209B1 (ko) 2003-06-27

Family

ID=19658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5552A KR100389209B1 (ko) 2000-03-27 2000-03-27 마모감지부를 갖는 액제미분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92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12424A (zh) * 2017-12-22 2018-06-29 曾敏 一种医疗用药材研磨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7546A (ja) * 1991-06-07 1993-06-22 Saphirwerk Ind Ag 接触型感知プローブ
JPH08128569A (ja) * 1994-11-02 1996-05-21 Bridgestone Corp 導電性流体の漏洩感知ホ−ス
JPH0972465A (ja) * 1995-09-05 1997-03-18 Bridgestone Corp 摩損検知ホース
JPH09133043A (ja) * 1995-11-08 1997-05-20 Isuzu Ceramics Kenkyusho:Kk 摩耗感知手段を持つシリンダライナの構造
JPH11262646A (ja) * 1998-03-18 1999-09-28 Araki Tekko:Kk 分散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7546A (ja) * 1991-06-07 1993-06-22 Saphirwerk Ind Ag 接触型感知プローブ
JPH08128569A (ja) * 1994-11-02 1996-05-21 Bridgestone Corp 導電性流体の漏洩感知ホ−ス
JPH0972465A (ja) * 1995-09-05 1997-03-18 Bridgestone Corp 摩損検知ホース
JPH09133043A (ja) * 1995-11-08 1997-05-20 Isuzu Ceramics Kenkyusho:Kk 摩耗感知手段を持つシリンダライナの構造
JPH11262646A (ja) * 1998-03-18 1999-09-28 Araki Tekko:Kk 分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890A (ko) 200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3593B1 (ko) 기계공구용스핀들조립체
DE60012520D1 (de) Kleinmühle und verfahren dafür
KR101743381B1 (ko) 매체교반형 분쇄기
KR100389209B1 (ko) 마모감지부를 갖는 액제미분용기
KR20100085536A (ko) 교반밀
US3944140A (en) Shower head
KR200472745Y1 (ko) 오거피더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방지하기 위한 씰링장치
KR20140057117A (ko) 연마재교반장치
KR20040016047A (ko) 다축 회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분쇄장치
EP1264630A2 (en) Mixing apparatus
US6565024B2 (en) Dispersing device
KR101219915B1 (ko) 코팅장갑용 코팅액 교반장치
US3984055A (en) Sandmill control system
KR20050105291A (ko) 미분 분쇄기
JPH07116488A (ja) 分散装置および分散方法
JP2005125192A (ja) セパレータ及び粉砕機
KR20120090175A (ko) 원심분리식 세정장치
TWI635895B (zh) 密閉型攪拌機的止漏裝置
JP3972179B2 (ja) ビーズミル
JPH0719553Y2 (ja) 攪拌機のシール装置
JP6726003B2 (ja) スラリーの混練・分散装置
CN111775312B (zh) 一种建筑施工用手持式搅拌器
CN109759945A (zh) 一种防止磨床主轴磨损的方法及结构
CN215963897U (zh) 一种改进的雷蒙磨装置
CN214974490U (zh) 一种温控水冷的卧式砂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