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8957B1 - 와이어클램프 피봇 - Google Patents

와이어클램프 피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8957B1
KR100388957B1 KR10-2000-0077163A KR20000077163A KR100388957B1 KR 100388957 B1 KR100388957 B1 KR 100388957B1 KR 20000077163 A KR20000077163 A KR 20000077163A KR 100388957 B1 KR100388957 B1 KR 100388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upport
disk
pivot
wire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7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6820A (ko
Inventor
안근식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7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8957B1/ko
Publication of KR20020046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9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60Attaching or detaching leads or other conductive member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5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wire connector
    • H01L2224/85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wire connector the connector being supplied to the parts to be connected in the bond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클램프의 피봇에 관한 것이다. 이는 와이어본딩장치에 상하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선단부에 죠오(jaw)부재가 구비된 제 1레버와, 상기 제 1레버의 측부에 나란히 설치되며 선단부에 죠오부재가 구비된 제 2레버와, 상기 제 1레버와 제 2레버 사이에 설치되는 피봇과, 상기 제 1,2레버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제 1레버와 제 2레버의 후단부를 진퇴운동시켜 상기 죠오부재를 클램핑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와이어본딩장치의 와이어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피봇은, 제 1레버 및 제 2레버에 각각 지지되며 제 1레버에 대한 제 2레버의 회동축선상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중앙에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지지디스크와, 상기 지지디스크 사이에 개재되는 다수의 지지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와이어클램프 피봇은, 두 개의 루비볼(ruby ball)과 네 개의 사파이어시트(sapphire seat)를 레버의 회동축선상에 직렬로 배치한 후 회동축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외부의 충격이나 열팽창의 영향을 받지 않고 양쪽 레버의 정렬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져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어 레버의 기동토오크를 필요에 대응하도록 변화시킬 수 있다. 특히 루비와 사파이어의 마찰계수가 매우 작으므로 마모가 적어 수명이 길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와이어클램프 피봇{Pivot of wire clamp}
본 발명은 와이어본딩장치에 설치되는 와이어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와이어클램프내에 장착되는 와이어클램프 피봇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클램프는 와이어본딩장치의 트랜스듀서 상부에 설치되어, 와이어를 트랜스듀서의 선단부에 구비된 본딩툴(bonding tool)로 공급하여 본딩툴로 하여금 와이어본딩을 수행하도록하는 기구이다.
이러한 와이어클램프는 하나의 세트를 이루며 선단에 죠오가 각각 구비되어있는 한 쌍의 레버와, 상기 레버의 사이에 설치되어 양측의 레버를 탄성결합하며 회동축의 역할을 하는 피봇과, 상기 레버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후단부를 진퇴운동시켜 상기 피봇을 회동축으로 삼아 죠오를 클램핑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클램프는 구성이나 구동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예를들어 미국특허 US4,653,681는 상기 피봇으로서 두 개의 루비볼(ruby ball)을 양쪽 레버의 대향면에 상하로 위치시키고 이 상태로 인장스프링을 양쪽 레버에 연결하여 상기 루비볼이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레버 사이에 머물며 회동축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와이어클램프(110)는 기본적인 작동성능에는 문제가 없으나, 피봇의 강성문제로 와이어클램프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부정확한 동작을 하게된다는 문제가 있었다.도 8 및 도 9에 상기 미국특허 US4,653,681에 개시된 종래의 와이어클램프의 피봇구조를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같이, 두 개의 루비볼(151, 도면에는 하나만 도시)이 인장스프링(134)이 가하는 힘의 방향에 대하여 병렬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좌우측 레버(115,116) 제작시의 가공오차 또는 열팽창 등에 의하여 루비볼(151)이 좌우측 레버(115,116)에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루비볼(151)과 레버(115,116)가 직접 접촉한 상태로 상대운동이 이루어지므로 마찰 및 마모가 발생하여 좌우측 레버(115,116)의 정렬상태가 불량해지고, 특히 상기 루비볼(151)이 인장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해 배열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비정상적인 충격이 가해질 경우 루비볼(151)이 레버(115,116) 사이에서 쉽게 빠져나가 양쪽 레버의 정렬이 흐트러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탄성계수가 매우 큰 스프링을 사용할 수 도 있으나 이 또한 클램프를 기동시키는데 큰 힘이 요구되게 된다는 다른 문제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두 개의 루비볼과 네 개의 사파이어시트(sapphire seat)를 레버의 회동축선상에 직렬로 배치한 후 회동축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외부의 충격이나 열팽창의 영향을 받지 않고 양쪽 레버의 정렬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져 조립이 용이하고,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어 레버의 기동토오크를 필요에 대응하도록 변화시킬 수 있으며, 특히 루비와 사파이어의 마찰계수가 매우 작으므로 마모가 매우 적어 수명이 연장되도록 구성된 와이어클램프 피봇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크램프 피봇이 장착된 와이어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와이어클램프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의 제 1레버를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1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클램프 피봇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클램프 피봇에 적용되는 지지디스크 및 루비볼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봇이 적용된 와이어크램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도 8 및 도 9는 종래 와이어클램프의 피봇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와이어클램프 12:보이스코일모터
14:죠오(jaw) 16:제 1레버
18:제 2레버 20:캡스크류
22:커버브라켓 24:받침브라켓
26,27:루비볼(ruby ball) 30:제 3수용홈
32:스프링 34:가압볼트
36:제 2수용홈 38:암나사
40:제 1수용홈 42:제 4수용홈
44:접촉곡면부 46:제 1디스크지지부
48:제 2디스크지지부 52:관통구
54:제 1지지디스크 55:제 2지지디스크
56:제 3지지디스크 57:제 4지지디스크
60:에지부 62:구멍
64:평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와이어본딩장치에 상하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선단부에 죠오(jaw)부재가 구비된 제 1레버와, 상기 제 1레버의 측부에 나란히 설치되며 선단부에 죠오부재가 구비된 제 2레버와, 상기 제 1레버와 제 2레버 사이에 설치되는 피봇과, 상기 제 1,2레버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제 1레버와 제 2레버의 후단부를 진퇴운동시켜 상기 죠오부재를 클램핑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와이어본딩장치의 와이어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피봇은, 제 1레버 및 제 2레버에 각각 지지되되, 제 1레버에 대한 제 2레버의 회동축선상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중앙에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지지디스크와, 상기 지지디스크 사이에 개재되어 지지디스크와 밀착하는 다수의 지지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디스크는 일정두께 및 직경을 갖는 원판형디스크이며, 상기 볼은 각 지지디스크의 관통구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져 관통구의 테두리부에 걸쳐져 밀착지지되고, 상기 제 1레버에는, 제 2레버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디스크를 수평으로 수용하는 제 1수용홈이 형성된 커버브라켓과, 상기 커버브라켓과 대향하며 대향면에는 제 1수용홈의 연직방향에 위치하며 지지디스크를 수평으로 수용하는 제 2수용홈을 갖는 받침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제 2레버에는, 상기 커버브라켓과 받침브라켓 사이에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커버브라켓의 제 1수용홈과 대향하며 지지디스크를 수용하는 제 3수용홈이 형성된 제 1디스크지지부와, 상기 받침브라켓의 제 2수용홈과 대향하며 지지디스크를 수용하는 제 4수용홈을 갖는 제 2디스크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커버브라켓 또는 받침브라켓은 제 1레버에 볼트에 의해 결합되어 제 1레버에 대해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디스크는 사파이어(sapphire)로 제작된 원판형디스크로서 지지볼과 접촉부하는 관통구의 테두리부는 지지볼의 외주곡률에 대응하여 곡면형상을 취하고, 상기 지지볼은 루비(ruby)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봇이 구비된 와이어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피봇(66)이 구비된 와이어클램프(10)는, 와이어본딩장치의 프레임(미도시)에 고정결합하는 제 1레버(16)와, 상기 제1레버(16)의 측부에 나란히 설치되어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제 2레버(18)와, 상기 제 1레버(16) 및 제 2레버(18)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보이스코일모터(12)와, 상기 제 1,2레버(16,18)사이에 설치되는 후술할 피봇(6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이스코일모터(12)는 공지의 요소로서 외부의 전력을 인가받아 제 1레버(16)의 후단부와 제 2레버(18)의 후단부를 진퇴운동시킨다.
상기 제 1,2레버(16,18)의 선단부에는 죠오(14)가 구비되는데, 상기 죠오(14)는 보이스코일모터(12)의 작동에 의해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는 클램핑(clamping)동작을 하며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와이어(미도시)를 잡아 하부로 한 피치씩 이송시킨다.
한편, 상기 제 1레버(16)의 대략 중앙 상측부에는 커버브라켓(22)이 마련되며 하측부에는 받침브라켓(24)이 구비된다. 상기 커버브라켓(22)은 제 2레버(18)측으로 연장되어 제 2레버의 상측면위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받침브라켓(24)은 제 2레버(18)측으로 연장되어 제 2레버(18)의 하측면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레버(18)의 대략 중앙부는 커버브라켓(22)과 받침브라켓(24)사이에 삽입되어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클램프 피봇(66)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와이어클램프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제 2레버(18)의 상측면과 하측면에는 제 1디스크지지부(46)와 제 2디스크지지부(48)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 1,2디스크지지부(46,48)는 제 2레버(18)에 고정되며 제 1레버(16)측으로 연장된 플레이트로서 각각의 바깥쪽면에 제 3수용홈(30) 및 제 4수용홈(도 5의 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3,4수용홈(30,42)은 일정직경 및 깊이를 갖는 원형홈으로서 상기 제 3수용홈(30)은 제 1디스크지지부(46)의 상면에 형성되고 제 4수용홈(42)은 제 2디스크지지부(48)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2디스크지지부(46,48)에 대한 수용홈(30,42)의 위치는, 수용홈(30,42)의 중심이 제 2레버(18)의 내측 에지부(60)선이 통과하는 위치에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제 3수용홈(30)와 제 4수용홈(42)은 연직방향에 위치한다.
상기 제 3수용홈(30)에는 제 2지지디스크(55)가 끼워진다. 상기 제 2지지디스크(55)는 중앙부에 관통구(52)가 형성된 원판 디스크의 형태를 취하며 균일한 두께를 갖는 것으로, 후술하는 제 1,3,4지지디스크(54,56,57)와 동일한 형상 및 재질로 가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디스크는 사파이어(sapphire)로 제작한다.
상기 제 2지지디스크(55)는 사파이어시트(sapphire seat)로서 관통구(52)의 상부에는 루비볼(ruby ball, 26)이 구비된다. 상기 루비볼(26)은 관통구(5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관통구(52)의 테두리부에 걸려 지지된다. 따라서, 루비볼(26)은 제 2지지디스크(55) 상부 중앙에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 제 2지지디스크(55)에 안착된 루비볼(26)의 상부에는 제 1지지디스크(도 4의 54)가 밀착한다.
상기 제 2디스크지지부(48)의 하면에 형성된 제 4수용홈(도 5의 42)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3지지디스크(56)가 끼워지며, 또한 상기 제3지지디스크(56)의 하부에는 루비볼(27)이 밀착한다. 상기 루비볼(27)은 제 3지지디스크(56)의 관통구(52) 및 제 4지지디스크(도 5의 57)의 관통구(52)테두리부에 끼워져 지지된다.
한편, 제 1레버(16)의 상측부에는 커버브라켓(22)이 마련된다. 상기 커버브라켓(22)은 제 1레버(16)의 상측부에 일체로 형성하며 제 2레버(18)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제 1디스크지지부(46)와 대향한다.
상기 커버브라켓(22)의 하면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1수용홈(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수용홈(40)은 제 3수용홈(30)과 마주하는 홈으로서 제 1지지디스크(54)가 수용된다.
또한 상기 제 1레버(16)에 있어서 상기 커버브라켓(22)의 연직하부에는 받침브라켓(24)이 구비된다. 상기 받침브라켓(24)에는 제 2수용홈(36)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 2수용홈(36)은 제 1수용홈(40)의 연직하부에 대향하여 형성된 홈으로서 내부에 제 4지지디스크(57)를 수용한다. 아울러 상기 제 2수용홈(36)의 측부에 가압볼트(34)가 통과하는 다수의 구멍(6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브라켓(24)은 제 1레버(16)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고 가압볼트(34)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부재이다. 따라서, 상기 받침브라켓(24)은 가압볼트(34)에 의해 착탈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 4지지디스크(57)의 지지력을 조절할 수 도 있어, 제 1레버(16)에 대해 제 2레버(18)의 회동에 필요한 토오크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볼트(34)를 보다 세게 조이면 각 지지디스크(54,55,56,57)와 루비볼(26,27)간의 밀착력이 강해지므로 뻑뻑해져 상대적으로 기동토오크가 커지고, 약하게 조이면 밀착력이 그만큼 약하므로 기동토오크가 작아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레버(16)와 제 2레버(18) 사이에는 스프링(32)이 수평으로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32)은 공지의 캡스크류(20)에 의해 양단이 막혀 제 1레버(16)와 제 2레버(18)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스프링(32)은 보이스코일모터(12)와 더불어 제 2레버(18)의 회동을 제어하는 부재로서 압축스프링이다.
상기 스프링(32)은 피봇(66)과 보이스코일모터(12) 사이에 위치하므로 압축스프링을 사용하였지만, 스프링을 피봇을 사이에 두고 보이스코일모터(12)의 반대측에 위치시키고자 할 경우 인장스프링을 사용한다.
도 3은 상기 도 2의 제 1레버를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커버브라켓(22)과 받침브라켓(24)은 상호 대향하며 상하로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커버브라켓(22)에 마련된 제 1수용홈(40)와 받침브라켓(24)에 마련된 제 2수용홈(36)에는 제 1지지디스크(54) 및 제 4지지디스크(57)가 각각 끼워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봇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상기 도 1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받침브라켓(24)이 가압볼트(34)에 의해 제 1레버(16)에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이 받침브라켓(24)을 제 1레버(16)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 1레버(16)의 하측면에는 암나사(도 5의 38)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상기 가압볼트(34)를 강하게 조이면 제 1레버(16)에 받침브라켓(24)이 보다 강하게 밀착하고 가압볼트(34)를 헐거웁게 조이면 상대적으로 약하게 밀착한다.
한편, 상기 커버브라켓(22)과 받침브라켓(24)의 사이에 제 2레버(18)가 삽입되어, 제 1수용홈(40)의 하부에 제 3수용홈(30)이 위치하게 되고 제 2수용홈(36)의 상부에는 제 4수용홈(42)이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각 수용홈(40,30,36,42)에는 각자의 지지디스크(54,55,56,57)가 구비되며 각 지지디스크 사이에는 루비볼(26,27)이 끼워져 있다.
상기 두 개의 루비볼(26)은 제 1레버(16)에 대한 제 2레버(18)의 회동중심축상에 위치하여 회동축의 역할을 한다.
아울러 가압볼트(34)를 조임에 따라 제 4지지디스크(57)가 루비볼(27)을 상부로 가압하고, 상기 루비볼(27)은 제 3지지디스크(56)를 상부로 가압한다. 또한 상기 가압력은 제 1디스크지지부(46)으로 전달되어 제 2지지디스크(55)와 제 1지지디스크(54)에 전달되어 상측 루비볼(26)을 상하로 가압하는 것이다.
따라서 결국 상기 가압볼트(34)를 보다 강하게 조이면 각 지지디스크와 루비볼간의 밀착력이 증가하여 보다 뻑뻑하게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상기 도 4의 피봇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결합되기 전의 각 구성요소의 형상을 나타내었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클램프 피봇에 적용되는 지지디스크와 루비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지지디스크(54,55,56,57)의 루비볼(26,27)과 접하는 관통구(52)의 테두리에는 접촉곡면부(44)와 평면부(6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곡면부(44)는 루비볼(26,27)의 외주곡률과 동일한 곡률를 갖도록 형성한 부위이다. 이와같이 곡률을 루비볼(26,27)과 동일하게 하여 루비볼과 지지디스크간의 접촉을 부드럽게 유도하여 양자간의 마모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루비볼과 지지디스크간의 접촉면적은 적을수록 좋으므로, 상기 접촉곡면부의 상측부에는 지지디스크가 루비볼과 접하지 않도록 통상의 모따기공정을 수행한 평면부(64)가 형성된다.
상기 루비볼과 지지디스크는 Sappheir Engineering INC.에서 판매하는 Ball/Seat Check Valve(Part Number:41-362-16)를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디스크의 관통구(52)의 직경은 1.08mm 이고 이 때의 루비볼의 직경은 1/16인치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클램프를 조립할 때 상기 각 지지디스크와 루비볼 사이에 그리이스(grease)를 주입함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봇이 적용된 와이어크램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제 1레버(16)와 제 2레버(18)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스프링(32)은 제 1레버(16)에 대해 제 2레버(18)를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화살표 f방향의 회동토오크를 일으킨다. 상기 회동토오크는 죠오(14)의 클램핑력(clamp force)으로서 스프링(32)의 탄성계수가 클수록 삭기 죠오(14)의 힘은증가한다.
상기 스프링(32)이 제 1레버(16)에 대해 제 2레버(18)를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지만 상기 각 지지디스크(54,55,56,57)의 관통구(52)에 루비볼(26,27)이 삽입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제 1레버(16)와 제 2레버(18)는 분리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보이스코일모터(12)가 작동하지 않는 동안에는 상기 죠오(14)는 스프링(32)에 의해 제공된 힘에 의해 닫혀있다. 이 상태로 외부에서 전기가 인가되어 보이스코일모터(12)가 작동하면 제 2레버(18)의 후단부가 스프링(32)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화살표 k방향으로 이동하여 죠오(14)가 벌어진다. 인가되던 전기가 차단되면 상기 보이스코일모터(12)의 작동은 멈추고 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해 제 2레버(18)가 처음의 위치로 복원된다.
이와같은 제 2레버(18)의 회동운동은 상기 지지디스크(54,55,56,57) 및 루비볼(26,27)을 갖는 피봇(66)을 회전중심축으로 삼아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와이어클램프 피봇은, 두 개의 루비볼(ruby ball)과 네 개의 사파이어시트(sapphire seat)를 레버의 회동축선상에 직렬로 배치한 후 회동축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외부의 충격이나열팽창의 영향을 받지 않고 양쪽 레버의 정렬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져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어 레버의 기동토오크를 필요에 대응하도록 변화시킬 수 있다. 특히 루비와 사파이어의 마찰계수가 매우 작으므로 마모가 적어 수명이 길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와이어본딩장치에 상하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선단부에 죠오(jaw)부재가 구비된 제 1레버와, 상기 제 1레버의 측부에 나란히 설치되며 선단부에 죠오부재가 구비된 제 2레버와, 상기 제 1레버와 제 2레버 사이에 설치되는 피봇과, 상기 제 1,2레버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제 1레버와 제 2레버의 후단부를 진퇴운동시켜 상기 죠오부재를 클램핑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와이어본딩장치의 와이어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피봇은, 제 1레버 및 제 2레버에 각각 지지되되, 제 1레버에 대한 제 2레버의 회동축선상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중앙에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지지디스크와, 상기 지지디스크 사이에 개재되어 지지디스크와 밀착하는 다수의 지지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클램프 피봇.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디스크는 일정두께 및 직경을 갖는 원판형디스크이며, 상기 볼은 각 지지디스크의 관통구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져 관통구의 테두리부에 걸쳐져 밀착지지되고,
    상기 제 1레버에는, 제 2레버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디스크를 수평으로 수용하는 제 1수용홈이 형성된 커버브라켓과, 상기 커버브라켓과 대향하며 대향면에는 상기 제 1수용홈의 연직방향에 위치하며 지지디스크를 수평으로 수용하는 제 2수용홈을 갖는 받침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제 2레버에는, 상기 커버브라켓과 받침브라켓 사이에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커버브라켓의 제 1수용홈과 대향하며 지지디스크를 수용하는 제 3수용홈이 형성된 제 1디스크지지부와, 상기 받침브라켓의 제 2수용홈과 대향하며 지지디스크를 수용하는 제 4수용홈을 갖는 제 2디스크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클램프 피봇.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브라켓 또는 받침브라켓은 제 1레버에 볼트에 의해 결합되어 제 1레버에 대해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클램프 피봇.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디스크는 사파이어(sapphire)로 제작된 원판형디스크로서 지지볼과 접촉부하는 관통구의 테두리부는 지지볼의 외주곡률에 대응하여 곡면형상을 취하고, 상기 지지볼은 루비(ruby)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클램프 피봇.
KR10-2000-0077163A 2000-12-15 2000-12-15 와이어클램프 피봇 KR100388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163A KR100388957B1 (ko) 2000-12-15 2000-12-15 와이어클램프 피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163A KR100388957B1 (ko) 2000-12-15 2000-12-15 와이어클램프 피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820A KR20020046820A (ko) 2002-06-21
KR100388957B1 true KR100388957B1 (ko) 2003-06-25

Family

ID=27682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7163A KR100388957B1 (ko) 2000-12-15 2000-12-15 와이어클램프 피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89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4185A (ja) * 1992-04-28 1993-11-16 Hitachi Ltd ワイヤボンダのワイヤクランパ
US5277355A (en) * 1992-11-25 1994-01-11 Kulicke And Soffa Investments, Inc. Self-aligning fine wire clamp
JPH06302642A (ja) * 1993-04-12 1994-10-28 Hitachi Ltd ワイヤクランプ方法及びワイヤクランプ装置
JPH07167148A (ja) * 1993-12-15 1995-07-04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宝石ベアリング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4185A (ja) * 1992-04-28 1993-11-16 Hitachi Ltd ワイヤボンダのワイヤクランパ
US5277355A (en) * 1992-11-25 1994-01-11 Kulicke And Soffa Investments, Inc. Self-aligning fine wire clamp
JPH06302642A (ja) * 1993-04-12 1994-10-28 Hitachi Ltd ワイヤクランプ方法及びワイヤクランプ装置
JPH07167148A (ja) * 1993-12-15 1995-07-04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宝石ベアリング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820A (ko) 200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6450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用摩擦材組立て体
US20140182873A1 (en) Tool chucking device
JP3977248B2 (ja) 切削工具
JPH0392206A (ja) スローアウエイチップのクランプ機構
JPH08107138A (ja) 半導体ウエハ搬送装置と製法
US10119584B2 (en) Disk brake device with disk pad guiding structure
JP5095837B2 (ja) 回転テーブルのブレーキディスク
JP2000242931A (ja) ピックアップ装置
KR100388957B1 (ko) 와이어클램프 피봇
CN100534717C (zh) 快速夹紧装置
JP4328060B2 (ja) 割出しテーブルのクランプ構造
WO2013058248A1 (ja) 作業工具
JP2001229595A5 (ko)
US6904608B2 (en) Spring for motors and optical disk driver with such spring
KR100498458B1 (ko) 하드디스크 클램핑 장치
KR100388958B1 (ko) 와이어클램프의 피봇구조
JPH09106600A (ja) コンパクト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ディスクチャッキング装置
CN217097389U (zh) 一种直驱模组
JPH0742851A (ja) 開閉弁
KR100468743B1 (ko) 모터 어셈블리
JP2796533B1 (ja) 研磨装置
CN114453813A (zh) 咖啡壶、焊接机及其定位装置
JP3195749U (ja) 眼鏡の蝶番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環状保持部材
JP2000011506A (ja) ディスクチャッキング装置
SU1511015A1 (ru) Торцова фрез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