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8269B1 - 이종 t3 프레임을 위한 제어 데이타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이종 t3 프레임을 위한 제어 데이타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8269B1
KR100388269B1 KR10-2001-0035164A KR20010035164A KR100388269B1 KR 100388269 B1 KR100388269 B1 KR 100388269B1 KR 20010035164 A KR20010035164 A KR 20010035164A KR 100388269 B1 KR100388269 B1 KR 100388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ata
frame
bits
control
matc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5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0055A (ko
Inventor
윤시현
Original Assignee
주영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영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5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8269B1/ko
Publication of KR20020070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0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2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3급 전송선로로 구축된 네트워크상에서 고속데이타통신을 행하는데 있어서, 서로 상이한 T3 프레임 모드에서 안정적으로 데이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이종 T3 프레임을 위한 제어 데이타 통신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T3 프레임의 상이한 모드인 CBIT모드와 M13모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가능한 여분의 제어비트, C13, C14, C15에 제어데이타를 삽입하여 송신하고, 수신 프레임의 상기 제어비트 C13, C14, C15를 추출하여 제어데이타를 읽어들임으로서, 서로 상이한 모드의 프레임에서 제어데이타를 모두 읽고 쓸수 있도록 하고, 그 결과, 모드변경에 따른 제어불능현상이 기대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종 T3 프레임을 위한 제어 데이타 통신 장치{APPARATUS FOR COMMUNICATING CONTROL DATA BY A DIFFERENT KIND OF T3 FRAME}
본 발명은 고속데이터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십 Mbps대의 전송속도를 제공하는 T3 전송선로를 통해 서로 다른 종류의 T3 프레임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포맷의 제어 데이타를 처리할 수 있는 이종 T3 프레임을 위한 제어 데이터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T3란 북미회선시스템의 하나로서, 디지털 신호를 초당 44.746Mbps의 전송속도로 전송할 수 있는 전송선로로서, 최대 672개의 채널을 가지고 있으며, T1급보다 더 빠른 백본을 구성할 때 사용된다. 이때, T3 회선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DS3(DIGITAL SIGNAL 3)라 한다.
상기와 같이, T3 시스템은 고속데이타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설비로서, 전송속도가 T3보다 낮은 다수의 T2 선로 또는 T1 선로로 구축된 랜(LAN)을 서로 연결하여 고속통신망을 구축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이때, T3 선로의 종단에는 T2선로 또는 T1선로로 전송되는 다수의 디지탈신호 DS1, DS2들을 적절한 T3 프레임으로 변환하고, 수신된 T3 프레임으로부터 다수의 디지탈신호 DS1, DS2를 추출하여 해당 선로로 전송시키는 채널서비스유니트(CSU : Channel Service Unit)와 같은 통신장치가 구비된다.
그런데, 상기 T3 전송선로로 전송되는 T3프레임에는 M13과 CBIT라는 상이한 프레임모드가 존재하며, 대부분 네트워크 구축시 프레임모드를 한가지로 설정하게 된다. 따라서, 서로 상이한 프레임모드를 사용하여 데이타통신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이는 상이한 프레임모드간에 데이터 처리 방식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으로, 프레임모드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일시적으로 제어불능 현상이 발생되어 운용에 혼란을 가져오게 된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M13모드의 경우에는 프레임 비트중 X1/X2를, CBIT모드의 경우에는 C21, C22, C23의 프레임비트를 제어데이터 송수신용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제어데이터의 송수신 비트가 다르므로, 이종 프레임에 대한 제어데이터를 제대로 수신하여 처리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서로 상이한 T3 프레임 모드에서 안정적으로 데이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이종 T3 프레임을 위한 제어 데이타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종 T3 프레임을 위한 제어 데이타 통신 장치에 대한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제어데이타송신부
12 : 송신AB정합부
13 : 제어데이타송신정합부
14 : 제어데이타수신정합부
15 : 수신AB정합부
16 : 제어데이타수신부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 T3 전송선로로 구축된 네트워크상에서 이종 T3 프레임모드로 제어 데이타를 통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어데이타를 송신하는 제어데이타송신부;
상기 제어데이타송신부로부터 입력된 제어데이타를 프레임비트중 CBIT모드와 M13모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가능한 여분의 송신제어비트에 삽입하는 송신AB정합부;
상기 송신AB정합부로부터 출력된 제어비트를 T3프레임의 프레임비트에 삽입하여 T3데이터로 변환송신하는 제어데이타송신정합부;
T3선로로부터 수신된 T3프레임에서 프레임비트를 추출하는 제어데이타수신정합부;
상기 제어데이타수신정합부에 의해 추출된 프레임비트를 입력받아 상기 프레임비트에서 제어비트를 검출하는 수신AB정합부; 및
상기 수신AB정합부에 의해 검출된 제어비트를 입력받아 제어데이타를 읽어들이는 제어데이타수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송신AB정합부와 수신AB정합부에서 삽입 또는 추출되는 제어비트는 프레임 비트중 C13, C14, C15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종 T3 프레임을 위한 제어 데이타 통신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 T3 프레임을 위한 제어 데이타 통신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로서, 제어데이타를 송신하는 제어데이타송신부(11)와, 상기 제어데이타송신부(11)로부터 입력된 제어데이타를 분배하는 것으로 프레임비트중 CBIT모드와 M13모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가능한 여분의 송신제어비트(C13, C14, C15)를 제어비트로 사용하는 송신AB정합부(12)와, 상기 송신AB정합부(12)로부터 인가된 제어데이타를 T3프레임의 프레임비트에 삽입하여 T3데이터로 변환송신하는 제어데이타송신정합부(13)와, T3선로로부터 수신된 T3프레임에서 프레임비트를 추출하는 제어데이타수신정합부(14)와, 상기 제어데이타수신정합부(14)에 의해 추출된 프레임비트를 입력받아 상기 프레임비트에서 제어비트(C13, C14, C15)를 검출하는 수신AB정합부(15)와, 상기 수신AB정합부(15)에 의해 검출된 제어비트를 입력받아 제어수단(도시생략)에서 이용되도록 처리하는 제어데이타수신부(16)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이종 T3 프레임을 위한 제어 데이타통신 장치는 M13 모드중 음성급의 서비스시에는 프레임비트를 T2급의 스터핑 비트로 사용하나, 데이터 서비스시는 스터핑 비트를 사용치 않는 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T3프레임의 프레임비트중 CBIT모드와 M13모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가능한 여분의 송신제어비트, 즉 C13, C14, C15를 공통적인 제어비트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AB정합부(12)는 송신시 제어데이타송신부(11)로부터 발생된 송신할 제어데이타를 상기와 같이 설정된 공통제어비트 C13, C14, C15에 분배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데이타송신정합부(13)는 상기 송신AB정합부(12)에 의하여 제어데이타가 삽입된 프레임비트를 T3 프레임으로 변환하여 T3전송선로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와 같이 송신된 데이타는 T3 전송선로의 다른 쪽 종단부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T3 프레임을 위한 제어 데이타 통신 장치의 제어데이타 수신정합부(14)에 수신된다.
상기 제어데이타수신정합부(14)는 수신된 T3데이타에서 프레임비트를 추출하여, 추출된 프레임비트를 수신AB정합부(15)로 전송한다.
상기 수신AB정합부(15)는 입력된 프레임비트에서 제어데이타가 실린 제어비트, C13, C14, C15 를 검출하여, 제어데이타수신부(16)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데이타수신부(16)는 수신된 T3데이타의 제어데이타를 입력받아 해당 제어수단(도시생략)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T3 프레임을 위한 제어데이타 통신장치는 프레임모드에 관계없이, 제어데이타를 T3 프레임의 프레임비트에 삽입하는데 있어서, M13모드와 CBIT모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가능한 여분의 송신제어비트, C13~C15, 에 삽입하여 T3 제어데이타를송신하고, 제어데이타의 수신시에도 상기 M13모드와 CBIT모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가능한 여분의 송신제어비트, C13~C15에서 제어데이타를 추출함으로서, T3프레임에서 정확하게 제어데이타를 검출하고, 검출된 제어데이타에 따른 제어처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동일한 T3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모드의 제어데이타를 추출하여 이종 T3 프레임에서 제어데이타를 읽고 쓸수 있도록 함으로서, 모두 변경시 제어불능현상이 제거되고, 더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한 제어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T3 전송선로로 구축된 네트워크상에서 이종 T3 프레임모드로 제어 데이타를 통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어데이타를 송신하는 제어데이타송신부;
    상기 제어데이타송신부로부터 입력된 제어데이타를 프레임비트중 CBIT모드와 M13모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가능한 여분의 송신제어비트에 삽입하는 송신AB정합부;
    상기 송신AB정합부로부터 출력된 제어비트를 T3프레임의 프레임비트에 삽입하여 T3데이터로 변환송신하는 제어데이타송신정합부;
    T3선로로부터 수신된 T3프레임에서 프레임비트를 추출하는 제어데이타수신정합부;
    상기 제어데이타수신정합부에 의해 추출된 프레임비트를 입력받아 상기 프레임비트에서 제어비트를 검출하는 수신AB정합부; 및
    상기 수신AB정합부에 의해 검출된 제어비트를 입력받아 제어데이타를 읽어들이는 제어데이타수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T3 프레임을 위한 제어 데이타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AB정합부와 수신AB정합부에서 삽입 또는 추출되는 제어비트는 프레임 비트중 C13, C14, C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T3 프레임을 위한 제어 데이타 통신 장치.
KR10-2001-0035164A 2001-06-20 2001-06-20 이종 t3 프레임을 위한 제어 데이타 통신 장치 KR100388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164A KR100388269B1 (ko) 2001-06-20 2001-06-20 이종 t3 프레임을 위한 제어 데이타 통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164A KR100388269B1 (ko) 2001-06-20 2001-06-20 이종 t3 프레임을 위한 제어 데이타 통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055A KR20020070055A (ko) 2002-09-05
KR100388269B1 true KR100388269B1 (ko) 2003-06-19

Family

ID=27710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164A KR100388269B1 (ko) 2001-06-20 2001-06-20 이종 t3 프레임을 위한 제어 데이타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826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055A (ko) 200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04926A1 (en) Data transmitting method and receiving method, and video data transmitting device and receiving device
JPS61500403A (ja) 多重モ−ドデ−タ通信システム
US5123014A (en) Data link with an imbedded channel
US4876686A (en) Fault detection signal transmission system
US7133936B2 (en) Ring network and data transmitter
KR100388269B1 (ko) 이종 t3 프레임을 위한 제어 데이타 통신 장치
KR100317251B1 (ko) 회선다중화장치
US573730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e communications in a tandem cross connect
KR960014412B1 (ko) 티1(t1) 전송로를 이용한 에이치.디.엘.씨(hdlc) 통신 시스템
JP2586390B2 (ja) 補助信号伝送方式
US5506843A (en) Subscriber group digital transmitter
JP2848229B2 (ja) 受信回路
KR100428680B1 (ko) 피시엠 전송장비의 가입자신호 처리장치
US76167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modulation frame synchronization in a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KR100191433B1 (ko) T1신호 망 블럭을 간소화한 가입자 댁내 장치
KR100366338B1 (ko) 팩스사서함 시스템에서의 팩스모뎀 테스트장치
KR100193058B1 (ko) 음성 서비스망에서 나스 방식과 세프트 방식의 상호접속장치
KR900001129B1 (ko) 구내분기형 단말접속장치
KR20020081523A (ko) 다중채널 데이터송수신 모뎀
JPH033437A (ja) 制御信号伝送回路
JP2004166137A (ja) 中継伝送方法
JPH0443731A (ja) テレビ・データ多重化および多重分離方式
JPS6236935A (ja) 同期制御切替方式
JPH03296347A (ja) データ伝送装置
JPH0530069A (ja) 制御信号伝送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