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058B1 - 음성 서비스망에서 나스 방식과 세프트 방식의 상호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음성 서비스망에서 나스 방식과 세프트 방식의 상호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058B1
KR100193058B1 KR1019960009245A KR19960009245A KR100193058B1 KR 100193058 B1 KR100193058 B1 KR 100193058B1 KR 1019960009245 A KR1019960009245 A KR 1019960009245A KR 19960009245 A KR19960009245 A KR 19960009245A KR 100193058 B1 KR100193058 B1 KR 100193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s
data
channel
serial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9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8298A (ko
Inventor
권수영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60009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3058B1/ko
Publication of KR970068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8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0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 Of Switch Circuits For Exchanges And Methods Of Control Of Multiplex Exchange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서비스망의 나스 방식(1.544Mbps, 24Ch)과 세프트 방식(2.04Mbps, 30Ch)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상호 접속을 할 수 있도록 코드 및 타임슬롯을 재할당 해주는 나스 방식과 세프트 방식의 상호 접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나스와 세프트간의 변환을 위해서는 각 채널별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뒤 다시금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거쳐서 프레임을 구성하여 불필요한 회로의 삽입 및 잡음의 발생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단지 롬과 채널 속도의 같음을 이용하므로서 코드 변경만으로 두 방식을 연결하도록 하여 회로 구성의 간단해 짐과 잡음에 대해서 강인한 면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음성 서비스망에서 나스 방식과 세프트 방식의 상호 접속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블록도.
제2도 a는 나스의 프레임 구조도.
제2도 b는 세프트의 프레임 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나스 (T1) 20 : 세프트(E1)
30 : 음성 코드 변환 장치 1 : 나스 수신단
1-1 : 세프트 수신단 2, 2-1 : 직렬/병렬 변환기
3, 3-1 : 래치부 4, 4-1 : 롬
5, 5-1 : 병렬/직렬 변환기 6 : 세프트 송신단
6-1 : 나스 송신단
본 발명은 음성 서비스망에서의 나스(NAS: NORTH AMERICAN STANDARD; 이하 나스라 한다.) 방식과 세프트(CEPT: CONFERENCE OF EUROPEAN AND TELECOMMUNICATONS; 이하 세프트라 한다.) 방식의 상호 접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스 방식(1.544Mbps, 24Ch)과 세프트 방식(2.04Mbps, 30Ch)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코드 변경만으로 두 방식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코드 및 타임 슬롯을 재할당 해주는 음성 서비스망에서의 나스 방식과 세프트 방식의 상호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 음성 서비스(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망은 나스 방식(1.544Mbps, 24채널)과 세프트 방식(2.04Mbps, 30채널)을 사용하나, 상기 두 방식의 망 접속을 위해서는 별도의 개별 장치가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나스 방식(북미 방식, 24채널)과 세프트 방식(유럽 방식, 30채널)을 혼용 사용시 서로 코딩 방법 및 채널의 수가 다르므로 직접 혼용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어 어느 한쪽이 북미 방식을 사용하면 상대 쪽도 북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한쪽이 유럽 방식을 사용하면 다른 쪽도 유럽 방식을 사용할 수 밖에 없었고, 또한 혼용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아주 기본적인 아날로그/디지털,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을 거쳐서 다시금 타임슬롯을 할당하는 방법을 써야했으므로 변환시 발생되는 잡음 및 보오드의 증가를 피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각 방식의 효율적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나스 방식(북미 방식)과 세프트 방식(유럽 방식)간에 상호 변환을 시켜줌으로써 양 종단간에서 서로 다른 방식의 코딩을 사용할지라도 문제없이 연결을 시킬 수 있으며, 세프트(E1)방식과 나스(T1)방식이 혼용되고 있는 국내 음성 서비스(PSTN)망에서 코드 변경만으로 두 방식의 연결 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두 가지 망을 정합하기 위한 장치의 변경이 불필요하므로써 설비비 또한 절감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북미, 유럽 방식을 간단히 변환시키기 위해, 북미식은 24채널을 사용함과 유럽식은 32채널(음성용은 30채널)을 사용함을 이용하여 북미식 채널 5개와 유럽식 채널 4개를 서로 연결 해주고, 두가지 방식의 각 채널별 속도가 64Kbps임을 바탕으로 각 채널별 데이터를 축출한 후 기본 코드 값을 틈을 사용해서 변경하고 이를 재 할당하여 상호 변환을 시행하도록 음성 코드 변환 장치를 설치한 기술로써, 현재 통신/영상 통합 접속 시스템망에서 개발중이며 전화국간 전송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인 음성 서비스망의 나스(T1)(10) 방식과 세프트(E1)(20) 방식간의 상호 접속 장치 블록도로, 나스(T1)(10)에서 세프트(E1)(20)로 변환하는 과정의 구성이나 세프트(E1)(20)에서 나스(T1)(10)로 변환하는 과정의 구성이 같은 과정으로 반복되므로 동일 장치명은 두 개의 부호를 사용하여 상기 상호 접속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나스 또는 세프트 프레임 구조의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프레임 동기를 맞추고 채널의 상태를 저장하는 나스 수신단(1) 및 세프트 수신단(1-1)과, 상기 나스(T1)(10)의 채널 5개와 세프트(E1)(20)의 채널 4개를 정합하며 속도 변환 및 상호간의 음성 코드로 변환하는 음성 코드 변환 장치(30)와, 상기 음성 코드 변환 장치(30)의 데이터를 나스 또는 세프트 프레임 구조에 맞게 포함시켜 전송하는 세프트 송신단(6) 및 나스 송신단(6-1)으로 구성되고; 상기 음성 코드 변환 장치(30)는 나스 또는 세프트 수신단(1,1-1)에서 수신된 직렬 데이터를 64㎑의 클럭을 이용하여 각 채널을 분리하고 병렬 데이터로 변환한 후 래치부(3, 3-1)로 전송하는 직렬/병렬 변환부(2,2-1)와, 상기 직렬/병렬 변환부(2,2-1)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래치하여 롬(4,4-1)의 어드레스로 활용하는 래치부(3,3-1)와 상기 래치부(3,3-1)에서 래치된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어드레싱한 후 읽어낸 데이터를 세프트용 또는 나스용 음성 코드로 변환하여 송출하느 롬(4,4-1) 및, 상기 롬(4,4-1)에서 출력된 8비트 병렬 데이터를 64㎑의 클럭을 사용하여 각 채널을 처리하고 직렬 데이터로 변화시키는 병렬/직렬 변화부(5,5-1)로 구성된다.
기본적으로 나스(10)에서 세프트(20)로 변환하는 과정이나 세프트(20)에서 나스(10)로 변환하는 과정은 그 속도와 롬(4,4-1)의 변환 코드 값만 다를 뿐 서로 동일한 과정을 거치므로, 여기서는 나스(10)에서 세프트(20)로 변환하는 과정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서 제2도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a)(b)에서 보면, 나스의 세프트 둘다 한 프레임 주기가 8㎑이므로 양쪽 모두 동기 클럭(나스의 프레임 동기신호 : X, 세프트의 프레임 동기신호: 각 프레임의 CHO)으로 8㎑의 동기 주파수를 사용하며, 채널의 기본 속도가 64㎑이므로 한 채널분의 데이터(8 비트)를 처리하기 위한 클럭으로 64㎑의 클럭을 사용하여 한 채널씩 처리를 한다.
먼저 나스 수신단(1)에서는 나스(T1)(10)의프레임 구조(제2도의 a)를 가지고 입력되는 데이터를 중앙 처리 장치로 읽어 분석하여 프레임 동기를 맞추고, 여러 수신 유무를 점검하며, 채널의 상태(훅 온/오프 상태 또는 링 상태)를 저장한다. 상기 나스 수신단(1)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는 1.544Mbps의 속도를 갖는 직렬 데이터로서, 각 채널별 8비트의 데이터(기본 속도 64㎑)로 이루어진 24채널이므로 직렬/병렬 변환부(2)에서 64㎑의 클럭을 이용하여 각 채널을 분리하여 다음 단인 래치부(3)로 8비트의 병렬 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래치부(3)에서는 병렬로 수신된 변화 코드 데이터를 래치하여 롬(4)의 어드레스로 활용하는데 다음 채널 데이터가 들어오긴 전까지 현재의 데이터를 가지고서 대기를 하며, 롬(4)에서는 상기 래치된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롬(4)의 데이터를 읽어내며 칩 인에이블 및 아웃풋 인에이블 신호로 64㎑의 클럭을 사용하여 세프트용 음성 코드를 송출한다. 다음 단인 병렬/직렬 변화부(5)에서는 64㎑의 클럭을 사용하여 분리하고 상기 롬(4)에서 출력된 8비트의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시키는데 이때 직렬 데이터의 속도는 세프트(20)의 전송 속도인 2.048Mbps가 되며, 세프트 송신단(6)에서는 상기 병렬/직렬 변환부(5)의 출력인 제2도의 b와 같은 세프트 프레임 구조의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나스(t1)(10)의 중앙 처리 장치를 통해 나스 수신단(1)에서 분석된 시그널을 상기 세프트 송신단(6)에서 세프트 프레임 구조에 맞게 포함시킨다.
여기서 롬대신 PAL이나 GAL을 이용 가능하고 롬의 크기는 16진수의 메모리 번지인 OOH∼0F로 까지이며, 나스(10)는 24채널을 사용하고 세프트(20)는 32채널(음성요으로는 30채널을 사용)을 기본으로 사용하므로 나스(10)의 5개 채널과 세프트(20)의 4개 채널을 정합하여 운용하여야 한다.
이상과 같은 6단계를 거쳐서 나스(10)의 음성 데이터르 세프트(20)로 변환하며, 상기 세프트(20)의 음성 데이터를 나스(10)로 변환하는 과정도 위의 6단계를 거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성 서비스망에서의 나스와 세프트의 기본 채널별 속도가 64Kbps임을 바탕으로 속도 변환 및 롬을 이용하여 상호 코드의 값을 읽어 내는 방식을 사용하므로써, 나스와 세프트의 상호 접속 장치의 구조 및 원리가 간단하며 쉽게 구성이 가능하고 PBA(프린트 보드 기관) 한 장으로 모두 처리 가능하며 롬의 크기도 클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또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을 거칠 필요가 없으므로 잡음에 대해서 강인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음성 서비스망에서의 나스(NAS) 방식과 세프트(CEPT) 방식을 혼용 사용하는 장치에 있어서, 나스 방식과 세프트 방식간에, 나스 또는 세프트 수신단(1, 1-1)의 직렬데이타를 64㎑의 클럭을 이용하여 각 채널을 분리하고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직렬/병렬 변환부(2,2-1)와 ; 상기 직렬/병렬 변환부(2,2-1)의 병렬 데이터를 래치하는 래치부(3,3-1)와; 상기 래치부(3,3-1)에서 래치된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어드레싱하는 메모리(4,4-1) 및 상기 메모리 (4,4-1)에서 출력된 8비트 병렬 데이터를 64㎑의 클럭을 사용하여 각 채널을 처리하고 직렬 데이터로 변환시켜 세프트 또는 나스 수신단(6,6-1)에 보내는 병렬/직렬 변환부(5,5-1)로 이루어진 음성 코드 변환 장치(30)를 포함하여 속도 변환 및 서로다른 방식의 음성데이타로 상호 변환시켜줌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서비스망에서 나스 방식과 세프트 방식의 상호 접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4,4-1)는 각 채널별 데이터의 기본 코드값을 변경, 재할당 할 수 있도록 나스와 세프트의 변환 대응 코드값을 내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서비스망의 나스 방식과 세프트 방식의 상호 접속 장치.
KR1019960009245A 1996-03-29 1996-03-29 음성 서비스망에서 나스 방식과 세프트 방식의 상호접속장치 KR100193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9245A KR100193058B1 (ko) 1996-03-29 1996-03-29 음성 서비스망에서 나스 방식과 세프트 방식의 상호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9245A KR100193058B1 (ko) 1996-03-29 1996-03-29 음성 서비스망에서 나스 방식과 세프트 방식의 상호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8298A KR970068298A (ko) 1997-10-13
KR100193058B1 true KR100193058B1 (ko) 1999-06-15

Family

ID=19454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9245A KR100193058B1 (ko) 1996-03-29 1996-03-29 음성 서비스망에서 나스 방식과 세프트 방식의 상호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305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8298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47268B (zh) 一种基于局域网的数字语音传输系统
FI82164C (fi) Kopplingsenhet.
KR100193058B1 (ko) 음성 서비스망에서 나스 방식과 세프트 방식의 상호접속장치
JPH07297803A (ja) データ速度変換装置
JP2888190B2 (ja) 画像通信用時分割多元接続通信方式
KR0174697B1 (ko) 교환시스템의 광트렁크 인터페이스 회로
KR100321126B1 (ko) 티원/이원신호의동기클럭정보변환장치
JPH07107054A (ja) Dcme装置のプリアサイン情報入力方式
JP2641916B2 (ja) 音声帯域圧縮の為の制御装置
KR100493588B1 (ko) 교환기에서 μ/A law 변환 방법 및 장치
KR900001129B1 (ko) 구내분기형 단말접속장치
JP3048701B2 (ja) 通信端末装置
JPH0443731A (ja) テレビ・データ多重化および多重分離方式
JP2727547B2 (ja) 高速ディジタル用時分割多重化装置
JP2907661B2 (ja) デジタル多重伝送装置
JPH03155263A (ja) 時分割多重化装置
JPH10271539A (ja) 電話装置間のデータ伝送方式、およびそれに使用可能な電話装置
JP2000228663A (ja) エコーキャンセラ方式における回線へのqビット転送方法及びその網終端装置
KR20020056340A (ko) 광역통신망에서의 연동을 위한 라우터 접속장치
JPS6113439B2 (ko)
JPH10285674A (ja) 情報伝送方法
JPH06204967A (ja) シグナリング方式
JP2001144719A (ja) 伝送装置の遠隔監視制御方法.
JPH05130254A (ja) Isdn端末
JPH07107050A (ja) 高能率音声符号化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中継交換 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