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8160B1 - 둑부재, 액조 및 물품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둑부재, 액조 및 물품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88160B1 KR100388160B1 KR10-2000-0082646A KR20000082646A KR100388160B1 KR 100388160 B1 KR100388160 B1 KR 100388160B1 KR 20000082646 A KR20000082646 A KR 20000082646A KR 100388160 B1 KR100388160 B1 KR 1003881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quid
- liquid tank
- tank
- overflow
- manifol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06—Filtering particles other than 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6—Regeneration of process solutions
- C25D21/18—Regeneration of process solutions of electroly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Chemically Co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액조내에 저류되는 액중의 상층부에 부유하는 불순물을 액과 함께 둑부로부터 흘러넘치게 하기 위한 1 또는 2 이상의 흘러넘침박스를 가지는 액조로서, 액조중의 액면위치가 상하변동하여도 둑부를 넘어 흘러넘침박스로 유입하는 액량의 현저한 변동을 초래하는 일이 없고, 그 만큼 안정된 액여과를 행할 수 있으며, 또 액중의 액면에 부상하기 쉬운 부상성 불순물 뿐만 아니라, 그보다 하층으로 부유하기 쉬운 불순물도 흘러넘침박스로 유입시켜 회수하여 효율적으로 액여과를 행할 수 있는 액조 및 그것을 위한 둑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액조(11 내지 15)는 각각 액조내에 저류되는 액중의 상층부에 부유하는 불순물을 액과 함께 둑부(21, 22)로부터 흘러 넘치게 하기 위한 흘러넘침 박스(B1, B2)를 가지고 있으며, 이 둑부(21, 22)는 각각 상기 흘러넘침 박스와 액조 사이의 칸막이벽(w1, w2)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흘러넘침용 노치 (20)를 형성하거나, 흘러넘침용 노치(80)를 형성한 둑부재(8, 8')를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여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액체에 의한 처리를 행하는 물품처리장치, 특히 도금(p1ating)처리장치, 사진현상처리장치, 염색처리장치 등의 물품처리장치와 같이 처리액의 여과가 요구되는 액체에 의한 물품처리장치와, 물품처리를 수반하지 않고 물 등의 액체를 여과처리하는 액체처리장치 등에 채용할 수 있는 액조 및 이와 같은 액조에 탑재사용할 수 있는 둑부재에 관한 것이다.
물품을 처리액에 의해 처리하는 것은, 도금액에 의한 물품에 대한 도금처리, 현상액에 의한 사진의 현상처리, 염색액에 의한 천과 비단 등의 염색처리, 물품의 세정처리 등으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각종 분야에 있어서 행하여지고 있다.
또 이와 같은 처리액에 의한 물품처리는 액을 물품에 내뿜거나, 액을 물품에 접촉하여 흘러내리게 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나, 대표적인 것의 하나로서는, 처리액을 액조에 수용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액의 액질 내지 액조성, 액조에 있어서의 처리액의 양, 여과량, 온도 등을 관리하면서 상기 액조내의 처리액에 피처리물품을 침지하여 목적으로 하는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상기한 도금처리, 사진현상처리, 염색처리 등은 통상 이 방법으로 실시된다.
이와 같은 침지를 수반하는 처리는 1개의 액조만을 사용하여 행하여지는 것도 있으나, 물품을 대량처리 또는 다품종처리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경우 복수의 액조가 채용된다.
어느것으로 하더라도 액체에 의한 물품처리장치로서 물품처리액조를 채용하는 것에서는 상기 액조중의 처리액은 사용을 거듭하는 중에 피처리물품에 의한 가지고 들어온 불순물, 처리액의 열화 등 처리액 변질에 의해 발생하는 불순물, 외부로부터 액조내 액중으로 낙하하는 경우가 있는 불순물 등의 불순물이 증가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처리액을 펌프(pump)와 여과기를 포함하는 여과장치로 여과하면서 사용하는 것이 널리 행하여지고 있다. 대표예로서 처리액을 액순환펌프와 여과기를 포함하는 순환여과장치에 의해 순환여과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또 물품처리를 수반하지 않고 액체중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처리도 행하여지고 있다. 그 대표예로서 물의 여과처리를 들 수 있다.
어느것으로 하더라도 액조에 있어서의 액중의 불순물은 액중을 복잡한 흐름을 따라 이동하나, 대략 비중이 작은 것부터 큰 것을 따라, 차례로 액중의 상층부에 부유하는 것부터 중층부에 부유하는 것, 또한 비중이 크고 액중의 하층부에 부유하는 것, 또한 액조의 바닥부나 그 근방에 침전하는 것으로 나누어 지는 경향에 있다. 또 액조내 바닥으로부터 액중으로 에어(air)를 불어넣는 에어레이션 (aeration)을 행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그 때는 중간적인 비중의 불순물에 대해서는 상기 에어의 액중 상승류의 영향을 받아 액조내의 상하 사이에 있어서 타원형을 그리도록 확산부유하는 것도 있다.
그 때문에 액의 여과에 있어서는 액조내의 액을 액조 바닥부로부터 펌프로 흡인하는 한편, 액조 상부에 액 흘러넘침용 둑부를 거쳐 흘러넘침 박스를 설치하고, 이 박스에 액과 함께 부유물을 유입시키고 이 박스로부터 액을 펌프로 흡인하여 이들 흡인한 액을 여과기로 여과한다. 액체에 의한 물품처리장치 등으로는 여과후의 액은 통상 액조로 되돌아가 재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흘러넘침 박스에 면하는 둑부로서, 종래는 상단 가장자리가 수평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둑부(소위 직사각형 둑)가 채용되어 있었기 때문에 다음의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 일반적으로 널리 채용되고 있는 직사각형 둑에 의하면, 액조내 처리액의 액면 높이가 상기 둑부의 상단 가장자리보다 약간 상승함에 지나는 것만으로도 이 둑부를 넘는 액량은 가속도적으로 현저하게 증대하여 둑부의 길이가 길어지면 그 만큼) 점점 흘러넘치는 액량이 현저하게 증대한다.
액조내 처리액의 적절한 여과를 행하기 위해서는, 미리 액층내 바닥부로부터 의 흡액량과 흘러넘침 박스내로부터의 흡액량의 각각을 여과기 및 펌프의 능력에 따라 설정하는 것이 기본이다. 그러나 처리액조로부터 둑부를 넘어서 흘러넘침박스내로 유입하는 액량이 과대해지면, 이 과다액량에 대하여 상기 박스내로부터의 펌프에 의한 흡액량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저하하는 결과가 되어, 시간의 경과와 함께 마침내는 액층내의 액면위와 박스내 액면위가 같은 정도의 높이가 되어 낙차를 수반하지 않는 처리액의 상기 박스내로의 유입을 초래한다.
이와 같이 낙차에 의거하는 흘러넘침 박스내로의 액유입이 없어진 상태에서는 액조로부터 둑부를 넘어 흘러넘침 박스내로의 유입액의 유속은 극단적으로 저하하여 액중 불순물의 흘러넘침 박스로의 유입도 감소한다.
즉 종래의 직사각형 둑에 있어서, 액조내 처리액중의 상층부 근처에 부유하는 부상성 불순물은 액조와 흘러넘침 박스에 있어서의 액면위의 낙차에 의거하는 상기 박스내로의 액유입과 함께, 또한 그 액유속을 타고 끌어 당겨지도록 하여 상기 박스로 유입하나, 이와 같은 낙차가 없는 상태에서는 상기 박스로의 처리액 유입량이 현저하게 감소함과 동시에 불순물의 유입량도 역시 현저하게 감소한다. 그 때문에 시간의 경과와 함께 액조내 처리액의 불순물 농도는 상승하여 불량제품의 발생을 초래하게 된다.
또 물품처리를 행하는 액조내 처리액의 양이 액조내 처리액의 작업온도에 의한 증발 및 다음공정으로의 처리물품의 이송에 따르는 처리액의 퍼 내기 등에 의해 점차로 감소하여 액면위가 저하하면, 직사각형 둑을 넘어 흘러넘침 박스내로 유입하는 액량이 감소한다. 이와 같이 하여 순환여과를 위한 펌프에 의한 상기 박스내에서의 흡액의 비율이 상기 박스내로의 유입액량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결과가 되어 상기 박스내의 저액량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점차로 감소하고, 그대로 방치하면 상기 박스내는 액이 마른상태가 되어, 결국에는 상기 펌프가 에어를 흡입하여 상기 펌프의 운전정지, 나아가서는 순환여과작업 전체의 운전이 정지되는 결과가 생긴다.
또 종래의 상단 가장자리가 수평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소위 직사각형 둑에서는 주로 액면에 부상하는 부상성 불순물이 둑부를 넘어 흘러넘침 박스내로 유입하나, 그것보다 하층으로 부유하는 불순물에 있어서는 둑부를 넘기 어렵고, 바꾸어 말하면 둑부를 넘는 불순물의 대부분은 액조내 액면에 부상하고 있었던 것만이며, 액조내에 잔류하는 불순물의 농도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증가하여이와 같은 불순물의 여과를 충분히 행하기 어렵게 된다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액조내에 저류되는 액중의 상층부에 부유하는 불순물을 액과 함께 둑부로부터 흘러넘치게 하기 위한 1개 또는 2개 이상의 흘러넘침 박스를 가지는 액조로서, 다음의 이점을 가지는 액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1) 액조중의 액면위치가 상하변동하여도 둑부를 넘어 흘러넘침 박스로 유입하는 액량의 현저한 변동을 초래하는 일이 없다.
(2) 액조내 액면에 부상하기 쉬운 부상성 불순물 만이 아니라, 그것보다 하층에 부유하기 쉬운 불순물도 흘러넘침 박스로 유입시켜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3) 따라서 또, 그 만큼 액조내에 잔류하는 불순물량을 줄일 수 있다.
(4) 이들에 의해 액조 바닥부 및 흘러넘침 박스의 쌍방으로부터 펌프로 흡액 하여 이 액을 여과처리할 때에는 그 여과처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5) 따라서 또, 액조내 처리액에 의해 물품처리를 행할 때에는 불순물의 영향을 적게 하여 처리후 물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6) 흘러넘침 박스로 유입하는 액량의 설정을 간단하게 이룰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액조내에 저류되는 액중의 상층부에 부유하는 불순물을 액과 함께 둑부로부터 흘러넘치게 하기 위한 1개 또는 2개 이상의 흘러넘침 박스를 가지는 액조의 상기 둑부를 제공하기 위한 둑부재로서, 이하의 이점을 가지는 것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1) 액조에 부착하여 둑부로서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액조중의 액면위치가 상하변동하더라도 흘러넘침 박스로 유입하는 액량의 현저한 변동을 초래하는 일이없다.
(2) 액조내 액면에 부상하기 쉬운 부상성 불순물 뿐만 아니라, 그것보다 하층에 부유하기 쉬운 불순물도 흘러넘침 박스로 유입시켜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3) 따라서 또, 그 만큼 액조내에 잔류하는 불순물량을 줄일 수 있다.
(4) 이들에 의해 액조 바닥부 및 흘러넘침 박스의 쌍방으로부터 펌프로 흡액 하여 이 액을 여과처리할 때에는 그 여과처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5) 따라서 또, 액조내처리액에 의해 물품처리를 행할 때에는 불순물의 영향을 적게 하여 처리후 물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6) 흘러넘침 박스로 유입하는 액량의 설정, 변경을 간단하게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액조를 채용한 액체에 의한 물품처리장치의 일례인 도금처리장치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일부의 액조와 그 주변부분의 확대평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액조중 1개의 액조와 그 주변부분의 확대측면도,
도 4는 액조의 일부 사시도,
도 5a는 애노드케이스 등의 사시도,
도 5b는 애노드백의 사시도,
도 5c는 음극버스바(cathode busbar), 행거 및 걸림부재 등의 사시도,
도 6a는 제 1 흡인헤드의 평면도,
도 6b는 제 1 흡인헤드의 측면도,
도 6c는 액조내 바닥홈및 흘러넘침 박스바닥부와 그들에 관련된 부품의 단면도,
도 7은 제 2 흡인헤드의 측면도,
도 8은 제 2 흡인헤드의 다른예의 사시도,
도 9는 분기관을 2개 가지는 다기관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분기관을 5개 가지는 다기관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a는 도 1에 나타내는 도금처리장치의 제어회로의 블록도,
도 11b는 액면위치 검출장치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12a는 종래형의 직사각형 둑부재의 예를 나타내는 도,
도 12b는 액 흘러넘침용 직사각형 노치를 가지는 둑부재 예를 나타내는 도,
도 12c 및 도 12d는 각각 액 흘러넘침용 역삼각형상 노치를 가지는 둑부재예를 나타내는 도,
도 13a는 본 발명에 관한 착탈식 둑부재의 일례의 사시도,
도 13b는 상기 둑부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 13a의 X-X 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14a는 본 발명에 관한 착탈식 둑부재의 다른예의 사시도,
도 14b는 상기 둑부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 14a의 Y-Y 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15는 종래의 다기관 예를 일부단면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16은 종래의 액조와 그 주변부분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2, 13, 14, 15 : 도금처리액조(물품처리액조의 예)
16 : 전처리 수세조 1 : 도금액
W : 세정수 D1, D2, D3, D4 : 작업덱
101 : 액조의 안쪽 바닥 102 : 액조에 설치한 안쪽 바닥홈
103 : 에어레이션장치 103a : 기포
104 : 제 1 흡인헤드 104a : 관접속구부
104b : 흡액구멍 105 : 에어차단벽판
105a : 지지편 105b : 지지판
106 : 제 2 흡인헤드 106a : 관접속구부
106b : 흡액구멍 106c : 지지편
106d : 지지판 107 : 흡인헤드
107a : 관접속구부 107b : 흡액구멍
107c : 다리 108 : 제 3 흡인헤드
B1, B2 : 흘러넘침 박스
w1, w2 : 액조와 흘러넘침 박스 사이의 칸막이벽
21, 22 : 둑부 20 : 둑부의 노치
A : 양극 버스바 C : 음극 버스바
H : 행거 S : 걸림부재
m' : 애노드재 CS : 애노드케이스
CSb : 애노드백 a1, a2 : 피도금물품
3 : 순환여과장치 31 : 여과기
32 : 순환펌프(본예에서는 원심펌프)
33 : 액합류용 다기관 v11 내지 v15 : 수동 개폐밸브
v16 : 체크밸브 4A, 4B : 순환여과장치
41 : 여과기 42 : 순환펌프(본예로서는 원심펌프)
430, 431, 432 : 액합류용 다기관 433 : 액분배용 다기관
v41 내지 v45 : 수동 개폐밸브 v46 : 체크밸브
45 : 온도제어회로 451 : 열교환기
va', vb' : 수동 개폐밸브 V : 유량조정밸브
452 : 액분배용 다기관 51 : 빈 액조 교체장치
v51, v52, v61 내지 v64, v71 : 수동 개폐밸브
511 : 빈 교체 액조 v53 : 풋밸브
401 : 다기관 본체 402, 403 : 분기관
401a : 다기관 본체(401)의 주개구부
401b : 다기관 본체(401)의 다른쪽 끝
9 : 종래의 다기관 91 : 다기관 본체
91a : 주개구부 91b : 구멍
92 : 분기관 90 : 유량조정밸브
6 : 액혼합 및 액면위치제어를 위한 장치
60 : 여과기 61 : 순환펌프(본 예에서는 원심펌프)
62 : 액면위치 검출장치 621 내지 625 : 전극봉
63 : 액유출구 Vo : 체크밸브
J1, J2, J3 : 액합류용 다기관 J4, J5, J6 : 액분배용 다기관
Va : 액배출용 전동밸브 Vb : 액공급용 전동밸브
7 : 제어부 71 : 조작반
600 : 다기관 본체 601 내지 605 : 분기관
600a : 다기관 본체(600)의 주개구부
600b : 다기관 본체(600)의 다른쪽 끝
200 : 종래의 직사각형둑 201 내지 203 : 둑부
N1, N2, N3 : 노치 8, 8' : 둑부재
80 : 액 흘러넘침용 직사각형 노치
81 : 판체 82 : ㄱ자 형상의 굴곡판부
82a : 볼트 관통용 긴 구멍 83 : 보강리브
84, 84' : 볼트 800 : 벽 삽입부분
840 : 액밀봉재 LN : 라이너
W' : 상승벽 10' : 액조
L' : 액 BL' , B2' , B3' : 흘러넘침 박스
2L', 22', 23' : 직사각형 둑
v1' 내지 v7', v1", v7", v8', v9' : 수동 개폐밸브
V' : 풋밸브 1b, 1b' : 통액구
F : 여과기 P : 순환펌프
H : 열교환기 100' : 액 리턴구
511v : 풋밸브 511' : 액 토출구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액조내에 저류되는 액중의 상층부에 부유하는 불순물을 액과 함께 둑부로부터 흘러넘치게 하기 위한 1개 또는 2개 이상의 흘러넘침 박스를 가지고 있고, 이 둑부는 흘러넘침 박스와 액조 사이의 칸막이벽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흘러넘침용 노치를 형성하거나, 흘러넘침용 노치를 형성한 둑부재를 착탈가능하게 부착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액조에 의하면 이 액조내의 액의 여과에 있어서, 액조내의 액을 액조 바닥부로부터 그곳에 고인 불순물과 함께 펌프로 흡인할 수 있는 한편, 둑부로부터 액을 부유성 불순물과 함께 흘러넘침 박스로 유입시켜 그들을 상기 박스로부터 펌프로 흡인할 수 있고, 이들 흡인한 액을 여과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불순물을 액과 함께 흡인하여 여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액조에서는 액흘러넘침용 노치를 형성한 부분이 둑부로서 작용하게 되어 있고, 이 노치로부터 흘러넘침 박스로 액이 흘러넘친다.
따라서 액조내의 액면이 바람직한 액 흘러넘침을 위한 액면위치보다 약간 정도 상승하더라도 그 상승액면위치가 노치에 면하고 있는 한, 종래의 직사각형 둑과같이 둑의 상단 가장자리의 전체 길이에 걸쳐 한꺼번에 흘러넘침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그 때문에 전체의 흘러넘침량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우는 없으며, 이 노치에 있어서의 액면의 상승에 의한 액유통 단면적의 증가분만큼 흘러넘침량이 증가할 뿐이다. 또 액조내의 액면이 하강하더라도 종래의 직사각형 둑과 같이 둑부상단 가장자리의 전체 길이에 걸쳐 한꺼번에 흘러넘침량이 감소하고, 그 때문에 전체의 흘러넘침량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경우는 없으며, 이 노치에 있어서의 액면의 하강에 의한 액유통 단면적의 감소분만큼 흘러넘침량이 감소할 뿐이다. 따라서 액조에 있어서의 액면의 상하변동이 있더라도 종래의 직사각형 둑과 비교하면 흘러넘침량은 매우 완만하게 증대 또는 감소한다. 바꾸어 말하면 액조에 있어서의 액면의 상하변동이 있더라도 종래의 직사각형 둑과 비교하면 흘러넘침량의 변동은 매우 작게 억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액의 적절한 여과를 위해 여과용 펌프능력에 알맞은 순환여과 등의 여과의 액량에 따라 설정되는 액조 바닥부로부터의 흡액량(예를 들어 순환여과의 경우의 순환액량의 대략 70%)과 흘러넘침 박스로부터의 흡액량(예를 들어순환여과의 경우의 순환액량의 대략 30%)을 유지하여 액의 적절한 여과가 달성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액조에서는 액 흘러넘침용 노치를 형성한 둑부를 채용하고, 이 노치로부터 흘러넘침 박스로 액이 흘러넘치도록 하고 있으며, 이 노치는 둑부를 넘기 전의 액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액조내의 액면에 부상하기 쉬운 부상성 불순물 뿐만 아니라, 그것보다 하층에 부유하기 쉬운 불순물도 상기 노치로부터 흘러넘침 박스로 유입하기 쉽고, 이와 같은 액면보다 하층에 부유하는 불순물에 대해서도 회수하여 여과할 수 있다.
또한 노치의 형상이나 수를 선택하여 흘러넘침량을 손쉽게 설정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둑부 및 이것과 조합되는 흘러넘침 박스의 수는 액조에 있어서의 액량, 액조의 형상 등에 따라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할 수 있고, 적당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흘러넘침 박스는 액조 주위벽의 상변부 바깥 둘레측에 설치하더라도, 안 둘레측에 설치하더라도 좋고 바깥 둘레측과 안 둘레측의 쌍방에 설치하더라도 좋다.
1개의 둑부에 있어서의 액 흘러넘침용 노치의 수는 필요에 따라 복수개 설치할 수 있다. 노치는 폭 넓은 범위에 걸쳐 복수개 배치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균일하게 분산시켜 설치하고, 액조내의 액의 전체에 걸쳐 그 액면에 부상하기 쉬운 부상성 불순물 및 그것보다 하층에 부유하기 쉬운 불순물을 모두 흘러넘침 박스로 유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노치의 형상으로서는 역삼각형상(바꾸어 말하면 V자 형상), U자 형상, 직사각형상 등, 다양하게 채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소망하는 흘러넘침량의 설정이 용이하고, 만들기 쉬운 등의 이점을 가지는 것으로 하여 노치상단으로부터 아래쪽에 걸쳐 개구폭이 점차로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는 역삼각형상의 노치나, 개구폭이 좁은 직사각형상의 노치를 들 수 있고, 또한 이들을 복수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삼각형상 노치를 채용하는 경우, 그 역삼각형상의 하단 꼭지각으로서 그것에는 한정되지 않으나, 40°내지 9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내지 60°정도를 예시할 수 있다.
어느것으로 하더라도 상기 둑부는 흘러넘침 박스와 액조 사이의 칸막이벽의 상단 가장자리에 흘러넘침용 노치를 형성하거나, 흘러넘침용 노치를 형성한 둑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둑부를 흘러넘침 박스와 액조 사이의 칸막이벽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흘러넘침용 노치를 형성한 둑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흘러넘침량을 각종으로 설정한 둑부재중에서 적절한 둑부재를 선택 채용하여 용이하게 흘러넘침량을 설정할 수 있고, 또 예를 들어 칸막이벽 상단 가장자리부와 둑부재 사이에 적당한 두께의 라이너(liner)를 삽입하는 등, 용이한 방법으로 둑부재의 부착높이를 변경하거나, 둑부재를 교환함으로써 흘러넘침량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액조내에 저류되는 액중의 상층부에 부유하는 불순물을 액과 함께 둑부로부터 흘러넘치게 하기 위한 1개 또는 2개 이상의 흘러넘침 박스를 가지는 액조의 상기 둑부를 제공하기 위한 둑부재로서, 흘러넘침용 노치가 형성되어 있고, 흘러넘침 박스와 액조 사이의 칸막이벽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둑부재도 제공한다.
이 둑부재에 있어서의 노치의 수, 형상 등에 대해서도 상기 액조와 관련하여 설명한 둑부와 동일한 것을 말할 수 있다.
상기 액조에는 액조 바닥부에 고이기 쉬운 불순물을 모아 원활하게 흡인하기쉽게 하기 위하여 액조내 바닥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라 1 또는 2 이상의 떨어트려 넣어 형성된 안쪽 바닥홈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 이와 같은 안쪽 바닥홈을 설치하여 두면 액조 청소시에 그곳으로 원래부터 액조에 있던 액이나 청소액을 흘러 넣을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청소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쪽 바닥홈의 수도 액조에 있어서의 액량, 액조의 형상 등에 따라 1 또는 2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쪽 바닥홈은 조내 바닥의 예를 들어 둘레 가장자리부의 적당한 부위를 따라 설치하면 좋다.
상기 안쪽 바닥홈에는 이 안쪽 바닥홈에 고이는 불순물을 가능한 한 안쪽 바닥홈의 전체로부터 흡인할 수 있도록, 상기 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복수의 흡액구멍를 가지는 제 1 흡인헤드를 설치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제 1 흡인헤드를 안쪽 바닥홈에 설치함으로써 액조 바닥부에 에어레이션장치가 설치될 때에도 여과기에 있어서 가장 상태가 나쁜 사항인 공기의 흡입을 억제하도록 상기 에어레이션장치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제 1 흡인헤드로의 흡입을 억제할 수 있고, 그 만큼원활하게 불순물을 흡인하여 여과할 수 있다.
상기 액조에는 또한 액조 바닥부에 고이기 쉬운 불순물을 흡인하기 위한 흡인헤드(뒤에서 설명하는 제 3 흡인헤드)를 액조내 바닥의 둘레 가장자리부 등에 있어서의 상기 안쪽 바닥홈 이외의 부분에 1 또는 2 이상 설치하여도 좋다.
상기 제 1 흡인헤드나 제 3 흡인헤드가 액여과를 위해 흡액하는 원심펌프 (centrifuga1 pump)와 연통되는 것인 경우, 그들 흡인헤드의 각 흡액구멍의 구경은 상기 원심펌프에 있어서의 임펠러(impeller)의 블레이드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작게 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각 흡액구멍의 구경을 설정하여 둠으로써 액조중에 탈락하는 경우가 있는 피처리물품의 일부나 외부로부터 유입된 잡부품 등이 원심펌프에 흡입되어 흡액량이 감소하거나, 임펠러의 블레이드에 맞물리는 등으로 하여 상기 펌프가 고장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흘러넘침 박스내로 불순물과 함께 유입하는 처리액은 상기 박스내 바닥부에 설치된 처리액의 유출구(통액구)로부터 펌프에 의해 흡인되어 여과기로 보내지는 것이나, 둑부를 넘어 상기 박스내로 유입하는 처리액중의 무기 및 유기불순물의 부피 내지 입도에 있어서 큰 것으로부터 작은 것, 또한 상기 박스내로 외부로부터 낙하하는 물품 등이 상기 박스바닥부의 유출구에 막혀 흘러넘침 박스내로부터의 펌프에 의한 흡액이 현저하게 저해되는 일이 자주 발생하여 여과처리에 크게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흘러넘침 박스의 안쪽 바닥부에도 복수의 흡액구멍를 가지는 다른 흡인헤드(제 2 흡인헤드)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 제 2 흡인헤드에 의해 박스내 액을일단 위쪽으로 빨아 올릴 수 있어 종래의 박스 바닥의 액유출구(통액구)의 형성 및 그 막힘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제 2 흡인헤드가 액 여과를 위해 흡액하는 원심펌프와 연통되는 것인 경우, 상기 제 2 흡인헤드의 각 흡액구멍의 구경도 상기 펌프에 있어서의 임펠러의 블레이드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작게 하여 두어도 좋다.
상기 액조의 안쪽 바닥에는 에어레이션장치를 설치하여 액의 교반을 행하고, 그에 의한 액 각부의 균질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액조내의 액에 의한 물품처리를 따르는 경우에는 에어레이션장치로부터의 분출공기로 피처리물에 대한 액중 부유불순물의 부착을 억제할 수도 있다.
에어레이션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이 에어레이션장치와 상기 안쪽 바닥홈에 설치된 상기 제 1 흡인헤드 사이에 에어차단벽(공기차단벽)을 배치하고, 이에 의하여 제 1 흡인헤드가 에어레이션장치로부터의 분출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3 흡인헤드를 설치하는 경우도 상기 제 3 흡인헤드에 인접하여 제 3 흡인헤드와 에어레이션장치 사이에 상기 흡인헤드로의 공기흡입을 억제하는 에어차단벽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흡인헤드는 흡인헤드 길이방향의 흡인헤드 중심축의 주위에 흡인헤드 하단으로부터 상기 에어차단벽과는 반대측으로 소정각도 범위내로(예를 들어 대략 90도 이하의 범위내에), 또한 흡인헤드 하단으로부터 상기 에어차단벽측으로 소정각도 범위내로(예를 들어 대략 45도 이하의 범위내에) 상기 흡액구멍이 분산형성되어 있고, 이 흡액구멍은 상기 제 1 흡인헤드의 길이방향에 걸치는 각부에 있어서 균등량 흡액할 수 있게 분산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공기를 흡입하기 어렵고, 안쪽 바닥홈의 바닥에 침전하기 쉬운 불순물을 안쪽 바닥홈의 가능한 한 전체로부터 똑같이 원활하게 흡인할 수 있다.
상기한 제 3 흡인헤드 및 그것에 면하는 상기한 에어차단벽을 설치하는 경우도 상기 헤드의 흡액구멍은 상기 에어차단벽에 대하여 상기 제 1 흡인헤드의 흡액구멍과 그에 대한 에어차단벽과의 상호배치관계와 동일하게 설치하면 좋다. 또한 제 3 흡인헤드의 길이방향에 걸치는 각부에 있어서 균등량 흡액할 수 있게 분산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2 흡인헤드에 대해서도 상기 흘러넘침 박스의 가능한 한 전체로부터 똑같이 원활하게 불순물을 흡인할 수 있도록 상기 흘러넘침 박스의 안쪽 바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시키고, 상기 제 2 흡인헤드의 상기 흡액구멍은 상기 제 2 흡인헤드의 길이방향에 걸치는 각부에 있어서 균등량 흡액할 수 있도록 상기 박스 바닥면을 향하여 분산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조 바닥부로부터 흡액하는 주된 흡인헤드를 상기한 제 1 흡인헤드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따라서 그 헤드는 제 3 헤드와 비교하면 커지는 경우에 있어서), 그 제 1 흡인헤드를 액조의 안쪽 바닥에 안쪽 바닥홈을 두지 않고 설치하거나, 상기 제 1 흡인헤드에 대하여 상기한 에어차단벽(공기차단벽)을 면하게 설치하는 경우, 그 액조가 처리액조(예를 들어 도금처리액조)일 때에는 상기 제 1 흡인헤드나 에어차단벽의 높이 상당분, 액조내 처리액의 액면위를 높게 하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가 많다. 왜냐하면 처리액중에 침지하는 걸림부재, 이 걸림부재에 매달리는 피도금처리물 등이 상기 제 1 흡인헤드나 에어차단벽판의 상단 가장자리에 걸려 피도금처리물이나 걸림부재가 처리액중으로 낙하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낙하물이 발생하면 그 제거작업은 때로는 도금장치의 보수를 포함하는 도금처리물품의 생산을 중단하는 작업이 되고, 그 때문에 큰 지출비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액조의 높이(깊이)를 상기 제 1 흡인헤드나 에어차단벽의 높이 상당분을 더한 높이(깊이)로 하여 액면위를 높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 액조의 높이를 높게 한 것에 의한 액량의 증가는 액조 면적에 대한 상기 흡인헤드나 에어차단벽의 높이 상당분으로서 대량이 된다. 그리고 그 증가액량에 대한 액조 제작비용이, 액량 증가분의 비용이, 여과기 및 순환펌프의 성능향상비용이, 그리고 그들에 걸리는 관리비용 등 때문에 처리물품생산의 원가가 크게 뛰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대량의 처리액 증가 등을 초래하는 일이 없도록 상기와 같이 액조 바닥에 안쪽 바닥홈을 설치하고, 이것에 제 1 흡인헤드나 에어차단벽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액조는 각종 액체에 의한 물품처리장치에 있어서의 물품처리액조에 적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물품의 도금액에 의한 도금처리장치, 염색액에 의한 염색장치, 사진의 현상액에 의한 현상장치, 물품세정장치 등에 있어서의 물품처리액조에 적용할 수 있고, 물품처리를 수반하지 않고 물 등의 액체를 여과처리하는 액체처리장치의 액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액조를 채용한 액체에 의한 물품처리장치의 일례인 도금처리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도금처리장치는 5개의 물품처리액조(11, 12, 13, 14, 15)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액조는 여기에서는 물품에 도금처리를 실시하는 도금처리액조이다. 각 액조는 다른 량의 도금액, 예를 들어 동액질의 각 조 다른량의 도금액을 수용하는 것이어도 좋으나, 여기서의 각 액조는 동일량의 도금액을 수용하는 용적을 가지고 있다.
이들 5개의 액조는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져 있다. 즉 1개의 액조(11)를 포함하는 제 1 그룹, 2개의 액조(12, 13)를 포함하는 제 2 그룹, 액조 (14, 15)를 포함하는 제 3 그룹이다. 각 액조에는 소정의 도금액(L)이 수용된다. 도면에 있어서 액조(11)의 왼쪽에는 전처리 수세조(16)가 있고, 여기에는 도금처리전에 필요에 따라 피도금물품을 세정할 수 있도록 세정수(W)가 수용된다. 액조(16)의 더욱 왼쪽에는 작업을 위한 덱(deck)(D1)이 설치되어 있다.
또 액조(11과 12)의 사이에는 작업덱(D2)이, 액조(13과 14)의 사이에는 작업덱(D3)이, 액조(15)의 바깥쪽에 작업덱(D4)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액조는 실질상 동일한 구조의 것이다. 액조의 구조에 대하여 액조(12, 13)를 예로 들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액조(12, 13)와 그 주변부분의 확대평면도이고, 도 3은 액조(12)와 그 주변부분의 확대측면도이다. 또한 도 3에는 빈 액조 교체장치(51)도 나타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 도 4는 액조(12)의 일부 사시도이다.
각 액조는 평면에서 보아(평면으로 보면) 장방형이고, 이 장방형의 하나의 긴 변을 따라 액 흘러넘침 박스(B1)를, 상기 장방형의 하나의 짧은 변을 따라 액흘러넘침 박스(B2)를 가지고 있다.
박스(B1)는 박스(B2)보다 얕게 형성되어 있고, 박스(B2)는 박스(B1)보다 깊게 형성되어 있다. 박스(B1)는 여기에 흘러넘치는 액을 박스(B2)로 유입시키도록박스(B2)의 상부와 연통하고 있으며, 또한 박스(B1)의 바닥은 박스(B2)를 향하여 내림 경사되어 있다. 또 박스(B1)의 바닥은 반드시 이와 같이 경사져 있을 필요는 없다.
박스(B1)는 액조의 긴 변방향을 따라 설치된 둑부(21)를 거쳐 설치되어 있고, 박스(B2)는 액조의 짧은 변방향을 따라 설치된 둑부(22)를 거쳐 설치되어 있다. 각 둑부(21, 22)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도 3 및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조의 안쪽 바닥(101)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1개소에 안쪽 바닥홈(102)이 일체적으로 떨어뜨려 넣어 형성되어 있다. 안쪽 바닥홈(102)은 여기서는 액조의 한 쪽 짧은 변방향을 따라 그 짧은 변의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액조의 길이방향의 각 측부의 위쪽에는 양극 버스바(anode busbar)(A)가 서로 평행하게 가설되어 있음과 함께, 액조의 중앙부 위쪽에는 양극 버스바와 평행하게 음극 버스바(cathode busbar)(C)가 가설되어 있다.
물품에 도금처리함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도 2,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극버스바(C)에 1 또는 2 이상의 도전성 행거(hanger)(H)[도 5(c)참조]를소정의 간격으로 걸어두고 또, 각 양극 버스바(A)의 소정위치에 애노드재(m')를 수용한 도전성의 애노드케이스(anode case)(CS)[도 5(a)참조]를 매달아 도금액(L)중(에 침지시키고, 피도금물품(a1, a2)을 걸림부재(S)[도 5(c)참조]에 걸어 지지시키고, 이 걸림부재(S)를 행거(H)에 매달아 물품(a1, a2)과 함께 도금액(L)중에 침지하면 좋다. 또한 도 5(b)에 나타내는 CSb는 여과천으로 이루어지는 애노드백이며, 양극측에 발생하는 불순물의 도금액으로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애노드케이스 (CS)에 피착된다.
피처리물의 도금처리에는 구리, 니켈, 아연, 주석, 이들의 합금 등의 도금과 같이 많은 도금처리가 있으나, 니켈도금을 실시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도금액(L)을 니켈도금액으로 하고 애노드케이스(CS)를 내식성 티탄박스로 하고, 이것에 애노드재(m')로서 니켈칩(nickel chips)을 수용하는 경우를 예시할 수 있다.
각 액조의 안쪽 바닥(101)에는 에어레이션장치(103)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공기분출용의 구멍뚫린 파이프를 연달아 설치하여 구성한 것으로, 도시를 생략한 압축공기 공급장치에 접속되어 처리액(L)중의 각부에 기포(103a)를 분출하고 이른바 에어레이션을 행한다. 처리액(L)은 이 에어레이션에 의하여 교반되고 액조성 등의 점에서 액질이 각부에서 균일화됨과 함께 액온도도 균일화된다. 또 액중의 불순물이 뒤에서 설명하는 순환여과에 있어서 처리액 각부로부터 원활하게 흡인되도록 적절하게 이동된다. 또한 에어레이션에 의해 물품(a1, a2)에 대한 액중 불순물의 부착도 억제된다.
각 액층의 안쪽 바닥홈(102)에는 도 6에 나타내는 제 1 흡인헤드(104)가 안쪽 바닥홈(10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흡인헤드(104)는 한쪽 끝에 관접속구부(104a)를 가지며, 다른쪽 끝이 폐쇄된 통체이고, 복수의 흡액구멍 (104b)을 천설한 것이다.
제 1 흡인헤드(104)와 에어레이션장치(103) 사이에는 에어차단벽판(105)이 설치되어 있다. 에어차단벽판(105)은 지지편(105a)에 의해 안쪽 바닥홈(102)의 바닥으로부터 약간 들어 올려져 있고 벽판(105)의 밑으로도 액이 유통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편(105a) 및 에어차단벽판(105)에 지지판(105b)이 걸쳐져 설치되어 있고, 이것이 제 1 흡인헤드(104)를 지지하고 있다.
제 1 흡인헤드(104)도 지지편(105a)에 의해 안쪽 바닥홈(102)의 바닥으로부터 약간 들어 올려져 있고 흡인헤드(104)의 밑으로도 액이 유통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 1 흡인헤드(104)의 흡액구멍(104b)은 흡인헤드 길이방향의 중심축선의 둘레에 흡인헤드 하단으로부터 에어차단벽판(105)과는 반대측으로 90도 이하의 각도범위(θ1)내, 또한 상기 헤드 하단으로부터 차단벽판(105)측으로 45도 이하의 각도범위(θ2)내의 중심각도[θ(θ1 + θ2) = 135°]의 범위내에 분산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도(θ)는 안쪽 바닥홈(102)에 고이는 침전성 불순물을 원활하게 흡인할 수 있도록, 또한 에어레이션장치(103)로부터의 에어를 흡인하기 어렵도록 흡액구멍을 방향을 정하기 위한 각도범위이며, 여기서는 대략 135도이다.
또한 제 1 흡인헤드(104)의 흡액구멍(104b)은 상기 흡인헤드의 길이방향에 걸치는 각부에 있어서 균등량 흡액할 수 있도록 분산형성되어 있다.
흡인헤드의 각부에 있어서 균등량 흡액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흡인헤드의 관접속구부에 가까운 부위에 있어서의 흡액구멍의 단면적 모두가 더욱 먼 부위에 있어서의 흡액구멍의 단면적 모두보다 작아지도록 흡액구멍의 수 및 (또는)구경을 조정하여 흡액구멍를 분산형성하면 좋다. 여기에서는 각 흡액구멍의 구경을 동일하게 하여 관접속구부(104a)에 가까운 부위와, 그 보다 먼 부위에서는 가까운 부위에 있어서의 쪽이 먼 부위보다 흡액구멍(104b)를 성기게, 먼 부위에서는 더욱 치밀하게 분산형성하고 있다.
이 제 1 흡인헤드(104)에 의하면 공기를 흡입하기 어렵고, 안쪽 바닥홈(102)의 바닥에 침전하기 쉬운 불순물을 안쪽 바닥홈의 가능한 한 전체로부터 똑같이 원활하게 흡인할 수 있다.
또한 액조 바닥부에 고이기 쉬운 불순물을 한층 더 효율적으로 흡인하기 위하여 제 1 흡인헤드(104)에 더하여 안쪽 바닥홈(102) 이외의 액조내 바닥(101) 부분, 예를 들어 안쪽 바닥(101)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일부 등에 제 3 흡인헤드를 1또는 2 이상 설치하여도 좋다. 도 3에 액조 바닥(101)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둘레 가장자리부에 제 3 흡인헤드(108)를 설치하는 예를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 3 흡인헤드(108)에 대해서도 제 1 흡인헤드(104)와 동일한 구조로 하고, 흡액구멍은 상기 흡인헤드의 길이방향에 걸치는 각부에 있어서 균등량 흡액할 수 있게 분산형성하면 좋다. 또 제 3 흡인헤드(108)와 에어레이션장치(103) 사이에는 에어차단벽판(109)을 설치하면 좋다.
또한 제 3 흡인헤드(108)의 각 흡액구에 대해서도 흡인헤드 길이방향의 중심축선의 둘레에 흡인헤드 하단으로부터 에어차단벽판(109)과는 반대측으로 90도 이하의 각도범위(θ1)내, 또한 상기 헤드 하단으로부터 차단벽판(109)측으로 45도 이하의 각도범위(θ2)내의 중심각도[θ(θ1 + θ2) = 135°]의 범위내에 분산형성하면 좋다.
상기 깊은 쪽의 흘러넘침 박스(B2)의 안쪽 바닥부에는 도 6(c)나 도 7 등에 나타내는 제 2 흡인헤드(106)(도 1 및 도 4에서는 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흡인헤드(106)는 지지편(106c) 및 이것에 세워져 설치된 지지판(106d)을 거쳐 지지되어 있고 흡인헤드(106)의 아래쪽으로도 액이 유통할 수 있다. 흡인헤드(106)는 액조의 짧은 변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한쪽 끝에 관접속구부(106a)를 가지며, 다른쪽 끝이 폐쇄된 통체이며 복수의 흡액구멍(106b)을 가지고 있다. 상기 흡액구멍(106b)은 흡인헤드(106)의 길이방향에 걸치는 각부에 있어서 균등량 흡액할 수 있도록 분산형성되어 있다.
흘러넘침 박스(B2)에 설치되는 제 2 흡인헤드에 대해서도 흡인헤드의 각부에있어서 균등량 흡액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흡인헤드의 관접속구부에 가까운 부위에 있어서의 흡액구멍의 단면적 합계가 더욱 먼 부위에 있어서의 흡액구멍의 단면적 합계보다 작아지도록 흡액구멍의 수 및 (또는)구경을 조정하여 흡액구멍을 분산형성하면 좋다. 여기에서는 각 흡액구멍(106b)의 구경을 동일하게 하여 관접속구부(106a)에 가까운 부위와, 그보다 먼 부위에서는 가까운 부위에 있어서의 쪽이 먼 부위보다 흡액구멍를 성기게, 먼 부위에서는 더욱 치밀하게 분산형성하고 있다.
이 제 2 흡인헤드(106)에 의하면 흘러넘침 박스(B2)의 가능한 한 전체로부터 똑같이 원활하게 액 및 불순물을 흡인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흘러넘침 박스로부터 액을 흡인할 때, 흘러넘침 박스의 바닥에 외부로의 통액구를 설치하고, 이 통액구에 흡액관을 연달아 접속하여 상기 흡액관에서 아래쪽으로 흡액하고 있었기 때문에, 상기 통액구나 그 접속부위에서 액내 불순물이 막히기 쉽고, 여과작업에 현저한 지장을 야기하는 원인으로 되어 있었으나, 여기에서는 제 2 흡인헤드(106)의 흡액관은 상기 박스 바닥부로부터 위쪽으로 흡액할 수 있기 때문에 헤드(106)나 그것에 접속되는 흡액관의 불순물에 의한 막힘은 충분히 억제된다.
이 점에 대하여 다시 설명한다. 도 16은 종래예(도금처리액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a) 및 도 16(b)에 있어서 10'는 액조, B1', B2', B3'은 액조에 부착된 흘러넘침 박스, 21', 22', 23'은 흘러넘침 박스에 면하는 종래형의 직사각형 둑, V'은 액조내 바닥에 설치된 종래형의 풋밸브이다.
도 16(a)에 있어서 흘러넘침 박스(B1')는 홈형의 박스로, 여기에 유입한 처리액(L')은 박스(B2')로 유입한다. 도 16(a)에 나타내는 흘러넘침 박스(B2')의 바닥에는 통액구(Lb)가 설치되고 있고, 이것은 밸브(v1', v2') 및 펌프(P)를 거쳐 액여과기(F)의 액 유입구에 배관접속되어 있다. 액조내의 풋밸브(foot va1ve)(V')는 밸브(v7', v2') 및 펌프(P)를 거쳐 액여과기(F)의 액유입구에 배관접속되어 있다. 여과기(F)의 액토출구는 밸브(v3', v4', v5')를 거쳐 액가온의 열교환기(H)에, 다시 밸브(v6')를 거쳐 액조(10')로의 액 리턴구(100')에 배관접속되어 있는 한편,밸브(v3'와 v4') 사이에서 밸브(V8')를 거쳐 빈 교체 액조(511)로의 액 토출구(511')로 배관접속되어 있다. 또 빈 교체 액조(511)의 바닥에는 흡액용 풋밸브(511v)가 설치되어 있고, 이것은 밸브(v9')를 거쳐 펌프(P)의 흡액구에 배관접속되어 있다.
도 16(b)에 나타내는 흘러넘침 박스(B3')의 바닥에는 통액구(1b')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은 밸브(v1")를 거쳐, 또한 액조내 풋밸브(V')는 밸브(v7")를 거쳐 각각 도 16(a)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한 밸브(v2')에 배관접속되어 있다. 그 밖의 점에 대해서는 도 16(a)의 액회로와 동일하다.
또한 여과기에 있어서의 여과조제의 사전코팅(pre-coat)을 위한 회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각 밸브의 개폐 등은 이하와 같다.
밸 브 | 통상의 도금처리시 | 교체 여과를 위해 액을 빈 교체 액조(511)로 옮길 때 | 교체 여과를 위해 빈 교체 액조(511)로부터 10'으로 액을 되돌릴 때 |
펌 프 | 운 전 | 운 전 | 운 전 |
v1' | 개방 | 개방 | 폐쇄 |
v2' | 개방 | 개방 | 폐쇄 |
v3' | 개방 | 개방 | 개방 |
v4' | 개방 | 폐쇄 | 개방 |
v5' | 개방 | 폐쇄 | 개방 |
v6' | 개방 | 폐쇄 | 개방 |
v7' | 개방 | 개방 | 폐쇄 |
v1" | 개방 | 개방 | 폐쇄 |
v7" | 개방 | 개방 | 폐쇄 |
v8' | 폐쇄 | 개방 | 폐쇄 |
v9' | 폐쇄 | 폐쇄 | 개방 |
또한 도금처리운전에 있어서, 흘러넘침 박스[B2' (B3')]로의 흘러넘침 액량의 감소가 생겨 상기 박스내가 액이 마른 상태가 되면 펌프(P)에서의 공기 흡입을방지하기 위하여 밸브[V1' (V1")]를 폐쇄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도 16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흘러넘침 박스(B2' 또는 B3')로부터 액을 흡인할 때, 흘러넘침 박스 바닥의 통액구(1b, 1b')로부터 흡액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 통액구나 그에 대한 배관접속부위에서 액내 불순물이 막히기 쉬워 여과작업에 현저한 지장을 야기하는 원인으로 되어 있었으나, 여기서의 제 2 흡인헤드(106)의 흡액관은 상기 박스 바닥부로부터 위쪽으로 흡액할 수 있기 때문에 헤드(106)나 그것에 접속되는 흡액관의 불순물에 의한 막힘은 충분히 억제된다.
다시 처음으로 되돌아가 설명한다.
제 1 흡인헤드(104)의 각 흡액구멍(104b), 제 2 흡인헤드(106)의 각 흡액구멍(106b), 제 3 흡인헤드(108)의 각 흡액구의 어느것이나 그 구경은 상기 흡인헤드가 뒤에서 설명하는 다기관 등을 거쳐 접속되는 액여과를 위한 액순환용 원심펌프에 있어서의 임펠러 블레이드의 높이와 동등하게, 또는 그것보다 작게 설정된다.
이와 같이 구경을 작게 하여 둠으로써 액조중에 탈락하는 경우가 있는 피도금물품의 일부나 부품 및 그외 외부로부터 유입된 잡품류 등이 원심펌프에 흡입되어 임펠러 블레이드에 맞물리는 등으로, 상기 펌프가 고장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2 흡인헤드(106)를 대신하여 다른 형태의 흡인헤드를 채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내는 흡인헤드(107)를 채용하여도 좋다.
흡인헤드(107)는 제진스트레이너(strainer)라고도 부를 수 있는 것으로, 작은 박스형태를 하고 있으며, 상부에 관접속구부(107a)를 가지며, 옆 둘레벽 및 바닥벽에 복수의 흡액구멍(107b)을 분산형성한 것이다. 다리(107c)가 붙어 있고, 이것으로 흘러넘침 박스(B2)의 바닥에 선다. 각 흡액구멍(107b)도 그 구경은 액순환용 원심펌프에 있어서의 임펠러 블레이드의 높이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것보다 작게 설정하여 두면 좋다.
이상 설명한 제 1 흡인헤드(104)와, 제 2 흡인헤드(106)(또는 107)와, 또는 제 3 흡인헤드(108)는 다음에 설명하는 순환여과장치의 구성부품이 된다.
상기한 1개의 액조(11)를 포함하는 제 1 그룹, 2개의 액조(12, 13)를 포함하는 제 2 그룹, 액조(14, 15)를 포함하는 제 3 그룹의 각각에 대하여 순환여과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액조(11)로부터 액조(15)까지의 모든 액조를 포함하는 제 4 그룹에 대한 순환여과장치도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액조(11)에 대한 순환여과장치는 부호 3이고, 액조(12, 13)에 대한 순환여과장치는 부호 4A이고, 액조(14, 15)에 대한 순환여과장치는 부호 4B이고, 모든 액조(11 내지 15)에 대한 순환여과장치는 부호 6으로 나타낸다.
순환여과장치에 있어서, 제 1 그룹의 순환여과장치(3)는 액순환펌프(여기서는 원심펌프) 1 대에 의한 1 액조의 단독순환여과장치이고, 제 2 그룹의 순환여과장치(4A) 및 제 3 그룹의 순환여과장치(4B)는 각각 처리액조 2개에 대하여 액순환펌프(여기서는 원심펌프) 1 대에 의한 순환여과장치이다. 또한 제 4 그룹이 되는 순환여과장치(6)는 모든 처리액조 5개에 대하여 액순환펌프(여기서는 원심펌프) 1대에 의한 순환여과장치이다.
제 2 그룹의 여과장치(4A) 및 제 3 그룹의 여과장치(4B)는 각각 액순환펌프1 대에 의한 2 액조의 순환여과장치이고, 각 그룹에 있어서의 2개의 액조내의 처리액은 순환여과의 과정에 있어서, 순환회로의 액유량에 약간이나마 강약이 생기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2개의 액조중 한쪽에서는 액면위가 강하하고, 이에 반하여 다른쪽의 액조에서는 액면위 강하의 액조에 있어서의 액감량 상당분의 액량의 증가유입이 생겨 결국은 상기 다른쪽의 액조로부터 처리액이 흘러넘쳐 한쪽의 액조내 처리액의 액면위가 지나치게 강하하여 양 액조 모두 처리액에 의한 도금작업을 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모든 액조 5조에 대하여 액순환펌프 1 대에 의해 동시에 순환여과를 행하는 순환여과장치(6)를 설치하여 운전하고, 이에 의하여 액조 사이에 있어서의 액면위의 상하차를 억제하도록 액면위를 제어함과 동시에 액혼합을 행하고, 각 액조에 있어서의 액의 조성 및 액온도를 균일화하면서 순환여과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즉, 순환여과장치(6)는 순환여과장치임과 동시에 액혼합용 및 액면위치제어를 위한 장치이기도 하다.
또 이 액혼합용 및 액면위치제어를 위한 장치는, 각 액조의 용량이 다른 경우에도 액혼합 및 각 액조에 있어서의 액면위치제어를 행하면서 순환여과를 행할 수 있다.
액조(11)에 대한 순환여과장치(3)는 여과기(31) 및 액순환용 순환펌프(32)(본 예에서는 원심펌프를 채용)를 포함하고 있다. 액조(11)는 흡액회로를 거쳐 순환펌프(32)의 흡액구와 연통할 수 있다. 여과기(31)는 송액회로를 거쳐 액조(11)와 연통할 수 있다.
상기 흡액회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조(11)에 있어서의 제 1 흡인헤드(104) 및 제 2 흡인헤드(106)(도 1에서는 생략, 도 2, 도 6, 도 7 등 참조)와,
액합류용 다기관(33)과,
흡인헤드(104, 106)의 관접속구부(104a ; 도 6참조, 106a ; 도 6, 도 7참조)를 각각 수동 개폐밸브(v11, v12)를 거쳐 다기관(33)의 분기관에 접속하는 배관과,
다기관(33)의 주개구부를 수동 개폐밸브(v13)를 개재하여 순환펌프(32)(여기서는 원심펌프)의 흡액구에 접속하는 배관을 포함하고 있다.
제 3 흡인헤드(108)를 채용할 때는, 이에 의하여 흡인되는 액이 최종적으로는 상기한 밸브(v11, v12)를 개재하여 흡인되는 액에 혼합, 합류되어 펌프(32)로 유입하도록 밸브 등을 거쳐 펌프(32)에 배관접속된다.
송액회로는 여과기(31)의 송액구를 수동 개폐밸브(v14) 및 온도제어회로 (45), 또한 2개의 수동 개폐밸브(v15)를 거쳐 액조(11)의 2개소로 분기연통시키는 배관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액조(11)에 대한 연통은 이와 같이 2개소가 아니고, 1개소이더라도, 3개소 이상이더라도 좋다.
순환펌프(32)의 토출구는 체크밸브(v16)를 거쳐 여과기(31)의 액공급구에 배관접속되어 있다.
여과기(31)는 액종류, 여과액량에 대응하는 여러가지 타입의 것을 채용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여과기에 압입되는 액이 적당한 여과조제에 의한 사전코팅층을 가지는 여과마루를 통과함으로써, 불순물이 여과되어 정화되는 타입의 여과기이다.뒤에서 설명하는 순환여과장치(4A, 4B) 또한 액혼합 및 액면위치제어를 위한 장치 (6)에 있어서의 여과기도 동일 타입의 것이다.
또 송액회로에는 1개의 액조내 도금액의 열화, 소모 등에 따라 변화되는 액조직을 복원하고, 또한 축적불순물의 제거여과를 행하기 위한 빈 액조 교체장치 (51)(도 1, 도 3 참조)가 부착되어 있다.
순환여과장치(3)에 있어서의 상기 온도제어회로(45) 및 빈 액조 교체장치 (51)는 다음에 설명하는 순환여과장치(4A, 4B)에 있어서의 온도제어회로 (45) 및 빈 액조 교체장치(51)와 각각 기본구조는 동일하기 때문에 나중에 여과장치(4A)에 있어서 회로 (45) 및 장치(51)를 설명하기로 하고, 여기서의 온도제어회로(45), 장치(51)의 설명은 생략한다.
순환여과장치(4A)와 순환여과장치(4B)는 완전히 동일한 구조와 작용의 것이므로, 장치(4A)만 설명하고, 장치(4B)의 설명은 생략한다. 장치(4A와 4B)에 있어서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도면에 있어서 동일부호를 부착한다.
순환여과장치(4A)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여과기(41) 및 액순환용 순환펌프(42)(여기서는 원심펌프)를 포함하고 있다. 액조(12, 13)는 흡액회로를 거쳐 순환펌프(42)의 흡액구와 연통할 수 있다. 여과기(41)는 송액회로를 거쳐 액조 (12, 13)와 연통할 수 있다.
상기 흡액회로는,
액조(12, 13)의 각각에 있어서의 제 1 흡인헤드(104) 및 제 2 흡인헤드(106) (도 1에서는 생략, 도 2 등 참조)와,
액합류용 다기관(431, 432, 430)과,
한쪽의 액조(12)의 흡인헤드(104, 106)의 관접속구부(104a ; 도 6 참조, 106a ; 도 6, 도 7 참조)를 각각 수동 개폐밸브(v41, v42)를 거쳐 한쪽의 다기관 (431)의 분기관에 접속하는 배관과,
다른쪽의 액조(13)의 흡인헤드(104, 106)의 관접속구부(104a, 106a)를 각각 액조(12)에 있어서와 동일한 수동 개폐밸브(v41, v42)를 거쳐 다른쪽의 다기관 (432)의 분기관에 접속하는 배관과,
다기관(431, 432)의 주개구부를 다기관(430)의 분기관에 접속하는 배관과, 다기관(430)의 주개구부를 수동 개폐밸브(v43)를 거쳐 순환펌프(42)의 흡액구에 접속하는 배관을 포함하고 있다.
액조(12, 13)에 있어서 제 3 흡인헤드(108)를 채용할 때는 이에 의하여 흡인되는 액이 최종적으로는, 상기의 밸브(v41, v42)를 거쳐 흡인되는 액에 혼합, 합류되어 펌프(42)로 유입하도록 밸브, 다기관등을 거쳐 펌프(42)에 배관접속된다.
송액회로는,
여과기(41)의 송액구를 수동 개폐밸브(v44) 및 온도제어회로(45)를 개재하여 액분배용 다기관(433)의 주개구부에 접속하는 배관과,
다기관(433)의 한쪽의 분기관을 2개의 수동 개폐밸브(v45)를 개재하여 액조 (12)의 2개소로 분기연통시키는 배관과,
다기관(433)의 다른쪽의 분기관을 액조(12)의 경우와 동일한 2개의 수동 개폐밸브(v45)를 개재하여 액조(13)의 2개소로 분기연통시키는 배관을 포함하고 있다.
펌프(42)의 토출구는 체크밸브(v46)를 거쳐 여과기(41)의 액공급구에 배관접속되어 있다.
여과기(41)는 순환여과장치(3)에 있어서의 여과기(31)와 동일한 타입의 것이다. 또한 다른 타입의 것이어도 좋다.
또 송액회로에는 2개의 액조(12, 13)로부터 1개의 액조를 선택하여 그 액조내의 도금액의 열화, 소모 등에 따라 변화되는 액조직을 복원하고, 또한 축적불순물의 제거여과를 행하기 위한 빈 액조 교체장치(51)(도 3참조)가 부착되어 있다.
온도제어회로(45)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동 개폐밸브(va'), 열교환기(451), 수동 개폐밸브(vb')를 직렬 접속한 회로에 유량조정밸브(V)를 병렬접속한 것으로, 열교환기 입구측 밸브(va')의 입구 및 유량조정밸브(V)의 입구는 액분배용다기관(452)을 개재하여 상기한 밸브(v44)(여과기 출구측의 밸브)에 배관접속되고, 밸브(vb')의 출구 및 유량조정밸브(V)의 출구는 액조로 통하는 상기한 액분배용 다기관(433)에 배관접속되어 있다.
순환여과장치(3)에 있어서의 온도제어회로(45)는 순환여과장치(4A, 4B)에 있어서의 온도제어회로(45)와 기본적으로 동일구조이다. 단, 순환여과장치(3)에 있어서의 온도제어회로(45)에서는 밸브(vb')에 상당하는 밸브 및 유량조정밸브(V)에 상당하는 밸브의 출구는 다기관을 개재하는 일 없이 1 개의 배관으로 모이고, 또한 2개의 수동 개폐밸브(v15)를 거쳐 액조(11)의 2개소로 분기연통되어 있다.
빈 액조 교환장치(51)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여과기(41)의 송액구를수동 개폐밸브(v51)를 거쳐 빈 교체 액조(511)와 연통시킬 수 있게 배관함과 동시에, 펌프(42)의 흡액구를 수동 개폐밸브(v52)를 개재하여 빈 교체 액조(511)의 바닥부에 설치한 종래형의 풋밸브(foot va1ve)(v53)에 배관접속한 것이다.
순환여과장치(3)에 있어서의 빈 액조 교체장치(51)도 이 빈 액조 교체장치 (51)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이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상기 및 후기의「다기관」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기관은 한쪽 끝이 폐쇄된 폐쇄통체 형태의 다기관 본체와, 이것에 접속된 복수의 분기관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순환펌프에 의한 액조로부터의 흡액회로 및 여과기로부터 액조로의 송액회로에 상기 다기관을 사용하는 순환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기관의 본체에 설치하는 복수의 각각 동일 또는 다른 단면적을 가지는 분기관의 각각으로부터의 흡액 또는 송액에 있어서의 통액량이 그 분기관의 단면적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복수분기관의 각각에 있어서 단위단면적당의 통액량은 예를 들어 여과기의 여과조제의 사전코팅층이 불순물제거의 허용범위를 넘어 현저하게 막혀, 사전코팅층 전후의 압력차, 바꾸어 말하면 여과기내 원액실과 여과실의 압력차가 현저하게 변동하는 등의 결점이 없는 한, 실질상 동일한 양이며, 각 분기관은 그 단위 단면적당 동일한 양의 통액량에 의거하여 필요로 하는 소정의 통액량을 얻는 단면적을 가진다. 다기관 본체는 이것을 구성하고 있는 통체내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 단면적이고, 또한 복수 다기관의 합계 단면적보다 약간 큰 단면적을 가진다. 다기관 본체내 압력은 통체내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한 단면적하에 동일한 음압력 또는 양압력하에 놓여져 각 분기관마다의 소정의 통액량을 과부족없게 얻을 수 있다.
다시 처음으로 되돌아가서 설명을 계속하면, 이상 설명한 순환여과장치 (3)에 있어서의 액합류용 다기관(33) 및 온도제어회로(45)의 도시 생략한 다기관, 및 순환여과장치(4A, 4B)에 있어서의 액합류용 다기관(431, 432, 430), 액분배용 다기관(433) 및 온도제어회로(45)의 다기관(452)은 어느것이나 기본적으로 도 9에 나타내는 다기관과 동일한 구조의 것이고, 제작재질은 염화비닐수지(PVC)에 의한 것으로, 뒤에서 설명하는 도 10에 나타내는 다기관도 재질은 동일하다. 또한 이들 다기관은 다른 재료제, 예를 들어 다른 합성수지제나 금속제이어도 좋다.
즉, 순환여과장치(3)에 있어서의 액합류용 다기관(33), 온도제어회로(45)의 도시 생략한 다기관 및 순환여과장치(4A, 4B)에 있어서의 액합류용 다기관(431, 432, 430), 액분배용 다기관(433) 및 온도제어회로(45)의 다기관(452)은 어느것이나 구조적으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나 여기서는 단면원형의 다기관 본체(401)와 이에 접속된 2개의, 그것이라고는 한정되지 않으나 여기서는 단면원형의 분기관(402, 403)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기관 본체 (401)는 한쪽 끝에 다른 관을 접속하기 위한 주개구부(401a)를 가지며, 타단(401b)이 폐쇄된, 내경이 대략 균일한(액유통 단면적이 대략 균일함) 폐쇄통체이다.
그리고 분기관(402, 403)에 대한 양 또는 음의 동일압력하에 있어서의 다기관 본체(401)의 개구부(401a)의 단면적은 각각 필요로 하는 소정의 통액량을 주는 분기관(402, 403)의 합계 단면적에 상당하는 단면적을 가지고 있다.
또 다기관 본체(401)의 단면적은 상기 복수 분기관의 합계 단면적에 대하여 여유가 있는 단면적으로서 상기 개구부(401a)보다는 약간 큰 단면적을 가지고 있다.
분기관(402, 403)은 다기관 본체(40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2개소에 있어서, 다기관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다기관 본체내로 돌출삽입되고, 각 분기관(402, 403)의 다기관 본체로의 돌출도(돌출삽입높이)(α)는 본체(401) 내경(R)의 대략 1/2 이상 3/5 이하의 범위에 있다.
분기관(402, 403)의 다기관 본체(401)내로의 돌출삽입높이는, 상기 다기관 본체에 미치는 펌프의 흡액압력(음압력) 또는 송액압력(음압력)하에 있어서, 상기 다기관 본체내의 압력(음 또는 양압력)을 균일압력하에 두는 것이다.
다기관 본체(401)는 상기 2개의 분기관(402, 403)에 대하여 액밀하게 접착제, 용접 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뒤에서 설명하는 도 10에 나타내는 다기관, 또한 그 다기관 본체(600) 및 분기관(601 내지 605)에 대해서도 그 기초구성은 이상 설명한 다기관과 동일하다.
또 어느쪽의 다기관에 있어서도, 분기관의 다기관 본체에 대한 접속부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액회로 구성에 따라 다기관 본체 주위의 임의의 부위에 접속할 수 있다. 또 그 접속에 있어서의 분기관의 각도는 반드시 다기관 본체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 아니더라도 좋다.
이와 같은 구조의 다기관에 의하면, 다기관 본체(401)의 주개구부(401a)에액순환용 펌프의 흡액구를 연통시켜 액합류용 다기관으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펌프의 흡인압력(음압력), 즉 다기관 본체내의 액압(흡인압)이 다기관 본체내 각 부에서 균일화되고, 따라서 각 분기관(402, 403)으로부터 다기관 본체(401)내로의 흡액량은 각 분기관의 액유통 단면적에 따른 것이 된다.
또 다기관 본체(401)의 주개구부(401a)에 펌프의 토출구를 연통시켜 액분배용 다기관으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펌프의 토출압력(음압력), 즉 다기관 본체내의 액압(양압력)이 다기관 본체내 각 부에서 균일화되고, 따라서 각 분기관(402, 403)으로부터의 토출액량은 상기 분기관의 액유통 단면적에 따른 것이 된다.
여기에서는 이와 같은 구조의 다기관을 순환여과장치(3)에 있어서의 다기관 (33) 및 온도제어회로(45)의 도시 생략한 다기관 및 순환여과장치(4A, 4B)에 있어서의 액합류용 다기관(431, 432, 430), 액분배용 다기관(433) 및 온도제어회로(45)의 다기관(452)으로서 채용하고 있으므로, 액조의 안쪽 바닥홈(102)및 흘러넘침 박스(B2)로부터 소정량씩 액을 흡인하여 순환여과장치(3)에 있어서는 액조(11)로 소정량의 여과후의 액을 되돌아가게 할 수 있고, 또 복수의 액조에 대하여 설치된 순환여과장치(4A, 4B)에 대해서는 상기 복수의 액조에 소정량씩 여과후의 액을 되돌아가게 할 수 있고, 또한 각 온도제어회로(45)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기관(452)을 설치하고, 유량조정밸브(V)에 의해 설정된 임의의 열교환유량으로 용이하게 열교환기에 송액 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채용되어 있는 다기관(9)은, 대략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소에 액유통용 주개구부(91a)를 가지며, 이 주개구부(91a)의 위치를 제외하는 복수개소에 분기관(92)을 접속한 것이다. 분기관(92)의 접속은 분기관의 한쪽 끝을 다기관 본체(91)의 벽에 설치한 구멍(91b)에 맞추어 접속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형 다기관에서는 다기관 본체내의 전체 길이에 있어서의 각부에서 액압이 균일하게 작용하지 않고, 특히 여과기에 있어서의 여과압력이 불순물제거에 따라 상승하여 왔을 때에는 가령 그 여과압력이 여과기 자체에서는 허용범위에 있을 때라도 각 부에서 액압이 균일하게 작용하지 않아, 예를 들어 펌프에 의해 주개구부(91a)로부터 양압력하에 다기관 본체(91)내로 액체를 도입하면 주개구부(91a)에 가까운 분기관에는 많은 액이 유출하고, 주개구부(91a)로부터 순차 멀어지는 각 위치에서는 그것보다 앞의 위치에서의 분기관으로의 액유출에 의해 액압이 저하하여 그 위치에서의 분기관에는 더욱 적은 양의 액밖에 유출하지 않는다.
한편, 펌프에 의한 흡액압력(음압력)하에 있어서 분기관(92)에 외부로부터 액을 유입시키고 이것을 주개구부(91a)로부터 흡인하는 경우는, 주개구부(91a)에 가까운 분기관으로부터는 많은 액을 흡인할 수 있으나, 주개구부(91a)로부터 순차 멀어짐에 따라 펌프의 액 흡인작용이 저하하여 그 위치에서의 분기관(92)으로부터는 더욱 적은 양의 액밖에 흡인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다기관을 처리액의 여과를 위한 액체회로, 뒤에서 설명하는 복수의 액조에 있어서의 처리액을 균질하게 유지하기 위한 액체회로, 각 액조에 있어서의 액면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액체회로 등에 채용하면 소망하는 여과처리, 처리액질의 유지, 액면제어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 분기관에 유량조정밸브(90)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나, 그렇게 하면 고비용이 되는 데다가 불순물의 여과제거량에 따라 일시의 경과와 함께 감량하여 가는 여과량, 또한 배관저항에 의한 각 흡액관, 송액관마다의 통액량의 감소 등을 균일화함에 대하여 유량조정밸브(90)의 개방도 내지 스로틀도의 조정에 현저하게 수고를 필요로 한다.
이 점, 도 9에 나타내는 구조의 다기관에 의하면, 각 분기관에 있어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유량조정을 위한 유량조정밸브(90)를 설치할 필요는 없고 그 액유통 단면적에 따른 통액량을 간단, 용이하고 저렴하게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여과장치 등에 대하여 설명의 형편상 여과장치(4A)부터 설명한다.
순환여과장치(4A)에 의하면 통상의 순환여과에 있어서는,
상기한 밸브(v41 내지 v45)가 개방되고,
온도제어회로(45)에 있어서의 밸브(va', vb', V)는 각각 임의의 소정의 개방도로 설정되고(항상 개방된 채이어도 좋다),
빈 액조 교체장치(51)로 통하는 수동 개폐밸브(v51, v52)는 폐쇄된다.
그리고 순환펌프(본예에서는 원심펌프)(42)를 운전함으로써 밸브(v43)를 개재하여 액조(12, 13)의 각 안쪽 바닥홈(102)으로부터 제 1 흡인헤드(104)로 주로 침전성 불순물을 포함하는 도금액을 흡인하고, 또 도 3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조내 바닥의 다른 부위에 제 3 흡인헤드(108)도 설치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제 3 흡인헤드로부터도 액조내 바닥부 및 그 근방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도금액을흡인하고, 한편 액조(12, 13)의 각각 있어서의 흘러넘침 박스(B1, B2)로 둑부(21, 22)를 넘어 도금액과 함께 흘러 들어 상기 박스(B2)에 모이는 부유성 불순물을 박스(B2)내의 도금액과 함께 제 2 흡인헤드(106)로 흡인하여 이들 불순물을 여과기 (41)로 여과하고, 여과후의 도금액을 다시 각 액조(12, 13)의 2개소로 환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과후의 액을 각 액조의 1개소가 아니라 복수개소로 되돌아가게 하기 때문에, 그 만큼 상기 액조의 각 부에 있어서 액의 청정도가 향상한다.
이 순환여과중, 도금액은 온도제어회로(45)에 있어서의 열교환기(451)에 의해 소정온도로 제어된다.
연휴나 휴일직후 등에 있어서 도금처리장치를 운전개시할 때, 도금액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로부터 크게 벗어나 있을 때에는, 소정의 온도 또는 그것에 가까워질 때까지, 온도제어회로(45)에 있어서의 유량조정밸브(V)를 스로틀하거나 폐쇄하여 도금액을 열교환기(451)에 집중적으로 흘림으로써 신속하게 소정의 도금액 작업온도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물품처리액조의 경우, 처리액중에는 피처리물에 당초부터 부착되어 유입되는 불순물, 피처리물의 전처리공정중에 발생하는 불순물로서 피처리물에 부착하여 유입되는 불순물, 그리고 처리액내에서의 피처리물의 처리과정에 있어서 전해, 열화 등에 의해 발생하는 불순물 등이 상승(相乘)하여 불순물이 나날이 쌓여가고, 이 때문에 고비용을 초래하는 여과기의 여과마루의 빈번한 세정복원 및 빈 액조 교체, 여과를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물품도금처리액조를 예로 들면 도금처리액중에는 피처리물에 당초부터 부착되어 유입되는 불순물, 피처리물의 전처리공정중에 발생하는 불순물로서 피처리물에 부착되어 유입되는 불순물, 그리고 도금처리액조내에서의 피처리물의 처리과정에 있어서의 애노드의 전해, 처리액의 열화 등에 의해 발생하는 불순물, 외부로부터 액조내로 낙하하는 일이 있는 불순물 등이 상승되어 불순물이 나날이 쌓여가고, 이 때문에 여과기내의 여과마루의 빈번한 세정복원작업, 그리고 빈 액조 교체 여과를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이들 작업을 위해 도금제품의 생산중단, 잔업의 증가, 이들에 따르는 인건비의 증가, 고가의 도금액의 손실, 여러 약품이나 배액의 관리비의 증가, 전기 등의 에너지의 과대한 소모를 초래하고, 나아가서는 도금제품의 가격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빈 액조 교체 여과를 예로 들면 빈 액조 교체 여과실시의 주기는 액질, 생산품종류 등에 따라 크게 좌우되나, 대략 1개월 내지 3개월 사이이다. 빈 액조 교체 여과에 의해 무기, 유기불순물의 제거를 위한 활성탄처리 및 여과 등의 처리를 행하여 액조성을 재생복원하고, 그 복원액을 다시 원래의 액조로 환류시킨다.
지금 설명하고 있는 도금처리액조(11 내지 15)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빈 액조 교체 여과처리를 행한다.
즉, 액조(12)내 도금액의 빈 액조 교체 여과를 행할 때에는 순환여과장치 (4A)에 있어서의,
액조(12)측의 밸브(v42), 액조(13)측의 밸브(v41, v42) 및 온도제어회로(45)의 입구로 통하는 밸브(v44), 빈 액조 교체장치(51)의 밸브(v52)를 폐쇄하고,
액조(12)측의 밸브(v41), 펌프(42)의 흡액구로 통하는 밸브(v43)와 함께 빈액조 교체장치(51)에 있어서의 밸브(v51)를 개방하고,
펌프(42)를 운전한다.
이에 의하여 액조(12)측의 밸브(v41), 다기관(431), 다기관(430)(도 3에서는 생략. 도 1 참조), 펌프흡액측의 밸브(v43), 펌프(42), 체크밸브(v46), 여과기 (41), 밸브(v51)를 경유하여 액조(12)내의 도금액을 빈 교체 액조(511)로 회수할 수 있다. 빈 교체 액조(511)로 회수한 액에는 활성탄여과처리, 액조성 복원처리 등을 실시한다.
처리가 끝난 액의 빈 교체 액조(511)로부터 액조(12)로의 환류에는,
빈 액조 교체장치(51)의 밸브(v51), 펌프(42)의 흡액구로 통하는 밸브(v43),액조(13)측의 밸브(v45)를 폐쇄하고,
빈 액조 교체장치의 밸브(v52), 온도제어회로(45)로 통하는 밸브(v44), 온도제어회로(45)의 밸브(V), 액조(12)측의 밸브(v45)를 개방하고,
펌프(42)를 운전한다.
이에 의하여 빈 교체 액조(511)의 바닥부에 있는 풋밸브(v53)로부터 복원된 도금액은 흡입되고, 빈 액조 교체장치의 밸브(v52), 펌프(42), 체크밸브(v46),여과기(41), 밸브(v44), 온도제어회로(45)의 다기관(452), 밸브(V), 다기관(433)을 경유하여 액조(12)측의 밸브(v45)로부터 액조(12)로 환류한다.
한편, 액조(13)내의 도금액의 빈 액조 교체 여과를 행할 때는 순환여과장치 (4A)에서의,
액조(13)측의 밸브(v42), 액조(12)측의 밸브(v41, v42) 및 온도제어회로(45)로 통하는 밸브(v44), 빈 액조 교체장치(51)의 밸브(v52)를 폐쇄하고,
액조(13)측의 밸브(v41), 펌프(42)의 흡액구로 통하는 밸브(v43)와 함께 빈 액조 교체장치(51)에 있어서의 밸브(v51)를 개방하고,
펌프(42)를 운전한다.
이에 의하여 액조(13)측의 밸브(v41), 다기관(432), 다기관(430), 펌프흡액측의 밸브(v43), 펌프(42), 체크밸브(v46), 여과기(41), 밸브(v51)를 경유하여 액조(13)내의 도금액을 빈 교체 액조(511)로 회수할 수 있다. 빈 교체 액조(511)로 회수한 액에는 여과처리 등을 실시한다.
빈 교체 액조(511)로부터 액조(13)로의 액환류에는,
빈 액조 교체장치(51)의 밸브(v51), 펌프(42)의 흡액구로 통하는 밸브(v43),액조(12)측의 밸브(v45)를 폐쇄하고,
빈 액조 교체장치의 밸브(v52), 온도제어회로(45)로 통하는 밸브(v44), 온도제어회로(45)의 밸브(V), 액조(13)측의 밸브(v45)를 개방하고,
펌프(42)를 운전한다.
이에 의하여 빈 교체 액조(511)의 바닥부에 있는 풋밸브(v53)로부터 복원된 도금액이 흡입되어 빈 액조 교체장치(51)의 밸브(v52), 펌프(42), 체크밸브 (v46), 여과기(41), 밸브(v44), 온도제어회로(45)의 다기관(452), 밸브(V), 다기관 (433)을 경유하여 액조(13)측의 밸브(v45)로부터 액조(13)로 환류한다.
이와 같이 여기에서는 액조(12, 13)의 도금액의 빈 액조 교체 여과는, 각 액조의 도금액을 각각 개별로 전량 빈 액조 교체 여과를 할 수 있다.
액조(12, 13)의 도금액을 개별로 빈 액조 교체 여과처리할 수 있게 한 것은, 2조모두 액교환하게 되면 빈 교체 액조(511)를 그 만큼 대용량으로 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렇게 하면 빈 교체 액조(511)의 설치를 위한 공간(space)이 커지고, 고비용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며, 또한 빈 액조 교체 여과가 요구되는 원인은 각 조별로 생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대용량의 빈 교체 액조(511)의 설치공간이 있는 등의 경우는, 2조에 대하여 한 번에 빈 액조 교체 여과작업을 행하여도 좋다.
순환여과장치(4B)에 있어서도 여과장치(4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액조(14, 15)의 도금액을 순환여과할 수 있다. 또 도금액의 온도제어도 할 수 있다. 또한 액조(14, 15)의 도금액을 각각 개별로 전량 빈 액조 교체 여과를 할 수 있다.
순환여과장치(3)에 의하면 통상의 순환여과에 있어서는 상기한 밸브(v11 내지 v15)가 개방되고, 온도제어회로(45)에 있어서의 개폐밸브 및 유량조정밸브는 각각 소정의 개방도로 설정되어 빈 액조 교체장치(51)로 통하는 개폐밸브는 폐쇄된다. 그리고 순환펌프(32)를 운전함으로써 액조(11)의 안쪽 바닥홈(102)으로부터 제 2 흡인헤드(104)로 주로 침전성 불순물을 도금액과 함께 흡인하고, 또 도 3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조내 바닥의 다른 부위에 제 3 흡인헤드(108)도 설치되어 있을 때에는 이 제 3 흡인헤드로부터도 액조내 바닥부 및 그 근방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도금액을 흡인한다.
한편, 액조(11)에 부착된 흘러넘침 박스(B1, B2)로 둑부(21, 22)를 넘어 도금액과 함께 흘러들어 박스(B2)에 모이는 부유성 불순물을 박스(B2)내의 제 2 흡인헤드(106)로 도금액과 함께 흡인하여 이들 불순물을 여과기(31)로 여과하고, 여과후의 도금액을 다시 액조(11)의 2개소로 환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과후의 액을 액조(11)의 1개소가 아니라 복수개소로 되돌아가게 하기 때문에 그 만큼 액조(11)의 각 부에 있어서 액의 청정도가 향상한다.
이 순환여과중, 도금액은 온도제어장치(45)에 있어서 소정온도로 제어할 수도 있다.
연휴 및 휴일직후 등에 있어서 도금처리장치를 운전개시할 때 도금액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로부터 크게 벗어나 있을 때에는 소정의 온도 또는 그것에 가까워질때까지 온도제어회로(45)에 있어서의 유량조정밸브(V)를 스로틀하거나 폐쇄하여 도금액을 열교환기로 집중적으로 흐르게 함으로써 신속하게 소정의 도금액 온도가 얻어진다.
액조(11)내 도금액의 빈 액조 교체 여과를 행할 때는 여과장치(3)에 있어서 상기한 액조(12, 13)의 빈 액조 교체장치(51)와 마찬가지로 액조(11)측의 밸브 (v11)를 개방하며 밸브(v12)를 폐쇄하고, 또한 온도제어회로(45)로 통하는 밸브 (v44)와 장치(51)의 밸브(v52)를 폐쇄하고, 빈 교체 액조(511)로의 송액용 개폐밸브(v51)를 개방하여 펌프(32)의 운전에 의해 액조(11)내의 도금액을 상기 빈 교체 액조로 회수할 수 있다.
그리고 회수되어 재생하여 복원된 도금액은, 빈 액조 교체장치(51)에 의해 상기한 액조(12, 13)와 동일하게 하여 액조(11)로 환류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도금처리장치에는 또한 액조(11 내지 15)의 각각으로부터 도금액을 회수하고 혼합하여 다시 각 액조로 되돌아가게 하면서 각 액조내의 액면위치를 소정위치로 제어하기 위한 액혼합 및 액면위치제어를 위한 장치(6)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액혼합 및 액면위치제어를 위한 장치(6)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순환펌프(61)(여기서는 원심펌프)와,
액조(11 내지 15)의 각각의 흘러넘침 박스(B2)로부터 수동 개폐밸브(v71), 액합류용 제 1 다기관(J1) 및 액합류용 제 2 다기관(J2), 또한 수동 개폐밸브(v62)를 거쳐 펌프(61)의 흡액구로 액을 유도하는 회로와,
액조(11 내지 15)의 각각의 흘러넘침 박스(B2)로부터 수동 개폐밸브(v61) 및 각 액조에 대응하는 액배출용 전동밸브(Va)(모두 5개 있음)를 거쳐 액합류용 제 3다기관(J3)으로, 다시 상기 제 3 다기관(J3)로부터 상기 제 2 다기관(J2) 및 수동 개폐밸브(v62)를 거쳐 펌프(61)의 흡액구로 액을 유도할 수 있는 회로와,
펌프(61)의 토출구로부터 체크밸브(Vo) 및 여과기(60)를 거쳐, 다시 수동 개폐밸브(v63), 액분배용 제 4 다기관(J4) 및 액분배용 제 5 다기관(J5)을 거쳐 각 액조(11, 12, 13, 14, 15)로 액을 유도하는 회로와,
펌프(61)의 토출구로부터 상기한 체크밸브(Vo) 및 여과기(60)를 거쳐, 다시 밸브(v63), 상기 제 4 다기관(J4) 및 액분배용 제 6 다기관(J6) 및 각 액조에 대응하는 액공급용 전동밸브(Vb)(모두 5개 있음), 다시 수동 개폐밸브(v64)를 거쳐 각 액조(11, 12, 13, 14, 15)로 액을 유도할 수 있는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액혼합 및 액면위치제어를 위한 장치(6)는 다시 각 액조의 흘러넘침 박스(B2)에 설치된 액면위치 검출장치(62)를 포함하고 있다.
액배출용 전동밸브(Va), 액공급용 전동밸브(Vb)는 여기서는 모두 밸브개폐 구동모터를 구비한 밸브이다.
또한 도시한 도금처리장치는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를 구비하고 있고, 제어부(7)의 일부는 지금 설명하고 있는 액혼합 및 액면위치제어를 위한 장치(6)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어부(7)에는 조작반(71)이 접속되어 있고, 그것에는 각 펌프를 시동하거나 정지하는 스위치 등이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펌프(32, 42, 42, 61)는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동작하게 되어 있음과 더불어, 액혼합 및 액면위치제어를 위한 장치(6)에 있어서의 각 액조에 대응하는 액배출용 전동밸브(Va), 액공급용 전동밸브(Vb) 및 액면위치 검출장치(62)도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어 있다.
각 액면위치 검출장치(62)는 모두 동일한 구조의 것으로, 그 중의 하나에 대하여 도 11(b)에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흘러넘침 박스(B2)내에 위쪽으로부터 매달아 삽입되는 모두 5개의 전극봉(621 내지 625)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전극봉은 전극봉(621, 622, 623, 624)의 순서로 길게, 이 긴 순서로 깊게 박스(B2)내에 삽입되어 있다. 전극봉(625)은 어스(earth) 전극봉이며, 전극봉 (624)과 대략 동일하거나 더욱 깊게 박스(B2)내에 삽입되어 있다.
각 액조의 흘러넘침 박스(B2)내에 있어서, 전극봉(621)은 이상이 있는 액면의 상한을 검출하기 위한 전극봉이며, 전극봉(622)은 액면위치가 허용범위의 상한에 도달하면 이것을 검출하기 위한 전극봉이며, 전극봉(623)은 액면위치가 허용범위의 하한에 도달하면 이것을 검출하는 전극봉이며, 전극봉(624)은 그 흘러넘침 박스내가 액이 마른 상태로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전극봉이다.
액조(11 내지 15)중의 어느 액조에 있어서도, 이 액조에 있어서의 둑부(21, 22)를 넘어 흘러넘침 박스내에 수용되어 있는 액의 액면높이가 소정의 상한과 하한의 범위내에 있을 때는 즉 박스(B2)내의 액면위치가 전극봉(622)의 하단보다 아래쪽에, 또한 전극봉(623)의 하단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액조에 대응하는 액배출용 전동밸브(Va), 액공급용 전동밸브(Vb)는 모두 제어부(7)의 지시하에 개방된 채로 상기 액조에 대하여 액의 배출 및 공급이 계속된다.
그러나 어느 하나의 액조에 있어서, 이 액조에 있어서의 둑부(21, 22)를 넘어 박스(B2)내에 수용되어 있는 액의 액면높이가 소정의 범위를 넘어 높아져 전극봉(622)의 하단에 접촉하면 제어부(7)의 지시하에 상기 액조에 밸브(v64)(통상, 개방되어 있음)를 개재하여 연통되어 있는 액공급용 전동밸브(Vb)는 폐쇄되어 상기 액조에 대한 급액은 정지되는 한편, 액배출용 전동밸브(Va)는 개방되어 밸브 (v61)(통상 개방되어 있음)를 개재하여 상기 액조로부터 액이 배출된다.
이 때 전동밸브(Va)를 개재하여 배출회로와는 별도로 밸브(v71)(통상 개방되어 있음), 다기관(J1)을 개재하여 배출되는 액이 다기관(J2)내에 있어서 전동밸브 (Va) 및 다기관(J3)으로부터의 배출액과 합류하여 이들 합류액이 밸브(v62)를 개재하여 펌프(61)로 흡인된다.
또 어느 하나의 액조에 있어서 이 액조내의 액면위치가 강하하여 전극봉 (623)의 하단으로부터 떨어지면 제어부(7)의 지시하에 액배출용 전동밸브(Va)가 폐쇄되는 한편, 액공급용 전동밸브(Vb)는 개방되고 밸브(v64)를 개재하여 상기 액조로 송액된다. 이 때 펌프(61)로부터의 송액은 체크밸브(Vo), 여과기(60)를 거쳐 다기관(J4)의 2개의 분기관중 한쪽의 분기관에 의해 상기한 다기관 (J6), 전동밸브 (Vb), 밸브(v64)를 거쳐 액조로 환류함과 동시에 다기관(J4)의 다른쪽의 분기관으로부터 다기관(J5)으로, 다시 액조로의 액유출구(63)로 환류한다.
그리고 ① 상기 순환여과장치(6)에 있어서 펌프(61)의 흡액회로에 있어서의 밸브(v61)로부터 전동밸브(Va)를 경유하는 배출액량과, 전동밸브(Va)를 경유하지 않고 밸브(v71)로부터 다기관(J1, J2)을 거쳐 배출되는 액량의 총 배출액량과, ②상기 펌프의 송액회로에 있어서의 전동밸브(Vb), 밸브(v64)를 경유하여 액조로 환류하는 송액량과, 전동밸브(Vb)를 경유하지 않고 다기관(J4, J5)를 거쳐 액유출구 (63)로부터 액조로 환류하는 액량의 총 송액량이 대략 같은 값이 되도록 당초에 있어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그 동안 펌프(61)의 운전은 계속되고 있다.
흘러넘침 박스(B2)내에 있어서, 예상치 못한 사태 등에 의해 처리액의 액면높이가 소정의 높이보다 낮아져 상기 액면이 전극봉(624)으로부터 떨어지면, 또는 처리액의 액면높이가 소정의 높이보다 높아져 상기 액면이 전극봉(621)에 접촉하면 제어부(7)의 지시하에 전자 및 후자의 경우 모두, 펌프(61)뿐만 아니라 모든 펌프가 비상정지된다. 안전관리를 위해 이 경우에 경보를 발하는 경보장치를 설치하여두어도 좋다.
상기한 액합류용 다기관(J1 내지 J3)은 흡액을 위한 흡액공간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흡액공간과 연통하는 액유통 주개구부를 1개소에 가지는 다기관 본체와, 이 다기관 본체의 상기 주개구부 위치를 제외하는 복수의 소정개소의 각각에 연달아 설치된 분기관을 구비하고 있으며, 액이 각 분기관으로 유입하여 다기관 본체내에서 합류하여 주개구부로부터 유출하는 것이다.
또 상기한 액분배용 다기관(J4 내지 J6)은, 송액을 위한 송액공간을 가짐과 동시에 이 송액공간과 연통하는 액유통 주개구부를 1개소에 가지는 다기관 본체와, 상기 다기관 본체의 상기 주개구부 위치를 제외하는 복수의 소정개소의 각각에 연달아 설치된 분기관을 구비하고 있고, 액이 주개구부로 유입하여 각 분기관으로부터 떨어져 유출하는 것이다.
제 1 다기관(J1) 및 제 3 다기관(J3), 또한 제 5 다기관(J5) 및 제 6 다기관 (J6)의 각각에는 액조의 수와 동일한 수(여기에서는 5개)의 분기관이 설치되어 있고, 제 2 다기관(J2) 및 제 4 다기관(J4)에 대해서는 2개의 분기관이 설치되어 있다. 장치(6)에서 채용되어 있는 액합류용 다기관(J2) 및 액분배용 다기관(J4)은 순환여과장치에서 채용한 도 9에 나타내는 구조의 다기관과 기본구조를 동일하게 하는 것으로, 각 분기관에 그 액유통 단면적에 따른 통액량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 장치(6)에서 채용되는 액합류용 다기관(J1 및 J3) 및 액분배용 다기관(J5및 J6)은 모두 도 10에 나타내는 다기관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제작재질은 염화비닐수지(PVC)에 의한 것이다. 또 이들 다기관은 처리액질 등에 따라 다른재료제, 예를 들어 다른 합성수지제나 금속제이어도 좋다.
즉, 다기관(J1, J3, J5, J6)의 각각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것이라고는 한정되지 않으나, 여기에서는 단면원형의 다기관 본체(600)와 이것에 접속된 5개의, 그것이라고는 한정되지 않으나 여기서는 단면원형의 분기관(601, 602, 603, 604, 605)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기관 본체(600)는 한쪽 끝에 다른 관을 접속하기 위한 주개구부(600a)를 가지며, 다른쪽 끝(600b)이 폐쇄된 내경 대략 균일한(액유통 단면적이 대략 균일한)폐쇄통체이다.
그리고 분기관(601 내지 605)에 대한 양 또는 음의 동일한 압력하에 있어서의 다기관 본체(600)의 개구부(600a)의 단면적은, 각각 필요로 하는 소정의 통액량을 부여하는 분기관(601 내지 605)의 합계 단면적에 상당하는 단면적을 가지고 있다. 각 분기관의 액유통 단면적은 여기서는 동일하다. 또 다기관 본체(600)의 단면적은 상기 복수 분기관의 합계 단면적에 대하여 여유가 있는 단면적으로 하여 상기 개구부(600a)보다는 약간 큰 단면적을 가지고 있다.
분기관(601 내지 605)은 각각 다기관 본체(600)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5개소에 있어서, 다기관 본체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다기관 본체내로 돌출 삽입되고, 각 분기관의 다기관 본체로의 돌출도(돌출 삽입높이)(β)는 본체(600) 내경(R')의 대략 1/2 이상 3/5 이하의 범위에 있다.
분기관(601 내지 605) 각각의 다기관 본체(600)내로의 돌출 삽입높이는, 상기 다기관 본체에 미치는 펌프(61)의 흡액압력(음압력) 또는 송액압력(양압력)하에있어서, 상기 다기관 본체내의 압력(음 또는 양압력)을 균일압력하에 두는 것이다.
다기관 본체(600)는 분기관(601 내지 605)에 대하여 액밀하게 접착제, 용접 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구조의 다기관에 있어서도 다기관 본체(600)의 주개구부(600a)에 펌프 (61)의 흡액구를 연통시켜 액합류용 다기관으로서 사용한 경우, 다기관 본체내의 액압(음압력)이 다기관 본체내 각 부에서 균일화되고, 따라서 각 분기관(601 내지 605)으로부터 다기관 본체(600)내로의 흡액량은 상기 분기관의 액유통 단면적에 따른 것이 된다. 여기서는 동일한 흡액량이 된다.
또 다기관 본체(600)의 주개구부(600a)에 펌프(61)의 토출구를 연통시켜 액분배용 다기관으로서 사용한 경우, 다기관 본체내의 액압(양압력)이 다기관 본체내 각 부에서 균일화되고, 따라서 각 분기관(601 내지 605)으로부터의 토출액량은 상기 분기관의 액유통 단면적에 따른 것이 된다. 여기서는 동일한 토출액량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다기관(J1 내지 J6)(도 1 참조)으로서 각 분기관에 그 액유통 단면적에 따른 통액량을 얻을 수 있는 다기관을 채용하고 있고, 그에 의하여 각 액조의 상호액 혼합을 계속하면서 행하는 각 액조(11 내지 15)에 있어서의 액면위치의 제어를 각 액조에 있어서의 액면높이에 알맞은 상태로 적절하게 행할 수 있고, 또 그에 의하여 액면위치제어를 위한 각 밸브(Va, Vb)(도 1 참조)의 개폐회수를 저감시킬 수 있고, 그 개폐사이클을 그 만큼 오래 끌게 함과 동시에 전동밸브(Va, Vb)의 내구성도 오래 끌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액혼합 및 액면위치제어를 위한 장치(6)에 의하면, 각 액조의흘러넘침 박스(B2)에 있어서의 액면이 정상위치에 있을 때는 각 밸브(Va, Vb)가 개방되고 액순환펌프(61)가 운전됨으로써, 복수의 액조(11 내지 15)의 각각의 흘러넘침 박스(B2)로부터 밸브(v61, v71)를 거쳐 액이 흡인되고, 각 조의 액은 액합류용 제 1 다기관(J1) 및 제 3 다기관(J3)의 각 분기관에 이르고 그들 분기관으로부터 상기 다기관의 본체내로 유입하여 합류하고, 다시 다기관 본체로부터 액합류용 제 2 다기관(J2)의 분기관으로 흘러 상기 다기관(J2)의 본체를 거쳐 각 조의 액이 혼합된 상태에서 액순환펌프(61)로 흡입된다.
그리고 액순환펌프(61)로 흡입된 액체는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되고, 여과기 (60)로 여과된 후, 액분배용 제 4 다기관(J4)의 본체로 유입하고, 다시 상기 다기관으로부터 액분배용 제 5 다기관(J5) 및 제 6 다기관(J6)의 본체로 유입하여 상기 다기관의 각 분기관을 거쳐 각 액조(11 내지 15)로 환류한다.
이와 같이 각 액조로부터 흡인된 도금액이 다기관(J1, J3)에서 합류하고, 다시 다기관(J2)에서 합류하여 액순환펌프(61)로 흡입되어 토출되고, 다시 여과기 (60)를 통과하여 제 4 다기관(J4)으로 분배되고, 다시 제 5 다기관(J5) 및 제 6 다기관(J6)에서 분배되는 과정에서, 복수의 액조(11 내지 15)로부터의 도금액이 혼합되고, 그것이 연속적으로 실시됨으로써, 각 액조의 도금액 조성은 균질하게 유지된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액조의 액면위치가 제어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액조내의 처리액을 혼합하여 균일한 액 조성하에 생산작업을 계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액혼합과 액면제어는 1개의 액순환펌프(61)에 의해 달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장치구조의 복잡화, 대형화, 고가격화를 억제하면서, 액조 사이에 있어서 처리액을 균질하게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각 액조에 있어서의 액면위치의 소정 액면위치에 대한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액혼합 및 액면위치제어를 위한 장치(6)와 같이, 적어도 액순환펌프(61)로 액을 유도하기 위한 각 회로 및 액면위치 검출장치(62)를 흘러넘침 박스(B2)에 대하여 설치함으로써, 액조의 둑부를 넘기 전의 액을 수용하고 있는 부분에서 장애물 적게 도금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 액조 전체에 있어서의 액량의 변동에 대하여 액면의 상하변동을 크게 취하는 흘러넘침박스에 있어서 액조에 있어서의 액면위치의 변동을 더욱 세밀하게 결정 검출하여 적절한 액면위치제어를 행할 수 있다.
여과기(60)는 흘러넘침 박스로 유입하는 액량에 대응할 수 있는 본래의 순환여과를 위한 여과기(31, 41)보다도 소형이 좋다. 또한 여과기(60)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1대이어도 충분하다.
도 1에 나타내는 도금처리장치에 있어서의 도금액의 순환여과장치(3, 4A, 4B)에 의한 순환여과는 각 액조에 대하여 보면, 통례에 따라 예를 들어 1시간당 1 액조의 액 수용량에 대하여 약 3회 순환여과할 수 있다. 즉 여과량은 상기 용량의 약 3배를 표준으로 할 수 있다. 또 순환여과장치(6)에 의한 액혼합 및 액면제어를 위한 액처리량은 예를 들어 1 액조의 액 수용량에 대하여 1시간당 약 0.5회 순환여과하는 양으로 할 수 있다. 즉 여과량은 상기 용량의 약 0.5배를 표준으로 할 수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내는 5개의 액조의 각각 있어서의 정규의 액 수용량을 5 ㎥ 라 하면, 1분당의 여과량은 다음표와 같이 설정할 수 있다.
여과회수 ×액회수량 ×액조수 ÷여과시간 = 1분간 여과량 | |
여과장치 3 | 3 × 5㎥ × 1 ÷ 60분 = 0.25㎥/분 |
여과장치 4A | 3 × 5㎥ × 2 ÷ 60분 = 0.5㎥/분 |
여과장치 4B | 3 × 5㎥ × 2 ÷ 60분 = 0.5㎥/분 |
여과장치 6 | 0.5 × 5㎥ × 5 ÷ 60분 = 0.208㎥/분 |
다음으로, 각 액조(11 내지 15)에 있어서 흘러넘침 박스(B1, B2)에 면하는 둑부(21, 22)(도 4도 참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둑부(21, 22)는 어느 액조의 것에 대해서도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액조(12)에 설치되는 있는 것으로 대표하여 설명한다. 다른 액조에 대해서도 둑부의 점에 대해서는 이하의 설명이 적합하다.
둑부(21)는 액조(12)와 흘러넘침 박스(B1) 사이의 칸막이벽(w1)(도 4 참조)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흘러넘침용 노치(20)를 형성하여 설치하고 있다. 둑부(22)는 액조(12)와 흘러넘침 박스(B2) 사이의 칸막이벽(w2)(도 4 참조)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흘러넘침용 노치(절결부)(20)를 형성하여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둑부 (21, 22)에 있어서의 각 흘러넘침용 노치(20)는 동일한 형상, 크기이다.
각 노치(20)는 여기에서는 역삼각형상이며, 둑부(21, 22)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복수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액흘러넘침용 노치(20)를 형성한 둑부(21, 22)를 채용하여 상기노치(20)로부터 흘러넘침 박스(B1, B2)로 액이 흘러넘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둑부(21, 22)로부터 액을 부유성 불순물과 함께 흘러넘침 박스(B1, B2)로 유입시키고, 그들을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박스로부터 펌프로 흡인할 수 있고, 이들 흡인한 액을 여과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액흘러넘침용 노치(20)를 형성한 둑부(21, 22)를 채용하여 상기 노치 (20)로부터 흘러넘침 박스(B1, B2)로 액이 흘러넘치도록 하였기 때문에, 액조(12)내의 액면이 바람직한 액 흘러넘침을 위한 액면위치보다 약간 정도 상승하더라도 그 상승 액면위치가 노치(20)에 면하고 있는 한, 종래의 직사각형 둑과 같이 둑의 상단 가장자리의 전체 길이에 걸쳐 한꺼번에 흘러 넘침량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그 때문에 전체의 흘러 넘침량이 현저하게 증가된다는 경우는 없으며, 상기 노치(20)에 있어서의 액면의 상승에 의한 액유통 단면적의 증가분만큼 흘러넘침량이 증가할 뿐이다.
또 액조(12)내의 액면이 하강하여도 그 하강 액면위치가 노치(20)에 면하고 있는 한, 종래의 직사각형 둑과 같이 둑부 상단 가장자리의 전체 길이에 걸쳐 한꺼번에 흘러넘침량이 감소하여 그 때문에 전체의 흘러넘침량이 현저하게 감소된다는 경우는 없으며, 상기 노치(20)에 있어서의 액면의 하강에 의한 액유통 단면적의 감소분만큼 흘러넘침량이 감소할 뿐이다.
따라서 액조(12)에 있어서의 액면의 상하변동이 있더라도 종래의 직사각형 둑과 비교하면 흘러넘침량은 매우 완만하게 증대 또는 감소한다. 바꾸어 말하면 액조(12)에 있어서의 액면의 상하변동이 있더라도, 종래의 직사각형 둑과 비교하면흘러넘침량의 변동은 매우 작게 억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액의 적절한 여과를 위해 여과용 펌프능력에 알맞은 순환여과의 액량에 따라 설정되는 액조(12) 바닥부로부터의 흡액량(예를 들어 순환여과액량의 약 70%)과 흘러넘침 박스로부터의 흡액량(예를 들어 순환여과액량의 약 30%)을 유지하여 액의 적절한 여과가 달성된다.
또 액 흘러넘침용 노치(20)를 형성한 둑부(21, 22)를 채용하여 상기 노치 (20)로부터 흘러넘침 박스(B1, B2)로 액이 흘러넘치도록 하고 있어 상기 노치(20)는 둑부(21, 22)를 넘기 전의 액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액조(12)내의 액면에 부상하기 쉬운 부상성 불순물뿐만 아니라, 그것보다 하층에 부유하여 쉬운 불순물도 상기 노치(20)로부터 흘러넘침 박스(B1, B2)로 유입하기 쉽고, 이와 같은 액면보다 하층에 부유하는 불순물에 대해서도 회수하여 여과할 수 있다.
또한 노치(20)의 형상(여기서는 특히 노치의 역삼각형상의 하단 꼭지각의 각도와 노치의 깊이)이나 수를 선택하여 흘러넘침량을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도시한 노치(20)는 역삼각형상이나, 직사각형상, U자 형상 등 다른형상이더라도 좋다.
도시한 바와 같이 역삼각형상 노치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그 역삼각형상의 하단 꼭지각으로서, 그것에는 한정되지 않으나, 40°내지 9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내지 60°정도를 예시할 수 있다.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500 mm의 종래 직사각형 둑(200)이 있고, 액조의 표준액위가 상기 직사각형 둑(200)의 상단보다 h = 10 mm 상승한 위치에 있으며, 이 때 둑(200)을 넘어 흘러넘치는 표준액량(소정액량)은 약 55.2ℓ/분 이고, 액조의 액면이 h = 15 mm, 20 mm, 25 mm로 각각 상승하였다고 하면 직사각형 둑(200)을 흘러넘치는 액량은 다음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01.4ℓ/분, 156.1ℓ/분, 218.2ℓ/분이 된다.
여기서 직사각형 둑(200)을 대신하여 도 12의 (B), (C),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폭 40 mm의 직사각형 노치(N1), 역삼각형상의 하단 꼭지각 90도의 노치 (N2), 역삼각형상의 하단 꼭지각 60도의 노치(N3)를 각각 가지는 둑부(201, 202, 203)를 채용한 경우, 직사각형 둑(200)과 동일한 표준 흘러넘침 액량 55.2ℓ/분을 얻고자 하면, 다음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둑부(201)에 대해서는 노치(N1)의 개수(P)를 5개라 하면, 각 노치(N1)의 액유통 단면의 높이(h1)를 18.4 mm로 하면 좋다.
둑부(202)에 대해서는 노치(N2)의 개수(P)를 5개라 하면, 각 노치(N2)의 액유통 단면의 높이(h2)를 28 mm로 하면 좋다.
둑부(203)에 대해서는 노치(N3)의 개수(P)를 4개라 하면, 각 노치(N3)의 액유통 단면의 높이(h3)를 38.1 mm로 하면 좋다.
즉 액 흘러넘침용 노치를 가지는 어느 둑부(201, 202, 203)에 있어서도 상기 노치는 액의 깊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직사각형 둑(200)의 상단보다 액면까지의 높이(h = 10 mm)보다 깊게 절결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액면에 부상하기 쉬운 부상성 불순물뿐만 아니라, 그것보다 하층에 부유하기 쉬운 불순물도 상기 노치로부터 흘러넘치게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액조의 액면이 상기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둑(200)의 상단보다 h = 15 mm, 20 mm, 25 mm로 각각 상승하였을 때의 상기 둑(200)을 넘는 흘러넘침 액량과 동일한 흘러넘침 액량을 얻고자 하면, 각 노치부착 둑부(201, 202, 203)에 있어서의 노치의 개수(P)와 노치에 있어서의 액유통 단면의 높이(h1, h2, h3)는 다음표와같이 된다. 즉 다음표보다 액면의 높이가 통상액면위치보다 5 mm(h = 15 mm의 경우), 10 mm(h = 20 mm의 경우), 15 mm(h = 25 mm의 경우)로 변동하더라도 노치부착 둑부(201, 202, 203)에 있어서는 흘러넘침 액량의 변동을 직사각형 둑(200)보다 작게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표에 있어서 M은 직사각형 둑(200)에 있어서의 흘러넘침 액량〔ℓ/분〕을 나타내고, m은 각 노치에 있어서의 흘러넘침 액량〔ℓ/분〕을 나타내며, P는 노치의 수를 나타낸다. h, h1, h2, h3의 단위는〔mm〕이다.
폭 500mm의 직사각형 둑(200) | 폭 40mm의 직사각형 노치(N1)부착 둑부(201) | 하단 꼭지각 90도의 노치(N2)부착 둑부(202) | 하단 꼭지각 60도의 노치(N3)부착 둑부(203) |
h M | h1 m P | h2 m P | h3 m P |
10 55.215 101.420 156.125 218.2 | 18.4 11.0 527.6 20.3 536.8 31.2 546.0 43.6 5 | 28.0 11.0 539.0 25.2 446.5 39.2 453.0 54.3 4 | 38.1 13.8 448.6 25.2 457.9 39.2 466.0 54.3 4 |
또한 종래의 상단 가장자리가 수평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소위 직사각형 둑에 의하면 액조의 바닥부로부터 흡액하는 양과 흘러넘침 박스로부터 흡액하는 양을 여과용 펌프의 능력에 따라 소정의 비율로 설정하고 있더라도 액조내 액면의 약간의 상승에 의해서도 흘러넘침량이 크게 증가하고, 그에 의하여 흘러넘침 박스내 액량이 펌프능력중 흘러넘침 박스로부터의 흡액능력을 넘어 지나치게 많아져 점점 액조내의 액면과 흘러넘침 박스내의 액면이 동일한 위치 근처가 되어 낙차가 작아지고, 결국은 부유성 불순물을 흘러넘침 박스로 충분히 회수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는 것은 이미 설명하였다. 이 점에 대하여 좀더 설명한다.
예를 들어 물품의 전기도금액처리에 있어서, 도금처리액조내의 도금액의 순환여과량은 피도금물에 따라 다르나, 대략 1시간당 액조내 처리액량의 3배의 여과량을 표준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소위 직사각형 둑으로부터 도금처리액을 흘러넘치게 하는 상기한 바와 같은 흘러넘침 박스(B1, B2)를 구비하는 액조의 순환여과량을 예로 들면 다음과 같이 된다.
액조내 폭 | 액조내 길이 및둑의 길이 | 높이(액깊이) | 액 량 | |
액 조 | 1.0m | 10m | 1.1m | 액조내 액량 11㎥ |
박스 B1 | 0.2m | 10m | 0.3m | 박스 B1 액량 0.6㎥ |
박스 B2 | 0.4m | 1m | 0.5m | 박스 B2 액량 0.2㎥합계 11.8㎥ |
상기 액량 11.8㎥에 대한 1시간당의 순환 총 여과량은,
11.8㎥ ×3배 = 35.4㎥/hr 가 된다.
그리고 액조내 및 흘러넘침 박스내의 처리액의 여과량을 각각 전 여과량의 70%, 30%로 설정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액조내 액의 여과량 | 35.4㎥ /hr ×7O% = 24.8㎥ /hr |
흘러넘침 박스내 액의여과량 | 35.4㎥ /hr ×30% = 10.6㎥ /hr합계 35.4㎥ /hr |
그런데 종래의 직사각형 둑에 의한 흘러넘침량은 둑 상단으로부터 액면까지의 높이(h)[도 12(a)참조]를 일반 평균적인 h = 10 mm로 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h = 10 mm일 때, 둑폭을 상기한 바와 같이 500 mm라 하면, 흘러넘침량은 상기한 바와 같이 대략 55.2ℓ/분이 되고, 둑폭이 박스(B1)의 길이 10 m와 박스(B2)의 길이 1 m의 합계 11m 이므로,
55.2ℓ/분 ÷500 mm ×11m ×60분 = 72.86 m 3/hr가 되어 상기한 흘러넘침 박스에 대하여 설정된 순환여과액량 10.6 ㎥ /hr를 크게 상회한다.
이는 흘러넘침 박스내 액량이 펌프능력중 흘러넘침 박스로부터의 흡액능력을 넘어 지나치게 많아져, 급속하게 액조내의 액면과 흘러넘침 박스내의 액면이 동일한 위치 근처가 되어 낙차가 없어짐에 의해, 부유성 불순물을 흘러넘침 박스로 충분히 회수할 수 없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액여과가 불충분해져 피도금물 표면에 불순물이 부착하여 거칠음 등이 발생하는 등, 불량품이 증가한다는 중대문제가 생긴다.
그리고 액조내 액면위치는 피처리물의 전처리공정에서 피처리물에 부착한 액의 유입, 피처리물에 의한 처리액의 퍼 내기, 상기 열교환기에 의한 액가온시의 수분의 증발 등에 의하여 시시각각 변동하기 때문에 각 액조내 액면위치의 조절, 흘러넘침 박스내로의 액유입량의 조절은 빈번하게 하여 번거롭고 또한 중요한 작업으로 되어 있었다.
이 점에 대하여,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액 흘러넘침용 노치를 설치한 둑부를 채용함으로써, 액조내 액면의 상하변동이 있더라도 종래의 직사각형 둑과 비교하면 흘러넘침량의 변동은 작게 억제되고, 그에 의하여 여과용 펌프능력에 알맞은 순환여과의 액량에 따라 설정되는 액조 바닥부로부터의 흡액량과 흘러넘침 박스로부터의 흡액량을 유지하여 액의 적절한 여과가 달성되고, 나아가서는 불량품의 발생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한 둑부(21, 22)는 액조와 흘러넘침 박스(B1, B2) 사이의 칸막이벽(w1, w2)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노치(20)를 형성하여 고정적으로 설치된 것이나, 액의 적절한 여과를 더 한층 간단용이하게 행하기 위하여 둑부로서 액조와 흘러넘침 박스 사이의 칸막이벽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떼어 내기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둑부재를 채용할 수도 있다. 도 13은 그와 같은 착탈가능한 둑부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 도 14는 동일하게 착탈식 둑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a)는 둑부재(8)의 사시도이다. 도 13(b)는 상기 둑부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3(a)의 X-X선을 따르는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둑부재(8)는 액 흘러넘침용 직사각형 노치(80)를 4개 형성한 판체(81)에 단면 도어형상(내지 U자 형상)의 벽 삽입부분(800)을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노치(80)를 피하여 보강리브(83)도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이다.
그것에는 한정되지 않으나, 여기서의 벽 삽입부분(800)은 오목부 형태의 것으로, 판체(81)의 한쪽 면의 도중부분에 ㄱ자 형상의 굴곡판부(82)를 일체적으로 설치하여 형성하고 있다. 굴곡판부(82)와 그것에 겹치는 위치에 있는 판체(81)의 하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긴 볼트 관통용 긴 구멍(82a)을 각각 설치하고 있다. 이 둑부재(8)는 그것에는 한정되지 않으나, 여기서는 액조내 처리액에 대하여 내식성의 합성수지[처리액이 전기도금액인 경우는 예를 들어 염화비닐수지(PVC)]로 전체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 둑부재(8)는 액조(11, 12, 13, 14, 15)와 흘러넘침 박스(B1, B2)의 칸막이벽에 위쪽부터 삽입된다. 도 13(b)는 둑부재(8)를 액조(11)와 흘러넘침 박스 (B2) 사이의 칸막이벽(w2)에 상기한 벽 삽입부분(800)에서 위쪽으로부터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둑부재(8)는 액조내의 액량, 노치(80)의 크기 등의 균형에 의해 1 또는 2 이상이 사용된다. 2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 인접하는 둑부재(8)는 서로 접촉시켜 칸막이벽(w2)에 삽입한다. 도시를 생략하고 있으나, 둑부재(8)와 동일한 둑부재가 액조와 흘러넘침 박스(B1) 사이의 칸막이벽(w1)에도 삽입배치된다.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둑부재(8)를 칸막이벽(w2)에 삽입배치할 때 필요에 따라 상기한 벽 삽입부분(800)의 상단 속쪽에 높이 조절용 라이너(LN)를 배치할 수 있고, 둑부재(8)는 직접 또는 이 라이너(1iner)(LN)를 개재하여 칸막이벽 (w2)의 상단에 얹어 놓여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칸막이벽(w2)에 삽입된 둑부재(8)에는 예를 들어 상기한 ㄱ자 형상의 굴곡판부분(82)측으로부터 그곳의 볼트관통용 긴 구멍(182a), 미리 벽 (w2)에 설치한 볼트(84)가 정확히 관통할 수 있는 내경의 볼트구멍 및 판체(81)의 볼트관통용 긴 구멍(82a)에 볼트(84)가 통하게 되어 너트로 긴밀하게 조인다. 이 때 필요에 따라 볼트(84)에 끼워맞춰진 액밀봉재(840)를 굴곡판부분(82) 및 판체 (81)의 각각의 외면에 꼭 대고, 이에 의하여 볼트관통용 긴 구멍(182a)이 개방된 부분을 액밀하게 폐쇄한다.
이와 같이 하여 둑부재(8)는 액조와 흘러넘침 박스 사이의 칸막이벽에 소정높이로, 바꾸어 말하면 노치(80)의 높이 위치를 소정의 액 흘러넘침 량을 얻는 높이 위치에 설정하여 부착된다.
이 둑부재(8)에 의하면 액 흘러넘침용 노치(80)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앞서 설명한 노치(20)를 형성한 둑부(21나 22)와 동일한 이점이 있다.
또한 이 둑부재(8)에 의하면, 흘러넘침량을 여러가지로 설정한 둑부재(8)중에서 적절한 둑부재를 선택채용하여 용이하게 흘러넘침량을 설정할 수 있고, 또 상기 라이너(LN)를 높이가 다른 것으로 변경하는 등으로 하여 둑부재(8)의 부착높이를 변경하거나 둑부재(8)를 교환함으로써 흘러넘침량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칸막이벽(w2 이나 w1)이 처리액에 대하여 내식성이 떨어지는 예를 들어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표면에 내식성 합성수지 등이 코팅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볼트(84)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을 설치할 때 노출하는 금속재 등의 부분은 상기 볼트구멍에 내식성의 밀봉(sea1ing)제를 넣는 등으로 하여 보호하면 좋다.
도 14(a)는 둑부재(8')의 사시도이다. 도 14(b)는 상기 둑부재의 사용상태 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4(a)의 Y-Y 선을 따르는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둑부재 (8')는 상기한 둑부재(8)의 변형예이며, 다음의 점이 둑부재(8)와 다르다. 그 밖의 점은 둑부재(8)와 동일하며, 둑부재(8)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착하고 있다.
이 둑부재(8')에서는 액 흘러넘침용 직사각형 노치(80)를 형성한 판체(81)의 상부에도 볼트관통용 긴 구멍(82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긴 구멍(82a)은여기서는 판체(81)의 양쪽 끝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ㄱ자 형상의 굴곡판부(82)는 판체(81)의 양쪽 끝부에 있는 보강리브(83)의 바깥쪽 위치에서 상부의 수평부분이 삭제되어 있다.
이 둑부재(8')도 둑부재(8)와 마찬가지로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벽삽입부(800)로 칸막이벽(w2)에 삽입된다. 단 그 때 ㄱ자 형상의 굴곡판부(82)의 상기 상부 수평부분의 삭제부위에 그것에 대응하여 미리 칸막이벽(w2)의 상단으로부터 위쪽으로 일체적으로 연장한 상승벽(W') 이 관통하여 판체(81) 양쪽 끝부의 상부에 겹친다. 도시를 생략하고 있으나, 둑부재(8')와 동일한 둑부재가 액조와 흘러넘침 박스(B1) 사이의 칸막이벽(w1)에도 삽입배치된다.
그리고 둑부재(8')는 둑부재(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판체 하부에 있어서 칸막이벽(w2)에 볼트너트 고정될 뿐만 아니라, 판체(81)의 상부에 있어서도 상승벽 (W')에 볼트너트(bo1t-nut)고정된다. 즉 상승벽(W')에 미리 설치한 볼트(84')가 정확하게 관통할 수 있는 내경의 볼트구멍 및 판체(81) 상부의 볼트관통용 긴 구멍(82a)에 볼트(84')가 통하게 되어 너트로 긴밀하게 조인다. 이 때도 필요에 따라 볼트(84')에 끼워맞춘 액밀봉재(840)를 판체(81)에 꼭 대고, 이에 의하여 볼트관통용 긴 구멍(82a)이 개방된 부분을 액밀하게 폐쇄한다. 이와 같이 하여 둑부재(8')는 액조와 흘러넘침 박스 사이의 칸막이벽에 소정높이로, 바꾸어 말하면 노치(80)의 높이 위치를 소정의 액 흘러넘침량을 얻는 높이 위치로 설정하여 부착된다.
이 둑부재(8')에 있어서도 둑부재(8)와 동일한 이점이 있다. 또한 둑부재(8')에서는 그 일부에 칸막이벽(w2)의 일부에 상당하는 벽(W')이 겹쳐 고정되기 때문에, 둑부재(8)라면 액조내의 큰 액압이 가해져 파손될 염려가 있을 때에도 둑부재 (8')에서는 그러한 염려가 없다.
도 13,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둑부재(8, 8')에서는 액 흘러넘침을 위한 노치(80)는 직사각형 노치이나, 둑부재(8, 8')에 있어서도 액 흘러넘침을 위한 노치는 상기한 둑부(21, 22)에 있어서의 역삼각형상 노치이어도 좋고, 또는 또 다른 형상의 노치이어도 좋다.
또 둑부재(8, 8')를 칸막이벽(w1, w2)에 고정하는 데 상기한 관통볼트(84)를 대신하여 둑부재(8, 8')에 나사결합하여 칸막이벽(w1, w2)의 벽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둑부재를 칸막이벽에 고정하는 것을 채용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액조내에 저류되는 액중의 상층부에 부유하는 불순물을 액과 함께 둑부로부터 흘러넘치게 하기 위한 1 또는 2 이상의 흘러넘침 박스를 가지는 액조로서 다음의 이점을 가지는 액조를 제공할 수 있다.
(1) 액조중의 액면위치가 상하변동하더라도 종래 직사각형 둑과 같이 둑부를 넘어 흘러넘침 박스로 유입하는 액량의 현저한 변동을 초래하는 일이 없다.
(2) 액조내 액면에 부상하기 쉬운 부상성 불순물뿐만 아니라, 그것보다 하층에 부유하기 쉬운 불순물도 흘러넘침 박스로 유입시켜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3) 따라서 또 그 만큼 액조내에 잔류하는 불순물량을 줄일 수 있다.
(4) 이들에 의해 액조 바닥부 및 흘러넘침 박스의 쌍방으로부터 펌프로 흡액 하여 이 액을 여과처리할 때에는 그 여과처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5) 따라서 또 액조내 처리액에 의해 물품처리를 행할 때에는 불순물의 영향을 적게 하여 처리후 물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6) 흘러넘침 박스로 유입하는 액량의 설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액조내에 저류되는 액중의 상층부에 부유하는 불순물을 액과 함께 둑부로부터 흘러넘치게 하기 위한 1 또는 2 이상의 흘러넘침 박스를 가지는 액조의 상기 둑부를 제공하기 위한 둑부재로서 이하의 이점을 가지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1) 액조에 부착되어 둑부로서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액조중의 액면위치가 상하변동하여도 흘러넘침 박스로 유입하는 액량의 현저한 변동을 초래하는 일이 없다.
(2) 액조내 액면에 부상하기 쉬운 부상성 불순물뿐만 아니라, 그것보다 하층에 부유하기 쉬운 불순물도 흘러넘침 박스로 유입시켜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3) 따라서 또 그 만큼 액조내에 잔류하는 불순물량을 줄일 수 있다.
(4) 이들에 의해 액조 바닥부 및 흘러넘침 박스의 쌍방으로부터 펌프로 흡액 하여 이 액을 여과처리할 때에는 그 여과처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5) 따라서 또 액조내 처리액에 의해 물품처리를 행할 때에는 불순물의 영향을 적게 하여 처리후 물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6) 흘러넘침 박스로 유입하는 액량의 설정, 변경을 간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21)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처리액을 저류하는 액조(11, 12, 13, 14, 15)를 가지고, 상기 액조는 액조 내에 저류되는 액(L) 중의 상층부에 부유하는 불순물을 액과 함께 둑부로부터 흘러넘치게 하기 위한 1 또는 2 이상의 흘러넘침 박스(overf1ow box)(B1, B2)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액조 내의 처리액에 피처리물품(a1, a2)을 침지하여 물품처리하고, 상기 액조 내 및 흘러넘침 박스 내의 액을 펌프(32, 42, 61)와 여과기(31, 41, 60)를 포함하는 순환여과장치(3, 4A, 4B, 6)로 흡인, 여과하여 상기 액조에 리턴시키면서 사용하는 물품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액조의 상기 둑부를 제공하기 위한 둑부재(8, 8')로서,흘러넘침용 노치(8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흘러넘침 박스(B1, B2)와 액조 사이의 칸막이벽(w1, w2)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둑부재(8, 8').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노치는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각 노치(80)는 역삼각형상 또는 직사각형상의 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둑부재.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흘러넘침 박스(B1, B2)와 액조 사이의 칸막이벽(w1, w2)에 위쪽으로부터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800)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둑부재.
- 처리액을 저류하는 액조(11, 12, 13, 14, 15)를 가지고, 상기 액조는 액조 내에 저류되는 액 중의 상층부에 부유하는 불순물을 액과 함께 둑부(21, 22)로부터 흘러넘치게 하기 위한 1 또는 2 이상의 흘러넘침 박스(B1, B2)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액조 내의 처리액에 피처리물품(a1, a2)을 침지하여 물품처리하고, 상기 액조 내 및 흘러넘침 박스 내의 액을 펌프(32, 42, 61)와 여과기(31, 41, 60)를 포함하는 순환여과장치(3, 4A, 4B, 6)로 흡인, 여과하여 상기 액조에 리턴시키면서 사용하는 물품처리장치용 상기 액조로서,상기 액조의 상기 둑부는 흘러넘침 박스(B1, B2)와 액조 사이의 칸막이벽(w1, w2)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흘러넘침용 노치(20)를 형성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조.
-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흘러넘침용 노치(20)는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각 노치는 역삼각형상 또는 직사각형상의 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조.
-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물품처리장치가 도금처리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조.
- 처리액을 저류하는 액조(11, 12, 13, 14, 15)를 가지고, 상기 액조는 액조 내에 저류되는 액(L) 중의 상층부에 부유하는 불순물을 액과 함께 둑부로부터 흘러넘치게 하기 위한 1 또는 2 이상의 흘러넘침 박스(B1, B2)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액조 내의 처리액에 피처리물품(a1, a2)을 침지하여 물품처리하고, 상기 액조 내 및 흘러넘침 박스 내의 액을 펌프(32, 42, 61)와 여과기(31, 41, 60)를 포함하는 순환여과장치(3, 4A, 4B, 6)로 흡인, 여과하여 상기 액조에 리턴시키면서 사용하는 물품처리장치용 상기 액조로서,상기 액조의 상기 둑부는 흘러넘침 박스(B1, B2)와 액조 사이의 칸막이벽(w1, w2)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제 9 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둑부재(8, 8')를 탈착 가능하게 부설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조.
- 제 15 항에 있어서,상기 물품처리장치가 도금처리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조.
- 처리액을 저류하는 액조(11, 12, 13, 14, 15)를 가지고, 상기 액조는 액조 내에 저류되는 액(L) 중의 상층부에 부유하는 불순물을 액과 함께 둑부(21, 22)로부터 흘러넘치게 하기 위한 1 또는 2 이상의 흘러넘침 박스(B1, B2)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액조 내의 처리액에 피처리물품(a1, a2)을 침지하여 물품처리하고, 상기 액조 내 및 흘러넘침 박스 내의 액을 펌프(32, 42, 61)와 여과기(31, 41, 60)를 포함하는 순환여과장치(3, 4A, 4B, 6)로 흡인, 여과하여 상기 액조에 리턴시키면서 사용하는 물품처리장치로서,상기 액조의 둑부(21, 22)가 흘러넘침 박스(B1, B2)와 액조 사이의 칸막이벽(w1, w2)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흘러넘침용 노치(20)를 형성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처리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상기 흘러넘침용 노치(20)는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각 노치는 역삼각형상 또는 직사각형상의 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처리장치.
-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상기 물품처리장치가 도금처리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처리장치.
- 처리액을 저류하는 액조(11, 12, 13, 14, 15)를 가지고, 상기 액조는 액조 내에 저류되는 액(L) 중의 상층부에 부유하는 불순물을 액과 함께 둑부로부터 흘러넘치게 하기 위한 1 또는 2 이상의 흘러넘침 박스(B1, B2)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액조 내의 처리액에 피처리물품(a1, a2)을 침지하여 물품처리하고, 상기 액조 내 및 흘러넘침 박스 내의 액을 펌프(32, 42, 61)와 여과기(31, 41, 60)를 포함하는 순환여과장치(3, 4A, 4B, 6)로 흡인, 여과하여 상기 액조에 리턴시키면서 사용하는 물품처리장치로서,상기 액조의 둑부가 흘러넘침 박스(B1, B2)와 액조 사이의 칸막이벽(w1, w2)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둑부재(8, 8')를 탈착 가능하게 부설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처리장치.
- 제 20 항에 있어서,상기 물품처리장치가 도금처리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36908799A JP3339483B2 (ja) | 1999-12-27 | 1999-12-27 | 堰部材、液槽及び物品処理装置 |
JP11-369087 | 1999-12-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82602A KR20010082602A (ko) | 2001-08-30 |
KR100388160B1 true KR100388160B1 (ko) | 2003-06-19 |
Family
ID=18493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82646A KR100388160B1 (ko) | 1999-12-27 | 2000-12-27 | 둑부재, 액조 및 물품처리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3339483B2 (ko) |
KR (1) | KR100388160B1 (ko) |
CN (1) | CN1314504A (ko) |
TW (1) | TW487744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3020B1 (ko) * | 2001-12-05 | 2008-05-27 | 주식회사 포스코 | 도금용액의 오버 플로우 망 자동교체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46329A (ja) * | 2007-03-29 | 2008-10-16 | Kubota Corp | 浄化槽 |
CN101302645B (zh) * | 2008-06-09 | 2012-12-05 | 匡优新 | 一种电镀生产设备中镀槽循环装置 |
CN102640697A (zh) * | 2011-02-21 | 2012-08-22 | 宏观能源科技有限公司 | 直立式藻类养殖装置 |
JP5986848B2 (ja) * | 2012-08-27 | 2016-09-06 | 上村工業株式会社 | 表面処理装置 |
JP7150769B2 (ja) * | 2020-01-30 | 2022-10-11 | Jx金属株式会社 | 電解装置及び電解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23529A (ko) * | 1995-10-10 | 1997-05-30 | 어윈 엠. 크리트먼 | 브래킷을 갖는 폭축 보호 밴드를 구비한 crt |
-
1999
- 1999-12-27 JP JP36908799A patent/JP333948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
- 2000-11-18 TW TW089124482A patent/TW487744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12-27 CN CN00137531A patent/CN1314504A/zh active Pending
- 2000-12-27 KR KR10-2000-0082646A patent/KR10038816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23529A (ko) * | 1995-10-10 | 1997-05-30 | 어윈 엠. 크리트먼 | 브래킷을 갖는 폭축 보호 밴드를 구비한 cr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3020B1 (ko) * | 2001-12-05 | 2008-05-27 | 주식회사 포스코 | 도금용액의 오버 플로우 망 자동교체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82602A (ko) | 2001-08-30 |
JP2001181898A (ja) | 2001-07-03 |
TW487744B (en) | 2002-05-21 |
JP3339483B2 (ja) | 2002-10-28 |
CN1314504A (zh) | 2001-09-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88160B1 (ko) | 둑부재, 액조 및 물품처리장치 | |
KR19990023478A (ko) | 침지 표면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하는 침지 표면 처리 방법 | |
JP3554696B2 (ja) | 液体による物品処理装置 | |
US4379031A (en) | Evaporation driven counterflow rinse system and method | |
JP2001208272A (ja) | 多岐管 | |
JP3178604B1 (ja) | 液 槽 | |
JP3389190B2 (ja) | 液温度制御回路 | |
KR20130010369A (ko) | 사출금형의 스케일 제거장치 | |
JP3312897B2 (ja) | 液槽オーバーフローボックスからの吸液装置 | |
CN212789888U (zh) | 一种用于电镀废水处理的沉淀池 | |
KR101031322B1 (ko) | 도금강판 코팅용액 수지이물 처리장치 | |
CN213856170U (zh) | 清洗装置 | |
JPH06179976A (ja) | 化学メッキ槽 | |
KR950007189B1 (ko) | 정수위 조절장치 | |
KR200258668Y1 (ko) | 여과지의 하부집수장치 | |
CN215142648U (zh) | 节水型模组清洗装置 | |
CN218666674U (zh) | 一种具有防染料沉淀功能的纱线染色机 | |
CN212664362U (zh) | 一种电镀加工用水洗槽 | |
CN217809661U (zh) | 槽体、循环装置及循环系统 | |
CN221385581U (zh) | 一种电镀废水处理用的净化处理设备 | |
CN210657153U (zh) | 一种水密封酸液循环式不锈钢酸洗池 | |
US20240309538A1 (en) | Modular plating line | |
US6706173B1 (en) | Filtration system | |
CN215995912U (zh) | 一种浸润剂循环回收装置 | |
JP2004130284A (ja) | 高速ろ過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