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8056B1 -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외유니트 - Google Patents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외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8056B1
KR100388056B1 KR1019960004118A KR19960004118A KR100388056B1 KR 100388056 B1 KR100388056 B1 KR 100388056B1 KR 1019960004118 A KR1019960004118 A KR 1019960004118A KR 19960004118 A KR19960004118 A KR 19960004118A KR 100388056 B1 KR100388056 B1 KR 100388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outdoor unit
side wall
housing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4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1911A (ko
Inventor
와조 야마다
히데오 마에다
요시노리 요시다
요시미 오카모토
고이치로 세키
게이코 오노
마사토 이누즈카
히데유키 다카야마
Original Assignee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20889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226673A/ja
Priority claimed from JP55237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04326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84468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05990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710713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285329A/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31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1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0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14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6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 압축기와, 나사를 위한 구멍이 형성된 주변프레임을 구비하는 열교환기, 및 팽창장치를 가지는 실내유니트 및 실외유니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실내유니트와 실외유니트가 서로 냉매관으로 연결되어 냉동싸이클을 형성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유니트에 있어서, 바닥판,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각각 형성된, 측벽흡기구를 구비한 측벽, 배면흡기구를 갖는 배면벽, 및 배기구를 갖는 전면벽을 포함하는 하우징 ;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팬을 수용하는 송풍실과, 상기 압축기를 수용하는 기기실로 분할하기 위해 바닥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면벽의 배면흡기구 상으로 열교환기가 연장되어 있을 때 상기 열교환기의 구멍과 일치하는 구멍을 구비하고 있는 주변프레임을 가지고 있는 칸막이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교환기는 위에서 보았을 때 L자 형상을 하고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를 바닥판에 수직으로 장착하면, 일부분은 측벽에 형성된 측벽흡기구 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 부분과 연결부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다른 부분은 배면에 형성된 배면흡기구 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 상기 칸막이판은, 상기 열교환기 주변프레임의 정면단부에 상기 칸막이판 주변프레임을 상기 열교환기의 후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로 고정하므로서, 상기 열교환기의 앞에 배치되고 ; 상기 측벽흡기구는 수평 슬릿으로 이루어진 전,후방 수직열 및 상기 두 열을 분리하는 중간 스트립을 가지며, 상기 전방 수직열은 열교환기의 일부분과 면하고, 상기 중간 스트립은 상기 열교환기의 연결부와 면하며 ; 상기 하우징의 상기 천정면에는, 상기 천정면을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측벽흡기구의 전,후방 수직열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전,후방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중간스트립과 소통하도록 되어 있는 상기 돌출부들 사이에는 상기 중간스트립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평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유니트.

Description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유니트
본 발명은 실내 및 실외유니트를 갖춘 분리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외유니트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유니트는, 하우징의 배면벽 및 측벽에 홈기구들(이하, 각각 배면흡기구 및 측벽흡기구라 칭함)을 구비하고, 및 하우징의 전면벽에 배기구를 구비한다. 열교환기 및 팬은 하우징 내부의 송풍실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열교환기는 하우징의 두 개의 인접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 두 부분을 갖는다. 압축기는 하우징내의 기기실에 설치된다. 상기 송풍실 및 기기실은 칸막이판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또한, 실내유니트는 열교환기 및 팩을 포함하며, 이 열교환기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를 공기조화공간에 순환시켜서 공기를 조화한다. 실내 및 실외유니트는 냉매를 교환하기 위하여 관을 통해 유동적이고 기계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또한, 상기 실외유니트 및 실내유니트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예를 들면, 실외유니트는 공기조화기가 최적상태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코드와, 공급제어신호를 위한 추가 코드를 구비한다. 상기 신호는 공기조화공간의 온도 및 습도와 같은 제어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실외유니트의 송풍실을 기기실에서 분리하는 칸막이판은, 일반적으로 나사를 통하여 하우징의 바닥판과 열교환기의 일측 단부에 고정된다.
실외유니트의 열교환기는, 실외유니트를 수리하거나 또는 냉각장치에 쌓인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또는 라디에이터를 청소하기 위해 하우징에서 분리해야 한다. 이와 같은 경우 칸막이판은, 바닥판에서 열교환기를 분리하기 전에 열교환기에서 제거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칸막이판을 열교환기에 고정시킨 나사를 기기실과 접하는 칸막이판측, 즉 하우징의 배면으로부터 제거해야 한다. 그 이유는, 열교환기, 칸막이판 및 압축기는 일반적으로 하우징 뒤에서 상기 순서대로 하우징내에 설치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나사는 열교환기가 압축기 뒤의 송풍실로 연장되도록 압축기 뒤에 위치하기 때문에, 압축기를 분리하지 않고 칸막이판을 분리한다는 것은 어렵다. 이에 따라, 열교환기를 유지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며, 또한 냉매관의 연결 및 분리는 열교환기와 함께 압축기 및 칸막이판의 분리 및 재장착이 필요하다.
종래, 실외유니트에 관한 또 다른 단점은, 하우징이 편평한 천정면을 가지고 있어서, 천정면에 내린 빗물이 천정면으로부터 측벽과 전면벽으로 고르게 흘러내리고, 따라서, 측벽흡기구와 전면배기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공기조화기가 난방시스템으로 사용되는 경우, 이와 같은 일이 겨울에 발생한다면, 팬이 실외유니트에서 증발기로 작동하는 열교환기에 의해 급격하게 냉각되기 때문에, 팬이 간헐적으로 정지(off)하고 있는 기간동안, 빗물은 결국 팬 위에서 동결된다. 따라서 이러한 빗물의 냉각으로 인한 동결로 실외유니트는 정상적인 기계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빗물 차단능력이 보다 우수한 하우징의 개선된 설계를 제공하는 것이 요청된다.
또한, 실외유니트는 하우징이 꽤 무거운 중량에 견딜만큼 충분한 강도가 있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실외유니트를 설치한 후 실외유니트가 화분 등의 일부 물건들을 놓는 장소로 종종 이용되며, 사람이 하우징을 밟고 오르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두꺼운 강판은 무겁고 고가이기 때문에, 천정면의 강도는 두꺼운 강판을 사용하지 않고 확보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가벼운 재료를 사용하여 하우징에 충분한 강도를 부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실외유니트의 열교환기는 위에서 보았을 때 L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열교환기가 배면흡기구 뿐만 아니라 측벽흡기구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하우징 전면벽의 배기구로 공기를 방출하도록 되어있다. 열교환기에 충분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서, 종래 실외유니트의 측벽흡기구는 동일한 폭을 갖는 2열의 수평 슬릿들로 구성된다.
그러나, 측벽흡기구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경우, 2열을 분리하는 중간부 또는 스트립이 측벽흡기구의 중앙에 위치함에 따라서, 상기 스트립이 흡기구를 관통하는 공기의 주된 흐름을 차단하여, 큰 공기저항을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스트립에 의하여 차단된 공기의 흐름은 열교환기가 열교환하는데 있어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공기구의 형태는 열 효율성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실외유니트의 각종 요소는 전체 실외유니트가 일반적으로 "얇은" 구조를 갖도록 배열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얇은 실외유니트가 깔끔하게 설치되고 외관상 보기에 좋기 때문이다. 실외유니트의 설계면에서, 상기와 같이 두 개의 동일한 슬릿의 열을 갖는 측벽흡기구는 바람직하지 않다. 그 이유는 상기에 지적한 바와 같이 비효율적인 구조일 뿐만 아니라 실외유니트의 폭이 넓어 보이도록 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종래의 배기구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직사각형 개구부를갖는 보호가드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개구부는 공기를 배기구의 측방으로 방출하도록 설계되어, 공기는 전방, 즉 배기구의 정면으로는 방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배기구의 형태는, 예를 들어 일부 꽃들이 옆에서 나오는 공기의 아래에 심어져있는 경우에는, 공기가 배기구의 측방으로 방출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종래 실외유니트에 관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하기 쉽고 유지보수에 편리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에 대한 개선된 구조의 실외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교환기를 실외유니트의 다른 요소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및 장착할 수 있는 실외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견고하고 생산비용이 저렴한 하우징을 갖는 실외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외유니트의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로 인해 야기되는 유니트의 오염 및 작동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하우징을 갖는 실외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교환기에 공기의 최대 유입률을 제공하고, 실외유니트가 얇은 외관을 갖도록 개선된 흡기구를 구비하는 실외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람직한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개선된 배기구를 갖는 실외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한 태양(態樣)에서, 각각 압축기, 주변프레임을 구비한 열교환기, 및 팽창장치를 구비하는 실내유니트 및 실외유니트로 이루어져, 실내유니트와 실외유니트가 서로 냉매관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냉동싸이클을 형성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유니트에 있어서, 바닥판;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각각 형성된 측벽흡기구를 구비한 측벽, 배면흡기구를 갖는 배면벽, 및 배기구를 갖는 전면벽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팬을 수용하는 송풍실과, 상기 압축기를 수용하는 기기실로 분할하기 위해 바닥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주변프레임을 가지는 칸막이판을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가 바닥판에 수직으로 설치된 경우, 상기 열교환기의 일측은 상기 배면흡기구 근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칸막이판은, 열교환기 주변프레임의 정면단부에 칸막이판 주변프레임을 상기 열교환기의 후면에서 나사로 고정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앞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유니트가 제공된다.
종래의 실외유니트와는 달리,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벽에 장착된 칸막이판은 나사로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압축기를 제거하지 않고도 열교환기를 신속하게 분리 장착할 수 있다.
실외유니트의 열교환기 및 칸막이판은, 각각 주변프레임을 갖는다. 나사를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구멍을 갖는 열교환기의 주변프레임과, 칸막이판을 열교환기에 고정시키는 나사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홈을 갖는 칸막이판의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교환기의 열전달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열교환기가 배면벽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열교환기는 압축기 후방 구역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관통구멍이 실외유니트의 전면에서 보았을 때 압축기의 우측 후방 주변프레임에 설치된다는 것을 말한다.
실외유니트의 열교환기는 위에서 보았을 때 L자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부분적으로 측벽흡기구에 면하고, 또 부분적으로는 하우징의 배면흡기구에 면한다. 이 경우,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수평 슬릿의 두 개의 수직열(이하, 각각 전열과 후열이라 칭함)과, 상기 두열을 분리하는 중간 스트립을 갖는 측벽에 흡기구를 제공하고, 천정면의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연장되고 측벽에 있는 슬릿의 각 열에 상당하는 폭을 갖는 두 개의 돌출부(전후방 돌출부)를 갖는 하우징의 천정면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돌출부 사이의 부분, 즉 돌출부 사이의 평탄부의 폭은 슬릿의 두열 사이에 위치한 중간 스트립의 폭에 대응한다. 따라서, 평탄부는 슬릿의 두열 사이에 위치한 중간 스트립과 이어진다.
상기 천정면의 돌출부는 천정면에 강도를 더해주고, 평탄부는 천정면에 내린 빗물이 천정면의 평탄부에서 측벽상에 형성된 중간 스트립을 따라서 지면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돕는다. 이로써 슬릿을 통해 하우징내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돌출부의 형성으로 인하여 전면벽을 타고 흘러 내려가 실외유니트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돌출부 사이의 평탄부는 설치시 각종 도구와 부품을 놓는 장소로 편리하게 이용될 수도 있다.
슬릿의 전열의 폭은 후열의 폭보다 넓은 것이 유리하다. 천정면상의 전방 돌출부의 폭은 슬릿의 전열과 연결됨에 따라, 전방 돌출부의 폭이 후방 돌출부의 폭보다 크게 된다.
슬릿의 보다 넓은 전열과 보다 좁은 후열의 조합은 종래보다 많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이러한 설계를 갖는 실외유니트는 보다 얇은 외관과, 말끔한 형상을 갖는다. 둘째, 상기 측벽흡기구는, 공기의 유입률이 최대인 측벽흡기구의 중간에 공기-차단 스트립을 갖지 않으므로, 스트립으로 인한 공기차단의 효과를 격감시킨다는 점에서 종래 보다 효율적인 슬릿을 제공한다. 상기 스트립은 유입률이 크지 않은 뒤쪽에 위치 하게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각각 압축기, 주변프레임을 구비한 열교환기, 및 팽창장치를 구비하는 실내유니트 및 실외유니트로 이루어져, 실내유니트와 실외유니트가 서로 냉매관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냉동싸이클을 형성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유니트에 있어서, 바닥판;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각각 형성된 측벽흡기구를 구비한 측벽, 배면흡기구를 갖는 배면벽, 및 배기구를 갖는 전면벽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팬을 수용하는 송풍실과, 상기 압축기를 수용하는 기기실로 분할하기 위해, 바닥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주변프레임을 가지는 칸막이판을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가 바닥판에 수직으로 설치된 경우, 상기 열교환기의 일측은 상기 배면흡기구 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칸막이판은, 열교환기 주변프레임의 정면단부에 칸막이판 주변프레임을 상기 열교환기의 후면에서 나사로 고정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앞에 설치되고, 상기 측벽흡기구는 수평 슬릿으로 이루어진 전,후방 수직열 및 상기 두열을 분리하는 중간 스트립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천정면을 가로질러 연장 형성되고 상기 측벽흡기구의 전,후방 수직열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전,후방 돌출부, 및 상기 중간스트립과 연속하여 상기 돌출부들 사이에 상기 중간스트립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평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공기 조화기의 실외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천정면의 돌출부는 천정면에 강도를 더해주고, 평탄부는 천정면에 내린 빗물이 상기 평탄부와 측벽에 구비된 중간 스트립을 통해 지면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는 슬릿을 통해 하우징 내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돌출부는 빗물이 전면벽을 타고 흘러 실외유니트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동절기에 실외유니트에 빗물이 유입되어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적절하다. 또한, 돌출부사이의 평탄부는 설치시 각종 도구와 부품을 놓는 장소로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릿의 전열의 폭은 후열의 폭보다 넓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따라 측벽 슬릿의 전열에 연결된 전방 돌출부의 폭은 후방 돌출부 보다 넓게 된다.
슬릿의 보다 넓은 전열과 보다 좁은 후열의 조합은 종래보다 많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이러한 설계를 갖는 실외유니트는 보다 얇은 외관과, 말끔한 형상을 갖는다. 둘째, 상기 측벽흡기구는, 공기의 유입률이 최대인 측벽흡기구의 중간에 공기-차단 스트립을 갖지 않으므로, 스트립으로 인한 저항의 효과를 격감시킴으로써 종래의 슬릿보다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는 슬릿을 제공한다. 이러한 스트립은 공기 유입률이 크지 않은 뒤쪽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각각 압축기, 주변프레임을 구비한 열교환기, 및 팽창장치를 구비하는 실내유니트 및 실외유니트로 이루어져, 실내유니트와 실외유니트가 서로 냉매관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냉동싸이클을 형성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유니트에 있어서, 바닥판,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각각 형성된 측벽흡기구를 구비한 측벽, 배면흡기구를 갖는 배면벽, 및 배기구를 갖는 전면벽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팬을 수용하는 송풍실과, 상기 압축기를 수용하는 기기실로 분할하기 위해 바닥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주변프레임을 가지는 칸막이판을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가 바닥판에 수직으로 설치된 경우, 상기 열교환기의 일측은 상기 배면흡기구 근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칸막이판은, 열교환기 주변프레임의 정면단부에 칸막이판 주변프레임을 상기 열교환기의 후면에서 나사로 고정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앞에 설치되고, 상기 측벽흡기구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수평 슬릿의 전 및 후의 수직열과, 상기 두열을 분리하는 중간 스트립을 갖고, 상기 하우징은, 천정면을 가로질러 연장되고 측벽흡기구에서 슬릿의 대응 열에 맞는 폭을 갖는 전방 및 후방의 돌출부와, 폭이 같고 측벽흡기구의 중간 스트립에 연속하는 돌출부들 사이의 중간 평탄부와, 함께 하우징의 천정면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용 실외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천정면의 돌출부는 천정면에 강도를 더해주고, 평평한 부분은 천정면에 내린 빗물이 천정면에서 지면으로 측벽상에서 중간 스트립을 통해 흘러내리는 것을돕는다. 이는 슬릿을 통해 하우징 안으로 빗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돌출부는 전면벽을 타고 내려가 실외유니트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겨울철 동안 실외유니트에서 빗물의 빙결을 방지하는데 적절하다. 또한, 돌출부사이의 평탄부는 설치시 각종 도구와 부품을 놓는 장소로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릿의 전열의 폭은 후열의 폭보다 넓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따라 측벽의 슬릿의 전열에 연결된 전 돌출부의 폭은 후 돌출부보다 크다.
슬릿의 보다 넓은 전열과 보다 좁은 후열의 조합은 종래보다 많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이러한 설계를 갖는 실외유니트는 보다 얇은 외관과, 말끔한 형상을 갖는다. 둘째, 상기 측벽흡기구는, 공기의 유입률이 최대인 측벽흡기구의 중간에 공기-차단 스트립을 갖지 않으므로, 스트립으로 인한 공기차단효과를 격감시키는 종래보다 효율적인 슬릿을 제공한다. 스트립은 공기유입률이 크지 않은 뒤쪽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서, 각각 압축기, 주변프레임을 구비한 열교환기, 및 팽창장치를 구비하는 실내유니트 및 실외유니트로 이루어져, 실내유니트와 실외유니트가 서로 냉매관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냉동싸이클을 형성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유니트에 있어서, 바닥판;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각각 형성된 측벽흡기구를 구비한 측벽, 배면흡기구를 갖는 배면벽, 및 배기구를 갖는 전면벽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부징의 내부공간을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팬을 수용하는 송풍실과, 상기 압축기를 수용하는 기기실로 분할하기 위해 바닥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주변프레임을 가지는 칸막이판을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가 바닥판에 수직으로 설치된 경우, 상기 열교환기의 일측은 상기 배면흡기구 근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칸막이판은, 열교환기 주변프레임의 정면단부에 칸막이판 주변프레임을 상기 열교환기의 후면에서 나사로 고정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앞에 설치되고, 전면배기구가 정다각형으로 구성되고 배기구상에 가드를 가지며, 상기 가드는 복수의 장방형 슬릿을 형성하는 종횡 리브로 이루어진 격자를 가지며, 이에 따라 가드의 방향이 바뀌는 경우 장방형 슬릿의 방향도 변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배열로, 전면배기구에서 배출된 공기의 방향은 실외유니트의 환경조건에 따라 가드의 방향을 바꿈으로써 편리하게 변경될 수 있다.
가드의 가장 실용적인 형상 중 하나가 정방형이다.
( 실 시 예 )
이하, 도 1, 도 2, 도 3을 참조하면, 전면벽과 천정면을 갖는 제1하우징부재(3), 및 대향면과 배면벽을 갖는 제2하우징부재(4)를 가지며, 상기 두 하우징부재가 서로 연결되고 적절한 나사에 의해 바닥판과 연결되는 실외유니트(1)가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의 내부공간은 칸막이판(10)에 의해 송풍실(7)과 기기실(9)로 구획된다. 송풍실에는, 한쪽 단부가 한 측벽과 면하고 다른쪽 단부가 제2하우징부재(4)의 배면벽에 면하는 L자형상의 열교환기(5)와, 프로펠러(6a)가 팬모터(6b)상에 부착된 팬(6) 등이 설치된다. 기기실에는, 압축기(8) 및 어큐뮬레이터와 사방밸브와 같은 기타 기기 요소들이 설치되어 있다.
제1하우징부재(3)의 전면벽에는, 열교환기(5)를 통해 지나가는 공기를 방출하는 배기구(11)가 형성된다. 전면벽 배기구는 가드(32)를 갖는다. 제2 하우징부재(4)의 측벽에 형성된 측벽흡기구는 두 열의 슬릿(12a, 12b)을 가지며, 배면벽은 배면흡기구(12c)를 갖는다. 열교환기는 상기 흡기구들과 면한다.
나사홈(14)은 나사로 팬부착용 부재(13)를 고정하기 위해 송풍실(7)의 대략 중간에서 바닥판(2)에 형성된다. 팬부착용 부재(13)는 스테인리스스틸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팬모터(6b)를 수용하는 중앙 구멍을 갖는다. 팬부착용 부재(13)는, 그 저부 단부에 구멍(13a)을 갖는 접혀진 부분을 갖는다. 상측 단부에서, 팬부착용 부재(13)는 또한 유사한 구멍을 갖는 접혀진 부분을 갖는다. 팬부착용 부재(13)를 바닥판에 고정할 때, 구멍(13a)은 나사홈(14)에 각각 정렬되고, 상기 부재는 나사에 의해 고정된다. 팬부착용 부재(13)의 상부 접혀진 단부는 나사로 제2하우징부재(4)의 천정면상에 제공된 수용부(tongue)에 고정된다. 팬부착용 부재(13)가 바닥판(2)과 제2하우징부재(4)의 상부에 고정됨에 따라, 팬부착용 부재(13)의 구멍에 고정된 팬모터(6b)는 정해진 위치에서 고정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5)는 냉매를 관통시키는 지그재그형 관(15)과, 상기 지그재그형 관(15)의 전체 부분에 걸쳐 있으며 관(15)과 주위 공기 사이의 양호한 열교환을 위해 필요한 커다란 열전달 면적을 만들어내는 복수의 핀(5a)을 갖는다. 관(15)과 핀(5a)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얇은 L자형상의 패널을 형성한다. 열교환기(5)는 그 프레임(5b)을 나사로 바닥판(2)에 고정시킴으로써 바닥판 상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또한, 프레임(5b)은 칸막이판(10)을 프레임(5b)상에 고정하기 위해 나사를 수용하는 관통구멍(16)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압축기(8)는 나사에 의해 기기실(9)내 바닥판(2)상에 설치된다. 압축기는 연결관에 의해 열교환기(5)의 관(15)과 연결된다.
칸막이판(1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단부(10a)에서 열교환기(5)의 한쪽 단부에 고정된다. 이같은 고정은 관통구멍(16)을 대응하는 나사홈(18)에 정렬하고, 그후 나사(17)를 나사홈(18)에 고정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와셔(19)는 나사(17)가 느슨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나사(17)상에 삽입된다. 칸막이판(10)은 또한 나사에 의해 바닥판(2)에 고정된다.
관통구멍(16) 및 나사홈(18)은, 유니트의 정면단부와 도 2의 화살표 A로 표시된 방향에서 보았을 때, 압축기(8) 뒤에, 즉 압축기(8)에 의해 음영진부분에 제공된다.
도 7은 실내유니트와 연결된 실외유니트(1)를 구성하는 공기조화기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실내유니트의 상부 및 하부관(22) 뿐만 아니라 실외유니트의 상부 및 하부판(21)도 흐름도를 구성하는 한쌍의 연결밸브(23)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공기조화기가 난방모드에 있는 경우, 실외유니트(1)에 제공된 사방밸브(24)는, 압축기(8)내에 압축된 냉매가 사방밸브(24)를 통해 상부관(21)에 직결되고, 상부 연결밸브(23)와 상부관(22)을 통과하여 실내유니트(20)의 실내 열교환기(25)를 지나는 상태가 되도록 스위치된다. 냉매는 실내유니트(20)의 실내 열교환기(25)에응축되어 그곳에서 열을 방출한다. 열은 팬(26)에 의해 공조실로 방출된다. 실내 열교환기(25)에서 액화된 냉매는 하부관(22), 하부 연결밸브(23), 및 하부관(21)을 통해 열교환기(5)로 순환된다. 냉매는 열교환기(5)에서 팽창 및 기화된다. 그 다음 기체형 냉매는 사방밸브(24)를 통해 어큐뮬레이터(27)를 지나고, 기체가 흐름도에서 순환하기 전에 다시 응축되는 응축기(8)에 공급된다.
공기조화기의 냉각운전시, 실외유니트(1)의 사방밸브(24)는, 응축된 냉매가 사방밸브(24)를 통해 열교환기(5)에 처음 공급되고, 그 안에서 액화되어 열교환기(5)로 열을 방출하는, 도 7에서 2점 쇄선으로 표시된 또 다른 상태가 되도록 스위치된다. 이에 따라 방출된 열은 팬(6)에 의해 열교환기(5)에서 방출된다. 그 다음 열교환기(5)에서 냉각 및 액화된 냉매는 상부관(21), 상부 연결밸브(23), 및 상부관(22)을 관통하여 실내유니트(20)의 실내 열교환기(25)에 공급된다. 기체는 실내 열교환기(25)에서 팽창 및 기화되며, 팬(26)에 의해 실내 열교환기(25)로 운송된 공기에서 열을 흡수한다. 그후, 기체형 냉매는 하부관(22, 21)을 통하고, 사방밸브(24)와 어큐뮬레이터(27)를 경유하여 실외유니트(1)의 실내 열교환기(25)에서 압축기(8)로 순환된다.
실외유니트(1)는 운전되는 동안 실외에 설치되므로, 비바람에 노출된다. 이에 따라 열교환기 핀 사이의 틈 또는 슬릿들이 먼지에 쌓일 가능성이 있다. 그러면 열교환기(15)는 청소를 위해 분리되어야 한다. 열교환기(15)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하우징부재(3)를 제거하고, 그 다음 제2하우징부재(4)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팬부착용 부재(13)의 상측 단부는 또한 제2하우징부재(4)의 제거에 앞서, 제2하우징부재(4)에서 분리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는 단계가 간단하며 시간이 많이 걸리지 않는다.
제2하우징부재(4)가 제거된 후, 칸막이판(10)은 뒤쪽에서 실외유니트(1)에서 나사를 제거함으로써 실외유니트(1)에서 분리된다. 실외유니트(1)는 실외유니트(1)를 고정시키는 나사가 일단 바닥판(2)에서 제거되면 바닥판(2)에서 쉽게 분리된다. 청소한 실외유니트(1)를 조립할 때, 열교환기(5)가 먼저 바닥판(2)에 고정되고, 칸막이판(10)은 그 뒤에서 나사(17)로 열교환기(5) 뒤에서 죄어져서 열교환기(5)에 고정된다.
상기 나사(17)는 뒤쪽으로부터 열교환기(5) 후면 상에서 죄어지거나 풀려져서, 열교환기(5)의 앞쪽에 설치된 칸막이판(10)이 압축기(8)를 분리하지 않고 열교환기(5)에 쉽게 고정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유니트에서는 이 칸막이판(10)은 앞쪽에서 나사를 풀어 열교환기(5)에서 제거되어야한다. 상기 나사들은 압축기(8)의 오른쪽 뒤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나사들은 압축기에 의해 막혀 있어 스크류 드라이버로 접근할 수 없다. 즉, 칸막이판(10)은 압축기(8)가 제거되지 않은 경우, 열교환기(5)에서 제거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청소시 칸막이판(10)에서 열교환기(5)만을 분리할 수 있는 간단하고 쉬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5)의 핀(5a)의 총표면적을 가능한 많이 증가시키기 위해, 열교환기(5)는 일반적으로 도 2의 L자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열교환기(5)가 측벽흡기구의 슬릿(12a, 12b)의 전,후열 뿐만 아니라 배면벽의 배면흡기구(12c)로부터 공기를 수득하도록 한다. 이같은 배열에서, L형의 수평 바(bar)에 상응하는 열교환기(5)의 보다 짧은 직선 부분은 측벽의 보다 넓은 부분을 점유하는 측벽흡기구의 보다 넓은 슬릿(12a)과 면한다. L형의 수직선에 상응하는 열교환기(5)의 보다 긴 직선 부분은 배면흡기구(12c)와 면한다. 상기의 보다 짧은 부분 및 보다 긴 부분사이의 굴곡 부분(5B)은 L형의 굽은 부분에 해당하고, 슬릿(12b)의 보다 좁은 열과 면한다. 이에 따라 측벽흡기구에서 유입된 공기의 주흐름은 굽은 부분이 아닌 보다 짧은 직선 부분에 직접 공급된다. 측벽흡기구의 상기 배열은 다음의 이유에 의해 동일한 크기의 슬릿열보다 열교환기에 보다 효율적인 공기흐름을 제공한다.
열교환기(5)의 굴곡 부분(5B)에 의한 결과로서, 인접 핀들(5a) 사이의 틈은 감소하며, 즉 공기가 실외유니트(1)의 내부를 향해 상기 부분들을 통과할 때 좁아진다. 이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굴곡 부분(5B)은 곧은 부분(5A)보다 큰 공기저항을 갖게 된다.
그러므로, 이는 열교환기(5)의 곧은 부분(5A)으로 가능한 많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공기를 허용하는 데 유리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증가된 온도효율성을 위해 슬릿(12a)을 통해 곧은 부분(5A)으로 큰 열유입율을 허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측벽흡기구(12)에 있어서의 전열의 수평 폭 w1을 대응하는 슬릿(12b) 열의 폭 w2 보다 크게 제조하여 달성된다. 또한, 이같은 측벽흡기구 형태는, 전열에 보다 큰 개구부를 갖는 측벽흡기구는 유니트가 얇은 외관을 갖는 인상을 제공하므로, 설계상 바람직하다.
상기 천정면에는 상부 표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두 개의 평행한 돌출부(31a, 31b)가 있다. 돌출부의 폭은 도 8과 같이 각각 측벽흡기구의 슬릿(12a, 12b)에 대응한다. 즉, 전후 돌출부의 폭들은 각각 w1, w2이다.
상기와 같이 천정면을 가로질러 평행한 돌출부(31a, 31b)를 제공함으로써, 천정면의 강도가 종래 편평한 천정면에 비해 강해져, 설치 후 화분과 같은 비교적 무거운 물체를 실외유니트 위에 얹어 놓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두 개의 돌출부(31a, 31b) 사이의 평탄부(31c)는 천정면에서 지면으로 빗물(33)을 안전하게 유도하는 배수로로 사용된다.
평행한 돌출부(31a, 31b) 사이의 평탄부(31c)는, 천정면으로부터 전면벽을 타고 흘러내려 전면벽을 더럽힐 뿐만 아니라, 배기구 가드(32)를 통해 하우징 안으로 흘러 들어가는 빗물의 양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빗물이 겨울에 하우징 안으로 들어가 팬(6) 위에서 빙결되면, 실외유니트의 기능장애를 일으킬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평행한 돌출부는 유니트의 기능장애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평탄부(31c)가 하우징의 전면벽보다 배면벽에 보다 가깝다는 사실은 전면벽을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의 양을 감소시키는데 더욱 도움을 준다.
평탄부(31c)가 측벽흡기구의 슬릿(12a, 12b) 사이의 스트립에 따라 정렬되어 있어서, 천정면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은 측벽흡기구를 통해 하우징 내로 들어가지 않고 스트립을 통과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빗물에 함유된 먼지가 열교환기의 핀들(5c)의 틈에 쌓이는 것을 감소시키는데 공헌한다. 그렇지 않으면 먼지가 상기핀들(5c)의 틈에 축적되어 열교환기(5)의 열전달 효율을 낮춘다.
또한, 상기 평탄부(31c)는 스크류 드라이버(34)와 같은 도구와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고정부품(35)을 보관하는 편리한 공간으로 사용될 수도 있기 때문에, 두 개의 돌출부(31a, 31b) 사이의 평탄부(31c)는 유용하다. 이는 실외유니트의 설치 및 유지보수시 도구와 부품의 유실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천정면의 두 개의 돌출부는 하우징에 강도를 더해줌과 동시에 하우징 내에 있어서의 오염물질의 감소를 위한 방어수단을 부가해주며, 또한 도구와 부품이, 설치 및 유지보수시에 유실되는 문제를 해결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물체가 배기구(11)를 통해 실외유니트(1)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기구 가드(32)가 배기구(11)에 부착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배기구(11)와 배기구 가드(32)는 장방형으로 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구 가드(32)는 배기구 가드(52)와 함께 나사(53)에 의해 배기구(11)의 주위에 형성된 리브(51)상에 장착된다. 열교환기(5)를 통과하기 위해 팬(6a)에 의해 생성된 공기는 배기구 가드(32)로부터 방출되고 배기구 가드(52)를 통해 확산된다. 상기에 나타난 장방형 배기구 가드(32)에는 연장되는 개구부(43)를 갖는 격자를 형성하는 수직 리브(41) 및 수평 리브(42)가 있다. 수직 리브(41)는 수평 리브에 평행하는, 즉 연장하는 개구부의 수직 방향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43)을 지나는 공기를 굴절시키도록 배열된다. 이에 따라 배기구 가드가 수평으로 연결된 연장형 리브와 장착되는 경우, 공기는 수평방향으로 배기구에서 배출된다. 공기가 아랫방향으로 향한다면, 배기구 가드(32)는,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기구(11)상에 고정시, 도 11에 나타난 위치에서 90도 회전한다.
배기구 가드(32)의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해, 제1하우징부재(3)는 실외유니트(1)에서 분리되고, 그 다음 배기구 가드(52) 및 배기구 가드(32)가 나사(53)를 제거함으로써 하우징부재(3)로부터 분리된다.
그 다음 배기구 가드(32)를 도 11에서 화살표 A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90도 회전시켜, 연장되는 개구부(43)가 수직으로 향하도록 한다. 배기구 가드(52)는 뒤에서 하우징부재(3)상에 다시 장착된다.
그 다음 배기구 가드(52) 및 배기구 가드(32)는 하우징부재(3)의 리브(51)내의 각 나사식구멍에 나사(53)(도 11에는 한개의 나사만 나타냄)를 맞추고 죄임으로써 하우징부재(3)상에 장착된다. 마지막으로, 하우징부재(3)가 실외유니트(1)상에 장착된다.
배기구 가드(32)가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개구부(42)를 갖는 배기구(11)상에 장착되는 경우, 배기구(11)에서 나온 공기는 아래방향으로 확산되어, 공기가 유니트(1)의 측벽 근처에 놓여 있는 물체에 아무런 해도 미치지 않도록 한다.
배기구(32)의 형상은 도 12와 같은 장방형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배기구(11) 및 배기구 가드(32)는 정다각형, 예들 들어 정오각형과 같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다섯면 이상을 갖는 배기구(11) 및 배기구 가드(32)를 위해 유사한 정다각형을 선택함으로써, 배기구 가드(32)는 수직 및 수평 방향을 포함하는 몇가지 다른방향으로 공기를 선택적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도 13은 120도로 서로 다른 세 방향을 갖는 육각형의 배기구 가드(32)를 나타낸다. 배기구 가드(32)의 이러한 형태는,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 선택에서 어느 정도 자율성을 제공하며, 실외유니트가 어떤 물체에 의해 임의의 방향으로 공간적으로 제한되어, 배기구(11)에서 나온 공기가 다른 방향으로 향해야만 하는 경우에 매우 편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하는 방향으로 배기구의 연장된 개구부(43)를 다시 방향 조정하는 대신에,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평리브(42)의 표면이 수평면에 대해 주어진 각에서 아래로 경사진다면, 장방형의 배기구 가드(32)는 연장된 개구부가 여전히 수평으로 향하도록 하면서 아랫방향으로 공기를 안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분명히, 이같은 연장된 개구부(43)내 수평리브(42)의 배열은 공기가 배기구 가드(32)를 통하여 흐르므로, 공기를 아랫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이에 따라, 배기구가드의 이러한 형태는 배기구에서 공기의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해 재장착할 필요가 없다.
측벽흡기구의 슬릿(12a, 12b)이 형성되어 있는 측벽에 대향하는 하우징부재(3)의 다른 측벽의 상부면에는, 전원과 제어신호를 받는 한 세트의 전기커넥터(61)와, 그 측벽의 하부면에는 한 세트의 유동커넥터(62)가 설치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동커넥터(62)는 두 개의 냉매관 커넥터(63)가 설치되며, 그중 하나는 유동커넥터(62) 위에, 다른 하나는 유동커넥터(62) 밑에 제공된다. 도 16은 두 개의 실내유니트가 실외유니트와 연결된 경우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그러나, 두 개의 실내유니트가 하나의 실외유니트와 연결되는 것을 제외하면,흐름도의 기본 구조와 기능은 단 하나의 실내유니트를 포함하는 선행된 흐름도와 동일하므로, 흐름도는 더 상세히 기재하지 않았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난 각각의 냉매판커넥터(63)의 각각은, 장방형의 기부(64)에 용접되는, 제1 및 제2 연결밸브(23a 또는 23c),(23b 또는 22d)를 각각 포함한다.
도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연결밸브(23a 또는 23c)는 그 한쪽 단부에 차례로 냉매관(22a, 22c)에 연결되는 냉매관커넥터(71)를 갖추고, 다른 한쪽 단부에는 연결밸브(23a, 23c)의 개/폐용 밸브조절나사(72)를 갖추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연결밸브(23b 또는 23d)는 냉매관커넥터(73) 및 밸브조절나사(74)를 갖추고 있다. 연결밸브(23b, 23d)는 냉매관(22b 또는 23d)과 함께 다른쪽 단부에 연결된다.
운전시, 냉매는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은 흐름도에서 흐른다. 도 16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유니트가 냉방 운전시에, 냉매는 압축기(8)에서 나와 사방밸브(24)를 통해 냉매관(21a)으로 들어가고, 또한, 각 연결밸브(23a, 23c) 및 각 냉매관(22a, 22c)을 통해 실내유니트(20)로 들어간다.
냉매가 실내유니트(20)의 열교환기(25)로 운송될 때, 냉매는 그곳에서 열을 흡수하기 위해 팽창되고, 그후 각 실내유니트의 냉매관(22b, 22d)을 통과하고 각 제2밸브(23b, 23d)를 경유하여, 실외유니트(1)의 관(21b)을 통과하여 실외유니트(1)의 열교환기(5)로 순환한다. 냉매는 사방밸브(24) 및 어큐뮬레이터(27)를 경유하여 열교환기(5)로부터 압축기(8)로 진행한다.
종래의 실외유니트에서는, 제1 및 제2 밸브(23a 또는 23c)(23b 또는 23d)는한 쌍의 나사로 독립적으로 고정되어야 했다. 그러므로, 각 실내유니트에 대해 두 개의 밸브를 고정할 때, 네 번의 조작에 따른 두 개의 독립적인 고정지역과 네 개의 독립적인 나사가 필요하다. 이는 복수밸브의 장착이 매우 넓은 전체 장착지역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각각 오직 두 개의 나사(65)만으로 장착되는, 제1 및 제2 밸브((23a, 23c) 및 (23b, 23d))에 대한 단일바닥판(64)만을 제공한다. 따라서, 밸브장착시간이 종래와 비교할 때 절반의 시간만을 필요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두 개의 나사(65)만이 제1 및 제2 밸브((23a, 23c) 및 (23b, 23d))를 각각 장착하는데 필요하므로, 두 개의 밸브((23a, 23c) 및 (23b, 23d))는 크기면에서 직경이 두배로 증가된 종래의 나사보다 작다. 이 때문에, 종래 장착, 특히 두 개 이상의 실내유니트가 연결되는 경우와 비교해 볼 때 많은 지역과 시간이 절약된다.
또한,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매관커넥터(63)의 바닥판(64)은 바닥판을 고정시키기 위해 나사를 수용하는 거의 반원의 커트(66)가 그 대향하는 양 단부에 제공된다. 상기 커트는 반원커트 보다 약간 더 깊으므로 커트에 맞는 나사의 중심은 바닥판의 가장자리 약간 안쪽에 위치한다. 나사가 반원커트에 부착되고 죄여짐에 따라, 냉매관커넥터(63)는 견고하고 안정된 상태로 실외유니트(1)에 설치된다. 이는 나사의 중심이 바닥판(64)의 모서리 안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나사는 커트의 안정된 자리에 위치할 수 있고 기울어지지 않을 것이다.
두 개의 냉매관커넥터(63)가 하우징부재(4)상에 장착될 때, 한 바닥판(64)의한 단부는 다른 바닥판(64)의 한 단부와 짝을 이루어서, 냉매관커넥터(63)의 두 개 바닥판의 두 개 커트(66)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원형 구멍(67)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나사(65)가 두 바닥판(64) 모두를 강하게 조이므로, 두 개의 바닥판(64)의 작을 이룬 끝을 고정하기 위해 오직 하나의 나사만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두 개의 바닥판(64)(또는 두 개의 냉매관커넥터(63) 장착시, 모두 세 개의 나사만이 필요하다. 이는 또한 두 개의 냉매관커넥터(63)를 장착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절약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두 개의 커트가 조합된 단일의 나사식 구멍을 형성한다는 사실은 두 개의 바닥판의 총면적이 종래 바닥판 보다 작음을 의미한다. 이는 하나 이상의 실내유니트(11)가 실외유니트(1)와 연결되는 경우와 같이, 특히 많은 냉매관커넥터(63)가 설치되어야 할 때 유용하다.
이하의 기재는 각각의 바닥판(64)의 대향하는 단부들 상에 형성된 반원형 커트(66)의 특징에 중점을 둔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닥판은 이 형상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즉, 냉매관커넥터(63)의 바닥판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판의 한쪽 단부가 나사를 수용하는 구멍(70)과 바닥판의 반대쪽 단부에 형성된 반원형커트를 갖는 돌출면(69)을 포함하는 형상을 갖는다. 두 개의 냉매관커넥터(63)를 조립할 때, 한 바닥판의 돌출면(69)은 다른 바닥판의 반원형 커트의 주변 위에 포개진다. 따라서, 두 개의 단부 및 이후의 두 개의 바닥판은 하나의 나사를 갖춘 실외유니트(1)의 장착 위치상에 단단히 고정된다.
제2형의 두 개 냉매관커넥터(63)는 또한 세 개의 나사만으로 실외유니트(1)에 장착될 수 있어 종래의 냉매관커넥터에 대한 본 발명의 제1냉매관커넥터와 똑같은 이점을 갖는다. 또한, 나사의 직경이 구멍(70)의 직경보다 작음은 물론이다.
다음은 실외유니트(1) 하우징부재의 측벽의 상부에 위치한 전기커넥커(61)면의 설계에 대해 기술한다. 도 15는 커버로 보호된 전기커넥터(61)를 나타낸다. 커버가 제거되면, 도 21, 도 22에 나타난 바와 같은 커넥터판(81)을 볼 수 있다. 커넥터판(81)의 상부에는 실외유니트(1)의 내부 회로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한 세트의 전기단자(82)가 장착되고, 커넥터판(81)(커넥터(82)밑)의 하부에는 실내유니트(2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또다른 한 세트의 전기단자(83)가 장착된다.
전기단자(82)는, 압축기(8)모터와 열교환기의 팬(6a) 모터를 위해 축전기(85)와 같은 실외유니트(1)의 각종 요소와 연결된다. 커넥터(83)는 전원을 공급하는 코드(86) 및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코드(87)와 연결된다.
상기 코드(86, 87)는, 실외유니트(1)의 측벽에 형성된 리세스(88)에 수용된다. 리세스(88)는 커넥터판(81)의 폭 L 보다 작은 폭 W를 가지므로, 상기 코드(86, 87)는 서로 평행하게 리세스(88)내에서 조밀하게 고정될 것이다.
커넥터판(81)과 리세스(88) 사이에는 코드(86, 87)를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코드고정장치(89)가 장착된다.
도 23 내지 도 27에 상세하게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코드고정장치(89)는, 코드수용부재(90), 코드안정부재(91) 및 코드수용부재(90)와 코드안정부재(91)를 연결하는 가요성의 스트립부재(92)를 갖는다. 이들 부재 모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코드수용부재(90)의 코드를 수용하는 면상에는 코드(86, 87)와 같은 코드, 및 다음과 같이 코드안정부재(91)의 짝을 이루는 표면상에 형성된 것과 유사한 리브(98)와 협력하는 코드를 죄기 위한 몇 개의 리브(94) 사이에 지탱하기 위한 한쌍의 돌출형수용부(93)가 있다. 코드수용부재(90)는 또한 한쌍의 고정 걸고리(95) 및 코드수용부재(90)의 모서리 근처에 형성된 한쌍의 나사식 구멍을 갖는다.
코드안정부재(91)는 그곳에서 수용부(93)를 수용하는 한쌍의 슬릿(97)으로 형성되고, 상술된 바와 같이, 그 짝을 이루는 면상에 코드고정리브(98)를 갖는다. 도 2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드안정부재(91)가 코드수용부재(90)상에 접합될 때, 코드안정부재(91)의 리브(98) 및 코드수용부재(90)의 리브(94)는 그곳에서 가로 방향으로 상쇄된다.
또한, 코드안정부재(91)는 한쌍의 구멍(99)이 갖추어져 있으며, 이는 그곳에서 나사(100)를 수용하는 구멍(96)과 통한다. 두 개의 짝을 이루는 부재(90,91)의 표면 사이에 작은 틈을 유지하기 위해, 두 장치가 서로 결합할 때, 짧은 돌출부(99a)가 구멍(99)의 각각에 대해 동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리브(94, 98)에 의해 조여진 코드는 리브에 의해 흠집을 남기지 않고 위치에 단단히 고정된다.
코드수용부재(90) 및 코드안정부재(91)를 연결하는 스트립부재(92)는 코드수용부재(90)상에서 코드안정부재(91)를 자유롭게 부착 및 분리하는 경우, 즉 수용부(93)가 슬릿(97)으로 미끄러질 때 충분한 길이를 갖고 있다. 도 22 내지 도 2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드안정부재(91)가 코드수용부재(90)상에 장착되지 않을때, 스트립부재(92)는 L자 형상을 하고 있지만, 코드안정부재(91)가 코드수용부재(90)상에 설치될 때는 U자 형상으로 굴절된다. 또한, 코드수용부재(90) 및 코드안정부재(91)의 짝을 이루는 표면이 서로 그 두 장치에서 분리될 때, 코드안정장치(89)는 상기와 같이 설계되고, 또한 이로 인해 도 2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트립부재(92)는 공통평면이고 직교하는 관계로 연장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코드고정장치(89)의 탄력형 장착 걸고리(95)는, 실외유니트(1)의 측벽에 형성된 대응하는 구멍에 쉽게 삽입될 수 있으므로, 코드고정장치(89)가 코드고정장치(89) 및 코드수용부재(90)사이에 코드를 지탱할 때까지, 코드고정장치(89)는 나사 없이 실외유니트(1)에 일시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코드(86 또는 87)가 코드고정장치(89)내에 고정된 후, 상기 장치는 한쌍의 나사(100)에 의해 측벽에 단단히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드안정부재(91)가 스트립부재(92)에 의해 대각선방향으로 초기에 코드수용부재(90)로부터 상쇄(offset)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코드가 그 한 측면으로부터 코드고정장치에 삽입되어야 하는 종래 코드홀더와 대조적으로, 코드가 코드안정부재(91)에 의해 번거롭지 않게 위로부터 코드수용부재(90)상에 설치될 수 있다는 점에서 코드(86, 87)를 장착할 때 편리하다. 또한 코드수용부재(90) 및 코드안정부재(91)가 스트립(92)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그리고 상기 부재들이 개방될 때와 같은 면에서 90도로 상쇄될 수 있기 때문에, 코드안정부재(91)는 그것이 다음 코드고정장치(89)에 장착된 코드와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연장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코드고정장치가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근접하게 장착됐을때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따라, 복수의 코드고정장치(89)를 실외유니트(1)상에 측벽으로 가깝게 설치할 수 있어 전기적 연결을 위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실외유니트(1)의 두께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드고정장치(89)의 장점은, 코드안정부재(91)가 경첩으로 코드수용부재(90)에 연결되는 종래와 비교해 볼 때 분명해진다. 즉, 종래의 코드고정장치(89)는 훨씬 큰 공간을 필요로 한다. 그 이유는, 개방시 인접한 코드고정장치(89)와의 방해를 피하기 위해 인접한 장치와 공간적으로 충분히 이격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종래의 코드고정장치는 얇은 실외유니트(1)에 많은 코드를 지탱하기 위해서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코드고정장치(89)는 많은 코드를 얇은 실외유니트(1)상에 쉽고 안전하게 장착 할 수 있게 한다.
리세스(88)의 폭 W가 커넥터판(81)의 폭 L 보다 작다는 사실은, 복수의 코드고정장치(89)가 장치들 사이의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옆을 향해 배열되는 경우, 그 코드 중 하나가, 예를 들면 전원공급코드(86A)가 훨씬 왼쪽에 있는 코드고정장치(89A)를 지나야 한다면 90도로 두 번 굴곡되어야 하는 단점을 해소시킬 수 있음을 말한다.
그러나, 두꺼운 전원코드는 일반적으로 다른 코드보다 견고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전원코드를 굽힌다는 것은 쉽지 않다. 이는 한 전원코드가 제어라인, 즉 훨씬 왼쪽에 있는 코드고정장치(89A)를 포함하는 다른 코드(87)와 떨어져 설치되는 것이바람직하다는 사실에 상반된다.
이 상반되는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훨씬 왼쪽에 있는 코드고정장치(89A)는 도 22에 나타낸 같이, 다음 장치에 대해 비스듬한 위치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는 코드(86A)가 코드를 약간 굽힘으로써 보다 자연스러운 방향으로 향할 수 있게 허용한다. 이에 따라 두꺼운 전원코드일지라도 커넥터판(81)의 전기단자(29b)와 용이하게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평행한 코드는 밀집한 커넥터판(81)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도 있으며, 상기 판의 리세스(88)는 일부 코드고정장치(89)로 아주 약간 향하게 함으로써 복 W 보다 큰 폭 L을 갖는다.
코드고정장치(89)에 삽입된 각종 코드(86, 87)는 각 장치(89)의 리브(94, 98)와 함께 코드수용부재(90) 및 코드안정부재(91) 사이의 위치에서 단단하게 고정된다.
코드수용부재(90) 및 코드안정부재(91)의 각 리브(94, 98)는 이들 사이에 약간의 공간이 있으므로, 코드안정부재(91)가 코드(86, 87)를 지탱하기 위해 코드수용부재(90)와 결합되는 경우라 해도, 코드(86, 87)의 전선은 코드고정장치(89)내에서 손상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보다 상세하게는 많은 변형, 변경 및 변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상술한 설명과 도면에 나타낸 형태는 제한적인 의미가 아니라 실시예로써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유니트의 측면에 형성된 흡기구와 전면에 형성된 배기구를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유니트의 사시도.
도 2는, 제1도의 실외유니트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실외유니트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실외유니트의 부분정면도.
도 5는, 도 1의 열교환기의 정면 단부에 칸막이판을 장착한 열교환기의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열교환기의 정면 단부에 칸막이판을 장착한 열교환기의 단면도.
도 7은, 도 1의 공기조화기의 냉매흐름도.
도 8은, 도 1의 실외유니트 구성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실외유니트의 전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실외유니트의 전면벽에 장방형의 배기구가 형성된 가드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실외유니트의 전면벽에 설치된 장방형의 배기구와이에 따른 가드의 배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실외유니트의 전면벽에 장방형의 배기구가 설치되는 가드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실외유니트의 전면벽에 배기구를 설치한 도 11에 도시된 방향에서 90도 회전시킨 가드의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전면벽에 육각형의 배기구를 갖는 실외유니트의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전면벽에 배기구를 장착한 가드의 부분 횡단면도.
도 15는, 실외유니트의 다른 측면에 배선, 유체의 흐름 및 기계적인 연결 커넥터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외유니트의 또 다른 전체 사시도.
도 16은, 두 개의 실내유니트가 하나의 실외유니트에 연결된 경우의 본 발명의 실외유니트의 냉매흐름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외유니트의 다른 측면에 설치된 냉매관 커넥터의 횡단면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냉매 커넥터의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라 다른 측면에 2세트의 냉매관 커넥터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에 따라 냉매 커넥터의 또 다른 배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1은, 커넥터를 입증하기 위해 커버를 제거한 실외유니트의 다른 측면에 설치된 전기 커넥터의 배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정면도.
도 23은, 코드고정장치의 코드수용장치에서 분리된 코드고정부재를 갖는, 도 22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 연결된 전기코드를 보호하는 코드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다수의 코드고정장치의 배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5는, 코드고정부재와 코드수용부재가 연결되는 경우, 이들 리브의 오프셋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측벽에 전기적 연결용 코드고정장치와 커넥터가 연결되는 경우, 90도로 두 번 뒤틀린 코드를 나타내는 커넥터판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의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외유니트, 5 : 열교환기
8 : 압축기, 10 : 칸막이판
11 : 배기구, 20 : 실내유니트
31c : 평탄부, 63 : 냉매관 커넥터
81 : 커넥터판, 82 : 전기단자
89 : 코드고정장치, 90 : 코드수용부재
91 : 코드고정부재

Claims (4)

  1. 각각 압축기와, 나사를 위한 구멍이 형성된 주변프레임을 구비하는 열교환기, 및 팽창장치를 가지는 실내유니트 및 실외유니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실내유니트와 실외유니트가 서로 냉매관으로 연결되어 냉동싸이클을 형성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유니트에 있어서,
    바닥판 ;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각각 형성된, 측벽흡기구를 구비한 측벽, 배면흡기구를 갖는 배면벽, 및 배기구를 갖는 전면벽을 포함하는 하우징 ;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팩을 수용하는 송풍실과, 상기 압축기를 수용하는 기기실로 분할하기 위해 바닥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배면벽의 배면흡기구 상으로 열교환기가 연장되어 있을 때 상기 열교환기의 구멍과 일치하는 구멍을 구비하고 있는 주변프레임을 가지고 있는 칸막이판으로 이루어지고 ;
    상기 열교환기는 위에서 보았을 때 L자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열교환기를 바닥판에 수직으로 장착하면, 일부분은 측벽에 형성된 측벽흡기구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 부분과 연결부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다른 부분은 배면에 형성된 배면흡기구 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
    상기 칸막이판은, 상기 열교환기 주변프레임의 정면단부에 상기 칸막이판 주변프레임을 상기 열교환기의 후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로 고정하므로서, 상기 열교환기의 앞에 배치되고 ;
    상기 측벽흡기구는, 수평 슬릿으로 이루어진 전,후방 수직열 및 상기 두열을 분리하는 중간 스트립을 가지며, 상기 전방 수직열은 열교환기의 일부분과 면하고, 상기 중간 스트립은 상기 열교환기의 연결부와 면하며 ;
    상기 하우징의 상기 천정면에는, 상기 천정면을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측벽흡기구의 전,후방 수직열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전,후방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중간스트립과 소통하도록 되어 있는 상기 돌출부들 사이에는 상기 중간스트립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평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흡기구에서 슬릿의 전방 수직열의 폭이 후방 수직열의 폭보다 크고, 상기 전방 수직열의 폭은 상기 열교환기의 일부분의 길이와 대응하며,
    상기 전,후방 돌출부의 폭은 각각 상기 측벽흡기구의 전,후방 수직열의 폭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유니트.
  3. 각각 압축기와, 열교환기, 및 팽창장치를 가지는 실내유니트 및 실외유니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실내유니트와 실외유니트가 서로 냉매관으로 연결되어 냉동싸이클을 형성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유니트에 있어서,
    바닥판 ;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각각 형성된 측벽흡기구를 구비한 측벽, 배면흡기구를 갖는 배면벽, 및 배기구를 갖는 전면벽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팬을 수용하는 송풍실과, 상기 압축기를 수용하는 기기실로 분할하기 위해 바닥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칸막이수단으로 이루어지고 ;
    상기 열교환기는 위에서 보았을 때 L자 형상을 하고 있고, 상기 열교환기를 바닥판에 수직으로 장착하면, 일부분은 측벽에 형성된 측벽흡기구 상으로 연장되며, 다른 부분은 배면에 형성된 배면흡기구 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부분들은 서로 수직을 이루고 있음과 동시에 그 사이에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
    상기 측벽흡기구는 수평 슬릿으로 이루어진 전,후방 수직열 및 상기 두열을 분리하는 중간 스트립을 가지며, 상기 전방 수직열은 열교환기의 일부분과 면하고, 상기 중간 스트립은 상기 열교환기의 연결부와 면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천정면에는, 상기 천정면을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측벽흡기구의 전,후방 수직열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전,후방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중간스트립과 소통하도록 되어있는 상기 돌출부들 사이에는 상기 중간스트립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평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유니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흡기구에서 슬릿의 전방 수직열의 폭이 후방 수직열의 폭보다 크고, 상기 전방 수직열의 폭은 상기 열교환기의 일부분의 길이와 대응하며,
    상기 전,후방 돌출부의 폭은 각각 상기 측벽흡기구의 전,후방 수직열의 폭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유니트.
KR1019960004118A 1995-02-17 1996-02-17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외유니트 KR100388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208895A JPH08226673A (ja) 1995-02-17 1995-02-17 空気調和機
JP95-52088 1995-02-17
JP5523795A JP3043260B2 (ja) 1995-02-21 1995-02-21 空気調和機
JP95-55237 1995-02-21
JP8446895A JP3059909B2 (ja) 1995-03-17 1995-03-17 空気調和機
JP95-84468 1995-03-17
JP7107132A JPH08285329A (ja) 1995-04-07 1995-04-07 空気調和機
JP95-107132 1995-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911A KR960031911A (ko) 1996-09-17
KR100388056B1 true KR100388056B1 (ko) 2003-09-13

Family

ID=27462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4118A KR100388056B1 (ko) 1995-02-17 1996-02-17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외유니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775119A (ko)
EP (1) EP0727621B1 (ko)
KR (1) KR100388056B1 (ko)
CN (1) CN1105882C (ko)
BR (1) BR9600714A (ko)
CA (1) CA2163495C (ko)
DE (1) DE69528517T2 (ko)
MY (1) MY121556A (ko)
TW (1) TW38497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64262A1 (en) * 1997-02-12 2010-09-29 Sanyo Electric Co Outdoor unit for use with a separate type airconditioner
JP3549357B2 (ja) * 1997-03-10 2004-08-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分離型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US5971505A (en) * 1998-08-26 1999-10-26 Carrier Corporation Snap-in grille for an air conditioner housing
US6244063B1 (en) * 1999-10-12 2001-06-12 Manitowoc Foodservice Group Inc. Refrigeration wall system
US6279339B1 (en) * 2000-08-17 2001-08-28 Carrier Corporation Snap-in plastic grille for an air conditioner housing
JP2006162094A (ja) * 2004-12-02 2006-06-22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3992065B2 (ja) * 2006-02-01 2007-10-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装品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ES2341416B1 (es) * 2008-06-24 2011-05-23 Grassoler, S.A. Posavasos termorregulable aplicable a sofas y similares.
BRMU8802484Y1 (pt) * 2008-11-03 2016-05-03 Heatcraft Do Brasil Ltda disposição construtiva introduzida em unidade condensadora com fluxo bidirecional
US20110312264A1 (en) * 2009-03-12 2011-12-22 Lg Electronic, Inc.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US20110291533A1 (en) * 2010-05-25 2011-12-01 Mammoth, Inc. Cabinet for an air handling system
CN104214922A (zh) * 2013-05-31 2014-12-17 苏州昆拓热控系统股份有限公司 机柜空气调节装置及其机柜空气调节装置壳体
JP6066863B2 (ja) * 2013-08-06 2017-01-25 三菱電機株式会社 室外機及び空気調和装置
KR102170317B1 (ko) * 2014-01-14 2020-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6238851B2 (ja) * 2014-07-30 2017-11-29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USD785151S1 (en) * 2014-08-13 2017-04-25 Atm Beyaz Esya Parcalari Sanayi Ve Ticaret Limited Sirketi Condenser
USD780900S1 (en) * 2014-12-12 2017-03-07 Hy Cite Enterprises, Llc Air filter
CN104930605A (zh) * 2015-06-24 2015-09-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网罩和空调器
US9702638B2 (en) * 2015-07-17 2017-07-11 Spx Flow Technology Systems, Inc. Frame for a heat exchanger
CN105283044B (zh) * 2015-10-28 2017-07-07 何托 一种散热除尘效果好的通信机箱
JP6358381B2 (ja) * 2016-10-13 2018-07-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
CN114623495B (zh) * 2018-03-07 2024-04-05 Lg电子株式会社 空调的室内机
KR20190106682A (ko) 2018-03-07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9357319A (zh) * 2018-10-26 2019-02-19 芦陈军 分离式低噪空气调节净化循环系统
CN114517963B (zh) * 2020-11-20 2023-06-02 丁伟 一种智能资源调配的空调控制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4795A (en) * 1970-03-31 1973-02-06 Tappan Co Outdoor refrigerant apparatus
JPS62223542A (ja) * 1986-03-25 1987-10-01 Toshiba Corp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ツト
IT1231069B (it) * 1989-09-25 1991-11-12 Delchi Carrier Spa Unita' di condizionamen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21556A (en) 2006-02-28
KR960031911A (ko) 1996-09-17
CN1142591A (zh) 1997-02-12
CN1105882C (zh) 2003-04-16
CA2163495C (en) 2000-04-18
DE69528517T2 (de) 2003-06-12
CA2163495A1 (en) 1996-08-18
DE69528517D1 (de) 2002-11-14
TW384978U (en) 2000-03-11
BR9600714A (pt) 1997-12-30
EP0727621B1 (en) 2002-10-09
US5775119A (en) 1998-07-07
EP0727621A2 (en) 1996-08-21
EP0727621A3 (en) 1997-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8056B1 (ko)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외유니트
EP2040008B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589027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US20090137197A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8826689B2 (en) Air conditioner and outdoor unit
KR100271458B1 (ko) 압축기장착장치
JP2003074904A (ja) 電装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CA2279484C (en) Snap-in grille for an air conditioner housing
WO2007012156A1 (en) Side panel arrangement for an evaporator unit
KR100264870B1 (ko) 에어컨용 실내 그릴 장착체
KR100322221B1 (ko) 커패시터덮개
JPH09112966A (ja)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機の室外機並びに室外機の脚
KR19990082436A (ko) 복합 룸 및 분리 에어컨
KR19990082441A (ko) 에어컨용 모터 장착부
JPH08285329A (ja) 空気調和機
CN219222799U (zh) 机壳及空调器
CN214619844U (zh) 空调室外机
CN218864360U (zh) 除湿机
KR0115223Y1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냉매과 연결장치
KR100240257B1 (ko) 에어 컨디셔너의 실내기
KR200182197Y1 (ko) 멀티 에어콘 실외기의 압축기 및 응축기 배치구조
KR100416704B1 (ko) 직출형/덕트형 겸용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KR200221818Y1 (ko) 공기조화기
KR200154607Y1 (ko) 에어컨용 실내기의 물받이 고정 구조
KR200228655Y1 (ko)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