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7787B1 - 차량의 급가속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급가속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7787B1
KR100387787B1 KR10-2000-0076544A KR20000076544A KR100387787B1 KR 100387787 B1 KR100387787 B1 KR 100387787B1 KR 20000076544 A KR20000076544 A KR 20000076544A KR 100387787 B1 KR100387787 B1 KR 100387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rake
cable
rapid acceleration
tension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7903A (ko
Inventor
배성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6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7787B1/ko
Publication of KR20020047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7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7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0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mechanically
    • B60T11/046Using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급가속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력장치(1)와 브레이크실린더(2) 사이에 자세감지수단이 장착되고, 핸드브레이크케이블(3)에 케이블장력조절수단이 설치되며, 이 케이블장력조절수단이 상기 자세감지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급가속 방지장치{A Rapid Acceleration Protection Devic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운행시 차체의 경사도에 따라 브레이크 제동력이 가변되도록 하므로써 내리막길 급가속시 제동력을 높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차량의 급가속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제동장치는 주행중에는 감속 또는 순간정지 시키고 주/정차시에는 정차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대개 디스크나 패드를 이용해서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어 제동작용을 발휘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제동장치에는 운전자가 주행시 수시로 조작하게 되는 풋브레이크 및 주/정차시 사용하게 되는 핸드브레이크가 있는데, 상기 풋브레이크는 바퀴를 직접 제동하는 유압식 휠브레이크이고 핸드브레이크는 파스칼의 원리를 이용하여 유압을 브레이크 슈우에 작용시켜 드럼을 압착시키므로써 제동력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내리막길을 주행중인 경우에는 주행속도에 따라 풋브레이크를 조작하여 차속을 조절해야 하는데, 이 경우 운전자가 지속적으로 풋브레이크를 밟아 속도를 제어해야 하므로 예를 들어 경사가 심한 내리막길을 장시간 운전할 경우에는 다리에 무리가 가게되어 피로감을 가중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급가속 방지장치가 다양하게 제시되었는바, 그 대표적인 예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즉, 경사각감지부(50)와 차속감지부(60) 및, 이들 경사각감지부(50)와 차속감지부(60)의 감지 결과를 입력받아 브레이크구동모우터(7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0)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구동모우터(70)는 답력에 상응하는 구동력을 푸시로드(71)에 가하여 마스터실린더(72) 내의 피스톤을 가압하도록 되어 있고, 이에 따라 오일이 휠실린더(73)로 압송되어 휠실린더(73)내에서 브레이크슈우(74)를 드럼에 압착시켜 제동작용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면 경사각감지부(50)에서 도로의 기울기를 감지하고 차속감지부(60)에서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지하게 되는데, 이 때 제어부(80)는 상기 경사각감지부(50)의 감지결과에 따라 현재 차량이 일정 기울기 이상의 내리막길을 주행중인가를 판단하게 되고, 내리막길을 주행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속감지부(60)의 감지결과를 입력받아 차속을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현재 차속이 기준속도 이상인 경우 브레이크구동모우터(70)를 구동시켜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차속을 감속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같은 구조로 된 종래의 급가속 방지장치는 운전자의 의지와 관계없이 동작되도록 되어 있어 예를 들어 운전자가 내리막길에서 앞차를 추월하거나 주행선을 변경하고자 할 때에 급가속 방지장치가 작동된다면 가속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되므로 대형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브레이크구동모우터를 추가로 장착하여야 하므로 원가가 상승될 뿐 아니라 차속감지부와 경사각감지부의 입력신호에 따라 장치가 동작되므로 정해진 범위 내에서만 작동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차량 주행시 노면의 경사각에 따라 브레이크의 제동력을 자동으로 증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주행조건에 따라 제동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안전하게 운행을 할 수 있도록 된 차량 급가속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력장치와 브레이크실린더 사이에 자세감지수단이 장착되고, 핸드브레이크케이블에 케이블장력조절수단이 설치되며, 이 케이블장력조절수단이 상기 자세감지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급가속 방지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써 풋브레이크를 이용한 제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급가속 방지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써 핸드브레이크를 이용한 제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감지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감지기가 차량 내리막길 주행시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종래 사용예에 따른 급가속 방지장치의 블록도,
도 6은 종래 사용예에 따른 급가속 방지장치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배력장치, 2 --- 브레이크실린더,
3 --- 핸드브레이크케이블, 4 --- 실린더몸체,
5 --- 리턴스프링, 6 --- 웨이트판넬,
7 --- 모우터, 9 --- 요홈,
10 --- 이동부, 11 --- 브레이크페달,
12 --- 휠실린더, 14 --- 작동릴레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급가속 방지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써 풋브레이크를 이용한 제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급가속 방지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써 핸드브레이크를 이용한 제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로써,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력장치(1)와 브레이크실린더(2) 사이에 자세감지수단이 장착되고 핸드브레이크케이블(3)의 소정위치에 케이블장력조절수단이 설치되는 한편, 이 케이블장력조절수단은 상기 자세감지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세감지수단은 밀폐된 실린더몸체(4)와, 이 실린더몸체(4)내에 리턴스프링(5)을 매개로 실린더몸체(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웨이트판넬(6)을 갖추고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장력조절수단은 모우터(7)와, 이 모우터(7)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도시되지 않음) 및, 상부에 요홈(9)을 갖추고서 상기 기어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승강되는 푸시로드(10)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11)을 밟으면 배력장치(1)를 통해 브레이크실린더(2)로 유압이 전달되고 이 유압이 휠실린더(12)를 통해 디스크(도시되지 않음)를 압착시켜 제동력을 발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자세감지수단은 차체의 경사도에 따라 실린더몸체(4)내에서 이동되면서 브레이크실린더(2)로 보내지는 압력을 증압 또는 감압 하므로써 브레이크 답력을 가변시키게 된다.
즉, 차량이 내리막길을 주행할 때에는 자세감지수단을 이루는 웨이트판넬(6)이 수평상태(a)에서 경사진상태(b) 까지 이동하여 브레이크실린더(2)로 보내는 압력을 증가시키게 되는데, 이는 상기 웨이트판넬(6)이 브레이크파이프(13)내의 유압을 밀어 브레이크실린더(2)로 보내는 압력을 증가 시키기 때문이다.
반면에 차체가 수평상태로 돌아오면 리턴스프링(5)이 자체 복원력으로 원래의 위치인 수평상태(a)로 되돌아와 평상시의 브레이크 답력을 유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차량이 오르막길에서는 브레이크실린더(2)로 보내는 압력이 낮아져 브레이크 답력을 감소시키게 되는데, 이 때에는 브레이크페달(11)을 조금만 밟아도 수평상태에서 보다 상대적으로 큰 제동력을 얻게 된다.
한편, 자세감지수단에서 차량의 경사각도에 따른 제어신호가 작동릴레이(14)로 인가되면 브레이크케이블(3)이 당겨져 제동력을 발휘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작동릴레이(14)에서 보내지는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되는 모우터(7)에 의해 푸시로드(10)가 상승하면서 브레이크케이블(3)을 밀어 주기 때문이다.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경사각도에 따른 감지신호가 예를 들어 내리막길 30도라 했을 때 작동릴레이(14)의 신호에 따라 모우터(7)가 작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동부(10)가 (a)에서 (b)로 브레이크케이블(3)을 밀어 올리게 됨에 따라 후륜에 부착된 휠실린더를 당겨 제동을 시키게 되는데, 이는 핸드브레이크(15)에 의해 이에 가까운 쪽의 브레이크케이블은 거의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대적으로 유동 가능한 휠실린더와 가까운 쪽의 브레이크케이블이 당겨짐으로써 동작되게 되는 것이다.
이 역시 자세감지수단에서 신호가 해제되면 모우터(7)의 동작을 정지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리턴스프링(8)의 복원력으로 원위치되게 된다.
한편, 상기 웨이트판넬(6)은 본 발명에 있어서 유압을 증압 및 감소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그 무게를 적절히 조절하여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상기 작동릴레이(14)는 내리막길에서만 작동되도록 하여야 하며 마찬가지로 핸드브레이크장치에만 국한시켜 사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주행시 노면의 경사각에 따라 브레이크의 제동력을 자동으로 증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주행조건에 따라 제동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안전하게 운행을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1. 배력장치(1)와 브레이크실린더(2) 사이에 자세감지수단이 장착되고, 핸드브레이크케이블(3)에 케이블장력조절수단이 설치되며, 이 케이블장력조절수단이 상기 자세감지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도록 된 차량의 급가속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감지수단이 실린더몸체(4)와, 이 실린더몸체(4)내에서 리턴스프링(5)을 매개로 실린더몸체(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웨이트판넬(6)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급가속 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장력조절수단이, 모우터(7)와, 이 모우터(7)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 및, 상부에 요홈(9)을 갖추고서 수직 방향으로 승강되는 푸시로드(10)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급가속 방지장치
KR10-2000-0076544A 2000-12-14 2000-12-14 차량의 급가속 방지장치 KR100387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544A KR100387787B1 (ko) 2000-12-14 2000-12-14 차량의 급가속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544A KR100387787B1 (ko) 2000-12-14 2000-12-14 차량의 급가속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903A KR20020047903A (ko) 2002-06-22
KR100387787B1 true KR100387787B1 (ko) 2003-06-18

Family

ID=27681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544A KR100387787B1 (ko) 2000-12-14 2000-12-14 차량의 급가속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77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0844A (en) * 1981-02-02 1982-08-13 Mazda Motor Corp Side brake control system for automobile
KR19980035782A (ko) * 1996-11-15 1998-08-05 박병재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9980037693A (ko) * 1996-11-22 1998-08-05 박병재 내리막 주행시 차속 제어장치
KR19990017213A (ko) * 1997-08-22 1999-03-15 정몽규 공기 브레이크
KR19990040988A (ko) * 1997-11-20 1999-06-15 양재신 자동차의 내리막길 급가속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0844A (en) * 1981-02-02 1982-08-13 Mazda Motor Corp Side brake control system for automobile
KR19980035782A (ko) * 1996-11-15 1998-08-05 박병재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9980037693A (ko) * 1996-11-22 1998-08-05 박병재 내리막 주행시 차속 제어장치
KR19990017213A (ko) * 1997-08-22 1999-03-15 정몽규 공기 브레이크
KR19990040988A (ko) * 1997-11-20 1999-06-15 양재신 자동차의 내리막길 급가속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903A (ko) 200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3661B2 (ja) ペダル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自動車
JP3837195B2 (ja) パッドクリアランス調整機構を備えた電動ブレーキとそのパッドクリアランス調整法
KR100387787B1 (ko) 차량의 급가속 방지장치
KR100522731B1 (ko) 속도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의 자동 제동장치
KR100356854B1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KR100224391B1 (ko) 안전 브레이크 장치
KR100657579B1 (ko) 차량용 주행제어 장치
WO1997033781A3 (de) Vorrichtung zum Bremsen
KR19990040988A (ko) 자동차의 내리막길 급가속 방지 장치
KR100212438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보조장치
KR200402569Y1 (ko) 차량의 보조 제동장치
KR0173764B1 (ko)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자동작동장치
KR100233579B1 (ko) 급작 브레이크시 추돌방지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290400B1 (ko) 브레이크시스템의제동력조절장치
KR100369165B1 (ko) 에이비에스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148261Y1 (ko) 전기 자동차의 제동 장치
KR100211216B1 (ko) 노면상태에 따라 브레이크 작동유압의 최고치가 변화되는 브레이크 시스템
KR100387788B1 (ko) 자동차 후면 추돌에 대응한 브레이크 오일압 조절 장치
KR0117692B1 (ko) 장애물과의 거리 및 차속에 따른 자동제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28089B1 (ko) 안전 브레이크 장치
NL1001680C2 (en) Refuse-collecting vehicle - has safety device detecting protrusion of loading mechanism or dust bin in it
KR19990070755A (ko) 차량의 주차 제동력 경보장치 및 제어방법
KR0112158Y1 (ko) 자동차의 전기 구동식 배력 제동 장치
KR0156873B1 (ko) 자동차의 안전 브레이크장치
KR20030018594A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