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7111B1 - 전력 저감 회로 - Google Patents

전력 저감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7111B1
KR100387111B1 KR10-2001-7002943A KR20017002943A KR100387111B1 KR 100387111 B1 KR100387111 B1 KR 100387111B1 KR 20017002943 A KR20017002943 A KR 20017002943A KR 100387111 B1 KR100387111 B1 KR 100387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wer
power supply
circuit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2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2195A (ko
Inventor
겐이치 스즈키
소노다야스히로
스즈키에레미야
Original Assignee
겐이치 스즈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겐이치 스즈키 filed Critical 겐이치 스즈키
Publication of KR20010082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2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1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5Capacitor coupled rectif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저감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 전력 저감 회로는 교류 전원(6)에 커패시터(1)를 접속하여, 이 커패시터를 흐르는 진상(進相) 전류 성분을 이용하여 직류 전원(10)을 만들어 대기 시의 전원으로 한다. 적외광 커맨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커패시터와 병렬로 별도의 커패시터(3)를 접속하여 직류 전원의 전류 출력 능력을 증강하여, 교류 스위칭 소자(4)를 온상태로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기기의 대기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 저감 회로 {POWER SAVING CIRCUIT}
전자기기를 상시 작동 가능하게 대기시켜 놓기 위해서는, 그를 위한 전력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적외선 리모트 컨트롤 기기는 그 수광부를 액티브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전력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전자기기의 대기 전력은 트랜스 또는 스위칭 레귤레이터(switching regulator)에 의해 얻어지고 있었다.
이것 때문에 많은 전자기기가 그 대기 기간 동안, 예를 들면 2w에서 35w 정도의 전력을 소비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대기 전력을 저감시키는 전력 저감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외부 접속식 전력 저감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전력 저감 회로의 주요부의 병용 가능한 변경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내장식 전력 저감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의 주요부의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의 주요부의 회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의 주요부의 회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의 주요부의 회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의 주요부의 회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의 주요부의 회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의 주요부의 회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의 주요부의 회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24 및 도 25는 도 23의 실시예의 변경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의 주요부의 회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의 주요부의 회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의 주요부의 회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의 주요부의 회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전자기기의 대기 전력을 효과적으로 저감하여, 예를 들면 2mw에서 40mw 정도의 전력 저감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전력 저감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전력 저감 회로를 유닛으로서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교류 전원에 커패시터를 접속하여, 이 커패시터와 교류 전원과의 사이를 이동하는 전하로부터 직류 전원을 만들어, 이 직류 전원으로부터 전자 회로의 대기 전력을 얻는 회로 구성을 구비한 전력 저감 회로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패시터를 흐르는 진상(進相)전류성분을 대기 전력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과전압 도래 시의 보호 효과도 가진다.
상기 전력 저감 회로는 전력 저감 유닛으로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유닛은 전자기기에 내장되는 모듈 타입 또는 전자기기에 외부 접속하는 어댑터 타입이 될 수도 있다.
또, 적외광 커맨드에 의해 제어하는 경우 등에는 상기 커패시터와 병렬로 별도의 커패시터를 접속하여 직류 전원의 전류 출력 능력을 보강하여, 이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으로 교류 스위칭 소자를 온으로 하는 회로 구성으로해도 된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사이에서 같은 요소는 같은 참조 번호를 붙여, 설명의 이해를 용이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C1)를 나타낸다. 이 전력 저감 회로(C1)는 교류 전원(6)과, 작동 시에 그 공급을 받는 부하로서의 전자기기(22)와의 사이에 접속되는 어댑터 유닛으로 되어 있다.
전력 저감 회로(C1)는 대기 모드 및 작동 모드의 전환 선택을 행하는 스위치부(C11)와, 이 스위치부(C1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C12)로 이루어진다.
먼저 전원부(C12)의 회로 구성을 설명한다.
전원부(C12)는 교류 전원(6)의 한 쪽에 커패시터(1)의 한 쪽 단자를 접속하고, 이 커패시터(1)의 다른 쪽의 단자를 정류 브리지(7)의 교류 측 한 쪽 단자에 접속하며, 이 정류 브리지(7)의 교류 측 다른 쪽 단자를 교류 전원(6)의 다른 쪽에 접속한 구성의 회로와, 정류 브리지(7)의 직류 측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이 경우, 어스(5))와의 사이에 제너 다이오드(8) 및 별도의 커패시터(9)를 병렬로 접속한 구성의 회로와, 다른 커패시터(3)와 그 도통 스위치로 되는 포토 트라이악(triac)(2)을 직렬로 접속하여 그것을 커패시터(1)에 병렬로 접속한 구성의 회로로 이루어진다.
다음에 스위치부(C11)의 회로 구성을 설명한다.
스위치부(C11)는 외부에서의 적외선 신호를 받는 포토 다이오드(l1)를 구비한 적외선 수광부로서의 신호 발생기(12)와, 이 신호 발생기(12)로부터의 교류 전기신호(13)를 처리하여 직류 신호(15)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l4)를 가지는 온오프 제어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14)로부터의 직류 신호(15)를 받아 온작동하는 한 쌍의 스위치로서의 트랜지스터(16, 17)와, 한 쪽 트랜지스터(16)의 온작동 시에 발광하여 전원부(C12)에 설치된 포토 트라이악(2)을 온으로 하는 LED(발광다이오드)(2a)와, 다른 쪽의 트랜지스터(17)의 온작동에 의해 부하(22)에의 교류 전원 공급회로를 단속하는 스위칭 소자로서의 전자 릴레이(4)를 가지는 온오프 작동부로 이루어진다. 18, 19는 트랜지스터(l6, 17)의 베이스 저항, 20은 LED(2a)의 전류 제한 저항, 21은 릴레이(4)의 여자 코일이다.
다음에 전력 저감 회로(C1)의 동작을 설명한다.
교류 전원(6)의 각 극과 커패시터(l)가 대응하는 극판과의 사이를 전하가 이동하여 교류 전류가 생긴다. 이 교류 전류는 교류 전원(6)과 커패시터(1)와의 사이를 흐를 때에 정류브리지(7)에 의해서 정류된다. 이 정류 작용에 의해, 제너 다이오드(8)의 제너 전압에 대응한 양의 전하가 커패시터(9)에 충전되어, 스위치부(C11)를 위한 직류 전원(10)으로서 기능한다.
포토 다이오드(11)가 교류 신호로서의 적외선 신호를 수광하면 신호 발생기(12)가 교류 전기신호(13)를 발생하고, 이 교류 전기신호(13)가 신호 처리부(14)로 입력된다.
또, 신호 발생기(12)는 포토 다이오드(1l)에 입사한 적외광의 신호 성분 가운데 빠른 주파수로 단속하는 변조광을 선택적으로 증폭하는 대역증폭기이며, 변조광에 의해서 변조된 적외광의 커맨드를 신호(13)로서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14)는 교류 전기신호(13)를 신호 처리하여 직류 신호(15)를 출력한다. 이 직류 신호(15)가 한 쌍의 트랜지스터(16, 17)의 각 베이스에 공급되어, 이들 트랜지스터(16, 17)를 온시킨다.
트랜지스터(16)가 직류 신호(15)에 의해서 온이 되면, LED(2a)가 발광하여 포토 트라이악(2)을 온시킨다. 포토 트라이악(2)이 온되면, 이 포토 트라이악(2)과 커패시터(3)를 통과하는 교류 전류가 교류 전원(6)으로부터 흐르고, 이 교류 전류도 브리지(7)로 공급된다. 이 때문에 직류 전원(10)의 전류 출력 능력이 보강되어, LED(2a)의 발광 작용과 제어 코일(21)의 여자 작용이 적절히 유지된다. 즉,직류 전원(10)으로부터 LED(2a)와 코일(21)로 필요한 전류가 계속하여 흐른다.
릴레이(4)가 온이 되면, 교류 전원(6)의 교류 전압이 전자기기(22)로 공급되어 전자기기(22)를 대기 상태로 둔다. 이 전자기기(22)는 포토 다이오드(2a)를 구비한 적외선 신호 수광 처리부를 내장하고 있어서 적외선 신호의 온 커맨드를 수광했을 때에, 대기 상태로부터 동작 상태로 이행된다.
전력 저감 회로(C1)의 포토 다이오드(11)가 오프 커맨드를 수광하면, 스위치부(C11)의 트랜지스터(16, 17), LED(2a), 및 릴레이(4)가 상기와 역의 오프 동작을 행하고, 전원부(C12)의 포토 트라이악(2)도 오프가 되어 회로(C1)가 대기 모드에 되돌아간다.
릴레이(4)가 오프 동작한 전력 저감 상태에서는 전자기기(22)로 교류 전원(6)이 공급되지 않고, 또한 커패시터(1, 3), 포토 트라이악(2), LED(2a) 및 릴레이 코일(21)도 전력을 소비하지 않기 때문에, 전력 저감 회로(C1)의 대기 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은 전술한 소자(1, 3, 2, 2a, 21)를 제외하는 회로부(주로 제너 다이오드(8) 및 직류 전원(10)의 후단회로(12, 14)에서의 소비분만큼이 되고, 계측에 의하면, 이것은 2mw ∼ 40mw로 미소하다.
또 커패시터를 통과하는 교류 전류는 커패시터의 단자 전압에 비교하여 위상이 90°앞서 가기 때문에, 전력이 소비되지 않는다.
또한 도 1의 전력 저감 회로(Cl)를 전자기기(22)의 내부에 내장하더라도 좋고, 그 경우 포토 다이오드(22a)에 포토 다이오드(11)의 기능을 겸하도록 함으로써 포토 다이오드의 개수를 저감할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 전원부(Cl2)에 설치한 스위치 소자(포토 트라이악(2))를 전자 릴레이(23)로서 구성한 변경예를 나타낸다.
전자 릴레이(23)의 여자 코일(24)은 트랜지스터(25)에 베이스 저항(24a)을 통해 공급되는 직류 신호(15)에 의해 온이 된다.
도 3은 상기 스위치부(C11)의 스위칭 소자(전자 릴레이)(4)를 트라이악(26), 포토 트라이악(27) 및 저항(28, 29, 30)의 조합에 의하여 구성한 변경예를 나타낸다.
포토 트라이악(27) 발광측 LED(27a)는 트랜지스터(32)가 저항(31)을 통해 입력된 직류 신호(15)에 의해 온작동하면 발광하여, 포토 트라이악(27)를 온으로 한다. 33은 직류 전원(10)으로부터의 전류를 제한하는 저항이다.
직류 신호(15)가 하이가 되면, 저항(31)을 통하여 트랜지스터(32)가 온작동되어, 포토 트라이악의 발광측 LED(27a)를 온으로 한다. 트라이악(26)은 저항(28, 29, 30)에 의해서 정해지는 전류가 게이트에 흐르면 온이 된다.
도 4는 상기 스위치부(C11)의 신호 처리부(14)의 변경예를 나타낸다.
MPU(마이크로세서 유닛)(14a)에 교류 신호(13)가 입력되면, MPU(14a)가 그 신호(13)의 내용을 해석하여, 대응한 하이 또는 로우의 직류 신호(15)를 출력한다. (15a)는 해석조건을 나타내는 입력신호로, 이것이 입력되면, MPU(l4a)는 로우의 직류 신호(15)를 출력한다.
도 5는 상기 스위치부(C11)의 신호 처리부(14)의 변경예를 나타낸다.
이 신호 처리부(14)는 미분 회로(14b)와, 버퍼(14f)와, 적분 회로(14c)와,플립플롭(14p)으로 이루어진다.
신호 처리부(14)에서 받은 교류 신호(13)는 미분 회로(14b)에 입력되고, 이 미분 회로(14b)는 신호(13)의 교류 성분 가운데 소정의 주파수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신호(l4j)를 추출하여, 버퍼(14f)에 입력한다. 14d는 커패시터, 14e는 저항이다.
버퍼(14f)를 나간 신호(14j)는 다이오드(l4g), 저항(14h), 커패시터(14i)로 이루어지는 적분 회로(l4c)에서 적분되어, 직류 신호(14k)이 되고, 플립플롭(14p)으로 들어간다.
플립플롭(14p)은 들어온 신호(14k)의 상승 에지를 검출하여 직류 신호(15)를 하이로 한다. 14m은 방전 저항이다.
플립플롭(14p)에는 리셋 신호(15b)가 입력된다. 이 리셋신호(15b)가 하이이면, 플립플롭(14p)이 리셋되어, 직류신호(15)가 로우가 된다. 이에 따라, 적외광의 특정 커맨드에 따르지 않더라도 적외광의 교류 부분이 소정 시간 계속했을 때에 신호(15)를 하이로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내장식 전력 저감 회로(C2)를 나타낸다.
이 전력 저감 회로(C2)는 도 1의 전력 저감 회로(C1)를 내장식 모듈로서 구성한 전력 저감 모듈(C20)과, 이 모듈(C20)과 함께 전력 저감을 지원하는 지원 모듈(C23)로 이루어져, 전자기기(22)에 내장된다.
지원 모듈(C23)은 포토 다이오드(22a)를 구비한 적외 신호 증폭부(22b)와,이 적외 신호 증폭부(22b)에서 수광한 적외 변조광에 의한 커맨드(22c)의 신호 내용을 해석하여 대응한 레벨신호(22e)를 출력하는 신호 해석부(22d)와, 이 신호 해석부(22d)와 전력 저감 모듈(C20)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직류 신호(15)의 수신 처리 및 리셋 신호(l5a)의 생성 송신을 행하는 인터페이스부(22u)를 가진다.
신호 해석부(22d)는 MPU 또는 신호 해석 IC에서 구성되고, 적외 신호 증폭음(K22b)에서 받은 커맨드 신호(22c)가 리모트 컨트롤의 온 커맨드이면, 레벨신호(22e)를 하이로 하고, 그 온 커맨드 신호(22c)를 다시 받으면, 신호(22e)를 로우로 한다. 신호(22e)는 버퍼(22q)에 입력된다.
신호(22e)가 하이가 되면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 22f)가 온이 되고, 저항(22h)에 전력 저감 모듈(C20)로부터 직류 전원(10)이 공급되고, 이것에 응하여 신호(22i)가 로우로부터 하이로 변화된다. 이 신호(22i)는 포토 다이오드(22a)가 다시 온 커맨드를 수광하여 신호(22e)가 로우가 되면, 하이로부터 로우로 변화된다.
이 신호(22i)가 하이로부터 로우로 변할 때의 에지를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2k)가 검출하여, 펄스 신호(22v)를 일단 하이로 출력하고, 그 후 로우로 출력한다. 이 펄스 신호(22v)는 도 4의 변경예에 있어서의 리셋 신호(15a) 또는 도 5의 변경예에 있어서의 리셋 신호(15b)로서 사용된다.
펄스 신호(22v)는 전자기기(22)가 전력 저감 모듈(C20)을 통하여 교류 전원(6)(도 1)이 공급되어 있지 않을 때, 또는 전자기기(22)의 포토 다이오드(22a)가 처음으로 온 커맨드를 수광했을 때에 로우의 상태를 가진다.
그리고 포토 다이오드(22a)가 다음에 온 커맨드를 수광했을 때에, 한번 하이가 된 뒤 로우로 되돌아가는 리셋 신호(15a 또는 15b)를 발생하여, 도 4의 MPU(14a) 또는 도 5의 플립플롭(14p)을 리셋하여, 이것에 의해 스위칭 소자(2, 4)가 오프되고, 전자기기(22)에 교류 전원(6)이 공급되지 않고, 전력 저감 상태가 된다. 신호(22v)는 앤드 IC(22s)를 통과시킨 펄스 상의 리셋 신호(15a 또는 15b)로서 전력 저감 모듈(C20)에 공급된다.
전자기기(22)가 전력 저감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변할 때, VTR 등으로서는 신호(22e)가 수초 사이 하이가 되고, 동작 상태를 통과한 뒤에 로우로 되어 대기 상태가 된다.
이 수초 사이의 동작 상태가 검지되면, 리셋 펄스(15a, 15b)가 발생한다.
이 리셋 펄스(15a, 15b)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앤드 IC(22s)의 한 쪽 입력에 신호(22r)를 입력하고, 또한 신호(15)를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2t)에 입력하여, 그 신호(15)가 로우로부터 하이로 변화되었을 때, 수초 사이만 신호(22r)를 로우로 한다. 다른 경우는, 신호(22r)가 하이이기 때문에, 신호(22v)가 리셋 신호(15a, 15b)가 된다.
포토 다이오드(22a)가 두 번째의 온 커맨드를 수광하면 신호(22e)와 같은 신호(22w)에 의해서 전자기기(22)가 동작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귀환하고, 또 전력 저감 모듈(C20)의 작용에 의해서 대기 상태로부터 교류 전원 오프의 상태, 즉 전력 저감 상태(2mw ∼ 40mw)로 되돌아간다.
다음에 전력 저감 상태로 되어 있는 전자기기(22)로 적외선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적외광 커맨드를 방사하면, 상기 커맨드가 전력 저감 모듈(C20) 내의 포토 다이오드(11)(도 l)에 의해서 수광되는 결과, 상기와 같이 스위칭 소자(2, 4)가 온이 되고, 전자기기(22)는 대기 상태로 된다.
전력 저감 모듈(C20)은 도 6과 같이 전자기기(22)에 내장되더라도, 도 1과 같이 전자기기(22)의 외부에 어댑터로서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것은 이후의 각 실시예에 관해서도 같다.
신호 해석부(22d)는 온 커맨드 이외의 각종 커맨드에 대응하는 신호(22p)를 내부의 MPU에서 출력하고, 이들 신호(22p)는 전자기기(22)의 내부에서 사용된다.
직류 전원(22m) 및 그 어스(22n)는 전자기기(22)에 내장되고 있고, 교류 전원(6)은 절연되어 있다. 직류 전원(10) 및 그 어스(5)는 전력 저감 모듈(C20)(또는 외부 어댑터식 전력 저감 회로(C1)) 안에 있고, 교류 전원(6)으로부터 절연되어 있지 않다. 직류 전원(10) 및 어스(5)와 직류 전원(22m) 및 어스(22n)의 사이는 포토 커플러(22f)에 의해 절연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C3)를 나타낸다.
이 전력 저감 회로(C3)는 도 1의 전력 저감 회로(C1)를 외부 부착 어댑터로서 유닛화한 전력 저감 유닛(C30)(도 2와 같이 내장용 모듈로 하여도 좋다)과, 이 유닛(C30)과 함께 전력 저감을 지원하는 지원 회로(C33)로 이루어진다.
지원 회로(C33)는 전자기기(22)에 교류 전류(123a)를 흘리는 선로에 0.1Ω 정도의 전류 계측용 저항(123)을 개재되어 장착되어 그 양단에 전압을 발생시키고, 이 전압을 트랜스(124)를 통한 증폭기(125)에 의해서 증폭한 뒤 다이오드(126), 저항(l27) 및 커패시터(128)에 의해서 적분하여, 얻어진 신호(131a)를 스위칭 소자(129)에 의해서 제어하는 회로 구성을 가진다.
전자기기(22)가 대기 상태로부터 동작 상태로 되면 신호(131a)가 하이가 되 도록 증폭기(25)의 증폭율을 설정한다.
전자기기(22)가 동작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되돌아갔을 때, 신호(131a)가 하이로부터 로우로 변화된다. 이 하이로부터 로우로 변할 때의 에지를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31)로 검출하여 펄스(132)를 발생한다. 이 펄스(132)는 로우로부터 하이로 변화되고, 또한 로우로 되돌아간다.
이 펄스(132)를 도 4의 리셋 신호(15a) 또는 도 5의 리셋 신호(15b)로서 이용하여, 스위칭 소자(2, 4)를 오프로 하면, 전자기기(22)에 교류 전원(6)이 공급되지 않고, 전력 저감 상태로 된다.
전자기기(22)가 이 전력 저감 상태로부터, 스위칭 소자(2, 4)가 온이 되는 대기 상태로 이행될 때, 임의 종류의 전자기기, 예를 들면 VTR(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등에서는, 수초 사이의 동작 상태 후에 대기 상태가 된다. 이를 위해, VTR 등에서는 큰 전류가 흐르는 수초 사이의 동작 상태의 사이, 스위칭 소자(l29)를 온으로 하여, 커패시터(128)로부터의 신호(131a)를 로우로 유지하여, 동작 시의 대전류를 검출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 상태(수초이내)의 경과 후, 작은 전류가 흐르는 대기 상태로 되돌아가고 나서 스위칭 소자(129)를 오프로 하면, 소전류이기 때문에 신호(131a)가 하이가 되지 않는다. 증폭기(25)의 증폭도는 이와 같이 조정된다.
이로 인하여, 초기 전력 저감 상태에 있는 전력 저감 유닛(C30)이 그 포토 다이오드(11)(도 1)의 적외 커맨드 수광에 의해서 대기 상태로 되고, 다음에 전자기기(22)의 포토 다이오드(22a)(도 1)가 최초의 온 커맨드를 받아, 동작 상태로 되고, 소정 시간 이상 동작한 뒤, 2 번째의 온 커맨드를 받아 대기 상태로 되돌아 간 때에, 펄스 신호(132)가 발생하여, 이것에 의해 리셋 동작이 행하여져 전력 저감 상태로 되돌아간다.
스위칭 소자(l29)는 신호(130)에 의해 온 오프 제어된다. 스위칭 소자(129)는 릴레이가 아니고 트랜지스터이어도 좋다.
신호(15)를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33)에 입력하여, 신호(15)가 로우로부터 하이가 된 때에 신호(130)를 수초 사이 하이로 하여 스위칭 소자(129)를 온으로 하여 커패시터(128)를 쇼트시킨다.
저항(123) 및 트랜스(124) 대신에 전류 트랜스를 이용하여도 좋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의 스위치부(C41)의 주요부를 나타낸다.
이 스위치부(C41)로서는 신호 처리부(14)에 타이머(34)를 접속하여, 이 타이머(34)의 출력을 신호(15)로서 이용한다.
신호 처리부(14)의 출력(34a)이 하이로부터 로우로 되었을 때에, 타이머(34)가 작동을 개시하고, 그 후 소정의 시간 경과한 뒤에 그 때까지 하이이던 신호(l5)를 로우로 한다. 쿨러 등에서는 전자기기(22)인 쿨러 본체를 동작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할 때, 일정 시간만 팬을 돌려 방열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타이머(34)에 그 시간을 설정하고, 이 설정 시간 만큼 신호(15)의 변화를 지연시켜 스위칭 소자(2, 4)의 오프 동작을 지연시킨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의 전원부(C52)의 주요부를 나타낸다.
이 전원부(C52)에서는 교류 전원(6)과 커패시터(1a)와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양파 정류하는 브리지(7a)의 출력 단자 전압을 저항(35, 36)에 의해 분압하여 비교기(39)의 (+) 단자에 입력하고, 또한 직류 전원(10)의 전압을 저항(37, 38)에 의해 분압하여 비교기(39)의 (-)단자에 입력하고 있다.
교류 전원(6)의 전압이 올라, 비교기(39)의 (+)입력이 (-)입력보다 고전위가 되면, 비교기(39)의 출력(39a)가 하이가 되고, 다이오드(40)와 저항(42)을 통해서 커패시터(43)가 충전되어, 인버터(44)의 출력(45)이 로우가 된다.
저항(41, 42) 및 커패시터(43)로 정해지는 시정수를 10ms보다 충분히 크게 하여, 커패시터(43)가 그다지 방전하지 않는 동안에 교류 전류의 다음 반파분만큼 에 의하여 충전되도록 설정한다. 교류 전류의 실효치가 소정의 값을 넘으면, 인버터(44)의 출력(45)이 로우가 된다.
이 출력(45)과 전술한 신호(15)(도 1)를 앤드 IC(46)에 입력하여 논리적을 취하고, (도 1의 신호(15)의 변화에 따라) 이 앤드 IC(46)의 출력(15c)을 상기 트랜지스터(16, 17)(도 1)의 베이스에 입력한다.
교류 전원이 상기 소정의 값을 넘으면, 인버터 출력(45)이 로우가 되기 때문에, 다른 조건에 의하지 않고도 트랜지스터(16, 17)가 오프가 되고, 스위칭소자(2, 4)(도 1)도 오프가 된다.
교류 전원(6)이 과전압 상태가 되면, 그 전자기기(22)에의 공급이 저지되어 전자기기(22)가 과전압으로부터 보호된다.
비디오 헤드를 예열하는 VTR에 적용하는 경우에, 도 4의 MPU(14a)의 내부 소프트웨어에 의해 신호(15)를 간헐적으로 하이로 하면, 이 하이 상태에서 VTR이 대기 상태로 되어, 비디오 헤드가 예열되기 때문에, 비디오 헤드의 결로 방지에 효과가 있고, 나아가 신호(15)가 로우인 경우에 전력 저감 상태가 된다. 예를 들면 신호(15)가 1시간 하이가 되어 그 후 9시간 로우가 되도록 설정하면, 대기 전력이 약1/10이 된다.
도 5의 플립플롭(14p)과 신호(15)의 사이에 타이머를 삽입하고, 이 타이머의 출력(15)을 플립플롭(14p)의 출력이 하이인 때에 간헐적으로 하이가 되도록 설정하더라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C6)를 나타낸다.
이 전력 저감 회로(C6)는 스위치부(C61)의 스위칭 소자를 2 코일형 래치식 전자 릴레이(4A)로서 구성한다.
이 릴레이(4A)는 트랜지스터(17A)가 약10ms 이상 온이 되면, 세트 코일(21A)이 접점(4C)를 닫고, 교류 전원(6)이 부하(22)에 공급된다. 또한 트랜지스터(17B)가 약l0ms 이상 온이 되면, 리셋 코일(21B)이 접점(4C)을 연다.
신호 처리부(14)로부터 트랜지스터(17A)에의 출력 신호(15)가 10ms 이상 하이가 되면 접점(4C)이 닫히고, 트랜지스터(17B)에의 출력 신호(15A)가 10ms 이상하이가 되면 접점(4C)이 열린다.
상기 2 코일형 래치식 전자 릴레이(4A)에 대신하여, l 코일형 래치식 릴레이를 이용하고, 그 코일로 순·역방향으로 펄스통전함으로써 전기회로를 개폐할 수도 있다.
릴레이(4A)의 코일 구동 전류는 기껏 10ms 통전하면 좋고, 콘덴서(9)에 충전한 전하로 조달할 수 있다. 이것 때문에 전원부(C62)가 도 1로부터 포토 트라이악(2) 및 커패시터(3)를 생략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포토 트라이악(2) 및 커패시터(3)를 이용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부하에 전력을 공급·차단하는 스위칭 소자에 래치형 릴레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동일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C7)를 나타낸다.
이 전력 저감 회로(C7)는 전원부(C72)의 직류 전원용 커패시터(9)와 병렬로 발진기(9A)를 접속하여, 발진기(9A)의 출력 전류를 트랜지스터(9H)의 베이스로 저항(9I)를 통하여 공급하고, 트랜스(9B)의 1차측 코일(9C)과 커패시터(9E)와의 병렬회로에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 구성을 가진다.
상기 1차측 코일(9C)과 커패시터(9E)와의 병렬회로는 그 L-C 공진 주파수로 공진하여 고임피던스가 되고, 비교적 작은 전류라도 비교적 높은 전압이 트랜스(9B)의 1차측 코일(9C)에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대응한 전압이 트랜스(9B)의 2차측 코일(9D)에 발생하여, 다이오드(9F) 및 커패시터(9G)에서 정류, 평활화되어 직류 전원(9J)를 부여한다.
이 직류 전원(9J)을 3단자 레귤레이터(9h)를 통해서 안정된 직류 전원(9K)을 얻어 거기에서 전력 저감 회로(C7)의 스위치부(C71)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이 스위치부(C71)에서는 적외선 수광부로서 구성된 신호 발생기(12)의 포토 다이오드(11)가 적외 커맨드 신호를 수광하여 커맨드 신호(13)를 발생하고, 이 커맨드 신호(13)를 MPU(14)로 처리하여 신호 내용에 따른 처치를 행하고 있다.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 저항(18)을 통한 신호(14F)에 의해 트랜지스터(16A)를 온으로 하여 저항(20) 및 LED(2a)에 통전하여 LED(2a)를 발광시키고, 이것에 의해 전원부(C72)의 포토 트라이악(2)을 온으로 하여, 커패시터(3)를 통한 추가 전류를 브리지(7)에 보급하여 직류 전원(10)의 전류 출력 능력을 증강한다.
또는 저항(19)을 통한 신호(14E)에 의해 트랜지스터(17)를 온으로 하여, 전자 릴레이(4)의 제어 코일(21)에 통전하여 릴레이(4)를 온으로 한다.
MPU(14)는 내부 클록(14H) 및 메모리(14D)와 신호(또는 데이터)(13A, 13B)의 주고 받기를 행한다. 예를 들면, 메모리(14D)에 각종의 설정 조건 및 시간을 격납하여 독출하고, 클록(14H)에서의 시간 등과 비교하여, 상기 신호(l4E, 14F) 또는 신호군(14C)을 발생하여 필요한 동작을 행한다.
전자기기(22)가 VTR이면, 예약 녹화의 시간이 되는 경우, 신호(14E)를 출력하여 릴레이(4)를 온으로 하여 기기(22)를 동작 상태로 하여, 신호군(14C)이 적당한 요소를 이용하여 녹화상태로 설정된다.
적외선 리모트 컨트롤의 신호 발생부에서 투사된 적외광 커맨드가 포토 다이오드(l1)로 수광되면 상기 커맨드 신호(13)가 MPU(14)에 입력되어 처리된다.
MPU(14)는 이밖에도 1군의 입력신호(14G)를 처리하고, 대응한 처치를 행하고 있다. 예를 들면, 결로 센서로부터 비디오 헤드의 결로 검지 신호(14G 일부)가 입력되면, 비디오 헤드의 히터를 온으로 하는 신호 (l4C의 일부)를 출력하여 결로를 해제한다.
전자기기(22)는 텔레비전, 오디오기기, 냉난방기 등이 될 수도 있고, 어느 경우도 MPU(14)를 임의의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
트랜스(9B)는 MPU(14)등의 2차측 접속 부품을 교류 전원(6)으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시켜서 절연한다. 이러한 격리 대상에 전자기기(22) 내부의 MPU, 적외선 수광부, 메모리, 클록 등을 포함하여도 좋다.
전력 저감 시에 MPU(14)(도 1, 11)를 슬립(sleep) 모드로 두어 그 소비 전류를 1μA이하로 제한하고, 신호 발생기(12)에서의 커맨드 수광 시에, 커맨드 신호(13)의 헤더로 슬립 모드를 해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커맨드 신호(13)를 MPU(14)의 입력 포트와는 다른 예를 들면 플립플롭 회로 등의 신호 처리 회로에 입력하고, 이 회로로부터의 신호로 MPU(14)를 리셋하여도 좋다.
또는 커맨드 신호(13)를 MPU(l4)의 2개의 입력 포트로 받고, 한 쪽 포트를 커맨드 신호의 해독에 맞치고, 다른 쪽의 포트를 슬립 모드의 해제에 맞친다. 이 포트는 슬립 모드 해제 후에 접수 불능으로서 해제의 중복을 피하여 필요에 따라 설정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C8)를 나타낸다.
이 전력 저감 회로(C8)는 도 1의 회로(C1)에 포토 커플러(226a, 226)를 부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력 저감 회로(C8)의 스위치부(C81)에는 적외광 커맨드 신호, 전화 착신·송신에 따르는 신호, 센서 신호, 스위치 신호, 기타 이용 가능한 통신 수단에 의해 외부 신호(1la)가 입력된다.
이 외부 신호(1la)를 받은 신호 발생기(12)가 커맨드 신호(13)를 발생하여 MPU(14)로 입력한다.
MPU(l4)는 커맨드 신호(13)의 신호 내용에 따라 신호(15)를 트랜지스터(16)로 출력하고, 전원부(C82)의 포토 트라이악(2)을 온으로 하여 직류 전원(10)을 보강하며, 또한 신호(15a)를 트랜지스터(17)로 출력하여 교류 스위칭 소자(4)를 온으로 하여, 부하(22)로 교류 전원(6)을 공급한다.
MPU(14)는 또 신호내용에 따라 제어 신호(223)를 발생하고, 저항(224)을 통하여 트랜지스터(225)로 출력하여, 트랜지스터(225)를 온·오프시키고, 이것에 의해 저항(227)을 구비한 포토 커플러의 발광측 LED(226a)에의 통전을 제어하여 이 LED(226a)를 온·오프시키고, 대응한 빛 지령 신호를 포토 커플러의 포토 트랜지스터부(226)로 송신하는 전기적으로 격리된 수법에 의해, 말하자면 절연적으로, 부하로서의 전자기기(22)로 신호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신호(1la)의 지령 내용 가운데 전자기기(22)에서 필요로 되는 지령이 전자기기(22)로 전달된다.
이 점, 교류 스위칭 소자(4)를 제거 또는 상시 폐쇄하여 그 부분을 단락로로 하고, 교류 전원(6)을 부하(22)측에 상시 공급해 둬, 포토 커플러(226a, 226)를 경유한 신호로 부하(22) 내부의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필요에 따라 원격적으로 온·오프할 수도 있으며, 이것이면 부하 측 수단에 따라, 릴레이 등의 교류 스위칭 소자(4)를 이용하는 일 없이 부하(22)에의 전원 접속을 계속 차단 가능하게 된다. 이 때의 제어 신호(223)는 전원 공급 온·오프 신호로 되어 있다.
또한 전력 저감 회로(C8)를 전자기기(22)에 내장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C9)를 나타낸다.
이 전력 저감 회로(C9)에서는 MPU(14)의 커맨드 신호(33l)이 저항(332)을 통하여 트랜지스터(333)로 출력되어, 이 트랜지스터(333)를 온으로 하고, 이것에 의해 저항(335)을 통하여 적외 LED(334)에 통전하여, 이 LED(334)를 발광시켜서 적외광 커맨드(334A)를 외부로 방사한다.
한편, 리얼 타임 클록부(328)의 내부 클록부(328A)의 일시(日時)와 메모리(328C)에 미리 기록해 둔 일시를 비교기(328B)가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했을 때에 일치 신호(328D)를 출력하고 있다.
또, 이 일치 신호(328D)와, 결로 센서-기타 센서-로부터 받은 검출 신호(328E)가 OR 게이트(29)에 입력되어, 이 OR 게이트의 출력 신호(329A)가 MPU(14)로 입력된다.
이 신호(329A)는 상기 일치 신호(328D)와 검출 신호(328E)의 적어도 한 쪽이 존재하면 액티브가 되고, MPU(14)를 슬립 모드로부터 동작 모드로 이행시킨다.
신호 발생기(12)는 적외광 커맨더에 의한 적외광 커맨드(1la)를 수광하면 신호(13)를 출력하고, 이 신호(13)가 동작 모드에 이행한 MPU(14)에 입력된다.
이 신호(13)를 받은 MPU(14)는 LCD 표시부를 포함하는 주변기기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주고 받기를 행하고, 예를 들면 LCD와의 사이에서 관련 신호(330)의 입출력을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MPU(14)가 LCD에 적당한 표시를 행하고, 이 표시를 본 오퍼레이터가 예약 시간의 일시 등을 키 조작에 의해 MPU(14)로 입력하고, MPU(14)는 그 데이터를 메모리(328C)에 격납한다.
이러한 소요 동작 후에, MPU(14)는 신호(15, 15a)를 인액티브시키고, 포토 트라이악(2) 및 교류 스위칭 소자(4)를 오프로 하여, 슬립 모드에 들어 간다. 이 슬립 모드에서의 MPU(l4)의 소비전류는 매우 미소하다.
이 슬립 모드 동안네 상기 신호(329A) 액티브 되면, MPU(14)가 슬립 모드로부터 깨어 포토 트라이악(2)을 온으로 하여 직류 전원(10)을 보강한다. 이어서, 신호(15a)를 액티브로 하여 교류 스위칭 소자(4)를 온으로 하여, 부하(22)에 교류 전원(6)을 공급하고, 부하(22)를 대기 상태로 둔다.
MPU(14)는 메모리(328C)의 격납 데이터로부터 설정 시간을 알고, 그 시간이 되면 신호(331)를 출력하여, LED(334)에 부하(22)로 적외광 커맨드(334A)를 조사시킨다.
부하(22)는 내부의 적외광 수광부에서 커맨드(334A)를 수광하여, 대응한 동작, 예를 들면 녹화 등을 개시한다.
부하(22)는 전력 저감 회로(C9)의 하우징에서 멀어지고 있더라도, 녹화 예약시간이 되면 녹화를 개시하여 적당히 종료할 수가 있다. 전력 저감 회로(C9)의 하우징에 결로 센서 등의 적당한 센서를 설치하여, 상황에 따른 검출신호(328E)를 출력시키고, 이것에 의해 MPU(14)를 작동시켜 부하(22) 측에 대응한 동작, 예를 들면 비디오 헤드의 예열 등을 행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C10)를 나타낸다.
이 전력 저감 회로(C10)는 도 12의 신호(1la)와 같은 신호(1la)를 이용한다. 신호(14E)가 활성화되면 저항(19)과 트랜지스터(17)를 통하여 포토 커플러의 발광측 LED(23A)가 발광하여, 포토 커플러의 포토 트랜지스터(423)가 온이 되고, 릴레이(4)가 온이 된다. 이 릴레이(4)가 트랜스(9B)의 1차 측에 있는 점, 도 11과 상이하다. 17A는 저항이다.
또 전력 저감 회로(C10)에도 도 11의 메모리(14D) 및 클록(14H)가 설치되어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C110)를 나타낸다.
이 전력 저감 회로(C1l0)는 교류 전원(6)의 한 쪽에서 저항(6A) 및 커패시터(6B)를 통하여, 교류 전원(6)의 전압의 일부(6C)를 MPU(14)로 입력하고 있다.
MPU(14)는 교류 전원(6)의 제로 크로스 점을 인식할 수 있고, 이 제로 크로스 점에서 소정의 시간 후에 신호(15)를 액티브로 함으로써 포토 트라이악(2)을 위상 제어에 의해 온할 수 있다. 온된 포토 트라이악(2)은 다음 제로 크로스 점에서 오프가 된다.
이 포토 트라이악(2)은 전체 도통각으로 온이 되는 도 l의 포토 트라이악(2)과 달리 전류 제한용 커패시터(3)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의 스위치부(C121)의 주요부를 나타낸다.
이 스위치부(Cl21)는 직류 전원(10)과 어스(5)와의 사이에 포토 다이오드(11)와 저항(1lb)과의 직렬 회로가 접속되고 있다.
포토 다이오드(11)로 적외광을 받아 검출신호(1la)를 발생하여, 프리앰프(12A), 리미터(12B), 밴드 패스 필터(12C), 검파 회로(12D) 및 파형 성형 회로(12E)를 통하여 적외광 커맨드 신호(13)로 변환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의 스위치부(C131)의 주요부를 나타낸다.
이 스위치부(Cl31)는 전화단자(Ll, L2)와, 이 전화단자(Ll, L2)로부터 받은 전화 착신 신호(lla)에 기초하여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 장치(12F)를 구비하고, 또 전화 발신 시에 작동시키는 버튼 스위치(12H)를 가진다. l0A는 저항이다.
신호 발생 장치(12F)와 버튼 스위치(12H)와의 출력을 OR 게이트(12G)에 입력하고 있어 전화 착신이 있는지, 또는 전화 발신 시에 버튼 스위치(12H)가 눌러지면 OR 게이트(12G)에서 신호(13)가 출력되어 MPU에 입력된다.
도 l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의 스위치부(Cl41)의 주요부를 나타낸다.
이 스위치부(C141)는 센서(12M)의 검출 신호(1la)를 신호 증폭기(l2J)에서 증폭한 신호와, 스위치(12L)의 폐로 신호를 OR 게이트(12K)에 입력하여 그 출력 신호(13)를 MPU로 입력하고 있다. l0A는 저항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C15)를 나타낸다.
이 전력 저감 회로(C15)는 교류 전원(6)의 한 쪽에서 나온 전류를 직렬 커패시터(l) 및 전원 트랜스(48)의 일차측 코일(48A)로 통해서 교류 전원(6)의 다른 쪽으로 되돌린다.
전원 트랜스(48)의 일차측 코일(48A)에서 부하 측을 보았을 때의 등가 임피던스와 직렬 커패시터(1)의 임피던스에 의한 분압비에 의해서 결정되는 전압이 일차측 코일(48A)의 단자 사이 전압이 되고, 이 전압은 교류 전원(6)의 전압보다 내려져 있다.
전원 트랜스(48)의 일차측 코일(48A)과 2차측 코일(48B)과의 권수 비를 예를 들면 5 : 1 등으로 설정하여, 2차측 코일(48B)의 단자 사이 전압을 일차측 코일(48A)보다 또 저하시킨다. 이 저하된 전압을 정류 브리지(49)로 정류하여 커패시터(50)로 평활화하여 전압(9J)를 직류 전원으로 한다. 5A는 2차측 어스이다.
도 12와 마찬가지로 적외광 커맨드, 전화의 착신·송신, 센서, 스위치 등을 신호원으로 하는 신호(1la)를 신호발생기(12)에 입력하여, 신호(13)를 출력시키고, 이 신호(13)를 MPU(14)로 입력한다.
브리지(49)의 한 쪽 교류단자(49A)에서 다이오드(49C)를 통하여 반파의 전류를 인출하고, 이것을 커패시터(50A)에 의해 평활화한 전압(9L)을 포토 트라이악(2)(교류 스위칭 소자)의 발광측 LED(2a)와 트랜지스터(18)과의 직렬 회로에 인가한다.
MPU(14)는 상기 신호(13)에 기초하여 신호(14F)를 트랜지스터(18)로 출력한다. 이 신호(14F)가 하이가 되면 교류 스위칭 소자(2)가 온이 된다.
브리지(49)의 단자(49A)의 전압은 포토 트라이악(2)의 발광측 LED(2a)로 전류를 공급할 때에 약간 저하되지만, 브리지(49)의 단자(49B)의 전압은 그다지 저하되지 않고, 전파 정류 전압(9J)의 전압 저하도 적다.
상기 전압(9L)의 사용에 의해 전파 정류 전압(9J)의 전압 강하가 억제된다.
커패시터(47)는 트랜스(48)의 2차측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고, 트랜스(48)의 일차 코일(48A)에서 2차측을 본 임피던스를 크게 하는 역할을 가진다.
커패시터(47)가 있으면, 커패시터(1)의 용량을 보다 작게 할 수 있어, 회로전체의 실효 소비 전력을 작게 하는 데에 있어서 효과가 있다.
커패시터(47)를 삭제한 구성도 가능하다. 이 경우, 커패시터(1)의 용량치는 약간 크게 한다.
교류 스위칭 소자(2)가 온이 되면, 교류 전원(6)으로부터 나간 전류가 직렬 커패시터(1) 및 교류 스위칭 소자(2)를 통해 전원 트랜스(48)의 일차 코일(48A)에 공급되고, 일차 코일(48A)의 단자 사이 전압이 교류 전원(6)의 전압에 대략 동등하게 되고, 2차측 직류 전압(9L)도 상승하여, 전류 출력 능력이 증대되어, 교류 스위칭 소자(2)를 온상태로 유지한다.
신호(14F)가 하이인 때는 저항(18)을 통하여 베이스 전류에 의해 트랜지스터(16A)가 온이 되고, 저항(20)을 통하여 LED(2a)에 전류가 계속하여 흘러 교류 스위칭 소자(포토 트라이악(2))를 온으로 한다.
제너 다이오드(51)는 직류 전압(9J)의 과대한 상승을 방지한다. 전원 트랜스(48)의 강압비를 예를 들면 100v 대 18v라고 하면, 일차측 코일(48A)의 단자 사이 전압이 100v인 때 2차측 코일(48B)의 단자 사이 전압은 18v가 되지만, 제너 다이오드(51)의 제너 전압이 15v이면, 직류 전압(9J)은 15v 이상으로는 상승하지 않는다.
제너 다이오드(51)에 흐르는 전류는 전원 트랜스(48)의 일차 코일 및 2차 코일의 코일 저항에 의해서 제한되어, 제너 다이오드(51)를 파괴하지 않는다.
3단자 레귤레이터(9h)는 직류 전압(9J)을 안정화한 전압(9K)을 만들어, MPU(14) 또는 신호 발생기(12) 등으로 공급한다. 트랜지스터(16A)가 온인 때에는 전압(9J)의 저하가 적고, 전압(9K)은 안정하다.
MPU(14)의 출력 신호(14E)가 하이가 되면, 저항(19) 통하여 베이스 전류를 공급하여 트랜지스터(17)가 온이 되고, 스위칭 소자(4)를 온으로 한다.
스위칭 소자(4)를 전자 릴레이로 한 본 예로서는 전자 릴레이의 코일(21)에 전류가 흘러 접점(4a)가 온이 된다. 이 전자 릴레이(4)는 도 3에 나타내는 트라이악이어도 좋다.
스위칭 소자(4)의 출력단자(4b, 4C)를 이용하여 교류 전원(6)으로부터의 전류를 제어하여 부하(22)에의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가 있다.
이 전력 저감 회로(C15)의 대기 시에는 MPU(14), 신호 발생기(12) 등을 동작시키기 위해서 최소한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면 좋고, 예를 들면 전압(9K)이 5v였다고 한다면, 전압(9J)은 5.3v 정도로 충분하며, 전원 트랜스(48)의 일차 코일(48A)의 단자 사이 전압은 교류 전원(6)의 전압과 같게 하지 않더라도, 예를 들면 100v 대 18v의 트랜스를 가정했다고 해도 30 vrms 정도로 족하다.
전원 트랜스(48)의 100 vrms에 해당하는 무부하손실(철손해 + 동손해)를 예를 들면 250mw라고 하면, 30 vrms에서의 무부하손실은 (1OO ÷ 3 O)2(= 대략 11.1분의 1)로 저하되어, 22.5mw가 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의 전원부(C162)의 주요부를 나타낸다.
이 전원부(C162)는 도 19의 교류 스위칭 소자(2)와 직렬로 커패시터(3)를 접속한 구성을 가진다. 이 커패시터(3)는 교류 스위칭 소자(2)가 온인 때의 전류를 제한한다.
도 2l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의 전원부(C172)의 주요부를 나타낸다.
이 전원부(C172)는 도 19의 교류 스위칭 소자(2)와 직렬로 저항(3a)를 접속한 구성을 가진다. 이 저항(3a)은 교류 스위칭 소자(2)가 온인 때의 전류를 제한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의 전원부(C182)의 주요부를 나타낸다.
이 전원부(C182)는 병렬 커패시터(47A)를 전원 트랜스(48)의 2차측 코일(48B)의 양단에 접속한 구성을 가진다. 전원 트랜스(48)의 1차와 2차의 권수비를 Nl:N2이라고 하면, 2차 코일(48B)의 양단에 커패시터(47A)를 접속하는 것은 일차 코일(48A)의 양단에 커패시터(47A)의 (N2 ÷ Nl)2배의 용량의 병렬 커패시터를 접속한 것과 같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C19)를 나타낸다.
이 전력 저감 회로(C19)는 직렬 커패시터(1) 및 병렬 커패시터(47)를 이용하여 트랜스(48)의 일차 코일(48A)의 단자 사이 전압을 교류 전원(6)의 전압보다 저하시키고 있다.
또, 스위칭 레귤레이터(53)의 입력을 트라이악(52)으로 제어하고, 이 트라이악(52)의 작용을 교류 스위칭 소자로서의 포토 트라이악(102)으로 제어하고 있다.
신호(14F)가 온인 때, 포토 트라이악(102)의 발광측 LED(l02a)가 발광하여 트라이악(52)을 온으로 하고, 그 때 스위칭 레귤레이터(53)이 발생하는 직류 출력(53A)를 다이오드(53B)에 통과시켜 전압(9J)에 가산하여, 포토 트라이악(2)의 온상태를 계속한다. 52A, 52B, 52C는 저항이다.
스위칭 레귤레이터(53) 대신에 절연 트랜스와 정류 회로의 조합을 이용하여 직류 출력(53A)을 발생시켜도 좋다. 병렬 커패시터(47)를 삭제한 구성도 가능하다.
도 19 내지 도 23에 나타내는 각 실시예의 구성은 교류 전원(6)과 스위치부를 전기적으로 격리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과 도 14를 제외한 전술의 실시예로, 일차측 정류브리지(7)를 그 교류 단자에서 떼어내고, 대신에 도 19의 전원 트랜스(48)의 일차 코일(48A)을 접속하고, 전원 트랜스의 2차 코일(48B)의 양단을 정류 브리지(7)의 교류 단자에 접속하면 도 l9 내지 도 21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이 얻어진다.
또한 도 11, 도 14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트랜스(9B)를 스위칭 트랜스로서 부하측을 교류 전원(6)으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하고 있지만, 이 트랜스(9B), 커패시터(9E), 발진 회로(9A), 저항(9I), 트랜지스터(9H) 등을 제거하여, 정류 브리지(7)의 앞에 도 19의 트랜스(48)를 삽입할 수도 있다.
또 도 19의 병렬 커패시터(47) 또는 도 22의 병렬 커패시터(47A)는 일차 코일(48A)의 인덕턴스와 병렬로 작용하고 일차 코일의 임피던스를 증대 또는 저하시키는 작용이 있다.
더구나 도 19의 직렬 커패시터(1) 또는 병렬 커패시터(47)에 흐르는 전류에 기초하는 전력은 무효 전력으로서, 무부하손실의 증가에는 이어지지 않으므로, 실효 손실의 증가없이 트랜스(48)의 일차 코일(48A)의 단자 사이 전압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 19에 실시예로 병렬 커패시터(47)를 삭제하더라도 유사한 효과가 얻어진다.
도 24는 도 23의 실시예의 변경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의 스위칭 레귤레이터(53)의 내부를 나타낸다.
이 스위칭 레귤레이터(53)는 도 23의 트라이악(52) 및 저항(52A, 52B, 53C)을 삭제하여, 포토 트라이악(102)을 브리지(54)의 교류 단자(6A)와 기동 저항(55)사이에 접속하고 있다.
교류 전원(6)의 전압이 0V가 되는 제로 크로스 점에서는 기동 저항(55)을 흐르는 전류도 제로가 된다. 그래서 도 23에 나타내는 포토 트라이악의 발광측 LED(l02a)를 발광시키고, 도 24의 포토 트라이악(102)를 온으로 하면, 기동 저항(55)을 통하여 전류가 흐르고, 제너 다이오드(60)에 의해 정류되어, 커패시터(61)로 평활화된다. 이 직류 전압을 스위칭 레귤레이터 제어용 IC(58)의 전원 전압(55A)으로 한다.
제어용 IC(58)의 출력으로부터 생긴 펄스가 저항(58A)을 통하여 스위칭 레귤레이터(59)의 게이트(58B)에 공급되어, 스위칭 트랜스(64)의 1차측 코일(64A)의 스위칭을 행한다.
스위칭 트랜스(64)의 코일(64B)에 생긴 전압이 다이오드(63) 및 저항(62)에 의해 정류되고, 커패시터(61)로 평활화되어 전원 전압(55A)에 부가된다.
또한 스위칭 트랜스(64)의 2차측 코일(64C)에 생긴 전압이 다이오드(65) 및 커패시터(66)에 의해 정류 평활화되어, 2차측 직류 출력(53A)으로 된다. 5A는 2차측 어스, 54A는 1차측 어스, 56은 돌입 전류 방지용 서미스터, 57은 평활화 커패시터이다.
포토 트라이악(102)을 커패시터(57)의 단자(57A)에 접속하면, 기동 저항(55)을 흐르는 전류가 제로가 되지 않고, 포토 트라이악(102)은 오프되지 않지만, 도 24에서는 포토 트라이악(102)이 단자(6A)에 접속되어 있고, 제로 크로스 점에서 오프가 된다. 발광측 LED(l02a)가 오프이면, 포토 트라이악(2)은 제로 크로스 점 이후에서 오프가 된다.
그 후 스위칭 트랜지스터(59)의 게이트(58B) 또는 제어용 IC(58)의 제어 입력 단자(58C)를 포토 커플러로 어스(54A)에 접지하면, 스위칭 트랜지스터(59)의 스위칭 동작이 정지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59)가 오프로 되어, 트랜스(64)의 2차측 직류 출력(53A)도 0V가 된다.
도 25는 도 23의 실시예의 다른 변경예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의 스위칭 레귤레이터(53)의 내부를 나타낸다.
이 스위칭 레귤레이터(53)에서는 포토 트라이악(102)가 다이오드(6B)를 통하여 브리지(54)의 교류 단자(6A)에 접속되고, 도 24의 변경예에 있어서의 제너 다이오드(60)가 필요 없게 된다.
교류 단자(6A)에서의 전류는 다이오드(6B)에 의해 정류되고, 저항(55)을 통해 커패시터(61)에 의해 평활화되어 전압(55A)이 되고, 도 24와 마찬가지의 작용에 의해, 2차측 직류 출력(53A)이 생긴다.
도 24, 도 25의 변경예는 맥류 전류가 기동 저항(55)을 흐른다. 이 기동 저항(55)을 커패시터와 l00Ω 정도의 저항과의 직렬 회로로 치환하여도 좋고, 같은 기동 효과가 얻어져 l00Ω의 저항이 돌입전류를 방지한다.
또, 도 23 또는 도 19의 직류 출력(9K)을 만들어 내는 이른바 대기용 전원과, 도 24 또는 도 25의 이른바 주전원인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결합한다. 직류 출력(9K)은 비교적 소전력으로 생성할 수 있다. 소형 트랜스(48)의 1차 코일(48A)의 단자 전압이 커패시터에 의해 강하되는 것에 의한다.
이 직류 출력(9K)은 5V 3mA 또는 5V 30mA 등의 비교적 소전력의 대기용 전원으로서 이용되고, 이 대기용 전원의 직류 출력(9K)에 의해 포토 트라이악(102)의 발광측 LED(l02a)에 전류가 공급된다.
포토 트라이악(102)이 온이 되면, 도 23 또는 도 24의 기동 저항(55)이 교류 단자(6A)에 접속되어, 주전원의 직류 출력(53A)을 기생시킨다.
주전원인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직류 출력(53A)에 무거운 부하를 접속하더라도, 대기 상태에서는 직류 출력(53A)이 OV이기 때문에 부하로의 전류 공급은 생기지 않는다.
도 23에 나타내는 대기용 전원의 직류 출력(9K)은 상시 발생하고 있지만, 이제부터 전력을 얻고 있는 포토 트라이악(102)의 발광측 LED(l02a)가 온이 되고, 포토 트라이악(102)이 온이 되면 대기 상태를 탈출하여, 주전원으로서의 직류 출력(53A)이 기생된다.
주전원의 직류출력(53A)에 접속된 무거운 부하를 떼어내도 대기 상태로 되돌아 가고, 그러한 부하를 떼어버리기 위한 파워 트랜지스터 등의 부품이 필요 없게 된다.
또 「대기 용전원」으로서, 도 23 또는 도 19에 나타내는 소형 트랜스를 이용한 구성, 또는 도 11 또는 도 14에 나타내는 형식 또는 기타 형식의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이용하여도 좋다.
도 26은 도 l, 도 6, 도 10, 도 12, 도 13, 도 15, 도 19 또는 도 23에 나타낸 포토 다이오드(11, 22a) 및 적외선 수광부(12, 22b)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주요부 변경예를 나타내며, 도 16과 대비된다.
도 26의 변경예는 순바이어스 모드(포도 기전 모드)로 접속된 포토 다이오드(11)를 포함한다. 이 포토 다이오드(l1)의 부하 저항(12a)에는 포토 다이오드(11)에 입사하는 적외광 신호에 따른 전압이 생긴다. 그 중, 고주파 성분의 신호가 커패시터(12e)를 통하여 트랜스(12b)의 1차측 코일(12c)의 단자 사이에 전압이 생겨, 트랜스(12b)의 2차측 코일(12d)의 단자 사이에 포토 다이오드(11)로부터 격리된 출력 전압이 생긴다. 이 출력 전압을 필터 또는 증폭기(12f)에 통과시켜, 적외광 신호의 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커맨드 신호(12h)로서 MPU로 입력한다. 5는 어스이고, 12g는 증폭기 또는 필터(12f)의 전원이다.
포토 다이오드(11)에 태양광이나 전등광이 입사하더라도, 전원(129)에 유입하는 소비전류가 증가하는 일은 없다.
이 점, 도 16의 실시예에서는 포토 다이오드(11)가 역바이어스 모드(포토 도전 모드)로 접속되어 있고, 태양광이나 전등광이 입사하면 포토 다이오드(11)의 역전류가 증대되어, 그것이 직류 전원(10)으로부터 공급되고, 따라서 1∼2mA가 여분인 전류가 포토 다이오드(11)에 흐를 가능성이 있어, 그 만큼 직류 전원(10)의 전류 용량을 크게 설정하는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도 26에서는 포토 다이오드(11)가 순바이어스 모드로 접속되어, 여분인 전류가 유출되지 않아서, 전원의 부담이 가벼워져, 전원(12g)의 전류 용량을 200μA 정도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l의 커패시터(1)의 용량을 작게 하여 수백μA의 공급 능력을갖게 하는 것으로 적외선 수광부(12)를 동작시킬 수 있고, 대기용 전원으로서의 직류 출력(10)을 만들어내기 위해서, 교류 전원(6)으로부터 유입되는 실효 전력은 적어도 된다.
도 27의 변경예로서는 도 26의 저항(12a)와 커패시터(12e)가 생략된다. 포토 다이오드(11)로부터의 광전류가 트랜스(12b)의 1차측 코일(12c)에 흐르고, 코일(12c)의 인덕턴스를 L이라고 하면, 코일(12c)의 단자 사이 전압의 고주파 성분(|V|)가 |V| = 2πfL에서 정해지는 비교적 큰 전압이 되어 트랜스의 2차 코일(12d)에 전해진다. f는 적외광의 변조 주파수이다. 태양광과 같은 직류광 또는 전등광과 같은 저주파의 적외광이면, 그것이 트랜스의 1차 코일(12c)의 양단 사이에 큰 전압이 되어 나타나는 일이 없고, 1차 코일(12c)에는 그 직류 저항에 의해 정해지는 전압이 생기기만 한다. 2차 코일(12d) 측에의 파급은 실질적으로 무시할 수 있다.
트랜스(12b)의 존재에 의해 신호가 절연되어 전해지고, 또한 1차 코일(12c)의 인덕턴스에 의해서 적외광 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증폭되며, 저주파 성분이 감쇠된다. 이것은 도 27의 포토 다이오드(11)가 도 26과 마찬가지의 광량에 의존한 정전류원인 것에 의한다. 도 26의 커패시터(12e)는 광전류의 직류분 및 저주파 성분을 저지하여, 1차 코일(12c)로 전하지 않는다.
도 28의 변경예는 순바이어스 모드로 접속된 포토 다이오드(11)의 애노드로부터 발생하는 광전류를 저항(12a)에 흘리고, 그 교류 성분을 커패시터(l2i), 저항(12k) 및 커패시터(12j)를 통하여 포토 다이오드(1l)의 캐소드에 되돌리고 있다.
저항(12k)의 양단에는 포토 다이오드(11)에 입사한 광신호의 교류분에 상당하는 전압이 생기고, 이것이 증폭기(l2f)에 의해 증폭되며, 여파되어 적외광 커맨드 신호(12h)로서 인출된다.
예를 들면 도 1의 직류전류(10)와 같이 교류 전원(6)으로 절연되지 않은 직류 전원(12g)의 어스(5)에 대한 전위를 증폭기(12f)의 전원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포토 다이오드(11)를 커패시터(12i) 및 커패시터(l2j)에 의해서 교류 전원으로부터 절연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포토 다이오드(11)를 50cm 정도 꺼내어 기기 전면의 수광창에 근접 배치하고, 나머지의 부품을 기기 후부의 전원선 근방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교류 전원이 100Vrms인 경우에는 커패시터(12i, 12j)의 내압을 250V로 하고, 용량을 4700pF 이하로 함으로써, 포토 다이오드(11)를 교류 전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격리할 수도 있다.
또, 도 12에 있어서, 교류 스위칭 소자(4)를 복수개 설치하여 MPU(14)로 제어하고, 상이한 커맨드로 온하는 다연(多連)의 리모콘 콘센트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MPU에 커맨드 학습 기능을 갖게 하고, 전자기기의 양식마다 상이한 커맨드의 각각에 대응시켜도 좋고, 적외 리모트 컨트롤용 커맨더를 분실한 경우에, 별도의 커맨더를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력 저감 회로 측 MPU와 커맨더 내 MPU와의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에 호환성이 있으면 된다.
도 29는 본 발명에 의한 전력 저감 회로의 전원부의 작동 원리도이며, 교류 전원(6)의 한 쪽에 제1의 커패시터(1)의 한 쪽 단자를 접속하고, 이 제1의 커패시터(1)의 다른 쪽 단자에 제2의 커패시터(3)의 한 쪽 단자를 접속하며, 이 제2의 커패시터(3)의 다른 쪽 단자(6A)와 교류 전원(6)의 다른 쪽(6B) 사이에 전하의 이동에 기초하여 나타나는 교류 전압을 이용하여 직류 전원을 만들고, 이 직류 전원에 의해서 그 제어부의 전력을 얻고 있는 교류 스위칭 소자(2)의 출력 단자와 제1의 커패시터(l)를 병렬로 접속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신호의 하이, 로우 상태는 예를 들면 3v, 0V 등의 레벨, 또는 논리적 하이, 로우 기타를 의미하고, 하이란 임의의 상태를 액티브로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해를 돕기 위해 로직회로로 나타낸 내용을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나타내어 적당한 기억 매체에 격납하여도 좋고, 이것을 전자 회로, MPU 기타 수단과 조합하여 실행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대기 전력을 필요로 하는 전자 회로에 적용할 수 있고, 특히 적외선 리모트 컨트롤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를 위한 전력 저감 회로, 또는 대기 시간이 비교적 긴 팩시밀리, 복사기 등을 위한 전력 저감 회로로서 바람직하다. 또한, 센서 또는 스위치를 구비한 전자기기, 또는 트리거 신호를 받아 동작을 개시하는 각종 전자기기를 위한 전력 저감 회로로서도 바람직하다.

Claims (31)

  1. 교류 전원(6)의 한 쪽 극에 한 쪽 단자를 접속한 제1 커패시터(l)와,
    이 제l 커패시터의 다른 쪽 단자에 한 쪽 교류 단자를 접속하고, 상기 교류 전원의 다른 쪽 극에 다른 쪽의 교류 단자를 접속한 정류 브리지(7)와,
    이 정류 브리지의 직류 출력을 평활화한 직류 전원(10)과,
    이 직류 전원으로부터 제어부(21)의 전력을 얻고 있는 제1 스위칭 소자(4)와,
    이 제l 스위칭 소자와, 상기 교류 전원과, 부하(22)를 접속하는 제1 회로와,
    상기 직류 전원으로부터 제어부(2a)의 전력을 얻고 있는 제2 스위칭 소자(2)와,
    이 제2 스위칭 소자와 제2 커패시터(3)와의 직렬 접속을 상기 제1 커패시터에 병렬로 접속하는 제2 회로와,
    신호원(12; C23; C33)과,
    이 신호원에서 입력된 입력 신호(l3)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14)와,
    이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된 출력 신호(15)에 의해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제어부를 액티브로 하여 제1 스위칭 소자에 상기 제1 회로를 폐로시키기 위한 제3 회로(17)와,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된 출력 신호에 의해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제어부를 액티브로 하여 제2 스위칭 소자에 상기 제2 회로를 폐로시키기 위한 제4 회로(16)와,
    상기 제2 회로의 폐로에 응하여, 상기 제1 및 제2 커패시터를 통해서 상기 정류 브리지에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제어부를 액티브로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류 이상의 전류를 상기 정류 브리지로부터 상기 직류 전원에 유입시키기 위한 회로 수단
    으로 이루어지는 전력 저감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2, 4)의 한 쪽이 래칭형 전자 릴레이, 비래칭형 전자 릴레이, 트라이악 또는 포토 커플러로 이루어지는 전력 저감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14)는 상기 입력 신호(13)가 소정 시간 계속하여 입력된 때에 상기 출력 신호(15)를 출력하는 회로로 이루어지고, 이 회로는 미분 회로(14b)와 적분 회로(14c)를 포함하는 전력 저감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MPU(14a)로 이루어지는 전력 저감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는 상기 제l 회로로부터 부하(22)로 공급되는 전류(123a)의 크기에 관한 정보(132)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14)는 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4, 2)의 한 쪽 제어부(21, 2a)를 비액티브로 하는 제어 신호(l5)를 출력하는
    전력 저감 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원(C33)은 상기 전류(123a)의 크기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것을 검출하는 검출부(123, 128, 132)와, 상기 제어 신호(15)에 응하여 상기 검출부의 검출 동작을 소정 시간만 억제하는 회로(133, 129)를 포함하고 있는 전력 저감 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전원(l0)과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4, 2)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가지고,
    상기 신호원(C23)은, 상기 직류 전원으로부터 얻은 전력으로 작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밖에서 제어하여 리셋 신호(l5a, 15b)를 출력 가능한 회로(22u)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리셋 신호에 응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4, 2)의 제어부(21, 2a)를 비액티브로 하여 상기 교류 전원(6)으로부터 부하(22)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전력 저감 회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l4)로부터 제어 가능한 발광 소자(226a)와,
    상기 부하(22)에 설치되며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신호를 수광하는 수광 소자(226)
    를 더 가지는 전력 저감 회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전원(10)과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4, 2)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직류 전원으로부터 얻은 전력으로 작동하며, 적외광 신호(334A)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조사 가능한 적외 LED(334)와,
    이 적외 LED를 상기 신호 처리부(14)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제어하는 회로(333)
    를 더 가지는 전력 저감 회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원은
    일시를 격납한 메모리(328C)와,
    리얼 타임을 측정하는 클록(328A)과,
    상기 일시와 리얼 타임이 일치했을 때 상기 신호 처리부에의 입력 신호(328D)를 발생하는 비교기(328B)
    를 포함하는 전력 저감 회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원(12)은
    적외광 커맨드를 받아서 상기 신호 처리부에의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1 신호 발생기와,
    전화의 착신 또는 발신에 따라 상기 신호 처리부에의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2 신호 발생기와,
    센서 또는 스위치로부터의 신호를 받아서 상기 신호 처리부에의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3 신호 발생기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 저감 회로.
  12. 교류 전원(6)의 한 쪽 극에 한 쪽 단자를 접속한 제1 커패시터(1)와,
    이 제l 커패시터의 다른 쪽 단자에 한 쪽의 교류 단자를 접속하고, 상기 교류 전원의 다른 쪽 극에 다른 쪽의 교류 단자를 접속한 정류 브리지(7)와,
    이 정류 브리지의 직류 출력을 평활화한 제1 직류 전원(10)과,
    이 제1 직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얻고 있는 발진기(9A)와,
    이 발진기에 일차측 코일(9C)이 접속된 트랜스(9B)와,
    이 트랜스의 2차측 코일(9D)의 전압을 정류하여 평활화한 제2 직류 전원(9J)과,
    이 제2 직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얻어 작동하는 신호원(12)과,
    상기 제2 직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얻어 작동하며, 상기 신호원에서 입력한 신호(13)를 처리하여 신호(14E, 14F)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14)
    로 이루어지는 전력 저감 회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직류 전원(10, 9J)의 적어도 한 쪽으로부터 얻은 전력으로 작동하며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된 신호(14E)에 따르는 제어부(17, 23A, 423, 21)를 구비한 제1 스위칭 소자(4)와,
    이 제1 스위칭 소자와, 상기 교류 전원(6)과, 부하(22)를 접속하는 제1 회로
    를 더 가지는 전력 저감 회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l 및 제2 직류 전원(10, 9J)의 적어도 한 쪽으로부터 얻은 전력으로 작동하며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된 신호(14F)에 따르는 제어부(16A, 2a)를 구비한 제2 스위칭 소자(2)와,
    이 제2 스위칭 소자와 제2 커패시터(3)와의 직렬 접속을 상기 제l커패시터(1)에 병렬로 접속하는 제2 회로
    를 더 가지는 전력 저감 회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원에서 입력된 신호(13)는 상기 교류 전원의 전압의 실효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4, 2)의 적어도 한 쪽의 제어부를 비액티브로 하여 상기 부하(22)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전력 저감 회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전원(10)으로부터 얻은 전력으로 작동하여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된 신호(15)에 따르는 제어부(16, 2a)를 구비한 제2 스위칭 소자(2)와,
    이 제2 스위칭 소자를 상기 제1 커패시터(1)에 병렬로 접속하는 제2 회로
    를 더 가지며,
    상기 신호원에서 입력된 신호(13)는 상기 교류 전원의 전압의 위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스위칭 소자(2)의 제어부를 주기적으로 액티브 또는 비액티브로 하고 있는
    전력 저감 회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2 직류 전원(9J)으로부터 전력을 얻고 있는 MPU(14), 메모리(14D) 및 클록(14H)을 포함하며,
    상기 MPU(14)는 상기 메모리(14D)에 격납된 지령을 상기 클록의 시간 측정에 따라 실행하여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신호(14E, 14F)를 발생하는
    전력 저감 회로.
  18. 교류 전원(6)의 한 쪽 극에 한 쪽 단자를 접속한 제1 커패시터(1)와,
    이 제l 커패시터의 다른 쪽 단자에 일차측 코일(48A)의 한 쪽 단자를 접속하고, 일차측 코일의 다른 쪽 단자를 상기 교류 전원의 다른 쪽의 극에 접속한 트랜스(48)와,
    이 트랜스의 2차측 코일(48B)의 출력 전압을 정류하여 평활화한 제1 직류 전원(9L; 9J)과, 상기 트랜스의 2차측 코일의 출력 전압을 정류하여 평활화하고 안정화한 제2 직류 전원(9K)과,
    상기 교류 전원(6)과 부하(22)를 연결하는 회로를 온동작 시에 닫는 제1 스위칭 요소(4; 52, 53)와
    상기 제1 직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얻고 있는 제어부(2a; 102a)와, 이 제어부가 액티브가 되면 온동작하는 스위칭부(2; 102)를 구비한 제2 스위칭 요소와,
    상기 제2 직류 전원으로부터 얻은 전력으로 작동하고, 신호원(1la, 12)으로부터 입력한 신호(13)를 처리하여, 상기 제2 스위칭 요소의 제어부를 액티브로 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스위칭 요소에 온동작시키기 위한 신호(14E, 14F; 14F)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14)와,
    상기 제2 스위칭 요소의 스위칭부의 온동작에 따라, 상기 제1 직류 전원과 함께 상기 제1 스위칭 요소에 온동작을 계속시키기 위한 회로 수단
    으로 이루어지는 전력 저감 회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수단은, 상기 제2 스위칭 요소의 스위칭부(2)의 온동작에 따라, 이 스위칭부를 통과하는 전류와 상기 제1 커패시터(1)를 통과하는 전류를 상기 트랜스(48)의 일차측 코일(48A)에 공급하고, 이 일차측 코일의 전압을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직류 전원(9L)의 전류 출력 능력을 증강하고, 이 제1 직류 전원이 상기 제2 스위칭 요소의 제어부(2a)를 액티브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류 이상의 전류를 공급 가능하게 하는
    전력 저감 회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수단은,
    상기 제1 커패시터(l)에 상기 제2 스위칭 요소의 스위칭부(2)를 병렬로 접속하는 회로와,
    상기 트랜스(48)의 2차측 코일(48B)에 별도의 커패시터(47)를 병렬로 접속하는 회로
    를 포함하는 전력 저감 회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수단은,
    상기 제2 스위칭 요소의 스위칭부(2)와 저항(3a) 또는 제2 커패시터(3)를 직렬로 접속하는 회로와,
    이 회로를 상기 제1 커패시터(1)와 병렬로 접속하는 회로
    를 포함하는 전력 저감 회로.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 요소의 스위칭부는 포토 트라이악(102)으로 이루어지고, 제어부는 이 포토 트라이악의 발광측 LED(102a)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로 수단은,
    상기 포토 트라이악(2)의 출력 단자와 저항(55)을 직렬로 접속한 직렬 회로의 일단을 상기 교류 전원(6)의 한 쪽 극에 접속하고, 이 직렬 회로의 타단에 나타나는 전압을 정류하고 평활화하여 스위칭 레귤레이터 제어용 IC(58)의 전원 전압(55A)을 얻고 있는 스위칭 레귤레이터(53)와,
    상기 발광측 LED(2a)를 발광시켜 상기 포토 트라이악(2)을 온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에게 스위칭 동작을 시작시키기 위한 회로
    를 포함하는 전력 저감 회로.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 요소의 스위칭부는 포토 트라이악(102)으로 이루어지고, 제어부는 이 포토 트라이악의 발광측 LED(102a)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로 수단은,
    상기 포토 트라이악(2)의 출력 단자와 다이오드(6B) 및 저항(55)을 직렬로 접속한 직렬 회로의 일단을 상기 교류 전원(6)의 한 쪽 극에 접속하고, 이 직렬 회로의 타단에 나타나는 전압을 평활화하여 스위칭 레귤레이터 제어용 IC(58)의 전원 전압(55A)을 얻고 있는 스위칭 레귤레이터(53)와,
    상기 발광측 LED(2a)를 발광시켜 상기 포토 트라이악(2)을 온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에게 스위칭 동작을 시작시키기 위한 회로
    를 포함하는 전력 저감 회로.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과 직렬로 별도의 커패시터를 접속한 전력 저감 회로.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과 직렬로 별도의 커패시터를 접속한 전력 저감 회로.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원은, 순바이어스 모드로 접속된 포토 다이오드(11)의 일단을 절연 트랜스(l2b)의 일차측 코일(12c)의 일단에 접속하고, 이 일차측 코일(12c)의 타단을 상기 포토 다이오드(11) 타단에 접속하며, 상기 절연 트랜스(12b)의 2차측 코일(12d)의 양단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을 증폭하고 여파하여 적외광 커맨드 신호(12h)를 추출하는 신호 발생기(12)를 포함하는 전력 저감 회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 다이오드(11)와 병렬로 저항(12a)을 접속하고,
    상기 포토 다이오드(l1)의 일단과 상기 절연 트랜스(12b)의 일차측 코일(12c)의 일단 사이에 별도의 커패시터(12e)를 개재하여 장착한
    전력 저감 회로.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원은, 순바이어스 모드로 접속된 포토 다이오드(11)와 병렬로 저항(12a)을 접속하고, 이 저항(12a)의 일단을 별도의 커패시터(12i)의 일단에, 또한 상기 저항(12a)의 타단을 또 별도의 커패시터(12j)의 일단에 접속하며, 상기 별도의 커패시터(12i)와 상기 또 별도의 커패시터(12j)의 타단에 나타나는 전압을 증폭하고 여파하여 적외광 커맨드 신호(12h)를 추출하는 신호 발생기(l2)
    를 포함하는 전력 저감 회로.
  29. 교류 전원(6)의 한 쪽 극에 제1 커패시터(1)의 한 쪽 단자를 접속하고, 이 제1 커패시터(1)의 다른 쪽 단자와 상기 교류 전원(6)의 다른 쪽의 극 사이에 나타나는 교류 전압을 이용하여 직류 전원(10; 9J; 9L)을 만들며, 이 직류전원(10; 9J; 9L)으로부터 제어부의 전력을 얻고 있는 교류 스위칭 소자(2)의 출력 단자와 직렬로 제2 커패시터(3)를 접속하고, 이 교류 스위칭 소자(2)와 제2 커패시터(3)의 직렬 접속을 상기 제1 커패시터(1)와 병렬로 접속한 전력 저감 회로.
  30. 교류 전원(6)의 한 쪽 극에 제1 커패시터(1)의 한 쪽 단자를 접속하고, 이 제1 커패시터(1)의 다른 쪽 단자에 제2 커패시터(3)의 한 쪽 단자를 접속하며, 이 제2 커패시터(3)의 다른 쪽 단자(6A)와 상기 교류 전원(6)의 다른 쪽의 극(6B) 사이에 나타나는 교류 전압을 이용하여 직류 전원(10; 9J; 9 L)을 만들고, 이 직류 전원(10; 9J; 9L)으로부터 제어부의 전력을 얻고 있는 교류 스위칭 소자(2)의 출력 단자와 상기 제1 커패시터(1)를 병렬로 접속한 전력 저감 회로.
  31. 교류 전원(6)을 전자기기(22)에 공급하는 제1 회로와,
    상기 교류 전원의 피상전력으로부터 얻은 직류 전원(10)과,
    상기 제1 회로에 개재되어 장착되며 상기 직류 전원의 전력에 의해 폐로 상태로 기동 가능한 제1 스위치(4)와,
    이 제1 스위치에 폐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서 상기 직류 전원의 전력을 보강하는 전원 회로(9)와,
    이 전원 회로에 상기 교류 전원의 전력을 공급하는 제2 회로(3)와,
    이 제2 회로에 개재되어 장착되며 상기 직류 전원의 전력에 의해 폐로 상태로 기동 가능한 제2 스위치(2)
    로 이루어지는 전력 저감 회로.
KR10-2001-7002943A 1998-09-07 1999-09-06 전력 저감 회로 KR100387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128098 1998-09-07
JP98-291280 1998-09-07
JP98-331858 1998-10-16
JP33185898 1998-10-16
JP4046799 1999-01-08
JP99-40467 1999-01-08
JP7429599 1999-02-13
JP99-74295 1999-0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195A KR20010082195A (ko) 2001-08-29
KR100387111B1 true KR100387111B1 (ko) 2003-06-18

Family

ID=27460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2943A KR100387111B1 (ko) 1998-09-07 1999-09-06 전력 저감 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89725B1 (ko)
EP (1) EP1137151A4 (ko)
KR (1) KR100387111B1 (ko)
WO (1) WO200001485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823B1 (ko) * 2008-03-10 2010-08-09 (주)지엠지시스템 대기 전력 절감 장치
WO2013162310A1 (ko) * 2012-04-26 2013-10-31 Kim Chang Ho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KR101327335B1 (ko) 2011-06-23 2013-11-11 김철우 저전류 계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103880A1 (en) * 2001-06-15 2002-12-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ower supply for household appliance with standby mode and household appliance using said power supply
US7388306B2 (en) * 2001-08-06 2008-06-17 Emerson Electric, Co. Appliance control system with power controller
JP3849933B2 (ja) * 2002-09-03 2006-11-22 新電元工業株式会社 省電力回路
TW595127B (en) * 2003-04-09 2004-06-21 Wistron Neweb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management of electronic device
US7840142B2 (en) * 2004-07-23 2010-11-23 Thomson Licensing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US20060077002A1 (en) * 2004-10-08 2006-04-13 White Richard T Apparatus and methods for saving power and reducing noise in integrated circuits
US7602158B1 (en) 2005-03-21 2009-10-13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Power circuit for generating non-isolated low voltage power in a standby condition
TWI316176B (en) * 2005-05-06 2009-10-21 Amtran Technology Co Ltd Power switch circuit
KR100787223B1 (ko) * 2005-09-27 2007-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초절전형 팩시밀리 장치
JP4708976B2 (ja) * 2005-11-22 2011-06-22 株式会社リコー 同期整流型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同期整流型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の制御回路及び同期整流型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の動作制御方法
GB0706401D0 (en) * 2007-04-04 2007-05-09 Universal Concepts Ltd Power saving means
JP2009123804A (ja) * 2007-11-13 2009-06-04 Sharp Corp 半導体装置、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電力制御装置、電子機器およびモジュール
DE102007062797A1 (de) * 2007-12-27 2009-07-02 Robert Bosch Gmbh Elektrogerät
US20090179886A1 (en) * 2008-01-14 2009-07-16 Tai-Her Yang Uni-directional light emitting diode drive circuit in bi-directional power parallel resonance
JP5315986B2 (ja) * 2008-12-26 2013-10-16 ヤマハ株式会社 電源回路および電源システム
GB2484034B (en) 2009-07-21 2015-06-03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Latching relay control circuitry
US10992142B2 (en) 2010-07-26 2021-04-27 Robert M. Schwartz Current sensing circuit disconnect device and method
US10050459B2 (en) 2010-07-26 2018-08-14 Robert M. Schwartz Current sensing circuit disconnect device and method
US9627903B2 (en) 2009-07-24 2017-04-18 Robert M. Schwartz Current sensing circuit disconnect device and method
FR2951332B1 (fr) * 2009-10-12 2016-11-11 Fagorbrandt Sas Circuit d'alimentation capacitive d'un appareil electrique
US20110095728A1 (en) 2009-10-28 2011-04-28 Superior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harging batteries in a more efficient manner
JP5501851B2 (ja) * 2010-05-12 2014-05-28 Tone株式会社 位相制御装置
KR101199199B1 (ko) * 2010-12-27 2012-11-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WO2012089446A2 (en) * 2010-12-27 2012-07-05 Arcelik Anonim Sirketi A control unit used in household appliances
KR101960309B1 (ko) 2012-09-13 2019-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CN103138124A (zh) * 2013-03-01 2013-06-05 湖南奥盟电器有限公司 红外遥控微功耗待机插座
US20170324270A1 (en) * 2013-12-26 2017-11-09 Calvin Shie-Ning Wang Standby circuit, and outlet, plug, and device having the same
KR101717013B1 (ko) * 2016-02-12 2017-03-15 (주)이젝스 직류 전원 공급 장치
US11277024B2 (en) 2020-07-24 2022-03-15 ZQ Power, LL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6930A (en) * 1975-04-02 1978-01-03 Electrides Corporation Energizing circuits for fluorescent lamps
JPH02500080A (ja) * 1986-09-29 1990-01-11 ブラック アンド デッカー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非分離型温度応答バッテリ充電器
US5498931A (en) * 1990-03-10 1996-03-12 Tlg Plc Method for automatic switching and control of lighting
DE19600962A1 (de) * 1996-01-12 1997-07-17 Siemens Ag Schaltnetzteil mit verlustleistungsarmem Standby-Betrieb
JP3196157B2 (ja) 1997-04-30 2001-08-06 伸 中川 省電力電気機器またはその電源装置
CN1168210C (zh) * 2000-06-27 2004-09-22 百利通电子(上海)有限公司 红外线感应照明灯电子开关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823B1 (ko) * 2008-03-10 2010-08-09 (주)지엠지시스템 대기 전력 절감 장치
KR101327335B1 (ko) 2011-06-23 2013-11-11 김철우 저전류 계전기
WO2013162310A1 (ko) * 2012-04-26 2013-10-31 Kim Chang Ho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KR101494822B1 (ko) * 2012-04-26 2015-02-23 김창호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US9761130B2 (en) 2012-04-26 2017-09-12 Milpros Co., Ltd. Standby electric power cutoff apparatus for electronic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37151A1 (en) 2001-09-26
KR20010082195A (ko) 2001-08-29
US6489725B1 (en) 2002-12-03
WO2000014850A1 (fr) 2000-03-16
EP1137151A4 (en) 2004-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7111B1 (ko) 전력 저감 회로
KR100378813B1 (ko) 전기 기기의 대기 전력 절감 회로
US6107698A (en) Power supply circuit for electric devices
KR100687699B1 (ko) 전자기기의 전원장치
JP4618468B2 (ja) 電源装置
US10985662B2 (en) Power converter responsive to device connection status
US4121282A (en) Power supply circuit
EP1120891A3 (en)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EP099623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aving mode in a power supply
US9118250B2 (en) Power supply circuit for remotely turning-on electrical appliances
US5225972A (en) Power source
US6462972B2 (en) Power source apparatus for providing a power source in a standby mode and a pulse generating apparatus
GB2310570A (en) Subscriber unit with power supply operable in linear and switched modes; portable radio data packet modem
US8471547B2 (en) Circuit arrangement and method for inductive energy transfer
JP3247199B2 (ja) 充電装置
JP2001045749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JP2000217161A (ja) リモ―トコントロ―ラ用待機時電力供給装置
KR102539463B1 (ko) 제로 스탠바이 파워 시스템
JP2000324421A (ja) 電子機器の待機電源回路
JP2002051549A (ja) スイッチング電源用半導体装置
KR910007541B1 (ko) Tv/라디오 절환 회로
JP2000333385A (ja) 電源装置
JP2001037235A (ja) 待機電源装置
JPH02261049A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JP2003111397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