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6310B1 - 천연물로부터 분리한 항 hiv 제제 - Google Patents

천연물로부터 분리한 항 hiv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6310B1
KR100386310B1 KR10-2000-0041969A KR20000041969A KR100386310B1 KR 100386310 B1 KR100386310 B1 KR 100386310B1 KR 20000041969 A KR20000041969 A KR 20000041969A KR 100386310 B1 KR100386310 B1 KR 100386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group
hiv
hydrogen
ferulo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1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8944A (ko
Inventor
박호군
우은란
김형자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0-0041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6310B1/ko
Publication of KR20020008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8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3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5Verbenaceae (Verbena family)
    • A61K36/855Clerodendrum, e.g. glorybow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AIDS치료제인 HIV의 역전사효소 저해제나 프로티아제 저해제의 문제점인 약물내성이나 부작용이 없는 효과적인 HIV치료를 위한 누리장 나무의 알콜 추출물 또는 이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 HIV제제, 특히 HIV 인티그라제 저해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연물로부터 분리한 항 HIV 제제{ANTI-HIV COMPONENTS ISOLATED FROM NATURAL PRODUCT}
본 발명은 누리장나무의 알콜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 정제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제제, 특히 HIV 인티그라제(integrase)에 대한 저해제에 관한 것이다.
HIV (HIV-1/HIV-2)는 주로 사람의 임파구를 공격하는 바이러스로 외피(envelope)로 둘러싸여 있으며, 유전물질인 RNA 게놈 (genome)을 DNA로 전사시킨 후 숙주세포의 DNA에 삽입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레트로바이러스로 불려지기도 한다. HIV 구조는 가장 내부에 유전정보인 RNA와 역전사효소(reverse transcriptase)가 존재하고, 이 RNA와 역전사효소는 껍질 단백질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그 바깥쪽에는 gp120과 gp41으로 불리는 당단백질을 포함하는 지질막이 보호막을 형성하고 있으며, gp120는 바이러스가 T-세포를 인식하여 침투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항면역결핍 약제를 개발하기 위한 화학요법으로서 HIV의 생활주기 중 다음과 같은 저해단계로 나눌 수 있다. 1) 바이러스의 당단백질인 gp120과 숙주세포의 CD4수용체간의 작용을 저해하거나, 2) 바이러스의 RNA를 프로바이러스 DNA로 바꾸는데 관여하는 역전사효소를 저해하거나, 3) 바이러스의 조절단백질(viral regulatory protein, tat, rev)의 작용을 저해하거나, 4) 바이러스의 전구단백질의 분해저해, 5) 바이러스의 당단백질 성숙을 위하여 올리고당의 포도당 또는 만노스를 분해하는 효소인 포도당 분해효소(glucosidase) 또는 만노즈 분해효소(mannosidase)의 작용저해 등을 들 수 있다.
그 동안 HIV와 인간세포간의 차이점을 이용하여 선택적인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는 약제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현재까지의 바이러스 세포증식을 억제하는 저해제로서 상기 1) 작용을 가지는 덱스트란 설페이트(dextran sulfate), 펩타이드 T가 있고, 2)와 같은 역전사효소 저해작용을 갖는 약제로서는 디데옥시시티딘(DDC), 디데옥시이노신(DDI), AZT(zidobudine, azidothymidine)등이 있으며, 그 밖에도 리바비린(ribavirin), 카스타노스퍼민(castanospermine), 지엘큐 223(GLQ 223),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가 있으며, 단백질 분해효소 저해제 등이 있으나 부작용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아직도 효과적인 AIDS치료약으로 쓰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까지 AIDS 치료제로 가장 잘 알려진 AZT, DDC 및 DDI가 역전사효소 저해제로 임상적으로 쓰여지고 있으나 효과나 부작용면에서 만족할 만한 것은 없다. AZT는 AIDS 치료에 어느 정도 효과적인 약물이지만 질병이 완치되지는 않으며, 6개월 이상 치료하면 약효가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과립구감소증과 빈혈 등 심각한 부작용이 있으며, 이외에도 두통, 구역, 불면증 등의 중추신경계 부작용이 있다. AZT는 반감기가 짧으며, 장기복용시 AZT 내성 HIV-1 균주가 나타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AIDS 치료제로서 조건부 허가를 받은 DDI도 췌장염, 말초심경장해와 같은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나므로 AZT에 대해 효과를 나타내지 않거나, 독성 등으로 AZT의 사용이 중단된 환자에게만 처방이 가능하다. 포스포네이트 유도체인 포스카르네트(foscarnet)는 바이러스의 역전사효소의 피로포스페이트(pyrophosphate) 결합부위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활성을 나타내며, AIDS 환자의 망막염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이 화합물도 치료 중단시 AIDS가 다시 발병하며, 신장기능 저하 등의 부작용을 나타낸다.
또 다른 치료제로서 HIV의 프로테아제 저해제가 있다. HIV의 껍질 단백질과 필요한 효소를 만드는 경우에, 외피 단백질과 효소들이 모두 붙어있는 gag 단백질 (p55)과 gag-pol 단백(p165)같은 전구 단백질형태로 만든 후, 자체내의 프로테아제에 의해 분해하여 외피 단백질과 프로테아제, 역전사효소 및 인티그라제등이 제조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프로테아제를 억제하면 바이러스의 복제가 중단되므로 이에 기초하여 약물을 개발한 것이 프로테아제 억제제이다.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제로서는 사퀴나비르(Saquinavir), 리토나비르(Ritonavir), 이디나비르(Indinavir) 등이 개발되어 AIDS 환자의 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또한 당뇨병, 용혈, 출혈, 과지방혈증, 지방대사 장해 등의 부작용을 가지며, 치료제를 장기간 복용해야 하기 때문에 치료제에 대한 내성주가 출현하여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아직도 HIV 감염자와 ADIS 환자는 세계적으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의 치료를 위해서는 기존의 치료제보다 부작용이 적고, 복용이 간편하며 기존의치료제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는 유전자 부위에 대하여 내성주가 생성되지 않는 값싼 약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AIDS 치료제로 개발된 역전사효소 저해제나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의 부작용과 내성주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HIV 복제에 필수효소중 하나인 인티그라제를 저해할 수 있는 치료제가 아직 개발되고 있지 않으므로, 인티그라제 억제제를 AIDS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하여 천연물로부터 인티그라제 억제제를 탐색하였다.
상기와 같은 AIDS치료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항 HIV 활성, 특히 HIV 인티그라제 저해활성을 갖는 누리장 나무의 알콜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음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 HIV 제제, 바람직하게는 HIV 인티그라제 저해제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2는 수소, 카페오일기, 또는 페룰로일기이고, R3는 수소, 카페오일기, 또는 페룰로일기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AIDS치료제인 HIV의 역전사효소 저해제나 프로티아제 저해제의 문제점인 약물내성이나 부작용이 없는 효과적인 HIV치료를 위한 누리장 나무의 알콜 추출물 또는 이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 HIV제제, 특히HIV 인티그라제 저해제에 관한 것이다.
HIV의 인티그라제는 분자량이 32 KD이며 288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효소의 유전자는 pol유전자의 3' 끝에 존재하여, gag-pol 전구체 단백질의 폴리펩타이드의 일부로 생성되어 바이러스 입자의 성숙단계에서 바이러스의 프로테아제에 의하여 절단되어 활성화된다. 바이러스에 존재하는 인티그라제에 대하여는 자세한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으나, 박테리아에서 유전자 조작을 통해 분리 정제한 인티그라제는 시험관내(in vitro)에서 DNA, RNA, 단일사슬 DNA등과 강한 비 특이적 결합을 하는 DNA 결합활성, 바이러스 DNA의 염기서열과 유사한 올리고 뉴클레오타이드의 양끝에 존재하는 두 개의 뉴클레오타이드를 특이적으로 절단하는 엔도뉴클레오타이드 절단활성(endonucleolytic cleavage activity), 잘려진 기질을 표적 DNA에 공유 결합시키는 병합활성(integration activity) 및 이미 병합된 기질을 다시 분리하는 분리활성(disintegration activity) 등의 특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티그라제와 유사기능을 하는 단백질이 인간의 세포내에 존재하지 않으며, 인트그라제의 활성을 차단하는 물질의 발굴은 바이러스의 복제를 차단할 수 있으므로 에이즈의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HIV 인티그라제 억제제를 개발하는 것은 AIDS 치료에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HIV는 인간의 T-임파구에 감염하여, 원형질에서 바이러스 RNA 유전자를 DNA 유전자로 바꾸고, DNA 유전자가 세포의 핵 안으로 이동하여 들어가서 임파구 세포의 유전자 안에 병합(integration)한다. 이 과정은 바이러스가 자손바이러스를 생성하는 과정 중에 반드시 필요한 단계로써 이때 작용하는 효소가 바이러스 특이효소인 인티그라제이며, 인티그라제의 활성을 차단하는 것은 바이러스의 복제를 차단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따라서 바이러스의 또 다른 특유효소인 인티그라제를 저해하는 약물의 발굴은 바이러스 감염을 초기단계에 방지할 수 있는 아주 유효한 약물이다.
이에,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천연물 추출물을 대상으로 HIV 인티그라제 억제제에 대한 활성을 검색한 결과, 누리장나무(Clerodendron trichotomum) 알콜 추출물 또는 이 추출물에서 분리 및 정제한 다음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HIV 인티그라제 저해제 및 항 HIV제제를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누리장나무에서 분리한 다음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HIV 인테그라제의 저해제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여기서,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2는 수소, 카페오일기, 또는 페룰로일기이고, R3는 수소, 카페오릴기, 또는 페룰로일기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에서 다음의 치환기를 갖는 화합물에 관한것이다.
R1 R2 R3
화합물 1 H 카페오일 H
화합물 2 H H 카페오일
화합물 3 H 페룰로일 H
화합물 4 메틸기 카페오일 H
화합물 5 H H 페룰로일
상기 카페오일기는 다음 화학식 2와 같고, 페룰로일기는 다음 화학식 3과 같다.
교학사 발행의 원색 한국 본초도감에 의하면, 누리장 나무는 마편초과의 갈잎떨기나무이며 누리장나무의 가지와 잎을 취오동이라 부르며, 혈압강하 작용, 가벼운 진통·진정 작용과 같은 약리작용이 있으며, 또한 풍습을 제거하므로 희렴과 같이 달여서 복용하면 관절염, 사지마비 및 반신불수에 좋고, 습진, 피부가려움증에 취오동을 달인 물로 환부를 세척하면 좋다고 기재되어 있다. 임상으로 보고된 바는 고혈압에 지속적인 혈압강하 작용을 있으며, 만성기관지염에 150g씩을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하면 효과가 있고, 학질에도 양호한 반응을 나타낸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와 같은 약리작용 외에도, 본 발명자들은 누리장나무의 알콜추출물 및 분리정제 성분이 항바이러스 작용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잘게 썬 누리장나무 줄기를 메탄올 또는 에탄올 등의 저급알코올로 냉침하여 얻은 메탄올 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킨 후, 부탄올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유기 용매로 추출하여 유기 용매 분획을 얻고, 각 분획물에 대해 활성을 검색하였다. 활성 검색 결과 뚜렷한 활성을 나타낸 아세트산 에틸 가용 분획에 대해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라피 및 RP-18 역상 크로마토그라피, 세파덱스 LH-20 칼럼 크로마토그라피, 분취용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라피등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면역결핍 바이러스 인티그라제를 강력하게 저해하는 표 1에 나타낸 5개의 화합물을 정제하였다.
상기 분리한 화합물 페닐 프로파노이드 글리코사이드 화합물들의 전체적인 구조는 질량(mass)분광기, 적외선(IR)분광기, 2D 핵자기공명(NMR) 분광기, 장범위(long-range)13C-1H COSY를 사용하여 밝혀졌다.
분리된 화합물은 화합물 1인 악테오시드(acteoside) [참조 : Andary, C.et al. Phytochemistry 21(5), 1123-1127 (1982)], 화합물 2인 악테오시드 이성질체(acteoside isomer)[참조 : Miyase, T.et al. Chemical Pharmaceutical Bulletin, 30(8), 2732-2737(1982)], 화합물 3인 류코셉토시드 A (leucosceptoside A) [참조 : Ismail, L. D.et al. Phytochemistry 39(6), 1391-1393(1995)], 화합물 4인 지노시드 D (jionoside D)[참조 : Sasaki, H.et al. Phytochemistry 28(3), 875-879(1989)], 화합물 5인 플란타노시드 C (plantainoside C) [참조 : Miyase, T.et al. Phytochemistry 30(6), 2015-2018(1991)]를 분리하였다.
본 발명의 누리장나무의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정제된 화합물을 함유하며, 통상의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을 함유하는 항 HIV제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 HIV제제는 단독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약리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담체는 본 발명의 활성성분과 양립가능하며 수용체에 유해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항 HIV제제는 통상의 환자 증후와 질병의 심각도에 기초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항 HIV제제는 산제, 정제, 캡슐제, 액제, 주사제, 연고제, 시럽제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단위-투여량 또는 다-투여량 용기, 예를들면 밀봉된 앰플 및 병 등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투여경로는 정맥으로, 복막내로, 피하로, 근육내 또는 피내로등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 적합한 경로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경로는 수용체의 조건과 나이 등의 조건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이들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누리장나무 줄기의 추출, 분리 및 정제
잘게 썰어 말린 누리장나무 줄기 4.8 Kg을 실온에서 메탄올 (12ℓx 3)로 추출하였다. 그런 다음, 디클로르메탄(CH2Cl2)과 물로 분획한 뒤 물층을 다시 아세트산에틸(EtOAc), 부탄올(BuOH)로 분획한 뒤 활성을 나타낸 10.2g의 아세트산 에틸가용 분획을 세파덱스 LH-20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실시하고, 메탄올로 용출시켜 4개의 소분획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물에 대해 활성을 검색한 뒤 활성을 나타낸 소분획에 대해 세파덱스 LH-20, 실리카젤 컬럼 크로마토 그라피, LiChroprep RP-18, 분취용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라피를 실시하여 화합물 1을 880.8 mg, 화합물 2를 141.2 mg, 화합물 3을 103.9 mg, 화합물 4을 6.4 mg, 화합물 5을 12.9 mg씩 각각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생물활성측정
인티그라제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바이러스 DNA의 끝 부분 염기배열과 같은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사용하여 인티그라제의 엔도뉴클레오타이드 절단활성(endonucleolytic cleavage activity)를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측정에 사용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A (5'TGTGGAAAATCTCTAGCAGT3')의 3' 말단을 다음과 같이 표식하였다. 5 ul (100 ng)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A를 10 X 키나제 완충액(0.5 M TrisHCl, pH 8.0, 0.1 M MgCl2, 50 mM DTT, 1 mM EDTA) 4 ul,32P-ATP (5 mCi/ml) 30 ul 와 T4 DNA 폴리뉴클레오타이드 키나제(10 unit/ul) 1 ul 에 넣고 37oC 에서 30 분간 반응하고 1 ul의 0.5 M EDTA를 넣고 85oC 에서 15 분간 가열하였다. 상보적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B (5'ACTGCTAGAGATTTTCCACA3') 10 ul (200 ng)을 넣고 끓는 물 속에 담근 후, 하룻밤 동안 천천히 식힌다. 반응하지 않은32P-ATP는 Sephadex G25 칼럼을 이용해서 분리하여 제거하였다. 먼저 미리 충진된 칼럼에 존재하는 용액을 버리고, TEN (10 mM TrisHCl, 1 mM EDTA, 100 mM NaCl) 5 ml 로 겔을 세척하고, 상층에 반응물 (약 52 ul)를 마이크로피펫으로 로딩하고, 용충액을 한 분획에 2 방울씩 (약 100 ul) 모았다. 반응물이 완전히 흡수된 후, 200 ul 의 TEN으로 두 번 세척하고, 4 ml의 TEN으로 세척하였다. 각 분획 1 ul를 whatman 여과지에 묶혀서 방사능 양을 측정하여 표식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위치를 확인하였다.
절단활성은 3 pmol의 표식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기질과 30 pmol의 인티그라제를 10 ul의 10 mM TrisHCl, 1 mM MnCl2에 넣고 34oC에서 90 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은 4 ul의 반응종료용액을 넣어 종료시키고, 2-4 ul의 반응물을 20 % 폴리아크릴아미드 서열분석용 겔에 로딩하여 20 염기의 기질이 18염기로 전환된 것을 측정하였다. 이 반응의 최적조건을 알기 위하여 반응 완충액의 조성과 2가 금속이온의 종류와 농도를 달리하여 절단분석을 반복적으로 시행하여 가장 적합한 반응조건을 확립하고, 이를 토대로 효소활성 발현의 저해제로 작용할 수 있는 화합물들의 존재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그 활성의 감소를 측정하여 저해제를 탐색하였다.
상기 방법에 따라, 화합물 1 내지 5의 5개의 화합물들이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인티그라제를 강력하게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이들 화합물들의 HIV 인티그라제에 대한 저해활성은, 방사선 동위원소를 포함하고 있는 올리고 뉴클레오타이드 기질에 대한 면역결핍 바이러스 인티그라제에 의해 분해반응을 본 화합물이 저해하는 정도, 즉 효소반응 후 얻어진 반응 부산물을 전기영동하여 얻어진 겔에 대한 오토라디오그라피(autoradiography)를 실시하여 결정하였다. [참조 : Oh-J. W.et al., Mol. Cells, 6, 96 (1996)] 표 2은 각 화합물에 대한 IC50를 나타내고 있다.
HIV 인티그라제에 대한 화합물 1 내지 5의 저해 활성
화합물 IC50(μg/ml)
화합물 1화합물 2화합물 3화합물 4화합물 5 4.9 ±2.38.6 ±3.818.8 ±2.936.1 ±13.026.7 ±26.4
실시예 3 : 화합물 (1)의 분리
적외선(IR)분광기 측정을 위해서 시료를 KBr과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MeOH 용액, 25℃에서 선광도 [α]D를 측정하였다. 300MHz (1H)와 75.5MHz (13C)의 NMR 스펙트럼을 측정하였고 각 피크의 화학적 쉬프트(chemical shift)는 내부 표준물질인 트리메틸실란에 대한 상대값으로 나타냈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화합물 (1) 함유 분획 10.2 g을 메탄올을 용출제로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세파덱스 LH-20칼럼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를 반복 실시하여 화합물 (1)을 함유하는 분획 2.51g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분획을 이소프로필알콜/메탄올/물(5:25:75)의 혼합 용매를 용출제로 사용하여 역상 칼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실시하여 목적하는 화합물 (1)을 880.8 mg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화합물(1)은 문헌 [참조: Phytochemistry 21(5), 1123-1127 (1982)]에 공지된 것과 일치하는 이화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수득한 화합물 (1) 약10 mg을 메탄올-d4(99.5%) 600㎕에 용해시키고 탄소 핵자기 공명스펙트럼을 측정하면 특징적인 화합물 (1)의 피크를 나타낸다. 또한 화합물 (1)의 질량 스펙트럼(ESMS)은 647([M+Na]+)의 피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합물 1의 화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α]21 D- 106.02 (c0.0214, MeOH)
ES / MS m/z: 647 (M + Na)+, C29H36O15
IR (KBr):νmax (cm-1) 3380, 1695, 1628, 1602, 1515
실시예 4: 화합물 (2)의 분리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화합물 (2) 함유 분획 10.2 g을 실시예 3와 동일하게 처리하여 정제한 결과, 화합물 (2) 141.2 mg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화합물(2)은 문헌 [참조: Chemical Pharmaceutical Bulletin, 30(8) 2732-2737(1982)]에 공지된 것과 일치하는 이화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수득한 화합물 (2) 약 10 mg을 메탄올-d4(99.5%) 600㎕에 용해시키고 탄소 핵자기 공명스펙트럼을 측정하면 특징적인 화합물 (2)의 피크를 나타낸다. 또한 화합물 (2)의 질량 스펙트럼(ESMS)은 647([M+Na]+)의 피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합물 2의 화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α]21 D- 55.29 (c0.01635, MeOH)
ES / MS m/z: 647 (M + Na)+, C29H36O15
IR (KBr):νmax (cm-1) 3380, 1695, 1628, 1602, 1515
실시예 5: 화합물 (3)의 분리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화합물 (3) 함유 분획 10.2 g을 메탄올을 용출제로 사용하여 실시예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세파덱스 LH-20 칼럼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를 반복 실시하여 화합물 (3)을 함유하는 분획 2.72g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분획을 디클로로메탄/메탄올/물(6:1.2:0.6)의 혼합 용매를 용출제로 사용하여 실리카겔 칼럼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를 반복 실시하여 얻은 분획을 다시 이소프로필알콜/메탄올/물(5:30:70)의 혼합 용매를 용출제로 사용하여 역상 칼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실시하여 목적하는 화합물 (3)을 103.9 mg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화합물(3)은 문헌 [참조: Phytochemistry 39(6), 1391-1393(1995)]에 공지된 것과 일치하는 이화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수득한 화합물 (3) 약 10 mg을 메탄올-d4(99.5%) 600㎕에 용해시키고 탄소 핵자기 공명스펙트럼을 측정하면 특징적인 화합물 (3)의 피크를 나타낸다. 또한 화합물 (3)의 질량 스펙트럼(ESMS)은 661([M+Na]+)의 피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합물 3의 화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α]21 D- 103.25 (c0.0338, MeOH)
ES / MS m/z: 661 (M + Na)+, C30H38O15
IR (KBr):νmax (cm-1) 3400, 1700, 1625, 1600, 1590, 1515
실시예 6: 화합물 (4)의 분리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화합물 (4) 함유 분획 10.2 g을 메탄올을 용출제로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세파덱스 LH-20칼럼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를 반복 실시하여 화합물 (4)을 함유하는 분획 4.65g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분획을 메탄올/물(38 : 62)의 혼합 용매를 용출제로 사용하여 역상 칼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실시하여 얻은 분획을 다시 이소프로필알콜/메탄올/물(5:30:70)의 혼합 용매를 용출제로 사용하여 분취용 역상 MPLC를 실시하여 목적하는 화합물 (4)을 6.4 mg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화합물(4)은 문헌 [참조: Phytochemistry 28(3), 875-879(1989)]에 공지된 것과 일치하는 이화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수득한 화합물 (4)은 메탄올-d4(99.5%) 600㎕에 용해시키고 탄소 핵자기 공명스펙트럼을 측정하면 특징적인 화합물 (4)의 피크를 나타낸다. 또한 화합물 (4)의 질량 스펙트럼(ESMS)은 661([M+Na]+)의 피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합물 4의 화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α]21 D- 95.0 (c0.0024, MeOH)
ES / MS m/z: 661 (M + Na)+, C30H38O15
IR (KBr):νmax (cm-1) 3424, 1698, 1632, 1604
실시예 7: 화합물 (5)의 분리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화합물 (5) 함유 분획 10.2 g을 메탄올을 용출제로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세파덱스 LH-20칼럼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를 반복 실시하여 화합물 (5)을 함유하는 분획 2.72g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분획을 디클로로메탄/메탄올/물(6:1.2:0.6)의 혼합 용매를 용출제로 사용하여 실리카겔 칼럼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를 반복 실시하여 얻은 분획을 다시 메탄올/물(50:50)의 혼합 용매를 용출제로 사용하여 분취용 역상 얇은막 칼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실시하여 목적하는 화합물 (5)을 12.9 mg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화합물(5)은 문헌 [참조: Phytochemistry 30(6), 2015-2018(1991)]에 공지된 것과 일치하는 이화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수득한 화합물 (5)은 메탄올-d4(99.5%) 600㎕에 용해시키고 탄소 핵자기 공명스펙트럼을 측정하면 특징적인 화합물 (5)의 피크를 나타낸다. 또한 화합물 (5)의 질량 스펙트럼(ESMS)은 661([M+Na]+)의 피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합물 5의 화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α]21 D- 50.92 (c0.00485, MeOH)
ES / MS m/z: 661 (M + Na)+, C30H38O15
IR (KBr):νmax (cm-1) 3400, 1700, 1630, 1590, 1510
본 발명은 누리장 나무의 알콜 추출물 또는 이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 HIV제제, 특히 HIV 인티그라제 저해제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HIV 치료제인 역전사효소 저해제나 프로티아제 저해제의 문제점인 약물내성이나 부작용이 없는 효과적인 HIV치료제라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8)

  1. 항 HIV 활성을 갖는, AIDS 치료용 누리장나무(Clerodendron trichotomum)의 알콜 추출물.
  2. 제 1 항에 있어서, HIV 인티그라제의 저해활성을 갖는, AIDS 치료용 누리장나무(Clerodendron trichotomum)의 알콜 추출물.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다음식을 갖는 화합물이 함유된 AIDS 치료용 누리장 나무의 알콜 추출물:
    [화학식 1]
    여기서,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2는 수소, 카페오일기, 또는 페룰로일기이고, R3는 수소, 카페오릴기, 또는 페룰로일기이다.
  4. 다음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AIDS 치료용 항 HIV 제제:
    [화학식 1]
    여기서,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2는 수소, 카페오일기, 또는 페룰로일기이고, R3는 수소, 카페오릴기, 또는 페룰로일기이다.
  5. 다음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AIDS 치료용 HIV 인티그라제 저해제:
    [화학식 1]
    여기서,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2는 수소, 카페오일기, 또는 페룰로일기이고, R3는 수소, 카페오릴기, 또는 페룰로일기이다.
  6. 제 5 항에 있어서, R1과 R3가 수소일 때 R2는 카페오릴기 또는 페룰로일기인, AIDS 치료용 HIV 인티그라제 저해제.
  7. 제 5 항에 있어서, R1과 R2가 수소일 때 R3는 카페오릴기 또는 페룰로일기인, AIDS 치료용 HIV 인티그라제 저해제.
  8. 제 5 항에 있어서, R1이 메틸기이고 R2가 카페오릴기이고 R3가 수소인, AIDS 치료용 HIV 인티그라제 저해제.
KR10-2000-0041969A 2000-07-21 2000-07-21 천연물로부터 분리한 항 hiv 제제 KR100386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1969A KR100386310B1 (ko) 2000-07-21 2000-07-21 천연물로부터 분리한 항 hiv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1969A KR100386310B1 (ko) 2000-07-21 2000-07-21 천연물로부터 분리한 항 hiv 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8944A KR20020008944A (ko) 2002-02-01
KR100386310B1 true KR100386310B1 (ko) 2003-06-02

Family

ID=19679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1969A KR100386310B1 (ko) 2000-07-21 2000-07-21 천연물로부터 분리한 항 hiv 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631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91292A (ja) * 1989-01-18 1990-07-27 Tsumura & Co アクテオシドの製造法
JPH03271227A (ja) * 1990-03-20 1991-12-03 Tsumura & Co 糖尿病治療剤
JPH0859475A (ja) * 1994-08-25 1996-03-05 Tsumura & Co アシルアクテオシド誘導体を有効成分とする免疫抑制剤
JP2000178198A (ja) * 1998-12-11 2000-06-27 Lion Corp 細胞賦活剤
JP2000191542A (ja) * 1998-12-25 2000-07-11 Lion Corp 骨粗鬆症予防、治療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91292A (ja) * 1989-01-18 1990-07-27 Tsumura & Co アクテオシドの製造法
JPH03271227A (ja) * 1990-03-20 1991-12-03 Tsumura & Co 糖尿病治療剤
JPH0859475A (ja) * 1994-08-25 1996-03-05 Tsumura & Co アシルアクテオシド誘導体を有効成分とする免疫抑制剤
JP2000178198A (ja) * 1998-12-11 2000-06-27 Lion Corp 細胞賦活剤
JP2000191542A (ja) * 1998-12-25 2000-07-11 Lion Corp 骨粗鬆症予防、治療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8944A (ko) 200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u et al. Recent progress in the development of coumarin derivatives as potent anti‐HIV agents
Schröder et al. Differential in vitro anti-HIV activity of natural lignans
US5145839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CN101132795B (zh) 用于hiv治疗的化合物
JP2001500471A (ja) プロテアーゼインヒビターの生物学的及び抗ウイルス活性を改善する方法
US20130131158A1 (en) Antiviral composition
EP0476066B1 (en) 3'-azido-2',3'-dideoxy-5-methylcytidine anti-viral composition
JP4887305B2 (ja) Hivの治療に有用な化合物
JP2008526713A5 (ko)
JPH11106395A (ja) 新規な糖脂質、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KR100386310B1 (ko) 천연물로부터 분리한 항 hiv 제제
KR100543897B1 (ko) 치자 추출물 및 치자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및 그 용도
JPH08508715A (ja) 抗ウイルス性ナフトキノン化合物、その組成物および用途
Grollman et al. Emetine and related alkaloids
AP675A (en) Isolation of natirally occuring isoflavanone and some clinical uses thereof.
US5077279A (en) 3'-azido-2',3'-dideoxy-5-methylcytidine anti-viral composition
KR100512096B1 (ko)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국화 추출물
KR100566193B1 (ko) 신규의 3-니트로피리딘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약학적조성물
JP2531487B2 (ja) 抗hiv活性を有する新規な抽出物
LU500160B1 (en) Novel BH3 Mimetic Peptide Compounds Targeting PTP1B,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US7704957B2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HIV activity extracted from Paecilomyces sp. (Tochu-kaso) J300
CA3014652A1 (en) Cloning and expression of comosain's minigene as immuno-target therapy in treating and/or preventing various types of cancer in a mammal
EP0586298B1 (en) Inhibitor of herpes simplex viral thymidine kinase
EP1367044B1 (en) Calixarene-derivatives having anti-viral activity
WO1989009056A1 (en) Antiviral composition containing aromatic polycyclic diones and nucleoside analogs and method for treating retrovirus infe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