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5855B1 - 통신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가입자회선 정합용 복합 통신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가입자회선 정합용 복합 통신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5855B1
KR100385855B1 KR10-2000-0083258A KR20000083258A KR100385855B1 KR 100385855 B1 KR100385855 B1 KR 100385855B1 KR 20000083258 A KR20000083258 A KR 20000083258A KR 100385855 B1 KR100385855 B1 KR 100385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controller
communication
communication service
ds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3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4225A (ko
Inventor
소운섭
이종형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0-0083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5855B1/ko
Publication of KR20020054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4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8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04M11/062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us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for speech and oth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 Digital Subscriber Line) 정합용 복합 통신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토피아 버스를 통하여 단말측 DSL(Digital Subscriber Line) 처리부와 통신하는 통신 서비스 제어기; 상기 통신 서비스 제어기에 연결되어 USB 포트를 갖는 USB 접속 기기와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USB 접속부; 상기 통신 서비스 제어기에 연결되어 이더넷 또는 HomePNA로 SOHO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접속부; 상기 통신 서비스 제어기에 연결되어 인터넷을 통한 VoIP 전화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VoIP 접속부; 상기 통신 서비스 제어기에 연결되어 무선으로 IrDA 접속 기기와 적외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IrDA 접속부; 및 상기 통신 서비스 제어기에 연결되어 모니터링 및 디버깅을 위한 터미널과 접속 기능을 수행하는 EIA232 접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정합용 복합 통신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통신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정합용 복합 통신 단말 장치 {Control system for communication service and complex terminal for DSL alignment using it}
본 발명은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 Digital Subscriber Line) 정합용 복합 통신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에이티엠(ATM : Asynchronous Transfer Mode) 모드 기능을 가진 DSLAM(Digital Subscriber Line Access Multiplexer)의 망측 디지털 가입자 회선 처리 장치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원거리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가입자에 있어서 VoIP 전화 기능, 초고속 인터넷 접속 기능, HomePNA 접속 기능, 이더넷 접속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는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정합용 복합 통신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ATM 모드의 DSLAM과 연결되는 가입자 통신 단말 장치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중간에 DSL 처리장치 및 ATM 모드 데이터에서 패킷 모드 이더넷 데이터로 변환하는 장치를 각각 사용하여야 하였고, 특히 홈 네트워킹을 위해서는 HomePNA 처리 기능을 갖는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여야 하고,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전화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도 별도의 VoIP 처리 기능을 갖는 장치를 사용하여야 하며, 적외선 통신을 위해서도 별도의 장치를 추가하여야만 복합적인 단말장치를 구성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하여 구성이 복잡하고, 규모가 커지며, 이러한 장치들이 서로 분리되어 있었으므로, 각각의 장치들을 제어하거나 상태를 알아보기 위한 유지 보수에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가입자 회선 억세스 멀티플렉서(DSLAM : Digital Subscriber Line Access Multiplexer)의 망측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 Digital Sbuscriber Line) 처리 장치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원거리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가입자에게 인터넷을 통한 음성 전화(VoIP) 기능, 초고속 인터넷 접속 기능, 홈 네트워크 접속 기능 및 이더넷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라우터 또는 복합 통신 단말 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정합용 복합 통신 단말 장치를 연결한 전체 ATM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정합용 복합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정합용 복합 통신 단말 장치의 통신 서비스 제어기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 : ATM 스위치 112 : ATM 층 처리 장치
113 : 망측 DSL 처리 장치 120 : DSL 정합 복합 통신 단말 장치
201 : 입출력부 202 : 리셋/클럭부
203 : 메모리부 204 : 통신 서비스 제어기
205 : USB 접속부 206 : 네트워크 접속부
207 : VoIP 접속부 208 : IrDA 접속부
209 : EIA232 접속부 210 : 단말측 DSL 처리부
301 : 리셋/클럭 제어부 302 : RISC 코어
303 : 메모리 제어부 304 : DMA 제어부
305 : Async I/F 브리지 306 : APB 브리지
307 : 패킷 데이터 메모리부 308 : USB 제어부
309 : IrDA 제어부 310 : UART 제어부
311 : GPIO 제어부 312 : 타이머/인터럽트 제어부
313 : MAC/LLC 제어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 Digital Subscriber Line) 정합용 복합 통신 단말 장치를 구동시키는 통신 서비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고급 시스템 버스(ASB : Advanced System Bus), 비동기 정합 버스(AIB : Asynchronous Interface Bus) 및 고급 주변 버스(APB : Advanced Peripheral Bus)를 포함하고, 상기 고급 시스템 버스에는 전체 시스템의 중앙 처리 연산 기능을 담당하는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코아부, 전체 시스템을 초기화하고 각각의 부품에 필요한 리셋 신호를 생성하는 리셋 및 클럭 제어부 및 메모리를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가 실려 있고, 상기 비동기 정합 버스에는 외부의 주변 기기가 접속될 수 있는 외부 접속부가 실려 있고, 상기 고급 주변 버스에는 외부 네트워크가 접속될 수 있는 외부 네트워크 접속부가 실려 있고, 상기 고급 시스템 버스와 상기 비동기 정합 버스 사이의 통신을 위하여 비동기 정합 버스 브리지(Async I/F Bridge)가 설치되고, 상기 고급 시스템 버스와 상기 고급 주변 버스 사이의 통신을 위하여 고급 주변 버스 브리지(APB Bridge)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로컬 버스에 연결되어 통신 방식에 따른 프로토콜을 하드웨어적으로 처리하고, 유토피아 버스를 통하여 단말측 DSL(Digital Subscriber Line) 처리부와 통신하는 통신 서비스 제어기; 상기 통신 서비스 제어기에 연결되어 USB 포트를 갖는 USB 접속 기기와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USB 접속부; 상기 통신 서비스 제어기에 연결되어 이더넷 또는 HomePNA로 SOHO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접속부; 상기 통신 서비스 제어기에 연결되어 인터넷을 통한 VoIP 전화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VoIP 접속부; 상기 통신 서비스 제어기에 연결되어 무선으로 IrDA 접속 기기와 적외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IrDA 접속부; 및 상기 통신 서비스 제어기에 연결되어 모니터링 및 디버깅을 위한 터미널과 접속 기능을 수행하는 EIA232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측 DSL 처리부는 상기 로컬 버스에 연결되고, 상기 통신 서비스 제어기와 유토피아 버스로 연결되어 ATM 셀을 송수신하며, DSL 선로에 연결되어 아날로그 데이터를 직접 송수신하여 DSL 규격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정합용 복합 통신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정합용 복합 통신 단말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정합용 복합 통신 단말 장치를 연결한 전체 ATM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망측에는 ATM 스위치(111)와 ATM 층 처리 장치(112-1 ~ 112-m) 및 망측 DSL 처리 장치(113-1 ~ 113-n)로 구성되는 DSLAM(110)이 있으며, 상기 망측 DSL 처리 장치(113-1 ~ 113-n)에 DSL 선로를 통하여 DSL 정합 복합 통신 단말 장치(120-1 ~ 120-n)가 연결되어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DSLAM(110)은 ATM 셀을 스위치해 주는 ATM 스위치(111), DSL 가입자를 관리하며 ATM 층 기능을 수행하는 ATM 층 처리 장치(112-1 ~ 112-m) 및 DSL 가입자를 수용하는 망측 DSL 처리 장치(113-1 ~ 113-n)로 구성되어, 디지털 가입자 회선 엑세스 멀티플렉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ATM 스위치(111)는 복수의 가입자에 의한 ATM 셀을 스위치 해 주고, 광역망(WAN : Wide Area Network) 또는 지역망(LAN : Local Area Network)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상기 ATM 층 처리 장치(112-1 ~ 112-m)와 통신하기 위한 STM-1(Synchronous Transport Module level-1) 또는 STM-4(Synchronous Transport Module level-4)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입출력되는 모든 셀의 스위치 기능을 처리해 준다.
상기 ATM 층 처리 장치(112-1 ~ 112-m)는 155.52 Mbps의 STM-1 또는 622.08Mbps의 STM-4를 통하여 상기 ATM 스위치(111)와 연결된다. 또한, 망측 DSL 처리 장치(113-1 ~ 113-n)와는 데이터 송수신 셀버스를 통하여, 송신셀 16비트 데이터, 송신셀의 시작을 알리는 송신셀 시작 신호, 셀버스 클럭 신호를 상기 망측 DSL 처리 장치(113-1 ~ 113-n)로 보내고, 수신셀 16비트 데이터, 수신셀 시작을 알리는 수신셀 시작 신호를 상기 망측 DSL 처리 장치(113-1 ~ 113-n)로부터 받고, 셀의 수신을 요청하는 셀수신 요청 신호를 상기 망측 DSL 처리 장치(113-1 ~ 113-n)로부터 받으면, 폴링해서 셀의 수신을 요청한 상기 망측 DSL 처리 장치(113-1 ~ 113-n)에게 셀 수신을 허락하는 셀수신 허락 신호를 보내 준다.
도 1에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제어 신호 버스를 통하여서 상기 망측 DSL 처리 장치(113-1 ~ 113-n) 내에 있는 양포트램을 액세스 하기 위해 주소 신호, 데이터 신호, 주소 유효 신호, 데이터 유효 신호 및 데이터 읽기/쓰기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상호 통신한다.
상기 망측 DSL 처리 장치(113-1 ~ 113-n)는 데이터 송수신 셀버스를 통하여 상기 ATM 층 처리 장치(112-1 ~ 112-m)와 접속되고, 가입자의 단말 장치와 접속하기 위해서 2선의 DSL 선로와 연결되어 DSL 프레임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망측 DSL 프로토콜 기능 처리 및 ATM 물리층 기능을 처리한다.
상기 DSL 정합용 복합 통신 단말 장치(120-1 ~ 120-n)는 DSL 선로와 접속하기 위한 단말측 DSL 처리부, 인터넷 전화기 기능을 위한 VoIP 접속부, SOHO(Small Office Home Office)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부, 초고속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 적외선 통신을 위한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접속부, 디버깅을 위한 EIA232 접속부로 주로 구성되어 복합 통신 단말장치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정합용 복합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도로서, 통신 서비스 제어기를 중심으로 복합 단말 기능에 필요한 각각의 인터페이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리셋 및 클럭부(202)는 로컬 버스에 연결되어 통신 서비스 제어기(204)에 필요한 시간동안 전원 입력 리셋 신호 및 스위치 리셋 신호를 공급해 주는 기능을 수행하고, 단말 장치에 필요한 12MHz, 2.048MHz, 25MHz의 클럭을 공급해 주며, 이 클럭들은 상기 통신 서비스 제어기(204)에 입력되어 각각 분주 및 배수가 되어 각부에 공급된다.
입출력부(201)는 상기 로컬 버스에 연결되어, 외부 입출력 장치와 연결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입출력부(201)는 광 방출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를 연결하여 제어 상태를 볼 수 있고, 액정 표시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연결하여 단말 장치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으며, 기타 필요한 외부 소자를 연결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203)는 상기 로컬 버스에 연결되어 시작 프로그램이나 단말 장치 운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8비트, 16비트, 32비트 버스로 접속이 가능한 플래쉬 롬(FROM : Flash Read Only Memory)으로 구성되고, 사용자 데이터나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며, 8비트, 16비트, 32비트 버스로 접속이 가능한 동적 램(DRAM :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및 정적 램(SRAM : Static Random Access Memory) 으로 구성된다. 또한, 메모리 맵 형태로 엑세스가 가능한 외부 소자가 연결될 수 있다.
USB 접속부(205)는 상기 통신 서비스 제어기(204)에 연결되고, 컴퓨터, 카메라, 모니터 등과 같은 USB 포트를 갖는 접속 기기에 12Mbps의 속도로 연결된다. 상기 통신 서비스 제어기(204)에서 모든 기능이 처리되므로 여기에는 보호 회로로만 구성되어 바로 USB 콘넥터에 연결된다.
네트워크 접속부(206)는 HomePNA 또는 이더넷과 연결될 수 있다. 1Mbps 또는 10Mbps HomePNA인 경우는 트랜시버 기능이 상기 통신 서비스 제어기(204) 내부에서 수행되므로, 상기 네트워크 접속부(206)에서는 홈 네트워크의 특성에 맞는 트랜스포머와 보호 회로로만 구성되어 HomePNA 콘넥터에 바로 연결된다. 10Mbps 또는 100Mbps 이더넷인 경우, 트랜시버 기능이 상기 통신 서비스 제어기(204) 내부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부(206)에서는 이더넷의 특성에 맞는 트랜스포머만 구성하면 되며, 트랜시버 기능이 상기 통신 서비스 제어기(204) 내부에 없는 경우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부(206)에서는 이더넷 트랜시버와 트랜스포머를 구성하여야 한다. 대개의 경우 10Mbps는 저속이므로, 상기 통신 서비스 제어기(204) 내부에 이더넷 트랜시버를 구현할 수 있으나, 100Mbps인 경우는 고속이므로, 상기 통신 서비스 제어기(204) 내부에 이더넷 트랜시버를 구현하지 않고, 외부에 트랜시버를 구성한다.
VoIP 접속부(207)는 상기 통신 서비스 제어기(204)에 의해서 전화 기능에 필요한 톤 생성 및 디지털에서 아날로그로 변환과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의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직접 음성 아날로그 신호가 입출력되므로, 여기에서는 마이크 및 스피커 또는 핸드셋을 구성하고, 상기 통신 서비스 제어기(204)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 또는 핸드셋으로 내보내주거나, 마이크 또는 핸드셋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통신 서비스 제어기(204)로 입력시켜 준다. 이로써 인터넷을 통한 음성 통화가 가능한 인터넷 전화기 기능을 수행한다.
IrDA 접속부(208)는 키보드, 마우스, 디스플레이 터미널 등의 기능을 무선으로 접속하여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통신 데이터에 따라 적외선을 수광하고 발광하는 IrDA 트랜시버가 구성된다.
EIA232 접속부(209)는 EIA232C 포트를 통하여 모니터링 및 디버깅을 위한 터미널과 연결 기능을 갖도록 신호 레벨 드라이버와 리시버가 구성된다.
단말측 DSL 처리부(210)는 로컬 버스에 연결되고 상기 통신 서비스 제어기(204)와 범용 시험 운용 물리층 ATM 정합(UTOPIA : Universal Test and Operation Physical Interface for ATM) 버스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DSL 선로에 연결되어 아날로그 데이터를 직접 송수신하여, DSL 규격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 서비스 제어기(204)와 연결되는 UTOPIA 버스는 ATM 물리층 표준 버스로서, 연결되는 신호에는 송신 데이터 신호(TXD7~TXD0), 송신셀 시작 신호(TXSOC), 송신 가능 신호(TXENB), 송신셀 가능 신호(TXCLAV), 송신 데이터 클럭 신호(TXCLK)로 서로 연결되어 있고, 수신 데이터 신호(RXD7~RXD0)와 수신셀 시작 신호(RXSOC), 수신 가능 신호(RXENB), 수신셀 수신 가능 신호(RXCLAV), 수신 데이터 클럭 신호(RXCLK)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로컬 버스와 연결되는 제어 신호에는 8비트 데이터 신호(UD7~UD0), 8비트 주소 신호(UA7~UA0)와 제어 신호들인 데이터 읽기 신호(URDB), 데이터 쓰기 신호(UWRB), 주소 유효 신호(UASB), 칩 선택 신호(CS1B)로 연결되어 상호 통신한다. 또한, DSL 프레임 신호로 DSL 선로와 직접 접속되어 송수신 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DSL 프레임화 및 디프레임화, DSL 코딩 및 디코딩하는 DSL 처리를 해 주며, ADSL(Asymmetric DSL) 또는 VDSL(Very high bit rate DSL) 선로와 접속될 경우에는 기존 음성 전화를 사용하기 위한 스플리터(Splitter) 기능이 포함된다.
상기 통신 서비스 제어기(204)는 내부에 RISC 프로세서를 내장하고, 로컬 버스에 연결되며, 상기 각부와 접속되어 관련된 각부의 통신 방식에 따른 프로토콜을 하드웨어적으로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며, UTOPIA 버스를 통해 상기 단말측 DSL 처리부(210)와 접속하여 전화 선로를 통해 고속의 통신을 하며, 복합 통신 단말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으로 수행하는 핵심 부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정합용 복합 통신 단말 장치의 통신 서비스 제어기의 구성도로서, 복합 통신 단말 장치로서의 제어 및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고급 시스템 버스(ASB : Advanced System Bus)에 연결되는 리스크 코어(RISC Core, 302), 메모리 제어기(Memory Controller, 303), 직접 메모리 엑세스 제어기(DMA Controller, 304), 리셋 및 클럭 제어기(Reset and Clock Controller, 301), 비동기 정합 버스 브리지(Asynchronous Interface Bus Bridge, 305), 고급 주변 버스 브리지(Advanced Peripheral Bus Bridge, 306), 패킷 데이터 메모리(Packet Data Memory, 307)가 구성되어 있고, 비동기 정합 버스(AIB : Asynchronous Interface Bus)에 접속되는 범용 직렬 버스 제어기(USB Controller, 308), 적외선 통신 제어기 (IrDA Controller, 309), 범용 비동기 송수신 제어기(UART Controller, 310)가 구성되어 있으며, 고급 주변 버스(APB : Advanced Peripheral Bus)에 접속되는 입출력 제어기(GPIO Controller, 311), 타이머 및 인터럽트 제어기(Timer and Interrupt Controller, 312), 미디어 엑세스 제어 및 논리 링크 제어용 제어기(Media Access Control and Logical Link Control Controller, 313), 톤 생성 모듈 및 음성 코덱 제어기(Tone Generation Module and Voice CODEC Controller, 315), 비동기 전송모드 셀 조립 및 분할 제어기(ATM Segmentation and Reassembly Controller, 317)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네트워크와 접속하기 위한 홈피엔에이 및 이더넷 트랜시버(Home PNA and Ethernet Transceiver, 314),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음성(VoIP) 전화기와 접속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ADC and DAC, 316), UTOPIA 버스에 접속하기 위한 유토피아 정합부(UTOPIA Interface, 318)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리셋 및 클럭 제어기(301)는 리셋 및 클럭부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입력된 리셋 신호에 따라 모든 제어기를 초기화하고, 각각의 제어기에 필요한 리셋 신호를 생성하여 ASB에 실어 준다. 한편, 외부에서 입력된 클럭 신호는 12MHz를 입력받아 10배수 및 4배수한 120MHz와 48MHz를 생성하고, 이를 다시 분주하여 60MHz 및 24MHz를 만들어서 분배해 주고, 60MHz를 다시 분주하여 7.5MHz와 2.5MHz를 만들어서 분배해 준다. 또한, 2.048MHz를 입력 받아서는 분주하여 128kHz, 8kHz, 1Hz를 생성하여 분배해 준다.
상기 메모리 제어기(303)는 외부에 접속되는 플래쉬 메모리, 정적 메모리 및 동적 메모리와의 접속을 위해 메모리의 데이터를 읽거나, 메모리에 데이터를 쓰기 위한 제어 신호를 타이밍에 맞춰서 생성해 준다.
상기 직접 엑세스 메모리 제어기(304)는 각각의 제어기와 메모리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프로세서의 개입 없이 빠르게 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공급해 준다.
상기 패킷 데이터 메모리(307)는 상기 리스크 코어(302)와 상기 비동기 전송 모드 셀 조립 및 분할 제어기(317) 간의 빠른 데이터의 처리를 위하여 외부에 메모리를 두는 대신, 제어기 내부에서 사용되는 패킷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상기 고급 주변 버스 브리지(306)는 ASB와 APB 간의 상호 버스를 각 버스의 타이밍에 맞게 연결해 주는 브리지이다.
상기 비동기 정합 버스 브리지(305)는 ASB와 AIB 간의 상호 버스를 각 버스의 타이밍에 맞게 연결해 주는 브리지이다.
상기 범용 직렬 버스 제어기(308)는 USB 통신 기기를 접속하기 위해 12Mbps의 속도로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고, USB 프로토콜에 맞게 데이터를 처리하는 부분이다.
상기 적외선 통신 제어기(309)는 적외선 통신 기기를 접속하기 위해 115kbps, 1Mbps 또는 4Mbps의 속도로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고, IrDA 프로토콜에 맞게 데이터를 처리하는 부분이다.
상기 범용 비동기 송수신 제어기(310)는 EIA232 통신을 하기 위해 최대 230.4kbps의 속도로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고, UART 프로토콜에 맞게 데이터를 처리하는 부분이다.
상기 입출력 제어기(311)는 각종 제어 신호로 사용되는 입출력 신호를 처리하는 부분이다.
상기 타이머 및 인터럽트 제어기(312)는 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여러가지 타이머를 만들어 내며, 내부 및 외부 인터럽트가 발생시 처리를 해주는 부분이다.
상기 미디어 엑세스 제어 및 논리 링크 제어용 제어기(313)는 이더넷 또는 HomePNA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미디어 엑세스 제어 프로토콜과 논리 링크 제어 프로토콜을 처리한다.
상기 홈피엔에이 및 이더넷 트랜시버(314)는 HomePNA 물리층 프로토콜 처리 및 이더넷 물리층 프로토콜을 처리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16)는 톤 발생 모듈 및 음성 코덱에서 나오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하여 VoIP 전화기에 공급해 주고, VoIP 전화기에서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해 주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비동기 전송모드 셀 조립 및 분할 제어기(317)는 패킷 메모리에서 읽은 패킷 형태의 사용자 데이터를 ATM 셀로 분할하여 상기 유토피아 정합부(318)로 전달해 주고, 상기 유토피아 정합부(318)로부터 받은 ATM 셀을 패킷 형태의 사용자 데이터로 변환하여 패킷 데이터 메모리에 써 넣으며, ATM 적합 계층에 따른 프로토콜을 처리해 준다.
상기 유토피아 정합부(318)는 UTOPIA 버스와의 정합을 위해 필요한 제어 신호를 규격에 맞는 타이밍으로 생성해 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DSL 정합용 복합 통신 단말 장치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에 직접 연결된 가입자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한 음성 전화(VoIP :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기능, 초고속 인터넷 접속 기능, 홈피엔에이(HomePNA : Home Phone line Network Alliance) 접속 기능, 이더넷 접속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도록 라우터 또는 복합 통신 단말 장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단말 장치는 상기의 기능에 국한되지 않고, 간단한 기능 변경 및 기능 추가로 사용자 요구에 따른 기능을 처리할 수 있으며, 일례로 영상 신호 처리 소자를 추가하면, 영상 전화 기능이 처리된다.
위에서 양호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이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이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이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함이 자명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될 것이며, 위와 같은 변화예나 변경예 또는 조절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입자 선로와는 고속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을 통해 접속되고, 사무실이나 가정에서는 SOHO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라우터의 기능을 할 수 있고, 인터넷을 이용한 VoIP 전화기를 연결할 수 있으며, 컴퓨터와 같은 USB 접속 기기에 접속되어 고속 인터넷 접속을 해 주는 DSL 모뎀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접속 기기와 접속하여 무선 통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 Digital Subscriber Line) 정합용 복합 통신 단말 장치를 구동시키는 통신 서비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고급 시스템 버스(ASB : Advanced System Bus), 비동기 정합 버스(AIB : Asynchronous Interface Bus) 및 고급 주변 버스(APB : Advanced Peripheral Bus)를 포함하고,
    상기 고급 시스템 버스에는 전체 시스템의 중앙 처리 연산 기능을 담당하는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코아부, 전체 시스템을 초기화하고 각각의 부품에 필요한 리셋 신호를 생성하는 리셋 및 클럭 제어부 및 메모리를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가 실려 있고,
    상기 비동기 정합 버스에는 외부의 주변 기기가 접속될 수 있는 외부 접속부가 실려 있고,
    상기 고급 주변 버스에는 외부 네트워크가 접속될 수 있는 외부 네트워크 접속부가 실려 있고,
    상기 고급 시스템 버스와 상기 비동기 정합 버스 사이의 통신을 위하여 비동기 정합 버스 브리지(Async I/F Bridge)가 설치되고, 상기 고급 시스템 버스와 상기 고급 주변 버스 사이의 통신을 위하여 고급 주변 버스 브리지(APB Bridge)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급 시스템 버스에는 각각의 부품과 메모리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상기 RISC 코어의 개입없이 빠르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공급해 주는 직접 억세스 메모리 제어부(DMA 컨트롤러)가 실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접속부는,
    USB 통신 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범용 직렬 버스 제어기(USB 컨트롤러);
    적외선 통신 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적외선 통신 제어기(IrDA 컨트롤러); 및
    EIA232 통신을 수행하고, UART 프로토콜에 맞게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범용 비동기 송수신 제어기(UART 컨트롤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네트워크 접속부는,
    각종 제어 신호로 이용되는 입출력 신호를 처리하는 입출력 제어기(GPIO 컨트롤러);
    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각종 타이머를 생성하고, 내부 및 외부 인터럽트 발생시 처리를 하는 타이머 및 인터럽트 제어기(Timer/Interrupt 컨트롤러);
    이더넷 또는 HomePNA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미디어 억세스 제어 프로토콜 및 논리 링크 제어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미디어 억세스 제어 및 논리 링크 제어용 제어기(MAC/LLC 컨트롤러);
    톤 발생 모듈 및 음성 코덱에서 나오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하여 VoIP 전화기에 공급해 주고, 상기 VoIP 전화기에서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패킷 형태의 사용자 데이터를 ATM 셀로 분할하여 유토피아 버스에 전달하고, 상기 유토피아 버스로부터 ATM 셀을 입력받아 패킷 형태의 사용자 데이터로 변환하며, ATM 적합 계층에 따른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 셀 조립 및 분할 제어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제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RISC 코어와 상기 비동기 전송 모드 셀 조립 및 분할 제어기간의 빠른 데이터 처리를 위하여 패킷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패킷 데이터 메모리부가 상기 고급 시스템 버스와 상기 고급 주변 버스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통신 서비스 제어 시스템.
  6. 로컬 버스에 연결되어 통신 방식에 따른 프로토콜을 하드웨어적으로 처리하고, 유토피아 버스를 통하여 단말측 DSL(Digital Subscriber Line) 처리부와 통신하는 통신 서비스 제어기;
    상기 통신 서비스 제어기에 연결되어 USB 포트를 갖는 USB 접속 기기와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USB 접속부;
    상기 통신 서비스 제어기에 연결되어 이더넷 또는 HomePNA로 SOHO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접속부;
    상기 통신 서비스 제어기에 연결되어 인터넷을 통한 VoIP 전화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VoIP 접속부;
    상기 통신 서비스 제어기에 연결되어 무선으로 IrDA 접속 기기와 적외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IrDA 접속부; 및
    상기 통신 서비스 제어기에 연결되어 모니터링 및 디버깅을 위한 터미널과 접속 기능을 수행하는 EIA232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측 DSL 처리부는 상기 로컬 버스에 연결되고, 상기 통신 서비스 제어기와 유토피아 버스로 연결되어 ATM 셀을 송수신하며, DSL 선로에 연결되어 아날로그 데이터를 직접 송수신하여 DSL 규격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정합용 복합 통신 단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버스에 연결되어 상기 통신 서비스 제어기에 필요한 리셋 신호 및 클럭 신호를 공급해 주는 리셋 및 클럭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정합용 복합 통신 단말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버스에 연결되어 외부 입출력 장치와 연결되는 입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정합용 복합 통신 단말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버스에 연결되어 시작 프로그램 및 단말 장치 운용 프로그램과 사용자 데이터 및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정합용 복합 통신 단말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서비스 제어기는,
    고급 시스템 버스(ASB : Advanced System Bus), 비동기 정합 버스(AIB : Asynchronous Interface Bus) 및 고급 주변 버스(APB : Advanced Peripheral Bus)를 포함하고,
    상기 고급 시스템 버스에는 전체 시스템의 중앙 처리 연산 기능을 담당하는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코아부, 전체 시스템을 초기화하고 각각의 부품에 필요한 리셋 신호를 생성하는 리셋 및 클럭 제어부 및 메모리를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가 실려 있고,
    상기 비동기 정합 버스에는 외부의 주변 기기가 접속될 수 있는 외부 접속부가 실려 있고,
    상기 고급 주변 버스에는 외부 네트워크가 접속될 수 있는 외부 네트워크 접속부가 실려 있고,
    상기 고급 시스템 버스와 상기 비동기 정합 버스 사이의 통신을 위하여 비동기 정합 버스 브리지(Async I/F Bridge)가 설치되고, 상기 고급 시스템 버스와 상기 고급 주변 버스 사이의 통신을 위하여 고급 주변 버스 브리지(APB Bridge)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정합용 복합 통신 단말 장치.
KR10-2000-0083258A 2000-12-27 2000-12-27 통신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가입자회선 정합용 복합 통신 단말 장치 KR100385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3258A KR100385855B1 (ko) 2000-12-27 2000-12-27 통신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가입자회선 정합용 복합 통신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3258A KR100385855B1 (ko) 2000-12-27 2000-12-27 통신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가입자회선 정합용 복합 통신 단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4225A KR20020054225A (ko) 2002-07-06
KR100385855B1 true KR100385855B1 (ko) 2003-06-02

Family

ID=27686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3258A KR100385855B1 (ko) 2000-12-27 2000-12-27 통신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가입자회선 정합용 복합 통신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58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337A (ko) * 2001-07-31 2003-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의 서비스 상태 관리 방법
KR20030037165A (ko) * 2001-11-02 2003-05-12 이철원 웹 액세스 컨트롤러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0459537B1 (ko) * 2002-11-25 2004-12-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피엔에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KR100500639B1 (ko) * 2002-12-03 2005-07-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댁내 전화망 스위칭 기능을 갖는 홈 게이트웨이 장치 및그 구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4225A (ko) 200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169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e mode voice and data communciations using intelligently bridged TDM and packet buses
US81447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e mode voice and data communications using intelligently bridged TDM and packet buses
US762698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DM/packet communications using telephony station cards including voltage generators
JPH08214060A (ja) B−チャネルの動的割り当てを提供する通信システムトポロジー
KR100475879B1 (ko) 유무선 인터넷 전화용 통신 단말장치
KR100385855B1 (ko) 통신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가입자회선 정합용 복합 통신 단말 장치
KR20000065144A (ko) Pacs 무선기술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액세스용 통합 원격통신 시스템 아키텍쳐
JPH09214484A (ja) 音声電話機用集線装置とlanの通信方法
KR20020038067A (ko) 통합형 인터넷 액세스 장치
JP2001094611A (ja) 遠隔接続サーバにおける音声及びfaxデータ処理のための装置
KR100406958B1 (ko) 키스테이션 시스템용 인터넷 접속 인터페이스
US8379633B2 (en) Concentrator for speech telephones and method of communication over LAN using same
CA2265965C (en) Concentrator for speech telephones and method of communication over lan using same
KR20010035831A (ko) Adsl 시스템에서의 가입자측 단말장치의 저전력 설계장치 및 그에 따른 데이터 통신방법
KR100542703B1 (ko) 다양한 망과의 연동을 통한 통합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스위칭 시스템 및 그 방법
CN1516397B (zh) 用于声音电话机的集线装置以及局域网通信方法
EP1830519B1 (en) Concentrator for speech telephones and method of communication over LAN using same
US20060056398A1 (en)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S6161543A (ja) 加入者線収容方式
KR20010003941A (ko) 이더넷 데이터 통신장치를 가지는 컴퓨터-전화 복합시스템
JPH10308966A (ja) 通信システム
JPH0851422A (ja) 通信データ、制御情報同時伝送方法
JPH1141295A (ja) Phsデータ通信システム
KR20020071186A (ko) 음성/데이터 통합형 다기능 액세스 장치
KR19990053500A (ko) Rs-232c/v.35 레벨 공용 커넥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