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9537B1 - 홈피엔에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홈피엔에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9537B1
KR100459537B1 KR10-2002-0073472A KR20020073472A KR100459537B1 KR 100459537 B1 KR100459537 B1 KR 100459537B1 KR 20020073472 A KR20020073472 A KR 20020073472A KR 100459537 B1 KR100459537 B1 KR 100459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nsmission
homepna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3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5637A (ko
Inventor
김종원
박찬원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73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9537B1/ko
Publication of KR20040045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5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9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95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04M11/062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us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for speech and oth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5Telephone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피엔에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정내 전화 선로를 이용하여 댁내 망을 구축하는 방법인 HomePNA 방식을 이용하고, PC에 내장되어 댁내 전화선을 이용하여 10Mbps급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PCMCIA 카드형 HomePNA 방식 모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노트북 PC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에 내장할 수 있고, 설치가 용이하며, 구조가 단순하고 가격이 저렴한 홈피엔에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홈피엔에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using HomePNA}
본 발명은 홈피엔에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정내 전화 선로를 이용하여 댁내 망을 구축하는 방법인 HomePNA 방식을 이용하고, PC에 내장되어 댁내 전화선을 이용하여 10Mbps급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PCMCIA 카드형 HomePNA 방식 모뎀 장치에 관한 것이다.
HomePNA(Home Phoneline Networking Alliance)란 가정내에 설치되어 있는 전화선을 이용하여 PC , 프린터 및 인터넷 서비스 장치를 최대 25대까지 연결하여 1Mbps(규격 1.0) 또는 10Mbps(규격 2.0)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일종의 통신 규격이다. 이 규격에서는 패킷 포맷 및 매체 액세스 프로토콜로 이더넷 규격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어 망 구축비용이 저렴한 특징이 있다.
HomePNA는 2가닥의 전화선만을 이용하며 기존 전화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아파트, 사무용 건물에 기존의 전화선을 활용하여 추가적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전화와 동시 사용을 위하여 HomePNA에서는 전화 또는 ISDN망에서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달한다.
HomePNA는 펄스간 간격으로 데이터를 변조하는 펄스위치변조(PWM)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접속점이 많고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터미네이션이 없는 가정내 전화선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반사신호에 의한 신호왜곡에 강한 특징이 있다.
종전의 PC에 내장되고 PCMCIA(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 카드형 HomePNA 방식 모뎀 장치로는 외장형 USB(Universal Serial Bus) 어뎁터를 사용하는 모뎀 장치가 있었는데 이는 설치 상의 애로사항이 있으며, 장치 내부에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내장되어 있어서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노트북 PC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에 내장이 가능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구조가 단순하고 가격이 저렴한 홈피엔에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장치 발명이 이용될 수 있는 통신망의 개괄적 구조도이다.
도 2a은 본 송신 장치 발명의 구성도이다.
도 2b은 본 송신 장치 발명이 적용되는 최적의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2c은 HomePNA 송신 처리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a은 본 수신 장치 발명의 구성도이다.
도 3b은 본 수신 장치 발명이 적용되는 최적의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3c은 HomePNA 수신 처리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 : 송신 요청부 21 : 송신 데이터 독출부
24 : 송신 MAC부 25 : HomePNA 송신 처리부
30 : HomePNA 수신 처리부 31 : 수신 MAC부
34 : PCMCIA 변환부
251 : 송신 심볼 발생부 252 : 변조부
253 : 송신 AFE 변환부 302 : 수신 AFE 변환부
303 : 복조부 304 : 수신 심볼 변환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제공하는 홈피엔에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송신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PCMCIA 데이터 송신요청신호를 입력받아 DMA 동작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송신 요청부; 상기 송신 요청부로부터 상기 DMA 동작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호스트 메모리내의 이더넷 송신 데이터를 독출하는 송신 데이터 독출부; 상기 이더넷 송신 데이터를 이더넷 링크 계층 데이터 형태의 MII 송신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단말과 다른 단말의 캐리어를 감지하여 캐리어가 없으면 상기 MII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MAC부; 상기 송신 MAC부로부터 상기 MII 송신 데이터를 입력받아 HomePNA 2.0 물리 계층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물리 계층 데이터를 소정의 방식으로 변조시킨 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댁내 전화선으로 송신하는 HomePNA 송신 처리부; 및 상기 각 구성요소간 데이터의 전송 및 상기 데이터의 적정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제공하는 홈피엔에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수신 장치는 댁내 전화선으로부터 HomePNA 2.0 방식의 아날로그 수신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수신신호에 대하여 ADC를 수행하고, 이 ADC된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방식으로 복조를 수행한 후 복조된 신호를 이더넷 링크 계층 데이터 형태의 MII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HomePNA 수신 처리부; 상기 HomePNA 수신 처리부로부터 상기 MII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이더넷 수신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수신 MAC부; 상기 수신 MAC 부로부터 상기 이더넷 수신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PCMCIA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PCMCIA 변환부; 및 상기 각 구성요소간 데이터의 전송 및 상기 데이터의 적정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작용 및 최적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장치 발명이 포함된 통신망의 개괄적 구조도이다.
홈게이트웨이(12)는 사용자 단말(10)이 액세스망(14)에 접속하기 위한 일종의 브리지(bridge)로 접속의 방식은 ISDN, ADSL 등 소정의 방식을 그 예로 들 수있겠다. 사용자 단말(10)은 PC, 노트북 등 여러 형태의 단말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이 홈게이트웨이(13)에 접속하기 위해 본 발명 장치(101)가 이용된다.
본 발명 장치(101)는 ASIC(Applied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을 포함하는 SOC(System On Chip) 형태로 사용자 단말(10)에 내장된다. 사용자 단말(10)은 HomePNA 2.0 방식을 지원하는 본 장치(101)를 이용하여 댁내 전화선(11)에 연결되며 댁내 전화선(11)을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12)를 통해 홈게이트웨이(12)에 접속된다. 이 때 커넥터로는 RJ11 커넥터를 사용한다.
홈게이트웨이(13)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과 액세스망(14)간 브리지 기능을 수행하면서 댁내 전화선망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10)들을 제어하여 인터넷 서비스 공유, 부속 장치 공유, 파일 공유 및 응용서비스 공유 기능을 제공한다.
도 2a은 본 송신 장치 발명의 구성도이며 도 2b은 본 송신 장치 발명이 적용되는 최적의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송신 요청부(2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PCMCIA 데이터 송신 요청신호를 입력받아 DMA(Direct Memory Access) 동작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부분으로서 사용자 단말(10)과 PCMCIA 버스로 연결되어 PCMCIA 데이터 송신 요청 신호(a)를 입력받는다. 이 때 PCMCIA 데이터 송신 요청신호는 PCMCIA 주소 신호, PCMCIA 데이터 신호, PCMCIA 제어신호 및 PCMCIA 상태신호로 구성되며, 주소 신호와 데이터 신호는 DMA 동작제어신호(b)로 변환되어 송신 데이터 독출부(21)로 전달되고 제어신호(c)와 상태신호(s)는 제어부(26)에 전달된다.
송신 데이터 독출부(21)는 송신 요청부(20)로부터 DMA 동작제어신호(b)를 인가받아 사용자 단말(10)의 호스트 메모리(미도시)내의 이더넷 송신 데이터를 독출하여 송신 버퍼 제어부(22)로 전달하고 버퍼 제어 신호(bs)를 발생시킨다.
송신 버퍼 제어부(22)는 버퍼 제어 신호(bs)를 인가받아 이를 송신 버퍼 동작제어신호(bas)로 변환시킨다.
송신 버퍼(23)는 송신 버퍼 동작제어신호(bas)를 인가받아 상기한 이더넷 송신 데이터를 송신 버퍼 제어부(22)로부터 독출하여 이를 임시로 저장하는 부분이다. 송신 버퍼(23)는 저장 방식으로 FIFO(First In First Out)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송신 MAC(Media Access Controller)부(24)는 이더넷 송신 데이터(ETD)를 이더넷 링크 계층 데이터 형태의MII(Media Independent Interface) 송신 데이터로 변환하고, 사용자 단말(10)과 다른 단말의 캐리어(Carrier)를 감지하여 캐리어가 없으면 상기 MII 데이터를 송신을 개시하는 부분이다. 이 때 다른 단말의 캐리어를 감지하는 이유는 사용자 단말(10)과 댁내 전화선을 공유하는 다른 단말(미도시)과의 충돌 발생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이다. 충돌 발생여부의 판단은 IEEE 802.3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에 규정된 방식에 따른다. 충돌이 발생한 경우에는 계산된 시간 후에 MII 데이터를 재송신하며, 충돌이 없는 경우에는 바로 송신을 개시한다.
HomePNA 송신 처리부(25)는 송신 MAC부(24)로부터MII송신 데이터를 입력받아 HomePNA 2.0 물리 계층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물리 계층 데이터를 소정의 방식으로 변조시킨 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댁내 전화선으로 송신하는 부분이다. 변조 방식의 일례는 후술한다.
제어부(26)는 각 구성요소간 데이터의 전송 및 상기 데이터의 적정 처리를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송신 요청부(20), 송신 데이터 독출부(21), 버퍼 제어부(22), 송신 MAC부(24), 관리부(256)로부터 각 구성요소의 동작상태신호를 수신하여 이 신호를 해독한 후 각 구성요소로 동작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상기한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2c을 참고하여 송신시의 HomePNA 송신 처리부(25)의 동작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c은 HomePNA 송신 처리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송신 심볼 발생부(251)는 송신 MAC부(24)로부터 MII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HomePNA 2.0 물리 계층 프레임 형태의 송신 심볼(symbol)로 변환/발생시키는 부분이고 변조부(252)는 송신 심볼을 소정의 방식으로 변조하여 송신 심볼의 디지털 변조 신호(dms)를 발생시킨다. 이 때 변조 신호 발생은 4 Mbaud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방식 또는 2 Mbaud FDQAM(Frequency Diverse QAM) 방식으로 송신 심볼을 변조하여 4~32 Mbps의 10 비트 단위의 디지털 변조 신호(dms)가 발생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송신 AFE 변환부(253)는 디지털 변조 신호(dms)를 입력받아 이 신호를 AFE DAC(Analog Front-End Digital to Analog Convert) 데이터(AFD)로 변환시키는 부분으로서 변조부(252)에 의해 발생된 10 비트 단위의 디지털 변조 신호(dms)를 5 비트의 하위 AFE DAC 데이터와 5 비트의 상위 AFE DAC 데이터(AFD)로 변환하여 교대로 아날로그 프론트-엔드(AFE, 254)로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아날로그 프론트-엔드(254)는 AFE DAC 데이터(AFD)를 수신하여 아날로그화 한 후 이를 HomePNA 2.0 방식의 아날로그 송신 신호로 변환시켜 댁내 전화선으로 송신하게 되고 이로써 송신은 종결된다.
HomePNA 송신 처리 MAC부(255)는 송신 심볼 발생부(251)로부터 사용자 단말 자신(10)의 충돌을 검출하는 충돌 검출 신호(ct)를 입력받아 캐리어 감지 기능, 충돌 검출 기능, DFPQ(Distributed Fair Priority Queuing) 충돌 해결 기능을 수행한 후 송신 개시 신호(ts)를 상기 송신 심볼 발생부(251)로 전달하여 심볼 발생의 개시를 제어하는 부분이다. 사용자 단말 자신의 충돌을 검출하는 이유는 사용자 단말(10)이 송신을 행할 시에 만일 사용자 단말(10)로 수신 요청이 동시에 들어오는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가 발생한 경우에는 송신 또는 수신 중 우선 순위를 두어 처리해야할 필요가 발생한다. 우선 순위 부여의 기준은 IEEE 802.3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에 규정된 방식에 따름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언급한 송신 MAC부(24)는 사용자 단말(10)과 타 단말(미도시)의 충돌 여부를 검출함에 비하여 HomePNA 송신 처리 MAC부(255)는 사용자 단말(10)내에서 송수신의 총돌 여부를 검출함에 두 구성요소의 차이점이 있다.
관리부(256)는 HomePNA 송신 처리 MAC부(255)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부분인데 제어부(26)로부터 MII 제어신호(MII_c)를 인가받아 송신 심볼 발생부(251), 변조부(252), HomePNA 송신 처리 MAC부(255)를 관리/제어하며 이들 구성요소로부터동작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MII 상태신호(MII_s)로 변환하여 제어부(26)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a은 본 수신 장치 발명의 구성도이고 도 3b은 본 수신 장치 발명이 적용되는 최적의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수신은 송신의 역과정이므로 본 수신 장치의 각 구성요소의 기능은 송신의 그것과 반대 방향으로 기능을 수행한다.
HomePNA 수신 처리부(30)는 댁내 전화선으로부터 HomePNA 2.0 방식의 아날로그 수신신호를 입력받아 수신신호에 대하여 디지털화(ADC)를 수행하고, 이 ADC된 신호에 대하여 복조를 수행한 후 복조된 신호를 이더넷 링크 계층 데이터 형태의 MII(Media Independent Interface) 데이터(MII)로 변환시키는 부분이다. 이 때 복조는 송신의 변조와 반대과정으로서 QADM(Quadrature Amplitude DeModulation) 방식 또는 FDQAM(Frequency Diverse QADM)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수신 MAC부(31)는 송신의 경우에 있어 송신 MAC부(24)에 상응하는 구성요소로서 HomePNA 수신 처리부(30)로부터 MII 데이터(MII)를 입력받아 이를 이더넷 수신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아울러 제어부(35)를 통해 수신 버퍼 제어부(32)에 수신 데이터가 왔음을 통지한다.
수신 버퍼(33)는 수신 버퍼 제어부(32)로부터 수신 버퍼 동작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한 이더넷 수신 데이터를 수신 MAC부(31)로부터 독출하여 이를 임시로 저장하는 부분이다. 수신 버퍼(33)는 저장 방식에 있어서 송신 버퍼와 마찬가지로 FIFO(First In First Out)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PCMCIA 변환부(34)는 수신 버퍼(33)로부터 이더넷 수신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PCMCIA 데이터로 변환시킴으로써 수신 과정은 종료되고 사용자 단말(10)은 이 데이터를 재현하게 되는 것이다.
제어부(35)는 각 구성요소간 데이터의 전송 및 상기 데이터의 적정 처리를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PCMCIA 변환부(34), 수신 버퍼 제어부(32), 수신 MAC부(31), 관리부(306)로부터 각 구성요소의 동작상태 신호를 수신하여 이 신호를 해독한 후 각 구성요소로 동작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상기한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3c을 참고하여 수신시의 HomePNA 수신 처리부(30)의 동작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c은 HomePNA 수신 처리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아날로그 프론트-엔드(AFE, 301)는 댁네 전화선으로부터 HomePNA 2.0아날로그 수신신호를 입력받아 이 신호를 AFE ADC(Analog-to-Digital Converting) 데이터(AFA)로 변환하는 부분이다. 이 때 AFE ADC 데이터는 4비트 단위의 하위 AFE ADC 데이터와 6비트 단위의 AFE ADC 데이터로 생성되며 교대로 수신 AFE 변환부(302)에 전송된다.
수신 AFE 변환부(302)는 AFE ADC 데이터를 10비트 단위의 디지털 수신 신호로 변환시키며 복조부(303)는 이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방식으로 복조를 수행하여 수신 심볼을 생성시킨다. 복조 방식의 일례는 위에 제시하였으므로 언급을 생략한다.
수신 심볼 변환부(304)는 복조부(303)로부터 수신 심볼을 입력받아 이더넷 링크 계층 데이터 형태의 MII(Media Indpendent Interface) 데이터(MII)로 변환시킨 후 이를 수신 MAC부(31)로 전달한다.
HomePNA 수신 처리 MAC부(305)는 복조부(303)로부터 사용자 단말(10) 의 충돌을 검출하는 충돌 검출 신호(ct)를 입력받아 캐리어 감지 기능, 충돌 검출 기능, DFPQ(Distributed Fair Priority Queuing) 충돌 해결 기능을 수행한 후 수신 개시 신호(rs)를 상기 수신 심볼 변환부(304)로 전달하여 수신 심볼의 변환 개시를 제어하는 부분이다. 사용자 단말 자신의 충돌을 검출하는 이유는 송신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10)로 수신이 행해질 시에 만일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송신 요청이 동시에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가 발생한 경우에는 송신 또는 수신 중 우선 순위를 두어 처리해야할 필요가 발생한다. 우선 순위 부여의 기준은 위에서와 마찬가지로 IEEE 802.3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에 규정된 방식에 따름이 바람직하다.
관리부(306)는 HomePNA 수신 처리부(3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부분인데 제어부(35)로부터 MII 제어신호(MII_c)를 인가받아 수신 심볼 변환부(304), 복조부(303)를 관리/제어하며 이들 구성요소로부터 동작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MII 상태신호(MII_s)로 변환하여 제어부(35)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동작 방식을 예를 들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의실시예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 내장되어, 댁내 전화선을 이용하여 10Mbps급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함으로써 고속의 댁내 망을 구축할 수 있고, 인터넷 서비스 공유, 주변 장치 공유, 파일과 응용 프로그램의 공유 및 네트워크 게임과 같은 오락 서비스의 공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에 내장됨으로써 종래의 외장형 USB 어뎁터 형태의 HomePNA 2.0 모뎀 기술에 비하여 설치하기가 쉽고 구조가 단순하며 가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사용자 단말에 내장되는 홈피엔에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PCMCIA 데이터 송신요청신호를 입력받아 DMA 동작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송신 요청부;
    상기 송신 요청부로부터 상기 DMA 동작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단말의 호스트 메모리내의 이더넷 송신 데이터를 독출하는 송신 데이터 독출부;
    상기 이더넷 송신 데이터를 이더넷 링크 계층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다른 단말의 캐리어를 감지하여 캐리어가 없으면 상기 이더넷 링크 계층 데이터의 송신을 개시하는 송신 MAC부; 및
    상기 송신 MAC부로부터 상기 이더넷 링크 계층 데이터 형태를 가진 MII 송신 데이터를 입력받아 HomePNA 2.0 물리 계층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물리 계층 데이터를 변조시킨 후 HomePNA 2.0 방식의 아날로그 송신신호 신호로 변환시켜 댁내 전화선으로 송신하는 HomePNA 송신 처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피엔에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송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omePNA 송신 처리부는
    상기 송신 MAC부로부터 상기 MII 송신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HomePNA 2.0 물리 계층 프레임 형태의 송신 Symbol을 발생하는 송신 심볼 발생부;
    상기 송신 심볼 발생부로부터 상기 송신 Symbol을 수신하여 상기 심볼의 디지털 변조 신호를 발생시키는 변조부;
    상기 변조부로부터 상기 디지털 변조 신호를 입력받아 이 신호를 AFE DAC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송신 AFE 변환부;
    상기 송신 AFE 변환부로부터 상기 AFE DAC 데이터를 수신하여 DAC을 수행하고 이를 상기 HomePNA 2.0 아날로그 송신 신호로 변환시켜 댁내 전화선으로 송신하는 아날로그 프론트-엔드; 및
    상기 송신 심볼 발생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자신으로 들어오는 수신 요청과의 충돌을 검출하는 충돌 검출 신호를 입력받아 캐리어 감지 기능, 충돌 검출 기능, DFPQ 충돌 해결 기능을 수행하여 송신 개시 신호를 상기 송신 심볼 발생부로 전달하는 HomePNA 송신 처리 MAC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피엔에이 방식을이용한 데이터 송신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는
    4 Mbaud QAM 방식 또는 2 Mbaud FDQAM(Frequency Diverse QAM) 방식으로 상기 송신 심볼을 변조하여 4~32 Mbps의 10 비트 단위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홈피엔에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송신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FE DAC 데이터는
    상기 변조부에 의해 발생된 10 비트 단위의 디지털 변조 신호를 5 비트의 하위 AFE DAC 데이터와 5 비트의 상위 AFE DAC 데이터로 변환시킴으로써 발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홈피엔에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송신 장치.
  5. 사용자 단말에 내장되는 홈피엔에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수신 장치에 있어서:
    댁내 전화선으로부터 HomePNA 2.0 방식의 아날로그 수신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수신신호에 대하여 ADC를 수행하고, 이 ADC된 신호에 대하여 복조를 수행한 후 복조된 신호를 이더넷 링크 계층 데이터 형태의 MII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HomePNA 수신 처리부;
    상기 HomePNA 수신 처리부로부터 상기 MII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이더넷 수신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수신 MAC 부; 및
    상기 수신 MAC 부로부터 상기 이더넷 수신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PCMCIA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PCMCIA 변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피엔에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수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HomePNA 수신 처리부는
    상기 댁내 전화선으로부터 HomePNA 2.0 아날로그 수신신호를 입력받아 ADC를 수행하여 AFE ADC 데이터를 생성하는 아날로그 프론트-엔드;
    상기 아날로그 프론트-엔드로부터 상기 AFE ADC 데이터를 입력받아 소정 단위의 디지털 수신 신호로 변환시키는 수신 AFE 변환부;
    상기 수신 AFE 변환부로부터 상기 디지털 수신 신호를 입력받아 복조를 수행하여 수신 심볼을 생성하는 복조부;
    상기 복조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자신으로부터 나가는 송신 요청과의 충돌을 검출하는 충돌 검출 신호를 입력받아 캐리어 감지 기능, 충돌 검출 기능, DFPQ 충돌 해결 기능을 수행한 후 변환 개시 신호를 상기 수신 심볼 변환부로 전달하여 수신 심볼의 변환 개시를 제어하는 HomePNA 수신 처리 MAC부; 및
    상기 HomePNA 수신 처리 MAC부로부터 변환 개시 제어신호를 인가받은 후 상기 복조부로부터 상기 수신 심볼을 입력받아 이더넷 링크 계층 데이터 형태의 MII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수신 심볼 변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피엔에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수신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는
    QADM 방식 또는 FDQAM 방식으로 실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홈피엔에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수신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AFE ADC 데이터는
    4비트 단위의 하위 AFE ADC 데이터와 6비트 단위의 상위 AFE ADC 데이터로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홈피엔에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수신 장치.
KR10-2002-0073472A 2002-11-25 2002-11-25 홈피엔에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KR100459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472A KR100459537B1 (ko) 2002-11-25 2002-11-25 홈피엔에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472A KR100459537B1 (ko) 2002-11-25 2002-11-25 홈피엔에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637A KR20040045637A (ko) 2004-06-02
KR100459537B1 true KR100459537B1 (ko) 2004-12-03

Family

ID=37341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3472A KR100459537B1 (ko) 2002-11-25 2002-11-25 홈피엔에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95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494B1 (ko) * 2002-12-12 2005-04-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반송파 감지 신호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스테이션간 충돌방지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384A (ko) * 1999-10-30 2001-05-15 윤종용 전화선 네트웍킹 기능을 갖는 비대칭 고속 데이터 모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EP1126688A2 (en) * 2000-02-14 2001-08-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ransceiver for HomePNA network
KR20020054229A (ko) * 2000-12-27 2002-07-06 오길록 ADSL 처리부와 HomePNA 처리부를 내장하는모듈러형 홈 게이트웨이 장치
KR20020054225A (ko) * 2000-12-27 2002-07-06 오길록 통신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가입자회선 정합용 복합 통신 단말 장치
KR20030048628A (ko) * 2001-12-12 2003-06-25 포디홈네트 홈피엔에이 모듈을 갖는 엑스디에스엘 모뎀 카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384A (ko) * 1999-10-30 2001-05-15 윤종용 전화선 네트웍킹 기능을 갖는 비대칭 고속 데이터 모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EP1126688A2 (en) * 2000-02-14 2001-08-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ransceiver for HomePNA network
KR20020054229A (ko) * 2000-12-27 2002-07-06 오길록 ADSL 처리부와 HomePNA 처리부를 내장하는모듈러형 홈 게이트웨이 장치
KR20020054225A (ko) * 2000-12-27 2002-07-06 오길록 통신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가입자회선 정합용 복합 통신 단말 장치
KR20030048628A (ko) * 2001-12-12 2003-06-25 포디홈네트 홈피엔에이 모듈을 갖는 엑스디에스엘 모뎀 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637A (ko) 2004-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6920B1 (ko) ADSL 처리부와 HomePNA 처리부를 내장하는모듈러형 홈 게이트웨이 장치
TW436703B (en) Wide area network system providing secure transmission
US7596646B2 (en) Wireless USB host apparatus supporting UWB
KR100455973B1 (ko) 홈 네트워크를 다중물리층으로 설정하는 방법
JP3441080B2 (ja) パケットベースのデータをモデムによって伝送するための信号処理要求を縮小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642173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 network port for a home network station
US20060218593A1 (en) Digital coaxial cable LAN
US6011781A (en) Multipoint access protocol utilizing a point-to-point methodology
US8705559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KR100459537B1 (ko) 홈피엔에이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KR100415580B1 (ko) 다양한 홈 네트워킹 인터페이스를 갖는 댁내 망과 액세스망을 연결하는 홈 게이트웨이 장치
Adams Home area network technologies
US6636526B1 (en) Signal sending-and-receiving circuit and self ID process for node-to-node communications in serial-bus network
JP2004007401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キング通信システム用補助コーディング
US20040259603A1 (en) Charg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s with integrated powerline modem
KR100483632B1 (ko) 모뎀용 고속 데이터 확장 인터페이스
KR100316247B1 (ko) 무선 랜의 고속 억세스 포인트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EP1146659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0471498B1 (ko) xDSL 및 VoIP 인터페이스를 갖는 홈 게이트웨이장치
KR100217755B1 (ko) 비대칭 디지탈 가입자선 시스템을 채용한 퍼스널 컴퓨터의인터넷 접속장치
KR100484307B1 (ko) 전화선 모뎀의 테스트 장치
KR20020059167A (ko) 멀티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게이트웨이 시스템
KR100297818B1 (ko) 외부통신망을이용한아이트리플이1394네트웍간의통신시스템및방법
JP2545618Y2 (ja) モデム装置
JP200013869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