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5707B1 - 오거식 제빙기에 대한 냉매파이프의 취부방법 - Google Patents

오거식 제빙기에 대한 냉매파이프의 취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5707B1
KR100385707B1 KR10-2001-0001834A KR20010001834A KR100385707B1 KR 100385707 B1 KR100385707 B1 KR 100385707B1 KR 20010001834 A KR20010001834 A KR 20010001834A KR 100385707 B1 KR100385707 B1 KR 100385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efrigerant pipe
ice
ice making
recomme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1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3009A (ko
Inventor
히데오 나까조
Original Assignee
히데오 나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데오 나까조 filed Critical 히데오 나까조
Publication of KR20020033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3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7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 F25C1/14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 F25C1/145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from the inner walls of cooled bodies
    • F25C1/147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from the inner walls of cooled bodies by using au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0Producing ice by using rotating or otherwise moving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거식 제빙기에 대한 냉매파이프의 취부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직립된 제빙관과, 이 제빙관 내에 동일축으로 배설되는 오거와, 상기 제빙관의 외주에 나선형으로 권장(卷裝)된 냉매파이프를 구비한 오거식 제빙기에 있어서, 냉매파이프를 제빙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나선형으로 형성한 후, 탄발적으로 확대하여 제빙관의 외주에 삽입 결합하여 제빙관의 외주에 탄발적으로 권장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냉매파이프를 지지구를 사용한 스폿용접에 의해 제빙관에 각각 고정해야만 하는 수고로운 작업이 일절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냉매파이프의 일부가 스프링백에 의해 제빙관의 외주로부터 분리되어 열교환율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매파이프의 취부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오거식 제빙기에 대한 냉매파이프의 취부방법{mounting method of refrigerant pipe for auger-type ice machine}
본 발명은 제빙기에 대한 냉매파이프의 취부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제빙관의 외측에 냉매파이프를 나선형으로 권장(卷裝)한 냉매파이프의 취부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제빙관(냉각관으로도 불리고 있다)에 냉매파이프를 취부하기 위해서는 냉매파이프를 제빙관의 외주에 직접 밀착하여 고착시키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냉매파이프로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 등에 대해내식성이 강한 동제(銅製)파이프가 주로 사용되며, 제빙관의 외주에 나선형으로 권장된 상태에서 납땜에 의해 고착된다.
또한, 납땜 방법으로는 제빙관의 외주에 냉매파이프의 나선을 따라 밀착된 냉매파이프와 제빙관 사이의 나선형공간에 그 나선 일단측 개구로부터 용융된 납재, 일명 밴더가 흘러 들어가도록 하는 주입방법, 혹은 냉매파이프를 제빙관에 감아 장착하는 작업시 납을 나선형공간에 내재시키면서 감은 후에 제빙관을 납의 용융온도(융점)까지 가열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냉매파이프를 제빙관에 직접 밀착시켜 고착하는 종래의 취부방법은, 냉매파이프를 제빙관의 외주에 밀착 권장시킨 상태에서 냉매파이프의 나선 상태가 스프링에 의해 완화되지 않도록 냉매파이프의 양 단부측을 지지구 등을 사용한 스폿(spot)용접에 의해 제빙관에 각각 고정해야만 하는데, 이 같은 어려운 작업을 납땜작업 전에 해야 하는 등 작업효율, 생산성, 생산비에 관련된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취부방법은 반드시 냉매파이프에 스프링백 현상이 발생되고, 이 스프링백 현상에 의해 냉매파이프의 일부가 제빙관으로부터 분리되어 열교환율(열교환면적)의 저하를 초래하는 등 품질면에서도 문제를 야기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냉매파이프를 제빙관에 간단한 방법으로 부착시키되, 냉매파이프의 상하에 인접하는 파이프를 밀착시킨 상태와, 파이프 사이에 임의의 틈새가 형성된 상태에서도 냉매파이프를 제빙관의 외주에 움직이지 않도록 탄발적으로 밀착 권장할 수 있도록 개선된 제빙관에 대한 냉매파이프의 취부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립 제빙관과, 이 제빙관 내에 동일축으로 배설되는 오거와, 상기 제빙관의 외주에 나선형으로 밀착 권장된 냉매파이프를 구비한 오거식 제빙기에 있어서, 냉매파이프를 제빙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나선형으로 권취 형성한 후, 상기 냉매파이프를 내경이 확대 개방되도록 확장시켜 제빙관의 외주에 삽입 결합함으로써 제빙관의 외주에 냉매파이프가 탄발적으로 밀착 조립 권장되도록 한다.
냉매파이프는 제빙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파이프 나선권장기구에 의해 권장되도록 제빙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기술적 수단에 따르면, 냉매파이프를 탄발적으로 확대하여 제빙관의 외주에 삽입 결합함으로써 제빙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냉매파이프가 제빙관의 외주에 권장되는 방향으로 발생되는 강한 탄발작용에 의해 제빙관의 외주에 움직이지 않도록 밀착 조립 권장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직립 제빙관과, 이 제빙관 내에 동일축으로 배설되는 오거와, 상기 제빙관의 외주에 나선형으로 권장된 냉매파이프를 구비한 오거식 제빙기에 있어서, 제빙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고 상하 인접하는 냉매파이프를 파이프간에 적당한 틈새를 확보한 상태에서 나선형으로 권장 형성한 후, 그 틈새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나선형의 파이프지지지구를 내주에 구비한 관 권장기구 내에 세팅하고, 상기 냉매파이프 내에 제빙관을 압입함으로써 상기 틈새가 파이프간에 유지된 상태에서 제빙관의 외주에 탄발적으로 밀착 조립 권장된다.
이와 같은 기술적 수단에 따르면, 냉매파이프의 상하 인접 파이프간의 틈새를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로 제빙관의 외주에 조립 권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매파이프가 제빙관의 외주에 권장되는 방향으로 발생되는 강한 탄발작용에 의해 제빙관의 외주에 움직이지 않도록 밀착 권장될 수 있으므로 파이프간의 틈새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냉매파이프의 취부방법의 일예를 공정순으로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1a는 파이프 나선권장기구를 사용하여 냉매파이프를 나선형으로 절곡 가공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냉매파이프를 제빙관에 조립 권장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c는 냉매파이프를 제빙관에 조립 권장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냉매파이프가 조립 권장된 제빙관을 사용하여 제작한 오거식 제빙기의 일예를 도시한 전체 구성의 종단면도.
도 3은 냉매파이프를 나선권장기구를 사용하여 나선형으로 절곡 가공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나선형의 냉매파이프를 관 권장기구에 세팅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d는 냉매파이프의 취부방법의 일예를 공정순으로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5a는 냉매파이프를 관 권장기구 내에 세팅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b는 냉매파이프 내에 제빙관을 압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c는 냉매파이프 내에 제빙관을 압입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d는 냉매파이프가 권장된 제빙관을 관 권장기구로부터 취출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냉매파이프가 조립 권장된 제빙관을 사용하여 제작한 오거식 제빙기의 일예를 도시한 전체 구성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A-1 : 오거식 제빙기 1 ; 제빙관
2 ; 냉매파이프 3 ; 오거
4 ; 가압부재 18 ; 땜납
18-1 ; 납막 B ; 파이프 나선권장기구
C ; 관 권장기구 X ; 틈새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청구항 1에 관련된 본 발명의 냉매파이프(2)의 취부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냉매파이프(2)를 제빙관(1)의 외경(L2)보다 작은 내경(L1)을 갖도록 나선형으로 권취 형성한 후, 이 냉매파이프(2)를 내경(L1)이 확대 개방되도록 확장하여 제빙관(1)의 외주에 삽입 결합함으로써 상기 외주에 냉매파이프(2)가 탄발적으로 밀착 권장되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상하 파이프(2) 사이를 밀착 인접시켜 제빙관(1)의 외주에 나선형으로 귄장시킨 냉매파이프(2)를 납땜에 의해 제빙관(1)에 고착시켜 조립 제작한 오거(Auger)식 제빙기(A)의 일예를 도시한 전체 구성의 종단면도이다.
오거식 제빙기(A)는 제빙관(1) 외주의 냉매파이프(2) 내에 감압 냉매를 유입 순환시켜 제빙관(1)을 빙점 아래까지 냉각하여 제빙관(1) 내의 제빙수가 내주면에서 결빙되도록 하고, 결빙에 의해 성장하는 얼음층이 제빙관(1) 내에서 회전 구동하는 오거(3)에 의해 상측으로 이송되면 상측에 배설되어 있는 가압부재(4)에 의해 얼음이 압축 경화되는 과정을 반복함에 따라 얼음 덩어리가 연속적으로 제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빙관(1)은 나사 등으로 고정 장착된 지지체(5)를 개재하여 구동하우징(6) 상에 직립 설치된 스테인레스제의 원통형 관으로서, 그 하부측에는 제빙수의 입구(7) 및 출구(8)가 형성되어 있으며, 입구(7)는 제빙수가 제빙관(1) 내 소정 수위레벨까지 채워진 상태에서 이 수위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빙수를 연속 급수시키는 통로이다. 한편, 출구(8)는 제빙수를 교체할 때 제빙수가 외부로 배수(排水)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제빙관(1)의 상부측에는 오거와 동일축상에 가압부재(4)가 지지나사 등에 의해 고정적으로 배설되며, 오거(3)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송되는 얼음 조각이 가압부재(4)의 압축통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압축 경화됨에 따라 적절한 크기를 갖는 봉상의 단면형상으로 변형되어 상기 압축통로의 출구측으로 가압되어 올라가며, 이 출구측에서는 절단된 적당한 크기의 블록이나 팁 형상의 얼음 덩어리로 된다. 이 얼음 덩어리는 도시하지 않은 저빙(貯氷)부(얼음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되어 있다.
오거(3)는 제빙관(1)의 내경보다 작은 본체부(3-1)와, 그 상하단측의 축부(3-2)(3-3)와, 본체부(3-1) 표면에 적당한 형상을 가진 나선형의 깎아올린 부위(3-4)로 구성되며, 상단측의 축부(3-2)가 가압부재(4)의 축심공(軸芯孔, 축 중심구멍)에 삽입 결합된 축수(9)에 의해 축지됨과 동시에, 하단측의 축부(3-3)가 지지체(5)에 축심공에 삽입 결합된 축수(10)에 축 지지됨으로써 제빙관(1) 내에 동일축으로 조립 배설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11)을 구비한 하단의 축부(3-3)는 스프링 이음매(12)에 의해 구동모터의 출력축(13)에 접속되고, 상기 출력축(13)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소정 회전수(rpm)로 회전되며, 나선상의 부위(3-4)에 의해 제빙관(1)의 내주에 성장한 얼음층을 가압부재(4)를 향해 이송하는 것이다.
냉매파이프(2)는 제빙관(1)의 외주에 나선형으로 밀착 권장된 후에 납땜에 의해 고착되어, 냉매입구(2-1)로부터 유입되는 감압냉매가 냉매출구(2-2)측으로 흐르면서 증발함에 따라 제빙관(1)을 빙점 아래까지 냉각하는 역할을 하는 증발기로써, 열전도율이 우수한 동파이프 등의 적절한 금속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제빙관(1)의 외경보다 작은 권장부(14)를 구비한 파이프 나선권장기구(B)를 사용하여 상하 인접하는 파이프(2) 사이를 밀착시킨 나선 형상으로 절곡 가공된다.(도 1a 참조)
파이프 나선권장기구(B)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5)의 양측벽 사이에 제빙관(1)의 외경(L2)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원통형의 권장부(14)가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일측벽측에 인입/반발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권장부(14)가 일측벽으로 인입/반발토록 함으로써 나선형으로 절곡 가공된 냉매파이프(2)가 권장부(14)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또한, 권장부(14)에는 절곡 전의 냉매파이프(2)를 권장부(14)에 적절한 나선 각도로 안내함과 동시에, 그 절곡 가공을 연속 진행함에 따라 관방향으로 이동하는나선각도조절기(16)가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이 나선각도조절기(16)에 의해 냉매파이프(2)의 나선각도를 조절 설정한 상태에서 권장부(14)를 핸들(17)이나 기타 동력 등에 의해 회동시키는 것으로, 냉매파이프(2)를 적절한 나선각도로 유지하여 파이프(2) 사이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나선형으로 절곡 가공할 수 있도록 한다.
권장부(14)의 외경은 냉매파이프(2)가 나선형으로 절곡 가공된 후 스프링의 늘어지는 량(??量)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권장부(14)에 나선형으로 권장된 후, 냉매파이프(2)가 스프링백 현상에 의해 약간 확대되어도 그 내경(L1)은 제빙관(1)의 외경(L2)보다도 작아지지 않으므로 권장부(14)의 외경 치수를 설정함으로써 냉매파이프(2)를 탄발작용의 범위내에서 제빙관(1)에 움직이지 않도록 확실히 조립 권장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 나선권장기구(B)를 사용하여 냉매파이프(2)를 제빙관(1)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나선형으로 절곡 가공한다. 그 후, 나선형으로 절곡 가공된 냉매파이프(2)의 냉매입구(2-1)와 냉매출구(2-2)로 이루어진 상하 개방단측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냉매파이프(2)를 나선방향으로 확대하며(도 1c의 상태), 이 상태에서 냉매파이프(2)를 제빙관(1)에 삽입 권장하고, 냉매입구(2-1) 및 냉매출구(2-2)가 각각 소정 방향으로 향한 상태에서 냉매파이프(2)가 확대되는 방향으로의 힘을 해제함으로써 냉매파이프(2)가 제빙관(1)의 외주에 권장되는 방향으로 발생된 강한 탄발작용(나선방향의 텐션작용)에 의해 제빙관의 외주에 밀착되어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취부방법에 따르면, 작업자가 냉매입구(2-1)측과 냉매출구(2-2)측을 지지한 상태에서, 냉매파이프(2)가 직경방향으로 확대되도록 힘을 가하면서 제빙관(1)의 일단 개구측으로부터 외주 소정 위치까지 결합시킨 후, 냉매입구(2-1)측과 냉매출구(2-2)측을 방기하는 간단한 수법에 의해 냉매파이프(2)를 제빙관(1)의 외주에 움직이지 않도록 조립 권장하게 된다.
또한, 냉매파이프(2)를 탄발작용의 범위내에서 제빙관(1)의 외면에 부동상태(원상복구상태)로 고정 권장할 수 있어, 지지기구 등을 사용하여 스폿(spot)용접에 의해 제빙관(1)에 각각 고정해야만 하는 수고로운 작업이 일절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냉매파이프(2)의 일부가 스프링백 현상에 의해 제빙관(1)의 외주로부터 분리되어 열교환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냉매파이프(2)의 제빙관(1)에 대한 조립 작업성 향상과 효율적 열교환을 가능토록 하는 오거식 제빙기(A)의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냉매파이프(2)를 제빙관(1)에 조립 권장한 후 행하는 납땜은, 종래 방법에서는 냉매파이프(2)의 나선을 따라 상하 밀착 인접하는 파이프(2) 사이와 제빙관(1) 사이에 존재하는 나선형공간을, 그 나선 일단측 개구로부터 용융된 납재(18)가 저류된 납통에 침지시키면서 행한다. 도면에서 18-1은 침지에 의해 냉매파이프(2)의 외표면을 둘러싸게 형성된 납막(??膜)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청구항 2에 관련된 본 발명에 의한 냉매파이프(2)의 취부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냉매파이프(2)를 제빙관(1)의 외경(L2)보다 작은내경(L1)을 갖는 상하 인접한 파이프(2) 사이에 적절한 틈새(X)를 확보한 상태에서 나선형으로 권장 형성한 후, 상기 틈새(X)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나선형 파이프 지지기구(19)를 내주에 구비한 관 권장기구(C) 내에 냉매파이프(2)를 세팅한 후, 냉매파이프(2) 내에 제빙관(1)을 압입하여 상기 틈새(X)가 파이프(2) 사이에 유지된 상태에서 냉매파이프(2)가 제빙관(1)의 외주에 탄발적으로 밀착 조립 권장되도록 되어 있다.
도 6은 상하 파이프(2) 사이에 틈새(X)를 확보하여 제빙관(1)의 외주에 나선형으로 권장된 냉매파이프(2)를 납땜으로 제빙관(1)에 고착시켜 조립 제작한 오거식 제빙관(A-1)의 일예를 도시한 전체 구성의 종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하 인접한 파이프(2) 사이에 틈새(X)를 확보하여 냉매파이프(2)를 나선형으로 절곡 형성하는 점, 이 냉매파이프(2)를 제빙관(1)의 외주에 삽입 결합시키는 점, 상기 틈새(X)를 유지하는 파이프 권장기구(C)를 사용하는 점 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기술과 상이한 점이며, 기타 구성 부분 중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기술한 파이프 나선권장기구(B)를 사용하여 상하 인접한 파이프(2) 사이에 적당한 틈새(X)를 확보한 상태에서 나선형으로 절곡 가공한 냉매파이프(2)를 관 권장기구(C) 내에 세팅하고, 이 관 권장기구(C)에 의해 상기 틈새(X)가 파이프(2) 사이에 유지된 상태로 제빙관(1)의외주에 탄발적으로 밀착 권장되도록 한다.
이때, 파이프(2) 사이의 틈새(X)는 1∼5㎜정도로, 바람직하게는 1∼3㎜정도가 좋다. 이 틈새(X)는 오거식 제빙기가 사용되는 지역의 온도 등 자연환경과 사용되는 제빙수의 수질, 기타 조건에 따라서 임의로 설정된다.
파이프 나선권장기구(B)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기술한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적절한 나선각도로 유지된 냉매파이프(2)의 파이프(2) 사이에 틈새(X)를 일정하게 확보하면서 나선형으로 절곡 가공함으로써, 그 절곡 가공이 진행됨에 따라 연속하여 권장부(14)의 관방향으로 이동되는 나선각도 겸 틈새조절기구(20)를 권장부(14)의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하며, 이 나선각도 겸 틈새조절기구(20)에 의해 냉매파이프(2)의 나선각도와 파이프(2) 사이의 틈새(X)를 조절 설정한 상태에서 권장부(14)를 핸들(17)이나 기타 동력 등에 의해 회동시킴으로써, 냉매파이프(2)를 적절한 나선각도로 유지하여 파이프(2) 사이에 틈새(X)를 확보한 상태에서 나선형으로 절곡 가공할 수 있다.
또한, 관 권장기구(C)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당한 크기를 가지는 기판베이스(21)와, 나선형의 냉매파이프(2)의 권장수로 상기 파이프(2)를 계합 유지하도록 파이프지지구(19)를 상기 틈새(X)에 상응하는 간격을 두고 내주에 나선형으로 형성함과 더불어, 관방향으로 2 분할된 한쌍의 지지부(22)로 이루되, 이 한쌍의 지지부(22)를 제빙관(1)용의 관통공(23)을 설치한 기판베이스(21)의 상부에 그리고 상기 관통공(23)을 축심으로 좌우에 여닫이가 자유롭도록 배설하고, 양 지지부(22)에는 폐쇄된 상태에서 그 개폐측을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폐쇄조작부(24)를 구비한다.
즉, 파이프 지지구(22) 사이의 간격은 냉매파이프(2) 사이에 확보된 틈새(X)에 따라 임의로 설정하게 된다. 한편, 틈새(X)를 1∼5㎜의 범위로 하는 경우에는 그 틈새 치수에 부합되도록 파이프지지구(22) 사이의 간격을 설정하여 관 권장기구(C)를 각각 제작하게 된다.
다음으로, 청구항 2에 관련된 냉매파이프(2)의 제빙관(1)에 대한 취부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파이프 나선권장기구(B)를 사용하여 제빙관(1)의 외경(L2)보다 작은 내경(L1)을 갖는 파이프(2) 사이에 1∼5㎜정도의 틈새(X)를 확보한 상태에서 냉매파이프(2)를 나선형으로 절곡 가공한다(도 3의 상태). 그리고, 이 나선형의 냉매파이프(2)를 관 권장기구(C)의 어느 일측 지지부(22)에 유지시키고, 이 상태에서 양 지지부(22)를 폐쇄조작부(24)에 의해 폐쇄한다.(도 4의 상태로부터 도 5a의 상태). 이에 따라, 파이프(2) 사이에 틈새(X)를 확보한 나선형의 냉매파이프(2)는 관 권장기구(C) 내주의 나선 파이프지지구(19)에 계합 유지된다.(도 5b의 상태).
다음에, 관 권장기구(C)의 상부 개구로부터 그 권장기구(C) 내에 세팅시킨 냉매파이프(2) 내에 제빙관(1)을 압입한다(도 5c의 상태). 그러면, 파이프지지구(19)에 계합되어 있는 냉매파이프(2)가 다시 관 내측으로 이동하며(도 5b의 확대도 상태로부터 도 5c의 확대도 상태), 파이프(2) 사이의 틈새(X)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이 틈새(X)는 관 권장기구(C)로부터 제빙관(1)과 함께 냉매파이프(2)를 분리시킨 상태에서도 제빙관(1)의 외경(L2)보다 작은 내경(L1)을 갖는냉매파이프(2)가 제빙관(1)의 외주에 권장되는 방향으로 발생된 강한 탄발작용(나선방향의 텐션작용)에 의해 그 외주에 부동상태로 밀착 조립 권장되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도 5d의 상태).
즉, 이 실시예에 관한 냉매파이프(2)의 제빙관(1)에 대한 납땜은, 종래 방법에서와 같이 냉매파이프(2)를 제빙관(1)에 권장하는 작업과 동시에 납을 파이프에 흘려보내면서 권장한 후 제빙관(1)을 땜납의 용융온도(융점)까지 가열하는 것도 좋지만, 본 발명에서는 용융된 땜납(18)이 저류된 로(爐)에 침지시키면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거식 제빙기에 대한 냉매파이프의 취부방법은 상술한 구성으로부터 다음의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첫째, 청구항 1에 따르면, 냉매파이프를 탄발적으로 확대하여 제빙관의 외주에 삽입 결합함으로써, 제빙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냉매파이프가 관의 외주에 권장되는 방향으로 발생된 강한 탄발작용에 의해 제빙관의 외주에 부동상태로 밀착된 고정 권장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지지기구를 사용한 스폿용접에 의해 제빙관에 각각 고정해야만 하는 시간이 소요되는 불필요한 작업이 일절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냉매파이프의 일부가 스프링백 현상에 의해 제빙관의 외주로부터 분리되어 열교환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단순한 방법에 의해 냉매파이프로부터 제빙관으로의 열교환율을 종래의 제빙기에 비해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냉매파이프로부터 제빙관으로의 열교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매파이프의 취부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청구항 2에 따르면, 상하 인접하는 냉매파이프의 파이프 사이의 틈새를 관 권장기구로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제빙관의 외주에 냉매파이프를 조립 권장할 수 있다. 게다가, 제빙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냉매파이프가 제빙관의 외주에 권장되는 방향으로 발생된 강한 탄발작용에 의해 제빙관의 외주에 부동상태로 밀착 권장되어 파이프 사이에 확보된 틈새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 1에서와 같이 종래의 지지기구를 사용한 스폿용접에 의해 제빙관에 각각 고정해야만 하는 수고로운 작업이 일절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냉매파이프의 일부가 스프링백 현상에 의해 제빙관의 외주로부터 분리되어 열교환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매파이프의 취부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직립된 제빙관과, 이 제빙관 내에 동일축으로 배설되는 오거와, 제빙관의 외주에 나선형으로 권장된 냉매파이프를 구비한 오거식 제빙기에 있어서,
    냉매파이프를 제빙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나선형으로 형성한 후, 탄발적으로 확대하여 제빙관의 외주에 삽입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빙관의 외주에 냉매파이프가 탄발적으로 권장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거식 제빙기에 대한 냉매파이프의 취부방법.
  2. 직립된 제빙관과, 이 제빙관 내에 동일축으로 배설되는 오거와, 제빙관의 외주에 나선형으로 권장된 냉매파이프를 구비한 오거식 제빙기에 있어서,
    냉매파이프를, 제빙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상하 인접하는 파이프간에 적당한 틈새를 확보한 상태에서 나선형으로 형성한 후, 그 파이프 사이의 틈새를 유지하는 간격을 갖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된 파이프지지기구를 내주에 구비한 파이프 권장기구 내에 계합된 상태로 냉매파이프를 세팅하고, 상기 냉매파이프 내에 제빙관을 압입하도록 틈새가 파이프 사이에 유지된 상태로 제빙관의 외주에 탄발적으로 권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거식 제빙기에 대한 냉매파이프의 취부방법.
KR10-2001-0001834A 2000-10-27 2001-01-12 오거식 제빙기에 대한 냉매파이프의 취부방법 KR1003857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29257 2000-10-27
JP2000329257A JP4546636B2 (ja) 2000-10-27 2000-10-27 オーガ式製氷機における冷媒パイプの取付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3009A KR20020033009A (ko) 2002-05-04
KR100385707B1 true KR100385707B1 (ko) 2003-05-27

Family

ID=18805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834A KR100385707B1 (ko) 2000-10-27 2001-01-12 오거식 제빙기에 대한 냉매파이프의 취부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546636B2 (ko)
KR (1) KR1003857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636B1 (ko) * 2010-06-16 2011-06-08 주식회사 칼라세븐 광 에너지를 이용한 휴대용 요실금 및 생리통 치료기
ITPI20130063A1 (it) * 2013-07-04 2015-01-05 Cosmec Italia S R L Corpo di scambio termico e apparecchiatura per la produzione di ghiaccio, in particolare, per impiego con fluidi refrigeranti ad alta pressione, e metodo per la fabbricazione di detto corpo di scambio termico
JP7106215B2 (ja) 2018-08-10 2022-07-26 ホシザキ株式会社 オーガ式製氷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448A (ja) * 1974-07-19 1976-01-31 Sanyo Electric Co Henpeisokannetsukokankino kumitatehoho
JP3343713B2 (ja) * 1996-02-22 2002-11-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冷媒加熱用熱交換器
JPH11237148A (ja) * 1998-02-19 1999-08-31 Hoshizaki Electric Co Ltd 冷却ユニツト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130880A (ja) 2002-05-09
JP4546636B2 (ja) 2010-09-15
KR20020033009A (ko) 200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2104497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еплообменной трубы с двойными стенками с обнаружением течи и теплообменная труба
KR102047441B1 (ko) 나선 동적 유동 관통 히터
KR100936691B1 (ko) 제빙용 냉매관 및 그 제조방법.
CA2465538A1 (en) Improved water heater
PL168903B1 (pl) Sposób wytwarzania cylindrów zamrazajacych maszyn do wytwarzania lodów PL
KR100385707B1 (ko) 오거식 제빙기에 대한 냉매파이프의 취부방법
KR101867835B1 (ko) 오거의 제조방법과 오거식 제빙기
KR20100077262A (ko) 제빙관과 그 제조방법
CN105066564A (zh) 一种热管防凝露中梁
CN1322300C (zh) 热交换器
US1931467A (en) Radiator
KR102257413B1 (ko)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킨 오거식 제빙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26309A (ko) 제빙관과 그 제조방법
CN100378424C (zh) 冰箱热交换器及制造该热交换器的制冷剂管的方法
CN101441016A (zh) 带除霜加热器的冷却器及物品储藏装置
KR100384812B1 (ko) 오거(Auger)식 제빙기에 있어 냉매 파이프의 고착방법 및 고착구조
US4266603A (en) Heat exchangers and method
JP2000283664A (ja) 冷凍サイクル用熱交換パイプ及びその製造方法
GB2080509A (en)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EP1031807B1 (en) Cylindrical heat-exchanger
KR100380111B1 (ko) 오거식 제빙기에 대한 냉매파이프의 고착방법
KR100366431B1 (ko) 플라스틱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접합방법
JP2004332951A (ja) エバポレータの製造方法
KR100438453B1 (ko) 오거식 제빙기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납조 침지장치
CN101839608B (zh) 带除霜加热器的冷却器及物品储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