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2642B1 - 인쇄기용 감광벨트 - Google Patents

인쇄기용 감광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2642B1
KR100382642B1 KR10-2000-0008826A KR20000008826A KR100382642B1 KR 100382642 B1 KR100382642 B1 KR 100382642B1 KR 20000008826 A KR20000008826 A KR 20000008826A KR 100382642 B1 KR100382642 B1 KR 100382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belt
grounding
base layer
layer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8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4059A (ko
Inventor
신중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08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2642B1/ko
Publication of KR20010084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4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6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8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 H04L41/509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wherein the managed service relates to media content delivery, e.g. audio, video or 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image or video mess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기용 감광벨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용 감광벨트는 롤러들에 접촉 가능하도록 베이스층의 배면에 마련된 접지용 도전부와, 그 접지용 도전부와 베이스층의 표면에 적층된 도전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체를 구비하여, 별도의 접지용부재를 마련하지 않더라도 접지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인쇄기의 비용절감, 인쇄기 구조의 단순화, 인쇄품질의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기용 감광벨트{Photoreceptor belt for pri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인쇄기용 감광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접지를 위한 구조가 개선된 인쇄기용 감광벨트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등과 같은 인쇄기는, 감광매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고 토너에 의해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한 뒤 인쇄용지에 전사시켜 원하는 화상을 얻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감광매체로서 벨트형태의 감광매체 즉 감광벨트를 채용한 인쇄기의 일례의 주요부위가 도 1에 구조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벨트(10)는 복수의 롤러(1)에 감아걸리며, 그 롤러(1)들 중 하나가 회전될 때 다른 롤러(1)들을 회전시키면서 무한궤도를 따라 순환주행하게 된다. 상기 롤러(1)들은 금속재료로 된 프레임(미도시)에 지지되어 있으며, 그 롤러(1)들 중 적어도 일부의 롤러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료로 만들어져 있다.
상기 감광벨트(1)는 대전기(2)에 의해 소정 전위의 대전상태로 유지되며, 레이저 주사유니트(LSU; 4)에서 주사된 레이저빔에 의해 전위가 변화됨으로써, 그 표면측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감광벨트(10)의 정전잠상영역에는 현상유니트(6)에 의해 공급된 현상액 중의 토너가 부착되어 토너상이 형성되고, 그 토너상은 표면에너지의 차이에 의해 전사롤러(8)에 전사된다. 전사롤러(8)에 전사된 토너상은 그 전사롤러(8)와 정착롤러(9) 사이로 통과되는 인쇄용지(P)에 인쇄된다. 괄호내의 참조번호 100은 본 발명의 감광벨트를 설명하기 위해 부여해둔 부호이다.
도 2 및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인쇄기에 적용되는 종래 감광벨트(10)의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종래의 감광벨트(10)는, 배면이 상기 롤러(1)들에 접촉되는 베이스층(11)과, 그 베이스층(11)의 표면 측에 차례로 적층된 도전층(12)과 감광층(13)을 구비한다. 상기 레이저 주사유니트(4)에 의한 레이저 주사시에 그 주사된 부분의 감광층(13)의 전자 또는 양전자가 도전층(12)을 거쳐 외부로 빠져나감으로써 상기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참조번호 14는 감광층(13)에 형성된 정전잠상 부위로 공급되는 토너가 부착되어 토너상을 형성되는 릴리이즈층을 나타낸다.
한편, 레이저빔이 주사되는 부위의 감광층(13)의 전자를 외부로 빼내기 위한 감광벨트 접지구조로서 종래에는, 베이스층(11)과 도전층(12)의 가장자리부를 연장시켜서 외부로 노출시키고 그 노출된 부위의 도전층(12) 표면에 띠형의 접지용 도전부(15)를 형성함과 아울러, 인쇄기내의 프레임에 지지된 별도의 접지용 브러시(20)의 도전성 와이어(21)들이 상기 접지용 도전부(15)에 접촉되도록 하였다. 상기 브러시(20)의 도전성 와이어(21)들은 인쇄기 내의 금속성 프레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접지용 도전부(15)는 도전층(12)의 전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감광벨트(10)가 순환주행되는 도중에도 브러시(20)의 도전성 와이어(21)는 계속적으로 접지용 도전부(15)에 접촉되어 있게 되어, 레이저빔이 조사될 때 감광층(13)의 전자 또는 양전자가 도전층(12)과 브러시(20)의 도전성 와이어(21)를 통해 프레임 측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화살표(A)는 현상유니트(6)로부터 감광벨트(10)로의 현상액의 공급방향을 나타낸다.
그런데, 상술한 접지구조를 가지게 되면 몇가지 문제점이 나타난다. 즉, 인쇄기에 감광벨트와는 별도로 감광벨트 접지용 브러시가 마련되어야 하므로, 인쇄기의 원가가 증대되며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감광벨트를 새것으로 교체할 때 감광벨트가 그 브러시에 의해 간섭됨으로써 감광벨트 교체작업이 힘들고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지용 도전부가 현상유니트쪽을 향해 있으므로, 정전잠상의 현상을 위해 현상유니트로부터 감광벨트 표면으로 공급되는 현상액이 상기 접지용 도전부에 묻는 경우가 발생되며 그러한 경우에, 접지용 도전부에 부착된 현상액으로 인하여, 도전부와 브러시의 도전성 와이어 사이의 전기적 접촉상태가 불량해지게 되어 확실한 접지가 행해지지 않게 되며, 그 결과 감광벨트에 정전잠상이 정확하게 형성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나타난다. 더욱이, 접지용 도전부에 부착된 현상액이 그 접지용 도전부와 와이어 사이에서 굳어지는 경우에는 브러시의 도전성 와이어의 유연도가 저하되므로 도전성 와이어와 접지용 도전부 사이의 전기적 접촉상태가 더욱 악화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접지용 브러시 등과 같은 별도의 부재를 마련하지 않더라도 접지가 원활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구성된 인쇄기용 감광벨트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인쇄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쇄기에 적용되는 종래 감광벨트의 개략적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감광벨트의 Ⅲ-Ⅲ선 개략적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인쇄기에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광벨트의 개략적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감광벨트의 Ⅴ-Ⅴ선 개략적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감광벨트 110...베이스층
120...도전층 130...감광층
150...접지용 도전부 160...도전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용 감광벨트는, 복수의 롤러에 감아걸려서 순환주행되며, 그 배면이 상기 롤러들에 접촉되는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의 표면에 적층된 도전층과, 상기 도전층의 표면에 적층된 감광층을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롤러들에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층의 배면에 마련된 접지용 도전부와, 상기 베이스층의 표면에 적층된 도전층과 상기 베이스층의 배면에 마련된 접지용 도전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체를 구비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인쇄기에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광벨트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감광벨트의 Ⅴ-Ⅴ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감광벨트(100)는,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 감광벨트(10)와 마찬가지로, 인쇄기내의 금속성 프레임(미도시)에 지지된 복수의 롤러(1)에 감아걸려서 그 롤러(1)들 중 하나가 회전 구동될 때 다른 롤러(1)들을 회전시키면서 무한궤도를 따라 순환주행하는 것으로서, 베이스층(110)과, 도전층(120)과, 감광층(130)과, 릴리이즈층(140)을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층(110)은 그 배면(111)이 상기 롤러(1)들과 대면되어 그 롤러(1)들에 접촉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롤러(1)들 중 적어도 일부의 롤러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료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금속성 프레임에 지지되어 그 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 도전층(120)은 알루미늄 등과 같이 전도성이 양호한 금속을 베이스층(110)의 표면(112)에 코팅함으로써 형성된 것이다. 상기 감광층(130)은 도전층(120)의 표면에 적층된 것으로서, 인쇄기 내의 레이저 주사유니트(4)에 의해 레이저빔이 주사될 때, 그 주사 부위의 전자 또는 양전자가 외부로 빠져나가서 레이저빔 주사부위와 비주사부위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됨으로써, 정전잠상이 형성되도록 된 층이다. 상기 릴리이즈층(140)은 인쇄기 내의 현상유니트(6)에 의해 상기 정전잠상 부위로 공급되는 현상액 중의 토너가 부착되어 토너상을 형성하는 부위이다. 이 릴리이즈층(140)의 표면에너지는 전사롤러(8)의 표면에너지보다 작으며 그 표면에너지차에 의해 감광벨트(100)의 표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릴리이즈층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상이 전사롤러(8)로 전사되고 그 전사롤러(8)로 전사된 토너상은 인쇄용지(P)에 인쇄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감광벨트(100)는, 종래 감광벨트(10)와는 달리, 베이스층(110)의 배면(111)에 마련된 접지용 도전부(150)와, 베이스층(110) 내에 마련된 도전체(16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접지용 도전부(150)는 베이스층(110)의 배면(111) 가장자리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 접지용 도전부(150)는,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과 같이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재료를 베이스층(110)의 배면(111) 가장자리부에 코팅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으며, 베이스층(110)의 배면(111)의 전둘레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체(160)는 베이스층(110)의 표면(112)에 적층된 도전층(120)과 베이스층(110)의 배면(111)에 마련된 접지용 도전부(1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일단이 도전층(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용 도전부(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감광벨트(100)에 있어서는, 베이스층(110)의 표면(112)과 배면(111) 사이를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그 구멍에 예를 들어 카본 등과 같이 도전성이 우수한 도전성 재료가 충전되어 그 도전성 재료에 의해 상기 도전체(160)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전체(160)는 하나만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나, 보다 확실한 전기전도를 위하여 감광벨트(100)의 주행방향을 따라서 다수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감광벨트(100)의 기본적인 작동이나 기능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 감광벨트(10)와 다를 바 없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종래의 감광벨트와 구별되는 접지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감광벨트(100)는, 레이저빔이 주사되는 부위의 감광층(130)의 전자 또는 양전자가 외부로 빠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베이스층(110)의 배면(111) 측에 마련된 접지용 도전부(150)와, 그 접지용 도전부(150)와 도전층(12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도전체(160)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감광벨트(100)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1)들에 감아걸어두게 되면, 상기 접지용 도전부(150)가 롤러(1)들에 접촉되게 된다. 비록 도면에서는 접지용 도전부(150)를 포함하여 감광벨트 전체의 두께를 과장하여 도시하였으나, 감광벨트전체의 두께 및 접지용 도전부(150)의 두께는 매우 얇게 형성되는 것이므로, 롤러(1)들은 그 접지용 도전부(150) 외에 베이스층(110)의 배면(111)에도 함께 접촉되게 된다.
접지용 도전부가 롤러(1)들에 접촉된 상태가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롤러(1)들은 인쇄기 내의 금속성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고 그 롤러(1)들 중 적어도 일부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료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감광벨트(100)는 도전층(120)과 도전체(160)와 접지용 도전부(150) 및 금속성 롤러(1)들을 통해서 프레임에 접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 감광벨트(10)에 접지를 위하여 마련되어야 하였던 브러시(20) 등과 같은 별도의 부재를인쇄기 내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감광벨트(100)를 채용하게 되면, 접지를 위한 별도의 부재를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인쇄기의 원가가 절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쇄기의 내부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또한 그 감광벨트(100)의 교체시에도, 별도의 접지용 부재의 의한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감광벨트(100)의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의 감광벨트(100)에서는 접지용 도전부(150)가 베이스층(110)의 배면(111)쪽 즉, 인쇄기 내의 현상유니트(6)로부터의 현상액의 공급방향(A; 도 5 참조)과는 반대쪽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그 감광벨트(100)를 채용하게 되면, 현상유니트(6)로부터 감광벨트(100)의 표면측으로 공급되는 현상액이 접지용 도전부(150)에 묻을 우려가 거의 없다. 설령, 접지용 도전부(150)에 현상액이 묻더라도, 그 접지용 도전부(150)는 감광벨트(100)의 베이스층(110)의 배면(111)측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접지용 도전부(150)에 묻은 현상액이 전사롤러(8)를 통해 인쇄용지(P)로 전사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인쇄용지(P)가 오염되는 경우는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베이스층(110)에 구멍을 형성한 후 그 구멍에 카본을 충전시켜서 그 카본에 의해 상기 도전체(160)가 구성되도록 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층(110)의 구멍을 형성한 후에 상기 도전층(120)의 형성을 위해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료를 베이스층(110)에 코팅할 때 그 금속재료가 베이스층(110)의 구멍에 채워져서 상술한 도전체(160)를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베이스층(110)에 그 베이스층(110)의 표면(112)과 배면(111) 사이를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도전체(160)는 그 베이스층(110)의 구멍에 충전된 상태에서 상기 접지용 도전부(150)와 도전층(12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도전체(160)의 설치위치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도전체가 베이스층(110)의 측면상에 배치되어 그 일단이 도전층(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용 도전부(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용 감광벨트는 롤러들에 접촉 가능하도록 베이스층의 배면에 마련된 접지용 도전부와, 그 접지용 도전부와 베이스층의 표면에 적층된 도전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체를 구비하여, 별도의 접지용부재를 마련하지 않더라도 접지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인쇄기의 비용절감, 인쇄기 구조의 단순화, 인쇄품질의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Claims (2)

  1. 복수의 롤러(1)에 감아걸려서 순환주행되며, 그 배면(111)이 상기 롤러(1)들에 접촉되는 베이스층(110)과, 상기 베이스층(110)의 표면(112)에 적층된 도전층(120)과, 상기 도전층(120)의 표면에 적층된 감광층(130)을 구비하는 인쇄기용 감광벨트에 있어서,
    상기 롤러(1)들에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층(110)의 배면(111)에 마련된 접지용 도전부(150)와,
    상기 베이스층(110)의 표면(112)에 적층된 도전층(120)과 상기 베이스층(110)의 배면(111)에 마련된 접지용 도전부(1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체(1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용 감광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110)에는 그 베이스층(110)의 표면(112)과 배면(111)을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도전체(160)는 상기 베이스층(110)의 구멍에 삽입되어서 일측이 상기 도전층(12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접지용 도전부(150)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용 감광벨트.
KR10-2000-0008826A 2000-02-23 2000-02-23 인쇄기용 감광벨트 KR100382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826A KR100382642B1 (ko) 2000-02-23 2000-02-23 인쇄기용 감광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826A KR100382642B1 (ko) 2000-02-23 2000-02-23 인쇄기용 감광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059A KR20010084059A (ko) 2001-09-06
KR100382642B1 true KR100382642B1 (ko) 2003-05-09

Family

ID=19649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826A KR100382642B1 (ko) 2000-02-23 2000-02-23 인쇄기용 감광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264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7947A (ja) * 1984-08-29 1986-03-25 Ricoh Co Ltd ベルト状感光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7947A (ja) * 1984-08-29 1986-03-25 Ricoh Co Ltd ベルト状感光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059A (ko) 200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264637A (ja) 静電複写印刷マシンの現像ステーション、現像ステーションの製造方法、及び静電複写印刷マシン
EP0786707B1 (en) Donor rolls with capacitively cushioned commutation
US63628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statographic printing utilizing an electrode array and a charge retentive imaging member
US4576463A (en) Developing apparatus for electrostatic photography
US5272505A (en) Charging device, process unit having s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process unit
US768407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5515142A (en) Donor rolls with spiral electrodes for commutation
KR100382642B1 (ko) 인쇄기용 감광벨트
US5570169A (en) Donor rolls with modular commutation
JP3301474B2 (ja) 画像形成装置
US5504563A (en) Scavengeless donor roll development
US5523826A (en) Developer units with residual toner removal to assist reloading
US6223013B1 (en) Wire-less hybrid scavengeless development system
CN115826373A (zh) 联接结构和成像设备
US20100098460A1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ation apparatus that efficiently removes residual toner on intermediate transfer belt
JPH06314005A (ja) 画像形成装置
JP3244731B2 (ja) 帯電装置及び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4619025B2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帯電装置
KR100396572B1 (ko) 전자 사진방식의 화상 형성장치용 감광매체
US5589917A (en) Donor rolls with magnetically coupled (Transformer) commutation
JPH10207222A (ja) 静電潜像の現像機構
JPH086415A (ja) 画像形成装置の定着装置
US4103994A (en) Recording plate
JP2004138777A (ja) 感光体ドラ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11258907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