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2500B1 - 영상표시기용 브라운관의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용 브라운관의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2500B1
KR100382500B1 KR10-2001-0001295A KR20010001295A KR100382500B1 KR 100382500 B1 KR100382500 B1 KR 100382500B1 KR 20010001295 A KR20010001295 A KR 20010001295A KR 100382500 B1 KR100382500 B1 KR 100382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assembly
image
neck
bracket
nec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1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0300A (ko
Inventor
이재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1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2500B1/ko
Publication of KR20020060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5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cathode ray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96One or more circuit el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tub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Vessels and containers
    • H01J2229/8603Neck or cone portions of the CRT ves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용 브라운관의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총이 설치된 브라운관 네크부의 후단부 외주면을 감싸면서 고정하는 중공 원통형의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그 직경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브래킷을 네크부에 고정하는 네크밴드와, 상기 브래킷과 결합됨과 아울러 중앙부에 구비된 소켓의 핀홀에 상기 전자총의 스템핀이 삽입됨에 의해 상기 네크부의 후단부에 고정 가능하게 결합되는 영상부 기판조립체와, 상기 영상부 기판조립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할 수 있도록 그 후면에 결합되는 흡열수단과, 상기 브래킷과 영상부 기판조립체, 그리고 흡열수단을 내측에 수용함과 동시에 그 외측을 커버할 수 있도록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전,후방 비디오실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용 브라운관의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 결합장치를 제공하여, 주변 온도변화에 관계 없이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 체결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상표시기용 브라운관의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 결합장치{device for holding between neck portion and video PCB assembly of braun tube in a video display appliance}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용 브라운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브라운관의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영상표시기용 브라운관의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영상표시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2a 및 2b는 도 1의 A부 확대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브라운관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 결합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는 브라운관(1) 후방에 위치하는 네크부(3)와 영상부 기판조립체(10)를 결합하기 위하여,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부 기판조립체(10)에 구비된 소켓(11)의 핀홀(11a)과 네크부(3)의 스템핀(4)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소켓(11)의핀홀(11a)에 스템핀(4)을 삽입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네크부(3)와 영상부 기판조립체(10)를 서로 결합시킨 후,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소켓(11)과 네크부(3)의 결합부위에 가소성 수지인 접착제(15)를 도포한다.
즉, 종래에는 네크부(3)에 영상부 기판조립체(10)의 조립시, 상기 영상부 기판조립체(10)에 구비된 소켓(11)과 네크부(3)을 결합시킨 후, 상기 소켓(11)과 네크부(3)의 결합부위에 이탈 방지용 접착제(15)를 도포함으로써, 접착제(15)에 기인한 접합력에 의해 상기 소켓(11)과 네크부(3)의 결합력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장치는 소켓(11)과 네크부(3)의 조립 후, 결합부위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이탈 방지용 접착제(15)를 사용함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첫째, 상기 이탈 방지용 접착제(15)만으로는 체결력이 약하고, 특히 동절기에는 접착력이 저하되는 등 주변 온도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결합 신뢰성을 온도와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유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인체에 해로운 접착성분을 사용함으로 인해 작업환경이 나빠지는 등 환경 친화적인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제품의 아프터서비스(after service) 등을 위해 브라운관(1)과 영상부 기판조립체(10)를 분리할 경우, 상기 브라운관(1)과 영상부 기판조립체(10)의 결합부위에 도포된 접착제(15)를 반드시 제거해야만 하기 때문에 작업이 어렵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네크부(3)와 영상부 기판조립체(10)의 결합구조는 단순히 스템핀(4)과 소켓(11)의 결합부위에 접착제(15)를 도포하는 구조이므로, 소켓(11)과 영상부 기판조립체(10)의 결합 후에 상호간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탈 방지용 접착제(15)가 추가되어야 함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네크부(3)와 영상부 기판조립체(10)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영상부 기판조립체(10)의 뒷면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스폰지(미도시)를 부착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즉, 영상부 기판조립체(10)의 뒷면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스폰지를 부착시켜 스폰지가 기기 후면에 체결되는 후면커버에 의해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네크부(3)와 영상부 기판조립체(10)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스폰지를 이용하여 네크부(3)와 영상부 기판조립체(10)의 분리를 방지하는 구조는 기기의 후면커버 체결시 영상부 기판조립체(10)의 변형(휨)에 의해 기판의 땜납부분이 떨어져 나가 제품의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브라운관의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체결력을 향상시키고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영상표시기용 브라운관의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영상표시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2a 및 2b는 도 1의 A부 확대도로서,
도 2a는 브라운관의 네크부에 영상부 기판조립체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b는 브라운관의 네크부에 영상부 기판조립체가 결합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운관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 결합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브래킷과 영상부 기판조립체를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 5a, 5b 및 6a, 6b는 브래킷과 영상부 기판조립체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a는 브래킷의 고정부에 고정핀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b는 도 5a의 A-A선 단면도,
도 6a는 브래킷의 고정부에 고정핀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b는 도 6a의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브라운관, 3....네크부,
110....전방 비디오실드, 111....체결공,
120....네크밴드, 130....브래킷,
135....고정부, 136....고정핀,
140....영상부 기판조립체, 150....흡열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총이 설치된 브라운관 네크부의 후단부 외주면을 감싸면서 고정하는 중공 원통형의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그 직경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브래킷을 네크부에 고정하는 네크밴드와, 상기 브래킷과 결합됨과 아울러 중앙부에 구비된 소켓의 핀홀에 상기 전자총의 스템핀이 삽입됨에 의해 상기 네크부의 후단부에 고정 가능하게 결합되는 영상부 기판조립체와, 상기 영상부 기판조립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할 수 있도록 그 후면에 결합되는 흡열수단과, 상기 브래킷과 영상부 기판조립체, 그리고 흡열수단을 내측에 수용함과 동시에 그 외측을 커버할 수 있도록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전,후방 비디오실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용 브라운관의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브라운관의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 결합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브라운관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 결합장치의 주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a, 2b를 참조하여 전술한 종래의 기술을 참조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서 도면(도 3, 4, 5b, 6b)상 좌측을 브라운관의 전방으로 하고, 도면상 우측을 브라운관의 후방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운관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 결합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브래킷과 영상부 기판조립체를 확대 도시한 상세도이다.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브라운관(1) 네크부(3)의 후단부에는 전자총의 스템핀(4)이 위치되고, 상기 스템핀(4)은 본 발명의 영상부 기판조립체(140) 중앙부에 구비된 소켓(141)의 핀홀(141a)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영상부 기판조립체(140)가 네크부(3)의 후단부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라운관 네크부(3)와 영상부 기판조립체(140)의 결합장치는 상기 네크부(3)의 후단부 외주면을 감싸면서 고정하는 중공 원통형의 브래킷(130)과, 상기 브래킷(1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브래킷(130)의 직경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브래킷(130)을 네크부(3)에 고정하는 네크밴드(120)와, 상기 스템핀(4)과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브래킷(130)의 후방에 결합되어 네크부(3)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영상부 기판조립체(140)와, 상기 영상부 기판조립체(140)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할 수 있도록 열전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그 후방에 결합되는 흡열수단(150)과, 상기 브래킷(130)과 영상부 기판조립체(140), 그리고 흡열수단(150)을 내측에 수용함과 동시에 그 외측을 커버할 수 있도록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전,후방 비디오실드(110,160)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장치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브래킷(130)은 네크부(3)의 후단부 외주면을 감싸면서 고정할 수 있도록 중공 원통형으로 된 몸체부(131)와, 상기 네크부(3)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31)의 전단부 내주면을 따라 돌기(132a)와 홈(132b)이 번갈아 형성된 조임부(132)와, 상기 네크밴드(120) 상에 절결 형성된 대략 사각 형상의 고정홀(121)에 대응 삽입되도록 상기 조임부(132)가 형성된 몸체부(131)의 외주면상에 외향 돌설된 다수개의 밴드고정부(133)와, 그 후단부에는 상기 영상부 기판조립체(140) 상에 형성된 삽입홀(143)에 대응 삽입되는 삽입단부(135b)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그 후방에 결합되는 상기 영상부 기판조립체(140) 측을 향하여 관통홀(135a)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31)의 후단부 외주면 상에 구비된 고정부(135)와, 상기 고정부(135)의 삽입단부(135b)가 상기 영상부 기판조립체(140)의 삽입홀(143)에 삽입되어 고정된 후 고정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관통홀(135a)에 삽입되는 고정핀(136)으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고정부(135)의 삽입단부(135b)에는 절결부(135c)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136)이 삽입단부(135b)의 내측에 완전히 삽입됨에 의해 상기 삽입단부(135b)의 외경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핀(131)의 후단부에는 상기 삽입홀(143)의 내경 보다는 작고 상기 삽입단부(135b)의 내경 보다는 큰 외경을 갖는 연장돌부(136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130)은 수지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브래킷(130) 상에 고정부(135)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대략 원판 형상으로 된 전방 비디오실드(110)의 중앙부에는 상기 네크부(3)에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112)이 형성되고 테두리부에는 다수개의 체결공(111)이 형성되며, 대략 원통형상으로 된 후방 비디오실드(160)의 측면(161)에는 상기 영상부 기판조립체(140)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다수개의 방열공(161b)이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측면(161) 테두리의 전단부 상에는 상기 전방 비디오실드(110) 측을 향하여 다수개의 고정편(161a)이 돌설된다.
그리하여, 상기 전방 비디오실드(110)의 체결공(111)에 후방 비디오실드(160)의 고정편(161a)를 삽입시킨 후, 상기 고정편(161a)의 끝단부를 절곡함에 의해 상기 전,후방 비디오실드(110,160)가 결합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영상부 기판조립체(140)의 후방에 결합되는 흡열수단(150) 상에는 체결보스(155a,155b)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보스(155a,155b)와 대응되는 위치의 영상부 기판조립체(140) 상에는 체결공(145a,145b)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공(145a,145b)과 체결보스(155a,155b)를 일치시킨 후,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영상부 기판조립체(140)와 흡열수단(150)의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브라운관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 결합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12)을 통해 전방 비디오실드(110)를 네크부(3)의 후단부로부터 끼워 넣고, 브래킷(130)을 상기 네크부(3)의 후단부 외주면 소정위치에 위치시킨 후, 상기 브래킷(130)의 밴드고정부(133)에 체결공(111)이 대응되어 맞물리도록 네크밴드(120)를 설치한다.
이 때, 상기 네크밴드(120)의 체결볼트(미도시)를 완전히 조이지 않은 상태로서 가고정 시킨다.
이어서, 브래킷(130) 고정부(135)의 삽입단부(135b)를 영상부 기판조립체(140)의 삽입홀(143)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135)의 관통홀(135a) 내측으로 고정핀(136)을 완전히 삽입시켜 끼워 넣는다.
그런 후에, 흡열수단(150)을 상기 영상부 기판조립체(140)의 후방에 나사 체결하여 결합한 후, 전방 비디오실드(110)의 체결공(111)에 후방 비디오실드(160)의 고정편(161a)을 끼우고 나서 상기 고정편(161a)의 단부를 절곡시켜 결합시킨다.
마지막으로, 상기 네크밴드(120)의 체결볼트를 완전히 조여 네크부(3) 상에서 브래킷(130)이 유동하지 않도록 긴밀하게 결합시킴으로써 브라운관(1) 네크부(3)와 영상부 기판조립체(14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브래킷(130)의 고정부(135)와 영상부 기판조립체(140)의 결합구조를 도 5a, 5b, 6a, 6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35)의 삽입단부(135b)를 영상부 기판조립체(140)의 삽입홀(143)에 삽입시키면 상기 삽입단부(135b)의 끝단부가 상기 영상부 기판조립체(140)의 후방측으로 완전히 돌출된 상태로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35)의 관통홀(135a) 내측으로 고정핀(136)을 완전히 삽입시키면, 상기 고정핀(136)의 연장돌부(136a)가 상기 삽입단부(135b)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연장돌부(136a)가 삽입단부(135b)의 내측으로 삽입됨으로 인해 상기 삽입단부(135b)의 직경이 확대되면서 삽입단부(135b)의 절결부(135c) 부위가 벌어지게 된다.
즉, 상기 연장돌부(136a)의 외경이 상기 삽입단부(135b)의 내경 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삽입단부(135b)의 후단부가 벌어지게 되고, 상기 삽입단부(135b)의 후단부가 벌어진 만큼 삽입단부(135b)의 후단부의 직경이 확대된 상태로 되어, 고정부(135)의 삽입단부(135b)가 상기 영상부 기판조립체(140)의 삽입홀(143)에 삽입된 후 이탈되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브래킷(130)과 영상부 기판조립체(140)의 결합상태가 긴밀하게 유지된다.
요컨대, 본 발명의 네크부(3)와 영상부 기판조립체(140)의 결합구조는 전자총의 스템핀(3)이 소켓(11)의 핀홀(11a)에 단순히 삽입되던 종래의 결합구조와는 달리, 브래킷(130) 고정부(135)의 삽입단부(135b)가 고정핀(136)에 의해 영상부 기판조립체(140)에 긴밀히 고정되므로, 상기 고정부(135)에 삽입된 고정핀(136)의 삽입상태를 해제하지 않는 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네크부(3)와 영상부 기판조립체(140)가 분리되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는 달리 접착제 등 별도의 부가적인 이탈방지 수단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네크부(3)와 영상부 기판조립체(140)의 조립작업시 조립라인에서의 조립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게 되며, 인체에 유해하고 관리가 까다로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쾌적한 작업환경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아프터서비스 등을 위해 네크부(3)로부터 영상부 기판조립체(140)를 분리시킬 경우, 고정부(135)의 관통홀(135a)에 삽입고정된 고정핀(136)을 빼냄으로써 네크부(3)로부터 영상부 기판조립체(140)를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형상의 변경, 재질의 변경 등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 결합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주변 온도변화에 관계 없이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 체결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둘째, 인체에 해로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해 작업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어 환경 친화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다.
셋째, 제품의 아프터서비스 등을 위해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조립체를 분리할 경우, 브래킷의 고정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 결합부위에 고정된 고정핀을 빼냄으로써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다.

Claims (8)

  1. 전자총이 설치된 브라운관 네크부의 후단부 외주면을 감싸면서 고정되는 중공 원통형의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그 직경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브래킷을 네크부에 고정하는 네크밴드와,
    상기 브래킷과 결합됨과 아울러 중앙부에 구비된 소켓의 핀홀에 상기 전자총의 스템핀이 삽입됨에 의해 상기 네크부의 후단부에 고정 가능하게 결합되는 영상부 기판조립체와,
    상기 영상부 기판조립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할 수 있도록 그 후면에 결합되는 흡열수단과,
    상기 브래킷과 영상부 기판조립체, 그리고 흡열수단을 내측에 수용함과 동시에 그 외측을 커버할 수 있도록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전,후방 비디오실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용 브라운관의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 결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네크부의 후단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중공 원통형으로 된 몸체부와,
    상기 네크부의 외주면을 밀착하면서 가압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전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조임부와,
    상기 네크밴드에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조임부가 형성된 몸체부의 외주면상에 외향 돌설된 다수개의 밴드고정부와,
    그 후단부에는 상기 영상부 기판조립체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홀에 대응 삽입되는 삽입단부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영상부 기판조립체 측을 향하여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후단부 외주면 상에 구비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삽입단부가 상기 영상부 기판조립체의 삽입홀에 삽입된 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고정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용 브라운관의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 결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삽입단부에는 절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의 후단부에는 상기 삽입홀의 내경 보다는 작고 상기 삽입단부의 내경 보다 큰 외경을 갖는 연장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돌부가 삽입단부 내측으로 삽입됨에 의해 상기 삽입단부의 직경을 확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용 브라운관의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 결합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수지재질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용 브라운관의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 결합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브래킷과 일체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용 브라운관의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 결합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조임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을 따라 돌기와 홈이 번갈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용 브라운관의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 결합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전방 비디오실드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에 대응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후방 비디오실드의 측면 테두리부 전단부 상에 상기 전방 비디오실드 측을 향하여 돌설된 고정편으로 구성되어,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어 돌출된 고정편의 끝단부를 절곡함에 의해 상기 전,후방 비디오실드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용 브라운관의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 결합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수단은 열 전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용 브라운관의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 결합장치.
KR10-2001-0001295A 2001-01-10 2001-01-10 영상표시기용 브라운관의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결합장치 KR100382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295A KR100382500B1 (ko) 2001-01-10 2001-01-10 영상표시기용 브라운관의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295A KR100382500B1 (ko) 2001-01-10 2001-01-10 영상표시기용 브라운관의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300A KR20020060300A (ko) 2002-07-18
KR100382500B1 true KR100382500B1 (ko) 2003-05-09

Family

ID=27691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295A KR100382500B1 (ko) 2001-01-10 2001-01-10 영상표시기용 브라운관의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25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845B1 (ko) * 2001-12-17 2008-04-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의 결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300A (ko) 200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4349A (en) Electrical device having a printed-circuit board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device
US6459531B1 (en) Screen mounting device for projection TV
KR100382500B1 (ko) 영상표시기용 브라운관의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결합장치
KR200162382Y1 (ko) 모니터의 비데오 pcb 어셈블리 결착장치
US4593227A (en) Cathode ray tube mounting means
WO2020155820A1 (zh) 摄像头模组、电子设备及车辆设备
JPH07255004A (ja) 三板式テレビカメラ装置
KR200277850Y1 (ko) 씨알티 소켓
JP7495327B2 (ja) 自動車用カメラアセンブリ
JPH0751824Y2 (ja) プリント基板用取付け具
KR200172388Y1 (ko) 씨알티 소켓
JP3304919B2 (ja) 回路基板の取付構造および方法
JP2000064997A (ja) 冷却ファンの取付装置及び取付方法
KR200144098Y1 (ko) 모니터의 수상관 회로기판 지지구조
KR200239036Y1 (ko) 디스플레이장치의마이크장착장치
JP2001266387A (ja) 光ピックアップ
KR200363143Y1 (ko) 모니터의 수상관네크 고정장치
JP2021067950A (ja) 自動車用カメラアセンブリ
JPH1038318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0155892B1 (ko) 음극선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구
JP2002164673A (ja) 固定構造
JP2000252660A (ja) ソリッドステートリレー及びそのソケット
JPH08102512A (ja) ヒートパイプとこの固定具
JPH10135660A (ja) 部品の組立構造
KR19980019834U (ko) 모니터의 영상단 기판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