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1479B1 - 자동차의 에어 백 커버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에어 백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1479B1
KR100381479B1 KR10-2000-0082413A KR20000082413A KR100381479B1 KR 100381479 B1 KR100381479 B1 KR 100381479B1 KR 20000082413 A KR20000082413 A KR 20000082413A KR 100381479 B1 KR100381479 B1 KR 100381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ver body
airbag
crash pa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2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2907A (ko
Inventor
정병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2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1479B1/ko
Publication of KR20020052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2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1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14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instrument panel or dash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백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어백의 팽창시 커버 본체가 윈드 쉴드 글래스에 접촉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함으로써 윈드 쉴드 글래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크래쉬 패드(1)의 내측에 위치되며, 에어백(2)이 설치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과 대응되는 크래쉬 패드(1)의 전면에 위치된채 에어백(2)의 팽창에 의해 윈드 쉴드 글래스(W)를 향해 회동되며,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연질의 커버 본체(20)와; 에어백(2)의 팽창시 회동되는 에어 커버 본체(20)내의 에어를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커버 본체(20)와 윈드 쉴드 글래스(W)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에어 흡입수단(3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에어 백 커버{AIRBAG COVE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백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에어 백은 추돌 사고시 운전자의 머리 부분이 핸들에 부딪쳐 심각한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핸들상에 마련하는 것이 통상적인 바, 근래에 들어와서는 탑승자까지 보호하기 위하여 도 1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탑승자와 대응되는 크래쉬 패드(1)의 전면에 에어 백을 내장하고 있다.
즉, 도 1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에어 백은 핸들(1)상에 마련하고,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에어 백은 탑승자의 전면측 크래쉬 패드(2)상에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에어 백의 종래 결합구조를 보면, 도 4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크래쉬 패드(1)의 내면에는 에어 백(2)이 내장된 하우징(housing;3)이 위치되며, 이 하우징(3)의 전면에는 하우징(3)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것과 동시에 추돌시 에어 백(2)이 팽창되어 돌출될 수 있도록 하우징(3)의 상부 일측면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커버 본체(4)가 크래쉬 패드(1)와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즉, 커버 본체(4)는 상부 일측단이 크래쉬 패드(1)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 일측단이 크래쉬 패드(1)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에어 백(2)이 팽창시 하부가 크래쉬 패드(1)로 부터 분리되면서 에어 백(2)이 탑승자의 전면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구조에 있어서는, 에어 백(2)의 팽창과 동시에 회동되는 커버 본체(4)의 회전 반경이 넓어 인접된 윈드 쉴드 글래스(W)에 부딪침으로써 윈드 쉴드 글래스(W)를 파손시키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에어백의 팽창시 커버 본체가 윈드 쉴드 글래스에 접촉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함으로써 윈드 쉴드 글래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에어백 커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크래쉬 패드의 내측에 위치되며, 에어백이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대응되는 크래쉬 패드의 전면에 위치된채 에어백의 팽창에 의해 윈드 쉴드 글래스를 향해 회동되며,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연질의 커버 본체와; 상기 에어백의 팽창시 회동되는 커버 본체내의 에어를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커버 본체와 윈드 쉴드 글래스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에어 흡입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에어백이 적용된 자동차의 내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커버의 장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4는 종래 에어백 커버의 장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크래쉬 패드 2 : 에어백
10 : 하우징 20 : 커버 본체
21 : 절첩홈 30 : 에어 흡입수단
31 : 호스 32 : 에어 컴프레셔
33 : 밸브 개폐기 34 : 일방향 밸브
35 : 제어기 36 : 에어백 센서
W : 윈드 쉴드 글래스
도 1에 참조되고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크래쉬 패드(1)의 내측면에는 에어백(2)이 마련된 하우징(housing;10)이 내장 설치된다.
그리고 하우징(10)과 대응되는 크래쉬 패드(1)의 전면에는 에어백(2)의 팽창시 윈드 쉴드 글래스(W)를 향해 회동되면서 개방되는 커버 본체(20)가 위치된다.
이 커버 본체(20)는 연질의 재질 예컨대 가죽(skin)으로 성형되는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에어(air)가 충진된다.
이때 커버 본체(20)는 외측면은 평탄면을 이루고 있으며, 내면은 벨로우즈 타입으로 성형된다.
또한 커버 본체(20)의 외측면 내측에는 절첩이 용이하도록 소정간격으로 절첩홈(21)이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커버 본체(20)는 에어백(2)이 팽창될 때 윈드 쉴드 글래스(W)를 향해 회동됨과 동시에 에어 흡입수단(30)에 의해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어 수축된다.
이러한 에어 흡입수단(30)의 상세한 구조를 보면, 커버 본체(20)에는 호스 (31)를 통해 에어 컴프레셔(air compressor;32)가 연결되며, 호스(31)상에는 밸브 개폐기(33)에 의해 개방되어 에어 컴프레셔(32)를 향해 에어를 일방향으로 안내하는 일방향 밸브(34)가 개재된다.
그리고 에어 컴프레셔(32)와 밸브 개폐기(33)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어기(35)가 마련되는 바, 이 제어기(35)는 에어백 센서(36)와 연결되어 이 에어백 센서(36)에 의해 에어백(2)이 팽창되는 것을 감지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충돌사고시 에어백 센서(36)에 의해 에어백(2)이 팽창되고, 이 에어백(2)의 팽창력에 의해 커버 본체(20)가 윈드 쉴드 글래스(W)를 향해 회동한다.
이때 커버 본체(20)가 회동과 동시에 에어백 센서(36)에 의한 에어백(2)의 팽창을 감지한 제어기(35)가 작동하고, 밸브 개폐기(33)와 에어 컴프레셔(32)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킨다.
따라서 일방향 밸브(34)가 개방됨과 동시에 회동하고 있는 커버 본체(20) 내의 에어가 에어 컴프레셔(32)로 강제 흡입되면서 수축되고, 이에따라 윈드 쉴드 글래스(W)와 접촉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에어 컴프레셔(32)가 작동되면 커버 본체(20) 내부의 에어가 강제적으로 흡입되어 배출되어지는 바, 이와 동시에 커버 본체(20)는 내측면에 벨로우즈 형상과 외측 내면에 형성된 절첩홈(21)에 의해 도 2의 가상선으로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수축되어 길이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윈드 쉴드 글래스(W)와 충돌하지 않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에어 백이 팽창할 때 회전되는 커버 본체가 회동과 동시에 에어 흡입수단에 의해 수축되어 길이가 줄어듬으로써 윈드 쉴드 글래스와 충돌하지 않게된다.
따라서 윈드 쉴드 글래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Claims (4)

  1. 크래쉬 패드의 내측에 위치되며, 에어백이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대응되는 크래쉬 패드의 전면에 위치된채 에어백의 팽창에 의해 윈드 쉴드 글래스를 향해 회동되며,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연질의 커버 본체와;
    상기 에어백의 팽창시 회동되는 커버 본체내의 에어를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커버 본체와 윈드 쉴드 글래스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에어 흡입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는 외측면이 평탄면을 이루고 내면은 벨로우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커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흡입수단은, 상기 커버 본체와 호스를 통해 연결되며 선택적으로 에어를 흡입하는 에어 컴프레셔와;
    상기 호스상에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밸브 개폐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에어 컴프레셔 내로 에어를 안내하는 일방향 밸브와;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에어백 센서와 연결되어, 밸브 개폐기와 에어 컴프레셔를 순차 작동시키는 제어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커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의 외측면 내측에는 소정간격으로 절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커버.
KR10-2000-0082413A 2000-12-26 2000-12-26 자동차의 에어 백 커버 KR100381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2413A KR100381479B1 (ko) 2000-12-26 2000-12-26 자동차의 에어 백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2413A KR100381479B1 (ko) 2000-12-26 2000-12-26 자동차의 에어 백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2907A KR20020052907A (ko) 2002-07-04
KR100381479B1 true KR100381479B1 (ko) 2003-04-26

Family

ID=27686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2413A KR100381479B1 (ko) 2000-12-26 2000-12-26 자동차의 에어 백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14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510B1 (ko) * 2001-04-24 2004-0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에어 백 커버 개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2907A (ko) 200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59936B1 (en) Driver&#39;s leg protection apparatus
EP2062790B1 (en) Airbag cover and airbag apparatus
JP2000507182A (ja) 自動車における膨らまし可能な側方の頭保護装置の配置構造
CN103338983B (zh) 车辆用行人保护安全气囊
US6394489B1 (en) Steering wheel air bag module
KR100381479B1 (ko) 자동차의 에어 백 커버
US6659502B2 (en) Impact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an impact protection
KR100504284B1 (ko) 차량 조수석용 에어백 쿠션 구조
US11498507B2 (en) Airbag module to protect display device of vehicle
EP1055567A2 (en) Inflatable restraint system door assembly and tether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door
KR100368998B1 (ko) 자동차의 에어 백 커버 힌지구조
US6290252B1 (en) Air bag module
KR100419510B1 (ko) 자동차의 에어 백 커버 개방구조
KR200400959Y1 (ko) 에어백 어셈블리
KR100787644B1 (ko)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KR20030050040A (ko) 자동차의 에어 백 도어
KR100203185B1 (ko) 자동차 컬럼 커버의 에어백 장착 구조
KR100445173B1 (ko) 자동차의 에어 백 도어
KR200144273Y1 (ko) 조수석 에어백장치의 커버
CN117183973A (zh) 安全气囊以及车辆
KR0133309Y1 (ko) 자동차 조수석용 에어백
KR20050082721A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0512868B1 (ko) 차량 조수석용 에어백 쿠션 구조
GB2372484A (en) A vehicle pillar trim with air bag guiding means
KR100521034B1 (ko) 조수석 에어백용 인스트루먼트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