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1307B1 - 차량의 도어 락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 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1307B1
KR100381307B1 KR10-2001-0035770A KR20010035770A KR100381307B1 KR 100381307 B1 KR100381307 B1 KR 100381307B1 KR 20010035770 A KR20010035770 A KR 20010035770A KR 100381307 B1 KR100381307 B1 KR 100381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door
lock device
vehicle
co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5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0112A (ko
Inventor
서승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5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1307B1/ko
Publication of KR20030000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0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1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13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42Ca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26Output elements
    • E05B81/30Rotary element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락장치에 있어 락 장치의 동작부에 기어를 가공하고 캠회전축과 직접 연결하여 외부에서 전달되는 동력의 손실없이 도어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도어 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의 잠금 상태를 설정 또는 해제하는 도어 락 장치에 있어서, 작동 레버(20)의 암에 원호 형상의 홀(30)을 형성하고, 상기 홀(30)의 일측부에는 톱니 바퀴(35)를 형성하며 캠회전축(40)의 원주면에 톱니 바퀴를 형성시키고 상기 홀(30)의 톱니 바퀴와 캠회전축(40)의 톱니 바퀴가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도어 락 장치{Door lock apparatus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도어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락장치에 있어 락 장치의 동작부에 기어를 가공하고 캠회전축과 직접 연결하여 외부에서 전달되는 동력의 손실없이 도어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도어 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도어에 부착되어 있는 도어 락 장치는 여러 개의 도어에 각각 부착되어 있고, 이중 하나의 도어 락 장치를 고정 또는 해제 동작시키면 다른 도어 락 장치도 동시에 동작하게 된다.
도 1a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도어 락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도어 락 장치의 작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c는 단면도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도어 락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 앉아있는 탑승객이 도어를 잠그도록 고정 노브(미도시)를 조작하면 고정 레버(2)가 A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작동 레버(3)를 회전시킨다. 작동 레버(3)의 동작에 따라 작동 레버(3)와 연결되어 있는 캠(미도시)이 회전하게 되고, 캠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전기 신호가 출력되며, 출력된 신호는 ECU(미도시)로 입력된다. ECU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도어 락 신호를 차량의 다른 도어 락 장치로 각각 출력하고, ECU에서 출력된 도어 락 신호에 의하여 차량의 도어 락 장치에 설치된 모터가 작동되어 도어의 잠금 상태가 설정된다.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때는 고정 노브를 조작하여 고정 레버(2)가 B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캠을 회전시키고, 이때 출력되는 도어 락 해제 신호가 ECU를통해 차량의 도어 락 장치에 입력됨에 따라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도어 락 장치의 경우 도어 락 장치의 조립 단계에서 캠과 작동 레버가 회전축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데 조립 단계에서 필요 이상의 토크를 인가하여 회전축이 조립될 경우, 작동 레버의 작동이 원활치 않게 된다. 또한, 작동 레버의 반복 동작에 의해 작동 레버 자체의 변형을 유발하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도어 락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도어 락 장치의 캠에 기어 톱니 바퀴를 가공하여 고정 레버와 직접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도어락 장치의 전체 부품의 숫자를 줄이고, 조립 불량시에도 도어의 고정 및 해제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도어 락 장치를 제공한다.
도 1a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도어 락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도어 락 장치의 작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c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도어 락 장치의 작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락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락 장치의 작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락 장치의 작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도어 락 장치 20 : 고정 레버
30 : 홀 40 : 캠 회전축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락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락 장치의 작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c는 단면도로서,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의 잠금 상태를 설정 또는 해제하는 도어 락 장치에 있어서, 작동 레버(20)의 암에 원호 형상의 홀(30)을 형성하고, 상기 홀(30)의 일측부에는 톱니 바퀴(35)를 형성하며 캠회전축(40)의 원주면에 톱니 바퀴를 형성시키고 상기 홀(30)의 톱니 바퀴와 캠회전축(40)의 톱니 바퀴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 앉아있는 탑승객이 도어의 고정 상태를 해제 또는 설정하기 위해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 락 장치의 고정 노브(미도시)를 조작하면 고정 노브와 연결되어 있는 도어 락 장치의 고정 레버(20)가 A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다.
고정 레버(20)가 A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홀(30)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 바퀴(35)와 맞물려 있는 캠회전축(40)이 회전하게 된다. 고정 레버(20)는 회전 운동을 하기 때문에 캠회전축(40)과의 결합 상태를 원활히 하기 위해서 홀(30)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캠회전축(40)의 동작에 의해 도어 락 설정 또는 해제 신호가 ECU(미도시)로 입력되고, ECU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도어 락 설정 또는 해제 신호를 출력하여 각각의 도어 락 장치로 입력되도록 한다.
각각의 도어 락 장치는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모터가 회전하여 도어 락 장치의 고정 상태가 설정 또는 해제된다.
각각의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 락 장치(10)가 동작할 때 고정 레버(20)의 홀(30)에 형성된 톱니 바퀴(35)에 캠회전축(40)이 직접 맞닿아 회전되기 때문에 조립 불량시에도 도어 락 장치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도어에 각각 설치되는 도어 락 장치에 있어 도어의 동작 상태를 전달하는 캠의 회전축과 도어 락 장치의 작동 레버가 톱니 바퀴에 의해 서로 맞물려 기존의 도어 락 장치에서 조립 불량에 의한 동작 미비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의 잠금 상태를 설정 또는 해제하는 도어 락 장치에 있어서, 작동 레버(20)의 암에 원호 형상의 홀(30)을 형성하고, 상기 홀(30)의 일측부에는 톱니 바퀴(35)를 형성하며 캠회전축(40)의 원주면에 톱니 바퀴를 형성시키고 상기 홀(30)의 톱니 바퀴와 캠회전축(40)의 톱니 바퀴가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락 장치.
KR10-2001-0035770A 2001-06-22 2001-06-22 차량의 도어 락 장치 KR100381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770A KR100381307B1 (ko) 2001-06-22 2001-06-22 차량의 도어 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770A KR100381307B1 (ko) 2001-06-22 2001-06-22 차량의 도어 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112A KR20030000112A (ko) 2003-01-06
KR100381307B1 true KR100381307B1 (ko) 2003-04-26

Family

ID=27710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770A KR100381307B1 (ko) 2001-06-22 2001-06-22 차량의 도어 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13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882B1 (ko) * 2005-12-20 2007-04-30 주식회사 명득 전기약탕기
KR100748712B1 (ko) * 2006-11-02 2007-08-13 배종식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112A (ko) 200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60336B (zh) 车载监视器装置
US20010003925A1 (en) Actuator unit
KR100381307B1 (ko) 차량의 도어 락 장치
JP4629179B2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装置におけるステアリングシャフトをロックするための装置
JP2012072854A (ja) パーキングロック用電動アクチュエータ
EP1338493A1 (en) Mechanism with variable transmission ratio
JP2005194712A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のラッチ解除装置
KR100896935B1 (ko) 도어락 제어장치
US20020050437A1 (en) Driving device
JP3991578B2 (ja) 特殊デフ装置の組立方法および同方法に用いられる治具
JPH1014692A (ja) 駆動装置
KR200375892Y1 (ko) 차량 액츄에이터
KR20170082717A (ko) 액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기기
KR101927218B1 (ko) 자동차용 액츄에이터
KR200146973Y1 (ko) 자동 변속기용 아이들 기어 장착구조
JP2002129789A (ja) モータ装置
RU269863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несанкционирован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080047690A (ko) 자동변속기의 파킹장치
US3302430A (en) Coupling
KR200317432Y1 (ko) 일방향기어
KR100530144B1 (ko)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력 경감구조
WO2004043753A1 (en) Rotary electromechanical actuator, particularly for a parking brake for a motor vehicle
KR980001564A (ko) 파킹장치
JPH03125650A (ja) ステアリングロツク装置
KR20200080552A (ko) 수동전환이 가능한 변속기용 액추에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