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0104B1 - 라인형 열전사 프린터의 축열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라인형 열전사 프린터의 축열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0104B1
KR100380104B1 KR1019960015732A KR19960015732A KR100380104B1 KR 100380104 B1 KR100380104 B1 KR 100380104B1 KR 1019960015732 A KR1019960015732 A KR 1019960015732A KR 19960015732 A KR19960015732 A KR 19960015732A KR 100380104 B1 KR100380104 B1 KR 100380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ual
line
print data
data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5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3984A (ko
Inventor
히로아키 후쿠오카
Original Assignee
신코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코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코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19960015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0104B1/ko
Publication of KR970073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3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0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01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4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resistors or condu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35Structure of thermal heads
    • B41J2/33505Constructional details
    • B41J2/33515Heater layers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인형 열전사 프린터의 축열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임의의 인쇄패턴에 대하여 서멀헤드의 축열에 의한 농도얼룩 및 미인현상의 발생을 방지함을 제1의 목적으로 하고, 각 라인간의 인쇄주기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도 페이지버퍼를 설치함이 없이 농도얼룩의 발생을 방지함을 제2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보정연산수단이 각 헤드엘리먼트의 잔류열량을 한라인분만 기억하는 잔류열량 기억수단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헤드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잔류열량을 읽어냄과 함께, 당해 잔류열량과 당해 헤드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와에 기하여 당해 헤드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최신의 잔류열량을 산출하고, 상기 잔류열량기억수단에 기억시키도록 구성하였다.

Description

라인형 열전사 프린터의 축열제어장치
본 발명은 라인형 열전사 프린터의 축열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한라인분의 헤드엘리먼트(Head Element)로 되는 서멀헤드(ThermalHead)를 가지고, 한라인씩 잉크를 용지에 전사하여 인쇄를 하는 라인형 열전사 프린터가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프린터의 인쇄속도는 보다 빠른것이 좋다고 되어있고, 라인형 열전사 프린터에서도 보다 고속인 인쇄를 할 수 있도록 각 라인간의 인쇄시간간격은 단축되는 경향이다.
따라서, 라인형 열전사 프린터의 서멀헤드는 어느 라인을 인쇄하여 생긴 열이 완전히 방출되기 전에 다음 라인을 인쇄하게 된다. 즉, 서멀헤드에 열이 축적(축열)되어 가게 된다. 서멀헤드는 온도에 상응한 농도(제조; 階調)의 라인을 용지에 전사하는 것이므로, 상기 축열은 인쇄개시라인과 최종라인간에 큰 농도얼룩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되고있다.
이러한 농도얼룩을 억제하는 수법으로서 서멀헤드의 잔류열량을 과거의 데이터에서 추측하고, 그 추측값에 기하여 입력데이터를 보정하여 인쇄데이터를 작성하고, 이 인쇄데이터에 기하여 인쇄하는 수법이 고려되었다. 이하, 제3도를 참조하여 상기 수법을 적용한 라인형 열전사 프린터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도에 있어서 "1"은 컴퓨터등에서 데이터를 한라인마다 순차입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수단이다. 여기서, 각데이터 Djk에 있어서 "j"는 서멀헤드의 엘리먼트번호를 나타내는 변수이고, 서멀헤드를 구성하는 헤드엘리먼트의 수를 "n"로 하면, 1≤j≤n을 만족하는 정수값을 갖는다. 또, 상기 k는 라인번호를 나타내는 변수이고, 한항을 구성하는 라인의 수를 L로하면, 1≤k≤L을 만족하는 정수값을 갖는다. 게다가, 이후 k번째 한라인분의 데이터를 Dk로 나타낸다.
진동분할수단(2)은 데이터입력수단(1)에 의해 순차입력된 데이터 Djk 각각에대하여 (m+1)개의 임계값 Ti를 이용하여 m개의 군으로 진동분할한다. (단, i는 1이상 m이하의 정수 값을 갖는 변수이다) 여기서, 각 임계값 To∼Tm은 To<ㆍㆍㆍㆍ<Ti-1<Ti<ㆍㆍㆍㆍ<Tm이라는 관계를 만족하고 있고, 예컨데 Ti-1<Djk≤Ti를 만족하는 Djk는 제i번째 군으로 진동분할된다.
카운트수단(3)은 한라인분의 데이터 Dk에 대하여 진동분할수단(2)에 의해 진동분할된 군마다 데이터 Djk의 수, 즉 군마다 진사돗트수 Si를 계수한다. 잔류열량측정수단(4)은 이하에 도시한 ①식에 의해 한라인분의 데이터에 대하여 그 라인의 인쇄후에 서멀헤드에 잔류하는 열량(전류열량 Q)을 추측계산한다.
상기 ①식에서 T는 매라인의 인쇄주기, Ai는 각조에 할당된 계수, f는 소정의 계수이고, 이들 파라메타 및 계수는 서멀헤드ㆍ프린터 및 잉크의 특성등의 사용환경에 기하여 미리 설정된다.
인쇄데이터 산출수단(5)은 ②식에 의해 실제로 서멀헤드에 전사하는 인쇄데이터 Djk를 산출한다.
상기 ②식에서 F는 사용환경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되는 계수이고, 이후 K번째 한 라인분의 데이터를 Dk로 표시한다.
그리고, 인쇄데이터전송수단(6)은 데이터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되는 한라인분의 인쇄데이터에 Dk를 서멀헤드측으로 전송하고, 서멀헤드구동수단(7)은 인쇄데이터전송수단에서 전송되어 오는 인쇄데이터에 기하여 서멀헤드를 구동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라인형 열전사 프린터의 동작에 대하여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프린터는 데이터입력수단(1)에 의해 한라인분의 데이터 D11, D12,-----,Dn1이 입력되면, 먼저 초기설정을 한다(스텝S1, S2). 다음으로, 최종라인의 진사를 종료하였는가 아닌가가 판단(스텝 S3)되지만, 이 경우 첫번째 라인(k=1)의 처리를 하고 있으므로 판단결과는 "YES"로 되고, 처리가 계속된다.
다음으로, 스텝 S4∼S11에서 각 데이터 D11, D21,-----,Dn1을 m개의 군으로 분할하는 처리 및 각 군마다의 전사돗트수 Si를 계수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이들 처리가 종료하고, 스텝 5에서의 판단결과가 "NO"로 되면, 상술한 ①및 ②식을 사용하여 연산이 되고 (스텝12, 13), 산출된 인쇄데이터 D11, D21,-----,Dn1에 기한 인쇄가 행해진다 (스텝 14).
이후, 2번째라인ㆍ3번째라인ㆍㆍㆍㆍ에 대하여 동일한 처리가 행해진다. 단, 처리대상 라인이 변경되어도 전사돗트수 Si는 리세트(Reset)되지 않고, 순차가산되어 간다. 이에의해, 서멀헤드의 축열상황을 예측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n번째 라인에 대한 처리가 종료하고, 스텝3에서의 판단결과가 "NO"로 되면, 처리는 종료한다.
그런데, 라인형 열전사 프린터에서 농도얼룩은 인쇄패턴에 의해 여러종류로 변환한다. 또한, 라인형 열전사 프린터에서는 고농도로 전사한 돗트에 후속하는 돗트의 농도가 높아져 버리는 미인현상(尾引現象)도 생긴다. 그렇지만, 상술한 라인형 열전사 프린터에서는 인쇄패턴에 관련될 뿐만아니라, ①식에 의해 얻어지는 잔류열량Q가 동일하면 동일한 제어를 하게되고, 인쇄패턴에 대응하여 변화ㆍ발생하는 농도얼룩과 미인현상을 제거할수 없다는 결점이 있다.
특히, 사진과 동등레벨의 인쇄품질을 얻도록하는 승화식(昇華式)프린터에서는 인쇄에너지가 계조(농도)마다 다르게 되는 헤드로의 축열의 영향이 미소하므로, 인쇄패턴을 고려한 축열상황에 기하여 인쇄에너지를 적정하게 제어하는 방법 또는 장치가 소망되고 있다.
그런데, 제3도에 도시한 라인형 열전사 프린터의 데이터입력수단(1)은 통상 한항분의 RAM(Page Buffer)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당해 프린터는 처리하려는 라인의 데이터가 컴퓨터쪽에서 또 입력 되어있지 않다는 상황으로는 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근년에 RAM은 가격이 내려가고 있지만, 예컨데 한항분의 화상데이터를 기억하는 정도의 대용량의 페이지 버퍼는 꽤 고가이다.
그러나, 대용량의 페이지버퍼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 컴퓨터측에서의 데이터전송이 지속이라면 상술한 상황을 초래하게 되고, 당해 프린터는 다음라인의 인쇄까지 예측 불가능한 시간만 인쇄동작을 중단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인쇄재개시에는 서멀헤드의 잔류열량Q는 대기시간에 상응하여 저하하지만, 당해 프린터에서는 중단에 대하여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으므로, 산출되는 잔류열량 Q는 중단되지않는경우의 잔류열량과 동일하게 되고, 실제 잔류열량과의 차이가 증대해 버린다. 따라서, 당해 프린터에서는 색얼룩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고가인 페이지 버퍼가 불가결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물론, 상술한 바와같이 페이지버퍼를 설치하여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에 감안되어 이루어진 것이고, 임의의 인쇄패턴에 대하여 서멀헤드의 축열에 의한 농도얼룩 및 미인현상의 발생을 방지함을 제1의 목적으로 하고, 각 라인간의 인쇄주기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도 페이지버퍼를 설치함이 없이 농도얼룩의 발생을 방지함을 제2의 목적으로 한다.
특히 청구범위 제1항(이하 "제1청구항"이라 칭함) 기재의 라인형 열전사 프린터의 축열제어 장치는 한라인분의 인쇄데이터를 서멀헤드의 구동수단으로 공급함에 의해 당해 인쇄데이터에 상응한 농도로 용지에 잉크를 일정한 주기로 전사하는 라인형 열전사 프린터에 내장되고, 인쇄동작에 의해 당해 서멀헤드에 잔류하는 열량과 외부기기에서 공급되는 입력데이터와에 기하여 당해 서멀헤드를 구성하는 각 헤드엘리먼트마다의 인쇄데이터를 결정하여 당해 구동수단으로 공급하는 라인형 열전사 프린터의 축열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헤드엘리먼트에 잔류하는 열량인 잔류열량을 한 라인분만 기억하는 잔류열량 기억수단과, 상기 잔류열량 기억수단에서 사용하려는 헤드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잔류열량을 읽어냄과 함께, 당해 잔류열량과 당해 헤드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와에 기하여 인쇄데이터를 구하는 보정연산수단과, 당해 잔류열량과 당해 인쇄데이터와에 기하여 당해 헤드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최신의 잔류열량을 산출하고, 상기 잔류열량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잔류열량 연산수단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2청구항의 라인형 열전사 프린터의 제어장치는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연산수단으로 구해지는 인쇄데이터의 상기 구동수단으로서의 공급을 허가/금지하는 더미(Dummy)인쇄수단을 구비하고, 인쇄개시 타이밍에서 인쇄하지 않은 입력데이터가 한 라인분을 채우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더미인쇄수단은 상기 보정연산수단에서 구해진 인쇄데이터의 상기 구동수단으로의 공급을 금지하고, 상기 보정연산수단은 최저계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입력데이터 대신에 사용함과 함께, 상기 일정한 주기에서 상기 인쇄데이터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1청구항의 발명에 의하면, 보정연산수단이 각 헤드엘리먼트의 잔류열량을 한라인분만 기억하는 잔류열량 기억수단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헤드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잔류열량을 읽어냄과 함께, 당해 잔류열량과 당해 헤드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와에 기하여 당해 헤드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최신의 잔류열량을 산출하고, 상기 잔류열량 기억수단에 기억시킨다.
제2청구항의 발명에 의하면, 인쇄개시 타이밍에서 인쇄하지 않은 입력데이터가 한라인분을 채우지 않는 경우에는 더미인쇄수단이 상기 보정연산수단에서 구해지는 인쇄데이터의 상기 구동수단으로의 공급을 금지하고, 상기 보정연산수단이 최저계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입력데이터 대신에 사용하여 인쇄실행시와 일치한 일정한 주기에서 상기 인쇄데이터를 구한다.
[실시예]
아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의한 라인형 열전사 프린터의 축열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본 도에 도시한 축열제어장치는 n개의 헤드엘리먼트로 이루어지는 서멀헤드를 가지고, 최대 L라인이 인쇄가능한 라인형 열전사 프린터에 내장되고, 이를 제어하는 것이다. 게다가, 상기 라인형 열전사 프린터에는 축열제어장치 및 서멀헤드 이외에 서멀헤드의 구동기구와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CPU(중앙처리장치)등을 가진다. 또한, 제1도에 도시된 각부는 동일한 블럭에 의해 동기가 취해진다.
제1도에서, 라인버퍼(11)는 적어도 한라인분의 기억용량을 가지고, 컴퓨터등의 외부기기에서 공급되는 인쇄해야할 데이터(이하, 입력데이터 DJK이라 칭하고 DK는 K번째 한라인분의 입력데이터를 것으로 한다. 단, J, K는 정수이고 각각, 1≤J≤N, 1≤K≤L을 만족함)를 한라인분만 일시 기억하고, 한라인분의 데이터를 기억한 후에 미리 설정된 타이밍이 되면 기억한 데이터를 한라인분씩 순차출력한다. 게다가, 라인버퍼(11)는 모든 데이터를 출력하면, 기억내용을 크리어(clear)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입력미완검출부(12)는 라인버퍼(11)에 한라인분의 입력데이터 DK가 입력되었는가 아닌가를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입력데이터전환부(13)는 라인버퍼(11)의 후단에 설치되고, 입력미완검출부(12)의 출력데이터에 상응하여 라인버퍼(11)에서의 입력데이터 DJK를 통과하여 출력할까 혹은 전사돗트가 존재하지 않는 (최저계조를 나타냄) 데이터"0"을 출력할까를 전환한다. 이 데이터"0"은 입력데이터절환부(13)가 발생하도록 해도 좋고, 외부에서 공급되도록 해도 좋다.
주소설정부(14)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CPU에서 입력되는 헤드엘리먼트번호 J에 1을 가산한 값에 대응하는 주소를 발생한다. 잔류열량 한라인 기억메모리(15)는 한라인분의 기억용량인 RAM(잔류열량기억수단)등으로 구성되고, 각 헤드엘리먼트마다 잔류열량을 한라인분 기억한다. 여기서 잔류열량이란 어느 헤드엘리먼트에 착안하면 돗트를 전사한 값 후에서 다음 전사타이밍까지의 어떤 시점에 있어서 그 헤드엘리먼트에 잔류하는 열량을 말한다.
잔류열량일시기억 시프트레지스터(16)는 3돗트분의 데이터를 기억할수있고, 메모리(15)의 주소설정부(14)에서 발생한 주소에서 1돗트분의 데이터를 읽어내고, 순차로 시프트하여 기억한다. 파라메타 설정부(17)는 CPU버스에 접속되어있고, 후술하는 각종 연산에 사용되는 파라메타를 CPU버스를 매개하여 입력된 값으로 설정한다. 게다가, CPU버스에는 상술한 메모리(15)및 시프트레지스터(16)가 접속되어 있다.
인쇄데이너 보정연산부(18:보정연산수단)는 시프트레지스터(16)가 기억하는 3돗트분의 데이터ㆍ파라메타설정부(17)에 의해 설정되는 파라메타 및 입력데이터절환부(13)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즉, 입력데이터DJK또는 "0")에 기하여 아래에 나타난 ③식의 연산을 하고, J번째 돗트에 대한 인쇄에너지를 나타내는 인쇄데이터 DJK를 출력한다.
상기 ③식에서, rㆍδ는 파라메타설정부(17)에 의해 설정되는 파라메타, f는 사용환경에 기하여 미리 설정되는 임의의 계수이고, 상기 ③식에 구체적인 계수 f를 적용한 예를 아래에 나타낸다.
더구나, 도시는 생략했지만, 인쇄데이터 보정연산부(18)에서 순차입력되는 인쇄데이터 DJK한라인분만 버퍼(더미 인쇄수단)에 축적되고, 서멀헤드의 구동 회로로 공급된다.
잔류열량연산부(19;잔류열량 연산수단)는 서멀헤드의 각 헤드엘리먼트에서의 잔류열량 SJ를 산출하고, 시프트레지스터(16)가 기억하는 3돗트분의 데이터ㆍ파라메타설정부(17)및 인쇄데이터 보정연산부(18)에서 출력되는 인쇄데이터 DJK에 기하여 아래에 나타내는 ⑤식의 연산을 하고, J번째 헤드엘리먼트의 잔류열랑을 산출한다. 이 잔류열량연산부(19)는 주소설정부(14)로 (J-1)을 입력함과 함께, 산출한 잔류열량을 메모리(15)로 공급하고, J번째 헤드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잔류열량을 갱신한다.
상기 ⑤식에서, α는 파라메타 설정부(17)에 의해 설정되는 파라메타, F는 사용환경에 기하여 미리 설정되는 임의의 계수이고, 상기 ⑤식에 구체적인 계수 F를 적용한 예를 아래에 나타낸다.
상기한 구성의 축열제어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아래에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본실시예에 의한 라인형 열전사 프린터의 축열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어차트이다. 먼저, 프린터의 전원이 투입되고, 인쇄가능상태로 되고 외부기기에서 인쇄개시를 나타내는 신호가 공급되면, 스텝 SB1의 처리가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제1도의 CPU버스를 매개하여 메모리(15) 및 시프트레지스터(16)로 각각 "00ㆍㆍㆍㆍㆍ0" 및 "0, 0"이 공급되고, 초기화가 행해진다.
또한, 파라메타 설정부(17) 또는 CPU버스를 매개하여 상술한③∼⑥식에서 사용되는 파라메타 αㆍrㆍδ가 공급되고, 인쇄데이터 보정연산부(18)및 잔류열량 연산부(19)에 의한 연산에 있어서 이들 파라메타를 사용하도록 설정된다. 더구나, 변수K에 "1"이 대입되고, 첫번째에 대한 처리를 하도록 설정된다.
다음에, 스텝 SB2에서는 통상처리모우드와 후술하는 더미처리모우드를 절환하기 위한 변수 FL에 통상처리모우드를 선택함을 나타내는 값 "0"이 대입됨과 함께, 주소 설정부(14)에 헤드엘리먼트 번호J로서 "0"이 입력되고, 메모리 1의 "0+1", 즉 "1"에 대응하는 주소에서 시프트레지스터(16)로 잔류열량 S1이 공급된다. 이에 의해, 시프트레지스터(16)의 내용-은 "0, 0, S1"로 된다. 그후, 주소설정부(14)에는 헤드엘리먼트 번호 J로서 "1"이 입력되고, 시프트레지스터(16)의 내용은 "0, S1, S2"로 된다. 이에 병행하여 라인버퍼(11)에는 입력데이퍼 DJK가 순차입력되어 일시 기억되어 있다.
다음에, 스텝 SB3에서는 한라인분의 입력데이터 D11, D21,-----,Dn1의 라인버퍼(11)로의 일시기억이 미완인가 아닌가가 판단된다. 이 판단결과가 "YES"이면 처리는 스텝 SB4로 진행하고, 변수FL에 "더미처리모우드"임을 나타내는 값"1"이 설정된다. 그리고, 처리는 스텝SB5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스텝 SB3의 판단결과가 "NO"이면, 처리는 직접 스텝 SB5로 진행(통상처리모우드)한다. 스텝 SB5에서는 한항의 인쇄가 종료했는가 여부가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현재의 라인을 나타내는 K와 최대라인수 L과를 비교한다. 여기서는, K=1<L이므로, 상기 판단결과는 "YES"로되고, 처리는 스텝 SB6로 진행한다.
스텝 SB6에서는 변수 FL이 "0"인가 아닌가, 즉 통상처리모우드인가 아닌가가 판단된다. 이 판단결과가 "YES"이면 스텝 SB7로, "NO"이면 스텝 SB8로 처리가 진행한다. 스텝 SB7은 통상처리모우드에서의 처리이고, 이 처리에서 라인버퍼(11)에 기억된 한행분의 입력데이터중 한라인분의 입력데이터 DJK(여기서는D11)가 인쇄데이터 보정연산부(18)로 공급된다.
이에 대하여 스텝 SB8은 더미처리모우드에서의 처리이고, 이 처리에서 입력데이터 DJK(여기서는 D11)로서 "0"이 입력데이터 절환부(13)에서 인쇄데이터 보정연산부(18)로 공급된다. 즉, 통산 처리모우드에서는 실제 입력데이터가 처리대상으로 됨에 대하여, 더미처리모우드에서는 더미데이터 "0"이 처리대상으로 된다. 상술한 스텝 SB7또는 SB8의 처리가 종료하면, 처리는 스텝 SB9로 진행한다.
스텝 SB9에서는 인쇄데이터 보정연산부(18)에 의해 인쇄데이터 DJK를 산출하는 연산처리가 이루어진다. 이 연산은 ④식ㆍ입력데이터절환부(13)에서 출력되는 입력데이터 DJKㆍ시프트레지스터(16)의 기억내용 및 파라메타설정부(17)에 의해 설정된 파라메타 rㆍδ에 기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시프트레지스터(16)의 기억내용 "0, S1, S2" 이므로, 라인중에 최초 돗트에 대응하는 인쇄데이터 d11은 대응하는 헤드엘리먼트 및 그 엘리먼트에 인접하는 헤드엘리먼트의 잔류열량 S1,S2에 기한 값으로 된다.
다음에, 스텝SB10에서는 잔류열량연산부(19)에 의해 상기 인쇄데이터 d11에 상응한 농도에서 돗트를 전사한후 첫번째 돗트엘리먼트의 잔류열량 S1을 산출하는 연산처리가 이루어진다. 이 연산은 ⑥식ㆍ시프트레지스터(16)의 기억내용ㆍ파라메타설정부(17)에 의해 설정된 파라메타 αㆍrㆍδ및 상기 인쇄데이터 d11에 기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얻어진 S1은 상술한 인쇄데이터 d11을 얻은 경우와 동일하고, 대응하는 헤드엘리먼트 및 그 엘리먼트에 인접하는 헤드엘리먼트의 잔류열량 S1.S2에 기한값, 즉 이전에 전사 종료후의 당해 엘리먼트의 잔류열량 S1과 현재 주변엘리먼트의 잔류열량 S2에 기한값으로 된다. 이리하여 얻어진 잔류열량 S1은 메모리1의 "1"에 대응하는 주소에 덧쓰여져서 기억된다.
다음에, 스텝 SB11에서는 한라인분의 인쇄데이터 d11∼dm1을 출력하고 있는가 아닌가가 판단된다. 즉, J가 m보다 작은가 여부가 판단된다. 여기서는 J=1이므로 본 스텝에서의 판단결과가 "YES"로 되고, 처리는 스텝SB12로 진행하고, 여기서 J에 1이 가산된다. 그리고, 처리는 스텝 SB6으로 되돌아간다. 이후, 스텝 SB11에서 J≥m로 될때까지 스텝 SB6∼SB12의 처리가 반복된다.
이 반복되는 처리에서 상술한 처리와 다른점은 1<J<m의 경우에는 시프트레지스터(16)의 기억내용이 "Sj-1, Sj, Sj+1"로 되는 것이다. 즉 자신의 엘리먼트와 이에 인접하는 2개의 엘리먼트의 잔류량에 기하여 인쇄데이터dj1이 산출된다. 또한, J=m의 경우에는 시프트레지스터(16)의 기억내용은 "Sm-1,Sm, 0"로 되고, 당해 엘리먼트와 이에 인접하는 한개의 엘리먼트의 잔류열량에 기하여 인쇄데이터 dm1이 산출된다. 상기 반복처리에 의해 한라인분의 인쇄데이터 d11,d21,ㆍㆍㆍㆍdm1이 얻어지고, 메모리(15)에 기억된 잔류열량 S1-SM이 갱신된다. 게다가 인쇄데이터 d11,d21,ㆍㆍㆍㆍdm1은 도시하지 않은 라인버퍼에 기억된다.
스텝 SB11에서의 판단결과가 "NO"로 되면, 처리는 스텝 SB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B13에서는 FL이 "0"인가 아닌가, 즉 통상처리모우드인가 여부가 판단된다. 이 판단결과가 "YES"이면 처리는 스텝 SB14로 진행한다. 스텝SB14에서는 라인버퍼(도시생략)에 기억된 한라인분의 인쇄데이터 인쇄데이터 d11,d21,ㆍㆍㆍㆍdm1서멀헤드구동수단(도시생략)으로 공급되고, 한라인분의 인쇄가 행해진다. 따라서, 용지 또는 서멀헤드는 용지송급방향으로 한라인만 피드(feed)된다. 다음에, 타인번호 K에 1이 가산되고(스텝 SB15), 처리는 스텝 SB2로 되돌아간다.
한편, 스텝SB13의 판단결과가 "NO"로 되는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 SB16으로 진행하고, 아래에 기재하는 처리(더미처리)가 행해진다. 스텝SB16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처리수단이 인쇄데이터 보정연산부(18)에서의 인쇄데이터 dk가 서멀헤드로 공급되지 않도록 동작하고, 실제 인쇄(서멀헤드의 구동)와 K의 가산을 행해지지않고, 실제 인쇄를 한경우와 동일한 처리사이클로 되도록 시간대기가 행해진다. 그리고, 처리는 스텝 SB2로 되돌아간다.
이후, 스텝SB5의 판단결과가 "NO"로 될때까지, 즉 한항분의 라인을 인쇄종료할때 까지 상술한 처리가 반복하여 행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의하면 헤드엘리먼트마다의 최신의 잔류열량 S1∼Sm을 메모리(15)에 기억시켜 이를 이용하여 인쇄데이터 dJ를 구하도록 했기 때문에, 임의의 인쇄패턴에 대하여 잔류열량을 세밀하게 구할수 있게 되고, 인쇄데이터 dJ가 가리키는 농도(전사에너지)를 정확히 제어할수 있고, 따라서 농도얼룩 및 미인현상의 발생을 방지할수 있다.
또한, 자신의 헤드엘리먼트만 한하지않고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엘리먼트의 잔류열량을 좀더 감안하여 보다 정밀한 전사에너지의 제어를 하도록 하였으므로, 보다 고품질의 인쇄결과를 얻을수 있다. 게다가, 외부기기에서의 데이터입력속도가 프린터의 인쇄속도보다 늦는 경우에는 입력데이터 DJK의 내용을 "0"으로 간주하여 통상처리시와 동일한 연산을 용지송급없이 통상처리시와 동일한 일정 사이클로 반복함에 의해 고가인 페이지버퍼를 설치하지 않고도 농도얼룩의 발생을 방지할수 있다.
게다가, 상술한 1실시예에서는 자신의 헤드엘리먼트와 이에 인접하는 1또는 2의 헤드엘리먼트의 잔류열량에 기하여 자신의 헤드엘리먼트의 잔류열량을 구하도록 했지만, 이는 각 헤드엘리먼트가 서로 상대측의 잔류열량의 영향을 받음에 있고, 이러한 영향에 의한 오차를 저감한다는 목적을 구비하고 있으면,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보정연산수단이 각 헤드엘리먼트의 잔류열량을 한라인분만 기억하는 잔류열량기억수단에서 사용하려는 헤드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잔류열량을 읽어냄과 함께, 잔류열량과 당해 헤드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에 기하여 인쇄데이터를 구한다. 또한 잔류열량연산수단이 잔류열량과 당해 인쇄데이터에 기하여 당해 헤드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최신의 잔류열량을 산출하고, 상기 잔류열량 기억수단에 기억시킨다. 따라서, 임의의 인쇄패턴에 대하여 잔류열량을 세밀하게 구할수 있게 되고, 농도얼룩및 미인현상의 발생을 방지할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쇄기시 타이밍에서 인쇄하지 않은 입력데이터가 한라인분에 부족할 경우에는 더미인쇄수단이 상기 보정연산수단에서 구해진 인쇄데이터의 상기 구동수단으로의 공급을 금지하고, 상기 보정연산수단이 최저 계조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상기 입력데이터에 대신하여 사용하여 인쇄실행시와 일치한 일정 주기에서 상기 인쇄데이터를 구한다. 따라서, 인쇄속도에 비교하여 데이터 입력이 늦는 경우에도 고가인 페이지버퍼등의 설치없이 농도얼룩의 발생을 방지할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의한 라인형 열전사 프린터의 축열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 2도는 본 발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어차트,
제 3도는 종래 발명의 라인형 열전사 프린터의 축열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 4도는 종래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풀로어 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라인버퍼(Line Buffer) 12. 입력미완검출부 13. 입력데이터절환부
14. 주소설정부 15. 잔류열량 한라인 기억메모리 16. 잔유열량 일시
기억 시프트레지스터 17. 파라메터설정부 18. 인쇄데이터 보정연산부
19. 잔류열량연산부

Claims (2)

  1. 한라인분의 인쇄데이터를 서멀헤드의 구동수단으로 공급함에 의해 당해 인쇄데이터에 상응한 농도로 용지에 잉크를 일정한 주기로 전사하는 라인형 열전사 프린터에 내장되고, 인쇄동작에 의해 당해 서멀헤드에 잔류하는 열량과 외부기기에서 공급되는 입력데이터와에 기하여 당해 서멀헤드를 구성하는 각 헤드엘리먼트마다의 인쇄데이터를 결정하여 당해 구동수단으로 공급하는 라인형 열전사 프린터의 축열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헤드엘리먼트에 잔류하는 열량인 잔류열량을 한라인분만 기억하는 잔류열량 기억수단과,
    상기 잔류열량 기억수단에서 사용하려는 헤드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잔류열량을 읽어냄과 함께, 당해 잔류열량과 당해 헤드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와에 기하여 인쇄데이터를 구하는 보정연산수단과,
    당해 잔류열량과 당해 인쇄데이터와에 기하여 당해 헤드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최신의 잔류열량을 산출하고, 상기 잔류열량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잔류열량 연산수단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라인형 열전사 프린터의 축열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연산수단으로 구해지는 인쇄데이터의 상기 구동수단으로서의 공급을 허가/금지하는 더미(Dummy)인쇄수단을 구비하고,
    인쇄개시 타이밍에서 인쇄하지 않은 입력데이터가 한라인분을 채우지 않는경우에는 상기 더미인쇄수단은 상기 보정연산수단에서 구해진 인쇄데이터의 상기 구동수단으로의 공급을 금지하고, 상기 보정연산수단은 최저계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입력데이터 대신에 사용함과 함께, 상기 일정한 주기에서 상기 인쇄데이터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형 열전사 프린터의 축열제어장치.
KR1019960015732A 1996-05-13 1996-05-13 라인형 열전사 프린터의 축열제어장치 KR100380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5732A KR100380104B1 (ko) 1996-05-13 1996-05-13 라인형 열전사 프린터의 축열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5732A KR100380104B1 (ko) 1996-05-13 1996-05-13 라인형 열전사 프린터의 축열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3984A KR970073984A (ko) 1997-12-10
KR100380104B1 true KR100380104B1 (ko) 2003-08-30

Family

ID=49381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5732A KR100380104B1 (ko) 1996-05-13 1996-05-13 라인형 열전사 프린터의 축열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01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00846B2 (en) 2006-02-07 2009-10-1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ccumulated-heat correction apparatus and accumulated-heat correction method for thermal hea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00846B2 (en) 2006-02-07 2009-10-1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ccumulated-heat correction apparatus and accumulated-heat correction method for thermal he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3984A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9546A (en) Heat accumulation control device for line-type thermoelectric printer
JP4071310B2 (ja) 印刷装置における印字制御方法及び印刷装置
KR100380104B1 (ko) 라인형 열전사 프린터의 축열제어장치
CA2578902A1 (en) Method for quality improvement of printing with a thermotransfer print head and arrangement for implementation of the method
US9233554B2 (en) Control device, printer, and control method of a printer
JPH08290602A (ja) ライン型熱転写プリンタの蓄熱制御装置
JPH11198425A (ja) ライン型熱転写プリンタの蓄熱制御装置
KR20080007026A (ko) 화상형성장치
JP7165503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および印刷制御方法
JP2001063124A (ja) サーマルラインプリンタおよびサーマルラインプリンタの駆動方法
KR100433416B1 (ko) 프린팅 시스템 및 그 잉크 사용량 정보 산출 방법
EP4292826A1 (en) Printer, printing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S61149369A (ja) サ−マルヘツド駆動装置
JP5699513B2 (ja) 印刷装置
EP0509650B1 (en) Printer having a data output time controller
JP4432124B2 (ja) プリン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876683B2 (ja) プリンタおよびプリンタの予熱制御方法
JP2569898B2 (ja) サーマルヘッドの通電制御方法
JP2000094731A (ja) サーマルプリント装置の蓄熱量測定方法、及び蓄熱量補正方法
JPS62253477A (ja) シリアルプリンタ
JPH09220823A (ja) 多階調サーマル記録装置
JP2000071506A (ja) サーマルプリンタの熱履歴補正装置
JP2647062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の印字制御装置
JPH0679901A (ja) 熱転写サーマルプリンタ
JP2685724B2 (ja) 文書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