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9764B1 - 지피에스를 이용한 차량용 자동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지피에스를 이용한 차량용 자동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9764B1
KR100379764B1 KR10-2000-0052485A KR20000052485A KR100379764B1 KR 100379764 B1 KR100379764 B1 KR 100379764B1 KR 20000052485 A KR20000052485 A KR 20000052485A KR 100379764 B1 KR100379764 B1 KR 100379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rdinate
guide information
unit
coordinates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2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9312A (ko
Inventor
박용길
오영택
Original Assignee
(주)한국엠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엠티시스템 filed Critical (주)한국엠티시스템
Priority to KR10-2000-0052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9764B1/ko
Publication of KR20020019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9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9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3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2/00Measuring distance traversed on the ground by vehicles, persons, animals or other moving solid bodies, e.g. using odometers, using pedometers
    • G01C22/02Measuring distance traversed on the ground by vehicles, persons, animals or other moving solid bodies, e.g. using odometers, using pedometers by conversion into electric waveforms and subsequent integration, e.g. using tachometer generator
    • G01C22/025Differential od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GPS를 이용한 차량용 자동안내장치는, GPS 위성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GPS수신부, 상기 신호로부터 좌표를 추출하는 좌표추출부, 노선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노선정보저장부, 주행거리를 산출하는 주행거리산출부. 상기 좌표추출부에 좌표가 추출되지 않을 경우, 상기 노선정보저장부에 저장된 노선정보와 상기 주행거리산출부가 산출한 주행거리를 이용하여 좌표를 추정 산출하는 좌표추정산출부, 상기 좌표와 추정좌표 중 현위치 좌표로 이용될 좌표를 선택하는 좌표출처선택부, 좌표에 대응되는 안내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안내정보저장부, 상기 좌표출처선택부에서 선택한 좌표와 상기 안내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좌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좌표를 선택하는 좌표비교선택부, 상기 좌표비교선택부에서 선택한 좌표에 근거하여 상기 안내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안내정보를 추출하는 안내정보추출부, 상기 안내정보추출부에서 추출된 안내정보를 재생하는 재생부 및 상기 재생부에서 재생한 안내정보를 음성으로 변환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피에스를 이용한 차량용 자동안내장치 {guidance device for automobile with the use of GPS}
본 발명은 GPS를 이용한 차량용 자동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탑승객에게 특정한 지리적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안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GPS위성신호가 일시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여 정확한 안내를 할 수 있는 GPS를 이용한 차량용 자동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대중교통에 탑승한 승객에게 정류장을 안내하거나, 관광버스, 여객선, 렌터카, 택시 등 관광용 운송수단에 탑승한 관광객에게 경유지의 관광안내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운전자수동조작에 의한 안내시스템, 주행계를 이용한 자동안내시스템, 고정송신기를 이용한 자동안내시스템 및 GPS인공위성을 이용한 자동안내시스템 등이 사용되었다.
이 중 GPS인공위성을 이용한 자동안내시스템은 가장 최근에 도입된 시스템으로서 기존의 안내시스템들이 안고 있던 문제들을 상당히 해결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GPS인공위성을 이용한 자동안내시스템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GPS인공위성을 이용한 자동안내시스템은 1.5GHz 대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지상으로부터 20,200km 상공에 떠 있는 24개의 NAVSTAR(Navigation System Time And Ranging)위성 중 적어도 4개의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를 계산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고층빌딩이나 터널 등의 지형지물로 인해 수신 가능한 위성의 수가 4개미만으로 줄어들면, 위치계산이 불가능하게 된다. 특히 도심지를 운행하는 차량 등의 경우에는 고층 빌딩군에 의해 위성신호 수신이 방해받아 차량위치 파악이 불가능한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실재 현장에서 사용하기에는 안내시스템으로서의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
또한, 안내지점 간의 거리가 가까워 위치 측정에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경우, 고정된 기지국을 이용하여 거리를 보정하는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기지국과의 통신료가 추가로 부담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GPS위성신호가 일시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여 신뢰성있는 안내를 할 수 있는 GPS를 이용한 차량용 안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S를 이용한 차량용 자동안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S를 이용한 차량용 자동안내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S를 이용한 차량용 자동안내장치의 노선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10...GPS수신부 120...좌표추출부 130...좌표추정산출부
140...좌표출처선택부 150...좌표비교선태부 160...안내정보추출부
170...재생부 180...음성출력부 190...영역좌표송신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내장치는, GPS 위성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GPS수신부, 상기 신호로부터 좌표를 추출하는 좌표추출부, 노선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노선정보저장부, 주행거리를 산출하는 주행거리산출부. 상기 좌표추출부에 좌표가 추출되지 않을 경우, 상기 노선정보저장부에 저장된 노선정보와 상기 주행거리산출부가 산출한 주행거리를 이용하여 좌표를 추정 산출하는 좌표추정산출부, 상기 좌표와 추정좌표 중 현위치 좌표로 이용될 좌표를 선택하는좌표출처선택부, 좌표에 대응되는 안내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안내정보저장부, 상기 좌표출처선택부에서 선택한 좌표와 상기 안내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좌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좌표를 선택하는 좌표비교선택부, 상기 좌표비교선택부에서 선택한 좌표에 근거하여 상기 안내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안내정보를 추출하는 안내정보추출부, 상기 안내정보추출부에서 추출된 안내정보를 재생하는 재생부 및 상기 재생부에서 재생한 안내정보를 음성으로 변환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GPS를 이용한 차량용 자동안내장치는 상기 좌표추정추출부의 좌표추정산출에 이용되는 노선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노선정보저장부, 상기 좌표추정추출부의 좌표추정산출에 이용되는 주행거리를 산출하는 주행거리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역좌표송신기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영역좌표수신부, 상기 무선신호에서 영역좌표를 추출하는 영역좌표추출부, 상기 안내정보저장부에 등급별로 저장된 안내정보 중 특정 등급의 안내정보를 지정하는 등급설정부, 상기 안내정보저장부에 언어별로 저장된 안내정보 중 특정 언어의 안내정보를 지정하는 언어설정부, 상기 안내정보의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제어부, 상기 안내정보저장부에 안내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안내정보입력장치 및 상기 안내정보저장부에 저장된 화상정보를 화상으로 변환 출력하는 화상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GPS를 이용한 차량용 자동안내장치는 GPS위성신호가 수신 되지 않는 경우에도 안내지점에서 정확하게 안내를 할 수 있고, 등급별 및 언어별로 저장된 다양한 안내정보를 음성 및 화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GPS를 이용한 차량용 자동안내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GPS를 이용한 차량용 자동안내장치는 GPS수신부(110), 좌표추출부(120), 좌표추정산출부(130), 노선정보 저장부(131), 주행거리산출부(132), 영역좌표수신부(193), 영역좌표추출부(194), 좌표출처선택부(140), 안내정보저장부(163), 좌표비교선택부(150), 안내정보추출부(160), 재생부(170) 및 음성 출력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GPS수신부(110)는 GPS위성에서 송출되는 위치좌표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GPS수신부(110)는 위성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통상의 장치인 접시형 안테나(110a)를 포함한다.
상기 좌표추출부(120)는 상기 GPS수신부(110)에서 수신된 위치좌표신호를 복조하여 위치좌표를 추출한다.
상기 노선정보저장부(131)는 차량의 운행노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각 구간별로 안내할 지점에 대한 좌표 및 각 안내지점 좌표간의 거리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구간은 x, y 위치좌표로서, 예를 들면, 안내지점 좌표 [1,2]와 2 구간 안내지점좌표 [12,3]사이의 구간으로 그 거리는 350m가 된다. 다음, 2구간은 안내지점좌표 [12,3]과 3구간 안내지점좌표 [35,22]사이의 구간으로 그 거리는 630m가 된다. 이런 방식으로, 운행노선을 구성하는 각 구간의 노선정보가 기록되게 되는데, 이 노선정보는 외부입력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필요시마다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표추출부(120)로부터 정상적으로 위치좌표가 추출될 경우에, 상기 좌표추정산출부(130)는 상기 노선정보저장부(131)에 저장된 각 구간별 안내지점좌표와 상기 좌표추출부(120)가 산출하는 좌표가 일치될 때마다 상기 주행거리산출부(132)에 리세트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주행거리산출부(132)는 리세트신호가 검출될 때마다 주행거리를 0으로 세팅하고 새롭게 주행거리를 적산하기 시작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상기 좌표추출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좌표가 노선정보저장부(131)에 저장된 위치좌표 [1,2]와 일치된 좌표에 도달하면, 상기 좌표추정산출부(130)는 상기 주행거리산출부(132)에 리세트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이어 상기 주행거리산출부(132)는 주행거리를 0으로 세팅하고 새롭게 주행거리를 적산하기 시작한다. 이제 차량이 2 구간의 안내지점좌표 [12,3]에 도달하면, 전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주행거리는 다시 0으로 세팅되고 새로운 주행거리적산이 시작된다.이런 방식으로, 각 구간의 안내지점좌표에 도달할 때마다, 주행거리가 새롭게 적산되게 된다.
한편, 상기 좌표추출부(120)로부터 정상적으로 위치좌표가 추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현재 위치좌표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추정산출할 필요가 있다. 상기 좌표추정산출부(130)는 상기 주행거리산출부(132)가 적산하고 있는 주행거리를 측정하여 이 주행거리가 상기 노선정보저장부(131)에 저장되어 있는 좌표간거리와 일치하게 될 때의 안내지점좌표를 현재위치 좌표로 추정산출하여 상기 좌표출처선택부(140)에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구간을 운행 중이던 차량의 적산주행거리가 350m가 되면, 이 때 차량은 2구간의 안내지점좌표 [12,3]에 도달한 것이므로 이 좌표 [12,3]을 차량의 현 위치좌표로 추출하여 상기 좌표출처선택부(140)에 출력하게 된다.
주행거리 산출을 위해 차량에 탑재된 주행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정확한 주행계의 확보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운행 속도와 운행시간을 산술 처리하여 주행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영역좌표송신기(190)는 특정 안내지점의 좌표를 저장하는 상기 영역좌표저장부(191)와 이 좌표정보를 변조하여 무선신호와 결합한 후,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통상의 전송매체인 전파신호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상기 영역좌표송신부(192)를 포함한다.
상기 영역좌표송신기(190)에서 송출되는 영역좌표는 각 안내지점을 단일하게 구별해 주는 식별자로서 안내지점의 위치좌표정보를 포함하며, 안내지점을 중심으로 일정한 영역 안에 송출되어 안내영역을 형성한다. 송출되는 신호는 지속적으로 송출될 수도 있고, 안내차량이 안내영역에 진입할 때 센서로 감지하여 신호가 송출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영역좌표수신부(193)는 상기 영역좌표송신기(190)에서 송출되는 영역좌표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영역좌표추출부(194)는 상기 영역좌표신호를 복조하여 영역좌표를 추출한다.
상기 좌표출처선택부(140)는 상기 좌표추출부(120)에서 추출되는 좌표, 상기 추정좌표산출부(130)에서 산출되는 좌표 및 상기 영역좌표추출부(194)에서 추출되는 좌표 중 적절한 좌표를 현위치 좌표로 선택한다. 기본적으로는 상기 좌표추출부(120)에서 추출되는 좌표가 선택되지만, 만약 상기 좌표추출부(120)에 좌표가 추출되지 않으면 상기 추정좌표산출부(130)에서 추정산출되는 좌표가 선택되게 된다. 상기 좌표추출부(120) 혹은 상기 추정좌표산출부(130)에서 위치좌표가 출력되는 도중에 상기 영역좌표추출부(194)에서 좌표가 추출되는 경우 그 좌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느 좌표가 선택되도록 할 것인지는 안내지점 간의 거리 혹은 상기 영역좌표송신기(190)의 전파강도 등 관련 여건에 따라 차량 운행 전에 설정되거나 운행 도중에 재설정될 수 있다.
상기 좌표비교선택부(150)는 상기 좌표출처선택부(140)에서 선택되어 입력된 좌표와 상기 안내정보저장부(163)에 저장된 좌표를 비교하여 이들의 좌표가 일치하는 경우 그 좌표를 선택한다. 상기 두 좌표는 정확하게 동일할 수도 있지만, GPS위성에서 수신되는 좌표에 오차범위가 있기 때문에 상기 안내정보저장부(163)에 저장하는 좌표 역시 오차범위를 설정하고 이 오차범위에 들어오면 일치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정보추출부(160)는 상기 좌표비교선택부(150)에서 선택한 좌표와 상기 안내정보저장부(163)에 저장된 안내정보의 좌표가 일치하는 경우 해당하는 안내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안내정보추출부(160)는 상기 안내정보저장부(163)에 저장된 정보 중 상기 등급설정부(161)에 설정되어 있는 등급과 일치하며, 상기 언어설정부(162)에 설정되어 있는 언어와 일치하는 안내정보를 선택 및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안내정보저장부(163)에는 기본적으로 음성정보를 저장하지만, 부가적으로 화상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안내정보는 각각의 안내지점의 영역좌표를 주분류기준으로 하여 저장되어 있고, 각 영역좌표에 대해 등급, 언어 등의 하위 분류기준에 따라 저장된다. 안내정보에 등급을 나누는 것은 이용자의 연령이나 이용 목적 등에 따라 안내내용의 질적인 깊이에 차등을 두는 것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면, 전문가용, 일반인용, 아동용으로 분류할 수도 있고, 기본안내정보와 상세안내정보로 분류할 수도 있다. 화상안내정보가 추가적으로 제공될 필요가 있을 때, 예를 들어, 버스나 유람선 관람의 경우, 음성 안내되는 안내대상물의 정지화상 혹은 동영상을 상기 안내정보저장부(163)에 저장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음성정보와 화상정보는 디지털압축기술을 이용하여 고비율로 압축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MPEG1(Motion Picture Expert Group) Layer 3 기술을 이용하여 압축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안내정보저장부(163)에 사용되는 저장매체는 통상의 전자적 저장매체가 이용된다. 저장매체는 내장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탈착 가능한 분리형 저장매체인 플래시 메모리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안내정보저장부(163)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상기 안내정보입력장치(164)는 상기 안내장치(200)에 내장할 수도 있으나 분리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생부(170)는 상기 안내정보추출부(160)가 상기 안내정보저장부(163)에서 선택한 음성 및 화상안내정보를 재생한다. 음성안내정보는 그 압축을 해제하고, 해제된 디지털형태의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형태의 음성신호로 변환하며, 화상안내정보는 그 압축을 해제하여 화상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재생제어부(171)은 상기 재생부(170)에서 재생되는 음성신호의 재생방식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안내장치의 외부에 자동, 재생, 일시정지, 멈춤, 음량조절 등의 상기 제어버튼(210)을 설치하고 이들 제어버튼을 조작하면 상기 재생제어부(171)는 이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재생부(170)의 재생방식을 제어한다. 기본적으로 재생제어는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어 안내지점으로 진입하면 자동으로 안내정보가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성출력부(180)는 상기 재생부(170)에서 재생한 음성신호를 이용자가 청취할 수 있는 가청주파수로 변환한다. 상기 음성출력부(18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확성장치(180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상출력부(181)는 상기 재생부(170)에서 재생한 화상신호를 이용자가볼 수 있게 화상으로 표시한다. 상기 화상출력부(181)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장치(200)에 결합되거나 혹은 분리되어 설치되는 외부화상표시장치(181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GPS를 이용한 차량용 자동안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이 운행노선에 따라 이동함에 따라, GPS위성 상기 수신안테나(110a)를 통해 상기 GPS수신부(110)는 GPS위성으로부터 위치좌표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한다.
상기 좌표추출부(120)는 상기 위치좌표신호로부터 좌표를 추출한다.
상기 좌표출처선택부(140)는 상기 좌표추출부(120)에서 추출되는 좌표를 차량의 현재 위치좌표로 선택한다.
상기 좌표비교선택부(150)는 상기 좌표출처선택부(140)에서 선택된 좌표와 상기 안내정보저장부(163)에 저장되어 있는 안내정보의 좌표를 비교하여 이 두 좌표가 일치하게 되면 그 좌표를 선택한다.
상기 안내정보추출부(160)는 이 좌표를 이용하여 안내정보저장부(163)에 저장되어 있는 안내정보 중 상기 등급설정부(161)와 상기 언어설정부(162)의 설정과 일치한 안내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안내정보는 상기 재생부(170)와 상기 음성출력부(180)를 통해 외부 확성장치(180a)에 전달되어 안내방송이 송출된다.
상기 좌표추정추출부(130)는 수신 가능한 GPS위성이 4개미만으로 줄어드는 등의 이유에 의해 상기 좌표추출부(120)에서 위치좌표가 추출되지 않을 때 현재위치좌표를 추정산출한다.
상기 좌표출처선택부(140)는 이 추정좌표를 선택하여 상기 좌표비교선택부(150)에 전달하게 되고 전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안내방송이 송출된다.
차량이 상기 영역좌표송신기(190)의 송신전파 수신영역으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영역좌표수신부(193)와 상기 영역좌표추출부(194)를 통해 영역좌표가 추출되고, 상기 좌표출처선택부(140)는 전술한 것처럼 이 영역좌표를 선택하여 상기 좌표비교선택부(150)에 전달하게 되고 이하 전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안내방송이 송출된다
자동안내장치의 상기 재생버튼(210)은 기본값으로 자동으로 세팅되어 있어 차량이 안내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자동으로 안내방송이 송출되며, 이 때 안내정보에 화상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화상출력부(181)의 상기 외부외부화상표시장치(181a)에 자동으로 표시된다.
이용자가 다른 등급의 안내정보를 원할 경우, 상기 등급선택버튼(220)을 조작하여 적절한 안내정보를 선택할 수 있으며, 언어 역시 상기 언어선택버튼(230)을 조작하여 적합한 언어를 선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GPS를 이용한 차량용 자동안내장치는 터널, 빌딩 등 지형지물의 간섭으로 인해 수신 가능한 GPS위성의 수가 4개미만으로 줄어드는 등의 이유로 인해 현재위치좌표추출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노선정보와 주행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좌표를 추정산출하여 안내방송을 송출함으로써 어떤 위치에서든지 신뢰성 있는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안내지점 간의 거리가 가까워, GPS위성이 제공하는 최대 정밀도인 약 지경 30m 이내의 이상의 정밀도가 요구되는 경우,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의 경우처럼 별도의 고정기지국을 이용할 필요 없이, 영역좌표송신기의 설치만으로 추가적인 통신비의 부담 없이 매우 정밀한 안내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안내정보를 탑승자의 등급과 사용언어에 따라 세분하여 설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일반용, 전문가용, 아동용 등으로 구분하여 제공하거나 한국어, 영어, 일어 등 다양한 언어로 제공하여 탑승자에게 맞춤정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음성안내정보에 더하여 화상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안내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버스나 유람선 등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사적지를 안내할 경우에도 안내되는 지형지물이나 건물 혹은 도착할 항구 등의 사진을 화면에 표시하여 한층 이해를 도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GPS 위성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GPS수신부(110);
    상기 신호로부터 좌표를 추출하는 좌표추출부(120);
    상기 좌표추출부(120)에서 좌표가 추출되지 않을 경우, 노선정보와 주행거리를 이용하여 좌표를 추정산출하는 좌표추정산출부(130);
    상기 좌표와 추정좌표 중 현위치 좌표로 이용될 좌표를 선택하는 좌표출처선택부(140);
    좌표에 대응되는 안내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안내정보저장부(163);
    상기 좌표출처선택부(140)에서 선택한 좌표와 상기 안내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좌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좌표를 선택하는 좌표비교선택부(150);
    상기 좌표비교선택부(150)에서 선택한 좌표에 근거하여 상기 안내정보저장부(163)에 저장된 안내정보를 추출하는 안내정보추출부(160);
    상기 안내정보추출부(160)에서 추출된 안내정보를 재생하는 재생부(170); 및
    상기 재생부(170)에서 재생한 안내정보를 음성으로 변환 출력하는 음성출력부(180)를 포함하는 GPS를 이용한 차량용 자동안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영역좌표송신기(190)에서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영역좌표수신부(193);
    상기 영역좌표수신부에서 수신된 무선신호에서 영역좌표를 추출하여 상기 좌표출처선택부(140)에 전달하는 영역좌표추출부(194)를 더 포함하는 GPS를 이용한 차량용 자동안내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정보저장부(163)에 등급별로 저장된 안내정보 중 특정 등급의 안내정보를 지정하는 등급설정부(161);
    상기 안내정보저장부(163)에 언어별로 저장된 안내정보 중 특정 언어의 안내정보를 지정하는 언어설정부(162);
    상기 안내정보의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제어부(170);
    상기 안내정보저장부(163)에 안내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안내정보입력장치(164); 및
    상기 안내정보저장부(163)에 저장된 화상정보를 화상으로 변환 출력하는 화상출력부(181)를 더 포함하는 GPS를 이용한 차량용 안내장치.
KR10-2000-0052485A 2000-09-05 2000-09-05 지피에스를 이용한 차량용 자동안내장치 KR100379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485A KR100379764B1 (ko) 2000-09-05 2000-09-05 지피에스를 이용한 차량용 자동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485A KR100379764B1 (ko) 2000-09-05 2000-09-05 지피에스를 이용한 차량용 자동안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312A KR20020019312A (ko) 2002-03-12
KR100379764B1 true KR100379764B1 (ko) 2003-04-14

Family

ID=19687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2485A KR100379764B1 (ko) 2000-09-05 2000-09-05 지피에스를 이용한 차량용 자동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97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797B1 (ko) 2009-05-19 2010-03-02 (주)경봉 버스정보시스템의 통합 버스탑재 단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784B1 (ko) * 2008-08-12 2010-07-05 강두석 고춧가루 분해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797B1 (ko) 2009-05-19 2010-03-02 (주)경봉 버스정보시스템의 통합 버스탑재 단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312A (ko) 2002-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0830B2 (en) Navigation apparatus, driving direction guidance method, and navigation system
US742133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ffic information display in navigation system
US6922629B2 (en) Traffic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traffic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network navigation center
US8527194B2 (en) Portable navigation device, portable electronic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radio data system information therefor
JP2003279360A (ja) 交通情報配信方法及び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219393B2 (ja) 受信制御装置、受信装置、再生装置、受信制御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EP1096228B1 (en) Navigation device
JP3403774B2 (ja) 案内装置
KR100379764B1 (ko) 지피에스를 이용한 차량용 자동안내장치
JP2797946B2 (ja) 情報表示装置
JP2002156239A (ja) 車載用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EP1258851B1 (en) Navigation apparatus
JP2658280B2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4177199A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カーナビゲーション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3240586A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0632155B2 (ja) 車両の受信装置
JP2002039779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0161978A (ja) 経路探索,経路案内の方法及び装置並びに自動車
WO2006109469A1 (ja) 楽曲支援装置、楽曲支援方法、楽曲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874637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選局方法
US6694257B1 (en) Method for displaying guide for vehicle-mounted navigator
US20110092170A1 (en) Portable electronic communications apparatus, communications system, method of purging error data therefor and method of reducing re-tuning delay therefor
JP3235133B2 (ja) 移動体用放送局受信装置
JP2008064614A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3659066B2 (ja) 経路案内装置及び方法並びに経路案内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