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9496B1 -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9496B1
KR100379496B1 KR10-2000-0038379A KR20000038379A KR100379496B1 KR 100379496 B1 KR100379496 B1 KR 100379496B1 KR 20000038379 A KR20000038379 A KR 20000038379A KR 100379496 B1 KR100379496 B1 KR 100379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unit
inflection point
address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4472A (ko
Inventor
심민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38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9496B1/ko
Publication of KR20020004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9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94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31Sens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변곡점 발생시간을 이용하여 통신 및 냉매 배관의 일치가 이루어지도록 한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팽창장치 및 실내기 열 교환기를 구비한 멀티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감지되는 실내배관 온도의 변화에 따른 변곡점 발생시간을 산출하는 실내기와, 상기 변곡점 발생시간이 입력되는 순서에 따라 상기 실내기에 임시 어드레스를 설정하고, 소정 시간 운전 후 상기 실내기의 변곡점 발생시간들이 모두 입력되면 상기 실내기 변곡점 발생시간과 임시어드레스를 비교하여 각 실내기에 확정 어드레스를 설정하며, 소정 시간동안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실내기에 연결된 팽창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실외기와, 상기 실외기에서 설정된 임시 또는 확정 어드레스 및 상기 실내기에서 산출된 변곡점 발생시간의 데이터 이동을 위한 통신선과, 상기 팽창장치의 구동에 의해 냉매를 실외기에서 상기 실내기 열교환기로 이동하기 위한 냉매 배관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실내기의 최초 또는 재 설치시 생산자가 설정할 필요없이 시스템이 자동으로 어드레스를 찾아 설정하여 수동 설정에 의한 오결선이나 오배관의 위험이 없어지므로 사용자 설치에 편의를 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of multityp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 공기조화기의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방에 설치된 실내기들이 하나의 실외기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장치를 멀티형 공기 조화기라고 한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용선을 이용한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장치이고,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력선을 이용한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장치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장치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실외기(10)와, 상기 실외기에 연결되는 제 1실내기(11), 제 2 실내기(12) 및 그 외 다수의 실내기(13)와,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및 전원을 공급을 하는 통신선/전원선(1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외기(10)는 실외기 마이컴(11), 제 1실내기와 연결되는 제 1 실외기 통신부(10b), 제 2실내기와 연결되는 제 2실외기 통신부 및 그외 다수의 실외기 통신부로 구성되며, 상기 실내기(12)는 실내기 마이컴(12b), 상기 실외기 통신부와 연결되는 실내기 통신부(12a)로 구성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장치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실외기(20)와, 상기 실외기에 연결되는 제 1실내기(21), 제 2 실내기(22) 및 그외 다수의 실내기(23)와,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및 전원을 공급을 하는 통신선/전원선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외기(20)는 실외기 마이컴(20a), 상기 실내기 1, 실내기 2 및 그외 다수의 실내기에 연결되는 실외기 통신부(20b)로 구성되며, 상기 실내기(12)는 실내기 마이컴(12b), 상기 실외기 통신부와 연결되는 실내기 통신부(12a)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방법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내 다수의 통신포트를 실내기와 각각 전용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실내기를 다수 연결하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경우에는 마이컴 입/출력 포트를 많이 할당하여 운영하게된다.
그러므로 근간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내에 하나의 통신포트를 이용하여 같은 통신선을 공유해서 각 실내기들과 통신을 행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때는 각각의 포트를 이용하여 실내기를 접속하는 방법에 비해, 하나의 과정을 추가해야만 하는데, 그 과정이 배관탐색 과정이다. 이 과정은 처음 전원이 투입되었을 때, 실외기에서는 운전되는 실내기에 냉매를 공급하기 위해 팽창장치를 제어하고, 팽창장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해당 실내기로부터 각종 제어 변수 정보를 입력받아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실외기의 팽창장치, 배관, 실내기로 연결되는 신호의 흐름이 일치되어야만 한다.
즉 상기 실외기의 팽창장치, 배관, 실내기의 일치는 통신상의 일치와 배관의 불일치로 인한 오결선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배관 탐색 과정을 통하여 멀티 공기조화기의 오결선 유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신선을 공통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신선상에 흐르는 정보의 교환만으로는 이 같은 일치화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최초 설치에 의한 전원 투입시나 이동설치에 의한 재차 전원투입시 어드레싱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기존의 전용선으로 실외기 포트 하나에 실내기 하나를 각각 연결하는 방법에도 배관 탐색을 스스로 해주는 시스템이 있으며, 현재까지는 실내기의 옵션 저항 입력이나 딥스위치에 의해 미리 정해진 실내기의 번호에 따라 제어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기의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멀티 공기 조화기와 같이 다수 대의 실내기를 구비하는 실외기는 실내기의 접속대수만큼 통신포트를 확보해야하고, 따라서 실외기의 마이컴 선정 및 사용상에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된다.
둘째, 실내기의 옵션 어드레스에 의해 미리 정해지는 것은 간단하지만, 생산시나 설치시에 어드레스가 중복되지 않도록 세팅을 수동으로 해주어야 하고, 또한 잘못 연결되면 오동작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변곡점 발생시간을 이용하여 통신 및 냉매 배관의 일치가 이루어지도록 한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장치에서 팽창장치 제어에 의한 실내 배관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파형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장치는 팽창장치 및 실내기 열 교환기를 구비한 멀티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감지되는 실내배관 온도의 변화에 따른 변곡점 발생시간을 산출하는 실내기와, 상기 변곡점 발생시간이 입력되는 순서에 따라 상기 실내기에 임시 어드레스를 설정하고, 소정 시간 운전 후 상기 실내기의 변곡점 발생시간들이 모두 입력되면 상기 실내기 변곡점 발생시간과 임시어드레스를 비교하여 각 실내기에 확정 어드레스를 설정하며, 소정 시간동안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실내기에 연결된 팽창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실외기와, 상기 실외기에서 설정된 임시 또는 확정 어드레스 및 상기 실내기에서 산출된 변곡점 발생시간의 데이터 이동을 위한 통신선과, 상기 팽창장치의 구동에 의해 냉매를 실외기에서 상기 실내기 열교환기로 이동하기 위한 냉매 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방법은 팽창장치, 실내 배관온도센서 및 실내기 열교환기를 구비한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실내기에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되면, 상기 실외기는 실내기에 연결된 소정 수의 팽창장치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실내기 열교환기에 냉매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실내기 열교환기의 냉매 열 교환에 따른 온도 변화를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실내기 배관 온도 센서에서 감지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변곡점 검출에 따라 변곡점 발생시간을 산출하여 실외기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실외기가 실내기 변곡점 발생시간이 수신되는 순서에 따라 해당 실내기에 임시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실외기가 상기 산출된 변곡점 발생시간의 비교결과와 상기 임시 어드레스의 분석에 따라 확정 어드레스를 설정하여 각 실내기에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다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기의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기 조화기의 배관 제어에 의한 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장치 및 실내기 열 교환기를 구비한 멀티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감지되는 실내배관 온도의 변화에 따른 변곡점 발생시간을 산출하는 실내기와, 상기 변곡점 발생시간이 입력되는 순서에 따라 상기 실내기에 임시 어드레스를 설정하고, 소정 시간 운전 후 상기 실내기의 변곡점 발생시간들이 모두 입력되면 상기 실내기 변곡점 발생시간과 임시어드레스를 비교하여 각 실내기에 확정 어드레스를 설정하며, 소정 시간동안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실내기에 연결된 팽창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실외기와, 상기 실외기에서 설정된 임시 또는 확정 어드레스 및 상기 실내기에서 산출된 변곡점 발생시간의 데이터 이동을 위한 통신선과, 상기 팽창장치의 구동에 의해 냉매를 실외기에서 상기 실내기 열교환기로 이동하기 위한 냉매 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내기는 상기 실외기 팽창장치 구동에 의해 상기 냉매 배관을 따라 공급되는 냉매의 열 교환을 위한 실내기 열 교환기와, 상기 실내기 열 교환기의 냉매 열 교환에 따른 온도 변화를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감지하는 배관 온도센서와, 상기 배관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의 변화에 따른 변곡점 발생시간을 산출하는 실내기 마이컴과, 상기 실내기 마이컴에서 산출된 변곡점 발생시간의 실외기 출력과 상기 실외기의 어드레스 출력을 수신하기 위한 실내기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 마이컴은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배관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의 변화에서 변곡점 검출여부에 따라 변곡점 발생 시간을 산출하는 온도 구배 계산부와, 상기 변곡점 발생시간을 실내기 통신부에 전달하고, 상기 실외기에서 설정된 어드레스를 실내기 어드레스 설정부로 전달하기 위한 실내기 송수신부와, 상기 실외기에서 설정된 임시 어드레스 또는 확정 어드레스를 상기 실내기 송수신부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는 실내기 어드레스 설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실외기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팽창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실내기 변곡점 발생시간의 수신에 따라 상기 실내기에 임시 어드레스를 설정하며, 소정 시간 운전후 변곡점 발생시간과 임시 어드레스를 비교하여 확정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실외기 마이컴과, 상기 실외기 마이컴의 제어 신호에 의해 팽창장치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구동시키는 팽창장치 구동부와, 상기 팽창장치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팽창장치와, 상기 실외기 마이컴의 설정된 어드레스를 실내기에 출력하고, 상기 실내기의 변곡점 발생시간을 입력받아 실외기 마이컴에 송출하는 실외기 통신부로 구성된다.
이어서 상기 실외기 마이컴은 상기 팽창장치 및 압축기/실외팬/사방밸브의구동을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제어하기 위한 시간 관리 제어 설정부와, 상기 시간 관리 제어 설정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압축기/실외팬/사방밸브의 구동값을 결정하는 압축기/실외팬/사방밸브 제어부와, 상기 시간 관리 설정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팽창장치 구동값을 결정하는 팽창장치 제어부와, 상기 실내기로부터 입력되는 변곡점 발생시간의 비교 결과와 임시 어드레스를 비교하여 비교값을 출력하는 온도 구배(DTS) 비교부와, 상기 실내기 변곡점 발생시간의 실외기 입력 순서에 따라 임시 어드레스를 설정하고, 상기 온도구배(DTS) 비교부의 비교값 및 임시 어드레스(address)의 분석에 따라 확정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실외기 어드레스 설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첨부한 도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최초 또는 이동 설치되는 실내기를 포함하여 실내기에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되면(S100), 상기 실외기 마이컴(100)의 시간 관리 제어 설정부(101)는 압축기/실외팬/사방밸브(130)가 구동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압축기/실외팬/사방밸브 제어부(130)는 압축기/실외팬/사방밸브 구동값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구동값에 따라 압축기/실외패/사방 밸브(130)는 구동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실외기 마이컴(100)의 시간 관리 제어 설정부(101)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실내기에 연결된 팽창장치(120)들이 구동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팽창장치 제어부(102)는 출력된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팽창 장치 구동값을 팽창 장치 구동부(110)에 출력하며, 상기 팽창장치 구동부는 상기구동값에 따라 각 실내기에 연결된 팽창장치(130)들을 구동하여 실내기의 냉매 공급을 조절한다(S11).
상기와 같이 팽창장치를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동하여 제어하는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5대의 실내기가 실외기에 접속되면 처음에는 팽창장치를 모두 일정시간 운전하여 사이클을 어느 정도 안정화시키고, 상기 실외기내의 제 1 팽창장치를 소정시간 운전 후 클로즈(close)하며, 이후 소정 시간이 지나면 제 1 팽창장치를 재 운전하고, 이와 동시에 제 2 팽창장치(120)를 운전을 클로즈(close)하며, 이와 같은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5대의 실내기에 적용하여 운전한다.
그리고 상기 팽창장치(120)가 구동되어 각 실내기로 냉매가 냉매배관을 통해 공급되면, 공급된 냉매는 상기 실내기의 열 교환기(220)에서 열 교환을 하고 실외기로 귀환한다(S101).
한편, 상기 제 1 팽창장치가 클로즈되는 시점에서 상기 모든 실내기의 냉매 배관 온도의 변곡점을 검출한다.제 2 팽창장치(120)에 연결된 제 2 실내기(6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 2 팽창장치(120)에 연결된 냉매 배관의 온도를 상기 배관 온도센서(230)를 통해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온도는 상기 실내기 마이컴(200)내의 온도구배 계산부(201)에서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기록되고(S102), 이를 통해 상기 온도구배 계산부는 상기 실내 배관 온도의 기록에서 변곡점 검출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03).
이때, 상술한 변곡점의 판단은 온도의 변화가 상승에서 하강 또는 하강에서 상승으로 바뀌는 지점을 의미하여, 예를 들어, 난방시 실내기의 팽창장치(120)를 오픈하여 냉매를 흐르게 하면 냉매배관 온도가 상승하고 어느 정도 상승하게 되는 지점에서 팽창장치(120)를 클로즈하는 경우 냉매배관 온도가 하강하게 되는데 상기 온도구배 계산부에서 순차적으로 기록되는 냉매배관의 온도를 통해 이때의 온도 변곡점을 검출하게 된다.
상기 판단결과(S103), 변곡점이 검출되지 않으면 변곡점이 검출될 때까지 냉매 배관의 온도를 감지하고 기록하여 변곡점 검출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01∼S103).
그리고 상기 변곡점이 검출되면(S103), 상기 온도 구배 계산부는 실내기의 최초 전원 공급시부터 상기 변곡점 발생시까지의 시간인 변곡점 발생시간을 산출하여(S104) 상기 실내기 송수신부(203)를 통해 실내기 통신부(210)로 인가한다(S104).
이어서 상기 실내기의 변곡점 발생시간이 실내기 통신부(210)에서 실외기의 통신부(140) 및 실외기 송수신부(106)를 통해 상기 실외기 어드레스 설정부(104)에 입력되면, 상기 실외기 어드레스 설정부(104)는 상기 실내기의 변곡점 발생시간의 입력되는 순서에 따라 차례로 임시 어드레스(address)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임시 어드레스는 상기 실외기 송수신부(106) 및 통신부(140)를 통해 상기 실내기 어드레스 설정부(202)에 인가된다(S13).즉, 제 1 실내기 -> 제 2 실내기 -> 제 3 실내기 -> 제 4 실내기 -> 제 5 실내기의 순서에 따라 냉매 배관의 온도 변곡점 발생시간이 입력되면 상기 순서에 따라 제 1 실내기에 1번, 제 2 실내기에 2번, 제 3 실내기에 3번, 제 4 실내기에 4번 임시 어드레스를 지정하고 제 5 실내기에 5번 임시 어드레스를 지정한다.
이후 상기 실내기 어드레스 설정부는 실외기 어드레스 설정부(104)에서 설정된 임시 어드레스를 저장하고, 상기 실내기는 임시 어드레스에 따라 제어된다(S105).
한편 소정 시간 운전하여 상기 실내기들의 변곡점 발생시간이 모두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온도구배(Delta Time Second:DTS) 비교부는 상기 입력된 모든 실내기 변곡점 발생시간을 비교하고 분석하여 비교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비교값을 임시 어드레스와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어드레스 설정부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임시 어드레스 설정은 각 팽창장치에 연결된 냉매 배관이 근접한 다른 냉매 배관의 온도에 영향을 주어 실내기의 변곡점이 실제 변곡점과 다른 곳에서 약간 다르게 발생할 수도 있는 요인을 고려한 것이다.
이어서 상기 실외기 어드레스 설정부(202)는 상기 변곡점 발생시간의 비교값을 임시 어드레스와 비교한 비교결과에 따라 확정 어드레스를 설정하여 해당 실내기에 확정 어드레스를 출력하며, 상기 확정 어드레스는 실내기 어드레스 설정부에 저장된다(S6).상세히 설명하면, 온도 변곡점이 생기는 시점은 주위 온도 및 배관길이와 실내기의 용량에 따라 제어시점 즉, 팽창장치의 클로즈 시점에 비해 길어질 수도 짧아질 수도 있으나 나중에 제어한 변곡점이 먼저 제어한 변곡점 보다 시기상으로 먼저 발생할 가능성은 없다.따라서, 온도 구배 비교부에서는 변곡점이 일어난 시점의 실내기 신호를 부여하고 나중에 변곡점이 일어난 시점을 비교하여 임시 어드레스 n번을 확정 어드레스 m번으로 최종 부여하게 된다.일반적으로, 상술한 바에 의해 제어가 발생된 시점에 따라 변곡점의 발생 순서가 정해지게 되지만 온도상의 변곡점은 제어에 의해 발생한 변곡점 뿐 아니라 인접한 실내기의 제어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예를 들어, 제 1 실내기와 제 2 실내기의 냉매 배관이 서로 인접해 있다고 가정해 보자.제 1 및 제 2 팽창장치의 순차적 제어, 즉 제 1 팽창장치를 소정 시간 클로즈 한 후 재운전하고, 그 다음 순차적으로 제 2 팽창장치를 클로즈 한 후 재운전하는 과정에서, 제 1 팽창장치를 클로즈한 시점에 제 1 실내기와 제 2 실내기의 배관 온도 센서를 통해 제 1 및 제 2 실내기가 각각 연결된 냉매 배관의 온도를 감지하게 된다.이때, 온도 구배 계산부는 배관 온도 센서를 통한 냉매 배관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기록하여 냉매 배관의 변곡점 발생 시점을 검출한다.여기서, 제 1 실내기에 연결된 냉매 배관의 온도 변곡점 발생시간을 a, 제 2 실내기에 연결된 냉매 배관의 온도 변곡점 발생시간을 b라고 하자.제 1 및 제 2 팽창장치의 순차적 제어에 따라 해당 냉매 배관의 온도 변곡점이 순차적으로 a -> b 순서로 발생될 수 있으나, 서로 인접해 있는 냉매 배관으로 인하여 제 1 팽창장치의 제어에 따라 제 2 실내기의 냉매 배관의 온도 변곡점이 제 1 실내기의 냉매 배관 온도 변곡점에 비해 먼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다시 말해, b -> a -> b 순서로 발생하여 출력될 경우 b에 해당하는 제 2 실내기의 임시 어드레스가 1로 설정되고 a에 해당하는 제 1 실내기의 임시 어드레스가 2로 설정된다.그러나, 실외기 마이컴(100)에서 a 이전에 발생한 b와, a 다음에 다시 발생한 b를 인식하여 a에 해당하는 제 1 실내기의 확정 어드레스를 1로 설정하고 b에 해당하는 제 2 실내기의 확정 어드레스를 2로 설정한다.모든 실내기는 앞서 발생한 변곡점 보다 큰 변곡점에 대해서만 그 해당 신호를 실외기로 출력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a 다음에 발생한 b가 a 이전에 발생한 b 보다 더 큰 변곡점이 발생한 시간이다. 즉, a 이전에 발생한 b는 제 1 팽창장치의 제어에 따른 제 1 실내기의 냉매배관의 주위 온도에 의해 발생한 제 2 실내기의 냉배 배관의 변곡점 발생시간이고, a 다음에 발생한 b는 제 2 팽창장치의 제어에 따른 실질적인 제 2 실내기의 냉배 배관의 변곡점 발생시간이다.이때, 실내기는 최대 변곡점이 발생하는 경우에 신호를 발생하게 되므로 작은 변곡점이 최대 변곡점 뒤에 발생하면 무시하게 된다. 즉, 현재 발생한 변곡점 보다 그 이상의 변곡점이 발생할 경우에만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정을 통해 확정 어드레스를 설정함으로서 팽장장치, 냉매배관, 실내기의 전기적인 것과 기구적인 것이 일치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 1 팽창장치를 제 2 실내기 배관에 연결하고 제 1 팽창장치를 제 1 실내기인 것 처럼 제어하여 제 1 실내기를 운전시키면 결국 제 2 실내기에 냉매가 공급되고 정작 제 1 실내기의 팽창장치는 닫혀있게 되므로 이러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팽창장치에 연결된 실내기 배관의 변곡점을 이용하여 해당 실내기에 정확한 어드레스를 설정하게 된다.이후 최초 또는 이동 설치되는 실내기의 접속전까지 실외기는 실내기들을 확정 어드레스에 따라 제어하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에어컨의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은 팽창장치의 순차적 제어에 따른 각 실내기에 연결된 냉매 배관의 온도 변곡점을 이용하여 각 팽창장치에 연결된 해당 실내기의 어드레스를 정확하게 설정함으로서 설치시 배관이 벽속에 미리 설치된다 하더라도 일일이 연결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없고 팽창장치와 실내기 배관의 전기적인 연결 및 기구적인 연결을 일치시키는 작업을 수동으로 하지 않아도 된다. 다시 말해, 실내기의 최초 또는 재 설치시 생산자가 설정할 필요없이 시스템이 자동으로 어드레스를 찾아 설정하여 수동 설정에 의한 오결선이나 오배관의 위험이 없어지므로 사용자 설치에 편의를 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팽창장치 및 실내기 열 교환기를 구비한 멀티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감지되는 실내배관 온도의 변화에 따른 변곡점 발생시간을 산출하는 실내기;
    상기 변곡점 발생시간이 입력되는 순서에 따라 상기 실내기에 임시 어드레스를 설정하고, 소정 시간 운전 후 상기 실내기의 변곡점 발생시간들이 모두 입력되면 상기 실내기 변곡점 발생시간과 임시어드레스를 비교하여 각 실내기에 확정 어드레스를 설정하며, 소정 시간동안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실내기에 연결된 팽창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실외기;
    상기 실외기에서 설정된 임시 또는 확정 어드레스 및 상기 실내기에서 산출된 변곡점 발생시간의 데이터 이동을 위한 통신선;그리고
    상기 팽창장치의 구동에 의해 냉매를 실외기에서 상기 실내기 열교환기로 이동하기 위한 냉매 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상기 실외기 팽창장치 구동에 의해 상기 냉매 배관을 따라 공급되는 냉매의 열 교환을 위한 실내기 열 교환기와,
    상기 실내기 열 교환기의 냉매 열 교환에 따른 온도 변화를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감지하는 배관 온도센서와,
    상기 배관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의 변화에 따른 변곡점 발생시간을 산출하는 실내기 마이컴과,
    상기 실내기 마이컴에서 산출된 변곡점 발생시간의 실외기 출력과 상기 실외기의 어드레스 출력을 수신하기 위한 실내기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 마이컴은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배관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의 변화에서 변곡점 검출여부에 따라 변곡점 발생 시간을 산출하는 온도 구배 계산부와,
    상기 변곡점 발생시간을 실내기 통신부에 전달하고, 상기 실외기에서 설정된 어드레스를 실내기 어드레스 설정부로 전달하기 위한 실내기 송수신부와,
    상기 실외기에서 설정된 임시 어드레스 또는 확정 어드레스를 상기 실내기 송수신부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는 실내기 어드레스 설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팽창장치의 구동을 온/오프 제어하고, 상기 실내기 변곡점 발생시간의 수신에 따라 상기 실내기에 임시 어드레스를 설정하며, 소정 시간 운전후 변곡점 발생시간과 임시 어드레스를 비교하여 확정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실외기 마이컴과,
    상기 실외기 마이컴의 제어 신호에 의해 팽창장치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구동시키는 팽창장치 구동부와,
    상기 팽창장치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팽창장치와,
    상기 실외기 마이컴의 설정된 어드레스를 실내기에 출력하고, 상기 실내기의 변곡점 발생시간을 입력받아 실외기 마이컴에 송출하는 실외기 통신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마이컴은
    상기 팽창장치 및 압축기/실외팬/사방밸브의 구동을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제어하기 위한 시간 관리 제어 설정부와,
    상기 시간 관리 제어 설정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압축기/실외팬/사방밸브의 구동값을 결정하는 압축기/실외팬/사방밸브 제어부와,
    상기 시간 관리 제어 설정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팽창장치 구동값을 결정하는 팽창장치 제어부와,
    상기 실내기로부터 입력되는 변곡점 발생시간의 비교 결과와 임시 어드레스를 비교하여 비교값을 출력하는 온도 구배(DTS) 비교부와,
    상기 실내기 변곡점 발생시간의 실외기 입력 순서에 따라 임시 어드레스를 설정하고, 상기 온도구배(DTS) 비교부의 비교값 및 임시 어드레스(address)의 분석에 따라 확정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실외기 어드레스 설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장치.
  6. 팽창장치, 실내 배관온도센서 및 실내기 열교환기를 구비한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실내기에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되면, 상기 실외기는 실내기에 연결된 소정 수의 팽창장치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실내기 열교환기에 냉매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실내기 열교환기의 냉매 열 교환에 따른 온도 변화를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실내기 배관 온도 센서에서 감지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변곡점 검출에 따라 변곡점 발생시간을 산출하여 실외기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실외기가 실내기 변곡점 발생시간이 수신되는 순서에 따라 해당 실내기에 임시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실외기가 상기 산출된 변곡점 발생시간의 비교결과와 상기 임시 어드레스의 분석에 따라 확정 어드레스를 설정하여 각 실내기에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단계는
    변곡점 발생시간이 실외기에 수신되는 순서에 해당하는 번호로 임시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방법.
KR10-2000-0038379A 2000-07-05 2000-07-05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379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379A KR100379496B1 (ko) 2000-07-05 2000-07-05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379A KR100379496B1 (ko) 2000-07-05 2000-07-05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472A KR20020004472A (ko) 2002-01-16
KR100379496B1 true KR100379496B1 (ko) 2003-04-10

Family

ID=19676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379A KR100379496B1 (ko) 2000-07-05 2000-07-05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94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9669A (zh) * 2012-10-26 2013-01-23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地址设定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9678B2 (ja) 2008-07-11 2010-10-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起動制御装置
CN104965473B (zh) * 2015-07-22 2018-01-02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多联机系统和基于can总线的多联机系统自动寻址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4076A (ja) * 1991-04-24 1992-11-13 Matsushita Refrig Co Ltd 多室形空気調和機
JPH0842905A (ja) * 1994-07-28 1996-02-16 Hitachi Ltd 空調制御システムの通信方法及び装置
KR970059619A (ko) * 1996-01-29 1997-08-12 구자홍 냉난방기의 실내기 직류화회로
JPH09318142A (ja) * 1996-06-03 1997-12-12 Hitachi Ltd 空気調和機
KR19990074073A (ko) * 1998-03-06 1999-10-05 윤종용 설치상태 점검기능을 갖는 멀티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4076A (ja) * 1991-04-24 1992-11-13 Matsushita Refrig Co Ltd 多室形空気調和機
JPH0842905A (ja) * 1994-07-28 1996-02-16 Hitachi Ltd 空調制御システムの通信方法及び装置
KR970059619A (ko) * 1996-01-29 1997-08-12 구자홍 냉난방기의 실내기 직류화회로
JPH09318142A (ja) * 1996-06-03 1997-12-12 Hitachi Ltd 空気調和機
KR19990074073A (ko) * 1998-03-06 1999-10-05 윤종용 설치상태 점검기능을 갖는 멀티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9669A (zh) * 2012-10-26 2013-01-23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地址设定的方法
CN102889669B (zh) * 2012-10-26 2015-01-21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地址设定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472A (ko) 200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8173B1 (ko) 냉동 공기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6701722B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detecting refrigerant leakage therein
CN1786605B (zh) 监视一拖多空调的试运行模式中的状态信息的设备及方法
US5499510A (en) Multiple type air conditioner system and address setting method thereof
US20060112700A1 (en) Apparatus for testing air conditioner
EP1691139B1 (en) Checking Air Conditioning System Installation
KR100347809B1 (ko) 복수형공기조화기의어드레스설정방법및장치
KR19990043509A (ko) 설치 점검 기능을 가진 멀티 인버터 공조 기기 및 테스트 방법
KR100755315B1 (ko) 멀티에어컨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EP1643193B1 (en) Method of determ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KR20080060757A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 공기조화기 및 그 배관설정방법
KR100379496B1 (ko) 멀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
JP3645784B2 (ja) 多室型空気調和機
JP2001215037A (ja) 空調システムおよびその運転制御方法
KR10165579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88375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시운전 결과 출력방법
JP2014173816A (ja) マルチ型空気調和機
KR100896283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203576B1 (ko) 공기조화기용 테스터 및 그 방법
US7730733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summing capacities of outdoor units in multiple air conditioner
JPH09145129A (ja) 多室型空気調和システムの誤配管・誤配線検出装置
KR20080044081A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 공기조화기 및 그 배관탐색방법
KR20000055135A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 장치 및 방법
JP3089845B2 (ja) 空気調和装置の運転制御装置
JPH11325538A (ja) マルチ形空気調和機の誤配線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