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7203B1 - 자동차의 인터쿨러 후드 자동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인터쿨러 후드 자동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7203B1
KR100377203B1 KR10-2000-0075770A KR20000075770A KR100377203B1 KR 100377203 B1 KR100377203 B1 KR 100377203B1 KR 20000075770 A KR20000075770 A KR 20000075770A KR 100377203 B1 KR100377203 B1 KR 100377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cooler
hood
bonnet
vehicle
air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5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7384A (ko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5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7203B1/ko
Publication of KR20020047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7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7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72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보 인터쿨러(turbo inter-cooler)를 장착한 차량에 있어서 자동차의 본네트에 설치되는 인터쿨러 후드(inter-cooler hood)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자동차의 인터쿨러 후드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터보 인터쿨러를 장착한 차량에 있어서는 본네트에 설치되는 인터쿨러 후드가 항상 개방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동절기 등 외부 기온이 낮을 때에 인터쿨러가 과도하게 냉각되어 배기가스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가변 냉각시 인터쿨러의 경우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들게 되기 때문에 실용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인터쿨러 후드(20)를 리턴스프링(21)으로 탄성지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인터쿨러 후드 회동축(22)에 전동모터(23)를 접속하는 한편, 인터쿨러(24)의 출구측(24b)에 엔진콘트롤유니트(ECU)와 접속되는 온도센서(25)를 설치하여 인터쿨러 출구측(24b) 온도가 일정온도 이하일 때에 전동모터(23)를 작동하여 인터쿨러 후드(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본네트(10)의 외부공기 흡기공(11)을 밀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특히 동절기에 차가운 외부 공기의 유입으로 인하여 인터쿨러(24)가 과도하게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배기가스의 유해성분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대기오염을 저감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동절기에 엔진시동을 건 후에 빠른 시간내에 엔진을 워밍업시킬 수 있게 되어 엔진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며, 차량의 운행을 마친후에 인터쿨러 후드(20)를 닫게 되면 차량의 외관을 개선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본네트(10)의 외부공기 흡기공(11)을 통해 엔진룸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인터쿨러 후드 자동개폐장치 {Device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hood of intercoller}
본 발명은 터보 인터쿨러(turbo inter-cooler)를 장착한 차량에 있어서 자동차의 본네트에 설치되는 인터쿨러 후드(inter-cooler hood)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자동차의 인터쿨러 후드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자동차 외부 기온이 낮을 때에 인터쿨러 후드를 자동으로 닫아줌으로써 인터쿨러가 과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차량의 출력증대 및 환경규제의 요구에 따라 디젤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의 경우에는 터보 인터쿨러장치를 장착하는 추세에 있는 바, 터보 인터쿨러장치를 장착한 차량의 대부분은 본네트(bonnet) 상부로 인터쿨러 후드를 돌출시켜 신선한 외부공기를 공급받아 인터쿨러를 냉각시키게 된다.
그리고 차량이 저속으로 운행되거나 정지한 경우에는 인터쿨러 후드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양이 작은 관계로 강제흡입팬을 설치하여 외부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는 차량도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터보 인터쿨러를 장착한 차량에 있어서는 본네트에 설치되는 인터쿨러 후드가 항상 개방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동절기 등 외부 기온이 낮을 때에 인터쿨러가 과도하게 냉각되어 배기가스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가변 냉각시 인터쿨러의 경우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들게 되기 때문에 실용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외부 기온이 낮을 때에 인터쿨러 후드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배기가스의 유해성분의 배출을 줄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엔진과냉에 따른 엔진수명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인터쿨러 후드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관계하는 자동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구성도
도 4a는 동 실시예의 닫힌 상태의 인터쿨러 후드 종단면도
도 4b는 동 실시예의 열린 상태의 인터쿨러 후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본네트 11 : 외부공기 흡기공
20 : 인터쿨러 후드 21 : 리턴스프링
22 : 후드 회동축 23 : 전동모터
24 : 인터쿨러 24b : 출구측
25 : 온도센서 26 : 플랜지
26a : 하부경사면 27 : 플런저
27a : 상부경사면 28 : 솔레노이드
29 : 가동스위치단자 30 : 고정스위치단자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부공기 흡기공이 마련되는 자동차의 본네트에 인터쿨러 후드를 리턴스프링으로 탄성지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그 일측에 전동모터를 설치하는 한편, 인터쿨러의 출구측에 엔진콘트롤유니트와 접속되는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인터쿨러 출구측 온도가 일정온도 이하일 때에 전동모터를 작동하여 인터쿨러 후드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본네트의 외부공기 흡기공을 밀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에는 본 발명이 관계하는 자동차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서 도 4b까지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발명은 본네트(10)에 외부공기 흡기공(11)이 마련되고, 그 상부에 인터쿨러 후드(20)가 설치되는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인터쿨러 후드(20)를 리턴스프링(21)으로 탄성지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인터쿨러 후드 회동축(22)에 전동모터(23)를 접속하는 한편, 인터쿨러(24)의 출구측(24b)에 엔진콘트롤유니트(ECU)와 접속되는 온도센서(25)를 설치하여 인터쿨러 출구측(24b) 온도가 일정온도 이하일 때에 전동모터(23)를 작동하여 인터쿨러 후드(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본네트(10)의 외부공기 흡기공(11)을 밀폐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인터쿨러 후드(20)의 하단에 하부경사면(26a)을 갖는 플랜지(26)를 마련하고, 본네트 외부공기 흡기공(11)의 하부 일측에 상부경사면(27a)을 갖는 플런저(27)가 출몰가능하게 설치된 솔레노이드(28)를 설치하여 닫힌 상태의 인터쿨러 후드(2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형태를 갖으며, 아울러 인터쿨러 후드(20)의 플랜지(26) 하부에 가동스위치단자(29)를 설치하고, 본네트 외부공기 흡기공(11)의 하부 일측에 고정스위치단자(30)를 설치하여 인터쿨러 후드(20)가 완전히 닫혔을 때에 전동모터(23)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형태를 갖는다.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24a는 인터쿨러 입구측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온도센서(25)를 통해 감지된 인터쿨러 출구측(24b)의 온도가 일정온도이하(예를 들면 40℃이하)인 경우 엔진콘트롤유니트(ECU)에서 전동모터(23)를 작동시켜 인터쿨러 후드(20)를 닫게 되는 것인 바,전동모터(23)가 일방향으로 구동되면 인터쿨러 후드(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본네트(10)의 외부공기 흡기공(11)을 밀폐하게 되며, 인터쿨러 후드(20)가 완전히 하강하게 되면 도 3 및 도 4b와 같이 그의 플랜지(26)에 마련된 가동스위치단자(29)가 고정스위치단자(30)와 접속되어 전동모터(23)의 구동이 정지되는 동시에 플랜지(26)가 솔레노이드(28)의 플런저(27)에 걸리게 되어 인터쿨러 후드(20)가 리턴스프링(21)의 힘으로 다시 열리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인터쿨러 후드(20)가 닫힌 상태에서 자동차가 계속 운행되어 온도센서(25)를 통해 감지된 인터쿨러 출구측(24b)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예를 들면 40℃이하)이 되면 엔진콘트롤유니트(ECU)에서 솔레노이드(28)를 작동시키게 되는 바, 돌출상태의 솔레노이드(28)의 플런저(27)가 당겨지게 되면 리턴스프링(21)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인터쿨러 후드(20)가 도 4a와 같이 열리게 되어 본네트(10)의 외부공기 흡기공(11)이 개방되며, 그에 따라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인터쿨러(24)의 입구측(24a)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인터쿨러 후드(20)가 열린 상태에서는 두 4와 같이 그의 플랜지(26)가 본네트(10)의 외부공기 흡기공(11) 둘레에 지지되는 바, 본 발명에 있어서 인터쿨러 후드(20)의 플랜지(26) 상단면에 고무패드를 설치하게 되면 인터쿨러 후드(20)가 열릴 때에 작동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터쿨러 출구측(24b)의 온도가 낮을때에 본네트(10)에 설치되는 인터쿨러 후드(20)를 닫아 차가운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특히 동절기에 차가운 외부 공기의 유입으로 인하여 인터쿨러(24)가 과도하게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배기가스의 유해성분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대기오염을 저감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동절기에 엔진시동을 건 후에 빠른 시간내에 엔진을 워밍업시킬 수 있게 되어 엔진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며, 차량의 운행을 마친 후에 인터쿨러 후드(20)를 닫게 되면 차량의 외관을 개선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본네트(10)의 외부공기 흡기공(11)을 통해 엔진룸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본네트(10)에 외부공기 흡기공(11)이 마련되고, 그 상부에 인터쿨러 후드(20)가 설치되는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인터쿨러 후드(20)를 리턴스프링(21)으로 탄성지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인터쿨러 후드 회동축(22)에 전동모터(23)를 접속하는 한편, 인터쿨러(24)의 출구측(24b)에 엔진콘트롤유니트(ECU)와 접속되는 온도센서(25)를 설치하여 인터쿨러 출구측(24b) 온도가 일정온도 이하일 때에 전동모터(23)를 작동하여 인터쿨러 후드(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본네트(10)의 외부공기 흡기공(11)을 밀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인터쿨러 후드 자동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인터쿨러 후드(20)의 하단에 하부경사면(26a)을 갖는 플랜지(26)를 마련하고, 본네트 외부공기 흡기공(11)의 하부 일측에 상부경사면(27a)을 갖는 플런저(27)가 출몰가능하게 설치된 솔레노이드(28)를 설치하여 닫힌 상태의 인터쿨러 후드(2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인터쿨러 후드 자동개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인터쿨러 후드(20)의 플랜지(26) 하부에가동스위치단자(29)를 설치하고, 본네트 외부공기 흡기공(11)의 하부 일측에 고정스위치단자(30)를 설치하여 인터쿨러 후드(20)가 완전히 닫혔을 때에 전동모터(23)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인터쿨러 후드 자동개폐장치.
KR10-2000-0075770A 2000-12-13 2000-12-13 자동차의 인터쿨러 후드 자동개폐장치 KR100377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5770A KR100377203B1 (ko) 2000-12-13 2000-12-13 자동차의 인터쿨러 후드 자동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5770A KR100377203B1 (ko) 2000-12-13 2000-12-13 자동차의 인터쿨러 후드 자동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384A KR20020047384A (ko) 2002-06-22
KR100377203B1 true KR100377203B1 (ko) 2003-03-26

Family

ID=27681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5770A KR100377203B1 (ko) 2000-12-13 2000-12-13 자동차의 인터쿨러 후드 자동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72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354B1 (ko) * 2006-12-13 200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엔진의 인터쿨러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384A (ko) 200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449B1 (ko) 차량용 송풍장치의 에어필터 조립체
CA2607664C (en)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carburetor
US20040206083A1 (en)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motor-driven supercharger
KR100377203B1 (ko) 자동차의 인터쿨러 후드 자동개폐장치
US20060027778A1 (en) Pressure pulse communication in an engine intake manifold
CN100469609C (zh) 一种汽车空调内外循环风门机构
US8079216B2 (en) Actuator for automobiles
KR200297983Y1 (ko) 자동차 공조기의 도어구동 구조
US10100708B2 (en) Engine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
CN212313273U (zh) 一种自锁式可变进气格栅结构
KR200358419Y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도어 구조
JPS5923603Y2 (ja) 車室内暖房性能向上装置
CN220465236U (zh) 进气格栅总成和车辆
KR101288466B1 (ko) 차량용 송풍장치
KR20090131321A (ko) 자동차 공기 조화기용 내외기
JPS6010904Y2 (ja) エンジンル−ム換気装置
KR0128865B1 (ko) 버스용 에어콘의 공기 유입장치
CN115027254A (zh) 进气格栅和车辆
JP2008106707A (ja) 内燃機関の吸気加熱装置
JPH0224928Y2 (ko)
JPH0450209B2 (ko)
KR200151505Y1 (ko) 버스의 수동.자동겸용 벤츄레이터
KR100822627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KR20100011517A (ko) 차량용 쓰로틀 바디 유닛
JPH031674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