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7045B1 - 크랭크 앵글센서를 갖춘 배전기 - Google Patents

크랭크 앵글센서를 갖춘 배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7045B1
KR100377045B1 KR10-2000-0057456A KR20000057456A KR100377045B1 KR 100377045 B1 KR100377045 B1 KR 100377045B1 KR 20000057456 A KR20000057456 A KR 20000057456A KR 100377045 B1 KR100377045 B1 KR 100377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tributor
sealing member
angle sens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7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5548A (ko
Inventor
김선경
Original Assignee
발레오만도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만도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발레오만도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7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7045B1/ko
Publication of KR20020025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7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70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9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using means for generating position or synchronisation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랭크 앵글센서를 갖춘 배전기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하우징의 측편으로 형성된 측편 구멍을 상측으로 개방시켜 배전기 유니트의 삽입이 간단하도록 하고, 그 주변의 밀착되는 실링부재와 체결편을 개량하여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수단은 기관과 동기해서 회전하는 회전축이 중앙에 배치되어 회전되는 디스크를 회전각도 센서부에서 감지하여 점화용 고전압을 배전하도록 출력신호를 처리하는 유니트가 하우징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유니트의 상부면에 플레이트가 설치된 배전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 측편 구멍(11)은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하고, 여기에 밀착되는 실링부재(40)는 그 상변부(41)의 폭을 넓게하여 유니트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게 하고, 그 외측에서 고정할 체결편(50)의 상반부(51)가 상기 실링부재(40)를 눌러 고정시키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크랭크 앵글센서를 갖춘 배전기{Distributor equipped with crank angle sensor}
본 발명은 크랭크 앵글센서를 갖춘 배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크랭크 앵글센서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우징과 플레이트의 체결구조를 변경한 크랭크 앵글센서를 갖춘 배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차량용 엔진이나 내연기관에는 엔진의 점화를 위한 이그니션 (Ignition)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이그니션시스템에는 내연기관의 각 실린더 점화순서에 따라 고압의 전압을 인가하는 점화용 배전기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점화용 배전기는 엔진의 시동을 위한 부품중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이며, 그 동작이 예민하기 때문에 조립,설치되는 각 부품들은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어야만 정확한 시기에 실린더에의 고전압이 인가되고 엔진의 시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배전기는 하우징(10)내에 유니트(20)를 베이스판에 고정설치하고, 그 유니트(20)의 중앙 상부에는 로터(60)를 디스크 상에 설치하며 이 디스크를 회전축(61)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점화선이 삽입되는 삽입부와 인서트되는 단자를 가진 캡(30)을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되는 로터와 인서트된 단자들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접촉될 때 상기 고전압이 접촉된 실린더에 고전압을 실린더의 플러그에 공급하도록 하여 엔진의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디스크는 여러개의 설치홈이 형성되어 상기한 부품들이 조립되며 그 상,하의 조립방향이 정확해야만 상기 부품들의 조립이 정확히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전기를 조립하는 공정상에 있어서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배전기 유니트(20)를 조립하되, 이 유니트(20)의 단자 돌출부(21)를 상기 하우징(10)의 측편 구멍(11)으로 돌출되도록 끼우고, 그 측편 구멍(11)의 주변을 실링부재(40)와 체결편(50)으로써 채워 밀폐시키도록 되어 있다.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돌출부(21)를 하우징(10)의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끼워야 하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아울러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하우징의 측편으로 형성된 측편 구멍을 상측으로 개방시켜 배전기 유니트의 삽입이 간단하도록 하고, 그 주변의 밀착되는 실링부재와 체결편을 개량하여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수단은 기관과 동기해서 회전하는 회전축이 중앙에 배치되어 회전되는 디스크를 회전각도 센서부에서 감지하여 점화용 고전압을 배전하도록 출력신호를 처리하는 유니트가 하우징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유니트의 상부면에 플레이트가 설치된 배전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 측편 구멍은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하고, 여기에 밀착되는 실링부재는 그 상변부의 폭을 넓게하여 유니트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게 하고, 그 외측에서 고정할 체결편의 상반부가 상기 실링부재를 눌러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배전기 조립구성을 보인 분해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배전기 조립용 실링부재와 체결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전기 조립구성을 보인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배전기 조립용 실링부재와 체결편의 사시도<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11 : 측편 구멍20 : 유니트21 : 돌출부30 : 캡40 : 실링부재41 : 상변부50 ; 체결편51 : 상반부60 : 로터61 : 샤프트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랭크 앵글센서를 갖춘 배전기의 조립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된 실링부재와 체결편의 사시도이다.배전기는 기관과 동기해서 회전하는 회전축이 중앙에 배치되어 회전되는 디스크를 회전각도 센서부에서 감지하여 점화용 고전압을 배전하도록 출력신호를 처리하는 유니트가 하우징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유니트의 상부면에 플레이트가 설치된다.이때, 상기 하우징(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측편 구멍(11)을 종래와 같이 구멍으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U자 형으로 형성하고, 여기에 밀착되는 실링부재(40)는 그 상변부(41)의 폭을 넓게하여 유니트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게 하고, 그 외측에서 고정할 체결편(50)의 상반부(51)가 상기 실링부재(40)를 눌러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배전기는 하우징(10)의 내부로 유니트(20)를 조립하는데 있어서, 돌출부(21)를 측편구멍(11)으로 끼우는 것이 아니라 돌출부(21)가 개방된 측편구멍(11)의 위치에 일치하도록 올려 놓으면 된다.이후, 다른 부품들과 캡(30)을 조립한 후, 상기한 측편 구멍(11)에는 실링부재(40)와 체결편(50)을 조립한다.이때의 실링부재(40)는 상변부(41)의 폭이 넓기 때문에 상측이 개방된 측면 구멍(11)의 상측변이 없어도 직접 유니트(20)의 측면에 밀착된 채 조립되어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우징의 측편 구멍을 개방하여 유니트의 조립이 용이하게 하고, 그 측편구멍의 실링부재의 상변부를 넓게하여 실링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배전기 유니트의 삽입이 간단하여 조립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기관과 동기해서 회전하는 회전축이 중앙에 배치되어 회전되는 디스크를 회전각도 센서부에서 감지하여 점화용 고전압을 배전하도록 출력신호를 처리하는 유니트가 하우징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유니트의 상부면에 플레이트가 설치된 배전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 측편 구멍(11)은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하고, 여기에 밀착되는 실링부재(40)는 그 상변부(41)의 폭을 넓게하여 유니트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게 하고, 그 외측에서 고정할 체결편(50)의 상반부(51)가 상기 실링부재(40)를 눌러 고정시키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 앵글센서를 갖춘 배전기.
  2. 삭제
KR10-2000-0057456A 2000-09-29 2000-09-29 크랭크 앵글센서를 갖춘 배전기 KR100377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456A KR100377045B1 (ko) 2000-09-29 2000-09-29 크랭크 앵글센서를 갖춘 배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456A KR100377045B1 (ko) 2000-09-29 2000-09-29 크랭크 앵글센서를 갖춘 배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548A KR20020025548A (ko) 2002-04-04
KR100377045B1 true KR100377045B1 (ko) 2003-03-26

Family

ID=19691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7456A KR100377045B1 (ko) 2000-09-29 2000-09-29 크랭크 앵글센서를 갖춘 배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70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548A (ko) 200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5220A (en) Throttle valve opening sensor
KR100377045B1 (ko) 크랭크 앵글센서를 갖춘 배전기
JPH09100771A (ja) コイル及びスパークプラグの組立体
JPS598667B2 (ja) ナイネンキカンヨウデイストリピユ−タ
US20050106928A1 (en) Contact unit
JPH08148235A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JPS63117173A (ja) 回転角度検出装置
JPH0427724A (ja) 回転角度検出装置組立体
GB2065981A (en) Ignition distributor cap
US3833777A (en) Pre-gapped breaker point assemblies
JP2830873B2 (ja) 配電器
KR200187917Y1 (ko) 배전기의 디스크 오조립 방지장치
KR200342845Y1 (ko) 배전기의커버구조
JP2002190368A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KR100196361B1 (ko) 스파크 플러그의 메탈 실
JP2533654B2 (ja) 内燃機関用配電器に用いるシ―ル部材
JP3082742B2 (ja) 配電器
KR950004834Y1 (ko) 로터리스토브의 감지봉 설치구조
KR19980064975U (ko) 자동차용 점화배전기의 센서와 커버의 결합구조
KR20010088398A (ko) 내연기관의 점화플러그 부착구조
JPH09182349A (ja) 開放モータの配線位置切り換え構造
KR19980064964U (ko) 자동차 점화배전기의 로터전극용 서브플레이트
KR100221235B1 (ko) 자동차 실린더용 페이스 센서 하우징
US5345899A (en) Ignition distributor drive
JPS633417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