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6915B1 - 데이터-의존 프리차지 억제 디-타입 플립플롭 - Google Patents

데이터-의존 프리차지 억제 디-타입 플립플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6915B1
KR100376915B1 KR10-2000-0023799A KR20000023799A KR100376915B1 KR 100376915 B1 KR100376915 B1 KR 100376915B1 KR 20000023799 A KR20000023799 A KR 20000023799A KR 100376915 B1 KR100376915 B1 KR 100376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response
clock signal
transistor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3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0565A (ko
Inventor
김수원
채관엽
기훈재
Original Assignee
김 수 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 수 원 filed Critical 김 수 원
Priority to KR10-2000-0023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6915B1/ko
Publication of KR20010100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0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6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69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353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356Bistable circuits
    • H03K3/356104Bistable circuits using 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 H03K3/356165Bistable circuits using 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using additional transistors in the feedback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1Details
    • H03K3/012Modifications of generator to improve response time or to decrease power consumption

Abstract

본 발명은 TSPC D-타입 플립플롭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데이터-의존 프리차지 억제 D-타입 플립플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데이터-의존 프리차지 억제 D-타입 플립플롭은 직렬 접속되고 입력펄스 및 클럭신호 각각에 응답하여 제1 노드에 공급전압을 충전시키는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와; 입력펄스에 응답하여 제1 노드의 충전전압을 방전시키는 제3 트랜지스터와; 입력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2 노드가 프리차징되게 하는 제4 트랜지스터와;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입력펄스가 특정 전압상태인 경우 제2 노드의 프리차징을 억제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클럭신호 제어부와; 직렬 접속되고 제1 노드의 전압상태와 클럭신호 각각에 응답하여 제2 노드의 프리차징 전압을 방전시키는 제5 및 제6 트랜지스터와; 제2 노드의 전압상태에 응답하여 출력라인에 공급전압을 충전시키는 제7 트랜지스터와; 제2 노드의 전압상태에 응답하여 출력라인의 전압을 방전시키는 제8 트랜지스터와; 출력라인과 제8 트랜지스터 사이에 접속되고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출력라인 상에 이전 전압상태가 래치되게 하는 제9 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클럭신호 제어로 입력신호가 로우로 유지될 때에는 내부의 프리차지를 억제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막고 출력의 글리치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데이터-의존 프리차지 억제 디-타입 플립플롭{D-type Flip-flop for Preventing Precharge by Data-dependence}
본 발명은 플립플롭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싱크로너스 디지털 시스템에 쓰이는 TSPC D-타입 플립플롭의 구조를 바꾸어 불필요한 프리차지로 인한 전력소모 및 출력의 글리치를 제거할 수 있는 데이트-의존 프리차지 억제 D-플립플롭에 관한 것이다.
TSPC D-타입 플립플롭은 일반적인 고속 싱크로너스 디지털 시스템에 많이 사용된다. TSPC D-타입 플립플롭은 한 종류만의 클럭이 필요하여 클럭선이 단순해 질 수 있고, 전파 지연이 적은 장점이 있는 반면, 입력이 로우로 변화없이 유지되는 경우에도 내부 노드의 프리차지(Precharge)와 디스차지(Discharge)로 인해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있고 출력에 글리치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TSPC D-타입 플립플롭의 기본구조를 나타내는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TSPC D-타입 플립플롭은 입력신호(D)를 게이트로 입력하는 제1 PMOS 및 NMOS 트랜지스터(MP0, MN0)와, 클럭신호(CLK)를 게이트로 입력하며 제1 PMOS 및 NMOS 트랜지스터(MP0, MN0) 사이에 접속된 제2 PMOS 트랜지스터(MP1)와, 제2 PMOS 트랜지스터(MP1)와 제1 NMOS 트랜지스터(MN0) 사이의 제1 노드(A)에 게이트가 접속된 제2 NMOS 트랜지스터(MN1)와, 클럭신호(CLK)를 게이트로 입력하며 제2 NMOS 트랜지스터(MN1)의 소오스 및 드레인에 각각 접속된 제3 PMOS 및 NMOS 트랜지스터(MP2, MN2)와, 제3 PMOS 트랜지스터(MP2)와 제2 NMOS 트랜지스터(MN1) 사이의 제2 노드(B)에 게이트가 접속되어진 제4 PMOS 트랜지스터(MP3) 및 제5 NMOS 트랜지스터(MN4)와, 클럭신호(CLK)를 게이트로 입력하며 제4 PMOS 트랜지스터(MP3) 및 제5 NMOS 트랜지스터(MN4) 사이에 접속된 제4 NMOS 트랜지스터(MN3)를 구비한다.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TSPC D-타입 플립플롭은 도 2에 도시된 구동파형과 같이 구동하게 된다. 우선 TSPC D-타입 플립플롭은 크게 클럭신호(CLK)이 로우(low)인 경우와 로우에서 하이(high)로 천이하는 경우의 두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첫 번째로 클럭신호(CLK)가 로우인 경우 입력신호(D)가 로우이면 제1 및 제2 PMOS 트랜지스터(MP0, MP1)가 턴-온되고 제1 NMOS 트랜지스터(MN0)가 턴-오프되어 제2 PMOS 트랜지스터(MP1)의 드레인에 접속되는 제1 노드(A)는 하이상태가 된다. 반면에, 클럭신호(CLK)가 로우인 경우 입력신호(D)가 하이이면 제1 노드(A)는 상기와 반대로 로우상태가 된다. 이 경우, 제2 NMOS 트랜지스터(MN1)는 턴-오프되고 제3 PMOS 트랜지스터(MP2)는 입력 클럭신호(CLK)에 의해 턴-온되어 제3 PMOS 트랜지스터(MP2)의 드레인에 접속된 제2 노드(B)는 하이상태로 프리차지된다. 이렇게 제2 노드(B)가 프리차지 되면 출력단자(Qb)는 이전의 출력값을 래치(latch)하는 상태에 있게 되어 이전 출력값을 유지한다.두 번째로 클럭신호(CLK)가 로우에서 하이로 천이하면 제1 노드(A)의 값이 로우인지 하이인지에 따라 제2 노드(B)는 프리차지된 하이가 그대로 유지되거나 로우로 방전될지가 결정된다. 결과적으로, 제2 노드(B)의 상태가 하이인지 로우인지에 따라 출력단자(Qb)는 로우 또는 하이로 결정된다.
이러한 종래의 TSPC D-타입 플립플롭은 입력신호(D)가 로우로 변화없이 유지되는 경우 제1 노드(A)는 항상 하이상태로 유지된다. 이 경우 클럭신호(CLK)가 로우상태가 되면 제2 노드(B)는 하이상태로 프리차지(Precharge) 되고, 클럭신호(CLK)가 로우에서 하이로 천이하는 순간 제2 노드(B)는 로우로 디스차지(Discharge) 된다. 이 과정에서 제2 노드(B)가 플립플롭의 동작과는 상관없이 프리차지된 후 디스차지 되어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제2 노드(B)가 로우로 디스차지 되는 과정에서 출력단자(Qb)가 하이로 유지되지 못하고 글리치(glitch)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글리치가 있는 출력은 다른 회로에 인가될 경우에 그 회로의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럭신호를 제어하여 입력이 로우로 유지되는 경우 내부 노드의 프리차지를 막아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막고 출력의 글리치를 제거할 수 있는 데이터-의존 프리차지 억제 D-플립플롭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TSPC D-타입 플립플롭의 회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TSPC D-타입 플립플롭의 구동파형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의존 프리차지 억제 D-타입 플립플롭에 포함되는 클럭 제어회로의 회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의존 프리차지 억제 D-타입 플립플롭의 회로도.
도 4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데이터-의존 프리차지 억제 D-타입 플립플롭의 구동파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MP0, MP1, MP2, MP3, MP4 : PMOS 트랜지스터
MN1, MN1, MN2, MN3, MN4 : NMOS 트랜지스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존 프리차지 억제 D-타입 플립플롭은 직렬 접속되고 입력펄스 및 클럭신호 각각에 응답하여 제1 노드에 공급전압을 충전시키는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와; 상기 입력펄스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노드의 충전전압을 방전시키는 제3 트랜지스터와; 입력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2 노드가 프리차징되게 하는 제4 트랜지스터와; 상기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펄스가 특정 전압상태인 경우 상기 제2 노드의 프리차징을 억제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클럭신호 제어부와; 직렬 접속되고 상기 제1 노드의 전압상태와 상기 클럭신호 각각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노드의 프리차징 전압을 방전시키는 제5 및 제6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노드의 전압상태에 응답하여 출력라인에 공급전압을 충전시키는 제7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노드의 전압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라인의 전압을 방전시키는 제8 트랜지스터와; 상기 출력라인과 상기 제8 트랜지스터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라인 상에 이전 전압상태가 래치되게 하는 제9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3a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의존 프리차지 억제 TSPC D-타입 플립플롭의 클럭제어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클럭제어회로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의존 프리차지 억제 TSPC D-타입 플립플롭의 클럭제어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클럭제어회로는 입력신호(D)가 로우상태인 경우 도 3b에 도시된 제2 노드(B)의 프리차지를 억제하기 위한 제어신호(CK)를 생성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클럭제어회로는 입력신호(D)를 제어단자로 입력하고 도 3b에 도시된 제1 노드(A)가 제어단자에 접속되어 입력 클럭신호(CLK)를 전송하기 위한 CMOS 트랜지스터와, 입력신호(D)에 따라 CMOS 트랜지스터의 출력단을 제어하기 위한 P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CMOS 트랜지스터는 입력신호(D)를 제어단자로 입력하는 NMOS 트랜지스터와 제1 노드(A)에 제어단자가 접속되어진 PMOS 트랜지스터 쌍으로 구성되어 문턱전압 없이 입력 클럭신호(CLK)를 그대로 출력단으로 전송되게 한다. PMOS 트랜지스터는 입력신호(D)가 하이상태일 때 턴-오프되어 CMOS 트랜지스터를 경유하여 클럭신호(CLK)가 제어신호(CK)로 출력되게 하고, 입력신호(D)가 로우상태일 때 턴-온되어 하이상태의 제어신호(CK)가 출력되게 한다. 이에 따라, 클럭제어회로는 입력신호(D)가 로우상태일 때 도 3b에 도시된 제3 PMOS 트랜지스터(MP3)가 턴-오프되게 하여 제2 노드(B)가 불필요하게 프리차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b의 D-타입 플립플롭은 입력신호(D)를 게이트로 입력하는 제1 PMOS 및 NMOS 트랜지스터(MP0, MN0)와, 클럭신호(CLK)를 게이트로 입력하며 제1 PMOS 및 NMOS 트랜지스터(MP0, MN0) 사이에 접속된 제2 PMOS 트랜지스터(MP1)와, 제2 PMOS 트랜지스터(MP1)와 제1 NMOS 트랜지스터(MN0) 사이의 제1 노드(A)에 게이트가 접속된 제2 NMOS 트랜지스터(MN1)와, 상기 클럭제어회로부터의 제어신호(CK)를 게이트로 입력하며 제2 NMOS 트랜지스터(MN1)의 소오스에 접속된 제3 PMOS 트랜지스터(MP2)와, 클럭신호를 게이트로 입력하며 제2 NMOS 트랜지스터(MN1)의 드레인에 접속된 제3 NMOS 트랜지스터(MN2)와, 제3 PMOS 트랜지스터(MP2)와 제2 NMOS 트랜지스터(MN1) 사이의 제2 노드(B)에 게이트가 접속되어진 제4 PMOS 트랜지스터(MP3) 및 제5 NMOS 트랜지스터(MN4)와, 클럭신호(CLK)를 게이트로 입력하며 제4 PMOS 트랜지스터(MP3) 및 제5 NMOS 트랜지스터(MN4) 사이에 접속된 제4 NMOS 트랜지스터(MN3)와, 제4 PMOS 트랜지스터(MP3)의 출력단(Qb)에 게이트가 접속되고, 상기 제2 노드(B)에 드레인이 접속되고 제4 PMOS 트랜지스터(MP3)와 제4 NMOS 트랜지스터(MN3) 사이의 노드로부터 도출된 출력단자에 게이트가 접속되어진 제5 PMOS 트랜지스터(MP4)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D-타입 플립플롭은 도 4에 도시된 구동파형과 같이 구동하게 된다. 데이터-의존 프리차지 억제 D-타입 플립플롭은 크게 입력신호(D)가 하이상태인 경우와 입력신호(D)가 로우상태인 2가지의 경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첫 번째로 입력신호(D)가 하이상태이면 제1 PMOS 트랜지스터(MP0)가 턴-오프되고 제1 NMOS 트랜지스터(MN0)가 턴-온되어 제1 노드(A)의 값은 로우가 되므로 도 3a에 도시된 클럭제어회로부터의 제어신호(CK)는 입력 클럭신호(CLK)와 동일하게 된다. 이렇게 클럭신호(CLK)와 같은 제어신호(CK)는 제3 PMOS 트랜지스터(MP2)의 게이트에 그대로 인가된다. 이 경우, 데이터-의존 프리차지 억제 D-타입 플립플롭이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TSPC D-타입 플립플롭과 동일하게 동작한다.두 번째로 입력신호(D)가 로우상태가 되면 클럭제어회로부터의 제어신호(CK)는 하이상태가 되므로 도 3b에 도시된 제3 PMOS 트랜지스터(MP2)는 턴-오프되어 클럭신호(CLK)가 로우가 되더라도 제2 노드(B)의 프리차지가 억제된다. 그러므로 입력신호(D)가 로우인 경우는 제2 노드(B)의 프리차지가 억제되어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제거된다. 또한, 이와 함께 입력신호(D)가 로우로 유지되는 경우 발생했던 제2 노드(B)의 불필요한 프리차지로 인한 출력단(Qb)의 글리치도 함께 제거될 수 있다. 클럭신호(CLK)가 로우인 경우 입력신호(D)가 하이이면 제1 노드(A)는 상기와 반대로 로우상태가 된다. 이 경우, 제2 NMOS 트랜지스터(MN1)가 턴-오프되고 제3 PMOS 트랜지스터(MP2)가 입력 클럭신호(CLK)에 의해 턴-온되어 그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제2 노드(B)는 하이상태로 프리차지된다. 이렇게 제2 노드(B)가 프리차지 되면 출력단자(Qb)는 이전의 출력값을 래치(latch)하는 상태에 있게 되어 이전 출력값을 유지한다. 두 번째로 클럭신호(CLK)가 로우에서 하이로 천이하면 제1 노드(A)의 값이 로우인지 하이인지에 따라 제2 노드(B)는 프리차지된 하이가 그대로 유지되거나 로우로 방전될지가 결정된다. 결과적으로, 제2 노드(B)의 상태가 하이인지 로우인지에 따라 출력단자(Qb)는 로우 또는 하이로 결정된다. 그리고, 클럭신호(CLK)가 로우상태인 경우 입력신호(D)가 로우상태에서 하이상태로 바뀌게 되면 제1 노드(A)가 하이상태에서 로우상태로 바뀌게 된다. 이에 따라, 하이상태로 프리차지되었던 제2 노드(B) 전하가 제2 NMOS 트랜지스터(MN1)의 드레인에 접속된 제3 노드(X)와 전하가 공유되는 문제가 발생하게된다. 이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PMOS 트랜지스터(MP4)를 더 구비하여 전하공유 문제를 보상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존 프리차지 억제 D-타입 플립플롭은 클럭제어회로를 부가하여 입력신호가 로우로 유지되는 경우 프리차지를 억제하여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고 출력의 글리치를 제거할 수 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3)

  1. 직렬 접속되고 입력펄스 및 클럭신호 각각에 응답하여 제1 노드에 공급전압을 충전시키는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와;
    상기 입력펄스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노드의 충전전압을 방전시키는 제3 트랜지스터와;
    입력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2 노드가 프리차징되게 하는 제4 트랜지스터와;
    상기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펄스가 특정 전압상태인 경우 상기 제2 노드의 프리차징을 억제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클럭신호 제어부와:
    직렬 접속되고 상기 제1 노드의 전압상태와 상기 클럭신호 각각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노드의 프리차징 전압을 방전시키는 제5 및 제6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노드의 전압상태에 응답하여 출력라인에 공급전압을 충전시키는 제7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노드의 전압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라인의 전압을 방전시키는 제8 트랜지스터와;
    상기 출력라인과 상기 제8 트랜지스터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라인 상에 이전 전압상태가 래치되게 하는 제9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의존 프리차지 억제 D-타입 플립플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신호 제어부는
    상기 입력펄스가 제1 전압상태인 경우 상기 클럭신호를 상기 제어신호로 출력하고, 상기 입력펄스가 제2 전압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특정 전압상태가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의존 프리차지 억제 D-타입 플립플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라인의 전압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노드가 제1 전압상태에서 제2 전압상태로 천이하는 경우 상기 제2 노드의 프리차징된 전하가 상기 제5 및 제6 트랜지스터 사이의 노드와 공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0 트랜지스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의존 프리차지 억제 D-타입 플립플롭.
KR10-2000-0023799A 2000-05-03 2000-05-03 데이터-의존 프리차지 억제 디-타입 플립플롭 KR100376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799A KR100376915B1 (ko) 2000-05-03 2000-05-03 데이터-의존 프리차지 억제 디-타입 플립플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799A KR100376915B1 (ko) 2000-05-03 2000-05-03 데이터-의존 프리차지 억제 디-타입 플립플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565A KR20010100565A (ko) 2001-11-14
KR100376915B1 true KR100376915B1 (ko) 2003-03-19

Family

ID=45787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799A KR100376915B1 (ko) 2000-05-03 2000-05-03 데이터-의존 프리차지 억제 디-타입 플립플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69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7992B2 (en) 2015-03-25 2017-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US10396761B2 (en) 2016-11-23 2019-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ip-flop
US10651828B2 (en) 2016-10-31 2020-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ip-flop and semiconductor system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360B1 (ko) * 2005-11-03 2007-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로직 프로세싱 회로, 그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그것을 포함한 시스템-온 칩, 그것을 포함한 시스템, 그리고 클록 신호 게이팅 방법
KR100667041B1 (ko) * 2006-02-20 2007-01-1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립플롭
CN105356862B (zh) * 2015-12-01 2018-11-09 硅谷数模半导体(北京)有限公司 动态触发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7992B2 (en) 2015-03-25 2017-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US10651828B2 (en) 2016-10-31 2020-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ip-flop and semiconductor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0396761B2 (en) 2016-11-23 2019-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ip-flop
US10911032B2 (en) 2016-11-23 2021-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ip-flo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565A (ko) 2001-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9787B1 (ko) 슬립 모드에서 데이터 보존이 가능한 mtcmos플립플롭 회로
US5189315A (en) High-speed flip flop circuit with master latching circuit free from influence of slave latching circuit
US6501306B1 (en) Data output circuit for semiconductor device with level shifter and method for outputting data using the same
US7405606B2 (en) D flip-flop
US6211704B1 (en) Asynchronous sensing differential logic (ASDL) circuit
KR100425474B1 (ko) 감소된 프리차지 레벨을 적용하는 데이터 출력방법과데이터 출력회로
US5867049A (en) Zero setup time flip flop
KR100246194B1 (ko) 고속동작 디 플립플롭
KR100472836B1 (ko) 고속 샘플링 수신기
KR100376915B1 (ko) 데이터-의존 프리차지 억제 디-타입 플립플롭
US8063685B1 (en) Pulsed flip-flop circuit
KR20010054850A (ko) 고속 다이나믹 래치
US11271549B2 (en) Semiconductor device for controlling voltage at an input node of a circuit during a low power mode
US107069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level-shifter and memory clock
KR100376914B1 (ko) 이중 프리차지 디-타입 플립플롭
KR100609484B1 (ko) 저전력 소모의 플립플롭
US6404253B1 (en) High speed, low setup time voltage sensing flip-flop
KR100699448B1 (ko) 고신뢰성 저누설 다중 문턱 cmos 래치 회로 및플립플롭
KR101231237B1 (ko) 디 플립플롭
US6825694B2 (en) Flip-flop circuit for use in electronic devices
KR20070000177A (ko) 저전력 플립플롭 장치
US10566959B1 (en) Sense amplifier flip-flop and method for fixing setup time violations in an integrated circuit
KR100308130B1 (ko) 데이터 트랜스퍼 회로
KR20040043733A (ko) 레벨 쉬프터
KR0131164B1 (ko) 주/종속 플립-플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