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5904B1 - 카보네이트기와우레탄기를갖는3급아민 - Google Patents

카보네이트기와우레탄기를갖는3급아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5904B1
KR100375904B1 KR1019950024394A KR19950024394A KR100375904B1 KR 100375904 B1 KR100375904 B1 KR 100375904B1 KR 1019950024394 A KR1019950024394 A KR 1019950024394A KR 19950024394 A KR19950024394 A KR 19950024394A KR 100375904 B1 KR100375904 B1 KR 100375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groups
carbonate
tertiary
carboxyl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4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533A (ko
Inventor
클라우스쾨니히
울리히리만
요셉산데르스
Original Assignee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960007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9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1/00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11/01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11/02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 C07C211/03Monoamines
    • C07C211/05Mono-, di- or tri-ethyla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18Catalysts containing secondary or tertiary amines or salts thereof
    • C08G18/1841Catalysts containing secondary or tertiary amines or salts thereof having carbonyl groups which may be linked to one or more nitrogen or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1/00Derivatives of carbamic acid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1/06Esters of carbamic acids
    • C07C271/08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1/10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1/20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to carbon atoms of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01/00Manufacture of cellular produ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서 a) 다가 알콜과 b) 1급-3급 디아민을 선택적으로 환식 카보네이트, 우레아, 포스겐 및 성분 a)로 사용된 것들과 동일한 종류의 알콜의 비스-클로로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카본산 유도체 c)와 반응시켜, 카보네이트기와 우레탄기 및 선택적으로는 히드록실기를 갖는 3급 아민을 제조하였다. 이 반응은 1단계 또는 2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제조된 3급 아민은, 폴리우레탄 프라스틱의 제조를 위한 이소시아네이트 중부가 반응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물질내로 선택적으로 혼입될 수 있는 촉매로서 유용하다. 이들 3급 아민은 발포체로 배면 보강된 플라스틱 필름의 제조에 특히 유용하다.

Description

카보네이트기와 우레탄기를 갖는 3급 아민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플라스틱의 제조시 특히, 복합재료의 제조시 촉매로서 유용한, 카보네이트기와 우레탄기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히드록실기를 갖는 신규한 3급 아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독일연방공화국 특허출원 공개(DE-OS) 제4,030,515호는 고리계 카보네이트(예, 에틸렌 카보네이트 또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를, 1급 및 3급 아미노기 모두를 갖고 있는 아민과 반응시켜 3급 아미노기를 갖는 우레탄을 제조하는 방법과, 이들 우레탄을 폴리우레탄 제조용 촉매로 사용하는 용도를 기재하고 있다. 제조된 우레탄은 촉매로서 활성을 가지며, 폴리우레탄 매트릭스 내로 이들 우레탄이 혼입될 수 있도록 하여주는 히드록실기를 갖는다. 그러나, 후속된 조사에 의해서 밝혀진 바와 같이, 이들 우레탄이 완전하게 혼입되는 것이 항상 보장되지 아니하거나, 또는 다중 부가 반응의 초기에는 완전 혼입이 미처 일어나지 못한다. 촉매 기능을 갖는 이들 우레탄과 다른 혼입될 수 있는 기타 촉매들(예, 알콕시화된 아민)은 그 분자량이 작기 때문에, 주변 대기로 방출되어 버리거나 소위 "흐림(fogging) 현상"을 일으키는데 일조하게 된다. 또한, 이들 촉매가 복합체(예, 플라스틱 필름을 포옴 백킹(foam-backing)에 의해)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촉매가 커버(cover) 물질속으로 확산될 위험이 있고, 태양광 및 열의 영향을 받게 되면 커버 물질에 손상을 입힌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보네이트기와 우레탄기 모두를 갖는 신규한 3급 아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폴리우레탄 제조 용도의 새로운 3급 아민 촉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들 촉매에 의해 제조된 발포체로부터 확산되어 빠져 나가는 경향이 적은 3급 아민 촉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레탄기와 카보네이트기를 함유한 3급 아민 촉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레탄기와 카보네이트기를 함유하는 3급 아민이 촉매로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게는 자명할 이들 및 기타 다른 목적들은, 특정 화학식에 해당하는 폴리올과 특정 화학식에 해당하는 아민을 특정군으로부터 선택된 카본산 유도체와 반응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이들 물질은, 폴리올 유래의 히드록실기와 아민의 1급 아미노기와의 몰비가 약 4:1 내지 약 16:1이 되도록 하는 양으로 반응시킨다. 카본산 유도체는 카본산 유도체 0.5몰에 폴리올 유래의 히드록실 1몰당 카본산 유도체 약 0.2 내지 약 0.5몰을 더한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카보네이트기와 우레탄기를 가지며, 임의로 히드록실기를 갖는 3급 아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a) 하기 화학식 I로 나타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다가 알콜로 이루어진 폴리올 성분과
b) 하기 화학식 II로 나타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1급-3급 디아민을 갖는 아민 성분을,
c) 1) 하기 화학식 III에 해당하는 카보네이트
2) 우레아
3) 포스겐, 및
4) 화학식(I)의 폴리올의 비스-클로로카보네이트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카본산 유도체와,
1 또는 2단계로 반응시켜 카보네이트와 우레탄기를 생성시킨다. 이들 반응물은, 성분 a)와 b)의 비율이 히드록실기 대 1급 아미노기의 몰 비율이 약 4:1 내지 약 16:1에 해당하게 되는 양으로 사용된다. 카본산 유도체 c)는, 아민 b) 1몰당 카본 산 유도체 c) 0.5몰에, 폴리올 a)의 히드록실기 1 몰당 카본산 유도체 약 0.2내지 약 0.5몰을 더한 양으로 사용된다.
상기의 식 (I), (II) 그리고 (III)에서, Q, A, R1, R2, R3및 n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Q는 임의로 에테르기를 가지며 분자량 범위가 약 90 내지 약 400인 n가 지방족 알콜에서 n-히드록실기를 제거하여 얻어지는 잔기를 나타내고,
n은 2 또는 3을 나타내며,
A는 식(II)에 나타나는 질소 원자간에 적어도 2개의 탄소 원자가 존재하는 탄소수 2 내지 6의 2가 지방족 탄화수소 잔기를 나타내고,
R1과 R2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잔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질소 원자, 임의로 헤테로 원자와 함께 카본산 유도체 c)에 대하여 불활성인 포화된 복소환식 5 내지 6원 고리를 형성하며
R3는 각각 페닐 잔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잔기를 나타내거나,
함께하여 탄소수 2 또는 3의 알킬렌 잔기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카보네이트기와 우레탄기 및 임의로 히드록실기를 갖는 3급 아민, 및 이소시아네이트 중부가 방법에 의한 폴리우레탄 플라스틱 제조(특히, 플라스틱 필름과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형성하는 반응 혼합물의 포옴-백킹에 의한 복합체의 제조)에서 촉매로서의 이들 3급 아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제품은 일반적으로 약 5 내지 약 30 중량%의 카보네이트기 함량(CO3로서 계산됨, 분자량=60), 약 5 내지 약 20 중량%의 우레탄기 함량(CHNO2로서 계산됨, 분자량=59), 약 0 내지 약 10 중량%의 알콜계 히드록실기 함량 및 약 1 내지 약 5 중량%의 3급 아미노기 함량(N로서 계산됨, 원자량=14)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출발 물질은 a) 2가 또는 3가 폴리올, b) 1급 - 3급 디아민 및 c)카본산 유도체들이다.
폴리올 성분 a)는 화학식(I)로 나타내어지는 1종 이상의 폴리올이다. 성분 a)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폴리올의 예에는, (i) 임의로 에테르기를 가지며 약 90 내지 약 400, 바람직하게는 약 106 내지 약 250의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지방족 디올, (ii) 임의로 에테르기를 가지며 약 120 내지 약 400, 바람직하게는 약 134 내지 약 400의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지방족 트리올, (iii) 2가와 3가 알코올 (i)과 (ii)의 임의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적절한 2가 알콜 (i)의 구체적인 예에는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2,2,4-트리메틸-1,6-헥산디올; 헵탄디올의 이성질체들; 옥탄디올의 이성질체들; 노난디올의 이성질체들; 데칸디올의 이성질체들; 그러한 알콜들과 약 90 내지 약 400의 분자량을 갖는 에틸렌 글리콜,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에 에틸렌 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부가시킨 공지의 제품들이 포함된다. 디, 트리, 그리고 테트라-에틸렌 글리콜과 디, 트리 그리고 테트라 프로필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분을 통하여, 최종 제품들의 물 또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내에서의 용해성이나 친수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적절한 3가 폴리올 (ii)의 예에는 트리메틸롤에탄, 트리메틸롤프로판 및 약 90 내지 약 400의 분자량을 갖는 그러한 트리올에 에틸렌 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부가시킨 공지의 제품들이 포함된다.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분을 통하여 최종 제품들의 물 또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내에서의 용해성 또는 친수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바람직한 다가 알콜 (ii)은 트리메틸롤프로판이다.
적절한 1급-3급 아민 b)는 화학식(II)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것들이다.
A가 2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알킬렌 잔기를 나타내고 R1과 R2가 메틸기를 나타내는 아민들이 특히 바람직하다.
1급-3급 디아민은 하나만 보호된(mono-protected) 이중 1급 아민(diprimaryamines)(예, 아미노알킬 프탈이미드)의 알킬화 및 후속되는 가수분해 또는 히드라진분해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민, 디프로필아민, 피페리딘 또는 모르폴린과 같은 2급 아민에 아지리딘 또는 아크릴로니트릴을 부가한 후, 시아노에틸화 아민을 수소화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적절한 1급-3급 아민의 구체적인 예에는 1-(디메틸아미노)-3-아미노프로판, 1-(디에틸아미노)-3-아미노프로판, 1-(디-n-프로필아미노)-3-아미노프로판, 1-(디메틸아미노)-2-메틸-3-아미노프로판, 1-(디메틸아미노)-4-아미노-부탄, 1-(디메틸아미노)-5-아미노-펜탄, N-(2-아미노에틸)모르폴린, N-(3-아미노프로필)모르폴린, N-(2-아미노에틸)피페리딘 및 N-(3-아미노-프로필)피페리딘이 포함된다. 열거된 아민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1-(디메틸아미노)-3-아미노프로판이 바람직하다.
카본산 유도체 c)는 알콜과 반응하여 카보네이트를 형성하거나 알콜 및 1급 아민과 반응하여 우레탄을 형성하는 화합물이다. 적절한 카본산 유도체는, 임의로 화학식(III)으로 나타내어지는 고리계 카보네이트, 우레아, 포스겐, 화학식(I)로 나타내어지는 폴리올의 비스-클로로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들이다. 성분 a)로 사용된 폴리올과, 화학식 (I)로 나타내어지며 비스-클로로카보네트로 형성되는 폴리올이 서로 동일한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임의로 화학식 (III)에 해당하는 고리계 카보네이트가 카본산 유도체 c)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III)에 해당하는 적합한 카보네이트이 특정 예로는 디메틸, 디에틸, 디-n-프로필, 디-n-부틸, 디페닐, 에틸렌 및 프로필렌 카보네이트가있다. 디페닐 카보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함에 있어서, 반응물들은, 1급 아미노기에 대한 히드록실기의 몰비율이 약 4:1 내지 약 16:1이고, 1급-3급 아민 1 몰에 대해 약 0.5몰의 카본산 유도체가 존재하며, 폴리올 a)의 히드록실기 1 몰에 대해 약 0.2 내지 약 0.5 몰의 카본산 유도체가 존재하게 되는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1단계 또는 2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방법은, 아민 성분 b)를 가하기 전에 폴리히드록시 화합물 a)와 카본산 유도체 c)를 (임의로는, 약 50 내지 80℃에서 용융시킨 이후에) 교반하여 균질화시킴으로써 1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그 후 물-제트 진공을 가하고, 카본산 유도체 출발 물질의 히드록실기 성분의 증류가 시작될 때까지 온도를 약 110 내지 140℃로 상승시킨다. 증류 속도에 따라서, 내부 온도는 최종적으로 최고 200℃에 이르기까지 서서히 상승 시키며 증류가 완료될 때까지 그대로 유지한다. 고 진공을 가하거나, 소량의 에틸렌글리콜, 물 또는 증기를 가하는 공비 증류를 통하여 휘발성 성분의 최종 잔류량은 제거될 수도 있다.
이러한 1단계 방법에 있어서, 폴리올 성분 a)의 각 당량의 히드록실기와 아민b)의 1 몰에 대하여 최대 0.5 몰의 카본산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카보네이트가 사용된다. 카본산 유도체 c)의 당량과 아민 성분 b)와 히드록실기 성분 a)를 합한 총량이 사용되는 때에는, 반응 종말점을 향하여 축합 반응이 보다 더 느리게 진행되기 때문에 카본산 유도체를 부족량으로(히드록실기 화합물과 아민 성분의 양을 기준으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원칙적으로는 상기에서 특정하였던 범위 내의 카보네이트기, 우레탄기, 히드록실기 및 3급 아미노기 함량을 갖는 반응 생성물이 얻어지도록 출발 물질의 비율이 선택되도록 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일어나는 반응은 용매를 사용하지 아니한 채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어떤 경우들에 있어서는 용매가 유용하거나 필요할 수도 있다(예, 용해도가 매우 낮은 출발 물질을 사용할 때). 이러한 경우들에서는, 반응 성분들과는 반응하지 아니하면서 사용된 카본산 유도체의 히드록실기 성분의 비등점보다 낮은 비등점을 갖는 용매가 증류에 의해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톨루엔 또는 크실렌과 같은 탄화수소; 클로로벤젠 또는 디클로로벤젠과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 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디페닐 에테르 및 디옥산과 같은 에테르;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과 같은 아미드가 적당한 용매의 예들이다. 어떤 경우에는, 디부틸틴 옥사이드 또는 테트라부틸 티타네이트와 같은 알칼리-염기 또는 전이 금속 화합물과 같은 촉매를 첨가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추가적인 촉매가 사용되지 아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을 2 단계로 진행할 때는, 제1 단계에서 임의의 공지 방법으로 폴리올 성분 a)와 카본산 유도체 c)로부터 우선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한다. 성분 a)의 히드록실기의 카본산 유도체 c)에 대한 몰 비율을 약 2:1 내지 약 3:1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카보네이트기의 가아민분해 반응의 의미에서 폴리 카보네이트를 아민 b)와 반응시킨다.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다가 알콜과 디아릴 카보네이트의 반응은 예를 들면,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공개제2,555,805호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디알킬 카보네이트와의 유사한 반응(독일연방공화국 특허 공개 제2,555,805호), 고리계 카보네이트 또는 디옥솔라논과의 반응(독일연방 공화국 특허 공개 제1,915,908호), 포스겐과의 반응(독일연방공화국 제1,595,446호, 비스-클로로-카보네이트와의 반응(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제857,948호), 우레아와의 반응(피.볼.에이치. 푸일만과 더블유. 하이츠 (P. Ball, H. Fuillmann and W. Heitz), Angew. Chem. 92(1980), part 9, 742, 743 페이지)이 공지되어 있다. 폴리카보네이트의 분자량 Mn은 아민 성분 b)와의 반응에 사용될 수 있기에 충분한 카보네이트기를 가질 수 있도록 가능한 한 커야 한다. 1,000 내지 4,000의 평균 분자량 Mn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이렇게 얻어진 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아민 성분 b)와 반응시킨다. 아민 성분 b)의 양은 카보네이트기 1 몰당 약 0.2 내지 약 0.5 몰의 아민 성분 b)가 사용될 수 있도록 계산한다. 폴리카보네이트/아민 반응은 용융된 상태 또는 실온 상태 또는 약 60 내지 약 80℃로 상승된 온도 상태에 있는 폴리카보네이트에 아민 성분 b)를 교반하면서 첨가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그 후, 아민 성분의 1급 아미노기가 반응될 때까지 80 내지 120℃에서 교반을 계속할 수 있다. 1급 아미노기의 반응 정도는 예를 들면, HCl 또는 과염소산으로 적정함으로써 쉽게 측정된다.
본 발명의 방법의 2단계 실시 태양의 제2 단계는 용매를 사용치 아니하고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는 용매가 유용하거나 심지어는 필수적이기까지 하다(예, 용해성이 매우 낮은 출발 물질이 사용되는 경우). 용매가 사용될 때는, 반응 성분과 반응하지 아니하는 용매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는 1단계 방법에 적절한 것으로 상기에서 열거한 바 있는 용매들이 본 발명의 2단계 실시 태양에 적절한 용매들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방법의 2단계 실시 태양에 사용되는 출발 물질의 양과 형태는, 3급 아민 생성물이 약 5 내지 약 30 중량%의 카보네이트기 함량, 약 5 내지 약 20 중량%의 우레탄기 함량, 약 1 내지 약 5중량%의 3급 아미노기 함량 및 약 0내지 약 10 중량%의 히드록실기 함량을 갖게 되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3급 아민은 대부분 냄새가 없다. 출발 물질, 특히 히드록실기 성분 a)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폴리우레탄 화학 기술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뛰어난 상용성을 보여주는 제품이 얻어진다. 따라서, 이들 3급 아민들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출발 물질로부터의 폴리우레탄의 제조 특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를 위한 촉매 또는 활성화제로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3급 아민은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발포체 형성 반응 혼합물 총량을 기준으로 약 1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발포체 형성 혼합물에 첨가된다. 이들 3급 아민은 일반적으로,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한 반응물로서 통상적인 폴리히드록시 성분(특히, 폴리에테르 폴리올) 이외에 및 임의로, 혼입된 물 이외에 보조제로 사용된다.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3급 아민 화합물의 양은 반응 혼합물 내에 약 0.01 내지 약 1 중량%의 3급 질소 원자가 존재하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아미노 화합물은 발포체 형성 반응 혼합물을 플라스틱 필름에 가하고, 이 혼합물이 반응하여 플라스틱 필름의발포 배면재를 형성하도록 하는 복합체 생산의 촉매로서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3급 아민은 또한, 계면 활성제(아민 형태로 또는 그들의 암모늄 염의 형태로), 유화제 또는 안정화제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이렇게 설명하였는 바, 다음에 실시예들을 그들의 예시로써 기재한다. 이들 실시예에서 나타낸 모든 백분율은 중량 백분율이다.
[실시예]
출발 물질의 제조:
폴리카보네이트 A: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3,686 g(19.2 몰), 트리메틸롤프로판 858 g(6.4 몰), 디페닐 카보네이트 4,794 g(22.4 몰) 및 디부틸틴 옥사이드 2 g을 12 mbar에서 180℃로 서서히 가열하였으며, 이 과정 중에 페놀이 증류 제거되었다.
180 ℃/120 mbar에서 더 이상 아무것도 증류되지 아니할 때, 0.5 mbar로 오일 펌프를 가동하면서 160℃에서 추가로 2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하여 잔류 페놀을 제거하였다.
폴리카보네이트 B:
디프로필렌 글리콜 2,894 g(21.6 몰), 트리메틸롤프로판 965 g(7.2 몰), 디페닐카보네이트 5,393 g(25.2 몰) 및 디부틸틴 옥사이드 5 g을 폴리카보네이트 A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하였던 것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반응 시켰다.
폴리카보네이트 C:
트리에틸렌 글리콜 3,725 g(19.2 몰), 트리메틸롤프로판 858 g(6.4 몰), 디페닐 카보네이트 4,794 g(22.4 몰) 및 디부틸틴 옥사이드 2 g을 폴리카보네이트 A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켰다.
실시예 1 (1단계 반응)
트리에틸렌 글리콜 1,188 g(7.92 몰) 및 디페닐 카보네이트 2080 g(9.72몰)을 질소 분위기의 80℃에서 용융시켰다. 이 혼합물에 1-(디메틸아미노)-3-아미노-프로판 367 g(3.6 몰)을 적가하고, 약 1시간 동안 이상 교반하였다. 그후, 물-제트 진공을 가하였고 내부 온도는 160℃ 까지 상승되었으며, 이과정 중에 페놀이 증류 제거되었다. 160℃/12 mbar에서 아무것도 더 이상 증류되지 아니할 때, 0.5 mbar로오일 펌프를 가동하면서 160℃에서 추가로 2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하여 잔류 페놀을 제거하였다. 생성물을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졌다:
실시예 2 (1단계 반응)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1,286 g(6.70몰), 트리메틸롤프로판 299 g(2.23몰), 디페닐 카보네이트 1,673 g(7.82 몰) 및 1-(디메틸아미노)-3-아미노프로판 341 g(3.35 몰)을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켰다. 생성물을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졌다.
실시예 3 (2단계 반응)
폴리카보네이트 A 1,400 g에 질소 분위기 하에 50℃에서 1-(디메틸아미노)-3-아미노프로판 267 g(2.62 몰)을 신속히 적가하고 잘 교반하였다. 처음 2시간 동안은 100℃에서 교반한 뒤 120℃에서 추가로 5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얻어진 생성물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졌다:
실시예 4 (2단계 반응)
폴리카보네이트 B 640 g과 1-(디메틸아미노)-3-아미노프로판 286 g(2.62몰)을 실시예 3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켰다. 얻어진 생성물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5 (2단계 반응)
폴리카보네이트 B 700 g과 N,N-비스-(3-아미노프로필)-메틸아민 243 g(1.674몰)을 실시예 3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켰다. 얻어진 생성물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6 (2단계 반응)
폴리카보네이트 B 1,400 g과 1-(디메틸아미노)-3-아미노프로판 456 g(4.47몰)을 실시예 3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켰다. 얻어진 생성물의 특성은 다음과같다:
실시예 7 (2단계 반응)
폴리카보네이트 C 1400 g과 1-(디메틸아미노)-3-아미노프로판 354 g(3.47몰)을 실시예 3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켰다. 얻어진 생성물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응용 실시예
폴리올 조성물
트리메틸롤프로판을 프로폭실화시키고 이어서 프로폭실화된 생성물을 에톡시화하여(PO:EO 중량비=82.5:17.5) 제조한, OH가가 28인 폴리에테르 폴리올 48 중량부와, 프로필렌 글리콜상에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시킨 OH가가 28인 폴리에테르 폴리올 44 중량부를 표 1에 나타낸 나열한 각각의 시험에 있어서 표 1에 표시된 활성화제의 양과 혼합하였다. 발포제로서 2.5 중량부의 물을 첨가하였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다음과 각각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사용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200 mPa·s의 점도를(23℃) 갖고 32중량%의 NCO 함량을 갖는 일련의 디페닐메탄 혼합물(디이소시아네이토페닐메탄 이성질체와 이들의 보다 고분자량의 동족체들의 혼합물)이었다.
발포체의 제조
표 1에 나타낸 각 시료별로 수작업 발포 방법으로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이 방법에 있어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제외한 모든 성분들을 30초간 사전에 교반 하였다(교반 속도 : 1,000 rpm). 그 후,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추가로 10초간 교반을 계속하였다. 혼합 비율은 이소시아네이트 지수 100에 해당하였다.
폴리올 성분의 반응성은 크림 시간(cream time), 발포 시간(rise time), 유동 시간, 경화 시간들을 병렬적인 시험으로 측정하였다. 폴리올 조성물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비이커내에서 혼합하였다. 크림 시간이란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가해진 순간부터 발포 공정이 시작되는 때까지 경과되는 시간이다. 발포 시간이란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가해진 순간부터 발포 공정이 끝나는 때까지 경과된 시간이다. 경화 시간이란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가해진 순간부터 발포체의 끈적거림이 없어지는 시점까지 경과된 시간이다. 유동 시간이란 발포 시간과 크림 시간의 차이로부터 계산된다. 상대 밀도는 660 ml 비이커에 있어서의 발포체 상단 부위를 잘라낸 뒤에 계산한 밀도이다.
이상에서 예시를 목적으로 본 발명을 자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상세한 내용은 전적으로 그러한 목적을 위한 것이며, 그들 내에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범위 및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고도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 의해서는 변형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a) 하기 화학식 I로 나타내어지는 폴리올 및
    b) 하기 화학식 II에 해당하는 아민과,
    c) 1) 하기 화학식 III에 해당하는 카보네이트
    2) 우레아
    3) 포스겐, 및
    4) 화학식 (I)로 나타내어지는 폴리올의 비스-클로로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카본산 유도체를,
    상기 성분 a) 유래의 히드록실기 대 성분 b)의 1급 아미노기의 몰 비가 약 4:1 내지 약 16:1이고, 카본산 유도체 c)의 총량이 성분 a)의 히드록실기 1몰 당 카본산 유도체 c) 약 0.2 내지 약 0.5 몰을 성분 b)의 아민 1몰당 카본산 유도체 c) 약 0.5 몰에 더한 양이 되도록 하는 양으로 반응시켜 카보네이트기와 우레탄기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카보네이트와 우레탄기를 갖는 3급 아민의 제조 방법.
    상기 식에서,
    Q는 분자량 범위가 90 내지 400인 n가 지방족 알콜로부터 n-히드록실기를 제거하여 얻어지는 잔기를 나타내고, n은 2 또는 3이고,
    상기 식에서,
    A는 식(II)에 나타난 질소 원자 사이에 적어도 2개의 탄소 원자가 존재하는, 탄소수 2 내지 6의 2가 지방족 탄화수소 잔기를 나타내고,
    R1과 R2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잔기를 나타내거나 이들 각각에 결합된 질소 원자와 함께 카본산 유도체에 대하여 불활성인 포화 복소환식 5원 또는 6원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식에서,
    R3각각은 페닐 잔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잔기를 나타내거나, 함께하여 탄소수 2 또는 3의 알킬렌 잔기를 형성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Q로 나타내어지는 잔기가 에테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히드록실기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가 아민 b)를 첨가하기 전에 폴리올 a)와 카본산 유도체 c)를 반응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a)의 히드록실기 대 카본산 유도체 c)의 몰비가 약 2:1 내지 약 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히드록실기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를 아민 b)와 반응시켜 우레탄기를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성분 b)의 1급 아미노기 대 히드록실기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카보네이트기의 몰비를 약 0.2:1 내지 약 0.5:1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약 5 내지 약 30 중량%의 카보네이트기 함량(CO3로서 계산됨, 분자량=60), 약 5 내지 약 20 중량%의 우레탄기 함량(CHNO2로서 계산됨, 분자량=59), 약 0 내지 약 10 중량%의 알콜계 히드록실기 함량 및 약 1 내지 약 5 중량%의 3급 아미노기 함량(N로서 계산됨, 원자량=1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보네이트기 및 우레탄기를 함유하고 알코올계 히드록실기를 함유할 수 있는,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3급 아민.
  8. 약 5 내지 약 30 중량%의 카보네이트기 함량(CO3로서 계산됨, 분자량=60), 약 5 내지 약 20중량%의 우레탄기 함량(CHNO2로서 계산됨, 분자량=59), 약 0 내지 약 10 중량%의 알콜계 히드록실기 함량 및 약 1 내지 약 5 중량%의 3급 아미노기 함량(N로서 계산됨, 원자량=1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보네이트기 및 우레탄기를 함유하고 알코올계 히드록실기를 함유할 수 있는, 제6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3급 아민.
  9.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3급 아민 존재하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중부가 반응(polyaddition)에 의한 폴리우레탄의 제조 방법.
  10. 제6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3급 아민 존재하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중부가 반응에 의한 폴리우레탄의 제조 방법.
  11.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화합물 및 제1항의 3급 아민으로 이루어진 발포체 형성 혼합물을 플라스틱 필름의 배면에 도포하고, 발포체 형성 혼합물이 반응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필름과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복합체의 제조 방법.
KR1019950024394A 1994-08-09 1995-08-08 카보네이트기와우레탄기를갖는3급아민 KR1003759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428108A DE4428108A1 (de) 1994-08-09 1994-08-09 Carbonat- und Urethangruppen aufweisende tertiäre Amine
DEP4428108.0 1994-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533A KR960007533A (ko) 1996-03-22
KR100375904B1 true KR100375904B1 (ko) 2003-04-21

Family

ID=6525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4394A KR100375904B1 (ko) 1994-08-09 1995-08-08 카보네이트기와우레탄기를갖는3급아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705672A (ko)
EP (1) EP0696580B1 (ko)
JP (1) JP3744977B2 (ko)
KR (1) KR100375904B1 (ko)
BR (1) BR9503575A (ko)
CA (1) CA2155472C (ko)
DE (2) DE4428108A1 (ko)
ES (1) ES211199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66438T3 (es) * 1995-04-26 2002-04-16 Lonza Ag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on de piperidinopentanoaminas.
US6762274B2 (en) * 2000-02-10 2004-07-13 Dow Global Technologies Inc. Low emission polyurethane polymers made with autocatalytic polyols
MXPA05013555A (es) * 2003-06-13 2006-04-05 Dow Global Technologies Inc Composicion catalizadora para obtener producto de poliuretano con buena resistencia a la hidrolisis.
BRPI0417295B1 (pt) * 2003-12-23 2013-07-16 processos para a produção de um produto de poliuretano e de uma espuma de poliuretano flexível e mistura de poliol
CA2549846A1 (en) * 2003-12-23 2005-07-14 Dow Global Technologies Inc. Non-fugitive catalysts containing imine linkages and tertiary amines, and polyurethane products made therefrom
DE102008024865A1 (de) 2008-05-23 2009-11-26 Bayer Materialscience Ag Kunststoffverbundelemente und ein Verfahren zur ihrer Herstellung
CN112011049A (zh) * 2019-05-30 2020-12-01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一种热塑性聚脲弹性体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90551A (en) * 1943-07-10 1945-12-11 Pittsburgh Plate Glass Co Unsaturated ester-amides
US2887452A (en) * 1956-12-11 1959-05-19 Texas Co Motor lubricating oil composition
DE4030515A1 (de) * 1990-09-27 1992-04-02 Bayer Ag Neue urethane,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katalysatoren fuer das isocyanat-polyadditionsverfah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55472A1 (en) 1996-02-10
JPH0859774A (ja) 1996-03-05
EP0696580B1 (de) 1998-01-14
CA2155472C (en) 2007-10-23
US5705672A (en) 1998-01-06
EP0696580A2 (de) 1996-02-14
EP0696580A3 (de) 1996-06-19
JP3744977B2 (ja) 2006-02-15
DE59501269D1 (de) 1998-02-19
DE4428108A1 (de) 1996-02-15
KR960007533A (ko) 1996-03-22
ES2111993T3 (es) 1998-03-16
BR9503575A (pt) 1996-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93053B2 (ja) 3級アミノ基を有する化合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触媒としての利用
US20110263797A1 (en) Allophanate modified diphenylmethane diisocyanates, prepolymers thereof, and their use in the preparation of polyureas and polyurethanes
EP0169707A2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mers containing isocyanurate and/or oxazolidone linkages
US4435527A (en) Polyester polymer polyols made with polyester polycarbonates and polyurethanes therefrom
EP0307742A2 (en) Liquid isocyanurate-modified polymethylene bis(phenylisocyanate)compositions containing a high two-ring methylene bis(phenylisocyanate) content
EP0031207B1 (en) Process for preparing liquid polyisocyanate compositions, and their use
KR100375904B1 (ko) 카보네이트기와우레탄기를갖는3급아민
CA2059321A1 (en) Preparation of foams using polyfunctional organic acids
US5308882A (en) Preparation of polyurethane foam without a tertiary amine catalyst
US4704446A (en) Polyurethanes based on urethane polyols and short and long chain polyols
WO2020011343A1 (en) Catalysts for producing polyurethanes
JPH08501346A (ja) 断熱性の維持性が向上した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に有用なポリオール,それから製造された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並びにその製造方法
US5356943A (en) Rigid foams
EP0398304A1 (en) Flexible polyurethane foam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m
US5834579A (en) Tertiary amines having carbonate and urethane groups
US4489177A (en) Isocyanate-reactive compounds from TDI distillation residue and polyurethanes prepared therefrom
EP0611050B1 (en) Polyol compositions and polyisocyanates for use in the preparation of polyurethanes
CA1136335A (en) Urethane catalyst
CN114245808A (zh) 基于聚醚的水性聚氨酯分散体和其制备方法
US4006122A (en) Polyester-amides prepared from polymalonates and isocyanates
JPH0354964B2 (ko)
JPS59136316A (ja) 芳香族窒素含有ポリオ−ルより製造されるポリウレタンポリマ−ポリオ−ル及びそれを用いて得られるポリウレタン
US3434982A (en) Polyurethanes prepared from oxyalklated cyanoguanidines
CA1168800A (en) Crosslinker-surfactant for semiflexible energy management polyether polyurethane foams
US6433124B1 (en) Reactive polymers and isocyanate-reactive polymers obtainable therefr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