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5433B1 - 무인자동계약접수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자동계약접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5433B1
KR100375433B1 KR10-1998-0000906A KR19980000906A KR100375433B1 KR 100375433 B1 KR100375433 B1 KR 100375433B1 KR 19980000906 A KR19980000906 A KR 19980000906A KR 100375433 B1 KR100375433 B1 KR 100375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data
terminal
output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0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0511A (ko
Inventor
나나코 야마노
Original Assignee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70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4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자동 계약 접수 시스템은 금융기관과 무인계약을 하기 위해 고객이 소정의 계약 데이터를 입력하는 복수의 고객단말(10, 10a)과, 통신회선망(20)을 통해서 복수의 고객단말의 각각과 접속된 감시단말을 구비한다. 복수의 고객단말(10, 10a) 각각은 고객 데이터로서 고객의 화상 데이터 및 음성데이터가 입력되는 고객 데이터 입력수단(12, 13)과, 계약 데이터 및 고객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수단(14)과, 고객 데이터에 관해서 출력요구를 송신하는 출력 요구 송신수단(15)을 구비하고, 감시단말(30)은 각 고객단말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복수의 데이터 수신수단(31)과,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수단(34)과, 데이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출력요구에 따라 출력수단을 통해서 출력을 제공하는 고객단말을 선택하는 선택수단(32, 33)을 구비한다. 그러한 구성에 의해 시스템은 감시단말의 오퍼레이터에게 주는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 복수의 고객단말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전환한 후, 감시단말에서 데이터를 출력한다.

Description

무인 자동 계약 접수 시스템
본 발명은 무인 자동 계약 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인 자동 계약기를 통해서 소비자가 금융기관과 금융거래의 계약을 할 수 있는 무인 자동 계약 접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일본, 한국 및 그 외 아시아 국가에서는, 무인 자동 계약기가 멀티미디어시대에서 새로운 금융 서비스로서 이용자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 이유로서는, 고기능, 사용자가 사용하지 쉬운 조작성 및 이용자의 프라이버시를 고려하고 있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금융기관측에도, 큰 점포를 필요로 하지 않아서 무인 자동 계약 접수에 독점적으로 사용된 작은 점포로도 많은 고객을 획득할 수 있고,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이점이 있다. 따라서, 무인 자동 계약기의 수요는 일본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점점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무인 자동 계약기는 일반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인 자동 계약 접수 시스템 내에 사용된다.
무인 자동 계약 접수 시스템은 무인 자동 계약기(이하, 고객단말이라고 칭한다)(10)와, 통신회선(20)을 통해서 이 고객단말(10)과 접속된 회사측의 감시단말(40)을 구비하고, 감시단말(40)은 고객단말(10)을 통해서 행해지는 소비자 금융거래에 대한 무인 계약 신청서를 감시 및 확인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고객단말(10)은 이용자(고객)가 규정된 계약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게 하는 터치패널(touch panel)을 구비한 CRT(Cathode Ray Tube)(11)와, 이용자 본인이 기계를 작동하고 있는 중의 정화상 및는 동화상을 찍는 카메라(12)와, 이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로폰(13)과, 입력된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통신제어부(14)와, 이 고객단말(1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부(15)를 구비한다. 또한, 금융기관측에 설치된 감시단말(40)은 CRT 및 키보드 등을 구비한 센터단말(41)과, 이 센터단말(41)과 접속되고, 동시에 통신회선망(20)에서 고객단말(10)과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제어장치(42)와, 센터단말(41)의 오퍼레이터(계원)가 장착하는 헤드세트(43)로 구성된다.
이러한 무인 자동 계약 접수 시스템으로서는, 고객단말(10)의 이용자가 터치패널을 장착한 CRT(11)로 조작을 개시하면, 동작제어부(15)는 센터단말(41)에 회선의 "접속요구"를 송신한다. 고객단말(10)로부터 "접속요구"가 있으면, 센터단말(41)은 통신회선앙(20) 상의 고객단말(10) 중 어떤 것이 그 "접속요구"를 송신했는지를 식별한다. 이 식별결과를 기초로, 센터단말(41)은 그 "접속요구"를 요청한 고객단말(10)과의 회선접속을 확립하라고 통신제어장치(42)에게 지시한다. 이 지시에 따라서, 통신제어장치(42)는 고객단말(10)의 통신제어부(14)와의 회선접속을 확립한다.
통신제어장치(42)와 통신제어부(14) 사이에서 회선접속이 확립되면, 고객단말(10)에서의 통신제어부(14)는 카메라(12)에 입력된 화상 데이터와 마이크로폰(13)에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통신회선망(20)을 통해서 통신제어장치(42)로 송신한다.
그리고, 통신제어장치(42)에서는 수신한 화상 데이터의 오버레이(overlay) 표시(윈도우 표시)를 센터단말(41)의 CRT 스크린 상의 일부영역(41a)에 하는 것과 동시에,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헤드세트(43)로부터 출력한다.
이러한 형태의 무인 자동 계약 접수 시스템에 있어서, 이와 같이 고객단말(10)을 이용하는 고객의 화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이하, 총괄하여 고객 데이터라고 칭함)는 감시단말(40)측으로부터 출력되기 때문에, 감시단말(40)의 오퍼레이터가 고객단말(10)에서의 이용자의 조작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무인 자동 계약 접수 시스템에 있어서, 각 센터단말(41)은 한 대의 통신제어장치(42)에만 접속된다. 이것은 센터단말(41)이 한 대의 통신제어장치(42)로부터 화상 데이터만 출력(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센터단말(41)뿐만 아니라 헤드세트(43)에 관해서도 마찬가이다.
그러나, 무인 자동 계약 접수 시스템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통신회선망(20) 내에 복수의 고객단말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한 번에 한 대의 통신제어장치(42)만을 제어할 수 있는 센터단말(41)은 모니터링할 때 그들과 대응하도록 복수의 고객단말의 각각과의 회선접속을 필요에 따라 변경해야 한다. 또한, 이 동작은 센터단말(41)의 오퍼레이터에 의해서 키보드 등을 통해서 손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무인 자동 계약 접수 시스템는 한 대의 센터단말(41)만으로 복수의 고객단말의 조작상태를 모니터링할 때, 센터단말(41)의 오퍼레이터에게 무거운 부담을 주게 된다. 또한, 이것에 따라 많은 조작미스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퍼레이터에게 주는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 복수의 고객단말을 필요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변환하고 감시단말로부터 고객의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향상된 무인 자동 계약 접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니터링할 때 발생하는 에러를 줄이기 위해 복수의 고객단말을 필요에 따라서 변환하고 감시단말에서 소망하는 것을 출력할 수 있는 향상된 무인 자동 계약 접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시에 액세스할 때 한 개의 데이터 출력 수단만이 설치되었더라도 감시단말이 유연한 방법으로 복수의 고객단말과 대응할 수 있는 향상된 무인 자동 계약 접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자동 계약 접수 시스템은 고객이 소정의 계약 데이터를 입력할 때 금융기관과 무인계약을 하는 복수의 고객단말과, 통신회선망을 통해 이 복수의 고객단말과 접속되는 감시단말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고객단말의 각각은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가 고객 데이터로서 입력되는 고객 데이터 입력수단과, 계약 데이터 및 고객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수단과, 고객 데이터에 관해서 출력요구를 송신하는 출력 요구 송신수단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감시단말은 상기 복수의 고객단말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복수의 데이터 수신수단과, 화상 및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한 개의 출력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출력요구에 따라, 상기 출력수단에 의해 필요한 데이터가 송신되도록 하는 소망의 고객단말을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다른 특징 및 목적은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획득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자동 계약 접수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무인 자동 계약 접수 시스템에 있어서, 감시단말이 고객단말로부터 접속요구를 수신한 경우의 감시단말에서의 처리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무인 자동 계약 접수 시스템에 있어서, 감시단말이 고객단말로부터 접속변환요구를 수신한 경우의 감시단말에서의 처리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무인 자동 계약 접수 시스템에 있어서, 감시단말이 고객단말로부터 접속절단요구를 수신한 경우의 감시단말에서의 처리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종래의 무인 자동 계약 접수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a: 고객단말(무인 자동 계약기) 12: 카메라
13: 마이크로폰 14: 통신제어부
15: 동작제어부 20: 통신회선망
30: 감시단말 31, 31a: 통신제어장치
32: 비디오 스위처 33: 오디오 스위처
34: 센터단말 35: 헤드세트
36: 4분할모니터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자동 계약 접수 시스템(이하, 단지 시스템라고 칭함)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고객단말(10, 10a)과, 통신회선망(20)을 통해서 이들과 접속된 감시단말(30)을 구비한다.
도 5에 나타낸 종래의 시스템과 같이, 고객단말(10, 10a)의 각각은 부터치패널이 설치된 CRT(11), 카메라(12), 마이크로폰(13), 통신제어부(14), 및 동작제어부(15)를 구비한다.
이 동작제어부(15)는 고객단말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카메라(12)에 의해 입력된 화상 데이터 및 마이크로폰(13)에서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라는 요구를 통신회선망(20)을 통해 감시단말(30)에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출력요구는 이용자가 조작을 개시할 때에 송신되는 "접속요구"와 이용자가 조작을 종료했을 때에 송신되는 "접속절단요구"를 포함한다.
즉, 고객단말(10, 10a)의 각각은 카메라(12)와, 마이크로폰(13)과, 데이터송신수단으로서 기능하는 통신제어부(14)와, 요구 송신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동작제어부(15)를 구비한다.
한편, 감시단말(30)은 상기 고객단말(10, 10a)등에 대응하는 복수의 통신제어장치(31, 31a)와, 이들 통신제어장치(31, 31a) 등에 접속된 비디오 스위처(swither)(32)와, 상기 통신제어장치(31, 31a)와 마찬가지로 접속된 오디오 스위처(33)와, 퍼스널컴퓨터(이하, PC라고 약칭) 및 워크스테이션 등으로 이루어진 센터단말(34)과, 오디오 스위처(33)에 접속된 헤드세트(35)와, 비디오 스위처(32)에 접속된 4분할 모니터(36)를 구비한다.
복수의 통신제어장치(31, 31a)의 각각은 소위 멀티미디어 통신제어장치를 구비하기 때문에 다른 통신제어장치, 예컨대, 고객단말(10)의 통신제어부(14))와 통신회선망(20)을 통해 접속되어 그것을 출력 데이터와 교환할 수 있다. 공지된 TV 회의시스템등에 통상 사용되는 멀티미디어 통신제어장치는 이 PC 등에 접속되어 이 PC 상의 화상 및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이들 통신 제어장치(31, 31a)등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신수단으로서 동작한다.
비디오 스위처(32)는 소위 영상 전환장치, 즉 RS-232C에 따른 인터페이스에 의해서 원격 제어할 수 있는 16입력포트 및 16출력포트를 갖는 매트릭스 스위처로 이루어진다. 이런 형태의 영상전환장치로서는 예컨대, 감시용의 TV 모니터의 화상전환에 사용되는 것이 공공연하게 알려져 있다.
오디오 스위처(33)는 소위 음성전환장치, 즉 RS-232C에 따른 인터페이스에의한 원격제어가 가능한 16입력포트 및 16출력포트를 가진 매트릭스 스위처로 이루어져 있다.
즉, 비디오 스위처(32) 및 오디오 스위처(33)는 각 통신제어장치(31, 31a)가 수신한 출력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전환한다.
센터단말(34)은 통신회선망(20)과 접속될 뿐만 아니라 비디오스위처(32) 및 오디오스위처(33)와 RS-232C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접속된다. 이 센터단말(34)에서 통신회선망(210)을 통해 고객단말(10, 10a)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출력요구를 수신하면 비디오 스위처(32) 및 오디오 스위처(33)는 그 출력요구에 따라서 출력해야 할 데이터를 결정한 후, 그 데이터를 출력하라고 데이터 전환 명령인 RS(Recommended Standard)명령에 의해서 비디오 스위처(32) 및 오디오 스위처(33)에게 지시한다.
한편, 센터단말(34)은 CRT(34a)와 오버레이 보드(overlay board)(34b)를 갖는다. 이 오버레이 보드(34b)는 화상 데이터를 CRT(34a)의 스크린 상에 표시된 내용에 오버레이할 수 있는 비디오 보드를 구비한다. 이 기능에 따라, 센터단말(34)은 CRT(34a)의 스크린의 오른쪽 최상부의 영역(34c)에 비디오 스위처(32)에 의해서 선택된 고객 데이터의 화상 데이터의 오버레이 표시와 스크린(34d)의 하면에서 감시단말(30)과 현재 접속된 고객단말 정보의 오버레이 표시를 하게 된다. CRT(34a)의 배경화면(34e)은 현재 선택된 고객단말(10)에서 고객에게 표시된 것과 동일한 스크린의 내용을 표시한다.
센터단말(34)의 오퍼레이터가 헤드세트를 착용한 경우에 헤드세트(35)는 오디오 스위처(33)에 의해서 선택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것이다. 4분할 모니터(36)는 예컨대, 감시용 등의 TV 모니터로 이루어져 있어, 각 고객단말(10, 10a)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 즉 비디오 스위처(32)에 의해서 선택되기 전의 각각의 화상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한다.
다음에, 감시단말(30)이 고객단말(10, 10a)의 어느 하나로부터 출력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시스템이 어떻게 동작하는지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감시단말(30)이 어떤 고객단말(10)로부터 "접속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시스템이 어떻게 동작하는지에 관해서 도 2에 도시한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고객단말(10)에 앞에 있는 이용자가 근접센서(미도시)에 의해 검출되면 동작제어부(15)는 이용자가 그것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고객단말(1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감시단말(30)에 "접속요구"를 송신한다.
고객단말(10)의 동작제어부(15)로부터 "접속요구"가 송신되면 센터단말(34)은 그 "접속요구"를 통신회선망(20)을 통해 수신하고(스텝 100, 이하, S100이라고 약칭), 고객단말(10, 10a)중 어느 것이 그 "접속요구를 수신했는지를 식별한다(S102). 이 식별은 "접속요구"의 식별자(플래그)에 따라서 행해질 수도 있다.
"접속요구"의 송신원을 식별하면 센터단말(34)은 복수의 통신제어장치(31, 31a) 중에서 "접속요구"를 송신한 고객단말(10)에 대응하는 통신제어장치(31)에게그 고객단말(10)과 회선접속을 하라고 지시한다. 이 지시에 따라서 통신제어장치(31)는 고객단말(10)의 통신제어부(14)와의 회선접속을 확립한다(Sl03).
이 때, 고객단말(10)은 카메라(12)에 의해 입력된 이용자 자신의 화상 및 원래의 화상과, 마이크로폰(13)에 의해 입력된 이용자의 음성을 이미 갖고 있다. 따라서, 통신제어장치(31)와 통신제어부(14) 사이에 회선접속이 확립되면, 카메라(12) 및 마이크로폰(13)에서 입력된 출력 데이터는 통신제어부(14)와 통신제어장치(31)를 통해 비디오 스위처(32) 및 오디오 스위처(33)에 각각 송신된다. 여기서, 4분할 모니터(36)는 비디오 스위처(32)에 송신된 화상 데이터를, 이 4분할 모니터(36)의 스크린 상의 해당 영역(36a)에 표시한다.
한편, 센터단말(34)은 통신제어장치(31)에게 회선접속을 지시한 후, "접속요구"를 송신한 고객단말(1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출력할 것을 결정하고, 그 결과에 대한 RS 명령을 비디오 스위처(32) 및 오디오 스위처(33)에 송신한다(S104). 이에 따라, 센터단말(34)은 CRT(34a)의 스크린 상에 비디오 스위처(32)에 의해서 선택된 고객단말(10)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동시에, 헤드세트(35)는 오디오 스위처(33)에 의해서 선택된 고객단말(1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감시단말(30)은 고객단말(10)로부터 송신된 "접속요구"에 응답하여 출력데이터를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경우에도, 감시단말(30)은 고객단말(10a)로부터 송신된 "접속요구"에 근거하여 단말을 식별하고, 그 식별결과에 근거하여통신제어부(31a)에게 고객단말(10a)과 회선접속을 확립하라고 지시한다. 통신제어장치(31a)가 회선접속을 확립하면 비디오 스위처(32) 및 오디오 스위처(33)에는 고객단말(10a)로부터의 출력 데이터가 송신된다.
그리고, 4분할 모니터(36)는 비디오 스위처(32)에 송신된 화상 데이터를 이 4분할모니터(36)의 스크린 상의 해당 영역(36b)에 표시한다. 즉, 4분할 모니터(36)는 고객단말(1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와 고객단말(10a)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한다.
센터단말(34)은 고객단말(10a)로부터의 "접속요구"에 근거하여 고객단말(10a)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를 출력할 것을 결정하고, 그 결과에 대한 RS 명령을 비디오 스위처(32) 및 오디오 스위처(33)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센터단말(34)의 CRT(34a)에 의한 표시는 고객단말(10a)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된다. 한편, 헤드세트(35)로부터의 출력은 고객단말(10a)로부터의 음성 데이터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감시단말(30)이 고객단말(10)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어떤 다른 고객단말(10a)로부터 또 다른 "접속요구"를 수신하면 감시단말(30)은 그 "접속요구"에 근거하여 출력 데이터의 출력의 전환을 자동적으로 행한다. 또, 이러한 출력의 전환이 행해지면 고객단말(10)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는 CRT(34a)와 헤드세트(35) 어느 쪽에서도 더 이상 출력되지 않는다. 그러나, 감시단말(30)이 고객단말(10, 10a) 어느 한 쪽의 이용자에 의한 조작내용만을 모니터링하기 때문에 출력의 전환에 의한 문제점은 생기지 않는다. 또한, 종래의 시스템과 같이 센터단말(34)의 키보드 등으로부터 수동으로 출력을 전환할 수 있다.
다음에, 감시단말(30)이 고객단말(10)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를 출력할 때, 어떤 다른 고객단말(10a)로부터 또 다른 "접속변환요구"를 수신한 경우의 동작에 관해서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고객단말(10)과 통신제어장치(31) 사이 및 고객단말(10a)과 통신제어장치(31a) 사이에 회선접속이 이미 확립되고, 또한, CRT(34a) 및 헤드세트(35)에 고객단말(10)로부터 송신된 출력 데이터가 이미 제공되었다고 가정한다.
이 때, 고객단말(10)에서 이용자가 터치패널이 설치된 CRT(11) 상의 "계원호출버튼"의 누르거나, 거래계약에 필요한 신청서 등을 삽입하면, 이 고객단말(10a)의 동작제어부(15)가 "접속변환요구"를 송신하면, 고객단말(34)은 그 "접속변화요구"를 통신회선망(20)을 통해서 송신하고(S201), 동시에 고객단말(10)중의 어느 하나가 수신한 "접속변환요구"를 송신했는가를 식별한다(S202).
"접속변환요구"의 송신원을 식별하면 센터단말(34)은 그 "접속변환요구"를 수신한 고객단말(10a)로부터 송신된 출력데이터를 출력할 것을 결정한 후, 그 결과에 대한 RS 명령을 비디오 스위처(32) 및 오디오 스위처(33)에 송출한다(S203). 이에 따라, 센터단말(34)의 CRT(34a)에 의한 표시는 고객단말(10a)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로 전환된다. 동시에 헤드세트(35)로부터의 출력은 고객단말(10a)로부터 송신된 음성 데이터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감시단말(30)이 고객단말(10)로부터 송신된 출력 데이터를 출력할 때 다른 고객단말(10a)로부터 "접속변환요구를 수신하면 감시단말(30)은 그 "접속변환요구"에 근거하여 출력 데이터의 출력 전환을 자동적으로 행한다. 즉, 출력 데이터의 출력의 전환은 고객단말(10, 10a)에 있어서의 이용자의 조작상태에 따라서, 즉 필요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다음에, 감시단말(30)이 고객단말(10)로부터 송신된 출력 데이터를 출력할 때 고객단말(10)로부터 "접속절단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시스템이 어떻게 동작하는가에 관해서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고객단말(10)과 통신제어장치(31) 사이 및 고객단말(10a)과 통신제어장치(31a) 사이에 이미 회선접속이 확립되고, 또한, CRT(34a) 스크린 및 헤드세트(35)에 고객단말(10)로부터 송신된 출력데이터가 제공되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고객단말(10)에서 이용자가 조작을 종료하면 고객단말(10)의 동작제어부(15)는 감시단말(30)에 "접속절단요구"를 송신한다.
고객단말(10)의 동작제어부(15)로부터 "접속절단요구"가 송신되면 센터단말(34)은 그 "접속절단요구"를 통신회선망(20)을 통해 수신하고(S301), 그 수신한 "접속절단요구"를 고객단말(10, 10a) 중의 어느 것이 송신했는가를 식별한다(S302).
센터단말(34)이 "접속변환요구"의 송신원를 식별하면 센터단말(34)은 그 "접속절단요구"를 송신한 고객단말(10)과 센터단말(34) 사이의 통신접속(PC 간의 접속)을 절단하고(S303), 동시에 통신제어장치(31)에게 고객단말(10)과의 접속을 절단하라고 지시한다. 이 지시에 근거하여 통신제어장치(31)는 고객단말(10)의 통신제어부(14)와 통신제어장치 사이의 회선접속을 해제한다(S304).
이 회선접속의 해제에 의해서 4분할 모니터(36)의 스크린 상의 해당 영역(36a)에는 고객단말(10)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가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센터단말(34)은 통신제어장치(31)에게 고객단말(10)과의 접속을 절단하라고 지시한 후에 다른 고객단말(10a)로부터 송신된 출력 데이터를 출력할 것을 결정하고, 그 결과에 대한 RS 명령을 비디오 스위처(32) 및 오디오 스위처(33)에 송출한다(S305). 이에 따라 센터단말(34)의 CRT(34a)에 의한 표시는 고객단말(10a)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로 전환된다. 또한, 헤드세트(35)로부터의 출력은 고객단말(10a)로부터 송신된 음성 데이터로 전환된다.
그러나, "접속절단요구"가 있는 고객단말(10)의 이외에 복수의 고객단말(10a)이 회선을 통해서 접속되는 경우에 센터단말(34)은 이하에서처럼 어떤 고객단말(10a)로부터 출력 데이터를 출력할 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각 고객단말(10, 10a) 중에서 우선순위를 사전에 설정함으로써, 시스템은 그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출력될 출력 데이터를 결정한다. 또한, 각 고객단말(10, 10a)로부터 "접속요구", "접속변환요구" 및 "접속절단요구"의 이력현상(hysteresis)을 기억함으로서, 시스템은 이 이력현상을 근거하여 출력될 출력 데이터를 결정하고, 예컨대, 최신의 요구가 있는 고객단말로부터 송신된 출력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감시단말(30)이 고객단말(10)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를 출력할 때, 고객단말로부터 "접속절단요구"를 수신하면, 감시단말(30)은 그 "접속절단요구"에 근거하여 고객단말(10a)로부터 출력 데이터의 출력을 자동적으로 전환한다. 즉, 출력 데이터의 전환은 고객단말(10, 10a) 등에서의 이용자의 조작상태에 의존하여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의 감시단말(30)은 각 고객단말(10, 10a)에 대응하는 복수의 통신제어장치(31, 31a)와, 이들 제어장치에 의해 획득된 출력 데이터를 선택하는 비디오 스위처(32) 및 오디오 스위처(33)와, 이 선택에 필요한 RS 명령을 송출하는 센터단말(34)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이 시스템은 "접속요구", "접속변환요구" 또는 "접속절단요구"에 근거하여 각 고객단말(10, 10a)로부터 송신된 정보 중에서 소망하는 출력 데이터를 선택한 후, 이 출력 데이터를 감시단말(30)의 CRT(34a) 및 헤드세트(35)에 출력할 수 있다.
즉, 이 시스템은 CRT(34a) 및 헤드세트(35)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를 각 고객단말(10, 10a)로부터 송신되는 출력 데이터 중에서, 각 고객단말(10, 10a)에서의 이용자의 조작상태에 근거하여 자동적으로 전환한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통신 회선망(20)에 한 개 이상의 고객단말이 설치되더라도, 각 고객단말(10, 10a)로부터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서 시간마다 회선접속을 전환할 필요가 없고, 또한 센터단말(41)의 오퍼레이터도 출력 데이터를 전환하기 위한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이 특징에 따라 종래의 것과 달리 이 시스템은 감시단말(30)이 복수의 고객단말(10, 10a)의 조작상태를 모니터링하려고 할 때, 센터단말(34)의 오퍼레이터에게 불필요한 부담을 주지 않기 때문에 이것에 따른 조작미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는 센터단말(34)의 CRT(34a)뿐만 아니라 감시단말(30)측의 4분할 모니터(36)가 설치되기 때문에 복수의 고객단말(10, 10a)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이 특징에 따라, 센터단말(34)의 CRT(34a)가 이들 고객단말 중의 하나로부터 송신된 출력 데이터만을 표시하더라도, 4분할 모니터(36)에 의해 표시된 내용을 체크함으로써 각 고객단말(10, 10a)의 상태를 알 수 있다. 즉, 센터단말(34)의 CRT(34a)에 덧붙여 이 4분할 모니터(36)를 설치하면, CRT(34a)에 표시된 출력 데이터가 자동적으로 전환되더라도, 각 고객단말(10, 10a)의 상태를 알 수 있기 때문에, 4분할 모니터(36)에 표시된 내용을 기초로 필요에 따라서 CRT(34a)에 의한 표시를 수동으로 쉽고 정확하게 전환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는 4분할 모니터(36)가 각 고객단말(10, 10a)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4분할된 각 영역(36a∼36d)에 표시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데이터는 예컨대, 모니터 스크린 상의 2분할 또는 8분할된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출력요구가 있는 고객단말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를 감시단말(30)측에서 출력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감시단말(30)측으로 입력된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출력요구가 있는 고객단말로부터 출력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인 자동 계약 접수 시스템은 감시단말측 상에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를 각 고객단말로부터 송신된 출력요구에 근거하여 즉 각 고객단말에서의 이용자의 조작상태에 의존하여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무인 자동 계약 접수 시스템은 감시단말이 복수의 고객단말을 동시에 모니터링하려고 시도하더라도 종래의 시스템과는 달리 감시단말측의 오퍼레이터에게 불필요한 부담을 주기 않기 때문에 이것에 따르는 조작미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자동 계약 수신 시스템에 관해서 설명하였다. 상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다양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로부터 가능하게 된다.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를 가장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선택되었고, 그것의 실질적인 응용은 다양한 실시예로 본 발명을 가장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로부터 가능하다.

Claims (5)

  1. 금융기관과 무인계약을 하기 위해 고객이 소정의 계약 데이터를 입력하는 복수의 고객단말과,
    통신회선망을 통해서 상기 복수의 고객단말의 각각과 접속된 감시단말을 구비한 무인 자동 계약 접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객단말 각각은,
    고객 데이터로서 상기 각 고객의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가 입력되는 고객 데이터 입력수단과,
    상기 계약 데이터 및 상기 고객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수단과,
    상기 고객 데이터에 관해서 출력요구를 송신하는 출력 요구 송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감시단말은,
    상기 각 고객단말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복수의 데이터 수신수단과,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수단과,
    상기 데이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출력요구에 따라 상기 출력수단을 통해서 출력을 제공하는 고객단말을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자동 계약 접수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고객단말에서 표시된 스크린의 내용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자동 계약 접수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고객단말에 관해서 고객 데이터의 화상 데이터의 오버레이 표시를 그것의 스크린 상에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자동 계약 접수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출력요구가 발생할 때마다 상기 출력수단에 출력된 상기 고객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자동 계약 접수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단말에는, 상기 각 고객단말로부터 송신된 상기 고객단말의 다양한 화상 데이터를 하나의 스크린 상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분할형태의 화상 표시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자동 계약 접수 시스템.
KR10-1998-0000906A 1997-02-28 1998-01-14 무인자동계약접수시스템 KR1003754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45065 1997-02-28
JP45065 1997-02-28
JP4506597A JPH10240819A (ja) 1997-02-28 1997-02-28 無人自動契約受付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511A KR19980070511A (ko) 1998-10-26
KR100375433B1 true KR100375433B1 (ko) 2003-04-26

Family

ID=12708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0906A KR100375433B1 (ko) 1997-02-28 1998-01-14 무인자동계약접수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09461A (ko)
JP (1) JPH10240819A (ko)
KR (1) KR100375433B1 (ko)
TW (1) TW3573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1087B1 (en) * 1998-11-18 2003-07-29 Webex Communications, Inc. Instant document sharing
KR20000054621A (ko) * 2000-06-14 2000-09-05 강용재 컴퓨터와 화상회의 시스템을 이용한 금융거래 시스템 및그 방법
US20020138431A1 (en) * 2000-09-14 2002-09-26 Thierry Antoni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pervision of a plurality of financial services terminals with a document driven interface
US20020032655A1 (en) * 2000-09-14 2002-03-14 Thierry Antoni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inancial services terminals with a document driven interface
US20020178120A1 (en) * 2001-05-22 2002-11-28 Reid Zachariah J. Contract generation and administration system
JP2006309658A (ja) * 2005-05-02 2006-11-09 Hattori Life Support Kk 情報受付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受付装置
JP4963804B2 (ja) * 2005-07-08 2012-06-2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テレビ電話コールセンタサーバ及びその処理方法
JP4482710B2 (ja) * 2008-02-04 2010-06-16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Pos装置
KR101600422B1 (ko) * 2012-08-14 2016-03-21 주식회사 케이티 통화 단말과 다른 단말로 연속적으로 제공하는 감시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550062B1 (ko) 2013-02-26 2015-09-04 주식회사 케이티 M2m 디바이스의 제어권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m2m 서비스 플랫폼
KR101441567B1 (ko) 2013-03-05 2014-09-22 주식회사 케이티 Ims 망을 통한 m2m 데이터 전달 방법 및 이를 위한 m2m 서비스 플랫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8724B1 (ko) * 1994-05-13 1998-09-15 가나이 쯔도무 원격 조작 단말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9641A (en) * 1993-10-01 1997-11-18 Vicor, Inc. Multimedia collaboration system arrangement for routing compressed AV signal through a participant site without decompressing the AV signal
WO1996008911A1 (en) * 1994-09-16 1996-03-21 Southwestern Bell Technology Resources, Inc. Versatile multipoint video composition and bridging system
JPH0993487A (ja) * 1995-09-21 1997-04-04 Roland Corp ビデオ編集装置
US5838393A (en) * 1996-04-12 1998-11-17 Stargrabber Llc Audio/video/control remote switch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8724B1 (ko) * 1994-05-13 1998-09-15 가나이 쯔도무 원격 조작 단말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511A (ko) 1998-10-26
JPH10240819A (ja) 1998-09-11
TW357311B (en) 1999-05-01
US6009461A (en) 1999-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6357B1 (en) Camera monitoring system
US600299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rol information of cameras connected to a network
KR100375433B1 (ko) 무인자동계약접수시스템
US6670984B1 (en) Camera control system controlling different types of cameras
KR100654783B1 (ko) 화상배신방법
US6911999B2 (en) Camera control system
US8350917B2 (en) Digital camera, method for sending image data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mage data
EP0776130A2 (en) Camera control system with variable frame rate
JP3410209B2 (ja) 通信方式および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
EP1347645A1 (en) Video terminal, video terminal communicating system, and videoconference system
JP3604766B2 (ja) カメラ制御装置及びカメラ制御装置の制御方法
JP3703229B2 (ja) カメラ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記憶媒体
CN107018368A (zh) 切换器远程控制方法及系统
US20060098091A1 (en) Surveillance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camera through monitor and method thereof
JP3290334B2 (ja) ネットワークプロトコルを用いたマルチスクリーン制御システム
JP3343531B2 (ja) テレビ会議システム
JP2001177820A (ja) 画像伝送システム
KR101434616B1 (ko) 통신방법 및 이를 적용한 네트워크 디스플레이 장치
JPS6340064B2 (ko)
JP3369966B2 (ja) 遠隔操作装置及び遠隔操作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媒体
KR100313277B1 (ko) 단축아이콘에 의한 화면선택기능을 갖는 pc통신 서비스 수신장치 및 그 방법
KR100215649B1 (ko) 정보텔레비젼의 pip화면표시방법
JP3270651B2 (ja) 複合機
JPH02104155A (ja) データ通信装置
JPH11261981A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