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4598B1 - 광 주사유니트 - Google Patents

광 주사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4598B1
KR100374598B1 KR10-2000-0012846A KR20000012846A KR100374598B1 KR 100374598 B1 KR100374598 B1 KR 100374598B1 KR 20000012846 A KR20000012846 A KR 20000012846A KR 100374598 B1 KR100374598 B1 KR 100374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ight
scanning unit
chang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2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1315A (ko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12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4598B1/ko
Publication of KR20010091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5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06Scanning systems having diffraction gratings as scanning elements, e.g. holographic scann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diffrac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9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 H01S3/091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 H01S3/094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by coherent light
    • H01S3/0941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by coherent light of a laser diode

Abstract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에 설치되고 입사광을 회절 편향시키도록 형성된 홀로그램 패턴을 가지며 회전에 의해 주사선을 형성하는 편향디스크와, 편향디스크의 일면에 대면되게 위치되어 편향디스크의 일 입사위치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광 주사유니트에 있어서, 광원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온도유지수단을 포함하여, 주위 온도변화에 따라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의 파장이 변화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주사유니트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광 주사유니트{Laser scanning unit}
본 발명은 편향디스크를 이용한 광 주사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의 파장변화를 억제할 수 있도록 된 광 주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향디스크를 이용한 광 주사유니트는 광원에서 조사되어 편향디스크의 홀로그램 패턴에 입사된 레이저 광을 편향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회절 편향시켜 주사하는 장치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광 주사유니트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원(1)과, 이 구동원(1)에 설치되며 각각 홀로그램 패턴이 형성된 복수의 섹터로 구획된 편향디스크(3)와, 상기 편향디스크(3)의 일면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광을 주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5)과, 상기 편향디스크(3)에서 회절편향된 주사선(L)의 보정 및 진행경로를 변환하는 광학부재(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원(5)은 소정 파장 예컨대, 대략 785nm 파장의 광을 편향디스크(3)의 일 지점(P)에 조사하는 반도체 레이저이다. 이 광원(5)은 그 광축이 상기 편향디스크(3)의 배면에 대해 각 θ가 되도록 고정 배치되어 있다. 편향디스크(3)가 소정의 각속도로 회전시, 광원(5)에서 조사되어 회절편향된 주사선(L)은 그 중심의 진행방향이 편향디스크(3)의 상면에 대해 각 α로 광학부재(7)의 일 미러(M)로 향한다. 여기서, 상기 편향디스크(3)의 회절 편향 조건이 동일하고, 상기 광원(5)의 설치각이 θ인 경우, 상기 회절각 α은 상기 광원(5)에서 조사된 광의 파장 변화에 따라 점선으로 도시된 방향과 같이 각 α보다 작은 각(α1) 또는 큰 각(α2)으로 변화된다.
한편, 상기 광원(5)은 모드홉핑(Mode hopping), 드루프(Droop), 드리프트(Drift)등에 기인한 오차에 의하여, 소망하는 파장 예컨대, 785nm에서 대략 -15/+10nm의 오차를 가진다. 여기서, 모드홉핑은 주입전류, 온도, 광학적 피드백 등에 의하여 레이저의 주발진 모드가 시프트되는 현상을 말한다. 시프트 정도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캐비티 길이에 따라 다르며, 인접 모드 사이의 발진파장 차이가대략 0.3 내지 0.5nm 정도이다. 상기 드루프란 레이저 다이오드를 온(on) 했을 때, 처음의 피크 파우어에 대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출사광량의 감소비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드리프트는 온도변화 등에 따라서 파장이 변화하는 것으로, 좁은 의미에서는 캐비티 길이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뜻하고, 넓은 의미에서는 상기한 모드 홉핑을 포함하여 온도에 따른 파장변화를 뜻하기로 한다. 여기서, 온도에 따른 파장변화는 대략 0.25nm/℃로서 매우 민감하다. 따라서, 온도가 ±10℃변화할 경우, 전체적으로는 상기 기본 오차값을 포함하여 약 30nm 이상의 파장변화가 존재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파장변화를 보상하기 위해서, 상기 편향디스크(3)에 대한 광원(5)의 설치위치를 고정시키는 경우, 소망하는 회절각 α를 맞추기 어렵다. 따라서, 소정 위치에 주사선이 맺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광학부재(7) 각각에 대한 광학적 정렬이 요구되지만 이 경우에도, 조립공수가 복잡하고, 실제 설계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초기 세팅시 소망하는 회절각 α을 맞추었더라도, 온도변화에 따라 광의 파장이 변화하는 것은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힘들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광원에서 조사되어 편향디스크의 일 입사위치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광원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광 주사유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광 주사유니트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주사유니트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광원 및 PTC소자를 나타내보인 분리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구동모터 13..편향디스크
15..광원 17..광학부재
18..PTC소자 19..전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 주사유니트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설치되고 입사광을 회절 편향시키도록 형성된 홀로그램 패턴을 가지며 회전에 의해 주사선을 형성하는 편향디스크와, 상기 편향디스크의 일면에 대면되게 위치되어 상기 편향디스크의 일 입사위치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광 주사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온도유지수단을 포함하여, 주위 온도변화에 따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의 파장이 변화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주사유니트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주사유니트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1)에 평향디스크(1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편향디스크(13)는 입사광을 회절 편향시키도록 형성된 홀로그램 패턴을 가지며 회전에 의해 주사선(L)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편향디스크(13) 배면의 일 입사위치(P)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15)이 편향디스크(13)의 배면에 마주하게 설치된다. 상기 광원(15)은 온/오프 제어가 가능한 레이저 다이오드로서, 구동시 소정 파장의 광을 상기 입사위치(P)로 조사한다. 또한, 상기 편향디스크(13)에 입사되어 회절편향된 주사선(L)의 보정 및 경로변환을 위한 광학부재(17)가 구비된다. 상기 광학부재(17)에는 복수의 미러(M)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광원(15)에서 조사되는 광의 파장은 주위의 온도변화에 민감하게 변환되는 성질이 있으므로, 이와 같은 온도변화에 따른 파장의 변화를 억제시키기위해 광원(15)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온도유지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온도유지수단은 광원(15)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정온도특성(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서미스터 소자(18; 이하 'PTC소자'라 함)와 전원(19)을 구비한다. 상기 PTC소자(1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5)을 수용하여 감싸는 수용부(18a)를 갖는다. 이러한 PTC소자(18)는 통상적으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전기저항값이 증가하는 특성을 가지는 반도체 소자로서, 티탄산바륨(BaTiO3)을 주성분으로 하여 만들어진다. 즉, 상기 PTC소자(18)는 상기 전원(19)으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으면, 줄(Joule)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한다. 그리고, PTC소자(18)가 소정 퀴리온도(Curie Point) 이상이 되면, 부성전류특성(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전류가 감소하는 특성)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부성전류특성영역에서 PTC소자(18)는 정전력특성을 나타내므로 별도의 제어회로 없이 일정한 온도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주변온도가 상승하면 PTC소자(18)에 인가되는 전력이 능동적으로 감소되고, 반대로 주변온도가 저하되면 인가전력이 증가함으로써 PTC소자(18)는 상기 퀴리온도로 상승되어 일정범위로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PTC소자(18)는 주위의 온도에 관계없이 전원(19)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일정한 온도로 유지된다. 그리고, 그 PTC소자(18)에 감싸여서 지지되는 광원(15) 또한 주위의 온도변화와는 무관하게 일정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광원(15)에서는 주위의 온도가 변화하더라도 일정한 파장의 광을 입사위치(P)로 조사할 수 있게 되고, 편향디스크(13)에서의 회절각 α는 소망하는 각도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광학부재(17)의 설치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자세보정작업 및 파장변화에 대응한 설계의 어려움을 덜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의 광 주사유니트를 예를 들어,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채용할 경우, 지지롤러(21)에 지지되어 주행되는 감광벨트(20)와 같은 감광매체로 향하는 주사선(L)의 신뢰성이 향상되어, 그 감광벨트(20)에 형성되는 화상의 고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PTC소자(18)가 광원(15)을 수용할 수 있도록 경통형의 구조를 갖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그 크기 및 형상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주사유니트에 따르면, 광원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PTC소자를 구비함으로써, 주위온도의 변화에 상관없이 광원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온도변화에 따른 광원의 파장변화를 억제하여,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의 파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광 주사유니트 전체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설치 및 설계작업을 종래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2)

  1.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설치되고 입사광을 회절 편향시키도록 형성된 홀로그램 패턴을 가지며 회전에 의해 주사선을 형성하는 편향디스크와, 상기 편향디스크의 일면에 대면되게 위치되어 상기 편향디스크의 일 입사위치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광 주사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정온도특성(PTC) 서미스터 소자; 및
    상기 정온도특성 서미스터 소자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을 가진 온도유지수단을 포함하여,
    주위 온도변화에 따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의 파장이 변화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주사유니트.
  2. 삭제
KR10-2000-0012846A 2000-03-14 2000-03-14 광 주사유니트 KR100374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846A KR100374598B1 (ko) 2000-03-14 2000-03-14 광 주사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846A KR100374598B1 (ko) 2000-03-14 2000-03-14 광 주사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315A KR20010091315A (ko) 2001-10-23
KR100374598B1 true KR100374598B1 (ko) 2003-03-04

Family

ID=19655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2846A KR100374598B1 (ko) 2000-03-14 2000-03-14 광 주사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45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3386A (ja) * 1992-07-24 1994-02-18 Nikon Corp 光源部又は受光部の温度補償構造
JPH1010453A (ja) * 1996-06-27 1998-01-16 Minolta Co Ltd レーザビーム光学装置
JPH10239607A (ja) * 1997-02-27 1998-09-11 Minolta Co Ltd 光源装置及びその光源装置を備えた走査光学装置
JPH11194289A (ja) * 1998-01-05 1999-07-21 Minolta Co Ltd 走査光学装置
JPH11249052A (ja) * 1998-02-27 1999-09-17 Hitachi Koki Co Ltd 光走査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3386A (ja) * 1992-07-24 1994-02-18 Nikon Corp 光源部又は受光部の温度補償構造
JPH1010453A (ja) * 1996-06-27 1998-01-16 Minolta Co Ltd レーザビーム光学装置
JPH10239607A (ja) * 1997-02-27 1998-09-11 Minolta Co Ltd 光源装置及びその光源装置を備えた走査光学装置
JPH11194289A (ja) * 1998-01-05 1999-07-21 Minolta Co Ltd 走査光学装置
JPH11249052A (ja) * 1998-02-27 1999-09-17 Hitachi Koki Co Ltd 光走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315A (ko) 2001-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6837A (en) Optical modulator
JP5159028B2 (ja) 揺動体を有する光偏向装置、及びその調整方法
US473325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eliminating diode laser mode hopping
JPS6381317A (ja) ダイオ−ドレ−ザのモ−ドホップを検出除去する装置及び方法
GB2052841A (en) Semiconductor laser device and an image recording apparatuus the same
KR100374598B1 (ko) 광 주사유니트
US5331343A (en) Optical apparatus with improved lens mounting device
JP2004287380A (ja) 光走査装置、走査線補正方法、走査線補正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US5051757A (en) Optical scanning with cylindrical lens and beam slit
JPH03179420A (ja) 光学装置
JPH10133135A (ja) 光ビーム偏向装置
JPH0588026B2 (ko)
JP2694989B2 (ja) レーザスキャナ
JP3537578B2 (ja) 半導体レーザ装置
US6108116A (en) High precision collimating system
JP4107790B2 (ja) 光書込装置
JP2000071509A (ja) 画像形成装置
JP3187645B2 (ja) 光走査装置
KR100247985B1 (ko) 인쇄기의광주사시스템
JP2002277777A (ja) 光学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JPH0398063A (ja) 画像記録装置
JPH06148548A (ja) 光ビーム走査光学系及びレーザプリンタ
JPS6126276A (ja) レ−ザユニツト
JPH032714A (ja) レーザ光走査装置
JP2006308754A (ja) 走査光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